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 회 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개 회 사"

Copied!
13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5)

안녕하십니까?

먼저 대한민국 도시공원 미래를 그려보고자 하는 자리에 멀리서 참석해주신 길레르모 페날로사 니콜 콜롬브 케서린 나이젤 케서린 베넷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 드, , , 립니다 또한 조세환 한국조경학회 회장님 박양호 국토연구원 원장님을 비롯하여 본. , 심포지엄을 준비해주신 관계자 여러분과 토론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무엇보다 바쁘신 와중에도 본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하여주신 여러분 모두에게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저탄소와 녹색성장의 시대에 들어 우리 국토와 도시는 새로운 변신과 가치를 모색하 고 있습니다 크게는 기후 변화와 전 지구적 환경 변화의 차원에서 작게는 문화와 자. , 연이 함께하는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차원에서 변화와 혁신은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탄소형 녹색도시 및 창조도시 등 새롭게 대두된 도시의 지향과 이념들은 대부분 도 시에서 자연과 그린인프라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공. 통적으로 도시 내에서의 녹색 공간 도시공원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지난 시대 도시계획 시설의 일부로만 인식. 되던 공원이 다양한 소통과 창의의 장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배, 경에 문화와 자연의 가교라는 도시공원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이 있음을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도시공원은 비단 생태적 가치만을 넘어 사회적 실천의 차원에서도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도시 커뮤니티를 이루는 다양한 실행 주체들이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면서. 도시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 새로운 마당으로서 그 쓰임새가 새롭게 발견되고 있 는 것입니다 따라서 미래지향적이고 생산적인 도시공원의 모델을 다 함께 고민할 필. 요가 있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오늘 모신 연사 여러분들은 그러한 도시공원의 역할과 기능을 고민하고 나아갈 방향 을 모색해 오신 분들로 우리 도시공원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 모색을 같이 고민해 보 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오늘날 도시공원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저탄소 시대에 새로. 운 도시공원 전략을 탐색하고 새로운 지평을 모색해 보는 이 자리가 그런 면에서 뜻 깊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의 주제 발표와 토론 과정에서 창의적이고 발전적인 아이디. 어들이 많이 제시되어 우리 도시공원의 미래상을 모색하는데 든든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다시 한 번 이 자리를 준비하신 모든 분들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년 월

2010 11 국토해양부 도시정책관 김 병 수

축 사

(6)

- iv -

Distinguished guests from home and abroad!

First of all, let me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Guillermo Penalosa, Nicole Collomb, Catherine Nagel and Katherine Bennett, who have traveled long distances to participate in this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ture of the urban parks of Korea. I would like to express my appreciation to Se-hwan Cho, the Chairman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Yangho Park, the President of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nd all the staffs and discussants. More than anything else, I would like to thank all of you for your passionate interest to attend this international symposium.

The land and cities of Korea seek to transformation and values in the times of low carbon and green growth. Changes and renovations are underway in making cities more livable where culture and nature live together as well as in addressing climate changes and global environment changes on a larger scale.

Current trends and emerging issues such as low-carbon green city and creative city newly recognize the value of nature and green infrastructure within urban frame. This all eventually led to shed new light on the potential and possibility of the green spaces and urban parks in the cities. We are now seeing the evolution of parks from a part of urban facilities to locus of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and now is the time to take notice to the new function and role of the urban parks as the bridge between culture and nature.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is emerging not only in ecological value also at social practice level. Today, urban parks provide a new locus where various members of urban community carry out mutual exchanges and communicate to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life. It is time to consider together the future-oriented and productive model of urban parks. I earnestly hope that this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share the ideas on the new orientation of urban parks with distinguished experts in this field.

Today we can never emphasize too much the value of urban parks. This will definitely b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search new strategy and broaden the horizon of urban parks in the age of low-carbon development. I hope that the creative and innovative ideas presented in the session and discussion will pave the way for the future of the urban parks in Korea.

Once again, please allow me to extend a heartfelt gratitude to all the staffs for the great effort taken in organizing this symposium. Thank you.

November, 2010 Byung-soo Kim Director General for Urban Policy,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Congratulatory Messages

(7)

오늘 우리 한국조경학회와 국토연구원은 세기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에 우리나라21 도시공원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지평을 탐색하고 논의하기 위해 국 내외적 유명 전· 문가들과 또 여러분을 모시고 이 심포지엄을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주제를 발표. 하는 발표자와 토론자는 물론 바쁜 시간 가운데에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이 자리에 참석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특히 녹색의 시대를 맞이하여 선진적 국토창조를 위해 새로운 녹색정책을 개발하는, 등 부단하고도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국토해양부 김병수 도시정책관님 이, 원식 녹색도시과장님의 미래지향적 노정에 대해 큰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우리나. 라 녹색성장의 새로운 가치를 국토공간에 창출하기 위해 다양하고 심도 있는 연구를 진도 지휘하고 계시는 국토연구원 박양호 원장님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늘 이 심포지엄의 소재로 되고 있는 도시공원은 우리들의 단순한 일상의 공간을 넘 어 매우 도시전략적 가치의 공간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산업화시대의 과도하고 비. 생태적 도시화와 그 양상들은 과도한 화석연료의 오남용으로 인해 자원고갈 도시홍, 수 도시열섬현상 지구기후온난화현상 등의 환경적 문제와 도시민의 사회 문화적 총, , · 체적 삶의 질과 관련된 심각하고도 다양한 문제점들을 노정시켰습니다 도시에 산재. 되어 있는 공원은 이제 이러한 새로운 국면에 대응 할 수 있는 새로운 인식의 차원으 로 승화되어야 하고 그 구체적 전략적 목표와 실천전략과 수단을 모색하는 도시공원, 재생의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 국가정책개발의 문제로 다가왔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뉴욕의 센트럴 파크와 시카고의 밀레니엄 파크는 같은 도시공원이 지만 그 전략적 목표는 상이합니다 센트럴 파크가 세기적 공원으로서 도시와의 분. 19 리와 단절의 개념에서 출발하였다면 밀레니엄 파크는 도시와의 소통과 융합의 개념, 으로 특징됩니다 우린 이제 다시 소통과 융합의 개념을 넘어 도시와 저탄소 녹색성. , 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실천하는 새로운 양상의 공원으로 그 지평을 넓혀가고 진화해가야 할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오늘 국토연구원과 저희 학회에서 개최하는 이 국제심포지엄은 이러한 새로운 도시공 원의 패러다임과 그 전략적 실천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하기 위한 중요한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오늘 이 심포지엄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에 대한민국. 도시공원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지평을 모색하고 구축하게 되는 의미 있고 성과 있, 는 첫 단추 끼우기가 되길 소망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이 자리에 참석하신 모든 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이만 개회사에 가름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

년 월 일

2010 11 24 사 한국조경학회 회장

( ) 조 세 환

개 회 사

(8)

- vi -

Today we,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re here to search and discuss the new horizon of our urban parks in the era of low-carbon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with distinguished experts at home and abroad and all of you. Let me express my heartfelt gratitude to all the speakers and discussants as well as all of you for taking time out of your busy day to attend this symposium.

