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oholy=Nagy:Documentary Monographs in Modern Ar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Moholy=Nagy:Documentary Monographs in Modern Art"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199199199199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

서 희 정 서 희 정 서 희 정 서 희 정****

목차

서론 .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 ‘

라이팅 으로서의 빛의 조형

. (Lighting)

빛과 공간의 조절기 와 에서 보는 빛의 조형 1.< > <LIS>

표면처리로서의 라이팅

2. (Lighting)

표면처리에 관한 개념적인 배경 (1)

라이팅 에 의한 표면처리

(2) (Lighting) 결론

.

서론서론서론 서론 ... .

모흘리나기(Moholy-Nagy, 1895 ~1946 ) 년 는1920년대경에 일어난 동부유럽의 구성주 의의 영향을 받은 예술가 바우하우스의 교육자 신즉물주의사진, , 1)을 구현한 사진가 키네,

일본 쓰꾸바대학교 대학원 예술학연구과 박사과정

*

모흘리나기는 인간의 눈과 달리 보여질 수 있는 카메라의 특수한 기술적인 가능성에 의한 미적재 1)

현을 시도하였던 신즉물주의 사진의 문맥에서 논의되어왔다 신즉물주의란 새로운 풍경을 찾아내. 어 사진으로 기록한다기 보다는 기존의 것들에 대해서 렌즈와 앵글에 변화를 주는등 사진테크닉에 변화를 주어 물체를 재발견하여 촬영하는 것이다. 1925년 바우하우스 시절의회화 사진 영화, , 라고 하는 그의 책은 러시아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아왔던 화가로서의 모흘리나기의 위상을 신즉물 주의 사진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부상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이어, 1929년 월 독일의 슈투트가르6 (Stuttgart)에서 열린 영화와 사진< (Film und Foto)>전시를 통해서 신즉물주의 사진가로서 대 외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회화 사진 영화 는 신즉물주의 사진의 교과서와같이 다양한, , 사진테크닉의 기법에 의해서 인간의 시야를 넘어 촬영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들을 작품예와 사진에

(2)

200 200200

200 미학 예술학 연구· 20

틱라이트아트의 선구자로서 알려진 인물이다 산업사회가 시작된 무렵 빛과 동력을 새. , 로운 조형표현의 재료로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당시 러시아아방가르드를 중심으로 한 동구유럽 구성주의의 특징이었으며 따라서 모흘리나기가 산업사회라는 새로운 사회에 걸, 맞는 새로운 조형재료로서 빛과 동력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당대의 흐름을 탄 자연스 러운 경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산업사회를 배경으로 주목되기. 시작한 조형재료로서의 빛을 작품화하고 이론화하였던 모흘리나기만의 특징과 의의란‘ ’ 무엇일까?

바우하우스에서 기초조형교육을 담당할 무렵부터 모흘리나기는 새로운 조형재료로서 빛 에 주목하였고 그 시각적 효과를 자신의 테마로 발전시켜 나갔다 그는 빛을 공업화된 사. ‘ ’ 회에 걸맞는 새로운 조형재료로서 여겼으며 빛을 이용한 시각효과를 조형표현으로서 어떻, 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가를 회화 무대장치 사진 영화 키네틱조각 등등 매체를 넘나들, , , , 며 실험적으로 탐구해왔다.

모흘리나기에 관한 연구는 그가 바우하우스 교사로서 활동을 시작할 무렵인1920년대부 터 현재인2004년에 이르기까지 새롭게 해석을 거듭하며 꾸준히 지속되어 오고 있다 특히. 모흘리나기의 조형표현에 관한 주된 연구의 경향은 모흘리나기의 구성주의적인 배경에 관 한 미술사적인 연구와 그의 사진경향에 관한 연구로 크게 두 방향으로 보여진다 모흘리나. 기와 구성주의와의 관계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는 시빌 모흘리나기(Sibyl Moholy-Nagy) 로 인간의 객관

“Constructivism from Kasimir Malevich to Laszlo Moholy-Nagy)”(1966)

적인 감각에 응하는 표현을 추구하는 구성주의의 흐름을 소개하면서 빛의 양상과 그에 따 른 시각효과를 표현하는 모흘리나기의 표현을 구성주의 맥락으로 위치지우고 있다 또한 바. 바라로즈(Barbara Rose)“Kinetic solutions to pictorial problems: the films of Man Ray 은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지는 시점을 카메라장치로 찍어내어 표 and Moholy-Nagy”(1971)

현하는 모흘리나기의 사진과 영화를 미술표현에 있어서 큐비즘적인 개념과 같은 것으로 논 하면서 회화표현의 연장선상에서 그의 사진과 영화를 해석하였다.

이와 같이 모흘리나기에 관한 연구는 그의 사진의 기계적 시각 2)을 테마로 하는 그의 작

대한 그의 이론을 통해서 소개한 것이며 인간의 눈을 통해서 보여지는 것이 아닌 카메라의 시각, 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면서 소위 잘못된 촬영에 의한 사진을 예로 들고 있다 그는 이와 같은 시각 . 을 새로운 시각 (The New Vision)’을 정의하였으며 이제까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던 대상들이, 독특한 원근법 클로즈업등 사진기의 가능한 기술적 능력들로 재발견하여 제시하였다, .

(3)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201201201201

품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져 왔으며 이와 같은 경향들은 동부유럽의 구성주의 영향하에서, 해석한 것이 대부분이였다.

