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총~~뭘 八公山制에 對한 細究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총~~뭘 八公山制에 對한 細究"

Copied!
3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7-

총~~뭘 八公山制에 對한 細究

-鍾聲 · 喝香 · 合掌偏 · 七如來 • 和請을 中心으로-

...•.•• ((~

I. 序 빼

1. 問題提起

2. 짧究目的 몇 方홉 3. 흙究範圍

11. 홉멸뻐훌Iè 1. 湖南첼限調훌굶

2. 題南楚~調흉홈E

M.

八公씨制훌명의 륙징

白 亨

〈서 울大 音大 國樂科 助數〉

次))..

1. 鐘 훌

2. 喝 香 3. 合掌園 4. 七如來 5. 和 請

N. 홉 훌훌

~考文~ 및 參考 Tape

짧考樂훌뽑

...

I.

序 짧

1. 뼈홈提起

本 論本은 불교의식음악인 창~P~에서도 민요에서와 같이 각 地方別로 독특한 특생들이 존 재하지 않을까하는 의 문으로부터 시 작되 었다.

地方했뼈에 대 해 서 는 洪潤植이 1966年 調훌記 (1) 를 통해 楚限의 지 역 별 分類와 魚文系讀 別 分類를 한 것과 韓萬榮이 1969年 짓소리를 調훌 (2) 하는 과정에서 複南과 湖南地方의 짧 限가 존재하고 있고 그 중 湖南했뼈는 京山制 했限와 흉사하게 들렸다는 記錄밖에 없어서 地方楚뼈가 존채하고 있다는 사질만을 알 수 있을 뿐 그에 대한 구체적인 陽究가 미비한 狀觀이다.

2. 맑究目的과 方法

本 論文의 昭究덤的은 앞의 問題提起에 서 나온 問題點들을 &다究함 o 로써 地方楚限가 具 體的으로 어떤 點들을 차이정으로 지니고 또한 그러한 차이첨들은 첼限에서만 찾아볼 수

(l) 뽕潤植 ; “범 패 자료조사기 " r文化財』 제 2 정 (서 울 ; 문화재 관리 국, 1966년), pp.134-137.

(2) 韓萬榮; “갯소리조사기" Ii'韓園佛敎音樂鼎究 J(서울 ; 서울대 출판부, 1984년 중보판), pp.166-168.

(2)

있는 독특한 점들인지 아니 면 민요와 같은 민속악 分野에서 도 보펀척 o 로 찾아볼 수 있는 첨들인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그리고 本 論文에서는 本A의 調훌를 통해셔 얻은 자료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자료제작 실에 비치되어 있는 八公山制 했限(題南했限)들을 採調·分析하여 이들이 지니고 있는 음 악적 형식 및 선법 ·션율적인 측면들을 京山制 첼限와 비교하는 方法을 통해서 八公山制 했限가 지니는 특정들을 밝혀보고자 한다.

3. 맑究훨뼈

本 論文에서는 홉q貝가 지난 음악척인 面을 주로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다른 여러 地方 들 중에서도 鎭南地方에 남아있는 結限로 한청시켜 살쩍보고자하는 이유는 湖南地方에서는 했限는 불리우지만 京山制 했限와 同一하기 때문에 짧究範圍에서 除外시켰다 (3)

鎭南의 八公山制 結q貝는 1969年 8月 9 日부터 11 日까지 부산觀音좋에서 行한 靈山齊에서 모두 39曲을 불렀 A며 (4) 당시 에 부른 曲들은 아래 와 같다 (5)

擁護園, 護佛{홉, 出山圖, 提華園, 散花落, 登J51Ç~융, 座佛偏, 茶圖, 四無量園, 靈山喝香,

然香園(燈園), 佛護, 三歸依, 三뿔, 圓滿德具, 合掌陽, 告香{훨, 觀흡護, 施륨請,~請偏,

千手大院羅尼, 四方護, 道場圖, 熾悔園, 熾悔偏質言, 靈山훌훌佛, 單頂禮(민頂禮), 香花圖,

五供養, 加持偏, 告香園, 普供養홉言, 普回向률言, 地藏護, 七如來, 鍾聲, 初喝香, 和請,

祝願 39曲.

위의 39 曲 중에 鍾聲, 初喝香, 合掌圖, 七如來,;f!l請 5曲만을 맑究對훌으로 삼는다. 그 이유는 結뼈의 4가지 종류 즉 안채비소리, 훗소리, 짓소리, 和請 中에 안채비소리의 대표 격인 鍾聲과 훗소리의 대표격인 喝香, 合掌홉 그리고 和諸을 선돼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5曲 中에 鍾聲, 喝香, 合掌圖는 京山制 했뼈와 사설이 같다. 다만 七如來는 독창과 합창a 로 이루어진 曲으로 京山制 총~Pß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八公山制楚限에서만 볼 수있는 독 특한 曲이기에 iff究範圍에 包含시켰으며 짓소리는 39曲 中에 l 曲도 없기 해문에 부득불 本 論文의 맑究範圍에서 除外시 켰다.

지금까지 발표된 짧뼈의 음악적인 변을 다룬 論文은 주로 韓萬榮의 『韓國佛敎흡樂흙究』

(서 울大출판부, 1984年증보판)와 李秉元의

Hossori and Chissori of Pompae; An Analysis of Two Major Scales of Korean Buddist Ritual Chant" (University of of Washington 碩士

(3) 本 꿇文 第E 項 「홉q貝調훌홈ëJ 參照. p.5.

(4) 셔울대학교 음악대학 자료제작질에 비치. (Tape No. 77"'79).

(5) 韓萬榮 ; 前揚홉. p.156.

(3)

- 1 9 -

學ül.論文, 1971年), “

An Analytical study of

Sa

cred Buddist Chant of Korea" (University of Washington

博土學位論文, 1974年), “

Structural Formulae of Melodies in the Sacred Buddist Chant style of Korea" (Honolulu University Press of Hawaii

, 1977年), “한국법 패 형 식을 통한 고대음악형식의 연구"(Ii'한국고대문화와 인접문화와의 관계』 한국청신문화연구원,

1981年)와 金海淑의 “안채비소리의 시낌새"(서울大 碩土學位論文, 1980年) 등이 었으며, 이 러한 論文들은 모두 京山휩j 했뼈를 대상A로 冊究한 것들로 八公制 替뼈에 대한 鼎究는 전 혀 안되어있는 상태이다.

n.

;t~貝뼈훌홉E

1. 湖南~뼈調훌톰E

1) 제 l 차 調훌記 (1986年 4月 2.3 日)

2일 오전 여러곳에 수소문한 끝에 첼唱를 과거에는 조금 배웠으나 지금은 불교용품점을 경영하고 있는 尹法良〔本名은 元淚)를 찾았더니 湖南地方에서 ~~貝를 부를 줄 아는 짧q貝增 은 玄小者 밖에 없다는 사설을 알게 되었논데 그러한 사실은 그날 오후 全南敎區本좋觸議 會 事務室에 방문하었을 때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그래서 곧바로 玄小者가 있다는 광주시 내 所願精舍를 찾아갔는데 그의 法名은 無風이고 전남 고창군에서 1909年에 태어났고 12살 때 영광 佛甲츄에 들어가면서 그곳의 氣魔으로부터 몇년간 짧뼈를 배웠고 그후에 해남 大 興좋의 九運에게서 첼限를 학습하였지만 現在는 부를 기회가 없어서 짓소리는 다 잊어버렸 다고 하였다. 그리 고 큰 寶를 올릴 때 는 서 울로 부터 했限增들이 내 려 와 ~PJ!를 부르는데 그 또한 그들과 함께 부른다고 했다.

다음날인 3 日에는 훗소리인 合掌園와 淸博聲 (6) 을 그에게로 부터 채록할 수 있었고 香需 羅列, 特騙加持, 四짧羅尼가 실린 15年前 Tape (7)와 驚佛, 普김請훌言, 由致, 由致請詞, 빼t 座園, 般若心鏡이 실린 1前年 Tape(8) 가 있었는데 모두 훗소리였고 京山制 했뼈와 선율이 같았다.