Especially, I would like to extend my deepest appreciation to Byung-su Kim, the Director of Urban Policy Department and Won-sik Lee, the head of Department of Green City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for their steady and passionate efforts for the advanced creation of national land in the age of green development. I also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Yangho Park, the President of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who is overseeing various in-depth studies to create new values of Korea’s green growth.

The urban parks that we are discussing here today, has repositioned itself from a casual space for everyday life into an important field of urban strategy. Excessive and non-ecological urbanization and its accompanying aspects caused serious and various environment problems such as depletion of resources, urban flood, urban heat island effect, global warming and many more; as well as the general level of the quality of urban life. It is time to transform the ideas on urban parks to address this new phase, and the revitalization of urban parks to search specific and strategic goals and practice strategy is emerging as urgent issue in national policy development.

The Central Park in New York and the Millennium Park in Chicago are both urban parks, but their strategic goals are different. While the Central Park started from the concept of separation and severance in the 19th Century, the Millennium aims for communication and coalescence with city. We are now living in an era of paradigm change in urban parks, which goes beyond concepts of communication and coalescence to support low-carbon green growth.

This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by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share various ideas on new paradigm in urban park and its strategic practice. I hope this symposium will make the significant and fruitful first step toward searching and establishing new horizon of urban parks of Korea in this low-carbon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Finally, let me express my sincere appreciation to all of you here today. Thank you.

November 24, 2010 Se-hwan Cho Chairman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Opening Address

(9)

안녕하십니까 먼저 오늘 도시공원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위한 국제심포지엄을 공동 주? 최하시는 한국 조경학회 조세환 회장님과 학회 회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동시에 귀. 한 시간 내어 참석해주신 국토해양부 김병수 도시정책관님과 관계관 여러분께 감사드립 니다 나아가 오늘 좌장을 맡아주실 서울시립대 이규목 교수님을 비롯한 발표자 및 토. 론자 여러분 그리고 참석해주신 내외귀빈 여러분께 환영과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주지하시다시피 이산화탄소배출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하여 전 세 계적으로 빈번한 기상재해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배출은. OECD 년 지역개발보고서에 나와 있듯이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도시는 지구 표

2009 .

면적의 1%에 불과하나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으며 에너지의, 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토면적의 에 불과한 도시에 인구

60~80% . 16%

의90%가 집중하여 에너지소비의 진원지가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 는 세계적인 이산화탄소 감축 노력에서 도시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 니다 이에 유럽연합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문제와 화석연료 고. 갈에 의한 에너지 위기 등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발전의 패 러다임으로 설정하고 녹색도시 조성을 비롯한 다각적인 녹색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시공원 및 녹지는 공공건강의 장 커뮤니티 활동의 중심 휴식처 등 도시에서의 일, , 반적인 역할 이외에 도시생활의 부정적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를 흡수 및 저장하는 등 녹색도시를 조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입니다 이렇게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도시공원 및 녹지의 보전 및 관리는 기후변화를 위한 중요한 대책 중 하나로 받 아들여져 선진국 및 우리나라에서도 녹지확충 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 이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향하는 도시공원 및 녹지의 목표는 도시민의 여가활용 공간 및 녹색도시 조 성 등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되도록 도시의 다른 요소들과 조화를 이루는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공원 및 녹지의 다양한 기능이 최대한 활용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앞서가고 있는 선진국의 공원녹지 정책은 오랜 기간에 걸. 쳐 정부기관과 전문가 및 도시민들이 연구하고 노력하여 이룩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선진국의 사례를 볼 때 우리나라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공원 및 녹지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많은 노력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 고 정부도 우리 실정에 적합한 시책을 마련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만 성공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오늘 도시공원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위한 국제컨퍼런스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 도시공원 및 녹지의 방향을 논의하고 녹색성장형 국토와 도시의 발, 전에도 새로운 비젼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길 희망합니다 끝으로 다시 한. 번 오늘 도시공원 국제심포지엄에 참석하여 주신 내외 귀빈 모두에게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년 월 일

2010 11 24 국토연구원 원장 박 양 호

환 영 사

(10)

- viii -

Distinguished guests, good afternoon.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express my appreciation to Se-hwan Cho, the Chairman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members. I also would like to thank Byung-soo Kim, Director General for Urban Policy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Kyu-mok Lee, professor of the University of Seoul, all the speakers and discussants as well as all of you.

As we may know well, the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is causing serious weather damages all over the world. And the urban area is the most common causes of the CO2 emission, according to OECD 2009 annual reports. The urban area covers only 1% of the earth's surface, but it accommodates more than half of the world population, and it's consumption of energy reaches 60-80%.

Situation in Korea is no different than other countries in this respect that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urban area comes to 90%. We can never emphasize too much the role of the cities in the efforts to reduce CO2emission to address the climate change. Many countries including EU set up new development toward the balanced and sustainable growth to address environmental problems, following climate change and energy crisis by exhaustion of fossil energy reserves.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play the important role in health, community cohesion, and recreation of urban population as well as in absorption and storage of CO2 and other pollutants.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pars and green spaces to reduce the CO2 emission is recognized as a key strategy to deal with the climate change. Policies to expand urban greens spaces are now working in Korea to keep pace with the other advanced countries. The goal of urban park and green spaces is to create green network to maximize its potentials.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creation of urban recreation spaces and green cities.

Successful policies and management of urban parks in many countries are the result of years of hard work by via the partnerships between government, expert group and the people.

We can learn important lessons from their works to stimulat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in Korea. Passionate participations and effor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proper government policy making and its steady enforcement are the key ingredients to success. I sincerely hope that this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urban parks will be a great turning point in the future of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nd will provide new vis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of Korea.

November 24, 2010.

Yang-ho Park President of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Welcoming Address

(11)

기조발표

01

살고 싶은 도시와 도시공원 만들기

길 페날로사 _ 8-80 도시들 수석디렉터(CANADA)

Creating Livable City and Urban Park

Gillermo Penalosa _ Executive Director, 8-80 Cities, CANADA

| 001

주제발표

02

도시의 공원 경계와 매개의 수평 공간,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_ (KOREA)

Urban Park, Liminality, Mediation and Horizontality Kyung-Jin Zoh _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 007

03

도시공원의 가치 평가

니콜 콜롬브 _ CABE Space 관리 실행부서장/ (UK)

Values of Urban Park

Nicole Collomb _ Head of Public Space, CABE, UK

| 021

04

도시공원 관리운영에 대한 창의적 모델

캐서린 나이젤 도시공원연합_ (CPA) 수석디렉터(USA)

Innovative Models for Urban Park Management, Funding and Stewardship in the United States

Catherine Nagel _ Executive Director of City Parks Alliance, USA

| 047

05

공원 디자인의 새로운 변화와 전망

캐서린 베넷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교수_ (USA)

Redefining Productivity to Address Climat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in Park Design

Katherine Bennett _ Ohio State University, USA

| 071

06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의 도시공원과 녹지의 역할

왕광익 국토연구원 녹색국토도시연구본부 책임연구원_ (KOREA)

Roles of Urban Park and Open Space for the age of Green Growth Kwangik Wang _ Senior Researcher, KRIHS, KOREA

| 109

목 차

(12)
(13)
(14)
(15)

Gil Penalosa

Internationally renowned liveable city advisor and social marketing strategist, Gil Penalosa is passionate about vibrant and healthy communities. Ho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all residents, Gil promotes walking and cycling as well as the creation and use of great city parks and trails.

