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Annddrreeww TThhoorrnnlleeyy - interview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AAnnddrreeww TThhoorrnnlleeyy - interview"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

A nn dd rr ee ww TT hh oo rr nn ll ee yy

대담 | 손정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공학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도시계획학 석사),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도시계획학과(도 시계획학 박사)를 졸업하고 감정평가연구원, 지방행정연구원 초빙연구원, 중부대학교 도시공학과 강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런던 정경대 지리 및 환경학과에서 계약교수로, 경제지리학, 공간과 사회,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등을 강의중이다.

발표 논문으로는‘포스트포드주의 지역개발론을 향하여’, ‘The historical geography of innovations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s(박사학위 논문)’,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proximity’, ‘Making Habermas do what he is not good at’등이 있다.

앤드류 쏜리(Andrew Thornley)는 현재 런던정경대(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의 도시계획전공 석박 사과정 주임교수다. 도시계획을 연구하는 정치사회학자로 자처하는 그는 도시계획을 정치와 시장의 상호작용 속에서 파악하는 연구를 꾸준히 해왔다. 도시성장의 정치, 환경규제, 도시계획의 이념 등의 주제를 다루어왔고, 최근에는 비교연구에 관심을 기울여 유럽 각국의 계획체계 비 교연구, 그리고 여러 세계도시들의 통치체제에 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Andrew

Thornley

(2)

손정원(이하‘손’):인터뷰 요청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앤드류 쏜리(이하‘쏜리’):한국의 독자들과 대화할 수 있게 된 것을 영광 으로 생각합니다.

손:교수님이 쓰신‘대처주의하에서의 도시계획’은 널리 읽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책에서 교수님은, 영국의 도시계획은 대처주의를 전후로 확연히 구분된다고 하셨습니다. 대처주의 이전의 정치이념, 흔히 전후합의라고 부르 는 이념은 어떤 것입니까?

▶▶쏜리:1979년은 정치사적 분기점이었습니다. 대처 수상은 선거 때부터 아 주 다른 이념을 표현하였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영국정치의 근간이 되 던 이념과는 아주 다른 신우파이념이었습니다. 전후합의에 따르면 국가가 교 육이나 보건문제와 같은 문제들을 책임지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도시계획 도 복지국가의 기능 중의 하나라고 보았습니다. 계획이 가지고 있던 이런 기능 을 부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지요. 또한 계획의 목표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도 대체적인 합의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로 계획은 도시의 효율성을 높이고 외 부성 문제를 해결하는 등 경제적 목표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두 번째로 환경과 관련된 목표도 있었는데, 그것은 경관을 미화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세 번째로 계획은 빈곤의 문제, 사회불평등의 문제 등을 해결하는 사회적 목표도 갖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런데 대처의 신우파 이념은 이와 같은 합의를 부정 하였습니다. ‘계획이 꼭 필요한 것일까?’이런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 것이죠.

- i n t e r v i e w ∙ A n d r e w T h o r n l e y

앤드류 쏜리: 도시계획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연구

대담, 정리|손정원(런던정경대 지리 및 환경학과 계약교수)

손정원

(3)

Andrew Thornley:

Political Sociology of Urban Planning

Andrew Thornley

Jung Won, Sonn(‘Sonn’): Thank you for accepting my request for this

interview.

▶▶Andrew Thornley(‘Thornley’): Thank you for interviewing me. What a privilege to talk to a Korean audience.

Sonn: In your widely read book, Urban Planning Under Thatcherism, you

argue that Thatcherism marks a relatively clear divide from the post-war consensus. Would you please explain wha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ost- war consensus are?

▶▶Thornley: In 1979, a major change in politics occurred. Mrs. Thatcher

presented a very distinctive ideology during the election, a new right ideology that was very different from the way post-war British politics had worked. Post- war consensus maintained that the state should undertake certain social responsibilities, such as health care and education. Planning was an extension of this way of thinking. Planning’s role in society was to fulfill part of the welfare state. Nobody questioned these functions. And it was also agreed that planning had a number of different objectives to accomplish. First of all, planning had economic objectives, such as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ities and dealing with market externalities. Secondly, planning had environmental objectives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landscape. Finally, planning had social objectives

(4)

따라서 대처주의가 등장한 이후, 계획가들은 자신들의 활동이 어떻게 사회에 도움이 되는지를 정당화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습니다.

