•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신도 전문인으로서 캄보디아의료 선교 전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평신도 전문인으로서 캄보디아의료 선교 전략"

Copied!
1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6學年度

碩士學位 (M.A) 請求論文

평신도 전문인으로서 캄보디아의료 선교 전략

總神 大學校 宣敎大學院

宣敎學科 治癒 專攻

최 은 희

(2)

평신도 전문 인으로서 캄보디아 의료 선교 전략

지도 교수 김 성 욱

이 논문을 석사 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2006年 12月 日

總神 大學校 宣敎大學院 宣敎學科 治癒 專攻

최 은 희

(3)

최은희의 碩士學位 論文 을 認准 함

2006 年 12 月 日

總神 大學校 宣敎大學院

(4)

국 문 초 록

평신도 전문 인 으로서 캄보디아 의료 선교 전략 지도 교수 김 성욱

본 연구는 평신도 전문인으로서 하나님의 통치와 평안 즉 구원과 치 유를 함께 회복하는 통일성 있는 캄보디아 선교를 위한 선행 준비로, 위 생과 보건에 관련된 현지인의 생활의 습관과 주변 환경을 상세히 조사하 여 봄으로 가능한 그들의 필요에 충족하는 선교 병원이 설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현지인으로 캄보디아인의 습관적인 생활 속에 드 러나는 비위생적인 점들을 입체적으로 상세히 조사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실질적인 계몽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현지의 필요에 적합한 선교 병원이 되기 위해 여러 곳의 다양한 현지인을 지역, 학력, 생활수준, 직업 등으로 구분하여 다 각도로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캄보디아 현황을 근거로 하여 본인이 제작한 70문항의 설 문을 현재 캄보디아 내 사역 중이신 16명의 선교사님들의 도움으로 배포 하여 수집 된 100명분의 설문지를 근거로 생활환경, 위생 수준, 의료 시설 과 그 사용 빈도를 조사 분석 하였으며 질병에 대한 개인의 의식과 공공 기관의 인식을 살펴보고 현지인의 영적 상태와 교회에 대한 인식을 알아 보기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5)

본 연구를 통해 산출 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병에 대한 인식과 공공기관의 홍보가 생각이상으로 극한의 부족 을 보여준다. 그리고 캄보디아 내의 병원과 의사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 함을 확인했으며 근처에 병원이 있으나 높은 재정적 부담과 의료 종사자 들의 권위적인 태도 등으로 인한 불신감과 함께 활용도가 저조하였다. 현 지인들이 자국의 의료인과 병원, 공공기관들에 불신하는 반면 선교 병원 에 대한 호감도 조사에서는 절대적인 지지를 나타내었다.

둘째, 캄보디아의 위생 환경의 현황은 수인성 전염병과 풍토병에 노출 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식수를 비롯한 상하수도 시설과 화장실문제가 시급 하였고, 위생과 질병 예방에 대한 인식이 개인적으로 전무하거나 공공적 으로도 매우 부족하였다. 또한 다수가 1개의 방에 5명의 가족이 함께 기 거하나 임신을 하면 출산을 하겠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난의 대물림과 악순환이 드러났다.

셋째,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의 존재를 믿고 있고 천국과 지옥, 복이나 불 행에 대한 개념에는 인본적인 생각들이 많았고 피조물로서, 전인격체로의 인간이해는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직업이나 월수입 및 학력 등과 상관없 이 자신이 행복한 편이라고 생각하여 더 이상 영과 육의 진보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 상당수가 있음도 설문 통계를 통하여 알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운데서도 교회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호감 도는 조사에 서 매우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개종에 영향을 끼칠 사람들이 주변에 많 을수록 가족 중에 기독교인이 있는 가정이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설문 통계라 본다.

(6)

Abstract

Strategy of medical mission in Cambodia: as a layman with a professionalism

Supervisor: Sung Wook Kim

This study is a preparation of good conduct for unified missionary works with God's rules and peace that restore the redemption and healing in Cambodia. This investigation was initially attempted to help establishing hospitals which could supply Cambodian's needs. To start with, I examined hygiene and preservation of health in relation to the residental Cambodian people's habi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in detail.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the residental Cambodian people. By analysing non-hygiene life style revealed in Cambodia and suggesting educational movements, promotion of hospitals right for the Cambodian people were stated in this essay. To present these suggestions, I divided Cambodian people in different places, academic levels, life standards and occupation with various views.

Main tool for the study was a survey which included 70 questions with resent conditions of Cambodia. This survey was distributed by 16 Korean missionaries currently working in Cambodia and 100 residnetal Cambodian people answered the questions. By statistical analysis, life environment, hygiene standards, medical facility and the frequency in use were reported. Further more, I used SPSS program to consider individual awareness of diseases and public facility as well as the awareness of christianity and the level of spiritual conditions.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7)

First, the awareness of diseases and the use of public facilities were very low. Also, the number of medical staff and hospitals were absolutely insufficient. Even though there were some local hospitals, high financial expenditure of maintenance and their authoritative attitude altogether led to inefficient medical utilization. With investing impression of hospitals by resident people resulted by high rate of advocation of the hospital built by missionaries and very low in local hospital, staff and public facilities.

Second, hygiene of Cambodia is well exposed to water-induced communicable diseases and endemic diseases. Thus problems produced from drinking water as well as water service facility and lavatory were serious. Also. knowledge of hygiene and preventing disease was ignored.

More over, many families share one room with five people and these people desired to give birth if they became pregnant. These altogether led to a idea of inheriting poverty.

Third, usually people believe in existence of Gods and concept of heaven and hell, blessing and unfortunate was humanistic. Understanding the human being as a creature was not normalized. Additionally, despite of financial income and academic career, the level of happiness was high which led to a lack of spiritual, physical progress. However, local Cambodian people have good impression on churches and it was a encouraging result that if there were more people who could influence conversion, the number of christians within families was increased.

(8)

목 차

국문초록

i

목 차

v

도형 목차

viii

감사의 글

xi

제 1 장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배경 ···3

3. 연구방법 ···5

4. 연구질문 6 5. 용어해설 7 6. 연구의 제한범위 ···8

7. 연구의 중요성 ···8

8. 연구 절차 ···9

제 2 장 선행 연구 고찰 ··· 11

제1절 평신도 전문인 선교의 성경적 관점 ···11

1. 평신도 전문인 선교의 모델 12 2. 평신도 전문인 선교사의 역할 13 제2절 평신도 전문인 선교의 전략적 관점 15 제3절 의료선교의 성경적 관점 ···17

1. 선교의료 vs 의료선교 17

2. 의료선교의 성경적 정의 18

(9)

3. 의료선교의 성경적 배경 19

4. 의료선교의 성경적 최종 목표 24

제4절 의료 선교의 역사적 배경 ···24

제5절 의료선교의 목적과 유용성 ···27

1. 의료선교의 목적 ···27

2. 의료선교의 유용성 ···28

3. 의료선교의 유익 및 약점 ···29

제6절 의료선교 사역의 다양성 ···31

1. 의료를 통한 선교방법 31 2. 지역 사회 보건 선교 ···33

제7절 캄보디아의 현황과 그들의 필요들 38 1. 사회적인 현황 38 2. 정치적인 현황 43 3. 경제적인 현황 45 4. 의료 환경의 현황 47 5. 종교적 현황 50 제 3 장 연구 설계 ··· 55

1. 연구 질문 검토 ···55

2. 연구 대상 ···56

3. 연구 도구 ···56

4. 자료 수집 제한 ···57

5. 자료 수집 절차 ···57

(10)

제 4 장 자료 분석 ··· 58 제 1절 설문 통계 분석 ···58

제 2절 자료 분석을 근거로 한 의료선교 전략 81

1. 현지인 지도자에 대한 제자화 81

2. 선교병원 설립 및 순회 진료소 개설 84

3. CHE

(Community Health Evangelism)

사역 88

4. 선교병원을 통한 빈민 구제 사역 89

5. 선교병원을 통한 협력 사역 90

제 5 장 결론 ··· 92

1. 연구 요약 92

2. 연구 결론 96

4. 다음 연구를 위한 제언 97

부록

참고 문헌 100

설문지 103

(11)

도형 목차

1. 생활환경의 수준은 어떠하며 행복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58 1) 직업

