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廳律分析 19-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廳律分析 19-"

Copied!
4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어사용의 廳律分析 -號q貝(魚山 ) 1î힐律파 關聯하여 -

(서울大 音大 助敎)

... {{目 次)).••.

:1. 序

4.

어 사용과 土洛民짧旅律의 比較

: n.

1. 어사용의 폼훌 및 그 사회적 기능 5. 어사용의 사셜붙임법

2. 어사용 旅律의 특정 B1. 홉

3.

어 사용과 했뼈族律의 比較

1. 序

本觸에서는 魚山(첼뼈)과 ‘어산요’를 비교연구해봄으로써 현재는 佛敎嚴式흡樂과 土洛民 羅라는 전혀 다른 두장르의 음악으로 存在하고 있는 것들의 상호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따라서 題南地方의 10개都(1)에서 援集된 어사용과 八公山制 했뼈 (2) 를 짧究對훌으로 限定 시겼으며 또한 어사용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비치되어 있는 鎭南地方어사용을 필자가 採 讀한 것과 『한국의 민속음악』 경상남도편 (3) 에 실련 樂讀들을 八公山制 했l펴와 比較·分析 하는 方法을 통해서 어사용이 지니고 있는 선율의 특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R

1. 어사용의 體意 및 그 사회적 기능

‘어 샤용’ 이 라 하띤 題南地方에 서 는 산에 서 나무꾼들이 나무플 하연서 부르거 나 혹은 나 뭇짐을 옆에다 벗어놓고 자신들의 신세블 한탄하면서 부르는 曲을 가려키는데 그래서 일명

(1) 거창군, 함양군, 창령군, 의령군, 밀양군, 양산군, 울주군, 하동군, 김해군, 남해군 以上

10

개군.

(2)

좋고, “첼q貝 八公山制에 對한 鼎究"(서울大 석사학위논문, 1985년)플 參考.

(3)

\l'한국의 민속음악』 경상냥도연, 한국갱신문화연구원 예술연구섣펀, 1985년.

(2)

‘냐우꾼신세타령’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어사용에서는 曲의 곳곳에 ‘이후후후’라는 사섣을 아주 짧게 외치는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꾼들이 산에서 나무를 할 때 법이 가끔 나타 냐기도 하묘로 이를 쫓기 위해서 뱀이 무서워한다고 전해지는 ‘이후후후’라는 동물이픔을 曲의 중간중간에 넣어 부릎다 (4’고 하는 것을 보연 산의 노래라는 것은 확실하다 하겠다.

또한 어사용은 불리우는 地方에 따라서 ‘어산이’ ‘어산용’ ‘어사용’ ‘어새이’ ‘얼사용’

등 여러가지로 불리우는 것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찮I!f!와 同一한 의미로 사용 되고 있는 ‘魚山(어산)’을 村夫들의 업을 通해서 發숍하게 되면 ‘어산이’로 되고 그것이 좀더 地方사투리에 섞여들게 되면 ‘어새이’ ‘어산요’ ‘어사용’ 등으로 불리울 수 있을 것 으로본다.

이 와같이 佛敎嚴式륨樂으로서 의 ‘어 산’ 과 土洛民證로써 의 ‘어 사용’ 은 발음상으로 무척 이 냐 유사한 점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목에 있어서의 유사성이 흡樂的으로 는 어떠한 염관성을 지니고 있는가는 뒷 항목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어사용’과 ‘어산’이라는 用語에 대해서 짧究되어진 것을을 살펴보고자 한다. ‘메냐리’ 또 는 ‘어사용’에 대해서는 『閔居筆談~ (5) 에서 다음과 칼이 ‘@껑됐利’로 소개하고 있다 .

. "農家 所謂 敏我利 山有花者 郞 農A相動之調也 행늄 動我利 山有花之諸 出於技*百濟古都者 非 -m 而JlP 農編之互相和家歡 @빙我利之謂-m 所謂 山有花者 成코 松江鄭公 出伯關東東A賴J'l; 엉훨業公作山 有花曲 數之以相和 歡農之훌而 未知何說 행是 理語 所謂 難!Jp有骨者 A之無福事多不成之謂-t!2....

즉 메냐리는 농군들이 부르는 것으로 흑자가 메나리는 부여, 백제에서 불리던 것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고 농군이냐 부녀자들이 서로 화목한 가정을 갖게 하는 것이 메나리

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李在검~) (6/ 와 高옮玉 (7) 과 같은 國文學者들이 빠究한 것에 의하면 橫夫救堅間에 불리우는 ‘산유해’와 ‘얼사영’은 같은 것으로 哀調를 띈다고 쓰고 있다. 또 한 李輔亨님은 ‘에나리’ ‘山有花’ ‘推、夫歌(어사용)’ 3가지를 농업노동요로 보고 自由리듬 과 약간의 非固定旅律을 지녔다는 점과 메냐리調로 되어 있고, 같은 선율형이며 장식음 쓰 는 법이 같다는 점을 들어 같은 유형의 민요로 규정하고 있다 (8)

다음으로 ‘魚山〔어 산)’ 에 대 해 說明한 글을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붕.iI1.음악은 일명 볍패,}t音, 인도(印度 또는 引導)소리, 또는 魚山이라고도 한다. 韓萬榮著, 11韓

(4) 1988.8.19 日 정남 밀양군에 사는 신의근民와 대담한 것에 의함.

(5) 11閔居筆談~, 짧良公(諸釋修), 옳願紀元後五 , rX.E용챔月望, 起淳.

(6)

李在都: “所謂 山有花와 산유해 미 나리 의 交涉, 11新興~ 6號, 1931 年 12 月,

p.73.

(7) 홈品玉 : 11朝蘇音樂맑究~, 서 울 : 首善社, 1949年,

pp.134-5.

(8)

李輔亨: “에 나리調(J.lJ有花채)", 11韓園音樂맑究』 제

2

칩, 1973년,

pp.llH3

1.

(3)

@뼈佛敎音樂흉다究(증보판).:1, (서울大學校버版部 : 1984年), p.l.

지금 우리 朝購에서 하는 楚音은 젠 子建01 가 魚山에서 밴드러낸 것을 智異山雙漢뿔륨鍵園師가 배 워다가 傳한 것이아고 합니다. 그래서 引導上養을 魚山이략 하고 引導소리 하느니플 魚山이라 하고 행흡가르치 는이 를 魚흉이 라 하고 뿜音배 우는데 플 魚會라고 한다. 退~ 樓相老, “佛數決疑끼 『佛敎』

80號(京城: 佛敎社, 1931년), p.48.

또는 魚IlJ, 鍵 團植이 이 곳에 서 처 음 했뼈응 만들었기 때 문에 그로 因하여 햄뼈플 澈PJl. 또는 뼈1t 이 라 함. 玄證四에 「陳思王이 魚山에 올라가서 嚴d뼈의 調續소리 를 듣고 그 소리 가 淸城流亮하여 번 골짜기 에 서 흐르는 소리 같은지 다 그 소리 플 본따서 했q貝플 만들었기 때 문에 지 급 fit충에 서 楚q貝플 뼈Q貝다고 한다.H韓國佛敎大騎典』 四集, 한국불교대사천펀찬원회 (서울 : 寶違聞. 1982년), p.475, N\

IU 條.

JW~월山名졸山. 在山東東阿縣西八理. 以陳思王홈植遊‘ 此威했Q貝而著名. r佛敎大離典.lI, T福保 編훌(文物出版社, 1984년), p.974, 魚山條.

