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에 대한 다섯 가지의 신학적 입장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문화에 대한 다섯 가지의 신학적 입장 1."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년 선교와 문화 강의교안

2018 ( 5)

교수 김승호:

신학적 관점에서 본 인간문화

문화적으로 적절한 사역의 필요성과 문화분석의 기본원리

문화의 기원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에게 주신 하나님의 문화위임( ) 명령에 기초한다 창( 1:26-28, 2:15)1). 하나님은 인간에게 생육(be fruitful)하고 번 성(increase in number)하여 땅에 충만(fill the earth)하고 땅을 정복(subdue it)하 라고 명하셨다. 문화위임명령(cultural mandate)은 하나님께서 지으신 창조세계

를 인간에게 다스릴 것을 명하신 것에서 부터 기원한다

(created world) .

창세기 장1 28절의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 , 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에서 정복” ‘ ’(subdue)으로 번역된 단어 는 ‘경작’(cultivation)으로 번역되는 것이 더 적절했다. 우리말 성경에서 ‘정 복’(subdue)으로 번역된 단어 cultivation 은 라틴어 ‘cultus’ 에서 나왔고 바로

에서 문화를 뜻하는 영어 가 나왔다

‘cultus’ ‘culture’ .

또한 다스리라‘ ’(rule over)는 명령은 정복하라 는 명령과 함께 하나님 앞에서 인‘ ’ 간은 문화적 책임을 진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인간은 하나님이 지으신 창조세. 계에 대해 특별한 책임을 갖고 있는 존재이다 시( 8:6).

인간은 문화를 만들고 문화행위를 통해 세상에 선(goodness)을 증진하고 하나님 의 영광을 드러내야 할 거룩한 사명을 갖고 있다 고전( 11:13).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문화를 만들고 선을 증진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삶을 살도록 기대했음에도 불구하고 타락한 존재가 됨으로 인간의 지 정 의는 물론 삶 전 영역은 죄로 오염. . 되었다 또한 인간은 끊임없이 사단의 영향력을 받고 있다. .2)

1)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로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육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 , 시니라 창”( 1:26-28).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을 이끌어 에덴 동산에 두사 그것을 다스리며 지키게 하시고

( 2:15)

2)창세기 6-8장에는 여호와 앞을 떠난 인간의 문화의 모습이 생생하게 기록되어있다 홍수 사건을 통해. 죄와 악이 인간의 삶의 구석구석에 침투했었음을 볼 수 있다 하나님을 떠난 결과로 말미암은 죄악 된 상황에 대해. 하나님은 인간에게 그 책임을 홍수사건을 통해 물으셨고 현재도 물으신다 엡. 2: 1-3)

(2)

따라서 인간의 문화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새로워지고 변화되어야 한다 고( 후5:17, 계21:5). 문화를 하나님의 영광의 도구가 되도록 하는 것은 기독교인들의 책임이다 문화선교란 성경적 세계관으로 죄된 문화를 변혁시키는 것을 말하며 문. 화를 성경적 세계관으로 거듭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선교는 단순히 음악 예. , 술 연극 드라마와 같은 문화적 도구를 매개체로 해서 복음을 전하는 차원이 아니, , 라 문화를 성경적 세계관으로 변혁시키고 회복시킴을 뜻한다.

문화에 대한 다섯 가지의 신학적 입장 1.

문화는 하나님께서 창조한 창조세계를 잘 보호하고 관리하도록 인간에게 위임하 신 데서 출발한다 따라서 시간적으로 볼 때 마태복음. 28 19-20장 절의 선교명령이 주어지기 오래전 이미 인간에게 문화위임 명령이 주어졌음을 알 수 있다 창( 1:28).

하나님께서 문화를 만드는 인간을 지으셨기 때문에 인간의 문화와 하나님은 무관 할 수 없다 기독교역사. 2000년 동안 하나님을 대표하는 교회와 세상을 대변하는 인간의 문화는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지내왔다.

리처드 니버(H. Richard Niebuhr)는 하나님 교회 과 문화 세상 의 관계에 대해( ) ( ) 다섯 가지의 모델 입장 이 존재해왔음을 설명하였다( ) .

문화와 대적 관계에 있는 하나님

1) (God Against Culture)

기독교내 근본주의자 혹은 보수주의자의 문화에 대한 태도이다 이 모델의 전제. 는 인간의 문화는 죄악의 온상이며 하나님의 심판의 대상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문. 화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며 문화에 대해 철저히 비관적인 입장에 있다 이 모델에. 서 인간의 문화와 하나님은 적대적 관계에 있다 급진적 입장. (radical position)이며 또한 하나님은 세상에서 오직 믿는 자 그리스도인 들만을 상대한다는 분리주의적( ) 입장이다 이 모델을 취하는 자들은 거룩한 것 과 세속적인 것

(separatism) . (sacred)

을 철저히 구분한다 (secular) .

요한일서 장2 15절의 “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치 말라 누구든지 세 상을 사랑하면 아버지의 사랑이 그 속에 있지 아니하니 이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 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니 다 아버지께로 좇아 온 것이 아 니요 세상으로 좇아 온 것이라 는 말씀대로 요한일서의 저자는 세상에 충성하거나” 사랑치 말도록 명하면서 하나님과 세상 가운데서 양자택일을 촉구했다.

분리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자들은 이 구절에서의 세상 을 인간의 문화 와 동일‘ ’ ‘ ’

(3)

시하여 문화의 본질을 악한 것 사탄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하나님의 백성이 거룩해, . 지는 길은 세상과 분리되는 것이며 세상을 정죄할 때 비로소 거룩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세상은 지나가고 없어질 것으로 본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인간의 유일. . 한 소망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만을 고대하는 매우 내세적이며 염세적이다.

이 모델을 취하는 자들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권위만을 인정하고 세상을 단호 히 거부한다 대표적인 인물로 요한일서의 저자 초대교회 에세네파 또한 대부분의. , ( 초대교회 교인들), 2세기 교부 터툴리안 분리적 태도는( 2세기에 와서 터툴리안과 그의 저서들을 통해 강하게 부각되었다 터툴리안은 어떻게 그리스도와 사단이 어. 울릴 수 있으며 예루살렘과 아덴이 교제 할 수 있겠는가? 라며 그리스도인들이 세 상과 분리될 것을 강하게 촉구했다), 종교개혁당시의 재침례파(anabaptist), 중세 수 도원 운동 그리고 사막이나 동굴로 들어가 은둔 생활은 하던 수도자들을 들 수 있, 다 소설가 톨스토이도 인생후반에 세상의 문화에 대해 회의적 태도를 보였다. .

현재도 기독교내 근본주의 혹은 보수주의자들이 이 모델을 지지하고 있다 적어. 도 물리적 분리는 아니라 할지라도 자세나 태도에 있어 분리적 입장을 취하고 있 다 철저히 분리적 입장을 취하는 기독교내 그룹으로. Quaker교 애미쉬, (Amish), 모 라비안교를 들 수 있다.

선교사들 가운데서도 선교현지에서 복음을 듣고 회심하는 자들에게 초대교회의( 유대주의자들이 했던 것처럼 회심의 진실성을 증명키 위해 그들의 전통적 문화와) 삶으로부터 철저히 격리적이며 분리적인 삶을 살도록 강요하고 있다.

