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자를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가이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연구자를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가이드"

Copied!
4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This work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Alike (CC BY-NC-SA) License.

(3)
(4)
(5)
(6)

2. 소셜 미디어란 무엇인가?

이 활용 가이드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이용자가 생산하는 온라인 콘텐츠 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라고 정의한다. 이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말 할 때 동의어처럼 사용되는 용어(웹2.0, 참여형 미디어 등)가 많지만 일관 성을 위해 여기에서는 현상을 표현할 때는 ‘소셜 미디어’, 기술을 표현할 때는 ‘소셜 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소셜 미디어는 상태 업데이트와 댓 글달기와 같이 단편적이고 짧은 문구로 된 이용자 참여를 활동내역으로 바꾸는 웹기반 기술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소셜 미디어에 대해 고찰한다는 것은 소셜 툴이 정보의 생산과 전달을 어떻게 촉진시키는지, 소셜 툴이 이 정보를 어떻게 담론하고 소비하는지 생각하도록 한다. 이 활용 가이드는 연구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둔다. 서로 다른 다양한 소셜 툴을 살펴본 후에 이 툴을 어떻게 이 용할 수 있을지 논할 것이다. 이 활용 가이드에서는 이미 자신의 연구프로 세스에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는 10명의 연구자와 인터뷰했던 내용을 수록하였다. 소셜 미디어를 연구에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전 에 먼저 소셜 미디어란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개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1 이용할 수 있는 소셜 툴 ‘소셜 미디어’란 용어를 잘 모르더라도 소셜 툴에 대해 들어보거나 이용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소셜 툴을 여러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지 만 여기에서는 예시를 들어 기술한다. 우선 각 카테고리별로 가장 인기있 는 툴을 아래 나열하였다. 커뮤니케이션: 블로깅(Blogging): 마이크로블로깅(Microblogging): 위치(Location): 소셜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어그리게이터(Aggregator):

Blogger, LiveJournal, TypePad, WordPress Twitter, Yammer, Google Buzz

Foursquare, Gowalla, Facebook Places Facebook, LinkedIn, MySpace

(7)

협력(Collaboration) 화상회의(Conferencing): 위키스(Wikis): 소셜북마킹(Social bookmarking): 소셜서지(Social bibliography): 소셜뉴스(Social news): 소셜다큐멘트(Social documents): 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Adobe Connect, GoToMeeting, Skype PBworks, Wetpaint, Wikia

Delicious, Diigo, BibSonomy CiteULike, Mendeley Digg, Reddit, Newsvine Google Docs, Dropbox, Zoho Bamboo, Basecamp, Huddle 멀티미디어(Multimedia) 사진(Photographs): 비디오(Video): 라이브스트리밍(Libe streaming): 프리젠테이션 공유(Presentation sharing): 가상세계(Virtual world):

Flickr, Picasa, SmugMug Viddler, Vimeo, YouTube Justin.tv, Livestream, Ustream Scribd, SlideShare, Sliderocket

OpenSim, Second Life, World of Warcraft

(8)
(9)
(10)

2.4 소셜 미디어 비평 모든 사람이 소셜 미디어에 대해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소셜 미디어에 쏟아지는 주요한 비평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학자나 연구자들 은 소셜 미디어가 학술적 담론의 품질을 훼손시킨다고 우려하고 있다. 수 잔 그린필드(Susan Greenfield)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내게 소셜 미디어는 기후변화와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물론 소셜 미디 어가 기후변화처럼 지구의 존재에 위협을 가하지는 않는다. 연구자의 존재 에 대한 품질이 위협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와 같은 유형의 사람들은 미래에도 존재할 것이다.”