2) 월수입 3) 학력

4) 주거 생활공간 5) 자녀수

2. 위생 환경의 수준과 위생에 대한 개인과 공공 기관의 인식은 어떠 한가...63 (1) 위생 환경 현황

1) 식수 2) 하수 시설 3) 화장실 4) 이

(2) 위생에 대한 개인적 인식 1) 용변 처리

2) 양치질

3) 몸 씻는 물

4) 식기 닦는 물

5) 식전 손 씻기

(12)

6) 하수 물 처리

(3) 위생에 대한 공공기관의 인식 1) 이에 대한 소독

2) 기생충 검사

3) 위생 교육 및 홍보

3. 의료 환경의 수준과 의료시설에 대한 활용도 및 선교병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70 (1) 의료기관의 근접도

1) 일반 병원 2) 약국

(2) 의료기관 활용도 조사 1) 일반 병원

2) 치과 3) 약국

(3) 의료기관에 대한 인식 1) 일반 병원

2) 치과

(4) 선교병원에 대한 호감도 조사 1) 일반 병원

2) 치과

(5) 단기 의료선교 팀에 대한 호감도 조사

(13)

4. 질병 예방에 대한 의식은 어떠한가...75

5. 영적 상태는 어떠하며, 기독교 및 교회에 대한 의식은 어떠한가.75 (1) 종교관과 천국/ 지옥에 대한 믿음과의 상관관계

1) 천국에 대한 믿음과의 상관관계 2) 지옥에 대한 믿음과의 상관관계 (2) 복의 개념에 대한 인식

(3) 불행의 개념에 대한 인식

(4) 전인격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인식 1) 인간 형성에 대한 개념

2) 인간 형성과정의 이해 vs 전인격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 (5)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인지도

(6) 교회에 대한 호감도 조사

(7) 기독교로의 개종에 영향을 끼칠 사람들의 현황 조사

(14)

감사의 글

논문 마무리 시점에 접하는 대통령의 캄보디아 국빈 방문과 앙코르-경주 세계 문화 엑스포 소식으로 내게 품어주신 그 땅을 사랑하시는 주님의 마 음을 공감한다.

이 모두를 운행하시는 하나님께 뜨거운 감사를 드린다.

언제나 든든한 영적 바람막이가 되어주는 분당 중앙교회와 평생의 동역자 인 남편에게 감사하다.

내 인생의 새로운 싹을 키워준 총신대와 교수님들에게 잊지 못할 감사를 드린다.

“이 모든 영광을 살아계시고 부족한 저희를 도구삼아 주신 하나님께 돌려 드립니다”

(15)

제 1 장 서론

본 장은 연구를 위한 서론이자 연구에 관련 된 여러 가지 사항 을 소개한다. 본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 연구 문제의 설정과 본문에 나오는 몇 가지의 용어 설명 그리고 연구를 위한 가 정, 한계, 중요성과 절차 등이 포함된다.

제 1절 연구 목적

평신도 신학의 선구자인 네덜란드의 신학자 헨드릭 크래머(Hendrick Kraemer)는 그의 저서 ‘평신도 신학’(A Theology of the Laity)에서 평신 도들을 교회의 “냉동된 자산들(Frozen Assets)"이라고 하면서 평신도는 교회 사역의 객체가 아니라 주체(김 성욱, 하나님의백성과 선교. 서울, 기 독 문서 선교회, 1988, p 9)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의 교회 지도 자 Elton Trueblood는 평신도를 잠자는 거인(a sleeping giant)으로 묘사 하면서 목회자이건 평신도이건 모두가 ‘거룩한 나라’의 ‘하나님의 백성’

(김 성욱. 총신대학교 선교 대학원 교제, 평신도 성경 신학, 2006 p3)으로 그 의미가 갖는 특수성과 따르는 역할의 사명의식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20세기 이 ‘흩어지는 교회’로서 평신도의 재발견은 그 크기나 박력으 로 16세기의 종교 개혁과 맞먹을 수 있다고 까지 평가하고 있다. 종교 개 혁이 하나님을 위한 참 교회 상을 회복하는데 있다면 평신도 운동은 세상 을 위한 참 교인 상을 회복하는데 있다(옥 한흠, 새로 쓰는 평신도를 깨운 다. 서울, 국제 제자 훈련원, 2006. p34) 개 교회의 축척된 인적 물적 자원

(16)

들이 특권과 더불어 맡은 책임자로서의 사명을 망각하고 세상일에 탐닉하 며, 교회 지도자들 또한 평신도에 대한 비전 제시가 없고 교회 조직의 기 능유지에 몰입되어 하나님의 부르심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면 하 나님께서는 초대 교회에서와 같은 고난, 핍박과 함께 억지로 흩어 복음이 증거 되게 하실 것이다.

오늘날 내 외부로부터 변화를 요청받고 있는 개 교회와 선교 사역의 부흥은 이 냉동된 잠자는 평신도들이 가진 무한한 자산 가치를 얼마나 효 율적으로 극대화시켜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성패가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 이 아니다. 따라서 평신도는 하나님의 소유된 ‘택한 백성’ 으로 각각 ‘거룩 한 나라’요 ‘왕 같은 제사장’ 으로서 어떻게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감당하 여 교회로 하여금 생명력을 가진 공동체로 나아가게 할 것인지 숙고하여 야 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영적, 육적 현황과 필요를 분석하고, 성경을 근 거로 하여 평신도 전문인 선교사로서 그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의료 를 통한 새로운 선교 전략을 모색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의료 선교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의 몸과 마음과 영 의 분리할 수 없는 통합체인 인간에게 포괄적인 치료를 제공하여 육체적인 질병은 물론, 정신적 사회적인 질병으로부터 회복함으로 창조 당시의 사회질서와 규율에로 회복하는, 전인치유 및 전 사회 치유의 의미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복음의 핵심이 되는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인간과 그 자신 의 자아와의 관계,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 등 여타의 것들과의 바 른 관계 정립을 통해 추구되어지는 여호와 샬롬의 성취 (사 32:16-20)를 용이하게 하는 탁월한 도구임이 분명하다. 이 샬롬의 구원 속엔 인간 개인의 영혼의 구원뿐 아니라, 복음에 대한 무지,

(17)

빈핍한 환경, 가난과 질병을 종식시키고 하나님의 공의로 평화를 유 지하며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고 보전하는 통전 적 의미에서 의 선교 사역이 포함된다.

건강한 육신과 함께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현지인들의 질병과 건강에 대한 인식이 변하지 않는 한 질병의 재발과 악 순환 은 계속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의료 선교를 행함에 있어 CHE사역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것을 캄보디아 현지인을 대 상으로 공중 보건과 예방에 대한 계몽 교육 방안을 검토할 것이며, 모든 사역의 초점은 복음 전도의 책임감당을 핵심으로 하여 현지 복음화 및 현지인 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고에서는 과거 소외되고 가난한 저들에게 투약과 치료 만으로 제한되었던 의료 선교의 방법에서 진일보 하여 캄보디아 내 병원 개척과 그 사역의 적절한 기준과 지침을 제안할 것이며, 나아 가 캄보디아 선교와 그를 위해 현지의 생활 정보와 사정을 알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유익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결론적으로 이질적이고 고립된 외국 사람의 외국인이 경영하는 병 원이 아닌, 현지인이 양육되어 현지인의 현지인에 의해 운영되는 병 원과 교회가 되어, 자체 재생산이 가능한 자생적 교회와 병원이 되 어 선교사가 떠난 후 에도 지속적인 유지와 가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제 2절 연구 배경

스님들의 축원 속에 태어나 죽어 절 마당에 안치되는 때 까지, 즉

(18)

요람에서 무덤까지 강한 불교문화와 우상 숭배에 젖어 사는 캄보디 아인들은 질병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신비적 안목으로 접근하며 주술적인 많은 치료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현재 캄보디아는 평균 수명 49.7세, 10만 명당 약 600~900명의 유아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다(양 승윤 캄보디아 라오스, 2005 p157).

이 통계는 현지의 보건과 위생, 의료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사실만으로도 현지 실상의 안타까움과 그 낙후 된 상황을 짐작 할 수 있다.