이 모델의 긍정적인 점은 인간의 문화 속에 침투해 있는 사단적인 요소들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켜 준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모델의 약점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 된 인간의 선함 지성 업적을 무시하고 과소평가한다는데 있다 세상 문화 에 대해/ / . ( ) 적극적인 변혁을 시도하지 않고 도피의 길을 택한다 바울은 로마서. 13 1-7장 절에서 그리스도인들에게 세상의 제도 권세 를 인정하도록 명하고 있다( ) .

신약에서 세상을 지칭하는 "kosmos"는 사단에 감염된 문화를 언급함이지 세상 혹은 문화 전체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이 부재된 문화에 대해서는 철저히. 경계하며 주의해야 한다 타락된 문화는 틀림없이 하나님께서 심판하실 것이다 그. . 럼에도 불구하고 문화 전체를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또한 세상에서 그리스도. 인들은 문화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선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문화와 일치하시는 하나님

2) (God in Culture)

(4)

첫 번째 모델과는 정반대의 입장이다 세상의 문화와 하나님의 문화 차이를 인정. 하지 않는 자유주의 진영의 문화에 대한 입장이다 인본주의적이며 세속주의적 입. 장이다.

이 모델은 인간의 문화의 가치를 너무 높게 평가하여 하나님은 인간문화를 거부 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당신의 일을 해나간다고 주장한다.

이 모델의 문제점은 인간의 문화를 너무 낙관적으로 본다는데 있다 초대교회 당. 시 유대주의자(Judaism)들이 이러한 입장을 취했다 자신의 유대문화. (Judaism or 를 모든 민족이 따라야 할 규범 으로 여겨 이방인들에게 할 Jewish culture) (norm)

례 율법 절기 음식규례와 같은 것을 자신들과 같이 동일하게 지킬 것을 강요했다, , , 행 과거의 유대인들이나 현재의 유대인들은 하나님은 오직 자신들만 관계하 ( 15:1).

시는 분으로 이해하고 있고 동일선상에서 자신의 유대 문화를 가장 이상적인 문화 로 여기고 있다.

세기의 서구의 개신교 선교사들도 유사한 입장을 취하였다 서구

19 . 의 문화가 바로

하나님의 문화로 간주하며 비서구세계를 서구화(westernized) 시키는 것을 선교로 간주했다 서구의 선교사들은 자신들에게 낯선 선교현지의 문화를 거부하고 그 자. 리에 서구의 문화를 이식시키고자 했다 그들에게 복음화 된다. ‘ ’(evangelized)는 것 은 다름 아닌 서구화 되는 것 을 의미했다‘ ’ .

중세사회(medieval society)이래 18세기의 계몽주의 때 까지 가톨릭교회는 자신 들의 문화를 이상적 문화로 간주하여 가톨릭의 문화가 바로 하나님의 문화이며 하 나님은 가톨릭교회를 통해 일하신다고 주장했다.

이 모델은 인간의 문화에 대해 너무 낙관적이며 인간이 만들어내는 문화 그것, 은 바로 하나님의 것이며 하나님의 나라의 문화가 된다고 주장하는데 결정적 문제, 점이 있다 하나님께서 인간의 문화를 사용하여 당신을 계시하실 뿐 아니라 일을. 하시는 것을 인정할 수 있지만 하나님의 뜻에 위배되는 문화의 요소들은 반드시 거 부되어야 한다 인간이 만드는 문화 심지어 교회의 문화조차 죄된 요소들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교회의 문화가 완전하며 이상적이라는 주장은 잘못된 주장이다. .

문화와 역설적인 관계에 있는 하나님

3) (God and Culture in Paradox)

하나님과 인간의 문화는 역설적 긴장 관계에 있다고 보는 모델로서 양자의 차이( ) 점과 불가분리성을 동시에 수용한다 알렉산드리아 교부 크레멘트. (Clement)는 하 나님과 인간의 문화 모두를 수용하여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당대 문화에 맞추어

(5)

좋은 시민이 되어야 함을 촉구했다 이 모델은 하나님에 대한 충성. ‘ ’(loyalty)과 세‘ 상에 대한 책임’(responsibility) 두 가지 모두를 강조하면서도 전자와 후자사이를 구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런 입장을 취하는 자들을 이원론자. ‘ ’(dualist)라고 부 른다 개혁자 말틴 루터도 이 입장을 취하여 교회와 국가사이의 분리를 강조하지. 않았다 그는 교회와 국가모두 하나님의 주권아래 있으므로 때로는 서로 견제하고. 때로는 서로 협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3) 이 모델에서 그리스도인은 두 종류의 세상을 살아가는 이중적인 존재‘ ’(amphibian) 이다.

문화를 초월해 계시는 하나님

4) (God above Culture)

이 모델은 하나님과 인간의 문화를 인정하면서도 양자를 구분한다 첫 번 째 모. 델과의 차이점은 인간의 문화를 무시하지 않고 그 가치를 인정하지만 저급한 것으 로 인정한다 하나님은 세상을 만드신 후에 인간 세상을 초월해 계시며 세상사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 모델에서 하나님은 성경이 계시하는 하나님과 거리가 멀다 인간에게 적극적 관. 심을 가지시고 그리스도를 통해서 인간을 구원하며 만물을 새롭게 하시겠다고 하시 는 하나님과는 거리가 있다 이 모델의 문제점은 세상 문화 에 대해 어떠한 변혁의. ( ) 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첫 번째 모델과는 달리 인간의 문화를 무시하고.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세상에 대해 방관적이며 변화나 개혁에 대해 매우 소극적 자 세를 갖고 있다.4)

3) 국가의 역할은 시민을 보호하고 때로는 힘과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공공의 선 유익 을 증진( ) ( ) (promote) 해 나 가야 할 책임이 있다 한편 교회 역시 공공의 선 유익 을 도모해야 할 책임을 갖고 있다 교회는 주로 영적인. ( ) . 수단 즉 전도 가르침 구제 봉사와 같은 것들을 통해 자신의 역할을 감당해 간다 이 같은 다이나믹 속에서, , , . 국가는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감당 나가는데 구속이나 제한을 가해서는 안 될 것이며 특별히 도덕과 윤리적 이슈들에 대해서 교회의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 교회 또한 국가를 향해 자신들의 특별한 권리를 요구해서는. 안되고 국가로부터 어떤 혜택을 받기위해 국가와 타협하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 교회는 사회를 향해 예언자적. 사역(prophetic ministry)을 해야 한다 교회는 사회의 특정한 이슈 문제 들에게 대해 하나님의 대리자 역할. ( ) 을 감당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이슈들을 언급할 때 일반적인 언급이 아니라 매우 상세하게 구체적으로 언급해. 주어야 한다. 교회가 사회적 이슈들을 향해 예언자적 사명을 감당할 때 조심해야 할 것은 그 이슈들이 너무 광범위하고 다양한 것보다 성경과 직접 대치되는 이슈들에 국한 시키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국방예산의 과다“ ”독도 문제 등과 같은 이슈들은 사회적 이슈로서 충분하나 교회는 좀더 성경적으로 대치되는 문제들 에 대해 예 낙태 자살 동성애( : , , ...)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옳다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국가가 해야 할. 역할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이 땅에 정부 국가 권력 을 세우신 이는 바로 하나님이신데 하나님은 이들을 통해. ( . ) 당신의 뜻을 또한 이루어 가길 원하신다 롬( 13:1). 정부가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감당해야 할 역할은 크 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사회에 존재하는 악. , (evil)을 규제하고 처벌하는 일이다 인간의 죄성. (sin 은 죄를 조장하고 시민들을 위협하는 데 정부 국가 는 시민들을 위협하는 이들 범죄나 악들을 규제

nature) ( )

하고 처벌하여 시민들을 보호하는 책임이다 둘째 복지를 증진시키는 일다. , (promoting human welfare. 13 장 벧전. 2). 사람들이 갖고 있는 필요들을 제공하고 자유 나 인권이 제약되거나 침해되지 않도록 해야 한

4) 이 모델에서 신은 절대적인 초월자이기에 현실세계에 대해서 간섭하지 않는다 자연신론자들은 자연법칙이 신. 의 법칙으로서 신은 자연법칙들을 통해서 기계적으로 통치하고 계시며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 신의 뜻을 따르, 는 것이라고 한다 중간영역의 세계관에 있는 사람들은 자연의 법칙 대신에 영적존재들을 자신들의 삶에 영향. 을 미치는 존재로 믿고 있다 문제점 하나님을 방관자로 여기며 성경의 계시하는 하나님과는 다르게 인격적. : 인 존재로 여기지 않는다.