阿縣뼈八里 κ fE강山@名. 又뼈山, 或따 흩山 ι 作 G. 陳思王賣植, 홈 T 此 κ 遊0:, 짧P貝&感t. ;'::.G 경r 以:其@名著따 강. 望月信亨著, w望月 佛敎大離典~ 1集, (世界聖典刊行짧會 : 昭和 29-33年), p.626, 魚山條.

위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어산요’와 ‘魚山(어산)’은 土洛民讀와 佛敎嚴式홉樂이라는 전혀 다른 장르의 즙樂→으로 구분이 된다. 하지만 이렇게 다른 장르의 음악이 얼마만큼 음

악적으로 연관성을 지닐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어사용선율의 톡징

本鎬에 서 다루고 있는 10개 群에 서 採集한 16曲의 어 사용으로부터 축출한 出現즙을을 上

行時와 下行時의 흡進行으로 구분해 보면 아래 에 나타난 〈보례 1)과 같다.

〈보례

1>

, 〈웰 17:-1-) l: 41 s형

ik

~’ D ... ~

1 ‘ .... 1 . . . . ‘ a 二F

(1- 1 ~ 1,.)

‘'"

.:;>二--→'" ’

• 〈짱갱 t <Þ7

r

1) ~급~요.

,

:J ,IS;

; 〈뭘캡쩡)

;.a

‘ (.'11갱갱G))

「꺼..二〕욕~←←←←{등P 'j"←--二

i l:m= 1

J

!

}{카~치 ·ιF

--f)--+

J

l

rr캉-τ논급~

낸, r-

I.---t----냉ι

睡르.J./.

g

g

휩석 4 옮

활듣캘

좋율

(4)

→측혐프든돼

른듣훨뜯챔 핀펠파흉

활콸듣품

궁프드드드콰

=j)펴

• <:잊얘긴 ~ì

~ • :

객「←←τ브줬쿄른3주-← i향 표三프E프느=r=r=--~I

, -J--¥

{륭---1’“

t〈앵망뚱〉

그I (1j해한

:rp d

→二파E二

#tt

‘(~~훌:()

I"&- A

~

-카..---남←_---.t...e--,. v 내~--f

숙갤해갱ì f

;\5 -;;; _ _ - - - .

-E9 -i;I;‘t}L-= ‘ F> -J,.ι UEU .'17

,〈훌껴.a,)

~

n ’ ‘ ’ " ’

--二~---.Jl

n

~一함돼

위의 〈보례 1> 에서 나다난 합進行들을 보면 旅律의 上行時에는 la와 do'를 骨格흡으로 해 서 la를 ml 혹은 sol이 아래 에 서 꾸며 주고 있고 la 혹은 re'가 아래 와 위 에 서 각각 do'를 꾸며주고 있다. 그러냐 함양군, 거창군, 창령군d), 창령군@의 어사용에서는 아래의 〈보례 2> 에서와 같이 mi플 단순히 꾸멈음으로만 사용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5)

〈보례

2>

뿔흰샌, 1 →þ=주푸l

단L←L훌←결←응는-강~二-L-~

강{황1) ‘

A

f...

1\、 ν _ _

.f A'

」’“

-1; ,) - - -종1

F?엉'i\V1

k.

1'";\

킬,

LL J) , n_ul

그 꾀 융11 '.

i〈행웰(J))

1\..

/합£:=극t2=!{ '{> I

다음에 는 旅律의 下行時에 나타난 숍進行들을 보면 do'-la-mi를 骨格흡으로 하며 〈보 례 3) 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re'는 do'를 짧은 젓가로 꾸며주며 또한 re'는 mi'와 함께

〈보례 4) 에서 보여 주는 것과 같이 사설을 총츰히 엮어나는데에서 보인다.

〈보례

3>

t〈월ψ*ì(!l>’‘

l

ν

k' v t. ....

ι

>l L.-

I 、‘ -r .,.

‘ ’ ‘

ι17

‘L. • • _ _ _

“,~

• ‘.. ‘.,‘.

、. ‘~

‘...

、“‘ I

(I)

/:> I

μ μ

1). I b I I I I I 1 F !

.. i 찌 려 흔 아 þ' ,. .,,.

ot" ;1

0

1: - - of - ‘

,〈흩각깐<D) .... ‘ ...

l L l , . . . .

“ ...

IC

1"] t: ~ tr I!'‘、 l

,

.. •

4"l.

.,.,. .--.

UI

’ '-"’ ‘ .. ‘... • ..

-、 J r 1'" l '

‘’ • ‘ •

t느l、

‘ ’ .., -, ’ ‘ ’ , .‘ , .‘

’ • - " l

l

‘~ I~~I I I I 1 •-+-l

t:71iZ L」 l

V ,. .. -

」 츄 샤 츄 야 - - - - 갤 카‘

ø

t-

-t

e>,.-二

(6)

〈보폐 4) 에서와 같이

mi'

흑은 re'에서 do'로 下行한 f좋은 〈보례 5) 와 같이 la로 下行한 후 s01블 경 과음으로 하여 ml로 下行하는데

〈보례 5)

I "'" .... ~,. n.

〈멸 et-3댐》짧창컬!J::J)J -- .!; j 'i I

""

:t¥, ~휠 ct

〈앞양짧/ ,짧葉홉꿇5합합드듬둥똘圭뜯;L:찮

」 약

2.

1 영 ?~ 야 ;

•'--",'"

, ~

,., fl

I--~프--

~τ---→-.--.-.

〈뺑생〉휠I:-i=합r「걷듀L한~二F- 」-나 ~밤펙

‘ i

원~ ~ ~I ~’

함양군, 하동군, 담해군의 어사용에서는 〈보례 6) 과 같이 1a에서 관바로 ml로 下行한다.

〈보례

6)

」」fr F2I-훈----수τ+----~~ ~’

‘ -

〈합건〉 찮강 .-' ~) '-r-、., .r J 원~ 꽉 J - 4-~-t ‘ t II Et

- • ;

←I-~‘ l:: '\:: ' ‘ ~“‘

<. ~~훌훌〉 닮r ‘-ßζ 꽉~ ‘:> J)~> J> J &, 츠복

」 악 계 닝파 화 장 양 건 짜 능

〈냉해:a) 확 E친슨~‘ ~、 / ? ?f; t> ç듀콰

n

A

J

...

-,-,"-~---→느엽

u.1

v r

:JJ- / " , ; : : ,

;r

-~---→-← • -

" 연 ;i 깐 낀 σ11

위와 같은 사설들을 토대로 해서 10개군 어사용 171떠들을 出現숍과 숍進行에 따라 分類 해 보연 〈도표 1)과 같이 나타난다.

〈도표

1>

A A' A"

A'"

B

어 사 용

장령 군(l)~@@, 울주군 CDCD-l , 의 령 군, 빌 양군 CD~, 양산군 띨양군@, 거창군

띨양군 (1), 김해군 발양군(운

함양군, 하동군, 남해군

(7)

〈도표 1> 에 나다나는 것을 보면 A 形이 17曲 中에 함양군, 하동군, 깅해군어사용을 제외

한 나머지 14曲의 旅律型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B 形에 속하는 3r由의 어사용은 鎭南의 다른 어사용들과는 다릎 것을 알 수 있다. 즉 B 形에 속하는 31벼을 지-세히 살펴보떤 함양

군어사용은 전라도의 육자백이선율과 흡사하고, 하동군

남해군어사용은 전라도의 홍타령

선율과 흡사하여 이것은 題南어사용의 가사에다 전라도의 대표적인 曲들이랄 수 있는 육자 백이나 홍타령의 선율을 붙인 것이다.