노동의 주공급원이 되는 여성의 50%이상이 빈혈 증세를 보이고 있 고 전 인구의 5%만이 깨끗한 식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현 지인의 건강 보호와 환경 개선은 시급한 현안이다. 따라서 선교병원 과 CHE사역은 현지인들을 교회로 인도할 수 있는 적절한 매개체 이며 교회 부흥의 가장 전략적인 접촉점이 될 것이다.

지금 캄보디아에 복음을 향해 두 팔을 벌리고 어서 와서 우리 를 도우라고 외치고 있는 무수한 새 마게도냐 인들이 있음을 여러 환경들을 통해 접하고 있다. 복음의 큰 빛을 지닌 한국교회와 성도 는 그들의 외침에 반응해야 하며 또한 복음을 나눔에 있어 더욱 적 극적이고 전략적인 사역의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교회 안과 밖으로 급물결을 타고 있는 캄보디아에 세상의 물 살을 앞질러 가는 복음이 되도록 하기 위해 보다 적절한 사역의 방 안이 시급히 모색되어져야 한다.

초창기 한국에서 서양 선교사들의 방법과 같이 가장 효과적인 복음의 접촉점으로서 병원과 학원사역의 탁월함은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 20 만 명에 이르는 신체 불구 장애

(19)

자(양 승윤, 캄보디아 라오스. 서울. 한국 외국어대학 출판부. 2004 p152)가 있으며 극한 의료 부재의 상태에 있는 캄보디아에 적절한 병원 사역, 그리고 국민 보건 향상을 도모하는 CHE사역과 그를 통 한 선교 전략을 모색하여 복음전파의 원색적인 책임과 함께 사회 문화적 책임을 감당하고자하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다.

제 3절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현지의 필요에 응하는 효과적인 CHE사역과 선교 복음 병원이 설립 될 수 있도록 하는 취지에서 시도되었다.

연구와 분석의 정확도와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에 거주하 는 캄보디아인들과 교재를 갖고 선교지 경험이 많은 선교사님들의 조언과 현장 정보를 수집하였다.

예상 밖으로 국내에 공개되어 있는 자료가 현격히 부족한 상황 이어서 연구자의 노력여하에 정보와 자료의 질이 달라 질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인은 메일을 통해 캄보디아 내 각 지역 선교사님 들의 조언을 구했으며 최근 정보를 얻기 위해 캄보디아와 국내의 여러 웹 문서를 비교하며 살펴보았다, 많은 기관에서 나름대로의 자 료를 제시하고 있으나 KOTRA 국가 정보의 자료가 국내 제공 자료 로는 가장 신뢰성이 있는 최근의 정보였다. 본 연구에서 의료 부분 의 정보는 캄보디아 Ministry of Health의 통계를 근거로 하였다.

먼저 캄보디아인들의 습관적인 생활 속에 드러나는 비위생적인 점들을 입체적으로 상세히 조사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실질적인 계몽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현지인

(20)

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100명분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글을 모르는 사람이 다수 포함된 관계로 많은 선교사님들의 조력이 필요 하였고 각 문항마다 설명과 함께 일일이 읽어주면서 설문을 해야 하기도 하였다.

제 4절 연구 질문

위의 연구 목적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을 사용 할 것이다. 이 질문은 자료 수집 을 위한 안내의 역할을 할 것이며, 자료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범주 로 사용 될 것이다.

아래의 세 가지 질문을 토대로 하여 캄보디아 지역 주민의 의 료 환경과 영적 상태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캄보디아의 선교병 원 설립 및 CHE(Community Health Evangelism), 그리고 현지인 의료인의 제자 화 사역의 실제적인 전략 수립을 제시하게 될 것이 다. 이런 소망을 가지고 캄보디아의 의료선교 사역 전략을 연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시한다.

연구 질문 1. 캄보디아 지역 주민들의 의료 환경 및 의료 기관에 관 한 인식들은 어떠한 상태이며, 그에 따른 선교병원의 설립과 전략은 어떤 방향으로 세워져야 하는가?

연구 질문 2. 캄보디아 지역 주민들의 보건 위생 및 질병 치료와 예 방에 관한 인식들은 어떠한 상태이며, 그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접촉 점으로 활용될 적절한 의료선교 전략은 무엇인가 ?

(21)

연구 질문 3. 캄보디아 지역 주민들의 영적 상태를 분석하며, 그들 에게 생존 가능한 토착적 교회개척의 기틀을 준비하기 위해 의료선 교는 어떠한 전략을 가져야 하는가?

제 5절 용어 해설

CHE(Community Health Evangelism);

의료 사역에서 개개인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질병을 퇴치하고 건강을 회복시킨다는 의미이다. 이 때 육신의 질병 만이 아니라 영적, 정신적, 신체적, 시회적인 질병이 그 치료의 대상 이 된다. 그러므로 의료 사역이라 해도 육적 질병만을 다루지 않고 사회적 문제(관습, 제도, 불균형)와 정치 경제적 문제를 함께 다루며 지역 사회개발, 여성, 아동, 노인 등 사회적인 소외계층의 문제까지 도 고려한다(총신대학교 선교 대학원 교제, 전문인 선교의 실체. 한 정국 p12)

평신도 전문인 선교사;

경제적, 정치적 이유가 아니라 절대 주권자이신 주님의 목적을 이루어드리는 사역으로 세상의 여러 가지 직업을 가지면서 그리스 도의 복음 전파의 기회를 가진 자들로 타 문화권에서 일하는 그리 스도인을 뜻하며 그 문화권에서 성직자는 아니지만 그의 헌신, 소 명, 동기, 훈련 면에서 분명한 선교사이다- Don Harrison.(김 성욱.

총신대학교 선교 대학원 교제, 전문인 선교의 전략과 프로그램 p4)

(22)

제 6절 연구 제한 범위

현지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역이 가능 하겠으나 CHE 사역과 현지 선교 병원을 통한 복음 전파 전략으로 본 연구범위를 제한한 다. 가능한 정확한 현지의 상황과 구체적인 여건을 알아보기 위해 모든 채널을 통한 정보 수집과 함께 설문 조사를 택하였다, 그러나 제한 된 설문을 통해 캄보디아의 의료 환경, 보건 위생 현황 전체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한국인으로서 한국에 거주 하면서 캄보디아에 현지 사역을 입 안한다는 부 적절함 속에서 설문지를 바탕으로 하여, 비슷한 상황의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의 선교 체험과 3차례의 캄보디아 단기 의료 선교 경험 을 중심으로 하여 복음전파의 목적으로 그들의 시급한 필요를 도우며 개선, 계몽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범위를 제한한다.

제 7절 연구의 중요성

동남아 최초의 제국문화, 인도차이나의 관문종족이자 Killing Field의 땅, 캄보디아는 현재 복음에 대한 Felt Need가 최고이며, 복음에 대한 수용성과 흡인력이 최고의 상태인 복음의 황금 어장 이요, 추수의 적기이다.

캄보디아에 기독교가 들어 간지 80년이 되었고, 한국인 선교사 가 들어간 지는 15, 6년 전이다, 약 220여명의 한국인 선교사(한인 선교사회에 가입 된 숫자)가 현재 사역 중이다. 이 중 70%정도는

(23)

교회 개척 사역이며 나머지 30%가 교육, 농업, 의료, 지역 개발 사 역을 하고 있다.(2006년 제 3회 교회 연합 캄보디아 전문인 선교 대 회 핸드북 p43). 현 정부의 정책 또한 자국에 이익을 주는 한 모두 를 환영하고 있어 많은 선교사들이 활발하게 사역중이며 다수의 선 교사 후보생이 주께서 펼치고 계신 추수의 시점을 놓치지 않기 위 해 그 뒤를 잇고 있다.

이러한 때에 교회개척과 교회의 안정된 성장을 지원하는 동반 자로서, 영과 육을 함께 보살필 수 있는 통전 적 사역자로서, 평신 도 전문인 의료 선교사의 활동이 시급히 요청되는 것이 캄보디아의 현실이다.

또한 랄프 윈터 박사는 선교사의 95%가 사역이 필요 없는 곳에 집중적으로 몰려있다 고 보고한다.(한 정국 총신 선교 대학원 미전 도 종족 교재, 2006, p86)

선교 인력의 중복투자와 선교사 재배치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 된 이 시점에서 캄보디아는 성령께서 직접 지원자를 모으시는 준비 된 땅 이 분명하며 나아가 인도차이나 복음화의 전략적 요충지로 하나님께서 한국교회에 주신 남은 산지임이 분명하다.