(6)

문화의 변혁자이신 하나님

5) (God the Transformer of Culture)

이 모델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인간은 창조성 지혜 예술성을 통해 선, , 하고 아름다운 문화를 만들어내기도 하지만 또한 타락한 존재로 죄된 문화를 만드 는 존재임을 인정한다 복음을 통하여 인간의 문화는 새로워져야하고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통치권이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회복되어야한다는 입장이다.5) 이 모델은 인간의 문화는 성경신학적으로 볼 때 그 존재 자체가 선교 변혁을 요구하고 있어 따라서 교회는 인간의 문화를 성경적 세계관으로 변화시켜야 할 사명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 롬( 8:19-22).

문화는 타락한 인간이 만들어 낸 것임으로 분명히 죄된 것이 있고 인간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속 받을 때 문화 역시 변화되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것을 믿는다.

이 모델을 취하는 자들은 문화 변혁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지만 또한 인 간의 노력으로 완전한 문화 변혁을 이룰 수 있다고 낙관치 않는다 예수 그리스도. 의 재림과 함께 이루어질 하나님의 나라의 실현을 믿으며 그 나라에서 진정한 하나 님 나라의 문화가 임하게 될 것을 믿는다.

따라서 인간의 문화변혁에 대하여 지나치게 낙관적이거나 비관적이지 않고 하나 님의 나라를 대망하면서 지속적으로 죄악된 문화를 변화시켜 나가는 노력을 경주한 다 성 어거스틴. (Augustine)이나 개혁자 요한 칼빈 그리고 요한 웨슬 리가 이러한, 입장에 서 있었다.6) 그리스도인들은 세상에 살고 있으나 세상에 속한 자들은 아니 며 세상에서 그리스도인들은 문화를 성경적으로 변혁시킬 책임을 갖고 있고 고백한 다 다섯 번째 모델이 성경적인 문화관을 대표한다. .

문화적으로 적절한 사역의 필요성 2.

현대사회는 이전 시대와 비교해 볼 때 너무도 많이 변했고 매일 변해가고 있다.

년마다 인간의 지식과 정보가 두 배로 늘어난다는 말이 있다 현대인들은

5 . 10-20

년 전에는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삶을 살

5) 개혁주의 신앙이란 인간 삶의 전 영역 사회 국가 문화의 전 영역에서 하나님의 뜻을 구현하며 하나님의 영, , , 광이 나타나도록 힘쓰는 신앙이다.

6) 이 입장에서는 그리스도가 문화의 주재자가 되시며 문화를 통해서 일하심을 확신한다 문화는 죄에 종속되어. 있고 사탄의 역사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없다 문화의 기원이 하나. 님의 창조의 언약으로 말미암았으며 문화 속에서 하나님이 보통은총의 역사가 있음을 인식한다 그러나 문화. 는 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더욱이 죄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 문화는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되. 어 있다.

(7)

고 있다.

세상의 변화는 사역적인 차원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결론적으로 말하 자면 세상의 변함과 함께 사역의 방법 메시지가 아니라 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 것이다 현대와 같이 복음에 대해 무관심한 세대를 복음으로 변화시키려면 교회의. 사역은 문화적으로 이질감이나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시대에 맞는 방식으로 펼쳐나 갈 필요가 있다.

문화 분석 주해 의 원리

1) ( )

어떤 교회든 교회는 하나의 문화권 (농촌 도시 강남 강북 경제 교육수준에, , , , , 있어 상류층의 사람들 서민들이 중심이 되는 지역 학생 촌, , …)에 위치하고 있다. 교회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 사회 의 문화는 어떤 식으로든 교회와 구성원들에게 영( ) 향을 줄 수 밖에 없다 즉 세상의 문화는 이렇게 저렇게 교회에 영향을 준다는 말. , 이다.

교회 또한 오랜 시간을 지나오면서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왔다 이러한 이유로. 교회의 문화와 세상의 문화 사이에는 긴장이 존재하게 된다 전통적으로 교회는 세. 상의 문화에 대해 부정적인 자세를 취하여 왔다 하지만 세상의 문화 모두가 악하. 고 나쁜 다고 말 할 수 없고 그 가운데도 좋고 선한 것들이 많다 음악 미술 문학( , , , 건축… 롬 14:14-15).

교회 속으로 들어가 보면 교회의 문화는 “성경의 문화 와” “세상의 문화 가 혼합” 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면 교인들의 옷차림 헤어스타일 사용하는 언어. , , 은어 음악 스타일 예배시간 교회 이름 시설물들 에어컨 카펫 피아노 오르간

( ), , , , ( , , , ,

마이크로폰 주보, …), 먹는 음식 등은 그 교회가 위치하고 있는 사회의 문화를 그대 로 반영하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교회의 지도자는 세상에 대해 늘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 것을 위해 교회 지도자들은 신문과 책도 읽고 시사적인 이슈들에 대해 정확하게 파 악할 필요가 있다 하나님의 말씀을 교인들의 삶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 도 교인들이 살아가고 있는 세상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역대상12 32장 절은 교회 혹은 교회지도자들이 세상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중요한 교훈을 주고 있다. “잇사갈 자손 중에서 시세를 알고(who

이스라엘이 마땅히 행할 것을 아는

understood the times) (knew what Israel 두목이 이백 명이니 저희는 그 모든 형제를 관할하는 자며 이 구절은

should do) ".

(8)

다윗과 사울이 전쟁 중일 때 잇사갈 지파에서 다윗 편에 서기로 작정한 자들의 자 질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그들은 바깥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시세를 잘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 상황에서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다.

교회도 수십 년 혹은 수 백년의 시간을 거쳐 오면서 쌓아온 교회 전통 내지 관 행들을 마치 절대 인 것처럼 여길 때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긴‘ ’ . , 세월동안 교회는 오르간을 예배악기로 사용해왔기에 교인들은 오르간 반주로 찬송 을 부르고 예배를 드리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르간을 예배악기로. 간주하여 다른 악기를 예배중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성경. 은 오르간만을 예배악기로 사용할 것을 명한 적이 한번도 없다.

교회는 언제나 ‘성경적이며 시, 공간 대상에 구애를 받지 않는 영원한 것’(functions)과 일시적이며 변화가 가능한 것‘ ’ (forms)사이를 구분할 줄 알아야한 다 이럴 때 교회는 교회가 위치해있는 지역 문화 대상 에 맞게 사역을 할 수 있게. ( , ) 된다. ‘시간이 바꿔도 변치 않는 것’ ‘변화를 주어서는 안 되는 성경적인 것 과 시’ ‘ 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교회의 전통 관행 사이는 반드시 구분되어야 한다’( ) .

