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敵曲 弄과 79-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敵曲 弄과 79-"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7 9 -

敵曲 界面調의 弄과 樂에 판하여

4 ι

ι ’子

(서 울大 흡-大 國樂科 助敎)

〈目 次)...

1. ~ 뚫 2) 三竹琴讀

2. 훌뭘切훌의 音훌內홈 3)

1) 旅 律 5. 現行 노래에서의 훌과 훌

2) 1)

2) liÆ 3) 원 鉉

6. §융 參考文빼t J1較樂짧

3. 弄과 業의 관계 1) 古樂調에서의 弄파 樂

2) 遊藝志와 琴學切婆의 II樂과 界樂 3) 遊藝志의 2f'弄 과 琴學切훌의 界樂 4. Iì大훌과 홈의 관계

1) 遊藝志

1. 序 論

韓國의 聲樂曲中 오렌 i행統윌r 갖고 있는 歌 rtll 은 萬年長歡之[!i\이 리-고도 부르고 있다. 이 歌曲은 朝蘇朝 中葉에 慢大葉 • 中大葉• 數大葉이 있 었으며 , 高麗朝의 音樂인 륨''0-鄭j끄한 I由에서 나왔다고 한다(1) 그중 가장 느린 慢大葉은 英祖(1 725 ,,-, 1776) 이전에 이미 없어지 고 (2) , 中大葉은 朝蘇朝 말기 에 없어 졌£며 131 現在는 數大葉 系統인 26 曲이 傳하고 있 다 141 그중 言품 이하 弄 • 樂• 編을 小歌曲이라고 151 하여 初數大葉부터 播짧까지의 曲과 弄 • 樂·

編의 曲이 무엇인가 다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弄 • 樂 • 編중 古樂讀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것은 樂이며, 弄과 編은 그 이후에 나타나 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빼EE護錄 (1796) 16) 과 懶隱짧(1 779) 171 에는 쩌調樂時

(1) 時用大葉 慢中數 皆出於m흉三했曲中 梁德훌 : 梁琴新讀 玄琴獅部.

(2) 又有慢中數三調... (中略)... 慢極嚴 A 厭廢久.

李1Jt: 星湖岩說

(3) 中大葉이 수록된 最後의 樂讀는 高宗代 (1864~1906) 에 편찬된 三竹琴讀이다.

(4) 現:tE 전하는 歌曲은 男띔 26 曲이며, 女唱은 15 曲이 전한다.

(5) 꿇師動 : 國樂論었 pp. 606~608.

(6) 빼옳f1.m椰琴讀라고도 한다. 꿇師動 : 國樂史論 pp. 295~300.

(7) 꿇師動 : 國樂史論 pp. 289~291.

(2)

씌:學 ω l!t' (l 9C木)이1 ~~,빼*멍f 調와 'JF.[띠 i빼 ~I싼 f潤가 수꽉꾀 어 있으며 ,

01 -:7

-ι- ,

i빼 (~I 가 수팍노l 어

樂응 u 영용과 2 후 A 응 경~/{:윤,

함께 신려 있나.

/(. $ ' 船。l Wl 藝‘f,!;;(l 9C 初)

"11

처음으노

삿추어 J)HE2] 갇은 全1l}1강관 갖추있다.

:

)

」 않

m

L

wj [

r

總없總뼈

짜뎌(五(

」뾰뼈잉따뻐샤υ

쌓비,양꺼

餐대竹%

G

년二一”이

따…

h U

야 빠 W

) df (

/\

(

k

繼쩌 ‘”

剛꺼끼기1

懶 없

l/l1폐바|1

때 때

(

網폐 網 띠

編*쉰 編은 '-,編과 ~~船윤

O O

o

0

o 0

o 0

o

0

o 0

o

0

o 0

o

o

o

-{

()

o

0

o

O

0 O

o

O

U 0 O

o

u

O

o

O

O O

ι” 흥종 L£” 樂樂樂樂

編編

개끼

=;u

F

”%

一→Eg

원3

꺼% →:→口編

o

。(~) 0 0

노래부르는데, 이 표에 서 나다난 바와 같이 樂이 후에 나타난 츄은 現tE 樂보다 앞에

둘째 數大葉과는 어떤 관계를 갖고 있 와 같은 弄과 樂이 첫째; 어떤 판계플 갖고 있으며,

고, 셋째 서로 어떤 差異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李惠求박사는 “Variation in the Korean

다음과 같다.