년대에서부터 주로 사진을 중심으로 소개되고 연구되어왔던 모흘리나기의 연구경향 1920

에 비해서 그의 사진이 일괄되게 정리된 것은 1980년에 간행된 Andreas Haus Moholy-Nagy: Photographs and Photograms가 최초이다 이는 모흘리나기의 사진과 빛. 의 조형에 대한 관심이 운운되어지는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된 것은 비로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사사해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경향을 볼 때, 1920년대에서30년대에 주로 활동해온 모흘리나기 의 작품경향을1980년대부터 혹은1990년대부터라는 현대의 시점에서 되집어 보고자 하 는 것은 빛과 동력을 이용한 그의 실험적 표현이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표현을 추구하고 있는 현대미술을 바라보는데 근본적인 출발점을 시사해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사진은 빛의 조형이다 3)라고 말한 그의 표명을 기반으로 단순히 신즉물주의 사진과 구성주의 영향하에서 해석되어져 왔던 모흘리나기의 조형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모흘리나기의 조형이론의 중심을 이루는 빛이란 물감으로 표현해 오던 기존의 표현에서‘ ’ 공업화된 산업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표현을 성립시키는 주된 조형재료를 의미한다 이와 같. 은 모흘리나기의 개념은 “From Pigment to Light”4)혹은 “From Painting to the Display of Light"5)라고 하는 그의 이론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의하면 시각예술에서 기술적.

2) 모흘리나기의 1925년 회화사진영화 에서 그가 언급한 사진적 시각의 가지 변화는 사진표 8 현의 고전문법과 같이 정리되어 소개되어지고 있다 그의 사진적 시각의 가지변화란 첫째 빛에. 8 , 의해서 창조되어진 형태를 직접 인화지에 기록하는 추상적관찰 포토그램 법 둘째 물체의 외관을( ) , 정확하게 관찰하는 르포르다쥬 셋째 단시간에 운동을 정착하는 관찰 스냅샷 법 넷째 노출시간을, ( ) , 길게하여 운동하는 물체를 느린 속도에서 관찰하는 법 다섯째 마이크로사진 휠터에 의해 사물의, , 형태를 강조하는 관찰법 여섯째 렌트켄사진을 통해서 투시하여 사물을 보는 법 일곱째 다중노출, , 등에 의한 동시적 관찰법 여덟째 프리즘이나 렌즈 반사경을 이용하여 왜곡되어 보여지는 시각이, , 있다.

3) ‘사진은 빛의 조형이다 라고 함은 사진과 빛에 관한 조형이념을 적은 모흘리나기의 논문제목이자 그의 이론적 명제이다 사진은 빛의 조형이다 는. ‘ ‘Fotografie ist Lichigestaltung’라는 독일어본으 1928년에Bauhaus vol2, no.1에 발표하였다. Lichigestaltung이라 함은 일본어번역본에 의하면

후카가와 마사후미 번역 그리고 영문의 경우는

光の ’ ( バウハウッスの写真p.84),

번역

‘Creation with light’(Krisztina Passuth ,

Moholy-Nagy

,p.302)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본 논문. 은 바우하우스의 기초조형교육의 시점에서 빛을 테마로 하여 이용해 나간 그의 사진작업을 고찰 하고자 하므로 개념의 고찰을 위하여 빛의 조형이라는 번역용어를 제시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 4) Moholy-Nagy, “From Pigment to Light”, in: Richard Kostelanetz(ed),

Moholy=Nagy:Documentary Monographs in Modern Art

, New York: Allen Lane, 1970, p.30.

(4)

202 202202

202 미학 예술학 연구· 20

영역의 발전을 수용하여 표현하는 것은 시각언어를 발전시키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 고 언급한다. 6)

본 연구는1922년을 모흘리나기의 개념의 발생한 원점으로 하여 그의 작품연구와 구체적 인 차문헌을 통해서 그가 빛을 조형적으로 어떻게 개념화하고 이론적으로 소화해내고 있1 는가를 구제척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922년이라 함은 모흘리나기가 헝가리아방가르드 활 동을 접고 베를린에 망명하여 발달된 공업도시의 환경에 감명을 받고 그의 평생을 두고 탐 구해 나간 빛을 이용한 조형표현을 시작한 시기이며 본 연구는 모흘리나기의 이론서와 작‘ ’ , 품을 검토하는 과정에서1922년을 기점으로 빛의 조형개념이 발생하게 된 것을 발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에 대한 개념적 검토는 새로운 조형재료로서의 빛에 대한 지대 한 관심을 갖았던1920년대의 동부유럽의 아방가르드 미술경향 속에서 유독 모흘리나기만 이 사진을 중심으로 테크놀로지 아트의 선구자로 지목되어져 오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증명 해주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대미술에서 테크놀로지에 의한 새로운 조형재료. 로서 등장한 빛과 그 표현에 대해 역사적인 위치를 부여하면서 빛과 동력을 이용하여 계속 하여 전개되어 가고 있는 현대미술의 양상을 바라보는데 있어서 개념적 기반을 제시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

.

모흘리나기가 화가로서 출발한 것은 제 차세계대전에 참전하여 병원에 요양생활을 하던1 년에서 년 사이이다 그는 차대전후 헝가리행동주의를 기반으로 의 활동을

1915 1917 . 1 , MA

하면서 화가로서의 지반을 다지기 시작했다.7) 1918년에서1919년에 모흘리나기가 발표한

5) Ibid, p.33.

6) 예를 들어 유화표현이 물감과 붓이라는 도구를 생산하는 기술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 것처럼 사 진의 발명이후 광학기구의 기술적인 발전은 빛을 이용한 표현이 시각예술에서 주목할만한 표현으, 로서 도래하게 될 것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7) 모흘리나기는 헝거리에서 오스트렐리아에 망명하기 전까지 헝거리의 아방가르드그룹인, MA와 긴 밀한 교류를 통해서 화가로서의 인생을 시작하였다 그의 초기회화작품도. MA그룹의 활동과 전람 회를 통해서 소개되기 시작하였으며 헝거리 아방가르드그룹인, MA그룹과의 관계속의 초기 모흘

(5)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203203203203

작품은 주로 기하학적인 패턴을 추상적으로 그린 헝가리의 전원풍경이였다 도판 은. [ 1] 1919 년 그가 화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할 무렵 발표한 작품으로 빛을 염두해 둔 시각효과가 나‘ ’ 타나있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판

[ 1] Moholy-Nagy, <Composition with colored stripes>, 1919

그의 저서인 뉴비젼 어떤 예술가의 요약 에 실린 기계테크놀로지의 영향 에 의하 : 면 모흘리나기가 빛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 1922년경 베를린에 망명하여 당시의 독일 의 발달된 공업환경에 영향을 받은 이후이다 다음은 모흘리나기의. 뉴비젼 어떤 예술가: 의 요약 에 실린 그의 회상록의 일부이며 그가 빛을 자신의 조형표현에 활용하게 된 결정 , 적인 계기를 보여준다.