제 8절 연구 절차

이 논문은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의 제 1 장은 연구의 배 경과 목적, 문제 설정과 연구 질문 그리고 연구의 중요성이 포함된 다.

(24)

제 2장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데 첫째, 평신도 전문인 선교 및 의료 선교의 전반적인 이해 부분을 다루었고 둘째로 캄보디아의 총체적인 국가 현황과 필요를 알아보 았다.

제 3장은 , 본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 될 것인지 그 과정 을 제시 한다.

제 4장은 설문 조사 내용을 근거로 현지인의 건강과 그 의식, 문제점을 알아보고, 의료 환경을 분석한다.

또한 모든 자료와 정보, 그리고 설문 분석을 토대로 캄보디아에 필요한 평신도 전문인으로 효과적인 의료 사역에 대하여 최대한 현 실성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제 5장은 본 연구의 결론과 연구 요약, 그리고 다음 연구를 위 한 제안이다.

(25)

제 2 장 선행 연구 고찰

본 장은 기독 선교의 동반 기능으로서 선교 역사 속에서 다양 한 방식으로 조력 된 의료선교와 관련된 주제를 연구하였으며, 특히 본 주제가 추구하고자 하는 평신도 전문인 선교 사역으로서의 캄보 디아 의료선교 전략을 세우는 것과 관련성이 있는 연구를 고찰함으 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부분을 좀 더 명확히 하고자 한다.

본질적으로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의 평안 즉 구원과 치유를 함께 회복하는 통일성 있는 캄보디아 선교를 위한 선행 준비로, 위 생과 보건에 관련된 현지인의 생활습관과 주변 환경을 조사하여 봄 으로, 가능한 그들의 필요에 충족한 선교 병원이 설립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절 평신도 전문인 선교의 성경적 관점

선교명령은 예수께서 아버지의 뜻에 따라 선교사로 보냄을 받 으셨고, 또 선교사를 보내셨다는 성경적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요한복음 3장 17절에서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 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저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20장 21절에서는 “아버 지께서 나를 세상에 보내신 것 같이 나도 너희를 세상에 보내노라”

라고 분명히 이 사실을 밝히고 계신다. 이것은 모든 하나님의 백성 에게 적용되는 선교적 소명의 근거이자 선교적 책임을 맡은 성도의 역할이다.

(26)

(1) 평신도 전문인 선교의 모델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 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셨으매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빌 2;6-8)

하나님은 자기를 비워 인간의 몸을 입으시고 죄인 인간에게 찾 아오심(approach)으로 자기의 사랑을 실현하셨다. 성육신, 인간화 되 셔서(indigenization) 인간처럼 사심으로(contextualization) 인간과 더불어 온전한 사랑의 교제(communication)을 가지신 것이다.(박 영지, 최영일. 선교신학 개설, 서울, 성광 문화사. p43)

하나님의 본체이심을 포기하고 인간을 입고 오신 주님의 모습 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comfort zone에서 우리가 누리던 것들을 우 리가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않고 그들의 모습을 입고 그들의 삶 속으 로 들어가는 것이 선교신학의 기본이다. 예수님께서 그렇게 하셨고 또 우리를 그렇게 하도록 보내셨기 때문이다.

예수님의 생애는 구유에 태어나신 것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고 난의 길을 가셨다. 십자가 없는 부활, 고난 없는 영광을 말씀하시지 않으셨다. 선교사도 구유에 태어나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주님이 그러신 것처럼 고난의 길을 가야 한다.

예수께서 성육신하셔서 인간의 몸을 입으시고 오셔서 십자가를 지심으로 창조주 하나님과 죄인인 인간과의 인격적 사랑의 관계를 회복시키시고 부활 승천하셔서 돌아가심으로 구원 곧 영생을 완성 하심은 선교의 토착화 과정과 역토착화 과정의 모델이 된다.(선교

(27)

신학 개설 p44)

(2) 평신도 전문인 선교사의 역할

1) 씨 뿌리는 자의 비유 : 밭을 일구는 자

마태복음 13장 3-8절에서 천국의 속성을 가르치시면서 ‘씨 뿌리 는 자’의 비유를 들어서 교훈을 주셨다. 이 비유에는 밭과 씨와 씨 뿌리는 자의 세 가지 구성 요소가 등장한다. 이 세 가지 요소 중에 무엇이 문제이겠는가? 씨는 복음을 말하는 것이므로 문제가 될 수 없는 것이며, 씨 뿌리는 자는 복음 전도자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역 시 문제가 될 수 없을 것이다. 문제는 바로 밭이다. 씨가 떨어지는 곳으로 길가와 돌밭과 가시떨기 그리고 옥토 네 가지를 비유로 말 씀하셨다. 우리가 나아가야 할 땅은 길가와 돌밭과 가시떨기로 무성 한 곳으로서 좋은 씨를 뿌린다 해도 정상적으로 자랄 수 없는 곳인 것이다. 좋은 씨만 가지고 가서 뿌린들 무슨 열매가 맺을 수 있겠는 가? 먼저 이 황폐한 곳을 옥토가 될 수 있도록 먼저 가꾸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 옥토 위에 씨앗을 뿌린 후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성령 의 단비를 구해야하지 않겠는가? 평신도 전문인 선교사들은 곡괭이 나 호미 또는 낫을 들고 밭을 일구어 땅에 힘을 돋우는 작업부터 해야 할 것이다. 평신도 전문인 선교사들은 씨앗뿐만 아니라 하나님 의 은사에 따라 맡기신 밭을 일굴 잘 준비된 ‘전문인 선교사 도구함’

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 하나님께서 맡기신 도구인 각자의 전문성 과 기술을 가지고, 예수님의 모델을 본받아 자신을 비우며 그들과 동일한 위치로까지 내려가 오직 겸손과 섬김으로 ‘채워지지 않은 그 리스도의 고난’ (골 1:24)에 참예하여야 할 것이다.

(28)

2) 달란트 비유 : 전문성을 부여받은 충성된 종

마태복음 25장 14-30절의 ‘달란트 비유’에서 우리는 평신도 전 문인 선교에 대한 하나님의 관심을 볼 수 있다. 각각 그 재능에 따 라 하나님께서 맡기신 전문인으로서의 자신의 기술이나 전문성을 가지고 현지인을 그리스도의 제자 삼는데 최 우선권을 두며, 가능한 곳에서는 교회를 개척하고 견고하게 하는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 얼마나 성공적으로 충성 했는가에 따라 하나님께서는 악하고 게으 른 종과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 구분하신다. 성공하지 못한 전략은 결국 하나님께서는 악하고 게으른 종으로 구분 평가하실 것이다. 무 지한 열정만으로는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이며, 따라서 좋은 전략과 실력을 가지고 각기 맡기신 도구를 잘 활용하여 네 달란트, 열 달란 트로 최대한 배가할 수 있어야하는 것이다.

이처럼 실력과 전략, 충성과 성공은 서로 결합되어져서간다.

하나님께서는 착하고 충성된 준비 된 종에게 보다 큰 사역을 맡기 시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 계획에 지속적으로 동참시킬 것이다.

제2절 평신도 전문인 선교의 전략적 관점

(1) E-1 powerful but E-3 essential.

(Ralph Winter, 1974, 로 잔회의)

‘E-3’ 이란 완전히 다른 타문화권 내의 사람들에 대한 전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언어의 장벽과 생활 방식의 장벽을 넘어야 하며 또한 교회 문턱의 장벽을 넘어야 하는 타문화 선교사들의 현지인들 에 대한 전도 전략을 말한다.

(29)

'E-1'이란 교회 밖에 있지만 같은 문화권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전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교회 문턱의 경계선만 넘으면 되며, 현지인 지도자에 의해 현지인들을 전도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가장 효과적인 전도 전략은 E-1 전략이라 할 수 있다.

먼저 특별한 E-3 전도를 통해 문화적 장벽들을 넘어 새로운 공동체들을 만들어 열심히 복음을 전하는 강건한 조직을 설립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다음에는 현지인 지도자들이 정말로 효과적인 E-1 차원에서 그 일을 계속 수행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E-1 전도가 실행될 때까지는 외부로부터의 E-3 전도가 여전히 필 수적이고 매우 시급한 것이다.