성경의 가르침에 위배되지 않는다면 말씀의 전달 방식 표현 그리고 사역의 방식, 은 시대에 맞추어 변화가 가능할 수 있다 신앙생활이 오래된 교인들일수록 변화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구도자 혹은 불신자들이 교회안으로 들어왔다가 낯섦과 불 편함을 갖고 교회를 나간다면 다시 교회로 돌아올 가능성은 적어진다.

문화에 대해 교회는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까

2) ?

절대적인 것 교리 믿음의 내용 에 대해서는 변화를 주어서는 안된다

(1) ( . ) .

절대적인 것에 본질적인 것 에 대해서는 변화를 주어서는 안된다 성경의 절대권( ) . 위와 영감을 믿는 교회는 아무리 시대가 바꿔도 성경교리(biblical doctrines)에 변 화를 주거나 타협해서는 안 된다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사회적 압력에 굴복해 동. 성애자들을 인정하고 심지어 목회자로 안수를 주는 교회 교단 들이 점점 생겨나고( ) 있다 성경은 동성애를 정죄하고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될 범죄행위임을 분명히 하. 고 있다 창( 2:24, 19:5, 롬1:24-27).

절대적이지 않는 것 전달 표현 실천 은 변화가 가능하다

(2) ( , , ) .

교리를 어떻게 전할 것인가? 또한 어떤 형태로 사역을 할 것인가? 는 시대 대(

(9)

상 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가 가능하다 교회는 변화하는 시대와 다양한 대상에 맞게) . 말씀을 전하고 또한 대상에 맞는 사역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과 연구를 기울일 필요 가 있다 교리의 전달과 사역방법은 문화적으로 대상에 맞도록 해야 한다. , .

선교현장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비평적 상황화작업 3.

복음이 전해질 때 (문화적) 진공상태에서 전해지는 것이 아니다 복음은 이미. 문화를 갖고 있는 자들에게 언제나 전해지기 마련이다. 2000년 교회의 선교역사를 통해서 볼 때 상당수의 선교사들은 현지문화를 정죄하고 문화를 포기하도록 일방적 으로 강요해 왔다 선교사들은 현지의 문화에 민감하지 못했고 복음과 함께 자신의. 문화를 이식 시켜왔다 그 만큼 문화에 대한 소개와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

현지문화에 대한 과거의 접근방식 1.

첫째 선교사들이 자신의 문화에 대해서는 우월의식을 가졌던 반면 자신과 다른, 문화는 매우 낮게 여겼다 즉 선교사들이. 문화우월주의적 태도를 지님으로 현지 문 화를 부정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서구사회가 가졌던 발전된 과학 기술문명 군사력 정치경제적인 힘 때문에 선교, , 사들은 서구문화에 대한 우월적 태도를 갖게 되었다 (We're civilized; others are uncivilized!).

둘째 인간의 문화를 연구하는 문화 인류학, (cultural anthropology) 분야가 초 기 단계여서 선교사들은 인간의 삶 속에서 문화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거의 소개 를 받지 못했다 그들은 단순히 자신의 문화를 현지에 그대로 이식하여 현지인들을. 문화화 (civilized) 하고자했다.

이 과정에서 선교사들은 현지문화의 비본질적인 부분까지 포기할 것을 요구했는 데 복음과 함께 서구의 문화까지 받아드리도록 강요했다 선교사들은 선교지에 서. 구교회의 모든 것을 그대로 옮겨 이식시켰다 예를 들면 고딕양식의 교회당 서구식. , 성직자 예복 가구 예배악기 찬송가 교회정치형태 등을 그대로 수입시켰던 것이, , , , 다.. 현지문화에 대한 선교사들의 정죄적인 태도는 현지교회로 그 토양의 문화적 분 위기와 분리 격리 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선교지 교회는 매우( ) . 서구적인 색깔을 띠게 되었고 현지인들로부터 이질적인 감정을 갖도록 만들었다.

선교사들이 현지의 문화적 토양속에서 표현되고 성장하는 기독교가 아니라 서구 적 색채와 색깔을 지닌 서구기독교를 심음으로 현지인들에게 기독교는 외국 백인(

(10)

의 종교라는 인상을 갖게 했던 것이다) .

이러한 접근방식은 선교지에서 복음의 전파에 걸림돌이 되었다 본질인 복음에. 비본질인 서구문화적 요소들을 덧붙임으로 현지인들로 복음을 받아들이는데 있어 일종의 장애물을 놓았던 것이다.

현지문화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방법 2.

현재는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 그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인 요소들을 과거처 럼 무조건 포기할 것으로 보지않는다 기독교 기독교신앙 가 현지의 문화적 토양. ( ) 속에서 표현되고 실천될 수 있도록 새로운 접근 방식의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어 왔 다 이 과정에서 인간과 문화의 상관성을 중시하는 문화인류학의 기여와 공헌이 컸. 다.

선교란 현지인을 서구화 (westernized) 혹은 한국화 (koreanized) 시키는 것이 아니라 복음화 (evangelized)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도바울도 복음을 전. 할 때 사람들을 자신의 문화인 유대문화로 유대화" " (Judaized) 시킨 것이 아니라 복음화 (evangelized) 시켰던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현지 문화와 관련하여 선교사가 취해야 할 세 가지의 작업 3.

첫째 먼저 현지문화를 이해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현지문화를 이해하기 위, . 해서는 그 문화를 비판하기보다 먼저 현상학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들이 무 엇을 하는가? (what people do) 라는 질문과 함께 왜 그렇게 하는가? (why they do it 라는 질문을 던지며 현지문화를 먼저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

왜 그들은 그렇게 행동 하며 그렇게 해석하며 그렇게 결정하며 사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인간의 모든 행동과 생각의 기저속에 있는 자신의 문화의 특수한 상. 황과 법칙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것을 파악하지 않은 체 쉽게 정죄하거나 판단 하는 실수를 범해서는 안된다.

아프리카에서 전통으로 내려오는 일부다처제 (polygamy) 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본다.

외부인들은 아프리카의 일부다처제를 성 (sex) 의 관점 즉 성적쾌락의 관점으로, 접근하려고 한다 즉 남자들의 성적 즐거움과 일부다처제를 연관지워 생각한다는. , 것이다 그런데 사실 아프리카에서의 일부다처제는 남성들의 성적 즐거움을 위한.

(11)

장치가 아니었다.

일부다처제도의 문화인류학적 이해를 추구해보기로 한다.

아프리카 문화에서 남자가 여러 부인을 갖는 것은 그 사람의 사회적 직위 위

1) (

치 의 상징이다 아프리카 사회가 부를 가진 남성으로 일부다처를 요구하고 있다) . . 자식을 생산하지 못하는 부인을 둔 남편이 둘째 부인을 취해서 대를 이어갈 2)

수 있는 합리적이며 합법적인 제도이다.

한 가정의 가장이 죽으면 과부와 자식들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보호하는 3)

것은 아프리카에서는 미덕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프리카에서 가사일이나 노동을 하는 쪽은 부인인데 집안일과 농사짓는 과 4)

중한 일을 하는 부인이 오히려 남편에게 다른 여자들을 취해서 자신의 과중한 일을 나눌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아프리카에서 일부다처 관습은 남성들의 성적 쾌락과 상관없는 아 프리카 상황에서 나온 매우 사회적 경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음을 알게 된다 만약, . 선교사가 아프리카에서 일부다처제도를 무조건 포기하도록 한다면 사회는 대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그 제도가 해체되고 난 뒤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보완책. 을 충분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교사는 현지문화의 아름답고 가치있는 것들은 반드시 보존해 주어야한, 다.

