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활환경의 수준은 어떠하며, 행복지수에 영향을 끼치 는 요인들은 어떤 것들인가

(1) 직업

기타 7%

무직 57%

직업 있음 36%

모르겠다 7%

대체로 행복 41%

매우 행복 5%

불행 47%

6 % 4 2 % 4 9 % 3 %

5 % 5 1 % 3 6 % 8 %

1 4 % 4 3 % 4 3 %

직 업 있 음 무 직 기 타

매 우 행 복 대 체 로 행 복 불 행 모 르 겠 다

전체 지역민들의 57%가 무직 상태였으며,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들과 불행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비율은 서로 비슷한 수준이 었다. 직업을 가지고 있는 그룹에서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비율 이 직업이 없는 사람들보다 약간 더 높았다.

(2) 월수입

40-80불 17%

80불 이상 2%

40불 이하 29%

없음 52%

9%

49%

36%

6%

7%

63%

22%

8%

25%

75%

50%

50%

없음 40불 이하 40-80불 80불 이상

매우 행복 대체로 행복 불행 모르겠다

월수입이 없는 사람들이 52% 으며, 80불 이상 월수입이 있는 사람들은 불과 2% 정도였다. 월수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운 데 42%에서는 행복한 편이라고 느끼고 있었다. 삶의 만족도를 월수 입과 관련하여 볼 때 월수입 40불 이하의 그룹에서 대체적으로 불 만족하였으며, 월수입 40-80불의 그룹에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11%

59%

24%

6%

21%

79%

50%

50%

월수입 없음 40불 이하 40-80불 80불 이상 직업이 있음

매우 행복 대체로 행복 불행 모르겠다

4%

50%

38%

8%

11%

63%

13%

13%

50%

50%

월수입 없음 40불 이하 40-80불 80불 이상 직업이 없음

매우 행복 대체로 행복 불행 모르겠다

또한 직업이 있든지 없든지 상관없이 월수입 40불 이하의 그룹에서

대체로 불만족하다고 느끼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3) 학력

4 6 % 3 0 % 2 1 % 3 %

1 0 % 2 8 % 2 8 % 3 0 % 4 %

직 업 있 음 직 업 없 음

대 학 교 졸 업 고 등 학 교 졸 업 중 학 교 졸 업 초 등 학 교 졸 업 기 타

직업이 있는 사람들 가운데 고학력으로 갈수록 그 비율이 감소 하였으며, 직업이 없는 사람들 가운데 중학교 이상 졸업자들이 62%

나 되었다. 조사 대상자의 93%가 초등학교 이상을 졸업했으나 문맹 률이 약 50%에 달하는 현실을 볼 때 총체적인 부실을 엿볼 수 있 다.

4 7 % 3 4 % 1 9 %

4 2 % 3 9 % 1 9 %

5 2 % 2 4 % 1 6 % 8 %

5 0 % 2 5 % 2 5 %

1 0 0 %

초 등 학 교 중 학 교 고 등 학 교 대 학 교 기 타

8 0 불 이 상 4 0 - 8 0 불 4 0 불 이 하 수 입 없 음

학력별로 구분하여 볼 때 각각의 그룹에서 대체적으로 절반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수입이 없었다. 초등학교 졸업자들 중에서도 40-80불 정도의 비교적 고소득층이 19%로 나타났다.

1 1 % 3 3 % 2 4 % 2 8 % 4 %

3 9 % 3 6 % 2 1 % 4 %

3 8 % 3 1 % 2 5 % 6 %

1 0 0 %

없 음 4 0 불 이 하 4 0 - 8 0 불 8 0 불 이 상

대 학 교 고 등 학 교 중 학 교 초 등 학 교 기 타

소득별로 구분하여 볼 때 각각의 그룹에서 초등학교 졸업자들 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40-80불의 고소득층에 서도 초등학교 졸업자들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수입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에서 중학교 이상 졸업자들이 56%나 되었다.

3 % 4 1 % 4 7 % 9 %

4 8 % 5 2 %

1 6 % 4 0 % 4 0 % 4 %

7 5 % 2 5 %

3 3 % 5 0 % 1 7 %

초 등 학 교 중 학 교 고 등 학 교 대 학 교 기 타

모 르 겠 다 불 행 대 체 로 행 복 매 우 행 복

초등학교 졸업자들 중에서 행복한 편에 속한다고 응답한 사람

들이 44%나 되었다. 초, 중, 고등학교 졸업자들에서는 비교적 절반 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행복한 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대학교 졸업 자들에서는 불행하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75%나 되었다.

(4) 주거생활 공간

도 시

그 이상 7%

방 3개 15%

방 2개 19%

방 1개 59%

농 촌

방 3개 6%

그 이상 2%

방 2개 20%

방 1개 72%

주거 생활공간은 대체로 1개의 방에서 가족들이 함께 살고 있 었으며, 도시에서보다 농촌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6%

13%

13%

68%

20%

80%

100% 100%

방 1개 방 2개 방 3개 그 이상

도 시

5명 이상 4명 3명 2명

9%

7%

14%

70%

31%

8%

61%

100% 100%

방 1개 방 2개 방 3개 그 이상 농 촌

5명 이상 4명 3명 2명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방의 개수와 상관없이 대체로 5명 이상 의 가족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특히 방이 한 개뿐인 가정에서조차 5 명 이상이 함께 거주하는 경우가 약 70%나 되었다.

(5) 자녀수

도 시

1명, 57%

4명 이상, 15%

3명, 21%

2명, 7%

농 촌

3명, 38%

2명, 12%

4명 이상, 23% 1명, 27%

도시에서는 한 명의 자녀를 둔 가정이 57%를 보였으나, 농촌에 서는 그 반대로 3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정이 61%로 훨씬 더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86%

14%

100%

50%

50%

50%

50%

1명 자녀 2명 자녀 3명 자녀 4명 이상 도 시

생각없다 출산 안 하겠다 출산 하겠다

91%

9%

100%

83%

6%

11%

82%

4%4%

1명 자녀 2명 자녀 3명 자녀 4명 이상 농 촌

생각없다 출산 안 하겠다 출산 하겠다

네 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정에서도 임신을 하게 되면 출산하 겠다는 경향이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농 촌에서 82%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 위생환경의 수준과 위생에 대한 개인적 혹은 공공기관의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