나는 베를린에 갔다 이 시기의 나의 그림은 대부분 산업적인 베를린의 풍경에 영향을. 받음을 나타내고 있다 기계에서 빠져나온 부품조각을 모아 나의 기계테크놀로지의 설...

명을 위하여 제시하였고 이는 예전에 비해 훨씬 새로운 구조물로서 보여졌다 이윽고, . 이러한 부품을 나의 그림에 출현시켰다 나는 산책하는 도중에 기계부품인 스크류나. 볼트 등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것들을 평면의 캔퍼스에 점착시키거나 못을 박아 콜라쥬

리나기의 활동에 관해서는 이구치토시노씨의헝거리 아방가르드:MA와 모흘리나기(東京: 년 에 자세히 논의되고 있다 이구치씨의 연구에 따르면 모흘리나기의 예술사상은 헝가리행

,2001 ) .

동주의에서 시작하였으며 행동주의는 제 차세계대전후인, 1 1915년 라오슈카삭(Kassak Lajos

이 편집한 잡지 행동 과 그 후 이름을 바꾸어서 출간된 오늘 을

1887-1967) A TETT ( ) MA( )

기반으로 전개해나갔다.

(6)

204 204204

204 미학 예술학 연구· 20

작업을 하였다 소묘와 색채에 결합시켜 만든 이와 같은 구성물은 실제로 기계부품에. 빛이 닿게 되자 어떤 회화표현을 위한 구성보다도 살아있는 듯이 물체위의 색채가 밝 게 빛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8)

이와 같이 모흘리나기의 활동에 있어서 헝가리행동주의를 시작으로1921년에 빈을 걸쳐 년에 베를린에 망명하는 과정은 그의 빛의 조형개념이 형성된 중요한 시기이다 금속

1922 .

부품들을 이용하여 콜라쥬로 작업한 화면은 금속부품의 표면에 빛이 닿게 되자 실제로 반 짝이며 밝게 빛나게 되었고 모흘리나기는 그 순간을 포착하면서 빛을 이용한 새로운 표현, ‘ ’ 에 대해서 생각해 낸 것이다.

따라서1922년은 모흘리나기의 조형이론에 있어서 중심이 되는 빛의 조형개념이 발견된 해로서 위치지울 수 있을 것이다 그는 같은 해에 빛의 회화라고도 명명하는 인화지위에 빛. 을 반응시켜 나타내는 포토그램작업을 시작하였고 회화작품에도 색광이 겹쳐질수록 밝게 보여지는 가산혼합 현상을 염두해 둔 듯한 표현들이1922년을 기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 . 이러한 경향을 뒷받침하여 주듯 1922년에 발표된 생산과 재생산 이라는 논문에서 그는 포토그램과 빛에 관한 그의 조형실험의 (Production-Reproduction)」

정당성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년후인. 1 1923년에는 년간의 빛에 관한 조형실험을 통해 형성1 된 그의 빛의 조형개념이 정리된 논문 빛 조형표현의 매체 - (Light-A Medium of Plastic

를 발표하였다 Expression) .

도판 에서 보았던 년의 작품과는 달리 년후인 년에서 부터는 아방가르드정

[ 1] 1919 , 3 1922

신에 관한 논의나 헝가리의 전원풍경에 관한 작업이 아닌 빛이 가진 조형적인 가치를 탐‘ ’ 구하는 작품과 논문들을 발표하기 시작한 것이다 즉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을 중심으로. , 한 영상기술을 표현의 계기로 이용하는 그의 작업경향의 전환점이 시작된 것이다.

미술표현에 있어서 빛은 서양의 고대종교미술과 관련된 신비와 영혼을 의미하는 것이였 으며 교회의 스탠드글라스의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줄기는 인간의 신성을 은유적으로 표현, 한 것이었다 그러나 모흘리나기가 바라본 조형재료로서의 빛은 반사 흡수 투과등의 성질. , , 을 가진 물질적인 재료로서 빛이 물체에 닿았을 때 빛에 의해 물체는 어떻게 변화되어 보이 는가 이와 같은 밝기의 변화를 새로운 시각효과로서 인지하고 조형원리로서 위치지워보고,

8) Moholy-Nagy,

The New Vision

, ,ザ ニュ ヴィジョン ある: ,ダヴィッ ,1961, p.151.