현대선교학에서는 현지인의 전통적 생활양식 이나 관습을 가능한 한 바꾸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물론 하나님의 말씀에 배치되는 관습은 반드. 시 변화시켜야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에 근본적으로 배치되지 않는 문화적 내용들은 보존하며 현지교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선교사는 기독신앙이 현지의 문화적 양식 속에서 표현되고 실천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현지의. 문화적 요소들을 사용해 예배당 건물을 짖고 그들 방, 식으로 예배를 드리며 그들의 악기를 사용해 하나님을 찬양하며 그들 방식으로 교, , 회를 운영해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현지문화에도. 하나님의 보편적은혜 (common 의 결과로 인해 선하고 아름답고 좋은 것들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음을 잊 grace)

어서는 안된다.

셋째, 물론 하나님의 말씀에 배치되는 현지 문화, 환경을 점진적으로 변화 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transform) .

(12)

주님은 죄로 부패한 영혼을 구원하기 위해 오셨고 악 으로부터 세상

1) (evil)

을 구원하기 위해 오셨다 역사적으로 교회는 사단과 사단이 만들어내는 문화 에. 대항해 싸워왔다 인간이 만든 문화에는 죄로 인해 타락하고 사단적인 요소들이 있. 다 예를 들면 우상숭배 매춘 어린이학대 여성학대 동성애 아이를 제물로 바치. , , , , , 는 행위 포르노 등과 같은 문화는 철저히 변화시켜 나가도록 해야 한다, . 복음이 선포되는 곳에는 언제나 개인과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나게 마련이다.

만약 현지인들에게 어떤 관습을 포기하고 버리도록 했다면 반드시 대안을 제 2)

공해주어야한다. 그들이 오랫동안 지켜온 그러한 예식 관습은 그들의 정신적, , 심 리적 필요가 있었기 때문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포기하게 한 자리에 새로운 대안을 제공해 주지 않고 진공상태로 남겨두면 어린 신자들이 옛날관습을 다시 손댈 수 있는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병이 걸리거나 불행한 일을 당했을 때 그 문제들을 처리하기 위해 과거에 그 랬던 것 처럼 다시 무당에게로 갈 수 있다 발생하는 위기들을 성경적으로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반드시 성경적 대안 (기독교적인 대안방법 기도 하나님의 말씀- , , 목회상담 의학적인 도움, ...) 을 제시해줘야 한다 청소년들 선교에서도 담배 술 마. , , 약 불건전한 게임등을 포기하게 했으면 그것들을 대처할수 있는 대안을 그들에게, 제공해 주어야한다 예 그들의 정서적 심리적 공간을 채워줄 수 있는 건전한 오락( - , , 게임 운동시설제공, ...)

4. 상황화의 정의

“상황화는 복음 하나님의 말씀 을 특정한 상황 문화 대상( ) ( . . context) 에 정확 하게 (accurately) 그리고 적절하게 (relevantly) 전하고자 하는 신학적 작업 이다” .

상황화되지 않은 복음 하나님의 말씀 의 전달은 수용하기에 상당한 장벽에 부( ) 딪칠 수 있다 또한 상황화작업은 언제나 충분히 성경적 이면서 동시에 현지문화에. 적합하게 하는 융통성을 지녀야 한다.

짐 피터슨 (Jim Peterson) 은 상황화 과정에서 경계해야 할 혼합주의 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syncretism) .

상황화의 생명은 복음 하나님의 말씀 의 불변성을 지키는 것과 사람들의 이해

“ ( )

를 위한 융통성이다 복음이 인간의 문화 혹은 전통적 요소들에 의해 왜곡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언제나 순수해야한다 복음에 무엇이 더해지면 그것은 더 이상 복음. 이 아니다.”

(13)

상황화작업의 가이드 라인

2. (guideline)

첫째, 인간의 문화에는 좋은 요소 (good elements) 와 나쁜 요소 (bad elements) 가 공존하고 있음을 기억하라 선교현지 문화 가운데 모든 것이 거부되거나 정죄. 되어서는 안되고 좋은 요소들은 보존해 줄 필요가 있다 성경의 가르침에 위배되는. 것만 거부되어야 한다 선교사에게 낯설다고 무조건 포기를 강해서는 안된다. .

둘째 성경의 절대적, 혹은 본질적인 부분 (essential) 은 바꾸어서는 안된다 기독. 교의 독특성 유일성을 대표하는 것들, -성경의 영감 성경의 권위 무오성 삼위일, , , 체 하나님의 거룩하심 공의로우심 과 사랑 동정녀 탄생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 ( ) , , 음 부활 승천 재림 인간의 타락 죄로부터의 구원 죄사함을 의미하는 구원, , , , , ( ), 하 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얻음 등과 같은 절대적 진리는 우리 마음대로 가감하거나, 변화를 가해서는 안된다 말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황화작업이 필요하지만 절대. 적인이며 본질적인 교리부분에 손을대면 우리는 “거짓 선지자” “거짓 교사” 가 된 다

다른 복음은 없나니 다만 어떤 사람들이 너희를 요란케 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변하려 함이라 그러나 우리나 하늘로부터 온 천사라도 우리가 너희에게 전한 복음외에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찌어다

우리가 전에 말하였거와 내가 지금 다시 말하노니 만일 누구든지 너희의 받은 것 외에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 찌어다“ (갈 1:7-9)

셋째 성경의 비본질적인 혹은 상대적인 것, (non-essential) 은 상황에 맞게 자유롭 게 변화를 줄 수 있다.

갈 1:8 절에서 바울은 “그러나 우리나 하늘로부터 온 천사라도 우리가 너희에게 전한 복음외에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을찌어다“ 라고 선언했고 빌 1:15-18 절에서 바울은 또한 “...그리스도를 전파하느니라. 그러면 무엇이뇨 외모로 하나 참으로 하나 무슨 방도로 하든지 전파되는 것은 그리스도니 이로써 내가 기뻐하고 또한 기뻐하리라“ 고 말했다.

이 구절에서 바울이 말하고 있는 두 가지의 진리를 우리가 귀 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복음의 진리. (the truth of the gospel, 절대적이며 본질적인 것 는 변형을) 주어서는 안되지만 비본질적인 것 (non-essential. 상대적인 것 것에 대해서는 상) 대방의 이해와 복음의 수용력을 높일 목적으로 상황에 맞게 융통성있게 적절하게 할 수 있는 자유를 하나님께서 복음을 전하는 우리에게 주셨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교리적이지 않는 건축양식 예배형식 예배악기 직분 예 한국교회의, , , ( :

(14)

원로목사 권사 강도사 서리집사제도, , , ...) 등은 문화적 상황과 가치에 맞게 얼마든지 상황화시킬 수 있다 교회의 고유한 기능 절대적이며 본질적인 기능 인 예배 교. ( ) , 육 선교 봉사 섬김 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고 실천할 수 있다, , ( ) .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문화적 전통 속에서 자신에게 의미가 있는 방식으로 자신의 믿음을 표현하고 예배할 필요 가있다.

넷째, 그럼 누가 문화의 좋은 요소 와 나쁜 요소를 판단할 수 있는가? 선교사 인가 현지인가? ? 아니면 양쪽 다 인가?