As Executive Director of Canadian non-profit organization 8-80 Cities and former Commissioner of Parks, Sports and Recreation in Bogota, Colombia, Gil’s tireless commitment to fostering healthy communities remains front and centre. He also works as Senior Consultant for the renowned Danish firm Gehl Architects. And he serves on the Boards of Directors of American Trails, Ciclovias of the Americas, and City Parks Alliance.

After many years of managerial experience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Gil was appointed Commissioner of Parks, Sport and Recreation for the City of Bogota,Colombia. In that position Gil successfully l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over 200 parks of which Siman Bolavar, a SS0 hectare park is the best knownS here they created the Summer Festival, with over 100 events in 10 days and more than S million people attending making it the main recreational and cultural event in the country. Gil’s team initiated the “new Ciclovia” car-free Sundays— — today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program which sees over 1.S million people walk, run skate and bike along 121 kilometers of Bogota’s city roads.

Because of his unique blend of pragmatism and passion, Gil’s leadership and advice has been sought out by many cities and organizations. A speaker in high demand, Gil has presented at over 150 workshops and seminars in North America and has been keynote speaker and provided consultation throughout the Americas, Europe, Asia, Australia and New Zealand.

Gil holds a Masters degree in Business Administration from the Anderson School of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Keynote Speech_

01

Creating Livable City and Urban Park

Guillermo Penalosa _ Executive Director, 8-80 Cities, CANADA

(16)
(17)

길 페날로사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자문가이자 사회 마케팅 전략가인 길 페날로사는 국제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고 생동감 있고 건강한 커뮤니티에 열정적이다 모든 거주자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기를 바라면서, . 길 페날로사는 뛰어난 도시공원과 트레일의 창조와 이용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걷기와 자전거타기를 장려한다.

비영리단체인 8-80 시티의 수석디렉터와 콜롬비아 보고타의 공원과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의 커미 셔너를 역임한 길의 건강한 커뮤니티 조성을 위한 지칠 줄 모르는 헌신은 항상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는 덴마크의 명망 있는 겔 아키텍츠 사의 시니어 컨설턴트로도. 홛동한다 그리고 미국 트레. 일 이사회 아메리카 자전거도로 도시공원연합에서도 일하고 있다, , .

수년간 민관분야에서 관리자로 활동한 뒤 길은 콜롬비아 보고타의 공원과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의 커미셔너로 임명되었다 커미셔너로서. 200개가 넘는 공원의 설계와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이 중에서 SS0헥타르의 시몬 볼리바 공원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여기에서. 10일 동안 100개 가 넘는 이벤트가 열리는 서머 페스티벌을 개최했는데 여기에는 백만 명이 넘는 참가하여 이 나라, S 의 가장 중요한 레크리에이션과 문화 이벤트가 되었다 길의 팀은 뉴 시크로비아 라는 차 없는 일. " "

요일을 주창했는데 백 십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보고타의 도로, S 121킬로미터 따라 걷거나 스케이트 와 자전거를 타는 이 프로그램은 오늘날 국제적으로도 유명하다.

실용주의와 열정을 혼합한 길의 고유한 리더십과 조언은 많은 도시와 단체에 영향을 미쳤다 인기. 있는 연설자인 길은 150여 차례가 넘는 북미의 워크숍과 세미나에 참석했고 기조 연설자였으며 미, , 국과 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 컨설팅을 했다, , .

길은 UCLA의 앤더슨 스쿨 오브 매니지먼트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기조발표_

01

살기 좋은 도시와 도시공원 만들기

길레르모 페넬로사 _ 8-80 도시들 수석디렉터 (CANADA)

(18)
(19)
(20)
(21)

[Summary]

Urban park has been rediscovered in contemporary cities and cultures. Its potential power of changing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acclaimed in many cities. The traditional function of urban park was to provide green space for relaxation and recreation. Recently, the role of urban park been expanded to various aspects such as a place for social capital, public health, youth development, job creation, etc. It is a heyday for us to create and to develop urban parks in our cities.

In this essay,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 of urban park will be examined. What are the ultimate values of urban park in this changing society? What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 Considering the flexible and adaptable condition on park idea, we need to reconsider the complex relationship among park, city and nature. Recognition of urban park will provide us to realign the practical strategies concerning urban park.

Diverse values of urban park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There are various aspects such as interlude, psychic retreat, personal reflection related with everyday life. The significance of urban park should be apprehended in the context of urban condition.

Accommodating the multiple needs and values is one striking characteristic. Staying outside peoples to enjoy the individual freedom as well as meeting strangers is important in the park.

Urban park is a liminal place in everday life where people escape from the existing urban reality. It lays in between area where city and nature meets, civilization and wilderness coexits. Mediating among contrasting values and needs is the unique quality of urban park.

The park is horizontal space comparing the vertical contemporary city. Horizontality might a metaphor for mutual collaboration and democratic process in maintaining urban park.

Finally, new concept on urban park should be discussed. Demarcation between garden and park is now blurred in many cases. Reconciling between park and garden is common phenomenon in current park design and park culture. Strictly speaking, the park in itself is not the green space any more. It easily combine with other cultural and commercial facilities. The idea of park is floating and changing in various context. Given the condition of Korean topography in the city boundary, we need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ark and mountains because climbing the mountain is the popular leisure activities in Korea. We may expect the new hybrid combining importing park typology and our inherent park culture.

Presentation_

02

Urban Park, Liminality, Mediation and Horizontality

Kyung-Jin Zoh _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2)
(23)

들어가며 새롭게 보는 공원 :

도시 삶의 질을 변화시키는 데 공원이 기여하는 바는 점점 증대되고 있다 세계 대부분의 도시들은. 인본주의 도시정책으로 회귀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심부 활성화 보행을 위한 환경 조성 역사문화. , , 및 자연자원의 보존과 활용 토지이용의 복합화 광장 및 공원 등 공공 공간 조성이 그러한 변화이, , 다 이러한 도시생활의 새로운 혁신과 변화는 도시공원에 새로운 역할을 요청하고 있다 이제 도시. . 정책에서 공원이 중요한 아젠다가 되고 있으며 많은 세계 도시들이 좋은 공원녹지 체계를 구축하고, 자 서로 경쟁하고 있는 실정이다.1)

서구의 국가나 지자체들이 공원과 녹지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는 것은 공공 보건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어린이 비만 인터넷의 보편화되면서 실내에서 보내는 라이프패턴의 확산 자동. , , 차중심의 교통정책 등의 문제 해결책으로서 공원문화의 확산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2)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탄소저감의 거점으로 공원의 역할과 기능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세계. 도처에서도 도시 라이프스타일을 변모시키고 공원과 녹지를 통하여 탄소발자국을 감소하는 중요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공원과 녹지는 창조적인 인재와 기업을 유인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며 장소의. 고유한 성격을 부여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S)

이러한 배경에서 세계 모든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중의 하나는 공원녹지에 대한 태도 의 변화이다 한동안은 공원을 도로 하천 항만 상하수도 배수 등의 도시기반시설로 이해하였고. , , , , 교육 및 문화 복지시설 등과 같은 인프라에 포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공원과 녹지는, . 소홀히 취급되곤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개발 재생에너지의 사용 쾌적한 도. , , 시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녹색 패러다임으로 변화가 시작되었고 공원과 녹지에 대한 잠재적, 가치를 발견하고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다.4)

도시구조의 재편에 따른 산업과 인프라기능의 토지를 공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된 것도 도시공원 조성의 가속화를 촉진한 요인이다 그러기에 도시공원을 조성하는 일이 요즈음만큼 활성화. 된 시기도 없었다.5) 세계의 여러 도시 중에서도 활력 있게 변화하는 도시들은 새로운 공원 조성과 리모델링 같은 공공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 공원이 도시발전의 청신호이면서 도시. ,

1) Peter Harnik, 2010, Urban Green: Innovative Park for Resurgent Cities, Washington: Island Press, p. 1.