2) 제 2 차조사기 (4月 13 日)

1 차주사에 이어 2차조사에서는 玄小者의 스송인 氣魔과 九運에 대해 알아보고자 광주시 極樂魔에 있는 朴奭熙스닙을 찾아갔는데 그는 94세 홉敵이었고 용t:~貝增은 아니었지만 湖南

(6) 1986年 4

field work Tape

1.

(7) 1986年 4

field work Tape

2.

(8) 1986年 4 月

field work Tape

2.

(4)

~~뭘가 이어져 내려온 과정은 알고 있다고 했다.

그에 의 하면 湖南짧뼈는 1945年을 前後로 해 남 大興좋에서 朴淸峰, 方在雲, 高初雨라는 찮뼈價들에 의해 많이 불리웠지만 그들은 1960年代初 홉初雨를 마지막으로 해서 ~~의 服 이 끊켰고 홉初雨의 아들인 홈在燮은 佛畵를 그리는 畵工인데 어렸을 때 홉初雨에게서 조 금 배웠을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九運은 일제시대 때에 서울에서 내려와 湖南일대에서 훗t q뭘를 가료쳤던 총~1!J.t個이지만 佛甲좋의 氣魔에 對해서는 모른다고 하였다.

해남 大興좋에서 짧限가 많이 불리웠다는 사실은 洪潤植과 韓萬榮의 調흉記에서도 調養 되지 않는 부분이기에 제 3 차 초사기에서는 이 부분을 초사해보고자 했다.

3) 제 3 차조사기 (5月 5 日)

2차조사에 이 어 3차초사에서 는 해 남 大興좋의 짧限를 調흉하고자 大興좋 근처 에 기 거하 고 있는 高初雨의 아들 高tE燮을 찾게 되었다.

그는 1924年生이 며 父親안 高初雨한테 서 寶限를 조금 배 웠지 만 本職이 佛畵를 그리 는 畵 工이기에 총~~탱부를 기회가 전혀없어서 現在는 전혀 부를 수가 없다고 했다. 그래서 당시에

『作法龜鍵JJ (9) 올 가지고 배웠다고 하기에 그 책올 펴놓고 替限를 청하자 그는 喝香의 첫글 자인 奉 (10) 을 참깐하다가 도저 히 못하겠다고 중단하였다. 그리고 大興좋에서 ~뼈를 부르 던 朴淸峰, 方在雲, 高初雨가 어느 첼q貝價한헤 배웠는지 전혀 모르며 그들의 뒤를 이은 제 차들이 전혀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2 차조사기에서와 같이 九運은 서울에서 온 楚限價으로 大興좋에도 잠시 머물면서 위의 세명과 함께 替~貝를 부르기도 했으며 총~~貝 뿐 만이 아니라 쇄남도 잘 불었다고 했다.

지 금까지 제 차례 에 걸 친 湖南짧뼈調훌에 의 하면 現在 湖南地方에서 가장 손팝히 는 ~~명 慣은 玄小者이며 그의 스승은 佛甲좋의 氣!훌과 大興좋의 九運이다. 그 중에 九運은 서울에 서 내려온 첼順增이라는 것이 확질하게 밝혀졌고 해남 大興좋에서 불리던 했限 또한 九運 과 함께 불렀다는 첨을 미루어 京山制 替뼈였을 것이며, 현재 남아있는 湖南했限 또한 京 山옮u첼뼈와 同-하다는 것이 증명되 었다.

參考로 洪潤植의 魚文系讀 (11) 中에 서울中心소리와 全羅道 中心소리를 보면 〈도표 1) 과 같다.

(9) 1826年 白波先生이 쓴 것 A로 홉P貝의 사셜 에 다 조그마한 동그라미 흘 그려 셔 四聲 즉 zfi聲• 去聲入聲올 표시 했 다. 이 책 은 서 울대 학교 규장각 소장본과 同一한 내 용이 다.

(10) 1986年 5 月 field work Tape 3.

‘11)

洪潤植; “의 식 음악으로서 의 범 때 " Ii佛敎學報』 제 7 칩 (서 울 ; 동국대 학교 불교운화연구소, 1970

년), pp.6-8.

(5)

서 울 中心소리

전라도 中心소리

- 2 1 -

〈도표 1> 魚文系뽑別 훈휴 ; 셔 율파 全羅道中心소리

東했소리 ; 옳月海-쫓훌스님 「좁월-윷相起, 安)(浩 L 옳玄힘-,홉홉天-훌仁효 딘田南훌!-t.톨守根. 朴守元. 都홈

효. ;JJ 泰和. 李일·운 -西쨌소리 ; 李뼈月 ~핫뼈-安德、 R흉, 뺑n 홉 烈, 영t:f.2,:프

니月 下、,』협훨海-朴松岩, 李右 t슴

(田雨運「옳짧興「옳종守, 옳海光

L-李훌碩-朴起還 1-李훌益-李솜男

」호홈光

1-짧蘇「吳德iIl-成映홉-훌甲成 [ 칠성 암 ) 徐앓錫 [ 천고사)

l

丁春11<:(석오사) .‘옳判山〈익산

|

황룡사)

」文률훌「朴春강-朱를쫓(정읍 포교당) .林得春 (고부우병사)

」李光1t:(佛甲츄) .강오답〔낌제 운수사) 1‘月 下-李右浩-林錫正

효石짧-호應濟-옳尙玄

위 〈도표 1> 에 의하면 캠션으로 도시한 田雨雲과 月 T는 서울로 부터 내려와 全羅道에서 청t~명를 가르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韓國佛敎흡樂맑究』에 나타난 全羅道 1't~調훌記 에서는 위에서 보이는 成映l峰, 朴春各, 李吉男이 나타나는데 그들의 했限는 모두 京山制 替限와 홉사하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本人의 調훌를 통해 서 1945年 前後로 楚限가 많이 불 렸다는 해 남 大興좋의 총~~貝 뿐만이 아니 라 現在 湖南地方에 있는 쨌뼈 또한 京山制 했q貝가 불리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湖南楚限가 京山制 했限와 同一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기 때문에 本 論文의 휩¥究範圍 를 八公山制 l'tu~로 한정시킨 것이다.

2. 밟南홉빼調훌記 1) 제 1 차조사기 (10 月 18 日)

『轉國佛敎룹樂紹究』에 냐타난 調흉記에 의하면 부산 짧魚좋에서 靈山齊플 行할 당시에 金龍雲, 朴大願, 吳鏡明, 朴滿河, 李聖峰, 宋滿海, 崔松各과 같은 했q貝價들의 대 부분이 홉

(6)

魚좋에 기거하고 있었다는 기휴에 따라 짧魚좋를 찾았지만 그들에 대한 정보는 전혀 얻을 수가 없었다. 단지 그들에게셔 당시에 念佛을 배우던 道海가 현재 福良좋에 기거하고 있다 는 사실 만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러냐 여러 사정으로 인해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전화로 통화를 했는데 道海는 그들에게 械唱를 배운 것은 사실이지만 오래前에 잠시동안 배웠기 때문에 그들의 행방에 대해서는 전혀 모른다고 하면서 親音좋의 趙慧隆을 찾아가연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2차 조사에서는趙慧隆을 만나鎭南楚뼈가 어떻게 이어지고 있 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2) 제 2 차조사기 (10月 31 日)

1 차조사에 이어 顆즙좋 趙慧隆을 찾게 되었는데 그는 1926年生이며 金龍雲으로부터 찮뼈 를 배웠다고 했다. 그리고 朴大願 (12) , 吳鍵明, 朴t蘭1可, 李聖峰, 宋滿海는 金龍雲의 제자들 인데 그 中 宋輔海는 京山制 楚唱와 八公山옮u 替뼈롤 모두 부를 수 있었기 때문에 서울에 서 홉뼈慣들이 내려오게 되면 다른 題南~~價들은 같이 부를 수가 없었지만 宋滿悔만은 같이 불렀으며 그의 제자로는 金南光(圖仙廣)이 있다고 했다.