이 와같이 同一한 旅律에 다 다른 장르에 서 부르는 가사플 붙아 는 경 우는 土倚民諸에서 가

픔 찾아볼 수 있는 보펀적인 현상이다. 그래서 사섣의 내용만으로 장후를 分類하는 國文學

에 서 는 위의 3曲을 鎭南어 사용으로 분류-하겠지 만 本鎬에 서 는 鎭南어 사용의 旅律的 특정 을 살펴고자 하으로 위의 3뻐을 제외한 14曲만을 한정시켜서 살펴보고자 한다.

上行時의 音進行은 〈보례 1> 에서 보여준 것과 같이 la와 do'플 骨格룹으로 해서 la를

mi

흑은 S이이 아래에서 꾸며주고 있고 la 휴은 re'가 아래와 위에서 각각 do'를 꾸며주고 있다.

下行時에 는 do'-la-mi을 骨格音으로 하고 있으나 자세 히 살펴 보면 〈도표 1)과 같이 유 형을 分類할 수 있는데 그 것융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形은 mi'와 re'가 do'의 꾸멈음으로 사용되거나 흑은 잠시동안 소려를 치켜부르연서 사 설을 츰총히 엮어나가지만 그러한 음들을 do'와 la에서 머무르다가 sol을 경과음으로 하여 mi에 서 짧게 終止한다.

A'形은 A 形과 흉사하지만 단지 mi 가 A 形에 바해 사설붙이는데에 자주 사용된다 A"形 을 A 形과 홉사하나 終止흡이 ml가 아니 라 sol이 라는 점 에 서 는 다르다 A'" 形은 do'의 구 멈 옴으로 mi'와 re'가 사용되 지 않고 do'가 쓰이 고 있고 다른 유형 들에 비 해 ml를 걸게 지 속시켜 준다.

다른 土洛民諸들에서도 냐다냐는 현상이겠지만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어사용 또한 唱者,

장소, 시간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어느 族律이 母旅律 (Mutter

melodic)

(9) 이라고 확정짓기는 어렵지만 鎭南의 107~ 觀에서 불리우고 있는 14개의 어사용을 通해서 불완전하 나마 오랜 옛 날부터 나무를 하면서 불리 우던 어 사용이 지 녀 왔던 母旅律을 찾아내 고자 한다.

그래서 아래에서는 위에서 살핀 것들올 宗合해서 어사용의 母族律을 推定해 보겠다.

어사용旅律의 上行時에는 〈보례 7) 에서와 같이 la에서 do'로 진행하는데

mi

흑은

so1

0

1 la

의 꾸멈 음으로 사용되 고

re'

흑은 ra가 do'의 꾸멈 음으로 사용되 는 旅律型이 14 曲의 上行旅

(9) Hans Merismann

,

Grundlagen Einerm

\l

sikalischen volksliedforschung.

(8)

律 中에 가장 많이 出現하묘로 〈보례 7) 과 같은 旅律型은 鎭南어 사용의 上行時 기 본旅律컨많 이 된다.

〈보례 7)

4

i

z.

I

rI、

..

-T C'J

.‘ ~ - -

1τ · ‘--

£ L 헐 듣켈

어 사용旅律의 下行時에 는 〈보려11 8) 에 서 와 같이 do'-la-mi로 進行될 때

mi'

흑은 re'가 do'를 꾸며 주고 la에 서 mi로 下行할 때 는 sol플 경 과음으로 사용하는 旅律型아 14 曲의 下行 族律에서 가장 많이 出現하으로 〈보려11 8) 과 같은 族律型은 〈보려11 7) 에 나타난 上行旅律型 과 마찬가지로 題南어사용의 下行時 기본旅律型이 된다.

〈보례 8)

짧 聲 용늪 쫓강

앞의 〈보례 8) 과 같은 旅律進行형태는 韓萬榮념의 “태백산맥이동지방의 민요선볍" (10) 에 서 밝힌 〈보례 9)의 東部民짧族法과 흡사하고,

〈보례 9)

g

ιl三←캉

또한 李輔亨넘이 “머1 냐리조 (LL!有花제) (11)"에서 반한 〈보례 10)의 에냐라조族法과 흡사 하다.

〈보례 10)

주그=표-←←一←-三프프드}

원)

Q.

;

그러 나 〈보례 9)와 〈보례 10) 에 서 보여 준 旅法은 앞에 서 상펴 보았던 上行• 下行旅律型과 (10) 韓萬榮:“태백산액이동지방의 민요선법", !f예술논문집 JI 12集(서울:대한민국예술원, 1973 년) ,

pp.121-147.

(11) 李輔亨: “매 나리 調 (111fT花제)", W 韓國音樂%다究JI 2集, 1973年, pp.111-131.

(9)

비교해보면 上行보다는 下行旅律型에 더욱 가캅다. 즉 上行旅律이 出現하는 部分은 曲 全 體를 通해서보면 극히 짧은 族律로 구성되어 있지만 下行旅律과 下行旅律을 연결시켜 주는 연결구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上行旅律型은 下行族律型과는 구운되어 다루어져야 하는데 그러한 點들을 실제 曲을 通해서 살펴보엽 아래와 같다.

〈보례

11>

놓소연 맹천리.

웅주근 억삭용 i @유인영 남, 84세.

φ이보형 84, 9, 18,

싫음은 완전 A 도 닛음 놓소변 호겨리-

(자유리듬/

4_~t-,'~' ~깐T←'" . t、!、?、 r~ ,

>.

‘? :파;:@「

t~슨~~까측7특‘(C:!L‘ ~'-f'f1. "유서←낱색」커휴f' I'r.~ "'.~.* ~'~ →g土훌.~~7'-;;-~투→L

t1

~ r γ υ f-f-f 즈능낱-←-+--+→ι---→~

LJ

íO:OOi

구야구 야- - - - -잘가-마구 야-가리잘가 이구허- 에헤-에-

i 「τ::J

,

r.、 ‘ - - - 즈"'---‘

흉판몫;판휴따월흔1흥흙£풍훨運뚫£그즐듬圭 훌않푼릎좋꼼폰

→--_.--t::-:-.:-~~~~ _ _ _ . “ { 자디강둡·암융니버]리고-굵우 L 을받윤앗이가>1) - 에헤 이 카야구

{

끼:、

〔「--

,、 >

r「~

{

ifr@r-l

:.- v

! !

~~초숲뜰람풍웰활」ii강평돗 홉람훈옳훈굶꿇훨훌끓흘

••+ →←←유 .... -!---‘~긍4ι-←←←~→-능i닐←-J'-Y--→'-!:카-닝-二----을--

야 아 - -.- - 실베 강우- - - L 이내-옴에 - - 천근 -강 ::::"--L 컴윤-치고-

( ‘:듀íW-,필‘

>

쇄=*도같:t낱숨휴i권二펴주: 릅누,.-....,후펴=Þ-I+=밀i팝-:þ;::j: ~hþ~ t=, τ-

뻔← ;ι~휴닐닝숙-¥」츠존븐스톤#후~., •.• '.