2) Ken Warploe, 2007, "The health of the people is the highest law: public health, public policy and green space," Open Space: People Space, ed. Catharine Ward Thompson and Penny Travlou, p. 20.

3) Steven Schuckmann, 2008, Body and Soul: Parks and the health of great cities-an international conference, Conference Report, Pittsburgh

4) 진양교, 2010, 기억과 상징으로의 여행: 43 도시재생공원, 환경과 조경, p. 177.

5) Julia Czerniak and George Hargreaves, 2007,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 12.

주제발표_

02

도시의 공원 경계와 매개의 수평 공간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_ (KOREA)

(24)

- 12 -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이며 동시에 도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되고 있다 도시공원에 관련된 실천, . 적인 작업이 도처에서 진행되는 가운데 도시공원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성찰의 노력도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도시공원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그 답을 찾고자 한다 오늘날의 도시에서 공. 원의 가치를 무엇일까? 시대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가치와 새롭게 부가되는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 가? 도시의 다른 공공 공간과는 다르게 지니는 도시공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도시공원이 지니는 고 유한 속성으로부터 도시 혁신을 견인할 공원의 문화적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까를 탐색하고자 한다.

공원에 관한 생각도 시대마다 변하고 의미도 달라진다 도시공원에 관한 생각도 유연하게 변신을 꾀. 해야 한다 정원과 자연 도시와의 관계 속에서 고착된 공원의 의미를 새롭게 교정할 필요가 있다. , . 새로운 관점에서 도시공원의 재인식은 공원문화의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실천 행 위의 좌표를 제시해주리라 기대한다.

도시에서의 공원의 가치와 특성

현대 사회에 있어 공원의 개념은 다원화되었고 공원의 성격과 기능도 다양하고 특화되고 있다 카, . 렌 존스(Karen Jones)와 존 윌리스(John Willis)도 『공원의 발명(The Invention of the Park)』이 라는 책에서 공원의 개념은 유연하고 변화하는 것이라는 강조하였다 저자들은 고대의 숲에서부터. 영국풍경식 공원으로 진화해 국립공원 테마파크에 이르기까지 변신하면서 공원경험의 외연이 확장, 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한다.S) 도시공원(urban park)의 경우에도 19세기 서구의 산업도시 문제의 처 방책으로 등장하여 정착하고 제도화되었고, 20세기를 도시 여건의 변화를 겪으면서 그 특성과 기능 이 진화하고 있다.

노프라이 폴(Norfried Pohl)은 ‘도시공원의 도래(Der kommende Stadtpark, 1995)’라는 논문에 서 도시공원 현상이 20세기에 다원화되고 있으며 모든 사람이 공유하는 시민을 위한 녹색 공간이라, 는 초기의 생각에서 도시계획가와 공간디자이너들에 의해 공원의 외양 재료 분위기에 대한 새로운, , 시도를 하면서 변화하여 왔음을 지적하였다.7) 도시공원을 지칭하는 이름도 생태공원 역사공원 문, , 화공원 예술공원 가족공원 운동공원 소풍공원 미디어파크 도시숲 등 다양해지고 특화되고 있는, , , , , , 상황이다 공원의 컨텐츠나 성격에 대한 근원적인 변화 없는 새로운 이름을 붙이는 식의 브랜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지만 우리 주변에서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도시공원의 스펙트럼이 다양해졌다, 는 것은 공원과 도시생활과의 관계가 보다 긴밀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공원의 유형이 다양해지듯이 공원가치에 관한 여러 관점이 존재한다 철학자 인문학자 역사, . , , 학자 사회학자 도시비평가 조경학자 등 여러 전문 분야에서 바라보는 공원의 본질과 가치는 실로, , , 다양하다 크게 분류하여 보면 일상생활과의 관계 도시와의 관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일상생활과. , . 의 관계 속에서는 몇 가지의 키워드가 발견된다 쉼 또는 휴지기 정신의 고양 또는 개인적인 성찰. , , 삶의 스토리가 중심적인 주제이다 공원은 일상생활 속의 짧은 간주와 같은 휴지기이다 영국의 작. . 가 폴 드라이버(Paul Driver) ‘는 공원에 관한 삽화(Parenthesis on Parks, 199S)’라는 글에서 다 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공원은 생활 속의 삽화와 같은 존재이다 공원은 마치 잠시 동안 자신에.

6) Karen Jones and John Wills, 2005, The Invention of the Park, Cambridge: Polity Press

7) Norfried Pohl, 1995, Der Kommende Stadpark, Erik Luiten and Frank de Josselin de Jong, 2002, Four Shades of 재인용

Green, The Public Garden, Rotterdam, NAi Publishers, p. 45.

(25)

게 펼쳐진 광활한 초승달 안으로 들어가는 문이기도 하다 공원은 일상 가운데 잎이 무성한 상태의. 쉼 혹은 휴지기와 같다 때로는 생각하기 위해 잠시 멈추는 쉬어가기이거나 혹은 인스턴트식 작은. 휴일이다 때로는 과거의 일을 회상하며 미래를 걱정하고 마침내 새로운 계획을 세우면서 도시의. , , 구석구석을 떠돌아다니며 냄새 맡는 작은 베니스와 같다 그것은 마치 당신의 삶을 예감하는 것과. 같이 당신 삶의 궤적을 돌아 다시 자신을 만나거나 자신을 따라 오던 그림자를 보는 것과 같다, .”8)

공원이 단지 자연의 맑은 공기만을 제공해주는 것을 넘어서 정신적 차원의 위안을 주기도 한다 제. 오프리 젤리코(Geoffrey Jellicoe)는 공원은 변치 않는 가치는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사람들을 정신을 고양해주는 것이라 하였다.9) 프랑스 철학가인 피에르 상소(Pierre Sansot)는 공원을 꿈과 기억의 저 장소라 이해한다 사람들은 공원에서 자신이 친숙했던 꿈과 예전의 기억을 재발견하고 희미한 어릴. 적의 시간을 회상하곤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공원은 삶의 질문을 되새기게 한다 잠시간 일상을 잊. . 고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월의 따스한 햇살을 마주하며 소중하며 명멸하는 순간에 몰입하기도 한5 다.10) 그러한 차원에서 공원은 타인을 만나고 공동체적 삶의 공유하기에 앞서 개인적인 사색과 성찰 을 위한 장소이다 도시의 공원은 이를 둘러싼 평범하게나 특별한 삶의 스토리를 담고 있다 누구나. . 에게 도시의 공원들은 특별한 추억과 함께 간직되어 있다.11)