퍼τ 과 樂에 관한 연구는 現在까지

밝혔으며 ll0), 바꾼 것임을

Classical Lyric Song (Kagok)" 에 서 界樂은 쩌樂을 界面調로

등-編이 듬~구→의 變奏따l 임을 밝혔고1\ 1) 李無姬는 “쩌調數大葉 師떼j 박사는 “言弄과 言編”에서

관계가 있다고

~樂과 쩌調찌數*葉이 가장 밀접한 과 겼樂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밝혔다1\ 2)

이플 古樂調중 이 연구플 위하여 채택한 약 수록된 古樂讀는 〈표 1) 과 같으마,

체·樂이

三竹琴讀(l 9C末)이 다.

보는 遊藝志(l 9C 初), 琴學切햇(l 9C ?k),

(8) ì魚隱謂의 깅끼調樂時調논 끼껴調界面i 調로 되었음

. (9) 주 8 과 통-

(10) 후惠求 · “Variation in Kagok" 民族흉樂(서 올音大 부션 東洋音樂~究所, 1977) 創刊號,

~108.

(1) 張師動: “言弄과 듭編” 李惠求博士 짧壽記念 音樂學論農(韓國國樂學會, 1969) pp. 203~220.

(12) 李減姬: 낌調數大棄과 쩌樂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서울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82).

弄·樂·編이 함께 수록 껏째

,

遊藝志(l 9C 初)는

위 樂讀을 채택한 이유는 다음과 갇다.

pp.83

(3)

- 8 1 -

된 最古의 樂讀이 며

,

둘째, 琴훌切要는 遊훌志에 일부불만 실려 있는 界業 全曲이 수록펀 樂 讀이며, 셋째, 三竹琴讀는 遊훌훌志와 現行의 중간에 위치하며 여러가지 가락융 함께 싣고 있

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 앞서 琴훌切要의 즙樂내용올 살펴 는 이 유는 다옴과 갖다. 遊훌용志、에 는 界樂의 2章 이 하가 수록되 지 않아서,zp:弄과 界樂의 비교가 불가농 하다. 따라셔 遊훌훌志의 zp:弄과 琴學切要의 界樂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악보의 펀찬년대는 다르지만 즙樂內容이 같옴을 증 명할 펼요가 있기 째문이다.

본 논문은 겼調와 界面調의 弄과 樂중 界面調인 zp:弄과 界樂에 限하여 연구하겠으며, 본

논문에서 의 弄은 zp:弄융, 樂은 界樂올 지 칭 한다.

이 논문에 서 編을 제 외 한 이 유는 言弄과 言編의 변주방법 (13)에 며 루어 編數大葉은 zp:弄에 서 변주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훌뿔切훌의 홉樂內容

遊藝志(l9C初)와 琴훌切훨Cl9C末)는 펀찬연대가 다르기 때문에 {14), 遊훌志의 후弄과 琴 學切要의 界樂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악보의 內容이 같옴융 중명할 훨요가 있다. 따라서 遊

藝志 이전에 펀찬된 *휠鷹讀(1779) • 新作琴讀(1725'"1776) • 琴훌切훌 그리고 현찬연대가 같

은 三竹琴讀(l 9C末)와 비교하겠다.

1) 旅 律

상기 樂讀에 수록된 껴調初數大葉을 비 교하여 보면 〈악보 1)에 서 보는 바와 같이 琴훌切

〈악보

2>

겼調初數大훌 二훌

新作琴讀0725"-' 1776)

澈I쩔讀 (779) 一 11 :::: (161

琴學切훨 (19C末) 遊藝志 08C末 "-'19C初)

三竹琴讀 (19C末)

(13) 張師動: 름弄과 를編

/、녕 스

k.스

I 、스 호강 t흥 f 강

/、* k.c\

ξ‘

/、 ι ).~’ t쏠 t 스 /、송 t양 t끽융 tξ

/、 A. :1t- ‘; ζ4

f더 죠호

/、잉 f

151

j..

Jt링 /、깅

~

c)

~

i. 1tZ } /총 r

흥 t녁 /총

k,ï{1

호&~ l.녕 /‘성

t

체 /‘보J

(J) 10點16拍 한창단융 10點10拍 한창단으로 출이 고,~ 촉도홀 빠르케 하고, @ 선율형 을 축 소하고,@ 숭자리롤 바꾸고,@ 풀어내리는 창볍융 退훌으로 바꾸고 있다.

(4)

훨(19C末)는 演鷹讀(1779) • 遊藝志(1 9C初)와 같고, 三竹琴讀(1 9C未)와는 다르다.

특히 各 章의 끝에 냐다냐는 淸法올 보면 위의 관계가 더욱 확실해진다.