(2) ‘그리스도를 향한 종족 운동’ (Mc Gavran)

맥가브란(Mc Gavran)은 네비우스의 삼자원리에 입각한 현지 교회가 존재함에도 종족 사회가 복음화 되지 못한 사례들을 비교 연구하면서 선교지 교회들을 선교사 중심의 교회와 문화가 주도하 는 교회개척 전략을 “선교기지 중심의 전략”이라고 한다. 종족적 연 관성을 계속 유지하는 교회에 관심을 갖는 전략을 “종족 중심의 전 략”이라고 구분하였다. 그는 후자에 의한 선교 전략의 필요성을 강 조하였다.

선교기지 접근법은 19세기와 20세기 초의 지배적인 선교 전략 이었으며, 회심 자들을 모아서 사회적 주류와 고립된 ‘거류 지구’ 혹 은 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서 그동안 모든 선교 전략 위에 군림해 왔다고 주장한다(도날드 맥가브란, 하나님의 선교전략, 한국장로교출 판사, p135).

(30)

종족 중심의 전략을 위하여 각 종족 집단 내에 있는 가족 및 친족 유대라는 ‘하나님의 다리’를 이용하라는 맥가브란의 고전적 요 청이 있다.

(3) 예수님의 선교 전략의 모델

예수님의 12제자의 소수 사람들에게 집중하셔서 예수님의 성품 을 닮게 하고 또한 재생산의 구조를 창출하여 모든 족속으로 제자 를 삼아 그들을 가르쳐 지키게 하며 땅 끝까지 이르러 증인이 되게 하신 전략에 초점을 맞추신 것을 모델로 한다, 즉 공동체 훈련을 통해 내부자 운동을 일으켜 현지인 지도자들의 삶의 구조를 개선하 는 것으로 그리스도인으로서 기독교적 덕목들을 실천하는 모범을 보임으로 현지인들이 사랑의 하나님의 존재를 신뢰하고 그럼으로써 그들의 삶이 바뀌는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3절 의료선교의 성경적 관점

(1) 선교의료 vs 의료선교

선교의료(Missionary Medicine)와 의료선교(Medical Mission)라 는 용어가 구별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선교의료는 선교를 하는데 있어서 성경적인 의료의 근간이 되는 신학과 철학 그리고 시술에 있어서의 윤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성경에 근거한 세계

(31)

관, 즉 하나님에 대한 이해와 인간에 대한 이해, 생명의 기원과 시 작, 건강과 질병, 그리고 죽음에 대한 이해가 전제된다. 의료선교는 문자적으로 의료를 통한 선교로서 전문인 선교의 한 종류를 지칭하 는 말이며, 의료선교의 성경적 기초를 다룰 때 선교의료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의료를 단순히 수단 가치로만 이해한다면 자칫 의료선교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인적 접근보다는 선교라는 목 표를 위한 의료를 미끼로 이용하는 영지주의적인 이원론의 틀을 가 지고 의료선교를 이해하게 되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선교의료든 의료선교든 그 대상자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 받은, 상처 받은 사람들이며, 이 사람들이 피할 수 없는 질병과 고 통, 죽음의 기원은 인간의 타락으로 인한 죄의 결과이다. 선교의료 의 궁극적 목표는 하나님의 화해와 사랑의 메시지를 통해 왜곡되고 일그러진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과 피조계의 모습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선교의료의 동기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인간 생명 의 고귀함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것이다.

(2) 의료선교의 성경적 정의

누가복음 4장 18-20절의 사명선언문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께 서 복음사역만을 위해서나 사회정의의 실천만을 위해서 오신 것이 아닌 인류의 전인적인 필요를 채우기 위해서 오셨다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성경이 말하는 건강은 신체적(physical), 사회적(social) 심리적 (psychological) 그리고 영적(spiritual)인 온전함(wholeness)를 포함

(32)

하는 전인적인 평화(shalom) 또는 조화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의료선교란 ‘하나님의 선교’(the mission of God)의 목적의 성취를 위해서 복음이 제시하는 구원에서 비롯된 전인적인 건강을 소유한 교회(성도)가 그 사회적, 문화적 장벽을 넘어 그 건강을 소유하지 못한 개인과 사회에 하나님의 구원과 건강의 실현을 목표로 해 수 행하는 의료(보건)적 활동’이다. (전 우택 외, 의료 선교학, 서울; 연 세 대학교 출판부, 2004. p85)

예수께서는 자신 스스로가 이러한 삶의 모범을 보이며 사셨을 뿐 아니라 열두 제자를 파송하시면서(눅 9:1-2) 귀신을 쫓아내는 힘 과 아울러 병을 고치는 능력을 주시고 하나님 나라를 전파하며 앓 는 자를 고치도록 명령하셨다. 아울러 70사도를 파송하시면서도(눅 10:1, 9) 병자들을 고치고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온 것을 선포하라고 명령하셨다.

예수 그리스도에게 치유사역과 귀신을 쫓아내는 사역은 복음 선포와 가르침에 부수적인 사역이 아니었다. 예수님은 복음전파의 기회를 얻기 위해 사람들의 필요에 접근하신 것이 아니라 인류의 필요 그 자체를 전인적으로 해결해 주기 위해서 사람들을 부르셨고 때로는 다가가셨으며 제자들을 파송하셨고 성도에게는 지상명령을 주셨다.

(3) 의료선교의 성경적 배경

1) 의료선교의 구약을 통한 성경적 배경

의료선교의 성경적 기초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신학적 교리로서

(33)

붙잡아야 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하나님의 인간 창조(The creation of human)' 교리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귀중한 진리들이 내포되어 있는데, 첫째로 의료선교의 주체는 인간 생명의 기원이신 창조주 하나님이시다. (창 1:1, 26-27; 2:21-25)

둘째로 의료선교의 영역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과 자연의 모든 생물들과 죄로 인한 타락으로 인해 야기된 병적 현상을 포괄 한다. (창 3:1-7, 15-24)

셋째로 의료선교의 목표는 하나님의 인간 창조 계시에서 드러 난 우리가 추구해야할 목표인 건강 즉 온전함(wholism)을 지시하고 있다. (창1:31; 2:23-25; 3:15)

넷째로 의료선교의 가치는 인간의 치유, 자연과의 화목, 인간의 타락된 하나님형상을 회복하게 하는 것이다. (창 1:26-27; 3:15)

다섯째로 의료선교의 적용의 영역은 인간이 치료되어야 할 질 병, 고통, 왜곡과 불합리 등 개인적, 사회적 질병은 물론이요 하나님 형상의 훼손을 가져온 인간의 영적인 타락으로 기인한 것들에 대한 치유이다. 여기서 전인적인(holistic) 의료선교의 절대성을 부여한다.

(창 1:1, 26-27; 3:15)

이상을 요약하면, 의료선교가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인간의 회복 과 건강은, 창조 때와 같이, 하나님과 같이, 사람과 사회와 자연환경 이 화해를 이루어 완전하고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어 생명력과 역 동감이 흐르는 상태이다. 따라서 건강은 모든 관계가 조화를 이루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기다리는 모습인 것 이다.

창조 교리 안에서 발견되는 의료선교의 성경적인 기초는 인류 의 타락 이후에 계시된 하나님의 구원 계획(창 3:15)처럼 우주적인

(34)

구속 계획 속에 전파된 천국 복음이 이 땅의 모든 인간들과 사회에 전달되며 예수님의 생애처럼 복음전파와 가르침, 그리고 치유사역의 통합적인 능력으로 이 땅에서 실현될 것이라는 약속이다.

출애굽기 15장 25-26절을 통해 하나님은 인간의 건강에 있어

‘치료자이시다’라고 선포하신다. 이 말은 곧 하나님이 건강, 질병, 치 료에 있어 궁극적인 권위를 갖고 계신다는 의미이다. 즉 의료의 최 종적이며 완전한 권위는 하나님이시다. 의료선교는 바로 치유자이시 고 의료의 최종적 권위이신 그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계시에 근거 를 두며, 의료선교의 목적은 하나님의 치유의 뜻을 성취하는 것이 요, 의료선교는 인간의 영과 육체를 구속하시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 을 위해 하나님이 사용하시는 거룩한 방편이다.