공원의 의미는 도시와 관계 속에서 선명히 드러난다 옴스테드. (Olmsted)의 말처럼 공원은 도시를 보완한다.12) 공원은 도시성을 때로는 비판하고 보완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도시성을 찬미하고 만끽, 한다 공원의 속성은 도시성을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사이를 오간다 공원은 자유의 공간이다 도시. . . 의 다른 공간이나 시설은 대부분 명확히 요구되는 기능과 역할이 있다 도시의 건축물도 누가 이곳. 에서 무엇을 할지가 명확하다 도시의 기반시설인 도로와 터미널 등은 확연히 구별되는 기능적 목적. 이 존재한다 거기에 비해서 공원은 여백의 공간이다 이어령은 옴파로스에 비유하면서 비어 있는. . 자유로운 공간이라 하였다.1S) 켄 월폴(Ken Worpole)은 공원의 세계는 시간에 대한 다른 감각을 명 확히 느낄 수 있는 독특한 도시의 자유 영역이라고 표현하였다.14)

공원은 자유의 영역으로서 느림의 시간을 만끽할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현대도시의 지나치게 빠. 른 속도를 잊을 수 있는 곳도 공원이다.15) 공원의 개념을 설명하는 New Oxford American 에서도 첫 번째 뜻인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체적인 예시로서 공원에서 걷

Dictionary ‘

기(a walk around the park)’를 명시하고 있다.1S) 공원에서 가장 대표적인 활동은 걷기인 것이다.

8) Paul Driver, 1996, "Parenthesis on Parks" Ken Worpole, Here comes the sun, p. 9.재인용 9) Alan Tate, 2001, Great City Parks, London: Spon Press, p. 2.

10) Pierre Sansot, 2002, "A Contemplation of French Open Space" Parks: Green Urban Spaces in European Cities, Topos, Basel: Birkhauser, p. 9.

11) 사회학자 정수복은 브라상소 공원의 파리지앵 라는 글에서 평범한 파리사람들의 공원에서의 일상을 묘사하고 있다 여기서 . 공원은 동네의 편안한 안마당이 된다 정수복. , 2010, 파리의 장소들 기억과 풍경의 도시미학 문학과 지성사: , , pp. 279-303.

12) Frederick Law Olmsted, "Public Parks and the Enlargement of Towns" Civilizing American Cities, ed. S.B.Sutton, pp.

52-99.

13) 도시는 우리의 제 의 신체입니다 그 신체 기능이 서로 어울려야 되는데 어울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비어 있는" 2 . , (void)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배꼽입니다 옴파로스입니다 어떤 도시든지 가장 쓸모 없고 불필요한 공허한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그. . . , . 것이 빈 공간입니다 비어있기 때문에 전체가 사는 것이지요 우리 배꼽하고 똑같습니다 우리 신체 중에 모두 일을 하는데 제. . . , 일 안 하고 아무 쓸데없는 것이 배꼽인데 그것이 중앙에 있습니다 이 중심의 공간 옴파로스가 세계 어딜 가도 있습니다 그것, . . 이 공원(park)입니다.“ 이어령, 2009, ”용산 뮤지엄 콤플렉스 조성과 국가 브랜드로서의 가치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pp. 8-9.

14) Ken Worpole, 1999, Memorandum, Select Committee on Environment, Transport and Regional Affairs, Parliament, UK 15) Pierre Sansont, 2002,앞의 글.

(26)

- 14 -

최근 웰빙이 부각되면서 걷기의 재발견이 여러 생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올레길 둘레길 등. , 이 하나의 유행처럼 번지면서 걷기를 위한 새로운 지점이 발견되고 있지만 걷기문화의 중심에 도시, 의 거리와 함께 공원이 있다 이렇게 공원은 도시의 질서와 속도와는 다른 공간으로서 도시가 결핍. 된 부분을 보완한다.

반면 공원이 도시가 지닌 가장 도시적인 속성인 여러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다원적 가치가 구 현되는 공간이다 누구나에게 열려 있고 다양한 사회적 요구가 수용되는 곳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17) 공원은 어쩌면 도시성이 지닌 이중적 성격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18) 타인과 함께 있는 만남을 중시하는 동시에 지극히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를 보장받기를 원한다 공원이 타인을 만. 나는 곳이라는 생각이 일반적이지만 실제, 1995년 코메디아(comedia)에서 주관한 공원이용에 관한 리포트인 ‘Park Life’에서 많은 사람들은 각종 미디어가 중심이 된 집에서는 찾을 수 없는 프라 이버시를 찾아서 공원을 방문한다고 응답하였다.19) 실제로 잘 활용되는 도시공원들은 모순되면서 공 존할 수 있는 속성인 여럿이 있으되 자신의 자유를 방해받고 싶지 않은 현대 도시인의 심리를 잘 수 용한다.20) 공원은 다른 도시 공공공간처럼 사람들을 구경하는 장소이기도 하고 사람들에게 보여 지, 는 장소이기도 하다 현대도시의 커피숍과 같은 제 의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지닌다 새로운. S . 공간 체험 타인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 혼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편안함 그러한 속성도 현대, , . 도시공원이 요구하는 조건이기도 하다.

도시공원의 의미 경계와 매개 열림과 수평의 공간 : ,

도시공원은 자연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하나의 문화경관이다 이 공원이 지니는 매력은 어디서 나오. 는 것일까? 공원이 다른 공공 공간과 다른 변별적 특성은 무엇일까 도시 내의 공원이 제공하는 고. 유한 경험의 특징은 무엇일까? 이러한 논의의 핵심은 공원의 도시적 의미와 사회문화적 의미를 조 망함으로써 가능하다.

공원은 두 가지의 다른 영역의 경계이다 도시와 자연 문명과 야생 사이 중간 지점이다 공원의 체. , . 험이 두 영역 사이를 오가면서 때로는 어디에 속해있는지 착각을 주기도 한다 센트럴파크를 배경으. 로 한 영화에서 많이 등장하는 장면은 두 연인이 산책하는 길을 보면 여기가 깊은 자연 속인가 착각 하지만 금방 도시 속의 공원이라는 점을 일깨워주는 장면이 이를 뒤따른다 북서울 꿈의 숲을 산책. 하다 보면 언덕의 지평선 위에 도시의 스카이라인 보이며 도시와 자연이 혼재되는 느낌을 받게 된 다 노을공원에서 산책을 하다보면 하늘과 맞닿은 가장 가까운 장소로서 도시 안에 있는지 도시와는. 멀리 떨어진 다른 장소에 와있는지 착각이 들기도 한다 공원의 도시 번잡한 일상 공간에서 벗어나.

16) Karen Jones and John Wills, 2005, 앞의 책.

17) Catharine Ward Thompson, 1998, "Historic American Parks and Contemporary Needs" Landscape Journal 17(1), p. 5.

18) 도시공원의 가치와 의미에 관한 이중적 특성은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공원관에서부터 나타났다 공. 원이 여러 계층이 만나고 교류하는 민주적 장이라는 이념과 함께 도시생활의 번잡함에서 위안을 얻는 개인적인 정서순화의 장 이라는 성격이 동시에 존재한다 옴스테드 공원관의 이념과 특징은 다음을 참조하라 조경진. . , 2003,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의 도시공원관에 대한 재해석한국조경학회지 95 pp. 26-37.