::jL.JILJj

거 북 이 사 - - - L 넘 어 - 고 오 어) 넙 널 때 L 나두 나 -내 날 - 썩 엔 넘 도 낳고마는

” ~ ~

-:-~、

~1 ~ τ

v

-~‘~--=-1다二.r.루급~~、

-"•

'-~γ낱 ~--I.- .-... 껴'} ~ ,, ~'.IJ.Ii~ A 1 "1? i' ~ ~ 1'

,

1 ~.I~ ’-←-흥---

tJ

이 내 팔 자 - - - - 까 여 」 하 나 어 개서 L 히 고 - 윈 통 하 네

위에 예시된 〈보례 11> 를 通해서보년 @부터 @까지 표시해 놓은 旅律部分을 제외하고는 모두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下行旅律型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괄 수 있다. 즉 曲의 첫 부분 ‘구야쿠야 갈가마구야’ 를 보면 ‘구야구야’ 의 마지 막 사설 인 ‘야’ 에 서 re'가 do'를 짧 게 반복해서 꾸며주는 선율형태가 지속되다가 맨 마지막 do'는 단 3 도 아래흡인 la을 구맘 음으로 해서 ‘구야구야’의 사설을 마무리한다. 그 뒤의 사설인 ‘갈가마구야’에서는 do'에서 la로 下行하여 흐르다가 ‘야’는 la를 구멈음으로 하여 do'로 上行하였다가 곧바로 re'을 꾸 멈음으로 하여 do에 머무르게 된다. 이 렇게 la에서 do'로 上行하는 부분들이 樂짧內의

CD

부터 @까지 냐타냐는데 이 것은 下付旅律들 사이 플 연결시 켜 주는 짧은 연결구라고 볼 수 있다.

이 와 같이 題南에 서 불리 우는 어 사용들은 主로 下行族律로 구성되 어 있고 下行族律들의 사이사이에 1:行旅律의 짧은 연결구블로 구성되어 있는 선율형태는 〈보례 11> 에 냐타난 울

(10)

鎭南의 10개都 14 曲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보

Me(odic

Contour를 찾아 주군 어사용에서 나타난 득수현상이 아니마

3윈적인 형상이다. 이러한 선율형태플 보다 확실하게 보기 위해셔

또한 이러한 선율골격들이 여러개 모여져 보면/、、、와 같은 산윷골걱 이 graph에 나타나여

냐타낸 graph는 이 그리 고

Melodic

Contour를

서 어사용을 구성하고 있응을 알 수 있다.

글의 맨 뒷부분에 실었다.

같이 la에서 보여주는 것과

〈보례 12> 에서 14曲의 어 사용에 나타난 終止型을 살펴 보면

mi로 下行하는데 대 부분의 H되들이 la와

mi

사이 에 sol을 사이 음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공통 점을 지녔다.

낀 」불 i 팔흥

tF ‘ e

l l 、‘

I I >

. ‘

“ _ .

·

4 홉¥」 4 옮¥」

@

@

짧 합 책 께갱

〈보례

12)

3.

어사용파 했煩雄律의 比較

선율형태는 앞에 서 살펴 본 어 사용族律의 득정 중에 re'가 do'를 짧게 반복하여 꾸며 주는

많이 나타냐는 선율형 태로 八公山을 中心으로 해서 불리워지고 있는 八公山制 짧때에서도

써 예 플 듭어 보띤 〈보례

13)

(1 2) 과 같다.

I

H

-

폰뿔

4낀징꾀웬많효 I*-깐판+==냄=

그 셔

L

I ν

71 ••

rl 、 l

,. •

?

←←~ γ?γ~‘ 닙 =a::

‘ ....

_v I I

I I

엉 석

옳흉흉숲후표:;칸;극X1

""

----"-←~----· ‘ ..

재 I

'!J

q.. MI 셔

-、...

, ...T _ _

I I I I

‘ / ’ l I I

’ ...

〈보례 13)

이와같이 속도가

J

=50정도되는 아주 느련 행맨의 선율형태와 þ=170이상이나 되는 아

(12) 총고, “햄빽 끼公 lli 制에 對한 맑究"(서울大 석사학위논문, 1985年), p.42.

(11)

주 빠른 속도를 지닌 어산요의 특징적인 선율형태는 위에서와 같이 아주 흡사하다고 하겠 다. 그러 면 어 사용과 했1펴에 서 위 의 re'가 do'를 짧게 반복하여 꾸며 주는데 는 각각 어 떠 한 기능적인 面을을 지니고 있는가플 살펴보겠다.

어사용에서는 唱者가 신명이 난다든지, 曲을 걸게 부르고자 할 때는 re'가 do'를 짧게 반 복시켜 주는 선율을 걷게 늘려서 부르고, 그렇지 않고 간단히 부르고자 할 때는 짧게 사설 만을 츰츰히 엮 어 서 부른다. 또한 八公山制 첼!떠에서 도 佛敎嚴式의 進行속도에 따라서 뼈 의 견이를 늘이거나 줄이고자 할 때는 앞의 어사용에서와 마찬가지로 re'가 do'플 짧게 반 복시켜 주는 선율을 얼마만큼 늘리느냐 아니면 사설을 총츰하게 역어 나가는 부분 즉 쓸어 서 부르는 부분(13) 올 얼마만큼 늘리느냐에 따라서 曲의 걸이가 결정된다. 이렇게 볼 때 어 사용과 짧 1평에서 re'가 do'를 짧게 만복하여 꾸며주는 선율형태는 演奏時間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이 두 가지는 멜접한 관련성을 지녔다.

했I떳에서는 정해진 사성이 있어 曲이 시작하고 끝마치는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終止形을 찾는데에는 별 어려윤이 없으나, 어사용과 같이 사철이 불규칙한 曲들에서 終止形을 찾아 낸다는 점이 조금은 문제가 있지만 14 曲들 中에 가장 많이 냐타냐는 終止形을 찾아서 ~IIJ!

의 終止形과 비 교해 보띤 〈보례 14) 와 같다.

〈보례

14>

l , -

혐 α뭘 굉L J J~ 꾀 쉰 i 페

어 4 용 옳뚱듀공] 4

위의 〈보려1 14) 에서와 같이 어사용과 했|맺가 모두 la에서 mi로 下行하여 終止를 한다는 점에서는 같다고 할 수 있으냐, 짧 1명에서는 la에서 곧바로 mi로 짧게 終止하는데에 비해 어 사용의 대 부분은 la 에 서 ml로 곧바로 下行하기 보다는 sol과 같은 사이 음을 거 쳐 mi에 이 루르며 mi릎 統 1띠에서 보다는 조급 결게 끌어줍다.

re'가 do'블 짧게 반복하여 꾸며 주는 선율형 태 는 A 公山制 楚뼈플 京山옮u 統뼈와 구분지 어 주는 가장 큰 특정 중에 한가지었다. 그라나 이러한 선율형태가 같은 領南地方의 어사

(13) W첼떠와 作法~, 무형 문화재 조사보고서 제 62호, 조사자 : 李惠求, 張師엽11 , 韓萬榮, 成慶陳, 서 울 문공부 문화재 관리 국, 1969, p.24에 나다난 기 록윤 보면 사설 을 총총하게 엮 어 나가는 것 을 ‘쓸다’다고 했다.

(12)

장중한 분위기 아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은 별로 득이한 사실이리고는 할 수 없지만

용에서

부르는 노래와 상

래에서 行해지는 佛敎嚴式흡樂인 j:t l떳와 山에서 村夫들이 나무를 하면서

즉 총~PJ~로 부터 어사용 올수있다.

호관련성이 있다는 캠은 크게 두가지 方向으로 생각해

이 영 향을 받은 沈降文化(14) 형 태 로 볼 수 있고, 土洛民짧인 어 사용으로 부터 홉~貝가 영 향

따로따로 두가지 文化형태가

하지만 。1

을 받은 上昇文化따) 형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존재한다기 보다는 어떤 점에 있어서는 침강文化형태로 形成되어지기도 하고 혹은 어떤 점

어사용의 발생년대와 함 에 있어서는 상승문화형태로 形成되어 질 수 있기 때문에 했I멍와

낼수

않고는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두가지로 나누어서 께 母旅律이 밝혀지지

民{감룹樂의 영향을 받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즉 홉맨가 題南j也方에 토착化되면서

있다.