그리고 현재의 題南楚뼈는 金龍雲의 제자들인 趙慧隆〔觀룹총), 申淸호(佛훔좋), 朴應山

〔藥水좋), 文英鎬〔모라동 觀音좋)에 의해 불리워지고 있으나 그들의 뒤를 이을 했限個은 없는 실정이라고 했다.

參考로 洪潤植의 魚x系讀(13) 中에 부산中心소리는 〈도표 2) 와 같다.

〈도표

2>

魚文系諸別 분류(부산中心소리)

-훨波一安寬海 1-金龍훌훌-朴龍海, 朴大願 부산中心소리 1-金l뿔寂

-中興-吳鏡明, 雪湖

그려고 『韓國佛敎륨樂昭究』에서 는 위 〈도표 2> 에서 보이 는 金龍雲, 朴大觸, 吳鏡明외 에 朴滿河, 李聖峰, 宋滿聽, 崔松씁 등이 나타나 있다. 또한 本A이 調훌한 것에 의하면 1969 年 당시 靈山齊를 올렸떤 했뼈價들은 작고하였고 그뒤를 이어 趙慧隆, 申淸호, 朴魔山, 文 英鎬퉁이 현재 活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것을 〈도표 2> 와 연관지어 청려해 보면 〈도 표 3) 과 같다.

(12) 11韓園佛敎홉樂맑究.lI p.156에 서 朴大願이 宋滿海 제 차라고 했지 만 趙慧隆에 의 하면 金龍훌의 제 자라고도 한다.

(13) 洪潤植; 前揚홈, p.7.

(7)

- 2 3 -

〈도표 3)

-훨波-安寬海 金龍훌 1-朴麗海 ,-趙慧隆- 金뼈를寂 1-朴大뼈 1- 申淸空­

-朴滿河 1-朴鷹山-

(現在 活動하고 있는 題南했명쉽)

-李聖峰 ’-文英銀- -宋滿海

-崔松삼 -中興-吳鏡明, 활湖

][. 八公山制 홉뼈의 特徵

1. 훌훌(參考악보, pp.19-23)

鍾聲은 새벽에 종을 치고 외우는 念佛 즉 안채비소리로써 木釋釋을 할 혜 調q兄를 참깐 외우고 나서 부르는 曲이다.

八公山制 鍾聲의 사설구성 은 CD4言 1句와 7言 3句의 사설과 散文형 식 으로 된 51字의 사 설로 구성된 鍾領과 ~5言 4句의 사설로 이루어진 第-圖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京 山制 鍾聲은 CD~외 에 @ 破地藏률言

@)

解說q兄 @ 歸命禮三寶 @ 極樂世界十鍾莊嚴으로 구성된다.

1) 형 식

鍾聲은 四句聲을 넣어셔 걸게 부르는 부분과 안채비소리로 짧게 쓸어서 부르는 부분으로 나눈다. 四句聲이란 훗소리만 있는 선율형태로 樂句를 4번 반복하는것을 원칙으로하고 훗 소리를 좀 걸게 부를 필요가 있을 째 척당히 가사의 글자와 글자사이에 삽입하여 부르는 것이다(14) 또한 안채비소리는 훗소리와 짓소리가 노래인데 비해서 서양 오페라의 헤셰타 티브처렴 총츰히 읽어나가는 소리이다 (15)

曲의 형식을 보면 京山制 鍾聲 (16) 은 CD 鍾領 1'4句에만 四句聲을 넣어 걸게 부르는데에 비해 八公山制 鍾聲에서는 아래 〈도표 4>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 鍾領 1.4句와 散文 51 字 中에 마지 막 7字와 @ 第一圖의 끝부분에 四九聲을 넣어 킬게 부르고 나머 지 부분들의 사설들은 안채 비 소리 로 부른다.

(14) 韓萬榮; 前據홈, p.40.

(16) 張師動, 韓萬榮共著; Ii'園樂熾論~(서 울 ; 서 올대 출판부, 1976년), pp.162-163.

(16) 韓萬榮 ; 前揚홉, pp.179-183 악보창조.

(8)

〈도표

4>

八公山制 京 山

@ 鍾짧 1 ; 願此훌훌遍法界 四句훌훌 四 句 聲 2 句;鐵圍빼暗꿇皆明

안채비소비 안채비소비 3 句;三逢離苦破刀山

4 句;‘切쨌生成正훌 四句훌훌

n

四 句 훌

散文 44字 안채비소리

散文 7字 안채비소리

四句훌

m

@ 第-~훌 1 句;若A欲了知

2 句;三世-切佛

3 句 ;鷹11.法界性

4 句;一切有心造 &0. -까‘~

第一偏 2번반복

업타령부분 四句빨

n

1 _____________

@ 破地樣륨言

\ \ 채비 안

@ 解說띤E

@ 歸命禮三. { ι-

@ 極樂世界十鍾莊嚴

또한 八公山制 鍾聲에서는 四句聲이 네번 출현하는데 두번째와, 네번쩨의 四句聲이 同­

하묘로 세가지 종류의 四句聲이 나온 셉이다. 그러한 세가지 四句聲을 션율형에 따라 분류 해 보면 〈도표 5> 와 같다.

〈도표

5>

四 句 聲 I 四 句聲 I 四句聲

m

樂句區分;1 2 3 4 5 6 7 8 9 11 12 13 14 15 16 18

선융형; a a

a' b b b' b" a

a' b b b' b" a' a' a"

위의 도표에 나타난 四句聲을 구성하고 있는 선율형들을 보면 a선율형에서 파생된 션율 형들 (a' a") 과 션율형에서 파생된 b선율형들 (b' b")로 이루어져 있다. 즉 八公山制 鍾聲 에 나타난 四句聲은 크게 보아 두가지 선율형들 (a.b) 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리고 京山制 四句聲에서와 같이 樂句를 네번 반복해 주는 형식은 찾아볼 수가 없다.

2) 선 법

鍾聲에 출현하는 륨들은 〈보례 1>과 같다.

〈보례

1>

훌훌

를=::ø:

Z츠경

(9)

- 2 5 - 위의 〈보례 1)에셔 보여주는 것과 같이 八公山制 鍾聲의 출현음들은

E.G.A.c'.d'

5즙이

이러한 완전 4 도에 단 3 도 며 이 中

E.A.c'

3흡이 주로 많이 쓰여 서 根幹을 이 루고 있다.

를 쌓은 션법형태는 〈보례 2) 와 같은 메나리調 (17) 와 同一한 선법이다.

〈보례

2>

:a::::!:

曉좋좋

華훌훌m

4+IL

-

구그if

gti

냉흥

-”양

It

*g

r효 바·

i!1 L.t'

머l

ffI

-훌

轉쫓

훌휩활

용효

또한 이러한 션법형태는 京山制 훗소리 선법 (181 과 八公山制 짧q貝가메나려調 선법과모두

同一하다. 그러 나 八公山制 짧限에셔의 re'-do'의 반복진행 선율형 은 京山制 했뼈에서 는 발

t휠律進行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同一하나

것이묘로 이 첨에서 선법은 견할수 없는

있다.

2. 喝홉〔참고악보 PP.24-25)

사랍이 맨처음 학숨하 喝香은 5言 4句의 한문정형시 사설을 부른 曲£로 첼뼈를 부르는

게되는 曲이라하여 일명 初喝香이라고 한다 (19) 식

1) 형

구성되어 있으며 맛짝 안짝 1.2句의 맞짝 3.4句로

喝香은 아래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안짝 은 안짝의 선윷과 비 슷하다.

1

句 ; 奉없-片香-,

2

句; 德用難思讓_1 제 3 句; 根盤題沙界-,

4 ; 葉覆五須爾_1 맛짝

그리고 喝香을 선율형 에 따라 형식을 구분해 보면 〈도표 6)과 같다.

안짝과 맛짝이 비슷한 A B A' 위의 〈도표 6) 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八公山制 喝香은

B

형식무로 되어 있다. 그리고 八公山制 喝香에 냐타난 션율형들을 보면 a션율형에서 파생

이에 비해 京山 (17)

李輔亨

;

“에 나리 초(山有花제

)"

11'韓國홉樂맑究』 제

2

칩 (셔 올

;

대 출판부, 1972년),

pp. 111-131.