선교사는 성경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현지문화에 대해서는 현지인보다 이 해가 낮다 반면 현지인들은 자신의 문화에 대해 높은 이해를 갖고 있지만 성경에. 대해서는 이해가 매우 낮다 상황화 작업을 할 때 선교사 와 현지인들이 함께 앉아. 기도와 지혜를 모아 성경의 절대성을 지키면서도 상황에 맞게 작업을 해나가는 것 이 최선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성경이 인간의 문화를 판단할 수 있는 최종적 도구가 되도록 해야한다 인. . 간의 모두 문화 서구 동양 는 성경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판단 받아야 한다( . ) . 성 경의 가르침에 위배되는 문화적 요소 세계관 관습 의식, , , (儀式), 사고 등은 양보하 거나 타협해서는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혼합주의에 빠질 위험에 처하게 된다 예수. . 그리스도를 주로 모시면서 지불해야하고 치루어야 할 대가가 있다면 치루게 할 필 요도 있다.

교회와 국가의 관계 어떠해야하나

4. ?

전통적으로 교회와 국가(Church and State) 와의 관계에 있어 네 가지의 입장이 존재해왔다 성경은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에 대해 단정적으로 무엇이라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교회의 역할과 존재목적 그리고 국가의 기능과 목적에 대해서 분명히 시사해 주고 있다.

국가가 교회를 지배하는 입장

1. (state controls church)

국가가 교회를 지배하려고 할 때 개인의 신앙생활과 자유는 구속당하게 되는데 영국의 청교도들의 경우를 대표적 예로 들 수 있다 영국정부의 핍박을 피해 청교. 도들은 신앙의 자유를 찾아 아메리카 신대륙으로 이주하였다.7)

7) 청교도 운동은 1371년 위클리프운동이 일어나서 종교개혁이 이루어진지 약 230 년이 흐른 1559년 후퍼에 의해 시작되었다 당시 영국교회는 헨리 세가 이혼문제로 로마와 단교하고 수장령을 공포하여 국교회를 성립. 8 시킴으로 이루어졌다 그 후 에드워드 세의 칼빈주의화가 실패하고 메리여왕의 가톨릭 복귀정책으로 개신교적. 6 인 요소들이 분쇄되고 로마가톨릭 의식이 재현되고 말았다 가톨릭의 시제들은 정치적이고 형식적이었고 왕. ,

(15)

교회가 국가를 지배하는 유형

2. (church controls state)

중세시대 가톨릭교회가 국가 세속정부 를 지배했던 것 그리고 비록 기독교의 예( ) , 는 아니지만 중동을 중심으로 이슬람 신앙이 국가와 대중들의 삶 전체를 지배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현재도 가톨릭이 강한 나라들 가운데서 교회가 국가를 직간접. 적으로 지배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라틴 아메리카국가들( ).

개신교 복음주의자들 가운데서도 미국의 ‘Moral Majority’(도덕적 다수파 전통적. 도덕관을 지지하는 기독교 보수파 정치 단체 를 주창한 제리 파웰) (Jerry Farwell) 목사도 이 유형에 속한다. 제리 파웰 목사는 버지니아주 린치버그에 위치한

를 세웠다 Liberty University .

교회가 국가를 지배하려는 유형도 성경적으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한데 종교적 전체주의 (religious totalitarianism) 혹은 세속적 전체주의 (secular

모두 모두 바람직 하지않다 totalitarianism) .

주님은 교회가 국가를 지배하는 것에 대해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은 나라“ (My Kingdom is not of this world. 요18:36) 라는 말씀으로 바람직하지 않 게 보셨다.

첫 3 세기 동안 교회는 국가를 통하지 않고서도 당면한 사회적 문제들에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다 사실 이 기간동안 교회 그리스도인들 는 국가 사회 로. ( ) ( ) 부터 많은 핍박을 받아 격리되는 삶을 살아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동. 안의 교회는 구제 고아와 과부를 돕는 일 병든자를 돕고 옥에 갇힌자 노예 종, , , ( ) 들을 돌아보며 일자리가 없는 사람들을 돌보는 일을 서슴지 않았다.

년 로마의 콘스탄틴 황제 때 와서 기독교가 로마의 국교가 되면서

A.D. 313 3

세기 동안 사회의 소외층으로 살던 그리스도인들 교회 이 공적으로 인정받게 되( )

이 교회의 통치자가 되어 교회를 국가의 시녀로 전락시켰다 당시 성직자들 가운데는 글을 읽을 줄 모르는 벙. 어리 성직자들이 수도 없이 많았다 설교 없이 의식만 거행되는 예배가 성횡했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신자들. 은 혼란에 빠졌고 빈곤 및 도덕성의 상실로 사회경제적인 불안이 심각해져갔다 이때에 대중에게 하나님의, . 말씀을 가르치고 이들을 위로하며 이끌었던 무리들이 청교도(Puritans) 이었다 청교도들은 영국 국교회의 예. 배의식을 반대하고 초대교회와 같은 순수한 예배를 하나님께 드리고자 했다 그리고 성경을 연구하고 그 성경. 을 기초로 죄와 회개 구원의 은혜를 중심한 설교를 강조하였다 또한 거룩과 경건을 생활의 절대적인 요소로. 삼았다 이러한 청교도 운동은 교회에 성경의 권위와 설교의 권위를 되찾게 해주었고 신앙인의 삶의 방향이. 경건과 거룩임을 일깨웠다 건전한 가정생활을 가치로 삼아 세상의 쾌락과 사치로부터 돌아서게 했다 하나님. . 의 영광을 위한 삶의 지표를 제시했다 이 운동에 의해 수많은 영적거성들이 나타났는데 실낙원을 저작한 쟌. 밀턴 천로역정을 쓴 쟌 번연 등을 탄생시킨다 영국의 청교도들은 신대륙으로 건너가 미국의 청교도 국가를, . 이루고 조나단 에드워드 같은 미국 대각성 운동을 주도한 선구자를 탄생시키며다 언드우드 등 한국을 선교한 장로교 선교사들도 모두가 청교도의 후손들이었다.

(16)

었다 기독교가 로마제국의 국교가 되면서 국가가 교회를 지배 하기에 이르렀다 이. . 때부터 중세 때 까지 교회는 매우 광범위하고 치밀하게 국가를 지배하기에 이른다.

그 대표적으로 예로 교황 그레고리 7 세 (Pope Gregory VIII. 1073-1085) 의 세 력은 참으로 막강하였다 교황은 유럽의 모든 군주들로 자신의 발에 입맞춤 하도록. 하였으며 마음대로 왕들을 폐위하고 세우는 일을 서슴치 않았다 교황 이노센트. 3 세 (Pope Innocent III. 1198-1216) 역시 강력한 정치적인 교황이었다 교회의 수. 장으로서 유럽의 모든 왕들을 지배하였던 정치적인 교황이었다 교황들의 부도덕과. 부패는 대륙의 통치자로서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가톨릭교회의 이런 부패로 인해 종교개혁자들 (Reformers) 들은 종교와 국가의 철저한 분리를 주장했다 심지어 재침례파. (Anabaptists) 들은 “국가는 불신자들의 것이고 교회는 결코 이 세상에 속하지 않는다“ 고 주장하기에 이르렀다.8)

아래의 4번 유형에서 살펴보겠지만 개혁자들은 교회와 국가는 서로 독립된 개체 지만 파트너로서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과 목적을 이루어 감에 있어 상호간의 책임 과 역할이 있음을 강조했다 개혁자들의 이러한 입장은 유럽 대륙과 북미의 개신교. 국가에서 강했다.