앤드류 킨(Andrew Keen, 2007)과 니콜라스 카(Nicholars Carr, 2010)는 소셜 미디어가 우리의 사고, 문화, 사회에 잠재적으로 해를 끼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소셜 미디어에 대해 그리고 인터넷을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적 이용에 대해 책 한권에 달할 정도로 길게 비평했다. 앤드류 킨과 니콜라스 카의 주장에 반론이 제기되었다. 소셜 미디어 기술 을 열광적으로 옹호하는 이들은 소셜 미디어가 개인과 사회를 바꿀 것이 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소셜 미디어에 대한 우려는 다음과 같다. - 기술적 성장 : 기술이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끼치므로 피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가 있다. - 프라이버시 : 소셜 미디어는 개인과 전문가의 개방문화에 기초하고 있 다. 소셜 미디어가 공적인 공간과 사적인 공간간 상호작용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우리가 가진 데이터를 잘못 이용하지는 않을지 걱정스 러워한다. 연구자 입장에서는 피어리뷰 과정을 거치지 않는 의견과 생 각을 온라인에 표현하는 것이 전문가의 생활을 온라인에 너무 드러낸 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 진부함 : 소셜 미디어 툴은 자신의 근황을 짧은 글로 표시하는 상태 업데이트1)와 링크 공유처럼 수많은 작은 정보단위를 교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개인들이 작성한 단문은 소셜 미디어가 본질적으로 하찮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폭소노미 (folksonomy) 태그를 생성하고 공유함으로써 개인이나 커뮤니티는 자신이 생성한 태그를 한 곳에 모을 수 있고 가장 인기있는 태그가 무엇인지, 서로 관련있는 태그는 무엇인지 한 번에 파악 할 수 있게 된다. 전통적인 계층적 분류체계와 구분하기 위해 이와같이 태그를 모아놓은 것을 폭소노미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폭소노미는 역동적이며 매우 융통적이며 특정 목적 에 적합하게 ‘하고 싶은대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방적이고 소셜한 방식으로 폭소노미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자신의 요구에 딱 맞게 태그를 부여할 수 있으 며, 다른 이용자가 하나의 정보에 어떻게 여러 개의 태그를 부여하는지 볼 수도 있다. 이용자는 폭소노미가 없었다면 보지 못했을 링크를 우연히 발견하게 된다. 소셜 북마킹 툴 : 딜리셔스 (www.delicious.com) : 조금은 오래되었지만 인기가 많은 서비스이다. 최근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많은 기능을 추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툴에 비해서 단순하면 서 효과적인 북마킹 툴이다. 디고 (www.diigo.com) : 좀 복잡한 서비스이다. 북마킹 사이트 이외에도 툴바를 이용 하여 마크한 페이지의 콘텐츠에 하이라이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대신 이용자는 브 라우저에 이 툴 바를 설치해야 한다. 빕소노미 (www.bibsonomy.org) : 학계를 위해 개발된 서비스이다. 기능면에서 딜리 셔스와 많이 유사하다. 사이트유라이크(CiteULike)와 같은 소셜 사이테이션 서비스가 가진 메타데이터 수집기능도 제공한다. 비공식적 웹자원부터 공식적으로 출판된 정보 자원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4.3 소셜 사이테이션-공유

(24)
(25)

츠가 혼합되어 있다. 블로그는 가장 최근에 올린 글을 가장 위에 위치시켜 볼 수 있도록 한다. 블로그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블로그는 웹상에서 글이나 데이터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대다수 블로그들은 댓글기능을 제 공한다. 그리고 일시적으로 특정 이슈에 대한 포럼의 장이 되기도 한다. 블로그는 연구자로써 당신의 프로필을 만들거나 협력채널을 제공하거나 아이디어를 얻는 데 유용하다. 블로그 툴 블로거 (www.blogger.com) 워드프레스 (www.wordpress.org) 포스터러스 (www.posterous.com) 과거에는 블로그 툴마다 기능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다. 기술이 발 전함에 따라 블로그 툴간 기능적 차이는 사라졌다. 워드프레스는 가장 인 기있는 툴이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포스터러스는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단순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블로그 툴마다 차이는 아주 근소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무슨 툴을 사용하고 있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작성하느냐이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인터뷰했던 거의 모든 연구자들은 블로그를 운영하 고 있었다. 아래 나열한 블로그 작성툴은 다양한 학술 블로그 사례를 보여 준다. ∙alunsalt.com (http://alunsalt.com) : 고고천문학자가 개인적으로 운영 하는 폭넓은 학술 블로그

∙Finds and Features (http://findsandfeatures.wordpress.com) : 고고학 블로그

∙Fresh and Crispy (http://blog.cpjobling.org) : 이러닝 블로그

(26)

∙My exciting PhD journey! (http://elenaphd.wordpress.com) : 박사과 정 여성의 경험과 수행중인 교육분야 연구에 관한 블로그

∙PhD Blog (dot) Net (http://phdblog.net) : 학생들의 학습, 고등교육, 소셜미디어를 논의하는 교육분야 블로그

∙Science in the Open (http://cameronneylon.net) : 오픈 리서치에 관련 된 기술적, 사회적 이슈에 중점을 둔 과학 블로그

(27)
(28)

위키피디아가 지니고 있는 아마추어적, 커뮤니티 기반의 특성으로 인해 정보자원으로 위 키피디아를 간주하는 데 회의적인 연구자들도 있다. 누구나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오 픈 위키에 대해 절대적 신뢰성을 부여할 수는 없다. 위키피디아가 전통적인 백과사전과 비교할 때 정확성 측면에서 유사하거나 훨씬 더 좋다라는 연구결과도 있다(Giles, 2005; Besik et al., 2008; Rajagopalan et al., 2010).