(7)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205205205205

자 하였다 이와 같은 그의 노력은. 1922년에 빛과 포토그램에 관하여 처음 씌여진 생산과 재생산」9)이라고 하는 논문을 시작으로 그의 말년까지 끊임없이 논의를 거듭하고 있다 특. 히 생산과 재생산 은 테크놀로지에 의한 새로운 표현을 왜 시도하려고 하는가에 대해 논 의한 것이므로 빛의 조형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새로운 표현을 탐구하는 그의 시작을 지 지하듯 보여진다.10)모흘리나기에 있어서 생산이라는 개념은 지금까지 의식해보지 않아왔 던 인간의 감각에 새로운 자극을 줄 수 있는 조형표현을 의미하며 재생산이라는 것은 이 미 알고 있는 것을 다시 재현하여 재인식시키는 표현을 의미한다 모흘리나기가 바라보는. 예술의 기능이란 인간의 감각기관에 감수성을 최대한으로 확대시켜 개발시키는 것이며 새, 로운 조형표현을 창조하기 위하여 실험적인 표현을 계속하여 만들어가는 것이다 또한 새로. 운 조형표현이란 전문화되기 이전에 인간이 종합적으로 갖고 있었던 감각을 회복하고자 하 는 본능에 의거한 것이다 그리하여 모흘리나기는 음을 재현하는 축음기 화상을 재현하는. , 사진이나 영화를 재현의 장치로서가 아니라 테크놀로지 그 자체로 간주하여 이들의 기술적 인 메커니즘을 이용한 새로운 표현을 발견해 낼 것을 제안했다 따라서 모흘리나기의 생산. 적인 행위란 새롭게 개발된 테크놀로지의 기술적인 잠재성을 새로운 조형표현으로 이끌어 내어 만드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빛이 물체에 닿았을 때 물체는 어떻게 보여지는가라는 질문을 기초로 사진의 감광판에 남겨진 빛의 흔적 이른바 포토그램은 감광재료에 빛이 닿아 보여지는 화면구성과 밝고 어, 두움의 섬세한 변화가 나타나 있다 빛의 밝고 어두움의 변화를 빛의 조형의 기초적인 조. 형적 가치로 바라보면서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면서 여러 가지 실험을 추구하기 시작한 것 이다.

년에 베를린의 공업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탐구되기 시작된 빛의 조형개념은 같

1922

은 해에 발표된 생산 재상산 이라 논문을 시작으로 새로운 감각에 자극을 주고 호소하는 -

9) Moholy-Nagy,

Produktion-Reproduktion

, , 」『, バウハウスの写真, pp.80-81.

10) 인간은 기능적기관이 종합되어 조직되어 있다 즉 인간을 구성하는 기능적 기관이 그 기능의 . 한계까지 의식하여 훈련될 때 가장 완전하게 된다 예술은 이러한 훈련을 행하고 그리하여 이직. , 알지 못하는 것과 이미 알고 있는 것의 시각적 청각적 그리고 다른 기능의 현상과의 관계에 의해, , 서 최대한으로 확대하여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여 기능적 기관에 의해 느껴지는 감 수성을 심화하게 하는 것이다 즉 인간의 기능적인 기관이 끝없이 각각 새로운 감수성을 근거한. , 인상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특징이다 그리하여 새로운 조형실험을 영원히 계속할 수 있게 하는. 이유가 된다.” (Moholy-Nagy, , , p.80)

(8)

206 206206

206 미학 예술학 연구· 20

새로운 표현을 생산해 내는 행위로서 그의 말년까지 계속하여 추구해 나가게 된다 .

라이팅 으로서의 빛의 조형

라이팅라이팅 으로서의으로서의 빛의 조형빛의 조형

라이팅 으로서의 빛의 조형

. (Lighting)

.. (Lighting)(Lighting)

. (Lighting)

빛과 공간의 조절기 와 에서 보는 빛의 조형의 상징적 표현 빛과 공간의 조절기 와 에서 보는 빛의 조형의 상징적 표현 빛과 공간의 조절기 와 에서 보는 빛의 조형의 상징적 표현 빛과 공간의 조절기 와 에서 보는 빛의 조형의 상징적 표현 1.< > <LIS>

1.< > <LIS> 1.< > <LIS> 1.< > <LIS>

모흘리나기의 최초의 관심은 여러 재료로 구성된 물체에 빛이 닿음으로서 물체의 표면이 생기있고 밝게 빛나는 현상이였다 유리나 금속의 표면에 비추어진 빛을 관찰하고 물체가. , 투명일 경우는 투과 반투명의 경우는 뿌옇게 확산되며 금속표면의 경우는 반사되어 보여지, 는 빛의 현상을 하나의 조형원리로 위치 짓고자 하는 것이 빛의 조형에 대한 그의 주된 관 심인 것이다.

특히1922년에서부터 제작을 시작하여1930년에 완성한 파리국제건축전에 출품한 빛과<

공간의 조절기(Light-Space Modulator)>11)[도판 는 빛의 조형에 관한 그의 관심이 집약2] 되어 있다. <빛과 공간의 조절기 란 도판 와 같은 형태로 높이> [ 2] 151센티 폭, 70센티의 구 성물로 플라스틱 유리 금속망 금속판 스크류등의 부품을 이용하여 구성된 금속조각이며, , , , , 중심에 회전축이 있어 각각12도씩 세방향으로 내어붙은 날개가 복잡하에 엮여져 구성되어 있다 모터에 의해서. 35초간에 회전의 운동을 하며 동시에1 , 12도씩의 세방향의 회전축을 가진 날개가 작동하여 세방향의 날개에 붙은 부품들도 중심회전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천천 히 움직인다 빛과 공간의 조절기 는 기계위에 빛을 투사하였을 때 투사된 빛에 의해서. < >

공간에 빛을 비추는 프로젝터와 같은 기능을 한다 그리하여 금속망 금속판등등 불규칙하. , 게 엮여진 구조물에 닿은 빛에 의해서 주변 공간에는 빛과 그림자의 다양한 패턴이 나타나 게 된다 물체에 닿은 빛이 동그란 구멍을 통해서 투과되거나 금속판부분에 부딪혀서 반사. 되거나 하여 기계의 회전에 따라 계속하여 움직이고 바뀌어 가면서 공간위에 빛과 그림자 의 패턴들이 그려진다 이것은 빛과 공간의 조절기 라고 하는 작품의 조형원리이며 동시. < >

11) 영어본으로서<Light-Space Modulator>로 명명되고 있는 그의 작품에 대해서 빛과 공간과의 상호관계를 조절하는(Modulate)것이므로 일본어번역본에서는 <光空間 ( )> 라고 번역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빛과 공간의 조절기 라는 번역어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 > .