손:그렇다면 대처주의의 특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십시오.

▶▶쏜리:대처주의 이념은 두 가지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자유시장입니다.

‘규제를 철폐함으로써 시장을 활성화하자’는 것이 대처주의의 기본적인 원칙이었습니다. 이 원 칙은 도시계획에도 적용되었습니다. 대처주의는 개발업자들에게 큰 자유를 주었고 도시계획상 의 규제들은 크게 완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계획의 역할도 변화하게 됩니다. 우선 계획의 사 회적 역학이 사멸하게 되었습니다. 대처정부는 성장이 극대화되면 성장의 파급효과에 의해 사 회적 목표들이 저절로 달성된다고 보았습니다. 계획을 통해서 직접 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용인 되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변화로 환경기능도 약화되었습니다. 경제성장이 더 중요하다고 보았 기 때문이죠. 하지만 임기말에 이르러 환경기능은 약간 되살아났습니다. 환경문제가 시장을 통 해서 제대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해졌고, 대처정부도 직접개입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 었던 것이죠. 이러한 변화는 유럽공동체에 의해 강제된 측면도 있습니다. 대처 임기말에 유럽 공동체는 지속가능성 등 환경문제와 관련된 지침을 통과시켰습니다. 대처정부는 그 지침을 따 라야만 했습니다. 물론 환경에 대한 직접 개입은 대처주의의 기본원칙과 어긋나는 것이었습니 다. 결국 대처집권 말기로 갈수록 대처주의 이념의 일관성은 약해졌습니다.

두 번째는 대처주의가 권위주의였다는 사실입니다. 시민참여와 민주주의에 관한 강조가 줄 어들었다는 것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지방자치단체의 힘이 줄어들었다는 점 을 지적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대처정부가 만든 도시개발공사의 경우, 지방정부의 통제 를 받지 않았습니다. 시민참여도 많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이전 시기에 도시계획법을 통해 보장되었던 여러 가지 참여기회들이 대처정부에서는 많이 제한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대처 정부는 더 많은 자유를 시장에 주었고, 민주적 참여는 줄였다고 보면 됩니다.

손:대처주의 도시계획의 예를 하나 들어주시겠습니까?

▶▶쏜리:도클랜드 개발공사의 경우가 좋은 예입니다. 도클랜드 지역은 런던시정부의 관할로 부터 분리되어 도클랜드 개발공사라는 조직으로 이관되었습니다. 도클랜드 개발공사의 임원은 중앙정부가 임명하였는데, 실제로 임원이 된 사람들은 거의 사기업 출신자들이었습니다. 개발 의 한계가 없고, 개발업자들은 공공계획을 신경쓸 필요 없이 자기 마음대로 개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대처정부는 전달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또 개발업자들이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 예산으로 토지개발을 해주었습니다. 도클랜드 개발에서 긍정적인 점을 찾으려고 한다면 개발

- i n t e r v i e w ∙ A n d r e w T h o r n l e y

(5)

to deal with poverty and equalisation as well. These objectives were generally accepted by the public during the post-war era. The Thatcherite new right ideology questioned this consensus. It raised the theory that “Maybe we don’t need any planning.”As a result, for the first time planners had to justify their role.

Sonn: Then what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hatcherist ideology?

▶▶Thornley: There are two dimensions in Thatcherist ideology. The first one is free market. “Bring up the market by removing restrictions”was a general motto that applied to every sector of economy. The sector that affected planning the most was real estate development. Under Thatcherism, developers were given freer hand and planning regulations were to be removed. What that meant was that the role of planning changed. In essence, the social role of planning was removed. Under the Thatcherite approach, social goals would be achieved by maximized growth and trickle-down effects. The idea of directly using planning as a means toward social ends was no longer accepted. The environmental function was also downgraded because economic growth was more important. Toward the end of the Thatcher period, however, the long- term dimension of environmental issues became difficult to deal with. Intervention had to be considered rather than waiting for the trickle-down approach to take effect. The pressure to change the environmental dimension came from the EU as well. The EU passed environmental directives that the UK had to follow.