19) Comedia/Demos, 1995, Park Life; Urban Parks and Social Renewal, Comedia and Demos, London, Catharine Ward Thompson, 2002, "Urban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 p. 66. 재인용

20) 예를 들어 뉴욕의 브라이언트 파크는 이러한 현대인의 심리적 기저를 디자인에서 잘 수용하였다 개인이 마음대로 이동할 수 있. 는 벤치는 개인적 공간을 형성해주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여러 사람들이 함께하는 기능을 수용하기 한다 함께 있으되 방해받, . 지 않을 수 있는 심리를 잘 활용할 사례이다.

(27)

서 색다른 체험을 하게 해 준다 이러한 물리적인 경계의 차원을 넘어서 내용적 차원의 경계의 개념. 이 생각해볼 수 있다 공원은 명확한 기능과 프로그램이 있은 공간이라기 보나 느슨한. (loose) 공간 이다 느슨한 공간은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원래 용도 이외의 가능성을 찾아내게 되고 새롭게. 변형하여 이용하는 공간이다.21) 따라서 결국 공원의 형태와 기능의 결정은 이용자의 몫으로 귀결된 다 유사한 형태의 공원이 다른 용도로 활용되거나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공간활용이 되는 것이. 흔히 목도된다 또한 경험의 차원에서 경계의 혼재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공원의 특성을 경계선. . 의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경계선이란 두 영역이 공존하고 혼재하고 공간으로서 사회

(liminality) .

적 정체성이 희석되는 경험으로 이루어진다 알렉산더 무어는 디즈니랜드와 같은 테마파크의 사회적. 기능을 해석하면서 사회인류학자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경계선 개념을 빌어 그 특징을 설명하 였다 테마파크는 현실 공간에서 단절되어 상상과 환상의 세계가 펼쳐지는 장이다 무어는 디즈니랜. . 드가 메카의 성지와 같은 경계선의 공간이라고 이해한다 모든 무슬림이 일생 동안 한번을 다녀올. 순례의 장소이다 이 시공간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신분이 정지되고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관계. 속에서 사회구성원의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22) 도시공원도 테마파크와는 성격이 다소 다르지만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는 축제나 순례가 일상화된 공간이다.

도시공원은 공공 공간으로서 다양한 요구와 가치를 수용해야 하는 입장이다 도시공원이 지니는 이. 러한 조건 때문에 다양한 차원과 영역 감각을 중재한다 도시에 자연을 복원하지만 문화적인 인공, . 이 가미된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요구도 중요하지만 개인적인 공간에 대한 요구를 충족. 시켜야 한다 공원을 여가와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물리적인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 을 위한 기회와 장을 제공하기도 한다 옴스테드는 공원을 궁극적 목표는 공유성. (communitiveness) 을 추구하는 것이라 주장하였다 공유성은 신조어로 커뮤니티가 서로 공유하는 느낌을 가지며 구성. 원 간에 공동체를 위하여 서로 자발적으로 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유성은 경쟁사회에서 커뮤니. 티 구성원간의 친밀감과 심리적 위안을 의미한다 그것은 도시생활이 주는 자기도취적 이기심과 이. 타주의를 이어줄 인간 내면의 잠재적 요소로서 야생과 문명 개인주의와 공동체적 의식사이의 관계, 적 사고이다 공유성의 개념을 미국사회의 본질적 성향인 야생과 문명의 사고를 중재하는 것으로 도. 시공원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이중적 가치이다 옴스테드의 공원관은 공유성을 기반으로 도시와 자. 연의 대립구도를 극복하여 삶의 터전인 도시에 적절하게 자연을 개입함으로서 도시생활을 지속가능 하게 하는 특징을 지닌다.2S)

서로 상이한 가치와 감각 모순되는 요구와 갈등을 중재하는 것은 공원이 지닌 특성이기도 하면서, 좋은 공원의 지향해야 할 조건이기도 하다 뉴욕의 하이 라인. (High Line)은 개인적 사색이 가능한 공간적 기능과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공간을 적절하게 중재하고 와일드한 분위기의 자연과 도시적인, 인공이 정교하게 결합한 사례이다 뒤스부르크 파크. (Duisburg Park)는 산업유산의 보존과 자연의 복원이라는 주제를 결합하면서 장소의 기억과 현재의 활동을 중재한 공간이다 최근에 남산르네상스. 로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남산공원은 자연의 보존과 적절할 이용을 잘 중재한 사례이다.

21) Karen Franck and Quentin Stevens, 2007, "Tying Down Loose Space" Loose Space, London: Routledge. p. 2.

22) Alexander Moore, 1980. "Walt Disney World: Bounded Ritual Space and the Playful Pilgrimage Center"

Anthropological Quarterly 53, pp. 207-218

23) 조경진, 2003, 앞의 글, Charles Beveridge and Paul Rocheleau, 1995, Frederick Law Olmsted; Designing the American Landscap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8)

- 16 -

공원의 매개공간의 성격을 지닌다 매개공간은 기능적 측면에서 양쪽의 영역이 소유하지 못한 고유. 의 역할을 수행한다.24) 공원에서는 공적 공간이 사적인 영역과 만나면서 적절한 접점으로 찾아가는 중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때로는 공원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기능과 이용이 상충되는 경우가 생기. 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절한 이용 규칙이나 합의점을 찾아가는 것은 매개와 중재의 공간의. 매력이다.

도시에서 공원이 의미하는 특성을 보는 여러 관점이 있겠지만 수평적 기능으로서 공원의 역할에 주, 목할 수 있다 근대도시는 끊임없이 수직의 높이를 정복하는 데 몰두하였다 근대도시의 주역으로. . 대표되는 뉴욕은 마천루로 표상된다 고층 건물이 만들어내는 도시라이프의 변화는 대단한 아우라로. 깊은 성찰을 요구하기도 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켰다.25) 앤토니 킹(Anthony King)은 약 S0 년 전부터는 글로벌 도시가 혁신을 주도하였다 전 세계로 확산되는 글로벌 도시는 초고층 빌딩 경. 쟁 붐을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높은 건축물을 세우는 건축적 근대성에 치중하느라 삶의. 질과 같은 사회적 근대성에는 소홀했다고 지적한다.2S) 공원은 물리적인 의미로도 수평적이고 사회, 적 의미로서도 수평적이다 뉴욕의 센트럴파크가가 지니는 의미를 수평적 관점에서 보면 수직적 고. 층건물 숲 속에서 수평적 오픈스페이스를 강하게 대비되면서 사람들이 걷고 머무를 수 있고 쉽게 접 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이라인이나 청계천은 선형공원. (linear park)는 수직적 도시를 가 로지르는 특별한 수평적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27)

사회적 의미에서 수평성은 공원은 누구나에게 열린 공간이고 사회적 차별이 없는 공간이다 옴스테. 드가 지향한 공원의 이념도 여러 계층이 혼합하는 수평적 사회가 구현되는 장소였다 그러한 의미에. 가장 민주적인 공간이었다 공원에 가는 것은 민주주의 시민이 되는 하나의 통로였다. .28) 최근에 다 양한 공원이 관리와 운영 조성에 참여하면서 사람들이 자발적인 사회관계가 형성되는 과정도 이러한 연장선에서 이해될 수 있다 공원에 대한 참여와 봉사로 사람들의 관계를 형성하게 해주고 공동체를. 지속하게 해주는 연대망을 이루게 한다 공원은 이상적인 공동체 사회로서의 가는 하나의 좋은 기회. 를 제공해준다.29) 열림의 공간으로 공원은 도시에 누구나에게 열린 사회적 의미에서 누구나에게 접 근가능한 공간적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공원은 주체의 관점에서도 시간적 관점에서도 열려 있다. . 공원을 설계한 사람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공원이라는 문화를 형성해가는 것은 여러 사람들이 집합적 창의성이 발휘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공원은 주변의 콘텍스트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변신한다. .