하나님의 구원은 인간의 영적 사망뿐 아니라 육체적 질병과 고 통을 함께 치료하는 통합적 구원이다. 이런 관점에서 의료선교는 단 지 육체적 질병을 치유하는 의료사역의 틀만을 갖고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선교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표인 하나님의 구원의 진리 를 의료와 같은 실증적인 수단과 유용한 도구를 통해서 현대 의술 의 과학적 탁월함까지도 그런 하나님의 선교의 목적에 유용하게 사 용되는 도구인 것이다. 하나님의 비전은 세계 열방의 구원이다. 그 열방을 위한 구원은 영육의 구속과 치료를 지향한다. 이런 치료사 역을 위해 의료선교는 유용한 신학적 실체요 하나님 나라의 치유 능력의 실증인 것이다.

2) 의료선교의 신약을 통한 성경적 배경

치유자의 원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인간의 모습으로 이

(35)

땅에 오심으로써 전인적인 존재로서의 본질적인 가치를 보여 주셨 을 뿐만 아니라 인간이 새 언약 아래서 회복되어야할 궁극적인 신 (新)인간으로서의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예수께서는 당신의 사역 전체를 통해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정서적, 영적인 고난과 그 치유에 깊은 관심과 행동을 쏟으셨다. 그리스도는 가장 무력하고 병 든 자들, 불구자들과 장애자들에 대해 진정한 동정과 배려를 아끼지 않으셨으며, 또한 개인 개인에게 무한한 가치를 부여하셨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제자들을 파송하며 분부한 명령에도 잘 반영되어 있다.

예수님께서 교회에 내리신 지상명령의 내용은 ‘가서 복음 전하 라(proclaiming gospel), 가서 가르치라(teaching), 가서 치유하라 (healing)'는 삼중적인 것이었다. 누가복음 4장 17-19절에 나타난 예 수 그리스도의 메시아로서의 사명에 대한 선포(Jesus' manifesto)를 보면, 예수님의 사명은 복음을 가르치는 교사, 천국복음의 선포 자, 영육의 질병을 치유하시는 치료자, 그리고 영육의 속박을 풀어줄 해 방자로 오셨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의료선교의 성경적 기초는 치유 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그 원형을 발견한다. 그런 그리스 도의 사역은 그리스도의 제자들과 그의 교회 위에 삼중적인 사명으 로 부여되어 이 지상의 교회의 선교 사명으로 전해진다. (의료 선교 학 93)

누가복음 24장 46-49절 말씀의 선한 사마리아인(Good Samaritan)의 비유에서처럼 선한 일에 열심이신 것과 사람들의 각 양의 약함과 질병을 고치신 예수님의 본을 좇아 많은 선교단체들에 의해서 의료선교는 시작되었고, 그 같은 실천은 이방인의 땅으로 많 은 의사들을 파송했으며 사람들의 질병들을 고침으로 그들의 애정 과 신뢰를 얻게 하였다. 그러면서 그 사람들의 마음들이 위대한 의

(36)

사이며 그들의 영혼의 죄의 질병까지도 치료하실 수 있는 예수 그 리스도에게로 향하게 되었다. (의료 선교학 95)

그리고 마태복음 9장 37 - 10장 1절 말씀에서 예수님의 치유사 역이 예수님 자신으로부터 예수님 이후의 시대에 부르심을 받는 제 자들에게 확장 위임되는 것을 보여준다.

마태복음 28장 18-20절의 소위 선교의 대위임령에서 예수 그리 스도는 모든 권세를 가지시고 그 권세 안에서 세상의 교회에 지상 명령을 부여하신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수님이 가지신 그 권세가 부여하는 선교명령을 수행한다. 그 권세는 모든 영역의 권세를 빠짐 없이 포괄하므로 치유의 권세를 갖고 지상의 선교명령을 주신 예수 님의 명령을 우리는 치유명령으로 이해한다. 또한 이 명령은 바로

‘의료선교명령(The mandate of medical missions)'이다. 그리고 의 료선교가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전인 구원을 위한 선교명령인 것이 다.

마가복음 16장 15-20절 말씀을 살펴보면, 복음전파명령(15절), 복음의 능력과 그 진실성을 확증하는데 있어 역사되는 믿는 제자들 에게 주어지는 성령의 은사들과 치유의 능력들(19절), 그리고 선교 를 그 제자들에게 위임하신 주관자이신 하나님(19절), 제자들의 구 체적인 순종과 실천들(20절), 그리고 이를 통해 일어나는 고침과 회 복의 역사로 빚어지는 하나님 나라의 말씀의 확장(20절)의 실증들이 일렬로 보고되고 있다. 믿는 자들에게 따를 것이라고 말한 표적들은 (19절) 성령의 은사들과 이적들이다. 이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치료 의 권세에 대한 실증이며, 현대의료를 매개로 환자들을 치료하는 현 대 의료선교가 겸허히 인식하여야 하는 진실이다. (의료선교학 97)

현대 의학은 하나님이 치유사역을 위해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는

(37)

능력의 한 방편이다. 지난 160여 년 동안의 근대 의료 역사는 의료 선교 명령에 순종으로 연구실에서, 병원과 클리닉에서, 지역 보건 현장에서 수많은 질병과 죽음의 현장에서 인간의 질병을 퇴치하고 생명을 구하는 치유자의 사명을 수행함으로써 생명의 복음을 전파 한 결과들을 만들어 왔음을 이야기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대로 합리적 실험을 기초로 발전한 과학인 현대 의료가 하나님의 복음전 파와 치유사역을 위한 선교 방식으로서 과연 타당한가에 대한 의문 을 던질지라도, 현대에도 여전히 하나님의 신적 능력에서 비롯된 은 사와 이적들로 질병의 치유가 일어나고 있으며 인간의 과학이 줄 수 없는 변화들이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다.

누가복음 10장 1-20절에서 예수께서는 70인의 제자들을 파송하 기 앞서 제자들이 행할 선교를 위해 교훈하시는 중에, “병자를 고치 고 또 말하기를 하나님의 나라가 너희에게 가까이 왔다 하라”고 말 씀하셨는데 하나님 나라가 임했다는 증거는 병자를 고치는 것이며 병자의 회복은 하나님 나라의 임박한 명백한 표징임을 말씀하신 것 이었다. 따라서 하나님 나라의 영생은 육체의 구속을 포함하는 것이 며 의료선교는 하나님 나라의 현현을 증거하는 표징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3) 의료선교의 성경적 최종 목표

요한계시록 21장 3-4절에서는 하나님의 세상에 대한 심판과 구 속이 완전히 성취된 후에 하나님의 구속받은 사람들과 그 세상이 맞이하는 하나님 나라의 완전한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모든 눈물 을 그 눈에서 씻기시매 다시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38)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 이러라. 보좌에 앉으신 이가 가라사대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 노라 하시고...” 이 말씀에서 하나님은 그리스도인이며 치유사역자인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제자로 선교명령(missionary mandate)의 거룩 한 부르심 가운데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최종적인 도착 지점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계신다. 의료선교의 목표점은 하나님의 구속 즉 하나님의 완전한 건강을 받는 것이다. 이는 우리가 이 세상에서 받 는 모든 종류의 영적, 육체적 고통과 죽음을 종식하는 것이며 그 인 간 존재의 측면에서 완전한 성화를 이루고 하나님 나라에서 하나님 과의 완전한 교제와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제4절 의료선교의 역사적 배경

한국은 세계 선교 역사에서 구술적인 복음 선포 일변도의 전통 적인 패러다임이 아닌 의료와 교육이라는 새로운 선교 패러다임을 통하여 전인적인 개발이라는 현재의 패러다임을 구축하게 된 실험 무대가 되었다. 알렌을 비롯하여 한국 땅을 밟았던 대부분의 선교사 들은 ‘학생자원운동(SVM)'의 영향 하에 성장하거나 이 모임을 통해 헌신하여 파송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복음적 영지주의’의 영향을 받아 선교와 의료를 이원화하는 전통적인 선교 패러다임 아래서 파 송되었지만 이들의 활동을 통하여 의료선교 분야가 새롭게 정립되 고 전인적인 개발사역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의료선교’라는 분야는 사실 알렌과 한국을 다녀간 많은 의료선교사들에 의해 개척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기독 의료 선교사, 이 만열)

(39)

1850년까지는 파송된 대부분의 의료선교사들은 사실 의사 출신 선교사였을 뿐 의료선교 분야에 헌신된 분들이 아니었고 따라서 전 문적인 의료선교사역이 개발된 것은 아니었다. 신학과정을 마친 뒤 문명의 세계와 동떨어진 곳에서 자신들이 생존하기 위하여 생존기 술로서의 의학을 공부하였던 것이다. 선교사들이 선교지에서 질병으 로 사망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자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선교사들 에 대한 의학적인 봉사를 제공하면서 의료선교사역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860년 리버풀 선교 대회에서 선교사역에 대한 보조사역 으로서의 의료선교를 인정하면서 의료선교사들은 보병이 진군할 지 역을 준비시키는 포병으로써, 본격적으로 복음을 전할 기회를 탐색 하는 미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의료선교사들에게 복음을 전파해서는 안 된다고 지침을 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선교사로 간주해서도 안 된다는 것을 동시에 주지시켰다.