Those directives mostly concerned sustainability and other environmental issues that had to be incorporated into British practice. But thoese directives were rather contradictory to the Thatcherist ideology. As the British government started tak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Thatcherist ideology became less coherent.

The second dimension of Thatcherism was authoritarian in nature. That meant that there was less emphasis upon participation and local democracy. More specifically, throughout the Thatcherite period, there was withdrawal of power from local agencies. The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for example, were not part of the local democratic process. They were completely removed from local governments’

authorities. Another impact was the reduction of participation. General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which had earlier been embedded in planning legislation, were restricted. In sum, Thatcherism’s effect on planning meant greater market freedom and less democratic participation within the overall planning process.

Sonn: Can you give us an example of Thatcherist urban planning?

▶▶Thornley: London Dockland Corporation was a good example. That area of London was removed

(6)

이 빨리 이루어졌다는 것이겠지요. 지방정부가 개입해서 민주적 참여를 강조하고 공공시설의 확보를 강제했다면 개발은 아마 훨씬 오래 걸렸을 겁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큽니다. 첫 번째 문제는 부문 간의 협조가 성사되기 어려웠습니다. 예를 들자면 건물은 들어섰는데 교통시 설이 완비되지 않은 일이 발생했습니다. 종합적인 계획 없이 개발을 하다 보니까 교통당국, 개 발업자, 계획당국 간의 협조가 힘들었던 것이죠. 두 번째 문제는 도시설계의 부재입니다. 이질 적인 기능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뒤섞이게 됨으로써 그리 매력적이지 못한 환경을 창출하고 말았습니다. 세 번째 문제는 지역사회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입니다. 민주적인 절차 없이 진행 된 개발이었기 때문에, 기존 주민들은 자기 동네에서 밀려나는 것처럼 느끼거나 자신들의 필요 와는 아무 상관없는 개발이었다고 느끼게 되었습니다.

손:’영국의 계획’이라는 책에서 교수님께서는 당시 새로 집권한 블레어가 내놓은 신노동당 노선과‘제3의 길’에 대해 큰 기대를 나타내셨습니다. 신노동당 노선하의 도시계획은 대처주의 도시계획과 어떻게 다릅니까?

▶▶쏜리:선거기간 중에 토니 블레어에게 가장 중요했던 것은 선거에서 이기는 것이었습니다.

보수당이 18년간 권력을 독식해왔기 때문에 노동당으로서는 이제는 꼭 이겨야 한다는 절박한 마음이 있었겠죠. 그래서 블레어 선거캠프에서는 전통적인 노동당 지지자뿐 아니라 중산층이 들어도 듣기 좋은 선언문을 작성하게 됩니다. ‘합의’가 그 중심개념이었습니다. 또한 기업을 안 심시키기 위해 노동당이 이제는 경제성장도 책임진다는 내용도 선언문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 리고‘신노동당’이라는 명칭도 쓰기 시작합니다. 노동자들만의 지지를 받았던‘구노동당’에서 탈피하여 모든 계층과 계급에서 지지를 받는 정당이 되기 위해서‘신’노동당임을 강조한 것입 니다. 선거에서 이긴 후에 노동당은 듣기 좋은 선거용 수사로서의‘신노동당’을 넘어서 철학적 이고 이념적인 바탕이 필요하다고 느끼게 되었습니다. 당시 학계에서는 앤서니 기든스가 이미 제3의 길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기든스가 노동당 안팎에서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고, 노 동당은 제3의 길을 이념으로서 채택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제3의 길 노선이 채택되기 전, 이미 1987년 선언문에서도 노동당은 대처주의에 도 전하기 시작했습니다. 첫째로, 대처주의는 개인을 강조했는데 선언문은 이를 비판하였습니다.

대처 수상은“사회라고 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개인들과 가족들이 있을 뿐이다”라고 했지 요. 반면에 신노동당은 공동체를 강조합니다. ‘타인에 대한 나의 책임’이 중요하다는 것이죠.