〈악보 2) 初章의 끝

新fF쫓調 0725'" 1776)

t현 隱 검옆 (1779) 一

1/

琴學切훨(19C末)

遊 훌 志(18C末 "'1 9C初)

三竹琴調(19C末)

〈악보 3) 厭章의 끝

新 f'F琴調(1725"'1776)

j월 隱 讀 (1779) 一

1/

琴뿔切훨Cl9C末) 遊 훌 志Cl8C末 "'19C初) 三竹琴讀 0 9C末)

、:fil간 없 f4

L:띤깐

...1:....

-r-

..c.

f칭 '<!fl양 후융

-

#짧 E옳찮

£..,l..:. τ 흙

픔필 t 武

2) 口 音

新作琴讀(1 725'" 1776) 는 合字讀 아래에 구음융 기록하고, 打鉉은 左點A로, 흩뿜鉉(뜰)은 右點으로 기보하였다. 同讀의 擊鉉에 對한 구음은 ‘딩’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딩’이 響鉉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지만, 뿔鉉에는 항상 ‘딩’이 使用된다(17) 潤隱讀 (1779) 는 合字 調 우측에 口륨을 기록하고, 左點(打鉉)과 右點(뿔鉉)을 함께 기보하였다. 이 樂讀의 윷홈鉉 에 對한 口좁은 ‘들’과 ‘다’을 흔용하거나 ‘디’만을 사용한다. 즉 數大葉一은 ‘플’과 ‘디’

를, 三은 ‘다’만을 사용한다. 琴뿔切要 (19C末)는 合字讀 밑에 구음을 적고, 口音 左右에 右點(짧鉉)과 左點(打鉉)을 기보하였다. 이 樂讀는 ‘훌’과 ‘딩(디)’를 함께 사용하지만 打

(14) 張師動: 園樂史짧 pp.313"'314.

(15) 표 • 七 등의 숫자는 遊鉉의 표시이며, 大鉉은 大자률 숫자위에 붙였다. (이하 동)

(16) 演應讀의 數大葉은 모두 3가치가 있는떼 그중 첫곡은 ‘一’로, 셋째곡은 ‘三’으로 표시하였다.

(17) 훌鉉의 口홉。1 ‘딩’ a로 나타나는 것은 白훌魔琴讀에 나타나 있다.

“白훌R흉琴뽑는 그 격i短 llP 平調短歐란 樂짧에 부친 「按들如엉 J(들은 딩 같은 것)이란 註로 보아셔. r툴」이란 口홉융 쳐읍 본 것 같고, 톨톨鉉의 뭇으로 「들」 대신 「딩」융 썼다 李惠求:

“白훌鷹쫓뽑 . . . 명홉樂,I!.:짧 pp.253"'264.

(5)

- 8 3 -

結앞에는 ‘뜰’올, 自出앞에는 ‘딩 (다)’를 便用한다. 遊훌훌志、(l9C初)와 三竹琴調 (19C未)는 擊鉉을 모두 ‘훌’ 로 기 보하였다. 이 상을 갱 리 하면 다음 〈표 2> 와 같다.

〈표

2>

영훌

新作琴讀 (1725"'1776) 右

에현 隱 짧(1779) 다, 울

琴學切훨(19C末) 右 다, 플

遊 훌훌 志(18C末 "'19C初)

三竹琴調(1 9C末)

이 상과 같이 琴學切要(1 9C末)의 t힐律(淸法) 口흡法을 新作琴調 (1725'"1776) • 演、鷹調

(1779) • 遊藝志(19C初) 三竹琴調Cl 9C末)와 比較한 결과는 다옴과 같다.

첫째, 琴學切要의 歌曲의 선율과 各章의 끝에 사용된 淸法은 三竹琴謂 (19C末) 보다 懶廳 讀遊藝志、에 가깡다.

둘째, 琴學切要는 훌훌鉉의 口륨에 ‘디’를 사용하며 (18) , 右點을 井記하였다.

3.

弄과 業과의 판계

1) 古훌혐메 나타난 弄과 훌의 관계

古樂讀에 서 두 곡의 同一한 部分은 註로만 說明하고, 樂調는 省略하는데 , <표 1)에 나타 난 古樂讀중 弄과 樂이 같다고 설명된 部分을 잘펴보연 다음과 같다.