(18)

韓萬榮;“태백산액이풍지방의 민요션법의 연구"11'훌훌術論文集』 쩨 12접(서울;대한민국예술훨,

1973년), p.141. 이 論文에셔 京山制 훗소리의 션법윤 東짧地方션법과 同一하다고 함.

(19) 李惠求; “신라의 범패" 11'韓國音樂맑究J(서울 ; 국민융악연구회 1957년), p.272.

된 선율형들 (a' a" a'" a

1V

) 과 b션율형 a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도표 6)

|樂句구붐|션

제 l 句;훌 1 a

톨* 2 a' A

一片 3 a"

4 a'"

제 2 句;德用 5 b

維思훌훌 6 aIV B

제 3 句;根盤麗沙界 7 a'" A'

제 4 句;業훌 8 b

五須爾 9 aIV B

옮u g홉香은 아래의 〈도표 7)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a.b.c.d.e션율형과 a션율형에서 파생 된 선율형인 a'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표 7)

京山制띠훌香 (20)

I

l 2 3 4

션융형

I

a a' b c d a e d a e d a e d

전체형식 A A'

A' A'

즉 京山制 喝香온 다섯가지 선율형을 (a.b.c.d.e) 이 출현하는데에 비해 八公山制 喝香은 두가지 선율형들 (a.b) 이 출현하여 션율형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또한 京 山制 했限에서 는 〈보례 3)과 같은 잦는소리 (21)의 션율형 태 가 자주 나타나는데 이와 같이 박 자와 섯가가 점첨 줄어가는 현상을 Logarhythm (2잉으로 보기도 했지만 이러한 잦는소리는

〈보례 3)

(빼/L휩값~뼈~뼈빼‘빼佈

*

J

%에’ g허’’얘’ b야Þ Dt에l 경훌’~ ÐI' 쩌 톨겸’tJ'Þ

(20) 빼萬榮 ; 前휩홉, pp.2&-28에셔 京山혐j 喝香은 다섯가지 S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각각

의 훌에 따른 키호 (a.b.c.d.e) 는 本A이 엄의로 불인 것임.

(21) 빼홈榮 ; 빼揚홈, p.22.

(22) 李秉元; “한국범패형식융 통한 고대옴악형식의 연구"11한국고대문화와 인정푼화와의 관계.lI(셔율;

한국갱신문화연구왼, 1981년), pp. 496-500.

(11)

- 2 7 -

八公山옮u 홉뼈에서 는 찾아 볼 수 없는 선윷형 태 이 다. 八公山制 홉뼈에서 는 〈보례 4)와 같 이 re'-do'의 짚행 이 많이 냐타나는 메 나리 調 션윷형 태 가 曲의 대 부분을 차지 한다.

〈보례

4>

:(r

*빼꺼i

n~ ↓‘홉11 '빼훌 〔쩔생 W 빼”써

{ø ...

~쌓훌t

i 「--- ---J---기

‘ ' "

이와 같이 인접한 音을 장식음으로 하여 짧은 섯가로 반복해주는 션율형태는 〈보례 5)와 같은:강원도지방의 메냐리調 포歌선율에서 자주 나타나는 션율형태이다.

〈보례

5>

서I "t 1- l~획껴뺑 의에1')23) 훌훌총훌싫

-

J

배\-ki k1:: - 녕.1. ""'"낳 니 - - 밑 에

;t

,.어 써 훌 *창

n r -- ---: r---I

J

’ - - - .

’ ... --- --- r

즉 八公山制 楚唱는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京山制 結唱에 비해 선율형의 종류가 다양 하지 못하고 잦는소리의 션율형태가 안보이며 주로 메나리調 션율형태로 이루어진 점들로 보아 八公山制 했뼈와 메냐리초 음악과의 관련성을 찾아볼 수 있다.

2) 션 법

八公山制 喝香의 션법은 앞에서 살펴본 八公山制 鍾聲의 선법과 同一하여 메냐리調 선법

으로 되어 있다.

3. 습활빼(참고악보 p.26)

合掌陽는 合掌을 하연서 如來의 모습을 노래 하는 것으로 (24) 5言 4句의 한문청 형 시 사설을

부르는 曲이다. 또한 이 曲은 初喝香을 학습한 다음에 부르는 曲으로 喝香과 함께 대표척

인 훗소리로 뽑힌다.

1) 형 식

(23) 李輔亨; 前揚홉. p.123.

(24)

李惠求. J1lt.훨

;

Ii'重훨無形文化財 指定資:tsI-:;t:명.lI(서 울

;

문교부 운화채 관리 국. 1965년). p.41.

(12)

喝香에셔와 같이 合掌陽도 안짝 1'2句와 맛짝 3'4句로 구성되어 있고 핫짝은 안짝의 션 율과 비슷하다.

제 l 句; 合掌以짧花-1

| 안짝 2 ; 身짧供養具_1 제 3 句; 誠心훌實相-1

| 핫짝 제 4 句 ; 讓漢香뼈覆_1

合掌園는 喝香과 같이 5言 4句의 사설을 부르지 만 喝香에 비 해 짧게 부르며 合掌園를 구 성하는 선율형들은 喝香에셔 나왔던 션율형들과 비슷하다. 션율형에 따라 형식을 분류해 보 면 아래 〈도표 8) 과 같다.

〈도표

8>

!樂句置分{션

제 l 句;合掌 l a

A

以篇花 2 a'"

제 2 句;身馬 3 a'

A'

供훌具 4 aIV

3 句;짧心n훌훌相 5 a'"

A"

제 4 句;讓慶 6 a'

A'

香뼈覆 7 aIV

위의 〈도표 8)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八公山制 合掌圖의 전체형식은 앞의 喝香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짝과 맛짝이 비슷한

A A' A" A'

형식으로 되어 있다 션윷형들은 앞의 喝香 에서와 같이 a션율형에셔 파생된 션융형들 (a' a'" aIV) 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에 비해 京山制 合掌偏는 〈도표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세개의 선율형들(션율형 e는 喝香 에서 나온 선율형이고 선율형 f.g는 合掌園에서 처음 출현)과 g션율형에서 파생된 선윷형

(g')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표

9>

京山制슴掌園 (25)

전 체 형 식

l f g

A

2 e g

B

3 4

f g' e g

A B

(25) 빼萬榮 ; 빼揚홈. pp.28-29에 셔 京山制 合掌園는 세 가지 훌훌£로 구성 되 어 었 다고 하였 a며 각각 의 활에 따른 ~l 호 (e.f.g) 는 本 A이 염의로 붙인 것임.

(13)

-- 29--

즉 京山制合掌屬는 세가지 선율형들 (e.f.g)로 이루어진데에 비해 八公山制 合掌偏는 한가 지 선율형 (a) .2..로 이루어져셔 京山制 合掌偏에 비해 션율형의 종류가 다양하지 옷함을 알 수있다. 또한 션율형태에서도喝香과 마찬가지로 잦는소리 선율형태가 안보이고 주로 메나 리調 션율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2) 선 법

八公山制 合掌圖의 선법은 앞에서 설명한 八公山制 鍾聲의 선법과 同-하여 메나리調 선 법으로 되어 있다.

4.

t 如來(참고악보

p.27-34)

七如來는 음식 오로 布施하는 施食의 식 에서 불려 지 는 曲부로 4言 • 6言 • 7言의 한문사설을 부른다. 참고로 八公山制 替뼈에셔 行하는 49齊의 순서 를 보면 (26) φ 三身移運 @ 請佛通 請 @ 歡供 @ 對靈及灌溶 @ 說法 @ 中遭作法 @ 中遭歡供 @ 施食 @ 待훌이며 그中 여

〈도표 10)

稱훌뿔앞 [ 本ØIlb ;응 을어가기 홉1 에 나오는 훌훌줍 )

l

句 ;따꿇깊1 願홉孤행 破除흩흩 홉財具足 제

2

句 ;짧잃꿇1 顧홈孤행 各웰훌道 階意超昇 제 3 句;짧꿇료깅

홈ftI홉孤형훌 *용률쩌예흥形 相好圓톰

4

句 ;짧잃꿇넓 願옳孤햇 쯤六凡身 좀훌홍身 제 5 句;짧잃꿇따

願훌졸ÐJi짧 .. 를흉↑!ld흉 得혈윷榮

6

윌 ;뚫꿇꿇꿇 願홈孤행 뼈嗤開通 훌람짧味

~ter---~

7 句 ;1 南.阿폴llE如來 IU 짧孤행 *앙念;超~ 훌훌世昇

(26) 부산시 .音킹F 趙!훌隆스념파의 대당 내용임.