또한가지는 부르는 어 사용의 旅律로 부터 영 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고,

山에서 나무할 때

土f갑民讓인 어 사용(냐무꾼신 독특한 선율형대플

京山制 結떳와는 달랐던 八公山制 楚 1씨의

세타령)이 멀어다가 쓰게 되었는데 어산(魚山)이라는 曲명칭까지도 함께 벌어다기- 쓰게 되 어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전혀 다른 장르사이에서 상호연관성을 찾아찰 수 있다는 것은 한가지의 장르읍

이와같이

연관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말해 준다 악이 形成되기 위해서는 다른 여라 강료음악의

고 할 수 있다.

4.

어사용과 土혐民誰旅律의 比較

CD민학덕. 낭. 67세.

상옹연 얘화리.

þ=ca 151 @정상박. 81. 1. 14.

/ 깅음은 장3 도 높음 강응.

〈자유리등〉

N NN 、r

” “

‘ - - . ‘ • •

-•

1

; ‘ .. ' .. ) .. 1>'::1)1 J .. I'!I'! .. ' ... :Ji::J ... J , ... ~ 껴~ιi←of • • '.;JJ .. ι T.-t

、-=---' \~‘:-a---' 응...J~'

。}이구야고 뭇살겠너 1-τ-τ 에이옷 살 겠 네 해에옷강겠

“ ‘ i ‘ γ “ ‘ v

1) p

,

~ I ~ 1 P

,.. •

η η ~ F'tt'I-t-t--,

\~‘ 、~ 、‘二--- ! '---.I~

세월야봄철아 니카지마라- -야-- - - - 또략 내챙춘- --다늙어졌다

혹은 논을 댈때에 부르는 노래 풀을 벨때

뿐만이 아니라 논에서 어사용의 旅律은 山에서

논매기 (1 )

딛J 0 ~

=' c그

〈보례 15)

흙騙

(14) Hans Naumann, Grundzuge deutchen 、Toll‘kunde (1922) p.4.

沈降文化財 (Abgesunkenes kulturgut) (15) Hans Moser

,

Musix!exikon (Hamburg

,

1955).

上昇文化財(Aufsteigenes ku!turgut)

(13)

‘논매는 소리’를 通해서 어사용과 그래 서 本觸에서 는 體南地方의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논매기소리’ 旅律과 比較해 보겠다.

士洛民諸들 중에서

사 먼저 밀양군에서 불리우는 여러 논매기소리들 中에서 〈보례 15) 와 같은 경우를 보면 설이 다른 논매기소리들과는 달리 어사용과 흡사하고, 또한 族律형태에서도 어사용 中에서 멀양군어사용@과 흡사하게 흐르고 있다.

사셜은 비록

〈보례 16) 을 보면 그리고 양산군에서 불리우는 논매기소리 中에 한가지인

바꾸었을뿐 지니고 있어 사설만을

양산어 사용의 族律을 그대 로 다르지만 族律型을 보면

어사용의 旅律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CD이학션. 냥.77세.

상북연 석계리.

끓털 많도 냥음 @권요성.

84. 2. 29.

〈자유리듬〉 강응.

!

t - - - -

_1 _ _ _ _ _ _ _ _ _ '>1 ~.L ,,-.~

L=:J'<c::=f'

三폭」드판E프~는는낙」수:ð:"Cí2수~

전라 도 기쉬산 업이

---+-되~τ끼r---*-←←---

,‘ I"'---'-=i‘→-‘~→-녁----r

i-""""'"

J'f!R Jf ~ 1.

+----늘=l;;;;;;=‘iiI ι

-

껴、

~‘-

논매기

양산

〈보례

16>

I

될든를

I

;z:

돌아-

蠻 핸

ι「

1←「경 i 활「쐐

돋三흠.

냐‘우 1*

옳궐

; :

-

I tf f

I

F

#

-

#

늘 률

#

<~ ___ /tI(

s..

뒀료옳훈

I••

--

1

I←」l 6 r.、,

i π ---

U

에 。 1

논에서 논매기를 할 때 부르는 소 이와같이 山에서 부르는 어샤용의 독특한 선율형태는

리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사셜만 용도에 맞게 바꾸고 旅律은 다른 소리들에서 그래서 어사용의 독특한 션 율형태는 八公山制첼順에서 뿐만이 아니라 여러 다른 土洛民議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하 벌어다 쓰는 경우로써 土倚民議에서 가픔 나타냐는 현상이다.

겠다.

5.

어사용의 사설불임법

어사용의 사설내용을 보면 다른 土%民護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신세를 한단하연셔 方法은크게

T a 이러한 사설들을 族律위에 붙여서 도 해학성이 강하게 냐타나 있다.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4)

첫째, <보례 17) 에서와 같이 사설을 짧은 섯가로 츰츰하게 엮어서 부르는 方法이 있으며

〈보례

17)

#=도긁 Þ I

c;

〈캘&힘φ〉 감 lìlJV. -:‘츠 닝

J 외’~ w1냐

%

-

위 와 같은 사설붙이 는 方法은 八公山制統 l띠의 선율중에 서 사설을 츰좀하게 쓸어 서 부르 는 〈보려11 18) 과 같은 부분과 바 교펀 다.

〈보례

18)

f'-~-f­

〈훌훌짧) !↓L느느

) 'l!(-) 체 (tJfJ

-、 1& I

남+--느---요 에 ~(흉 생 (,v>’)

촌1十--J꽉-록一{

=-4 ----11

f 짧) ~

그러나 어사용은 속도가 빠른 l拍이고 械|벗는 속도가 아주 느린 뻐이기 때문에 사설을 좀 좀하게 엮어 부르는 形式은 같지만 사설의 1字 1字에 했l띠에서는 대부분 위와 이-래에 꾸멈 음을 사용하고 있는데에 비해 어사용에서는 거의 꾸멈읍없이 뛰어 나가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

둘째

,

<보례 19) 에 서 보여 주듯이 사섣 마l間에 인 접 音인 re'가 위 에 서 do'을 짧게 푸며 주

〈보례

19)

j

F、 t'> fí 암 r 앙 깐 *-;;;:---그.

생 6ì뺏 강、 &5.'- p-‘듀푸푼二휴휴휴느꿇醒폼킹

r 내 훌 ~.~ þt-

는 것을 반복하는 方法으로 ‘으’ ‘。l ’ ‘에’ 둥과 같은 의마없는 사설이 붙는데 이것은 〈보 례 20) 에 나타난 것과 같이 八公山制짧l멍에서 사섣 1字를 부르고 그 뒷부분을 입타령으로 연결시켜 선율을 길게 엮어 나가는 부분과 비교될 수 있다.