一賽琴調(연대미상)에는 弄과 樂의 中餘흡과 五章이 (19), 三竹琴讀(19C末)와 芳山韓B;;琴 讀 (1916) 에는 中蘇즙이 (20), 西琴歌曲(1 892) 에는 大驗흡과 五章이 (21’, 徵琴歌曲調 (885) 에는 大餘즙 二章三章의 各 二頭四點 (22) 이하가 同-하다고 (23) 하였다. 現行 玄琴樂讀에서 弄 과 樂이 同一한 部分을 찾아보면 大餘즙 二章三章五章의 各各 二頭四點 이 하와 中蘇

(18) ‘딩’과 ‘뜰’의 口音으로 연대를 설명하는 방법은 李惠求박사의 “白훌魔琴讀”에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梁琴新讀같이 「을」을 使用하지 않은 白쫓魔琴뽑가 遊훌윷;ð에샤 같이 「을」을 사용한 玄琴新證假令보다 前에 된 것 이 라고 하겠다 李惠求: 上휩홉 pp. 253"'264.

(19) 中餘音 弄中餘音同. 五章 弄죠章同. 一훌琴짧, 량樂(필 자 註: 現行 界樂).

(20) 中餘音 與弄同. r三竹琴讀」 韓國音樂學資料農書(傳統音樂liij究會, 1982) 11, p. 89. 界樂.

中念(필자 註: 中餘音)은 以上 界弄(필자 註 :zp:弄) 中念으로 同. 芳山韓民琴調, 界樂.

(21) 죠章 弄죠章同. 大餘홉 弄大餘音同. r西琴歌曲」 韓國音樂뽕寶料훌훌홉

n.

p.19η. 界樂.

(22) 初 四훌은 初頭 (7點)와 =頭 (8點이하)로, 三大餘音은 一刻(1 0點)과 二頭 (11點 이하)

로 구분펀다. 徵琴歌曲讀는 10點 16拍 장단을 10點만으로 옮讀하였음.

(23) 此以下 與弄大餘홉同(大餘音), 此以下 與弄同(厭章), 此以下 至中餘홉弄同. (三章) 徵琴歌曲讀,

界樂.

(6)

音이다.

古樂讀와 現行에 있어서 弄과 樂의 동일한 부분이 없는 童은 初

四童인데, 歌曲의 形式

은 二章과 띠章이 같고, 大餘를 • 三흡,(中餘훌 포함) • 五章이 같A므로 (24) 위 古樂調의 같은

部分을 종합학연, 弄과 樂은 大餘홉

三章(中餘즙 포함)

五章이 같고, 二章

四章의 二頭

四點 이 하가 갚은 旅律이 었음윤 추측할 수 있다. 弄과 樂의 다른 部分은 初章 全部와 二 • 四章의 찌잉iJj부터 二頭四點까지 이 다. 이 상을 정 리 하면 〈표 3) 과 같다.

〈표 3)

I 그

짧짧종정 짧흥~

여 行 「-쩡혔 í-翊-갖~ 亡그 쩡쨌

í:’ 'íJ

추정왼 원곡 %~ IW~~~

g

三竹 ( 芳山

)1 |

西 훌&曲 I찢~

-*-쪽짧

| i

αga

첼쫓歐뾰 「-강?였지 i 했-쳤數

一디 더 용~

짧 동일한 부분 1앙 二頭四f.Ii

2) 遊훌志와 훌훌學切훌의 깡끽業과 界樂

앞에서 琴學 w훨(l gC末)의 륨樂內容이 遊藝志(l gC初)와 同時代 것임을 밝혔다. 그러나 遊藝志의 휴과 琴學切要의 樂을 比較하71 위 한 조건으로, 琴뿔切要의 界樂이 遊藝志의 界 樂과 같아야 하으로, 두 樂語의 %樂과 界樂을 比較하여 보겠다. 이와 같이 比較하면, 쩌 樂은 初章어11 1륨 • 三章에 3音 • 中餘흡에 1흡 • 五章에 2륨 • 大餘홈에 4흡이 다르게 나타나 며, 界樂은 初章에 4륨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旅律中 몇음이 다르다 해도 두曲의 흐름은 같은 것엄올 알 수 있다.

〈악보 4)

(24) 賣俊淵: “歌曲의 餘音” 民族音樂 創刊號 pp.109"'153.

(7)

- 85-

3) 避톨志의 ~弄과 훌훌切홈의 휴쩌훌

古樂讀에서 弄과 樂이 同一하게 나타난 부분은 〈표 3) 과 같다. 한펀 遊훌志、Cl 9C 찌)의 ‘엇 界樂’에 대한 셜명 (25) 은 三竹琴讀(1 9C末)의 ‘言弄’에 대한 셜명 (26) 과 부합한다. 즉 ‘엇界

樂’과 ‘言弄’의 初童은 界面三數大葉의 初章과 같고, 二章이하는 弄의 -章이하와 같다. 따 라서 ‘엇界樂’과 ‘言캄’은 동일한 曲이며, 이와같이 한 樂讀에서는 樂A로, 다흔 樂讀에서 는 弄으로 表現한 것 A로 보아 樂과 弄의 관계가 同一함융 암시한다. 이 관계플 좀 더 구 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遊훌훌志、(19C初)의 弄과 琴뿔切要(1 9C未)의 樂올 比較하면 다옴과

갇다.