따라서 블레어가 내놓은 많은 정책들이 공동체를 강조합니다. 블레어는 시민참여와 지방 민주 주의도 강조했는데, 이 또한 공동체주의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블레어 노선에서는 환경도 중시했습니다. 대처정부도 말기에 이르러 환경문제에 신경을 쓰 - i n t e r v i e w ∙ A n d r e w T h o r n l e y

(7)

from the local authorities’auspices and put into a new organisation called Dockland Development Corporation. This corporation was run by people who were appoi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y were largely business people. The idea was to promote the area to developers and investors with the message that no limit restrictions would be imposed and that businesses could carry their own plans forward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public planning’s intervention. Also, the government’s money was put toward the development of land so that the site was th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plans and schemes of the developers. On the positive side, you could say that development, therefore, happened fast. It might haven taken much longer had the local authorities been involved and pursued other objectives, such as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the provision of community facilities. Certain problems, however, arose as a result of that rapid development. One was the lack of coordination between different development actors.

For example, the transportation system was not in place in time because no broader plan to coordinate transportation division, developers and local planning agencies existed. The second problem that arose was lack of any urban design planning. Various developments were juxtaposed, so the area lacked the potential for becoming an attractive urban environment. The third problematic aspect was the impact this rapid development had on local communities. Because there was no local democracy, their wishes and needs were removed from the process. As a result, a lot of bad feelings arose, such that local residents were being pushed out of their own area and that their needs were not being met.

Sonn: In your book, Planning in the UK, you express some hope for the New Labour and the Third Way

as represented by Tony Blair, who was beginning his term at that time. What distinguishes New Labour urban planning from Thatcherist urban planning?

▶▶Thornley: When Tony Blair was running for office, his sole aim was to get elected. We had had

conservatives in power for eighteen years and so it had been a long time since the labour had won an election. Hence, it was extremely important for them to win. The strategy of that election was to please everyone. So, Blair’s platform was very much a consensus-oriented manifesto that appealed to a wide cross-section of people, particularly the middle class as well as the traditional labour supporters. He had to convince business too that labour was now responsible for economic growth. Hence, they started to call themselves the New Labour. “New”was very important to their title because in order to create a broad cross-section of support, they had to get away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the Labour Party as merely being the party of workers. After winning the election, the Labour Party decided that they needed some kind of philosophy or ideology instead of this pleasing-all rhetoric. As they searched for some kind of

(8)

- i n t e r v i e w ∙ A n d r e w T h o r n l e y

긴 했습니다만, 블레어정부는 환경문제에 더 큰 정성을 기울이게 됩니다. 경제성장에 대한 관 심의 측면에서는 블레어와 대처가 마찬가지입니다. 어찌 보면 세계화 때문에 블레어가 경제성 장을 더 강조했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블레어가 당선되었을 당시가 바로, 세계화가 정치적 인 구호로서, 또한 구체적인 개념으로서 떠오르고 있을 때였거든요.

결국 신노동당의 이념이라는 것이 공동체도 중요하고, 환경도 중요하고, 경제성장도 중요하 다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모순이 발생합니다. 환경보호를 중시하다보면 경제성장에 장애가 오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공동체주의적 견지에서 사회적 필요를 해결하려고 하다보면 정부가 시장에 개입해야 할 필요가 생깁니다. 블레어는 성장이 빈곤문제를 저절로 해결해주지 는 않는다고 보았으니까 정부가 개입할 수밖에 없는 것이죠. 이런 이질적인 이념들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라는 문제에 해답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제3의 길입니다. 제3의 길은“사회주 의와 대처주의의 중간이 아니고 완전히 새로운 것이며, 세계화, 사회의 다원화, 위험사회에 대 응하는 새로운 방식이다”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었습니다. 제3의 길 노선은‘합의’를 중시합 니다. 관계자들이 모여 토의를 하다보면 공통분모를 찾을 수가 있다고 본 것입니다. 이것이 제3 의 길에 기반한 블레어 정부의 정치철학이었습니다. 어찌 보면 협력적 계획이론도 이런 정치철 학과 관계가 있죠.

손:블레어가 집권한 지도 이미 7년이 지났군요. 블레어정부의 도시정책을 되돌아보면, 어떤 평가를 내릴 수 있으시겠습니까?