이 후 의료선교사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영향력이 늘어나면서 의료사역 자체가 복음전파 사역을 위한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전반 적인 선교사역의 핵심적인 부분이라는 인식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인간의 육체적인 필요를 채우고 환자를 돌보는 것이 하나님 사랑과 상처받은 영혼들에 대한 관심의 살아있는 본보기로 인식하는 등 의 료선교가 선교의 전문 영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978년 국제보건기구의 알마아타 선언 이후로 일차보건의료, 지 역사회의료 및 공중보건에 대한 중요성이 더해지면서 치료의학보다 는 예방의학을 중심으로 한 활동들이 의료선교의 주요한 분야를 이 루게 되었다. (전 우택 외, 의료 선교학, 서울; 연세 대학교 출판부, 2004. p42)

또한 선교사역의 놀랄 만한 성장으로 복음의 자유로운 선포가

(40)

제한된 소위 창의적 접근지역이 늘어남에 따라 구술적인 복음 선포 와 교회개척을 주로 담당해 온 일반 선교사들이 전인적인 개발사역 과 전문사역을 통한 선교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이제 의료선교는 세계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전인적 개발사역의 핵심에 위치하 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의료선교가 가질 수 있는 신학적 근거를 제공한 계기는 1989년 마닐라 대회에서, 세계 선교를 위한 로잔(The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선언문에서 언급된 복음과 그 복음의 사회적 책임을 명시하는 부분을 통해서이다.

“예수께서는 하나님의 왕국을 선포하셨을 뿐 아니라 동시에 능 력과 은혜의 사역으로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보여 주셨다. 오늘날 우리에게도 비슷하게 말과 사역을 통합하도록 부르심을 받았다. 겸 손의 정신을 가지고 전파하고, 가르치며, 병든 자들을 위해 사역하 고, 배고픈 자들을 먹이고, 갇힌 자들을 돌보며, 불이익 당한 자와 장애인들을 도와주고, 억압받은 자들을 풀어 주어야 한다. 우리는 영적 은사와 부르심을 받은 자의 목표가 다양하다는 것을 인정하면 서 복음과 선한 사업은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러한 로잔 선언의 해석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의 의료를 통한 치유와 봉사 사역이 단지 복음이 필요한 자들에게 나아가는 수단으 로서만이 아니라 오히려 더 중요하고 포괄적인 점은 하나님 나라의 실증을 증거 해야 할 책임을 가진 활동으로서 선교들(missions), 특 히 의료선교를 이해하고 사역해야 함을 확인해 주고 있다. 의료선교 는 주어진 많은 수단이나 방편 중의 한 가지 선택으로서가 아니라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진 이 세상에 대한 사회적 책임으로 서 그 중요성이 막중한 것이다. (전 우택 외, 의료 선교학, 서울; 연

(41)

세 대학교 출판부, 2004. 의료선교학 p100)

제5절 의료선교의 목적과 유용성

(1) 의료선교의 목적

복음을 전하든, 교회를 개척하든, 제자훈련을 실시하든, 배고픈 자를 먹이고 병든 자들을 치료하든, 모든 선교사역의 목적은 하나님 의 영광을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 하는 일이다(행 1:8, 고전 10:31). 그리스도를 증거 하겠다는 진정한 의도가 없는 모든 행위는 선교가 아니다. 의료 행위는 마음의 문을 여는 매우 중요한 열쇄이 지만 복음의 씨앗이 없이 믿음의 싹은 나지 않을 것이다. 의료선교 의 목적은 사랑과 봉사를 넘어 의료사역을 통해 예수님의 사랑을 전해 줌으로써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 하는 것이다.

(2) 의료선교의 유용성

영적 공허감으로 고통 하는 사람들을 위해 복음을 처방전으로 들고 나섰던 내과 의사 출신의 로이드 존스(D. M. Loyd Jones)목사 의 지적대로 아무리 시대상황에 변화가 오고 의학이 발달하여도 질 병은 있어왔고 있을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의사는 영원한 동반자일 수밖에 없다. 인간이 가장 약해져 있는 순간 그의 곁에 맨 먼저 달 려가고 그와 접촉할 수 있는 특권이 의사에게 있다. 의사는 단 몇 분의 순간, 그러나 가장 중요한 시간을 허락받고 생명의 그릇을 조

(42)

심스럽게 치료하면서 그의 최상의 선물로 회복을 약속하고 위로의 메시지를 줄 수 있다.

의사가 던지는 말, 한 순간의 동작은 환자에게 구원의 복음이 된다. 환자가 입을 열어 자신의 아픔을 호소할 수조차 없는 중증 환 자일지라도 의사는 그와 대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사는 일상적 언어 없이도 전도할 수 있는 유능한 전도의 도구이기도 하다.

국가의 정치적 목적이나 종교적 가치 때문에 모든 전도자들의 발길이 묶일 때에도 의사는 행동의 제한이나 구속이 없는 유일한 신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선교 적 차원에서 무한한 잠재력을 가 진 의료계는 그 효과적인 면에서 거대한 보고이다. 더구나 전통적인 선교개념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평신도들이 선교의 주체로 떠오르는 가운데 의료를 필요로 하는 지역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의료 라는 도구는 선교에 있어 가장 유용한 가치를 지닌 자원이라 할 수 있다.

(3) 의료선교의 유익 및 약점

1) 의료선교의 유익

의료선교는 육체적인 질병을 치료해 주며, 편견을 무력화 시키 고 선한 의지를 불러 넣어준다. 또한 그리스도인의 긍휼히 여기는 마음을 보여주어, 변화로 이끌어 주며, 교회의 위신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Patrick Johnstone에 의하면 2세기 이전의 단 4%만이 도시화되어 있던 것이 1900년이 되자 이 수치는 14%로 늘어났으며, 2000년에 51%가 도시화가 되었으며, 2100년이 되면 불과 10%정도

(43)

만이 농촌에 거주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예수 전도단, Mission Perspective, p301) 이와 같이 도시화가 급증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도시에 집중하는 도시 빈민들을 향한 영적전투 현장에 의 료선교 만큼 효과적인 사역은 없을 것이다.

2) 의료선교의 약점

의료선교는 대도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상류층에 집중되어 사역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충분히 질적으로 준비된 의 사를 훈련시키는데 실패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추후관리를 하는 데 실패할 수 있다. 또한 지역 교회의 적극적인 파터너 쉽이 무너질 때 후원과 기도협력을 얻어내는 데 실패하고 선교 본래의 목적이 상실 될 수 있다.

3) 효과적인 의료선교 사역을 방해하는 문제들

효과적인 의료선교 사역을 방해하는 첫 번째 문제는 의료 사역 은 그 자체가 육체적 필요에 주안점을 둔다는 것이다. 환자는 자신 의 육체에만 신경을 쓴다. 의사는 환자의 육체에 신경을 쓴다. 그런 상황에서 환자가 영적 필요를 생각하기란 힘든 것이다. 의사나 간호 사가 비록 이야기를 한다 해도, 환자들은 육체가 치료되면 선교병원 을 떠나고 그들이 그곳에 왔을 때보다 영적 필요에 대한 자각을 더 느끼지 못한다.