(29)
(30)

금이 부과된다. 스카이프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지리적으로 멀 리 떨어져 있는 연구자와 공동협력을 하고 현지에 가지 않고도 연구 데이 터를 수집할 수 있는 저렴하지만 강력한 툴로 자리매김했다.

(31)
(32)
(33)
(34)
(35)

<그림 3> 네트워크의 복잡성 증가

(36)

<그림 4> 소셜네트워크의 구조

(37)
(38)

7. 관련문헌

소셜 미디어를 연구 환경에 사용하기 위해서 소셜 미디어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 활용 가이드에서 나타난 이슈 사항에 대한 개념적 토대에 관심이 있다면 다음의 자료를 참조하길 바란다.

Weinberger, D. (2008). Everything is Miscellaneous: The Power of the New Digital Disorder. Henry Holt.

Shirky, C. (2008). Here Comes Everybody: The Power of Organizing Without Organizations. Penguin Press HC.

(39)

8. 참고문헌

Besiki S.; Twidale, M. B.; Smith, L. C.; Gasser, L. (April 2008). “Information Quality Work Organization in Wikipedia”.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 983–1001. doi:10.1002/asi.20813

Carr, Nicholas. (2010) The Shallows: What the Internet Is Doing to Our Brains. W.W. Norton, ISBN 978-0-393-07222-8.

Keen, Andrew. (2007) The Cult of the Amateur: How the Democratization of the Digital World is Assaulting Our Economy, Our Culture, and Our Values. Doubleday Currency, ISBN 978-0385520805.

Gewin, V. (2010) “Collaboration: Social networking seeks critical mass”. Nature 468(7326): 993-994.

Giles J. (2005) “Internet encyclopaedias go head to head”. Nature 438: 900-.901.

Darren W. Logan, Massimo Sandal, Paul P. Gardner, Magnus Manske, Alex Bateman. “Ten Simple Rules for Editing Wikipedia”. PLoS Comput Biol, Vol. 6, No. 9. (2010), e1000941.doi: http://dx.doi.org/ 10.1371/journal. pcbi.1000941

Montanari, A., Saberi, A. (2010) “The spread of innovations in soci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107(47): 20196-20201.

Procter, R., Williams, R., & Stewart, J. (2010). If you build it, will they come? How researchers perceive and use web 2.0. London: Research Information Network.

www.rin.ac.uk/system/files/attachments/web_2.0_screen.pdf

Rajagopalan et al. (2010). “Accuracy of cance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 comparison of a Wiki with a professionally maintained databa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8:7s, 2010. Retrieved 2010-06-05).

(40)

Connected Age. Allen Lane. ISBN 978-1594202537

(41)

아래 리스트한 자료를 www.rin.ac.uk/social-media-guide에서 이용할 수 있다.

웹 자료 1 : 링크와 자원 ∙Audio and video tools

∙Blogging and Microblogging tools

∙Examles of academic and research blogs ∙Social networking services

∙Location based tools

∙Social bookmarking, news and social citation tools ∙Research and writing collaboratin tools

∙Presentation sharing tools

∙Project management, meeting and collaboration tools ∙Information management tools

∙Virtual worlds 웹 자료 2 : 연구자 사례조사 ∙Andrew Coverdale (박사과정학생, 교육학) ∙Anna Croft (강사, 유기화학) ∙Alexander Davenport (연구조교, 혈액학) ∙Elena Golovuskina (박사과정학생, 교육학) ∙Pat Heslop (교수, 분자유전학과 세포생물학) ∙Chris Jobling (강사, 공학) ∙Constantina Katsari (강사, 고대사) ∙Cameron Neylon (선임연구원, 생물물리학) ∙Alun Salt (고대천문학자)

(42)
(43)
(44)
(45)

참조

관련 문서

-일정 수 이상의 구매자가 모일 경우 파격적인 할인가로 상품을 제공하는 판 매 방식으로, 소셜 쇼핑(Social shopping)이라고도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은 주민들의 생활여건 개선에 필수적인 과제들을 추진하고, 지금까지 충분히 조명받지 못했던 농어촌의 가능성과 잠 재력을 되살리는 과제들을

남자 아이가 같은 책을 읽은 여자 아이에게 재밌는 책인 것 같은 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으므로 동의하는 응답은 알맞다..

[r]

이동통신사들의 유료 문자 메시지에 머물러 있던 모바일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수 준을 새로운 차원으로 격상시켜야 한다는 ‘ 극히 중요한 문제 (essential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Interpersonal Process Model of Intimacy (친밀감 대인관계 과정 모델)를 확장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의 도에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방자치단체 행정업무의 성과평가를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우선,전문가들은 행정관리측면에 있어서 행정 전산화와 같은

- 직접 디자인한 소셜 로봇을 실생활 재료를 사용하여 실제로 구현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