- 1 ' - - - -

(15)

國文學者들은 어 샤용을 사설 中心으로 分類

연구하여 ‘構、夫歌’ ‘나무하는 노래’ ‘갈가 마구노래’ ‘어샤용이’ ‘어시애’ ‘어새이’ 등으로 어사용을 소개하고 있으며 그 中에 몇가

지 사섣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초부요 1

어되후후야 섬산유곡 가리갈가마구야 찬송받을 념어 굵은솔밭으로

념어가는구나 허허후후 가리갈마구야 이후후

초부요 2

귀야귀야 갈가마귀야 신국산 넘어가는 아리알 갈가마귀야 이리후후야 에이

영강아영강아 우리영강아

초부가

후후야 가리갈가마구야 시리신국산 갈가마구야 가마구야 껑 다고한탄마라 너가껑다고 한탄바라 껑우연 속조처량 다캠우까 백로야 히다고

자랑마라

너가암만 히드래도 곁이히지 속조차 힐까부야 만첩산중 고드렴은 봉바랍이 풀어내근마는

어사용 구야구야 가리갈가마구야 신에신곡산 가리갈가마구야

(16) 엄동권현, Iì한국민요정.lI 1,]( (집문당, 1974).

동모네야 벗넙네야 어서가자 바뼈가자 정성도늦어가고 술도늦어간다 허허후후야

가리갈가마구야 이후후

-선산지방(한국민요정 1 116) 에서)

동지섣달 바람에

부채든 우리영강아 우리영강아 솔방울에 맞아죽을 우리 영 강아 이리 후후야 에이

-울진지방(한국민요집 .11 (16) 에서)

내마암에 수성은 누가 풀어낼꼬 이판청춘 소년들아 백발보고 웃지마라 어제청춘이것마는 오날날 빽말이네 달아달아 우지마라 네가올연 날이새고 날이새연 해가돋고 해가돋으연 내가늙네 후후야 가리잘가마구야

-영천지 방(조선민요정성 (17) 에서)

경다고 한단마라 속조차 검을소냐 백로야 백로야 회다고 자량마라

(17) 검사엽, 최상수, 방종현펀, Iì조선민요집성.lI(청음사, 1948).

(16)

경이야 회다만은 속조차 희다말자 그쪽소"'] 그만두고 이내소리 들어마과 후후야

가리갈가마구야 만첩청산 흑사라남근 모진관풍 봇이거서 가지가지 희롱한다 영감아 영강아 우리 영강아 개모년 흉년에 당가푼밟아먹다가 강당비자루 맞아죽은 우리영강아

잇디기뒷말에 치여죽은

우려영강아

수지비 아흔아홉그릇 먹다가 u~ 터저죽운 우려 영강마 구야구야 신에신곡 가리갈가마구야 니어데가 자고왔노 선곡산에 장이들어 동곡산에 자고왔네 허l 헤헤 허l 헤헤

엄아엄아 우리입아 냐플두고 어멸가노 헤헤헤 헤헤헤 바람불고 비올줄얄면 어느잡년이

8란패하려가나-

-경 산지 방(朝蘇民諸集成 (17) 에 셔 )

※ 아 노라|는 男議로 합. J比·老年이 부르역 주로 나무딸 적에나 논매기할척에 노래합.

韓國民諸集I 에서는 동일한 가사로 廳夫諸 4로 채록.

t쩔夫짧 5

후후야 갈이갈가마구야 시 란신국산 견이 갇가마구아→

갈가마구야 껑 다고자 i갚 u} 과 속조치량 다껍우까 써로야 희다고 자랑미과 니가 암만 희더라도 격이희지 속조치랑희까 만첩산중 고드름은 폼바람이 풀어내건마는

나무하는 노래

내마음의수싱은 누가풀어내꼬 이판청춘 소년들아

백말보고 웃지마아 이재 청춘이건마는 요늪날 백 1괄이네 닭아닭아 우지마라 니가울면 날이새고 해가돋으연 내가늙네 후후야 갇이갈가마구야

-선산지 방(조선만요집성 (1 7) 에서)

까마구야 까마구야 까마구야 선에신곡산 가려갈가마구야~

감오년 승년에 등거좁 연아홉머지기 묵고 요나략 받애 새 후;:<] pj 가가주고

이l 때기 덧다리에 채줍은 우푸 영강아~

불쌍하다 원통하다 우루영긴→ 불썽하다~

어시애

구야구야 가리 갈가마구야

(18) 11한국구비문학대계』 경상북도 7(한국정신문화연구완) .

(구비 운학대 겨'1 (1 8) (정 북펀) 7-1 에 )

(17)

시리질시신곡산천에 가리 갈가마구야 구야구야 가마구야

큰산가마구 갈가마구 야산가마구 갈가마구 까옥까옥 짓지마라 정든냥 병환이 저병이 더쳐온다

中 (구비 문학대 계 t18) (경 북펀 ) 7-6에 서 )

위에서 소개한 사설이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本鎬에서는 지면관계상 생략하겠다.

위의 사설들 中 曲의 첫부분에 가장 많이 냐오는 사셜은 ‘구야구야 가마구야~’인데 이 것을 各地方에서는 어떻게 부르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 악보로 나타내보면 〈보례 21>과

같다.

〈보례 2

1>

〈윷츄-3.ì 옳靈鍵蠻鍵뿔

C양션~)鍵靜홉 천f편순훗3

〈짧1@)~~灣웰총흉캘鍵蠻鍵팬J훌

〈청t~~G)>짧첼헥드납藝꽃뚫默극츠

f한→:11-:+

i

육}

사설앞부분 ‘구야구야(마귀야마귀야)’플 보면 울주군, 밀양군@, 창령군@에서 모두 ‘구 야구야’를 츰츰하게 엮어서 부르고 마지막 ‘야’는 re'가 do를 짧게 반복시켜 주고 있다.

‘구야구야 가마구야~’ 외에 많이 나오는 사섣로는 ‘고대광실 높은집에’을 을 수 있는데 그러 한 사젤이 들어 가 있는 션율틀을 모아보면 〈보례 22) 와 같다.

의령군, 김해군, 창령군(î)@ 모두 do'-Ia-(soI)의 進行을 보여주며 의령군과 창령군@

(18)

〈보례

22>

〈외 핵iì

(1J 'o ~.n

〈¥~"Ì@~

<.1f<!-ì

φ 〉

4~ ,..:::-、 ",... ""k :

§논 F、= 닷킥 -

.1 1 혀

&A F-ai:

L 운 갱 히1- 메어I .." .. ,- 에싸 에 .. ,

.,

‘ - “

~ l

J

í 혀 악。생훌은갱에-

i . • “ ‘ - -

.J í 싱 훌

t ! j ‘ i%-

갱 "1

” " ' -- -

.."-~ ‘ • • l

‘ _ ...

디 l 융듣킬

에서는 마지막 사셜 ‘에’에서 so1과 1a 록 짧게 반복시키고 있으나 김해군, 창령군@에서는 사설을 츰좀하게 엮어 부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보면 같은 사설로 부르더라도 唱者에 따라, 장소, 시간에 따라서 조금씩온 차이가 있요나 71 본적인 族律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하겠다.

이렇게 同-한 사설에다 그에 따른 旅律틀을 나열하여 그것들에서의 공통점을 찾아내는 方法을 통해서 여러 지방에 파펀조각처렴 남아있는 어사용을에서 f표旅律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1. 結

本鎬에서 는 鎭南地方의 山에 서 불리 우는 어 사용과 八公山制 짧 Qnc魚山)의 상호연관성 을 族律的인 面올 中心으로 해서 사설붙이는 方法 및 다른 士洛民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는 데 그것들은 아래의 몇가지로 요약되어질 수 있다.

CD

魚山(홉뼈)과 ‘어 사용’ 은 발음상 아주 흡사하지 만 사회 적 기 능을 보면 佛혔〔嚴式좁樂 과 山에서 나무할 때 부르는 노래라는 點에서는 차이가 난다‘

@

어 사용의 선율을 보면 上行時에 는 1a-do'플, 下行時에 는 do'-1a-mi를 骨格즙으로하 여 흐르고 曲全體를 通해 서 보면 T行旅律이 大部分이 고 上行旅律은 下行旅律들 사이 를 연 결시켜 주는 연결구역할을 한다.