(9)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207207207207

에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의 일반적인 표현원리이다 빛과 공간의 조절기 가 금속으로 . < >

만들어져 있는 기계조각의 부분에 빛을 내리비추어 공간벽에 다양한 빛과 그림자의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과 같이 포토그램 또한 다양한 형태의 물체에 빛을 비추었을 때 빛과 그림 자의 변화가 인화지위에 순간적으로 고착된 것이다.

도판

[ 2] 빛과 공간의 조절기< (1922-1930)에서 보는 조형표현의 원리12)

년에 그려진 라고 하는 유화작품에도 이와 같은 모흘리나기의 조형적 발상이 1922 <LIS>

12) 왼쪽: <빛과 공간의 조절기 의 개념도 중간> , : <빛과 공간의 조절기 사진 오른쪽 빛과 공간의> , :<

조절기 를 찍은 영화> <Light Display, Black and White and Gray>(1930-32)의 시퀀스사진

(10)

208 208208

208 미학 예술학 연구· 20

나타나 있다. 1921년에 그려진<Gray-Black-Blue>1922년에 그려진<LIS>의 비교를 통해서 그의 빛의 조형개념의 발상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

도판

[ 3] Moholy-Nagy, <Gray-Black-Blue>(1921)<LIS>(1922)의 비교

와 닮은 배경에 빛을 비춘 것과 같은 효과가 표현되고 있

<LIS> <Gray-Black-Blue>

다 둥근 부분의 색조는 배경부분 보다 한 톤 밝게 채색되어 마치도 화면에 직접 빛을 비춘. 것과 같이 보인다 이와 같은 표현은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이 물체의 표면에 닿아. 밝게 빛나는 효과를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판

[ 4] El Lissitzky, <Proun G7> (1923)

(11)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209209209209

당시에 구성주의자를 시작으로 아방가르드 예술가들도 기계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표현 에 관심을 갖고 빛 유리재료 운동 부유성 양감등을 이용한 표현을 해왔다 특히 유리재료, , , , . 를 이용하거나 면과 면이 겹쳐져 개의 면이 투명하게 비추어져 보이는 효과 도판 는 구성2 [ 4]

주의표현의 특징 중 하나였으므로<LIS>에 나타난 둥근 원의 표현 또한 단지 면과 면이 겹쳐져 보이는 구성주의 표현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하는 해석을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앞. 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1922년에 빛의 개념을 포착하기 시작하였다는 그의 어록과 포토그 램을 비롯한 빛의 조형에 관한 조형실험이 같은 해에 시작되었다는 점을 볼 때 , 1921년에 그려진<Gray-Black-Blue>과 닮은 배경에 그려진1922년의<LIS>의 둥근 원의 밝은 색조 표현은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이 시작되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단언하 여도 무방할 것이다.

표면처리로서의 라이팅 표면처리로서의 라이팅 표면처리로서의 라이팅 표면처리로서의 라이팅

2. (Lighting) 2. (Lighting) 2. (Lighting) 2. (Lighting)

표면처리에 관한 개념적인 배경 (1)

모흘리나기가 빛을 조형표현으로서 최초로 주목한 것은 물체에 빛을 비추었을 때 밝게 빛나는 물체의 표면을 발견하였을 때이다 물체에 빛을 비춘다는 것은 라이팅 . (Lighting) 라고 하는 프로세스이며 빛이 비추어진 물체는 그 형태에 따라서 가장 밝게 빛나는 하이라, 이트에서부터 섬세하게 변해가는 회색빛을 거쳐 가장 짙은 검은 그림자에 다다르게 된다.

빛의 조형을 통해서 얻어지는 조형적 가치란 빛에 의한 밝기의 변화

(the most subtle

differentiations of values)13)에 있으며 빛에 의해서 보다 밝게 보여지는 표면은 에너지를, 받아 살아있는 듯이 보여지는 표면 (a grater animation of surface)’14)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양상은 예를 들어 빛에 반응하는 인화지에 나타난 빛의 모습을 담은 포토그램

13) "the most subtle differentiations of values in both the gray and chromatic scales;

differentiations that represent a new and (judged by previous standards) hitherto unattainable quality in optical expression", Moholy-Nagy, "A New Instrument of Vision:What is Optical Quailty?", in: Richard Kosteraletz(ed),

Moholy-Nagy:Documentary Monographs in Modern Art

, Praeger Publishers, p.51, 1970. written in 1932 and originally published in

Telehor

(Burno,1936)

14) Moholy-Nagy, "A New Instrument of Vision: What is Optical Quailty?"1970., p.50.

(12)

210 210210

210 미학 예술학 연구· 20

도판 왼쪽 회화작품에서 채색되어 밝게 빛이 비춰지듯이 보여지는 둥근 원의 표현 도판

[ 5- ], [

빛이 물체에 닿는 순간을 찍은 사진작품 도판 오른쪽 를 통해서도 물체에 따른

3:<LIS>], [ 5- ]

밝고 어두움의 변화가 표현되고 있음을 공통되게 확인할 수 있다.

빛의 효과를 조형화 하고자 하는 모흘리나기의 관심은 그의 작품에서뿐만이 아니라 구체 적으로 조형이론 안에서도 이론적으로 위치를 부여하고 있다 이것은 그의 저서 재료에서. 건축으로 에 실린 일반요소론을 위해서 15)[ 1]표 와 재료의 조직구성에 대한 전문용어 16) 를 통하여 조형요소로서의 빛의 위치를 이론적으로 설정해놓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 히 일반요소론을 위해서에서는 라이팅 (Lighting)에 의한 재료의 표면처리 빛을 이용한 색, 채와 착시표현이 빛의 조형으로서 취급되어져 있다 .