▶▶쏜리:블레어정부는 새로운 화두를 내놓았습니다. 공동체주의, 참여민주주의, 지속가능한 발전 같은 화두들 말입니다. 시민들이 계획과정에 좀 더 많이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은 확 실합니다. 계획과정에서 시민들의 목소리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는 뜻입니다. 또한 새로운 환 경전략도 많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블레어정부 이후 우리는 활발한 토론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건 블레어의 공헌이죠. 하지만 활발해진 토의의 결과물들이 완벽하게 실행되고 있다고 보기 는 힘듭니다. 도시화의 압력이 더 거세졌고, 도시 간의 경쟁도 격화되고 있기 때문에 여건이 더 나빠졌다고 볼 수 있죠. 어쨌든 블레어정부가 활성화시킨 사회적 토론 덕택에 다른 종류의 계 획이 나오고 있는지에 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할 듯 싶습니다.

손:마지막으로 교수님의 최근 저서, ‘세계도시 계획하기’와 관련된 질문을 하나 드리고 싶 습니다. 세계도시인 뉴욕이나 런던이 세계도시가 된 것은 세계경제의 변화과정이지, 계획가들 이 세계도시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했기 때문은 아닌 듯 합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많은 도시계 획가들이 자신의 도시를 세계도시로 만들기 위해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세계도시라는 지

(9)

ideology, they encountered “The Third Way”idea, which was written about by Anthony Giddens. He had marched in the Labour Party’s network around labour party and as a result, the Labour Party picked up on his notion’s value.

But I would say, even before this, in the manifest of 1987, they had already started to challenge certain things from the Thatcherist past. First of all, they challenged the individualism aspect of Thatcherism. Mrs.

Thatcher said, “There is no such thing as society, only individuals and their families.”The New Labour challenged that assertion and promoted the concept of community in its stead, saying, “The responsibility to other people in society, beyond yourself, is important.”Many of the policies suggested by Mr. Blair stressed community. Mr. Blair’s emphasis on participation and local democracy can be seen as a part of communitarianism.

Also, environment was an important part of Blair’s view, too. The environmental issue had been coming back into play toward the end of the Thatcher Administration, but it was strengthened under the New Labour regime. Economic growth continued to be an essential ingredient, even more so under globalisation. When Blair was elected, globalisation had started coming on as a specific political agenda.

The New Labour regime would say, “Globalisation is inevitable; we must react to that.”

As a result, they had an ideology in which community is important, environment is important, and economic growth is important. This threefold emphasis created a problem because strong environmental protection quite often harms economic growth. At the same time, we have to deal with social needs from a communitarian perspective. This might involve direct intervention because another challenge the labour government posed to Thatcher’s approach was that the trickle-down strategy doesn’t work. A social agenda and an environmental agenda exist, but they are often in conflict with each other. How then are they all put together? That is where the Third Way ideology was supposed to solve the problem. The Third Way said, “Right, this is not socialism, not Thatcherism, but something new. It is not the middle but something different in its response to globalisation, diversity in a society that is not a class society anymore, response to the risk society.”This political approach is very much based on the idea of a consensus. That is, that through a consensus, with everyone talking around a table, you can actually find common agreement. So, under this approach, they would not agree economic growth is against environment or social welfare. In other words, a way to put all the interests together could be found. And that is the philosophy the Blair government drew from the Third Way. Collabourative planning theory very much revolved around it, too.

(10)

- i n t e r v i e w ∙ A n d r e w T h o r n l e y

위를 전략적 목표로 삼고 계획을 세우면 세계도시를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십 니까?

▶▶쏜리:완전히 불가능하지는 않겠죠. 그렇지만 세계도시가 되는 것을 계획의 유일한 목표로 삼아서는 곤란할 것입니다. 첫째로, 제가 뉴만과 함께 쓴 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세계화라는 것은 각 나라마다, 도시마다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특히 지역적인 맥락이 중요합니다. 서울의 경우에는 동아시아지역이 되겠죠. 지역은 세계화라는 흐름을 걸러 주는 구실을 합니다. 따라서 뉴욕이나 런던을 흉내내는 것만으로는 세계도시를 만들어낼 수 없 을 것입니다. 두 번째로 세계도시는 부정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최근의 계획가들은‘세계도시’를‘경쟁력 있는 도시’와 같은 것으로 보지만, 세계도시는 사회 적 균등, 환경상의 문제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세계도시가 되는 것만을 목표로 삼으면 사회 적, 환경적 문제들이 많이 생길 것입니다. 세 번째로 세계도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그 도시 의 역사, 그 도시의 문화, 그리고 국가적 상태에 의해 크게 영향받습니다. 따라서 세계도시보다 는 지역중심도시가 되는 것을 추구하는 것이 훨씬 현실적인 경우도 많습니다.