8) 재침례파는 스위스 쥬리히에서 시작되었다. 재침례파의 사람들은 처음에는 개혁자 쯔빙글리를 따르던 사람들 이었는데 유아세례문제와 기타 다른 교리 때문에 쯔빙글리와 결별한 사람들이었다. 쯔빙글리의 젊은 제자들 중 벨릭스 맨즈 (Felix Manz), 죠지 브라우락 (George Blaurock), 그리고 콘래드 그레벨 (Conrad Grebel) 가 같은 사람들은 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것들 중에 성서에서 분명하게 가르치지 않는 것들은 모두 제거하기 를 원했다 반면 쯔빙글리는 쥬리히시의 지원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시와 타협적인 자세로 나갔다. . 1525 일 소수의 사람들이 베릭스 맨즈의 집으로 찾아갔다 콘래드 그레벨이 죠지 브라우락에게 침례를

1 21 .

베풀었고 차례로 브라우락은 거기 있던 사람들에게 침례를 베풀었다 이렇게 하여 최초의 스위스 형제회중.

이 세워졌다 대적하는 사람들은 그들을 재침례파 라고 불렀

(Swiss Brethren) . (Anabaptists=re-baptizers)

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유아세례보다 믿는 자의 세례를 성경을 가르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이들 그룹이 점. 차 커지면서 쯔빙글리와 쥬리히 시의회는 놀라고 그들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시는 1526 년 그레벨과 맨즈를 감금했고 맨즈는 1527 년 물에 빠뜨려 죽음을 당했다. 박해에도 불구하고 재침례파 회중이 유럽전역에 세워 졌다. 당국이 이들을 박해함으로 오히려 재침례파의 확산은 가속화되었다. 마치 사도행전 8 장에 나오는 예루살렘교회 같이 핍박은 재침례파 회중들을 전 유럽지역으로 확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재침례파의 주요 가르침 재침례파는 하나의 연합된 집단이 결코 아니었다: . 그들이 겪는 심한 핍박이 그들을 산산이 분산되게 만들었다. 재침례파들이 주장하는 교리가 1527 년 그들이 채택한 슐레이다임 고백 (Schleitheim 에 담겨져 있다 이 고백의 핵심은 여섯 가지로되어 있다 침례는 오직 자신이 스스로 예수

Confession) . : 1)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고백하는 성숙한 사람만 받을 수 있다. 2)부도덕하게 사는 사람들에게 성찬식 참여를 금지시킨다. 3)오직 침례 받은 사람들만 성찬식에 참여 할 수 있다. 4)세상의 악과 더러움으로부터 분리된 삶 을 살아야한다. 5) 전쟁이나 군복무참여를 거부한다. 6) 인위적인 맹세나 충성을 맹세하는 일과 같은 것을 거 부한다 재침례파는 성찬식의 의미를 오직 상징적인 것으로 이해하였으며 종교적 자유를 분명히 믿었고 교회. 와 정부의 분리를 믿었다. 이런 그들의 견해 때문에 많은 재침례파교도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그들은 계속 그들의 전도사역을 계속해나갔다. 재침례파를 이끈 지도자가운데 바드살 흠마이어 가 있었는데 그는 여러 로마 가톨릭 대학에서 신학을 가르치는 학자였는 (Balthasar Hubmaier. 1481-1528)

1525 년 그는 재침례파의 교리를 받아들이고 자신이 문서들을 인쇄하여 재침례파 교리를 보급하였다 박. 해로 인해 쥬리히를 떠나 그는 모라비아 (Moravia) 로 가서 전도활동을 하였는데 한 해 동안 6000 명에게 침례를 주었다. 로마교회와 당국의 끊임없는 추적으로 그는 체포되었고1528 년 비엔나 광장에서 화형 당하 였다.

(17)

교회와 국가가 서로 완전히 독립된 역할을 가졌다고 보는 유형

3. (Church and

state assigned mutually exclusive roles)

교회를 사회로부터 완전히 구분시키고 독립시키려는 입장으로 여기에 속하는 자 들은 도피적 기독교인들 (Christian Isolation) 과 세속주의자들 (Secularists) 이 있 다.

현재도 극단적인 경건주의에 속하는 애미쉬 (the Amish), 퀘이커도(Quakers) 메노나이트 (Mennonites) 들과 같은 이들은 세상의 영향으로부터 자신들을 철저히 차단한 체 자신들만의 공동체를 꾸려가고 있다 정부의 일에 일체의 참여를 거부한. 다.

세속주의자들도 종교는 공적인 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며 철저히 개인적 차원 개( 인의 문제. private dimension) 으로 국한시킨다 세속주의자들은 언제나 종교의 사. 회에 대한 영향력을 차단시키고자 한다 세속주의자들에게 있어. “옳고 그름” 은 여 론이나 대중의 다수의견으로 결정되고 사회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회와 국가는 상호존중의 관계에서 독립된 책임 역할 을 가지고 있지만 권위와

4. ( )

영향력을 주고받는다는 유형 (Church and state have distinct spheres of responsibility but with mutual respect and negotiated authority and influence)

이 네 번째 모델이 가장 좋다. 교회와 국가는 분리되어있지만 상호 존중하며 자 신의 고유의 책임을 감당할 뿐 만 아니라 때로는 권위와 영향력을 주고 받는 관계 로 설명한다.

예수님과 사도들의 예를 보면 그들이 적극적인 사회 활동을 하거나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 한 것을 거의 찾아 볼 수 없는데 세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하나님과 인간의 수직적 관계 그리고 영적 차원은 인간과 인간사이의 수평, , 적 관계나 일시적 한시적 차원의 것 보다 우선하기 때문이었다 인간과 인간을 화( ) . 목하게 하는 일이나 삶의 형편이나 환경을 개선하는 일 은 중요하지만 한시적이다.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화목 그리고 인간으로 영원을 준비하는 일을 더 중요하게 보 셨다.

둘째 새로운 인간만이 새로운 사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

(18)

셋째 예수님과 바울은 특별한 삶의 목적을 갖고 계셨기 때문이다 주님은 세상에, .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 하기 위해 오셨다고 말씀하셨고 눅 언제나 보

‘ ’ ( 19:10) ‘

내심을 받은 자’ (요20:21) 로 자신에 대해 이해하셨다 사탄은 주님의 이런 삶의. 목적을 흔들어 놓고 우선순위에 변화를 주기 위해 세 번이나 유혹을 하였다 바울. 도 이방인의 사도로서 이방인들의 구원이라는 구체적인 생의 목적을 갖고 있었다.

바울 생의 목표는 부패한 로마제국을 개혁하는 것이 아니었다 주님도 로마제국의. 개혁이나 갱신보다 로마 제국 안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을 영적으로 변화시키시 길 원하셨다.

국가의 역할은 시민을 보호하고 때로는 힘과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공공의 선( ) 유익 을 증진 해 나가야 할 책임이 있다 교회 역시 공공의 선 유익 을

( ) (promote) . ( )

도모해야 할 책임을 갖고 있다 그 책임을 교회는 주로 영적인 수단 즉 전도 가르. , 침 구제 봉사와 같은 것들을 통해 감당해 간다, , .