도판

[ 5]Moholy-Nagy,<Photogram>,1929.(왼쪽 학생작품) / , Light Modulator17)(오른쪽)

15) Moholy-Nagy, v

on material zu architektur

,宮島久 , から , , 1992, p.192.

16) 모흘리나기는재료에서 건축으로 라는 그의 책에서 재료의 조직구성에 대해 가지로 나누어 4 각각 전문용어를 만들어내어 분리하고 있다. 4가지 조직구성이란 구조 스트럭쳐 도판( )[ 6], 텍스쳐 도판 표면처리 팍투라 도판 퇴적 도판 이다 구조란 바꿀 수 없는 재료의 조직구조로서 모

[ 7], ( )[ 8], [ 9] .

든 재료는 이와 같은 불변의 조직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은 결정성구조를 가지며 종이는 섬. , 유질 구조를 가진다 텍스쳐란 외부의 유기적인 영향에 의해서 표면의 변화가 일어 만들어진 표면. 결이다 표면처리 팍투라 란 재료의 외부에서 어떤 물리적인 힘을 가해 표면의 결을 변화시키는 것. ( ) 을 말한다 금속판에 망치로 두들겨 만든 표면의 흔적모양 강력하게 갈아서 만든 미끈한 표면결등. , 이 그 예이다 여기에서 모흘리나기는 거울에 비친 영상 반사 색채굴절등과 같은 빛의 현상변화. , , 를 빛에 반응하는 인화지표면에 그 흔적을 남겨놓는 것을 표면처리 팍투라 로 위치지우고 있다 퇴( ) . 적이란 재료들의 규칙적이로 리드미컬하게 쌓여져 보여지는 전체적인 표면결과 같은 것을 말한다.

17) 모흘리나기는 빛이 물체에 닿을 때에 보이는 명도의 변화를 관찰하는 감각훈력의 하나로서 장1 의 하얀 종이를 접거나 자르거나 굽혀서 보여지는 밝고 어두움의 현상을 관찰하는 법을 제안하였

(13)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211211211211

[ 1] 일반적인 조형요소론을 위해서

도판

[ 6] 구조 [도판7] 텍스쳐 [도판8] 표면처리 [도판9] 퇴적

으며, Light Modulator라고 불렀다 학생이 종이를 자르고 굽혀서 만든. Light Modulator를 찍은 사 진 도판 오른쪽 와 모흘리나기의 포토그램작품 도판 왼쪽 을 비교해보면 두 작품 모두 물체의[ 5- ] [ 5- ] 형태에 따라 빛이 표면에 닿았을 때 변화되어가는 밝기의 변화를 염두하여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요소의 조직화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 .

기존의 형태 1.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 생물공학적인 형태

새롭게 만들어낸 형태 2.

자유형태

새로운 형태는 다음과 같은 근거에 의해서 제작된다

* .

측정관계 황금분할 여러 프로포션

1. ( , )

위치 측정가능한 각도( )

운동 속력 방향 이동 관통 교차 신축 결합 침투 상호침투( , , , , , , , , ) 재료의 표현적인 가치

2.

구조 텍스쳐

표면처리 퇴적( ,

팍투라 팍투라 팍투라 팍투라

)

빛 색채 착시

빛 색채 착시 빛 색채 착시 빛 색채 착시

3. ( , )

3. ( , )

3. ( , )

3. ( , )

형태의 관계가 가지는 효과

*

콘트라스트 1.

편향 2.

변형 3.

병치 a.

회전 b.

반영 c.

(14)

212 212212

212 미학 예술학 연구· 20

빛을 새로운 재료로서 주목한 모흘리나기의 관심은 철 유리등 공업화된 소재를 이용하, 여 새로운 표현가능성을 탐색하기 시작하였던 당시의 러시아아방가르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1908년의 네오프리머티즘에 이어1920년의 구성주의 의해서 정점에 달 한 러시아아방가르드의 활동은 공업화를 재촉하였던 러시아의 현실을 배경으로 하고 있 다 이들은 프랑스의 큐비즘 이탈리아의 미래주의 영향을 수용하여 사실을 재현해 왔던. , , 전통적인 회화대신 색채 빛 재료 텍스쳐 구성 공간 운동이라고 하는 조형요소와 그, , , , , , 상호관계에 의한 시각효과를 테마로 구성표현을 추구하였다.

특히 블리디미르 타틀린(Vladimir Tatlin)의 재료의 문화라는 철학이 1914년경 발표되 어 러시아구성주의의 중심적인 개념으로서 지지받게 된다 재료의 문화라는 논의에서 타. ‘ 틀린은 재료가 가진 물질적인 성질을 반영하는 형태를 창조해야하며 형태를 만들어내는, 재료의 그 독특한 물질성과 그에서 느껴지는 에너지를 팍투라(Faktura)라고 이름하고 예 술에 있어서 새롭게 추구해야할 점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와 같은 팍투라의 문제를. 회화의 평면을 이루는 표면(surface)의 성격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18) 타틀린이 주목한 회화평면이 가진 표면의 물질성에 대한 개념과 빛이 물체의 표면에 닿았을 때 변화되어 보이는 표면의 시각효과에 관심을 둔 모흘리나기의 조형개념은 모두 표면이라는 공통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모흘리나기의 조형개념은 타틀린을 중심으로 한 러시아아방. 가르드의 영향하에서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러시아아방가르드에 있어서 구성주의. 에 이르기까지의 조형에 관해 연구한 막달레나 다브로스키 또한 표면의 텍스쳐에 대해 논하고 있다 막달레나에 의하면 콜라쥬에 의해 캔퍼스의 표면에 붙여진 재료들의 텍스쳐. 에 대해 관심이 촉발된 것은 큐비즘부터이며 러시아인들은 이것을 한층 더 깊이 진행하, 여 캔퍼스의 표면의 텍스쳐 그 자체를 새로운 예술표현의 대안적인 역할로 상승시켰다고 언급한다.19)

따라서 물감을 두껍게 화면에 칠함으로서 캔버스의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되고 울퉁불퉁, 한 텍스쳐에 의하여 붓으로 그려진 형태는 빛에 반사되어 부유하듯 보여진다 표면의 텍스. 쳐는 회화의 부수적인 효과가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새로운 조형요소로서 무게를 두기 시 작한 것이다 붓에 의해 다양하게 칠해진 물감과 평면위에 드러난 텍스쳐는 필촉에 따라서.