둘째로 의료사역과 사회활동에 있어서 또 다른 문제는 약한 그 리스도인과 약한 교회가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44)

셋째로 병원을 포함한 선교 프로젝트가 그들 주변에 있는 교회 의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가난한 나라에 선교 사들이 가져 온 부의 부패된 영향이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선교사 가 섬기고 프로그램이 단순할지라도 선교사가 쏟아 붓는 돈과 물질 은 장학금과 직업을 얻기 위해 기대하는 현지인들의 눈에는 엄청난 것이다. 그들은 선교병원 중의 다른 프로젝트에서 직업을 얻고자 하 는 희망을 품고 신학교를 다닐 수도 있다.

의료 사역에 있어서 네 번째 문제는 선교사들의 의술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므로 영적 사역을 위한 시간이나 정력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의료선교를 방해하는 다섯째 문제는 의료선교는 비싼 비용이 든다는 것이다. 선교 사업의 제 1의 목표인 하나님과 화해하는 사람 을 만들기 위한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비교적 효과적이지 않다. 제 한된 선교 기금과 인력이라는 면에서 보면 이 요소는 전적으로 무 시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선교사의 역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현 지인들에게는 선교사들이 주인으로 의사는 고용주로서 인식되어지 게 된다. 이것은 영적 열매를 맺음에 있어서 매우 심각한 걸림돌이 된다.

제6절 의료선교 사역의 다양성

(1) 의료를 통한 선교 방법

의료선교의 실제 사역도 마찬가지로, 여러 해를 거치면서 초기

(45)

단독 진료 형태에서 병원 사역, 의학 교육 그리고 지역 사회보건을 통해 선교하는 형태로 변해왔다. 이런 변화가 필연적으로 하나는 과 거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오늘날 혹은 미래의 형태라는 것을 의 미하지는 않는다. 이 모든 사역들이 모두 중요하며 오늘날에도 적용 이 가능한 것들이다. 그러나 의료 선교는 이런 형태를 취해야 한다 는 고정 관념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1) 선교병원과 의학 교육

선교병원이 시골에 있든지 대도시에 있든지 그것은 문제가 되 지 않는다. 병원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전형적인 선교 병원이 란 환자들이 사랑으로 치료받고 예수 그리스도께 영광을 돌리는 곳 이어야 한다.

모든 선교병원에는 전도 프로그램이 있다. 전도 프로그램이 없 다면 선교의 효과는 현저하게 감소될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선교병 원들은 여러 가지 수준의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많은 선교병원들이 그 나라에서 건강 교육을 최초로 실시했다. 한국의 세 브란스 병원은 좋은 결실을 맺은 선교병원 및 학교의 한 예가 되었 다(전 우택 외, 의료 선교학, 서울; 연세 대학교 출판부, 2004. 의료 선교학 p 244)

2) 단기 의료선교

일반 신자들의 단기선교가 급속도로 성장한 것이 현대 선교에 있어서 괄목할 만한 발전이다. 그러나 아직도 단기 선교의 정의에서

(46)

부터 시작하여 그 목적과 비용의 효율성 등을 따라 비판적인 견해 도 많다. 이런 비판은 단기선교 참가자들의 업적에 대한 잘못된 기 대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단기선교의 진정한 가치를 그들이 이룩한 업적에 둘 것이 아니라 ‘참가자들이 변화하는 것, 참가 교회가 변화 하는 것, 현지 선교사들을 돌보는 것’에 가치를 두어야 한다(전희근, 1997, 265)

3) 자비량 의료선교

자비량하는 사람들은 바울과 같이 직업을 가지고 타문화권에서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사역을 감당하는 선교사들이다. 자비량 선교사 에는 두 부류가 있다. 첫 번째는 사역하는 현지에서 후원을 받는 경 우를 말하고, 두 번째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자신이 모든 것을 조달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의사인 데이빗 반 레켄(David Van Reken)은 자비량 의료선교사들의 대부분이 두 번째 그룹에 속할 것이라고 했 다.

4) 다른 다양한 의료사역

의과대학의 교수, 간호대학의 교수나 조교로, 약사, 임상병리사, 정신건강사업, 구강 보건 사업, AIDS 사역, 의대생 및 수련의 교육, 다른 선교사의 건강관리, 의료지원을 통한 다른 선교사의 사역 돕기 등이 있다.

(47)

(2) 지역 사회 보건 선교

통계에 의하면 제 3세계의 질병 중 80%는 청결 유지, 깨끗한 식수의 제공, 위생 상태 개선, 그리고 저렴한 예방 접종을 통해 사 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들이다.

개발도상국가에 있어서 충격적인 사실은 전체 국민의 60% 내지 90%가 제대로 된 의사들을 만날 수 없다는 것이다. 슬픈 것은 40,000 명의 어린이들이 예방 가능한 질병으로 매일 죽는다는 사실 이다. 이 아이들 중에 98%가 개발도상국에 속해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개발도상 국가들에서는 활용 가능한 의료 인력과 자금의 대 부분이 전 인구의 5% 내지 10%의 사람들을 치료하는 병원에 투입 되었다. 이런 치료 혜택은 병원비를 낼 수 있는 비교적 적은 수의 사람들과 걸어서 병원에 갈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국한 되었다. 대부분의 제 3세계 국가들에서는 의료 인력의 80%가 도시 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인구의 80%는 시골 지역에 살고 있다. 대부 분의 의원이나 병원들 역시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또 하나의 문제는 의료 전달체계로서 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주 민들에게 어떻게 제공하느냐 하는 것이다. 제 3세계 농촌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문제는 의료기관까지 가는 것이 어렵다는 것 인데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의료서비스가 사람들이 사는 지 역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1979년 세계 보건기구는 이 엄청난 의료 불균형의 문제를 다루 기 위해 소련의 알마아타에서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결과 알마아타 선언을 하게 되는데 이 계획은 치료의학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질병 예방의 원칙을 가르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 해결책은 훌륭

(48)

해 보였지만 문제가 있었다. 즉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가르쳐 주기 는 했지만 어떻게 하면 그곳으로 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지 못했던 것이다.

1)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질병 예방, 건강 증진 교육과 더불어 어떻게 하 면 풍성한 그리스도인의 삶을 누리고 나눌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

을 교육받은 마을 주민들에 의해 운영된다. 치료보다는 예방을 강조 하고 있다. 여기서 지역사회 보건 요원들은 주민들이 찾아오기를 기 다리는 것이 아니라 가정으로 주민들을 방문한다. 건강 교육, 전도, 양육 및 제자 훈련이 마을 동료들의 집에서 이루어진다. 지역 사회 보건에서 사람들을 중앙 기구로 부르지 않고 지역으로 찾아가서 건 강서비스를 제공한다.

2) 일차 보건 관리(Primary Health Care)

건강관리는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이들 모두가 중요하게 다루 어져야 한다. 건강관리의 두 가지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계획하고 상부에서 지시하는 치료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지역 사회 주민들이 참여하고 계획하는 진료소 이외의 또 다른 하나가 필요하다.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건 강관리(Community-Based Health Care)는 일차 건강관리의 바깥 쪽 절반에 해당된다.

특징적으로 일차 건강관리(Primary Health Care)는 훈련받은

참조

관련 문서

• 인간중심주의가 인류문명을 치유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있다는 인식 하에 환경자체 의 권리를 어디까지 인정하느냐를 중심으 로

기업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기업 전략 수립 및 기술전략(하위전략)의 우선순위와 자원배분 결정. 기업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획득 등)

지금까지 한국 농식품은 주로 중국의 대도시와 2선도시를 중심으로 유통・판매되어 왔으나 농촌 산업 발전을 통해 농촌 주민 의 소득증대가 가속화되면 고품질의

인구통계적 특성의 구성은 김채령 (2009) 이 연구한 벨리댄스활동이 중년여성 의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 , (2011) 이 연구한 중년여성 우울

, 유의한 정 (+) 의 영향을 미쳤고 다른 중소기업과의 협력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대기업과의 협력은 유의하게 부정정인 영향 , , 을 끼치는

다양한 수치를 적용한 로버를 구동해 보고, 팀원간의 논의 를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수정 결과는 팀원간의 논의를

STEAM 교육 프로그램 적용 단위 연구 (Research Unit Team) 구성 : STEAM 인재 양성 교육 프로 그램을 경험한 후 학생 팀 스스로 STEAM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STEAM 융합

이에는 적법행 위로서의 법률행위․준법률행위가 있고, 위법행위로서의 채무불이행과 불법행위가 있다... 사단법인은 사람이라는 구성원이 필수요소이고 사단법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