(14)

넓번째 이식인 施食에서 불려지는 曲이 七如來이다. 또한 이 曲은 京山制 홉唱에서는 없고 八公山制 했唱에서만 들을 수 있는 八公山制 짧限 中 가장 대표척인 曲이라고 할 수 있다.

1) 형 식

七如來는 맨저 독창에셔 안채비소리로 사설을 부르면 합창에서는 독창에서 불려진 사설 에다 四句聲을 넣어 걸게 부료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셔 민요에셔 많이 나타냐는 맥이

고 받는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사설과 함께 부르는 형식을 살펴보면 〈도표 10>과 같다.

각 句의 맨처읍 6(7) 言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3번 반복한다.

즉 제 1 句의 6言(南無多

寶如來)을 안채비소리로 독창에서 부르면 합창에서 앞의 6言에다 四句聲을 넣어 길게 부르

고 뒤를 이어 독창에서 안채비소리를 다시 한번 앞의 6言을 반복해 주고 다음 사설인 4'4' 4言을 부른다. 이와같이 안채비소리의 독창과 四句聲을 넣어 킬게 부르는 합창이 멕이고 받 는 형식으로 부르고 그 순서는 〈도표 11>과 같다.

〈도표

11>

댄펴 .. ---.... 판뜨린 ... -- ... 편필 ... --- 댄도링 .. _----댄평

4 6 를 4.4.4 룸

L독창 lJ i 나창2

합창 1

;빼뿔‘”‘

6 룸 4.4.4 릉 7 릅 4 .4.4름 7 름 4.4.4 롬

껴 L옥창3 각↑ L옥창43rL독창5

합창 2 합창 3 합창 4

- - 편란된 --- .. 관웰- - - _ .. 핀웰

7 롬 4.4.4 를

+↑냐창6

함창 5

7 름 4 .4 .4 름 7 롬4 .4 .4 름

-3 • 」독창 7 그↑ L독창s.t

합창 6 합창 7

그리고 四句聲을 구성하는 선율형들은 대부분 메나리調 션율형들로 되어 있다. 또한 八

公山制 七如來 처 램 합창과 독창으로 부르는 형 식은 京山制 홉뼈 中에 故¥§圖

• 嚴悔偏 •

請• 歡座園• 加持園• 普供養률言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 션 법

八公山制 七如來의 선법은 앞에서 살펴본 八公山制 鍾聲의 션법과 同一하여 메나리調 선 법으로 되어 있다.

5.

和請(참고악보

PP.35-36)

和請이란 불교포교의 한 방펀으로서 대중이 잘 알 수 있는 음악에다 敎理를 쉽게 이해시

(15)

키고 신봉케하는 사설을 없어 부르는 음악이다 (27) 1) 형 식

- 3 1 -

和請은 반주악기인 정의 엇모리장단에 맞추어 독창£로 샤설을 엮어나가는 형식이며 이 러한 형식 은 京山制 和請과 同-하다.

2) 선 법

和請에 ?출현하는 音들을 표시해 보면 〈보례 6)과 같다.

〈보례 6-1) n

e

~

〈보례 6-2) U a g

~체|

0 a

〈보례 6-1) 에 나타난 출현음들을 西洋흡階로 척으면

sol-la -do' -re' -

mi'가 되는데 이러한 선법은 京鐵소리 선법과 同一하며 西道소리 선볍 S로 되어있는 京山없l 和調의 선법과는 다 르다. 또한 八公山制 和請에서는 曲의 중간에서 〈보례 6-2) 와 같이 완전 4 도 위로 轉調되 었다가 다시 本調로 되돌아오는 외갓집목 (28) 이 세번 출현한다.

N- 結 짧

3t~는 불리 우는 地方에 따라 크게 京山制• 八公山制(鎭南制) • 湖南制 짧뼈로 분류되고 있다. 그래서 地方에셔 불리워지고 있는 했Q貝가 어떠한 특정으로 인해 京山制 했限와 구분 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러냐 조사컬과 湖南짧뼈는 京山制했뼈와 同一한 楚限엄이 입 증되어 題南地方에서 불리워지고 있는 八公山制 했限률 살펴봄으로써 地方에 남아있는 홉 順의 특정을 밝혀보고자 했다.

八公山制 械뼈에 는 짓소리 가 남아있지 않아서 안채 비 소리 인 鍾聲과 훗소리 인 喝香• 合掌 喝 그리고 八公山制 替嗚 中에 가장 대표적인 曲이라고 말하는 七如來와 함께 和請을 없究 對象으로 삼았다. 앞의 5曲에 나타난 특정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八公山制 鍾聲은 얀채비소리와 四句聲을 넣어 걸게 부르는 부분으로 분류되는데 이러 한 형식은 京山制 鍾聲과 同一하다. 그러나 京山制 鍾聲에서는 鍾領 1-4句 만을 四句聲을 넣어 부르고 八公山制 鍾聲에서는 鍾領 1-4句 뿐만이 아니라 散文의 마지막 7字와 第一屬

(27) 張師動, 韓萬榮共著; Ii'국악개론.lI(셔울 ; 서울대 출판부, 1976년), p.171.

(28) 韓萬榮; “판소리의 껴껴調" Ii'한국음악연구』 제 2 칩 (서울 ; 서올대출판부, 1972년), p.68.

(16)

의 끝부분에 四句聲을 넣어 부른다. 즉 八公山制 鍾聲은 京山制 鍾聲에 비해 四句聲을 넣 어 부르는 부분이 많이 차지하며, 京山制 四句聲에서와 같이 樂句를 네번 반복해주는 형식 은 찾아볼 수가 없다.

八公山制鍾聲의 구성음은 E-G-A-c'-d'의 5룹인데 그 중 E-A-c'가 主要즙으로 쓰이고 있 어 京山制 훗소리의 선법과 八公山옮u 첼뼈가 메나리調 션법과 同一하다. 그러나 八公山制 楚뼈에서의 re'-do'의 반복진행 션율은 京山制 楚限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것이므로 이 점 에서 션법은 同一하냐 旅律進行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r*-"빼 쩌흩 l、 a ↓빼I t'I훌 훌 (~훌휘 바 예 Ø11셔~ ~-~ 훌훌톨

v 1

2) 八公山制 喝香은 안짝 1.2句가 맛짝 3.4句와 비슷한 AB A' B 형식을 지녔는데 S이러 한 형식은 京山制 喝香과 同一하다. 그리고 八公山制 喝香에 냐타난 션율형들과 京山制 喝 香에 나타난 션율형들의 종류를 살펴보면 아래 도표와 같다.

-d a -c a

-·b

-I

r -a a - -a a -

-制

-

~

八-京 b aIV

a'"

b aIV

1 2 3 4

a e d a e d a e d

즉 京山制 喝香이 다섯가지 션융형들 (a.b.c.d.e) 로 이루어진 래에 비해 八公山制 喝香은 두가지 션융형들 (a.b) 로 이루어져 있어 션윷형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그 리고 八公山制 喝香을 비롯한 八公山制 홉限들에셔는 앞의 악보에 나타난 것과 같은 메냐 리調 션윷형태가 자주 냐타난다. 또한 京山懶I ~PJ{에셔 자주 나타나는 찾는소리의 션율형 태는 八公山뚫u 했限에셔는 찾아 볼 수가 없다. 또한 八公山없I 喝香의 선법은 앞에서 살펴 본 鍾聲과 같다.