18) Margit Rowell, "Vladimir Tatlin: Form/Faktura",

October,

vol.7, winter, 1978.참조 19) Stephanie Barron& Mauice Tuchman(ed)、

The Avant-Gard in Russia:1910-1930

,

,ロシアアヴァンギャルド;1910-1930 ,リブボ ド,1982, p.70.

(15)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213213213213

다채롭게 빛을 반사하게 되고 이와 같은 효과는 러시아구성주의자들에 있어서 새로운 예술, 을 위한 주된 조형요소로서 각광받게 된다 캔버스 평면위에 그려진 필촉의 다양한 모습에. 따라서 다양하게 빛이 반사되어져 보이는 효과는 모흘리나기의 물체에 빛이 비추어질 때 보여지는 표면위의 변화된 시각효과와 개념적으로 공통된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이다. 20)

즉 표면과 표면위에 남겨진 필촉의 물질성에 대하여 부차적으로 여겨오던 종래의 예술 개념은 러시아아방가르드를 통해 매체의 물질성에 대하여 새롭게 자각하고 독립된 조형요 소로 주목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향은 예를 들어 러시아아방가르드의 주요 인물. 인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콤포지션 흰색위의 흰색 등의 작업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말레< - > . 비치가 말하는 흰색위의 흰색의 의미란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흰 캔버스에 직접 빛이 비 추어질 때 흰 표면위에 실제로 빛이 반사되어 반짝이는 것을 주제로 한 것이다 모흘리나, . 기는 “Problems of the Modern Film: The Optical Sphere-Picture Production, or the

라는 그의 논문에서 빛의 형태 가 만들

Morphosis of Light?"(1932) (the morphosis of light) 어내는 시각적 효과에 대하여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콤포지션 흰색 위의 흰색 을 예를 들< - >

어 논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말레비치의 작업의 맥을 이어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모흘리나기는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콤포지션. < - 흰색 위의 흰색 에서 보여지는 하얀 표면에 빛이 닿는 순간 반사되어 보여지는 빛의 움직>

임을 시각예술에 있어서 물감에서부터 빛으로 전환되어가는 경향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인 작품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은 표면의 텍스쳐에 빛이 닿아 보여지는 다미나믹한

20) 러시아아방가르드의 경우 캔버스 표면위에 발라진 물감들의 필촉에 의해 울퉁불퉁해진 캔버스의 표면에 빛이 비추어졌을 때 반사되는 빛의 현상에 주목하면서 빛을 반사해서 보여지게 하는 표면 의 텍스쳐를 조형요소로서 지목한데 비하여 모흘리나기는 물체의 표면에 반사되어져 보여지는 시, 각효과를 주는 빛을 조형요소로서 지목하였다 그러나 모흘리나기가 물체의 표면에 빛이 닿았을‘ ’ . 때 보여지는 빛의 물리적인 성질을 그의 중심된 조형개념으로 포착한 것은 캔버스의 표면텍스쳐의 물질성에 의해서 반사되는 빛의 움직임에 주목한 러시아아방가르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부 인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그는 물체에 빛이 비추어질 때라는 현상을 사진제작에 있어서 라이팅 (Lighting)이라는 과정 으로 활용하여 인화지표면위에 비추어진 빛의 흔적의 다양한 변화 물체의 표면이 밝게 빛나보이, 는 현상 칼라사진의 경우 역시 물체색이 표면의 물질성에 의해 다양하게 드러나는 현상을 주목하, 여 그 시각효과를 주제로 작품을 제시하였다 사진과 빛에 관련된 이와 같은 프로세를 모흘리나기. 는 라이팅(Lighting)을 통한 물체의 표면처리로서 기초적인 조형훈련의 한 과정으로 제안하게 되 는데 이에 관해서는 다음의, ‘(2)라이팅(Lighting)에 의한 표면처리에서 구체적인 작품예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16)

214 214214

214 미학 예술학 연구· 20

빛의 움직임에 주목한 러시아구성주의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빛을 물체에 비출 때라고

, ‘

하는 라이팅(Lighting)과정을 자신의 빛의 조형개념의 성립을 위해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 시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팅 에 의한 표면처리 (2) (Lighting)

앞에서의 고찰을 통해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은 당시의 러시아아방가르드의 영향, 을 밀접하게 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재료에서 건축으로 에 실린 일반요소 론을 위해서 표 와 재료의 조직구성에 대한 전문용어를 보면 모흘리나기에 있어서 빛의’[ 1] 조형이란 빛의 물리적 성질을 조형재료로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그가 분류하여 정리한 일반요소론을 위해서를 보면 라이팅 (Lighting)에 의한 재료 의 표면처리 색광과 빛을 이용한 착시표현을 빛의 조형으로서 개념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 인된다 특히 라이팅. (Lighting)에 의한 표면처리의 경우 재료의 구조구성에 대한 전문용어 에서 팍투라라고 명명하여 분류하고 있다 팍투라란 재료의 표면에 인공적인 변화를 가공 . ‘ 하는 표면처리로서 빛을 물체의 표면에 비추었을 때 빛에 의해서 표면이 밝게 빛나면서 변 화되어 보이는 현상은 팍투라개념에 의거한 표면처리로 분류되어질 수 있다 즉 모흘리나 . 기에 의하면 물체에 빛을 비춘다는 라이팅(Lighting)이라는 프로세스는 물체의 표면을 밝게 빛나보이게 하는 일종의 인공적인 표면처리인 것이다.