@ 어 샤용과 八公山制 짧I펴에서 공통적 으로 나타냐는 re'가 do'를 짧재 반복하여 꾸며 주 는 선율형태는 둘다 演奏時間과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19)

@ 어사용의 독득한 선율형태는 八公山制짧뼈에서 뿐만이 아니라 여러 다른 土洛民議들 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本橋에서는 ‘논매기소리’에서 그러한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

어사용에서의 사설붙엄법은 사설을 총좀이 엮어 부르는 방볍과 사션 중간에 ‘으’ ‘이’

‘에’ 등과 같은 의미없는 사설들을 붙여 曲을 길게 늘려 부르는 방법 S로 나뉘는데 이점은 八公山制 총~~貝와 흡사하다.

本鎬는 어떠한 장르의 음악이든지간에 다른 강르들과 상호연관성을 맺으면서 形成되었다 는 점 을 밝히 는 一例에 불과하다고 본다. 앞으로 장르간의 상호맑究들이 더 욱더 많이 이 루 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本鎬를 作成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신 權五聖선생넙께 감샤을 드립니다.

참 고 문 헌

高옮玉, Il'朝解音樂핍究J], 서 울 : 首善社, 1949年.

退홍# 權相老, “佛敎決疑", Il'佛敎J] 80號(京城: 佛敎社, 1931年).

검사엽, 최상수, 방종현 편, Il'조선민요집성JJ(정음사, 1948年).

졸고, “替l명八公山制에 對한 빠究"(서 울大석 사학위 논문, 1985年).

李輔亨, “에나리調(山有花제)", Il'韓國흡樂맑究』 제 2 집, (한국국악학회, 1973年).

李在郞, “所謂 山有花와 산유해 마나리의 交涉Il'新興J] 6號, 1931年.

임동권 펀, Il'韓國民짧集J]

1

, II(집문당, 1974年).

韓萬榮, “태백산맥이동지방의 민요션법", [f예술논문집J] 12집, (서울 : 대한민국예술원,

1973

年).

韓萬榮著, Il'韓國佛敎音樂없究J](증보판), (서 울대 출판부, 1984年).

『첼뼈와 作法J],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 62호(서울 : 문공부문화채관리국, 1969년).

『한국구비문학대계』 경상북도, 경상남도펀.

『韓國의 民倚즙樂』 경 상담도펀, 한국정 신문화연구원, 예 술연구실편, 1985年.

望月信亨著, Il'몇月 佛敎大解典J] 1 집, (世界聖典刊行協會 : 昭和 29.-33年).

『佛敎大解典J], T 福保編賽(文物出版社, 1984年).

『韓國佛敎大解典J] 4접, 한국불교대사전펀찬위원회(서울 : 寶運聞, 1982年).

『閔居筆談J], 햄뽑폈公(j譯釋移), 뚫福記元後五 1:X.E용.

(20)

Hans Moser , Musi1‘lexikon (Hamburg ,

1955年).

Hans Naumann , Grundzuge deutchen Volkkunde

(1

922).

Hans Merismann , Grundlagen Einer musikalischen Volksliedforschung.

(21)

항헝군 억삭용

-;--T기

••

- 4

f t •

_.~←}

L;:;;!;二든二二二귀

---→-니

二二ττr슨느닙

(22)

2

1 r;;-τ t-

1/\

11\ J

lLL

[1 I

4

l\l r-

l\ ~-→

j ru

띠1 -t-•

~' >i~r

4

If\

"^

τF“ \1 IU

u

’~

I~

l

JI\l k i/ Lι

U U

lLL

vn

1\ 11/\ l.l

J

I.\.. 1\1 U 111 It

~-l~

ι Ll: llL' 4

져 l

" " 1 L\

w

U

"

~

IT

11

l

N1l α U

n

11I

Iì n

‘_ ... -

U

1

‘.

j--

11

þ

H-

1\1

역야용 장헝곤

td

c

a uff

,

eq

tq

μ

a 9xf e

d

C

d

ν

b Q

‘”

Fr e d e

ι

b

A

qof t-a

,"깐杓 tη뀌G따램씀합협C염f→?LifJ←꽉?) • 1 jjl-jji

'H수f째서H← ←trt꾸11+++-} 十{ 서나카J‘에서l • →十{←빠j- 휴t+1 1 Itl-I I

L 버 +~내H 나十써~+++-니 f+ 니

써 f 다냐짧n 쥐τi팩멤돼tF 다함껴t1-tt1十ttt-t.바늬카 tt다캠그다L다~~十t1--r-j--t-t十

!Tfll[11_1J1IlJJJ」 난빠lIH난二삶사나4폐서土士 職훨펴펴j테;놔필rkiiE햄폈擺조£

~

t d c

b g

·@e1

d e

。1λt 용

}」

E d c

b A

qr1

ed

(23)

t d t b gn* a

d

t

d

ira

t

’ 팝

gd

의적곤 억삭요

41 "12t 샤4 J

I I

i 낸- ~I 1\

.l.ll

l.JllJJ.

?\.IL 、j

l

j !

「←

r

-j-

"‘ +

/ n

11 1

마\

1\ 니

「 I\.

d

t b a

*wted

1關1꺼핀

~t+-H---PII I 좌

(24)

딛!앙곤 억삭용 1

믿앙근 억't용 2

.lI'

~. F언연 ~ ! I I I 1 i I } I

-’

4

l

i

s

g e d a

".

ι

a

g f

d

‘~ 톨i←*’

l ' I I ! l ' I I I

1

t- /-까 ~! 깨 μ깨 넓

!

나7

• - , . / L L :_!Ll.J

때\M\ 、 I I _1 터--;1(1(;' ir j i t'l , t 1H----rrrtf-~~효 : -,

-! ! -, 1\ I

ι '\J ! V [1 I I LLL-,LL1JJtilLLLl l

L-! : I I I ~

I I

I I i I 1"