Andrew Thornley의 주요 저서

Newman, P. and A. Thornley, 2005, Planning World Cities: Globalization and Urban Politics, Palgrave

Kreukels, A. and A. Thornley (eds.), 2003, Metropolitan Governance and Spatial Planning: Comparative Case Studies of European City-Regions, Spon

Saito, A. and A. Thornley, 2003, Shifts in Tokyo’s World City Status and the Urban Planning Response Urban Studies, 40 (4) Thornley, A. and P. Newman 1996 Urban Planning in Europe: International Forces, National Systems and Planning Projects,

Routledge

Thornley, A, 1993, Urban Planning under Thatcherism: The Challenge of the Market, Routledge Thornley, A. (ed.), 1992, The Crisis of London, Routledge

Montgomery, J. and A. Thornley (eds.), 1990, Radical Planning Initiatives: New Directions for Urban Planning in the 1990s, Gower

(11)

Sonn: Now that you have observed Blair’s urban policies for more than seven years, how do you

evaluate urban planning under the New Labour regime?

▶▶Thornley: They certainly opened up a new agenda: communitarianism, participatory democracy, and

sustainability. We have seen new approaches developing and people are more involved again in planning issues. Now, it is possible for people to voice their opinions. Also, we now have a number of environmental strategies, so we definitely have more lively debates as a result of Blair’s election. That is Blair’s contribu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with the increasing pressures of urbanisation and intercity competition, the debate is not leading to full-scale implementation. Anyhow, we still need further research before we can say for certain whether the debate feeds different kinds of implementation.

Sonn: Finally, I would like to ask a question related to the topic of your latest book, Planning World

Cities. Global cities such as London and New York are global cities not because planners pursued it but because the world economic system and the cities’histories happened that way. However, nowadays, many cities and their planners try to achieve the status of a “global city”through urban planning that is specifically geared for that purpose. Do you think it is possible to create a global city if planning strategically pursues it?

▶▶Thornley: It is possible to promote it. However, promotion of a global city should not be the sole aim

of a city’s strategic planning. First of all, as I showed in my latest book, which was coauthored by Newman, globalisation is not a unitary force that sweeps all countries and cities. In particular, regional context?East Asia in Seoul’s case?functions as a filter of global forces. Therefore, simply mimicking New York or London would not bring about the expected results. Secondly, a planner should not forget that the global city has negative aspects with it as well. A global city is now seen by planners as a sign of competitiveness but it also creates problems within social equity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if being a global city becomes the sole goal, a city would not be able to prevent other problems from arising. Thirdly,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global city is shaped by history and culture of the city and national context. In many cases, it would be more realistic to pursue a regional centre rather than a global city.

참조

관련 문서

세르비아인들은 이웃의 보스니아 사람의 추수를 도와주었으며, 어린 시절에는 함께 뛰어 놀았고, 강에서 함께..

Interview ①프레쉬다이렉트(Fresh Direct) Interview ②트라이브마켓(Thrive Market) Interview

Key Words: Carbon tax, labor migration, tax regime, welfare effect, fossil fuel demand,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double dividend hypothe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Inglehart, Ronald and Christian Welzel, “Political Culture and Democracy: Analyzing Cross-Level Linkages.” Comparative

The University of Seoul was founded in 1918 and has provided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the intelligent, motivated, and creative scholars. As a public

The Japanese government and urban planners of the Chinese democratic government adopted a modern urban planning theory (composition of residential areas and green belts,

I am very happy to invite you to the First World Congress of Security Studies (WCSS) hosted by the Research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RINSA) at Korea National

Five Cities: Modeling Asian Urban Population-Environment Dynam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