3) 八公山制 合掌園는 喝香과 칼이 안짝과 핫짝이 비슷한 A A' A" A' 형식을 지녔고 아 래 도표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京山制 合掌圖가 세가지 션율형들(션율형 e는 喝香에셔 나온 션율형이고 선율형 f.g는 合掌園에서 쩌음 출현)로 구성되어 있는데에 비해 八公山制 合掌휩는 喝香의 선율형 a에서 파생 된· 션율형 들 (a' a'" aIV)로 이 루어 져 있음올 알 수 있다.

(29) 빼萬榮 ;Ii'.園佛敎홉樂맑究.11 pp.26-28에셔 京山制 喝香은 다섯가지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

였으며 각각의 聲에 따른 껴호 (a.b'c.d'e) 는 本 A이 임의로 붙언 것임.

(17)

철t ~홉 八公山制 制 (80)

l

'"

a a f g'

2

aIV e g

3

a'"

f g'

- 3 3 -

4

IV

a. a e g

즉 京山制 合掌圖는 세개의 션윷형들 (e.f.g)로 구성되어진데에 비해 八公山制 合掌偏는 한개의 선율형 (a) 으로 구성되어져 있어 선율형의 종류가 다양하지 옷함을 알 수 있다. 또 한 선율형은 喝香과 같이 에냐리調 션율형태로 되어있고 션법은 鍾聲과 같다.

4) 八公山制 七如來는 안채 비 소리 로 부르는 독창과 四句聲을 넣어 부르는 합창이 맥 이고 받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四句聲을 이루고 있는 선율형은 앞의 曲들에서와 마찬 가지로 메나리調 선율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선법은 앞에서 살펴본 鍾聲과 같다.

이와 같이 독창과 합창으로 부르는 형식은 京山制 故我陽• 嚴悔偏• 三請• 敵座偏• 加持 個·普供養륭言 등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5) 八公山制 和諸은 엇모리장단에 맞추어 사설을 엮어나가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 한 형식은 京山制 和請과 同一하다. 그러나 션법은 京山制 和請이 西道소리 선법인례에 비 해 八公山制 和請은 京驚소리 선법으로 되어있다. 또한 八公山制 和請에서는 本調에서 완 전 4 도 위로 轉調되었다가 다시 本調로 되돌아가는 외갓집목이 여러번 나타난다.

결국 위에서 살펴본 5曲에 의하면 八公山制 楚限는 京山制 替뼈에 비해 선율형이 다양하 지 못하고 잦는소리의 션율형태가 없으며 메냐리調선율형태로이루어진 정 퉁이 京山制 楚 限와 다른 특성들이며 八公山制 했뼈가 메냐리調 선율형태로 되어있다는 것은 倚樂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훌훌 考 文 •

1) 白波先生 : W作法龜盤dI 1926年

2) 李秉元: “한국 법패 형식을 통한 고대음악 형식의 연구", W韓國古代文化와 憐接文化와 의 關係d1 C서울 : 한국갱신문화연구원, 1981年)

3)

李輔亨: “에나리조(山有花제 )"W韓國륨樂昭究』 제 2 칩(서울:서울대출판부, 1972년)

4)

李惠求: “신라의 법패" Ir韓國즙樂昭究d! C서울 : 국민음악연구회, 1957년)

(30) 빼萬榮;前揚홉. pp.28-29에셔 京山制 合훌圖는 세가지 훌플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각각

의 훌에 짜른 커호 (e.f.g) 는 本 A이 임의로 붙인 것임.

(18)

5)

李惠求, 成慶購 : Ii'훌훌훌無形文化財 指定賣料(홉뼈)dJ(서울 : 운교부문화재관리국, 1965年)

6)

張師動, 韓萬榮 共著: Ii'園樂鷹짧dJC서 울 : 서 울대 출판부, 1975년)

7) 韓萬榮: “태 백 산액 이 동지 방의 민 요선법 의 연구"Ii'藝術論文集』 제 12집 (서 울 : 대 한민국 예술원, 1973년)

8)

韓萬榮: Ii'韓國佛敎音樂略究dJ(서 울 : 서 울대 출판부, 1984년 중보판)

9)

韓萬榮: “판소리의 겼調"Ii'韓國音樂짧究』 제

2

집 (서 울 : 서 울대 출판부, 1972년)

10)

洪潤植: “법패자료 조사기"Ii'文化財』 제

2

집(서울 :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66년)

11) 洪潤植: “의 식 음악으로서 의 범 패 "Ií佛敎學報』 제 7 집 (서 울 : 동국대 학교, 불교운화연구 소, 1970년)

참고

Tape

1) 서 울대 학교 음악대 학 자료제 작실,

Tape No. 77-6.7.8.9.

2)

1986年 4.5月

field work Tape 1"'3.

(19)

- 3 5 - ( 참고악보)

생·실앓뺑뻗싹해 鍵 聲 좋했짧 짧옳

. . . w‘r~~_- ~--_~----n - - - - - - - - .. - ___ ... ___ - ________

‘---

쩍n~ii 띠 (빼를 1) v ‘

피-훨i뼈2 ____________ 헨뺑- --- ---한τ한---한칸--효l--- υ 에 .뺀뭘6L 9 --~--:lr2r -α--- L=-- --- --- --판-.-

Il_ 효 --- -- - -_.언L--- --rL--- --쁘---1-

o샘액-이-화--화--- -언--언팩--- 뀐… 호--- -

-임캔: 걷-- 쁘-- - --- - --£--;언 경짧-현:화 ---- …- ---

-¥--책-은 훈느rrfr--- 츠:현-- 펴-- 뻔 -k--- … -l--I~

bk훌언b 웰--앨---흰- 할--할-최-‘ ---: -- *-- -뜰-프-

J

~

'-'

~ 르 ~ ~흐-틀.으

---t ... ’--- -- ----

‘- ~

n “111버1 -

-님-언헌--힘-번-뀔-톤화1.. ____________ 언--연---

걱-~- 언- ---쁘-- --'----한혐 - 첼-멘-번論현 - 'J_~ __ 언 -언--- -언- 흘[ 뀐휠-앤--- 언뀐-

1?

’--- -.]

J

’ fl~+-

(20)

τ-:--t--- “--- 짧꽃----.- ---.----.

꽉걷걷보--- ----치 ---뻗- ………언:완;--;(1

鴻:펴; ¢ :--잭-- 繼----‘-輕앤-월- --- 쐐-

낼輔많-繼똥

__________ !i ___

~궐 3

보-안 τ--약a 繼 J::π생빼빼빼어 해 강휩

청얹윌켜q횡) 이 훌

J 체빼 b죄 tlC뼈 빼 렐〔켜 i짧) ~

;: -b- ---~ωι-화-~-- ---

도- '---화- -뿔-핸댔----…밸짧-탤 b-

첼훨-휠r=웰j필짧뭘 홈L뿜납

b --;;..~-.. t~-"'"--u---

- 쩌생-슐El-- --- 편츠r鎬각藏魔=웰議摩펀----­

j후f-:-τ뿔r룻효윷뀔... ""홉r뀔힐左빨효훌궐魔순-

(21)

- 37-

-"ð---;- --- i- ~- --- --~調-rd-u---- ;

J -

요엉 어

,

으어 」 ε어

-;---- - - -; - -- - - -- -- ---

-홍-폐『α---

J- - -- ---선-칸느--- 二뺏-쩔4 __ ~ _______ •

-灣잃轉웰藝후←-선헌듀-→

% 꺼- .. 빼획햄J 와; 빼i{훌j ι빼후홉 홉훌) 댔繼) Df 爛?灣) 앤젤f.> 혔1 껴l이횟 쳐~)

* 히 강뼈 쨌 i , 훌뼈(.繼*뼈 처낌 짖훌)

J ~- 훌야할 ι-機)젠짧) 짧&)tIιj 훌훌Í1J 혈빼)

일광 1

u •

..--→IIWμ. .-.--‘플l

션행맴)훨敵) 생아)鋼 r -:f없 따대? 빡g흩)

J e 흉아~ -4현)빼깨내禮j讓짧짧핸l.OC'----. - 횡띄--현싫---

-¥-객:..._~鋼-觸훌- -헨월戰---했~---…--…-‘…-

- ‘ .. 1

.,.

n ~_ . .