그는 빛을 물체에 비추어 밝게 빛나는 현상을 재료들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보이는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재료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새롭게 제안하고 기초적인 조, 형표현 훈련의 기반으로 위치지웠다 이것은 모흘리나기만의 독특한 빛의 조형개념으로. 그의 조형이론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포토그램의 경우에도 인화지에 빛을. 비추어 그 인화지의 표면을 인공적으로 변경하는 표면처리의 한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 며 그의 재료의 구조구성에 대한 전문용어에 따르면 팍투라라고 분류할 수 있다, .

도판 에서 한 장의 종이표면에 다양하게 무늬를 새겨넣음으로서 다양한 재질감을 추 [ 10]

구하는 종이의 표면처리와 다양하게 빛을 인화지에 비춰보임으로서 나타난 빛의 흔적을 인 화지표면에 기록한 포토그램을 비교함으로서 빛에 의한 표면처리가 더욱 명료해 질 수 있, 다 예를 들어 종이의 표면처리의 경우 망치로 다양하게 두들겨 모양을 만들어 같은 종이. , 한 장에20가지 종류의 표면처리를 만들어 낸 것이며 이와 같은 원리로 인화지에 빛을 어,

(17)

모흘리나기의 빛의 조형개념의 형성 /서희정 215215215215

떻게 비출 것인가에 따라서 다양한 빛의 흔적이 표면에 처리된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익숙. 해져 왔던 물체의 표면에 외적변화를 줌으로서 새롭게 촉각을 자극하게 하고 앞서 살펴본, 바가 있는 생산적인 개념의 기능을 담당하는 새로운 감각이 계발하도록 기능 한다 .

도판

[ 10] 종이의 표면처리와 빛에 의한 인화지의 표면처리의 비교

밝고 어두움을 다양하게 연출하게 하는 빛의 조작은 칼라사진의 경우에는 칼라의 톤과 관계한다 즉 가장 밝은 부분에서 어두운 부분까지 점차적으로 만들어진 밝기의 섬세한. , 그라데이션의 변화가 빛과 합치되어 칼라의 톤에 합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흘리나기의. 칼라사진의 경우는 빛이 닿은 물체의 표면색의 밝기변화를 포착하여 제시한 것이 대부분 이다.

예를 들어<Turquoise gold and Red color study>는 청록색 금색 빨간색이 명도의 그, , 라데이션의 변화를 찍어 보여주는 것이며<Fashion study>는 옷에 비추어진 빛에 의해서 빨간색의 치마와 상위의 하얀 색의 밝기변화를 포착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빛이 닿. 았을 때의 색의 변화란 울퉁불퉁한 물체의 표면텍스쳐에 따라서 혹은 물체의 형태에 따라, 서 표면의 밝고 어두운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

(18)

216 216216

216 미학 예술학 연구· 20

도판

[ 11]Moholy-Nagy, <Turquoise gold and Red color study>, 1940 (왼쪽) 오른쪽

Moholy-Nagy,<Fashion study>, 1939-1946 ( )

이와 같이 모흘리나기는 사진과 영화 등의 영상표현을 이해하는 기초로서 포토그램을 제 안하고 이를 통해 빛과 물체의 밝기의 변화를 관찰하고 감각적으로 터득해 나가야 할 것을 영상표현을 위한 조형훈련의 첫 단계로서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체에 빛을 비출 때 보이는 밝고 어두움의 효과를 터득하는 것은 사진을 비롯한 영화, 비디오 등의 영상표현의 핵심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며 따라서 모, 흘리나기의 빛의 조형은 영상표현의 조형적인 기초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의 빛의 조형개념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미디어아트의 선구. 자로서 그의 의의를 확고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결론결론 결론 . ..

.

본 연구는 사진은 빛의 조형이다라고 말한 그의 표명을 기반으로 단순히 구성주의와 신 , 즉물주의 사진의 영향하에서 해석되어져 왔던 모흘리나기의 조형개념에 대하여 그의 작품 과 차문헌을 통해 그가 빛을 조형적으로 어떻게 개념화하고 이론적으로 소화해내고 있는1 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그의 이론서와 작품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공업화된 도시인 베를린으로 망명을 한 년을 기점으로 빛의 조형개념이 발생한 것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이는 년과

1922 , 1921 1922

년에 각각 제작한<Gray-Black-Blue>(1921)<LIS>(1922)이라는 두 회화작품의 비교를

참조

관련 문서

Zao Wou-Ki generated the best H1 result for the entire Asian continent in Hong Kong; 53% of Zhang Daqian’s turnover was hammered there, and lots of new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그는 조선의 입장을 이해하고 양국의 갈등을 해소하는데 노력했으며, 특히 한일간의 대등한 외교관계를 강조하며 양국 우호에 기여한 인물로 지금도 한일 외교에

Individual temperament, Zeitgeist, or racial character determine the style of individuals, period and race... Eugene Kleinbauer, Modern Perspectives in Western

기존의 망원경 구조 수업은 위 그림과 같이 렌즈에서 빛이 굴절하고 거울에서는 반사되어 모이는 원리를 모식도를 통해서 제시하는 것이 최선이었으나 [AR가상 실험실]

이 프로그램에서 LED를 이용한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을 통하여 실내 디자인을 설계하고 LED 조명을 이용하여 빛의 합성과 분산에 대하여 배운다.. 이를 통해

’즉 같은 주 제와 구도로 이루어진 표현이라 하더라도 목탄과 펜촉,연필은 다양한 강도와 단색 조의 표현이,콘테(conte),크레용(crayon)은 색조와 질감이 풍부한 표현이

미술시간에 만든 실내 모형에 조명을 설치해 보자.. * 가로의 구멍들을 연결하고 싶을 때는 전선이나 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