24) 이규목, 1985, “고유영역으로서 중간영역 공간85(3), p. 114.

25) 뉴욕 맨해튼이 도시문화에 매료된 건축가인 렘 콜하스(Rem Koolhaas) Delirious New York에서 뉴욕의 밀집의 문화가 지니 는 특성을 해부하였고 도시에 깔린 집합적 무의식의 욕망을 파헤치고자 하였다, . Rem Koolhaas, 1994, Delirious New York, 렘콜하스는 수직의 도시 맨해튼의 특성을 라빌레트 공원의 현상 공모에서 수평적 랜드스케 New York: The Monacelli Press.

이프 전환하는 시도를 했고 상당한 반향을 불려일으켰다.

26) Anthony King, 2009, Unravelling Modernities: What are the Signs of a Modern City" 『인천세계도시인문학대회 프로시 딩 pp. 24-32. 20091020일자 경인일보는 앤토니 킹의 강연을 수직적 높이에서 수평적 기능으로 라는 기사의 제목으로 소개한다 수평적 기능이란 삶의 질 사람에 대한 배려 복지등 사회적 근대성을 포함하는 폭넓게 개념으로 이해된다. , , .

27) 수평성은 도시의 걷기와 관련된 가로와 공원 등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보다 근원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수직적 도시에서 수.

평적 도시로의 전환은 현대 도시환경의 보다 변화를 단적으로 설명한다 요코하마 미나토 미라이는 고층건물군은 수직도시의 대.

표적인 이미지이다 대규모 필지로 구획되는 메가스트럭쳐의 도시에 비해 새롭게 개발된 장소들은 대부분 수평도시의 산물이다. . 아카렌카 창고는 층의 다양한 숍과 카페로 스트리트 라이프를 활성화하고 있고 요코하마 여객터미널은 수평성을 강조하는 랜1 ,

드스케이프지향형 건축이고 새롭게 수변에 조성된 조노 하나 파크와 임해철도길을 활용한 보행육교는 거리의 수평적 이동을 강,

조한다 요코하마의 도시풍경은 이렇게 수직적 도시에서 수평적 도시로의 전환하는 변화를 극명히 보여주고 있다. . 28) Adam Gopnik, 1997, "Olmsted's Trip" New Yorker, March 31.

29) 조경진, 2010, 창조적인 공원만들기를 통한 도시디자인, 도시 정원을 꿈꾸다 발표집, p. 20.

(29)

공원에 관한 새로운 관점

공원에 대한 생각은 고정되지 않고 변화한다 이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고 문화적 환. 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공원에 대한 생각을 늘 새롭게 성찰하고 상황에 따라 교정할 필요. 가 있다 오늘날 공원의 위상은 정원과 도시 자연 속의 맥락에서 재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 .

첫째로 주목해야 할 점은 정원과 공원의 관계이다 지금까지는 정원과 공원의 단절에 주목하여 왔. 다 조경의 주요 관심이 개인적인 정원 혹은 귀족층을 위한 정원에서 공공과 대중을 위한 공원으로. 전환했다는 것은 실로 대단한 변화였다 그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조경은 사회적 기여와 적실성을 확. 보해왔다 정원에서 공원으로 변화는 조성의 주체에서 이용자의 범위까지 제도적 변화가 있어왔고. , 디자인에서도 미적이고 감각적인 측면보다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면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공원이 정. 원과는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있지만 공유하는 부분도 많고 연속성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할 측면도 있다 특히 정원과 공원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정원이 개인적 영역이고 공원의. . 공공적 영역이라는 점도 전적으로 설득력이 있는 정의는 아니다.S0) 실제로 공공정원(public garden) 이라 불리는 장소들이 존재한다 예전에는 귀족들의 정원이었다가 일반 대중에서 공개된 장소는 그. 역사적 연원 때문에 공공정원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식물이 강조되는 정원적 성격의 공원을 지칭, 하기 한다 실제로 현대도시의 커뮤니티 가든. (community garden)이나 분구원(allottment garden) 은 개인의 정원이 중심이지만 공공적 성격의 장소이다 그러므로 모든 경우 공공 공원 개인 정원. = , = 이라는 등식이 성립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오늘날의 공원은 정원과 같은 공원을 요구하기 하고 주민이 직접 가꾸고 초화류가 풍성한, , 정원적 요소의 공원이 일반 대중에게 흥미를 끄는 경우가 많다.S1) 안명준은 현대도시에서는 정원과 공원의 공진화되는 더 많은 공공정원(public garden)이 필요하고 도시농업 같은 생산공원이 보다, 확산되어야 함을 강조한다.S2) 정원과 공원의 만남이 보편화되는 것은 공원에 대한 수요와 기능이 다 원화되면서 정원의 특성을 살린 새로운 유형의 공원이 요구되기 때문이다.SS)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 의 차별화된 취향과 감각에서도 기인하지만 공원이 이제는 시민들의 참여와 가꿈으로 완성되는 상황 에서도 비롯한다.

정원과 공원은 근원적인 동기와 본질은 같은 맥락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로버트 포그 해리슨 포그. 해리슨(Robert Pogue Harrison)의 『정원 인간 조건에 관한 에세이: (Gardens: An Essay on the 에서 정원을 가꾸는 것은 우리를 둘러싼 환경과 세상을 돌봄 에 근거하고

Human Condition)』 (care)

있다고 주장한다.S4) 같은 맥락에서 산업도시의 병폐에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공원은 도

30) Marc Treib, "Park, Garden, Rotterdam" The Public Garden, Rotterdam: NAi Publishers, p. 147.

31) 김수연, 2003, “비밀의정원 그 곳에 문을 달다, ”(미발표원고 선유도공원을 매력을 정원적 특성과 공원적 성격이 결합된 개인) 적 공원이라 해석하였다. 2009년에 개장한 서서울호수공원도 공원에 정원적 특성을 잘 접맥시킨 사례이다 시흥 옥구공원에서. 경기정원박람회를 개최한 것도 공원에서 결핍된 정원적 성격을 부여하여 도시 정원문화를 확산시키고자 하는 시도로 해석 2010

된다. 2013 순천시에서 본격적인 의미에서 정원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정원박람회의 부지를 공원으로 조성하여 박람회이후. 시민을 위한 공원을 활용할 계획이다 정원과 공원을 보다 전략적으로 결합시킨 사례이다. .