1 NP

.,1".

...p-

-g간 ___ ~' ___ -향-- - ι--- --건---한 훌뿔 - - - ----

‘용+--→ ... 낭‘“블'1" lJ-:Z•...I-n::= . - - - -a

.e r

e: 흥-i τ~ !

(22)

-õ--- - --- --- -- --- --- --- ---.

「용획-휠) 에관‘어 .L 어

-r:---=”’쁘!:'".!._---하때 훌{훌채|힘 j.::'71..썽MμI Itι4

---- 어"":'01 약짧>IÛμJ 확않t)

i(S.)

i.-

4-+---. 째빼

lI!Ii

- 짜(뼈1)

01-

짧츠〉 쩨웠) 에 낄야 뻐k자) 월싱j;)

n 껴녕힘 채빼

I 4、 ~ rOI

.,...

1얻 .1 Jl1

7

~껴

J 용이패 판爛) 빼혈밍 쩌C휴) 에- AJ(~") ø1 !(• ~tß)

n

체 l웰

l

爛)

i(1

“’> 鍵 £ 약찮) 씬μ) 혹짧엽) ζ·

쩨 Z:i}

-1(~) 셰(~) 일c:"') "',따~)

n , 져l 채 . ‘

처11맨

J

톨싸) 좋. 짧~~ 판懶〉 뺑없 체C뿜) 에- 뺑휩 에

iC •

o .

. 쩨 l생

,

J

뼈!뼈 ~{빼) 상따낀 조짧)

f.-

약빼 껴Lι.) ~G셨)

O

쩨Zφ ,

양〈굉 쩌!(않)

t C:•

휴’f(찌

n .

쩌13엠 ‘ ’

JIII!.

훌빼) 즐~)파t鷹j 뼈챔켜I(J밝~

_______

h 짜빠 츠---

o

l

l

홉~~딛하: 훨휠훌1[.0

J

야.에 화‘

;"1

혀1 ,에, 꾀-

-ø--- - - - -- -- - ---τ ---원 --p ---i

(23)

- 3 9 -

n ‘

어나 양 양써 에 l

-õ--- --- --- - -

---강lr-- u---γ---- 경

‘g) "'V LLU q 10수수::!---b수01---+--土날...s;z

J

어 l 뿜- 에

:r- :r-

F

r--- o -- - -;;: - .. -- --- ---=-,, -.---j

」씌에 ~ o - --- --- --- ---_ .. 엔돼- 쩍 」

렇--n:l\--ι

f

~‘-안- 효 한요

...

~_r: 오 한

t

어 센 어f인

n ---_ .... ---‘--- 집團--ι

~

? [ - -헬 - ‘

n -

.1-- 어 어 61-- “-

.. w _ _ n

---rt

l t l

7←-十--→.ul톨

- -

(24)

( 참고악보 j

n~ 옳 t} *, 뼈뺑 !훌 J::~. 설훌f 월캔5

0

0t해 녕

홍 ~t훌

배u행mr-- (ι-

- --- --- -i ; ; ---- -- -- -

-[

..J..훌뚫r

_______________

햄확_E:I

c;i- - - -

보펴펴 _OL 언」뀐?f션

-

” - 、liI.~‘ ‘

l

…-

써용꺼- 허禮뼈에

^II

어 써 에 어 씩「

.... --...c-

--JW---

-ν---

、ι![J] I

- - - - ----아

歸-챈-화- -- - --건설 l 펴- -회않- -캘4쁘----

’、

1) J<'."-'" ... \

~

.. ,.

J-쫓〔劉- - -- - εF Þr Þf Þ~

þ1‘

pt

라- - - - --

γ

---- - - - ---‘- -

i i i

푼했한했료꽤r못仁객議환풋r

효t힘-'--…하---건 느T---4-꿇---- - ---염輝鍵-æι---

.. J_ 깐깐 - - - rt --- --- --- 와-- 현- - 용뺑 - - - --뱃鍵 ---

0

、 - " " •

J 샤〔홈‘) 의〔훌훌) 에

- -f'I -~---V-

---j---

γ--

J

씌해 어혀 찌%

νv

...

-t- - - 햇 ---_._-앤 현 --- v 검- 쉰 -강-쉰 - --연---­

_~ _òt _~t ~느 - FT- 갇는[ ]Ct 굉---.,ζπ .r:::_- 져1- -와‘-

- - - --- n · ‘ ’ - ‘이~1ð1J. l.!.J..l V'-' _

'õ'r'

Þ

I tI 01 01 rl

~핸l)ξ ~\'짧) 꺼(빠인 샤뤘)

(25)

- 4 1 -

n -

v

-니- 건웬[ 밴- 언- - - --안 -현 -언휠-엔흐L _ ___ J껴현-날- 션 - ---

、I t,. V _

fi퓨-남소*→f→냥닐닙」카 y →켜, !

,

,-쯤 Q →V.' ••• 용쉰

J 훈':' _ ~:L &j __ }j,_ 써 써 강- 찌 껴'-

h

어 회--

; ’ ---J--- -

----해때빽댐 V

_lτ.i보앤.!~-- o - - - - :二 -,---\ì. 뾰다 헨 뻐헬훤--~--- .J-컨--- -화--얄 -용邊L __ 쪽쩔 -쉰짧j 쓰j

o v v

)안-한한 에보-학 - 혼- --멘헌- - - -뻔-~하

- -

v ‘ v

ν

-.J-션 - 룰븐 보얀L. ______ 헌 -화-- - - rf켠---캔 - - ---

n "

-J-션켠----헌-앤쥔 F뼈뀔는느한순-딴전 - - --.. 싸췄) ÞJ

o

l ‘ _ Vi

낱 I -N 톨l틀용"

(26)

( 창고악보)

4? 짧 4홉 짜:爛 i떼 6짧

J :$,0.셜융쥔 장2Øo~해 fa

.r

챙 짧짧

쩌u웰J던그α--~---

---

---- - ------~

- .. ,. •.

C" r ‘JL-.bι흔닙 」

-꾀-헬원2

n

-r-7--- 。갚 fzr

;j 힘 rL/k·

orl브---략 ,

bt-

갯L

v

4、 '1 .. ,. .1. • I 닝-. - t - ‘ ” ’ ; L - - - - ; . / ’ 7!h.‘

,...,..

-.J ___ 한건----환강궐깐---낀써總'L환행L 二-갚----‘뻗---

_J_ 언환 !i_~

______ R_

하~b'þ 1\1 현- _______ _ c.:I.. __ t>:l. __ _

A ; . - - - - - - - - - - - - ~빼빼C힐 α-

-- --- ‘

i

4 건r: -- -- - - -V건 --져맺 --- __ !L_ κ A __ s!:. __ _

、~:t앞j ‘'" I V

_J.켠댈}---월훤繼효----…- -깜- -언현-한 -언-

V -

l “ ‘ ?‘~

「카 ?iY카.,J-L-

-1--- 화--- ---- ---언---꺼화 f랜 -희---언--언 ---

n 튿톰!!I V

R ν:

J 써새쟁- 갚환)_.f: 유 휴 ~ 우 쫓

o 뻐 3힘훨r-' O:; - - - “ ‘ - - -

v

ι

4 찢짧aJ~.!싼y--- .'경훨)鋼-한'r

o

v J문--觸건--

~ ~를 R

-…---

r"T'

~ d-~- .J .l • .J 1

I

~→.:')-

J 깝- 좌::!þ_,.

_ _

~ 11: 어 에 허 -연 보느-

i--- 1<--이빽뼈닮r-

a-- - - --;

----ι-

;L __ 뀐- -- -젠-- -繼遊-ψ_ -"t __ ~. _tf .-__ …-~--앞.-

-

v

k

-g -- - - - 했훤 ---행싫쨌삐언.-

.. _---

캠- 션

--

밝 - 쉰-

---

0

v

“ ‘

어‘ 어혀 어에.t>f 써 어 어

-j--- ---- -- γ - - - - -

-!- - - -; - -

-;노---‘-훨.