이 같은 구도 속에서 국가는 교회가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감당 나가는데 구속 이나 제한을 가해서는 안된다 특별히 도덕과 윤리적 이슈들에 대해서 국가는 교회. 의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 교회 또한 국가를 향해 자신들만의 권리를 요구해서는. 안되고 어떤 혜택을 받기위해 국가와 타협하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

국가와의 관계에서 교회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회는 사회 속에서 그 어떤 일보다 영적일에 우선순위를 가져야 한다 교, . 회의 첫째가는 사명과 역할은 어두움 가운데 살고 있는 자들을 빛 이신 예수 그리 스도께로 인도하는 영적 책임을 갖고 있다 사탄의 왕국으로부터 사람들을 빼내어. 하나님의 왕국으로 들어가게 하는 책임을 갖고 있다.9) 세상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받은 새로운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책임과 역할을 가지고 있 다 교회의 사회활동이나 참여. (social action/involvement) 는 여전히 중요하지만 이차적이다.

사람이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근본적으로 변화되지 않으면 그의 사회참여나 활동도 결국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는 인간적 수고와 노력으로 끝날 수 있다 교. 회는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구원받아 성령의 인치심을 받고 하나님의 뜻을 세상에 서 감당할 헌신된 새로운 하나님의 백성들의 공동체 교회 를 세워가야 한다 지상( ) .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오신 목적과 사명에 자신을 맞추어 살아가야 하며 세상에 교회가 존재하는 목적을 잊지 않아야 한다.

9) 이스라엘과 이방인들에게서 내가 너를 구원하여 저희에게 보내어 그 눈을 뜨게 하여 어두움에서 빛으로 샂 , 단의 권세에서 하나님께로 돌아가게하고 죄 사함과 나를 믿어 거룩케된 무리 가운데서 기업을 얻게 하리라 하더이다 행”( 26:17-18)

(19)

둘째 교회는 사회를 향해 예언자적 사역, (prophetic ministry)을 감당해야 한다. 사회가 안고있는 특정한 이슈들에게 대해 하나님의 대리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이슈들을 언급할 때 상세하게 구체적으로 언급해 주어야 하며 예언자적 사명. 을 감당할 때 조심해야 할 것은 그 이슈들이 너무 광범위하고 다양한 것보다 성경 과 직접 대치되는 이슈들에 국한 시키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국방예산의 과다”, 독도 문제 한미관계 등과 같은 이슈보다는 좀더 성경적으로 대치되는 문제들

“ ”, “ ”

에 대해 예 낙태 자살 동성애( : , , ...) 예언자적인 소리를 내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이 옳다.

셋째 공동체로서 교회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그리스도인 각 개인의 책임과 역할도, 중요하다 그리스도인들은 주님과 바울의 삶이 보여준 예를 따라 더 중요한 것 영. ( 적인 것 들에 대해 우선적으로 책임을 감당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인간이 하나님과) . 화목할 수 있도록 복음전하는 일에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한다 내 자신과의 하나님. 과의 관계를 늘 점검하며 살전( 4:11-12, 살후 3:10) 가정을 돌아보는 책임을 다하 며 신( 4:9-10, 11:18-19, 잠 13:24, 22:15, 엡 6:1-4,딤전 5:8), 믿음의 형제자매 를 돌아보는 책임 갈( 6:10), 그리고 이웃을 돌아보는 일 등을 해 나가야 한다.

넷째 그리스도인들의 대 사회적 책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성경은 사회의 구성원으, . 로서 그리스도인들이 갖는 몇 가지 중요한 책임을 언급하고 있다.

로마서 절은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굴복하라 권세는 하나님 1) 13:1 “

께로 나지 않음이 없나니 모든 권세는 다 하나님의 정하신바라“ 라고 말씀하고 있 다 참고 딤전( : 2:2).

롬 절은 그리스도인들은 국가의 법과 권위에 따를 책임을 갖고 있 2) 13:1-10

음을 말씀하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국가에 세금을 낼 의무가 있다 롬

3) ( 13:6).

그리스도인들은 정의실천 공의실천 과 자비를 행할 책임을 갖고 있다 특히

4) ( ) .

연약한 자 가난 한 자 소외 된 자들에 대한 거룩한 책임을 갖고 있는데 마태복음, , 장 절은 여기에 대해 구체적인 가르침을 주고 있다 마지막 날 주님이 우

25 31-46 .

리를 심판 하실 때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 을 보고 상벌을 주시겠다고 말” 씀하신다 마( 25:40, 45).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공의 와 자비 를 제대로

5) (justice) (mercy)

실천해 나가기 위해 말씀을 구체적으로 공부하는 과정에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발견해 나가야 한다 성경이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삶과 실천의 교과서. (textbook) 가 되어야 한다 성경을 공부할 뿐 아니라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사회가 어떤. 형편과 환경에 놓여있는지 파악해 나갈 필요가 있다.

(20)

그리스도인들은 투표 를 통해서 하나님 앞에서의 자신의 사명과 역할

6) (vote)

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 투표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 하나님의 공의와 뜻. 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성경적인 확신과 정책을 갖고 있는 후보들을 후. 원하고 지원하는 일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자신들이 믿는 바와 확신을 개인적인 대화 편지 기고 글

7) , , , ,

설교를 통해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이 때로는 비 폭력적인 표현의 수단 행진 침묵의 시위 을 통해

8) ( , )

자신의 확신과 목소리를 낼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때로 성경적 가르침과 위배되는 이슈들에 대해 법적인 대응 9)

을 할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기 위해 특별한 직업 직장

10) ( )

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면 의사 사회복지사 정치인 변호사 교사. , , , , ... 와 같 은 직임을 통해 전략적으로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를 실천 해 나갈 수 있다.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국가의 사명과 역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정부 국가 권력 을 세우신 이는 바로 하나님이신데 하나님은 이들을 통해 당신( . ) 의 뜻을 이루어 가길 원하신다 롬( 13:1).

첫째 사회에 존재하는 악, (evil)을 규제하고 처벌하는 일이다 인간이 갖고 있는. 죄성 (sin nature) 은 끊임없이 죄를 조장하고 시민들을 위협하고 있다 국가는 시. 민들을 위협하는 범죄나 악들을 규제하고 처벌하여 시민들을 안전하게 지키며 보호 하는 책임이있다.

둘째 복지를 증진시키는 일이다, . (promoting human welfare. 롬 13 장 벧전. 2 장). 시민들의 필요들을 제공하고 자유나 인권이 제약되거나 침해되지 않도록 보호 해야 한다

참조

관련 문서

따라서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 가?”라고 묻는 것이 오히려 더 긴급한 일이다.. 이 질문에 대해 간단히 대답하자면 성경을

여섯째, 한국에 대한 관심은 특히 전문적 분야에서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 다. 일곱째, 스웨덴 사람들은 재즈, 기타, 앙상블 등 소규모 문화에 대한 수요도 크기 때문에

이 실험에서,본 연구자는 누드마우스와 같은 종양 동물 모델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neonatalratki dneycel l 을 EA1으로 불멸화시킨 RK3E cel l 을

이에 반해 열분해 모델의 경우, 열방출율과 질량 감소율을 직접 계산하기 때문에 콘칼로리미터 실험이나 TGA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분석의 선행 실험 없 이

학년단위와 주제중심의 전문적학습공동체와 연계한 학교 문화 속에 연수 시간을 부여받고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계기를 마련함.... 이

우리나라는 태풍 및 장마와 관련된 중규모 악기상에 의한 피해액이 전체 자연재해 의 90%를 상회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증가 추세에 있다.이

본 연구에서는 레귤레이터의 주요 설계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거동 특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모델링 한 후 , 이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 기

• 이론가설 수립 à 자료 수집à모델 설정 à통계분 석을 통해 모델의 적합성과 타당성 검정 à 회귀계 수 산출 à 모수 추정.. • 모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