32) 안명준, 2010, “공원 도시의 생산경관을 꿈꾸다, 공원을 읽다,환경과 조경 출간예정( ) 33) 남기준, 2010, “공원과 정원의 경계공원을 읽다,환경과 조경 출간예정( )

34) Robert Pogue Harrison, 2008, Gardens: An Essay on the Human Condition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 18 -

시와 시민의 삶의 지속성을 걱정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공원의 이념도 정원과. 마찬가지로 돌봄의 생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도시와 공원에 관계에 대한 변화는 이미 보편적인 현상이다 근대공원이 태동할 때의. ‘도시는 인공 이고 공원은 자연이다 라는 식의 이원 구도는 지난 세기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 1 .S5) 카렌 존스와 존 윌리스도 20세기 후반에는 도시경관을 변화하게 하는 일부로 공원이 문화적 인공물

이라는 인식이 보편화되었음을 지적한다

(cultural artefact) .SS) 최근의 도시공원은 보다 혁신적으로

탈바꿈하는 경우도 많다 때로는 공원이 문화공간과 결합되기도 하고 때로는 커뮤니티 복지시설과. , 결합되기도 한다 공원이 공공의 영역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민간 영역과 활발히 손잡으면서 상업. 공간과 공원의 결합도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카고 밀레니움 파크는 민관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도시의 대표적인 랜드 마크로서 문화공간과 광장, 정원이 결합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주었다 동경의 마루노우치 브릭스퀘어는 미츠비시지쇼에서 마. 루노우치 재조성계획의 일환으로 미츠비시이치고관 미술관의 중정정원이며 인근 지역의 작은 쉼터로 서 소규모 도시공원을 제공하였다 민간이 공공으로 위해서 제공하는 공공공간이며 문화공간 상업. , 공간과 결합한 새로운 모델이다 서울의 북서울꿈의숲은 공원 내에 전망공간 공연장 미술관 카페. , , , 및 식당 등이 조성되어 새로운 유형의 도시공원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시설과의 결합으로. 야간에도 공원이용이 활성화되는 효과도 보고 있다 이렇게 공원의 모습은 다양화되고 복합화되고. 있다 이제 공원의 이미지를 단번에 떠올리기는 쉽지 않다. .

세 번째는 우리나라에서 공원과 자연의 경계의 문제 공원과 산에 대한 인식에 관한 문제이다 전, . 국토의 70%가 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국적 상황에서는 근교산도 공원문화의 일부로 활용되고 있다 는 점이다 도시 근교산의 등산은 가장 대표적인 한국의 공원 이용행태로서 외국 공원의 산책과 조. 깅하는 문화와 형식은 다르지만 내용에서는 유사성이 존재한다 근교산은 우리에게 근린공원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고 사용되고 있다 지형적 조건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남산공원이나 낙산공원. , 최근 조성된 북서울꿈의숲 경기정원박람회가 열린 시흥의 옥구공원 등과 같이 산과 함께 공원 부지, 가 정해지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숲과 계곡을 찾는 것이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행락문화였고 그 문화적 관성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S7) 전통적으로 존재했던 마을숲에서 동네 근린공원의 기능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관성에서 숲이라는 용어가 공원이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쓰이기도 한다 동네마다 근교산은 공원과. 마찬가지로 아침마다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고 동네 주민이 야유회를 여는 장소가 되기, 도 한다 북서울꿈의숲 같은 곳은 일출을 볼 수 있는 명소로 손꼽히기도 한다 산의 역할을 공원이. . 함께 하고 있는 것이다 대규모 공원에서 조성되곤 하는 전망 데크나 계곡 형태의 공간들도 이러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문화적 공간활용 행태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이다 최근에는 근교산 정상까지. 보행로로 연결하거나 산과 일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결합한 한국적 공원문화의 새로운 시도가 등장하 고 있다 실지로 어떻게 시민들이 새로운 유형의 공원을 어떻게 활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S8)

35) 배정한, 2004. 현대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환경과 조경 , p. 87.

36) Karen Jones and John Wills, 2005, 앞의 책, p. 60.

37) 서울의 경우 자연을 즐기는 행락장소는 주로 사대문 밖에 가까운 물가과 숲이었고 내사산과 외사산을 거점으로 활용하였다 황. 기원, 2009. 『한국 행락문화의 변천과정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31)

나오며 희망의 공간을 찾아서 :

공원은 늘 시대를 앞서가며 변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시민사회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 하였고 산업도시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대안적 공간을 제시하였다. 21세기 공원은 기 후변화와 같은 환경문제를 넘어서 청소년교육 공공건강 사회공동체 형성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 , 도시사회문제의 종합적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공원은 도시에 낭만적 노스탤지어를 제공해주기도 하. 지만 도시공동체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주기도 한다 그러한 의미에 공원의 이념에는 잃어버린 낙, . 원과 새로운 유토피아가 중첩되어 있다.S9) 인간의 상상력은 이러한 근원적 욕망을 현실적인 도시공 간에 공원이라는 제도와 함께 공간과 문화로서 구현하여 왔다.

공원이 지닌 열린 특성 경계적 특성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변화하는 욕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왔, 다 또한 공원이 지는 매개적 특성으로 늘 주변의 새로운 공간형식 또는 도시문화와 결합하면서 변. 종을 만들어 왔다 동시에 공원은 수평적 사회와 도시를 지향하는 전위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도. . 시 공원은 다양한 사람들에게 다원적 가치를 담아내는 공유의 장의 역할을 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 이다.

공원은 도시와 삶의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공간이기에 단일 지향점 가, , 치 모습으로 환원할 수는 없다 공원은 특성 상 주변의 맥락과 조건에 긴밀한 영향을 받는 공간이, . 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좋은 공원의 모델을 모방하고 확산하거나 도시공원의 표준적 해법을 찾는 것. 은 무리한 시도일 수 있다 공원에 관한 고착화된 이미지이나 보편적 생각을 모든 도시와 장소에 적. 용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같은 맥락에서 공원에 관한 일률적인 분류와 구분 역시 생생한 현실. 조건과 잠재적 가능성의 여지는 차단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 보인다 세계도시의 공원들이 공유하. 는 가치와 방향을 공유하면서도 우리 공원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연구하는 것도 시 급하다 이제 우리의 도시공원이 지니는 무한한 가치를 살펴보고 미래에 나아갈 방향을 숙고할 시점. 이다 희망의 공간 공원에 거는 기대는 여전히 크다. , .

38) 광교신도시공원 특화컨셉디자인 공모 당선작과 동탄 신도시 커뮤니티 시범단지 마스터플랜 현상설계공모 당선작이 산과 공원을2 적극적으로 결합한 사례이다 자세한 내용을 다음을 참조하라 이경근. . , 2010, “도시의 산 한국의 공원, ” 『공원을 읽다 환경 과 조경 출간예정( )

39) Karen Jones and John Wills, 2008, p. 176.

(32)
(33)
(34)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As a contemporary genre of music in the late 20th century, minimal music has been reputed as a contributor that reconnected composers and the audien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RD) has bee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Korea’s escape from vicious cycle of poverty and underdevelopment that had existed for

§ Due to the late start of construction and frequent design changes during construction,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has been one year delayed. of the project has been

Interest in sustainabilit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ving has brought changes in the measurement and judgement for the quality of living.

As comparing between the process of the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 manner of them 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which has been published in Korean,

Since then, studying to steppe routes has been made in various fields, allowing a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nomadic imperial history, which

Evidence for the acceptability of the Geneva Bible has been found in the fact that its original and revised editions were published and circula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