(27)

- 4 3 - ( 참고악보}

七 싸디 * 쨌g훌쫓홉융,錢l훔

,

J행. 짱꿇 패해ψ/*해 ,* *-ß,뺏 짧 행\r-,- 뺨 6훌輪- - - - - --1 "패n검 쩍 ... ~j繼 - J 훌뼈양蘭) 總j훌l雄j E K휩) 야 總;) 츄 휴

v ... -

μ 퓨 F ¥ 혹 황~- 싹t썽

_.

v

훨었 l 꽤빼앤F

s

뺏뼈‘해빼 þ1 ;"1 、 L센햄) 팎흙)

11-

n "

.J +‘ 야짱)

V

J 허 어 패 어|획써i씨

Ðf

j 하- 해I

v

l

J

얘-허l 빼

a " ‘ ’

l

v

J

J~""'I

}찍밤도놓「흙를흐F활객t--를!.

p

v

J

- r

O 엉 |

파t 렐후휴-좌~

μ

써휘

; r -

앙.

龜국

",.. 싸:--

〉圭흘

쩌하~) 에

i .

혹tz,

〈냐빼혐톨빠

(28)

’ " _ _

v

‘ ’

.J .e

여〈뼈) 해뺏) 씨 에 Õ1/ 혐爛때빼l빼J훌(1.;훌j

p ÞrM、 __

1

‘:-+、

I

~ 에 류‘ 구여j

n

l 튿g를 F톨 vl제강M

....

η

v

킹 ~

O

~ v황쌓1."뼈황

J ïl. I) D.(#f홉) 홍

‘ -.

O

l‘. 、I I V

j

무빽) ¥ ¥ 우 !ct) 앙했)

!!.

P ..

v

"" -

어 어 어 꾀 gξ ; 흐 ξ

o ,

、/

--

ε 맡% 어획어어어

,

、/

v

T

야 f

or er er er

0)"" 품훌

o ,

、/

J

어힘 썩 캄- T 억써

0 |

-

륙- 갑- ()~I 현 말-- g l 을- gl

gF

0 . . . ν ‘

J 야 하 eF 어 서 입-버 %

P ..

V

(29)

강「쓸總)쩨빠훌

훌훌 훌옳v

빼빼혀빼)D1j

J앓르

- 45-

훨훌

에어

어l

r--

!!.’

- 4

맙‘합-압 ... Þtl 뿜에

l

V

빠- 핍〔 헤‘ 어 에써어

v

어 품를 빼뻐 껴꺼

v

써휘 해- 갑- 이셰

!.t

」觀 에

, 특활3

J 냐핵) 원,1) 에

þ1

어 휴 ’ ~톰j

틀톨톨,.

{ ‘ 짧 ¥ 컨뺑 해빼 -F

빼織J 헨짧빼빼빼뼈i빼J 힐건훌)씌빼) 01

n ~

J~ i(f1!、 o ÀÍø.를、

ol 체F빼 I

J 빼) "1'"轉〕 회 어 어 김

0 \1 1

7

허 커#’ 김 홀뿔~--_... 요-- 씌얹j ‘lë껴j o v

훨~~. I!I맹흘$

뻐 t、얘f홉P 톰때 와 와 와.

V l

υ 쩌(월 갚(J) 얘 4-τ~

J 빼훨 쾌‘ l.

4-+47 J 에l 흩’l

J

에 어

훌롤

(30)

h l

ì _

’ -

01 ~ ι !.

t.

O l

J 허 압- & 앙

0 솟'Ir1-+:J

J

어.

O l

J

.J톨",. ...

n ;.rn..=.\ I

’ :;... ;...

J~')~ ‘

n

를i‘

그→·.어

--‘-

를 써여U)G

...

~어 해야)

랬’

따캘)

靜오

훌릎

|어

|「→ i #휠껴

훌경

g

g ι

&111 날l 鐵 ξ

l

윈 캄’ 뺏?

~ e. 앨懶쩨輔1{~~þ혈뻐t뺏繼획(빼) 觸)짧)

~

e..

애째9

廳) 聽~)

聽r

니 bi

l'

~r

tt

---

*뼈)

br 빼빼)쐐) 쩌빼’빼 김I ""1

v

l

ι

rz.. 9.

땅〔빼.)

--- --

V

I V

Il'

r IJ,여) 짜 에 똥 에써 패tL 어

;

l

v

- 압l 갑-DlI 깜 이l 애l빼 짜-

에 싫$아.껄뻐짧

휠꿇)

(31)

-47-:-

4

J

i - l 어l 에|

n

J

어|빼 빼농tl 어

"

어흙 에 어 어 어 여해 과- 감-Al 찌|

뽑舞

훌¥

- . . . .

에 어 어oj, e.놓 E 으i 요

e..

!.

꾸뀔룰룰 ι ...

1

•-l-

r ιt;,. 61- 어 i

T

l

.. -

、/

-

건빼) 에 혜依) 서-- 싸 서 써

n 혹힘:5 、1.

~)중 와

R__ _

v

. ¥ 빼〉빼ttt)

‘‘

니 샌때) 배.- 에〔뼈) 해뼈 뻐

ok m| 07l

-...zo

、l

4 -I-t• y ~,←"'It~, 1 ,••,,_ I ~뉴흠+--톨늘

t

Þ1

1 버l 휠빼쩨뺏뺏V總搬짧?빼빼왜휠빼훌e힘 쐐)

"'1

V

히 ., tlJ 빼) F 빼)혹

V

훨멜5. 맨헨쩨훌

f 때흩) 힐끊) 예C훌j 꽤 허빼빼어l ’나행j 轉) v

” ‘ -

、, I

카 IYI) ""'"휴→→

....

~I

(32)

옳훌 轉{

J 밟- 압-에루 에

J 셔에 어 써 허 에 어

f쁨톨쁨£「-꾀

-카---a:.ÌI ‘

_a_

l"lI

J

g 를 운

..

~훌 훌; 5!.

J 써 강-허 Þb

J

서-- 어.

i

_ r _ I

에’ 에뻐뼈에 빼l 짜-

V l 、l

에해 압· 룹 ... 씨 여

|

V

- - v

- - ‘ -

써허 ‘어 어 .

1,

e.훌 훌

RI!!II.

"‘

l

.,..

"J.

v

~I

했0) 껴 쩌빼

ν’훌량ι

써 .、 냐빼j

n "1!5 I l!!! I

홉휩

J Þf

써 의‘

n . . " .... I

툴-‘

화짧 여l 어""- 냐〔쩍~ ø

,"

"r ;.,‘-

어 허 마i째) .. t

(-'t)

) 5f(홈J

0

elr

참조

관련 문서

* 韓國法制硏究院

즉 다음 악보에서와 같이 林-件 진행시에 弄은 천천히 풀에내리는 되성응 사용하거나, 1 박내에서 退聲을 사용하지만, 樂은 천천히 풀어내려는 退聲法올 쓰거나 l 번

따라서 題南地方의 10개都(1)에서 援集된 어사용과 八公山制 했뼈 (2) 를 짧究對훌으로 限定 시겼으며 또한 어사용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비치되어 있는

水質環境基準은 퍼 Jll 과 ‘湖써에 대해서는 上水源水, 水塵用水, 水泳用水, 工業用水, 自然 環覆保全, 生活環覆保全, 海域에 대해서는 水塵用水, 짧樂, 工業用水,

族의 言語外에 다릎 數個語에 서 補充짜加하고 있다.. ;韓國語와 Indogerman語 ; 韓國語의 Indogerman語族에 所屬에 關한 田:. 究) (Heidelberg , Julius Groos

5) ‘Public service obligation’ means any obligation imposed upon an air carrier to take, in respect of any route which it is licensed to operate by a

The safe ship operation of Korean coastal shipping, compared with that of ocean going shipping, is threatened by difficulties in replacement of a

The foundation can be accomplished by Civil Law as a social organic act investigating systematically the upper theory, a judicial precedent and cus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