~ J ~,~ 1

ι/ìNl ι ’‘~i 」 j j x V

,

‘ιlt

~~~j" f '-j LLllLU:

l.. 1 v

i l l l I

v:

τ ~ I • '\:ì

\.' -( 1 ,

1 UJ.. '\l'

ιf J

i 11 I lU'W

l ! 1 : ‘..I...l...U.냐..J...L냐 1

(25)

~

}

,

,...γ­

I I

‘및양근 억 .'t용 3

e" 「

d'j" 」이 '/lA~ ,k., ' / l

’”

C'

1'•-‘

x

d

t

hq

t

b a

$**ad

(26)

및양군 억삭용 5

I I ‘‘ ;1

“,

I

| · * t i 1

’’ ‘

1

l

r-1 1 껴쳐 1

I I

徵꺾홉#:5끊

' .. ’‘

←:二훈

,

\ \•

/ _~_i ι-

H 나 f •,•

니 ·←~-←←

, ,

! ; I

'!\: :!'fH 1

‘/ ‘’‘ F←r낌노

• - • ←~

1\J

YL

「←-← ι← i ~\I--t

’ }

-"낭 1\니 \• 1\..

'r' ,

\ /

' .. 끼 f

l-

: ~ l'J

t I

? ←←→-←---~ ←--→←,~→←-O-

__

L .

••

,

\A II

,,,’‘ ..

-4- _ _ _ ‘---"-

, .μ ι-'- ←←←ι._~-

l \、 \ ~- \ ‘「ι

l 1

JL' " .

~

, , .

- r

m·d c

‘,‘te」@

a

*tl.

.af ed

e -- d

ι b a 4·44

e

d

울주곤 역사용 1

b

f"

$

d

(27)

g:|끼 : 더 :피 --~~-펴rτ파Al=t 생「二간흘느}

1=

‘ 샤 . 펀 ] 싹℃파파팩싸-::t이 i l' : i i ••

1 셔’” +

톱날초: :파;

」←←fγ 낙T--r→늬;-~미j

;

i

l ;

iL.μL.「←

”-t I I ~’

_,_)

JIL!Vì2 -.!~t

솥뀐커안낀F「뜨 뇨수」;ii LI피

「←-←← I ← tiJt--!---*←~. • { • • rt-i1 十{←~

託 τ 4=π?τ 누두받딛놔rr씌i

:

---•

.

,•r-•

;~ 「、

l

--~---←----←←

f-'

f~---\ 「-- \Il • - - • - • i→----←~←←←-

‘’ ...

‘-

/

울주곤 억 ιt 용

1-1

바↓

며,

←「

#騙

T Et \ 、 I U 11 「1 -‘

[1::i2~끼

t+-• 이「1t r [FFt보十Tf키」r F 1 ‘) ••

」--;-←→뚜-f 」 jr{ 밟→← L←二 ←~-十 μBμ 什」← 4+in

• }뀌=f-BWtmffAll 1 11111

딸심l푸+++-1++

、 \ v FFFκ 퓨 ~++-~V

rM

‘tf-H++~

;1 \) !

l

"'.... 1 l!k 1 i · i /

\ 「「 1r##핍 1 미 }1 lL I

t

i , 1 j " I j I i TI j I

깅매공 억에용

,

d

e

d t d

i

b

*qfed

(28)

악동곤 억야용

빡 ---‘「

?

샘 J 따 h

노젠펀휠

(29)

,1)

-~ 00켠2..성 82. 3.

~-~?~ 한양웅 백천리-

- ~얻

二二;;:..二二;0::;::::二깅二 ..

배산 갚~샤약구 - 치- 리산 올구 갱 갈셰

가 도혀- 피 ιL 녔다- 수운든그- 운사 n

~←→썩‘

←二「→느I각ê=1It등구:강늑二二=수주二주I

.,...---~~--←γ--- ←→←←--→-←

L ;;(1 -1- 고-- 나 니 히 - 41 ,마 음 을 대 - 없 고 -

"1 lE 갚 으 L 망안 플 é'l _ ó! 내 - 헤 마 응 플 데 -

깡댐관 。!↑용 ':Dj~OI 올. 낭. 67세.

P-ca 20.8 영산연 구계리.

잉용은 장

2'"

낮용 ~61..!ι 형 .83.3. 1.

〈자유리등

--'1 、/

흙그?까릎?줍끓r랜훨꿇첼뚫할쫓훨警펠픔뚫했좋월

성 갱 산주 - - - 。 고 투라이- 어 .2.. .".i. 바 란 세 - - 쑤-2~^1 고

τr_ ~.~ •• --_._~--• -.~‘~---← ν .~ .. .n'<tII"'l

ι‘←」

:난펠폭픔촬쫓콸드컨~~‘릎끌펀활쫓윷끓환",:-~촬첼첼짧활;뜯

。! 내 십 주 - - 0 c~ 청 서 늬 -- 야 유 임 L 。 1-- -. --4-러7-ii-1!

-4--':_" ---‘--"---<ε!'L--_--..-..:'c' ___ ←~←

-r.ð도---←--← P- ι

~---=-'~r-

‘- 어l 헤우 이1- 이엣 、‘-’" 잉아 임 아-우 리

-1#----•{• •• ι

-"--,• ••

.nn:.:::•:1.':=' . . O:J

。}

‘J λ/

/깅

:J '" r.

~:: .~_ r;",,:“~ L 二_.. τ굉ε~~:_~ 느 눈二-←

ι’ ‘ .l1r

ø

fI ‘ ~‘; f? ; g 냥기 =1C:;-二M',,--.:.:r

ι j

r치 "

,;.... α • • ,. ι1’←

-

‘•-

•-

n ‘..î.. ~ g_

(30)

강덩근 악삭공 2

- - - - -

경 만석 gS

짧은 양전 8" ·때 액 영 션 ~짧

옮국느; 二二훌후혈융 #며똥큐二각'=-i-==1=

2:::::j• 二二-_._---날날二각냥드Z=:I:::J二~~르E=-=

"1 -1 ~ 혁 회 R

4

• 1 1 ( • , . ) . t--←숫1구-→~---.04-칸----

션 ~I !tþ e강t합=쩔휴호촌초활편윤三홍쏠三드

... 석연

*

't차 t.~ !l. aJj

렇및훨쫓쫓훨뿔략램뭘藉픈펀쩔혈환

좋활한편鍵촬學혈찮펠灣葉띨

랭쫓쌓ff함二쓴 족?홉첼讓證쫓편츰품흰藝

棄變靈학 f팎펄빨츰슨철택낀F느

輔뽑藝환펄f휠평;E;£갚Fij편킹L펙 옳휩뚫돈뚫뚫혈좋푼같펙f환편편솜책싹뺑흉JJ채 5낮팩;쇄닝 ι 갖작}F1맨‘맨핸←;남 J

輪쫓웰캘꿇홉활쏟쫓學짧환蘇흙픈펀펀텍 i잖펠펀 5쫓딱핏 j체댁펴쉰펀폐펀촬촬촬랩_.-정펀펀)펀팝확펀 f딸팝촬냥힘핀감띄[

觀젠과쐐;꽉L:많용앓순활펀팡펠:꽃랬戀펠 F펠책쓸품뚱홉획R 환평훨j V햇둔

蠻藝藝驚羅瓚췄藝쫓짧-蠻

驚藉擾慧쫓行펼틀틀줍르틀

참조

관련 문서

마케팅 분야의 硏究들은 이러한 國家 이미지가 다른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주로 原産地 效果를 중심으로 행해져 왔다.原産地 效果는 특정 國家에

우슨 學問的 質問 또는 問題에 대해서 알려고 하는 意志 혹은 생각 즉 問題意識올 맑究者가 똑바로 갖고 있을때, 다시 말해서 自己가 選 定한 맑究主題에 包含된

分析한 방법올 택한 昭究이다. 메나리조는 중모리에 보이고, g ’음이 본청이다.. 이 2편에서 다룬 피리散 調는 徐龍錫과 朴範薰流의 散調이다. 이 두 곳에서 쓰인

(NS) 제132조 수임관(옴부즈만)의 임명(Bestellung eines Beauftragten) 게마인데의 질서있는 행정운용이 보장되지 아니하거나 아니하는 한, 그리고 제129조

정주환경 분석을 위한 삶의 질은 객관적인 차원과 주관적인 차원으로 구분 될 수 있는데,본 연구의 문제와 목적에 부합하는 것은 삶의 질의 객관적인 차원이라

툴文題部 以外의 各題部의 推定 홉은 다음과 같다... 下에 서도 규법적으로

라벨의 피아노 작품은 크게 인상주의적인 경향을 지닌 것과 신고전주의적 인 경향을 지닌 작품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라벨의 Piano Sonatine는 후 자에 속하는

본 논문에서는 슈베르트의 작품 중 고전주의적 형식과 낭만주의적 경향을 모두 포 함하고 있는 피아노 작품 “Wanderer Fantasie Op.15”를 분석 연구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