아래 樂讀에서 보는 바와 갈이 初章융 제외한 二章이하는 部分的무로 몇흡씩 다플뿐 두 뼈은 같은 旅律로 이루어졌다.

〈악보

5>

없 章

遇 弄 Ij、 t ←L 1、文六쇼 P녕 시 t 핀六四 六四쪼죠上下 렀 1

쪽界뺏

|

六 七

t

기 文 六 효 四 六 七 /、 四 固 六 四 죠 죠 上

T

{

4. 활大葉과 弄의 팝계

樂과 數大葉의 관계는 界樂은 쩌樂을 界面調로 바꾼 것이며, 쩌樂은 初數大葉과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드으로 (27) 본고에서는 생략하고, 數大葉과 휴-의 관계만을 살피고자 한다.

1) 遊훌志

遊藝志Cl 9C初) 界面三數大葉의 註에 界面三數大葉 二章이하는 ZjS弄 二章이히외 갚다 (281 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初章 끝의 ‘別立’ (29) 이라는 族律이 現行 弄 初章 끝과 같은 정 A로 보 아 위 관계가 더욱 확실하다. 또 엇界樂(言弄)의 2章 이하가 弄의 2章이하외 같다는 것은 앞에 서 밝힌 바와 같다. 따라서 界面三數大葉• 言弄의 初章은 같고, 界面三數大葉• 당파 • ZjS弄 2章 이하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도식이 성렵된다.

界面三數大葉

=

界 • 三• 初章+弄 :.t章 이하

(25) 若彈 엇 界樂則亦以此初章彈元 二章以下元弄同. 遊훌&‘훈‘ C'*園國樂學會. 1969) p.201. 界三葉­

(26) 初章則界面三數大葉初章... c 中略)... 二章以下耶弄iE.. 三竹琴짧. p.88. 홈弄.

(27) 10) 과 同,

(28) 自 二童以下 與元弄二꿇以下同. 徐有뿔 : 遊훌훌志.!]f.面三.大훌.

(29) 遊훌훌志 界面三數大葉은 初章만 수록되었£며. 別立윤 初章의 때操에서 연주되는 값律에 해당

한다.

(8)

룹 弄= 界 • 三• 初章+弄 짧章 이 하

zp: 弄= 弄 初章+弄 훌章 이하

위 도식 에 서 平弄의 初章만 界面三數大葉 • 言弄과 다른데 , 이 것을 遊藝志의 界面初數大 葉• 훌數大葉의 初章과 rt較하면 初數大葉의 初章과 비 슷하다.

2) 三竹쫓謂(l 9C末)

三竹琴讀의 界面三數大葉은 三章까지 수록되었 A며, 中餘륨이하는調臨 (30) 과 같다고 (31) 하 였 A며, 二 • 三章은 원래 調臨과 같다고 (32) 하였으므로, 調臨과 함께 비교하겠다.

(1) 初 章

初數大葉과 줍의 初頭는 다르지만, 初數大葉은 ‘林’, 없數大葉은 ‘黃’, 三數大葉은 ‘&’

로 시 작하으로, ‘{매’ 으로 始作하는 츄은 륨城과 旅律에 서 初數大葉과 비 슷하다. 弄의 二頭 五點까지는 初數大葉과 같고, 三頭六點 이하는 三數大葉과 갇다.

(2) 二 章

弄의 初頭二點까지 는 三數大葉과 다르고 二數大葉• 調臨과 같다. 初頭三點 이 하 二頭 끝 까지 는 調臨• 三數大葉과 같다.

(3) 三 章

弄의 -刻응 界面三數大葉과 比較가 어 렵 지 만 調臨의 族律에 서 같은 旅律을 찾아 볼 수 있다. 二頭 「點까지 는 界面三數大葉과 다르지 만, 調臨에서 弄과 같은 旅律을 찾을 수 있다.

단 끝의 三點은 調臨과도 다르며, 遊藝志、 弄에 가깡다.

(4) 中餘흡

弄의 中餘즙은 三數大葉 즉 調臨과 가장 비슷하다.

(5) 四 章

弄의 初頭는 初數• 二數大葉 • 調臨과 같다. 弄의 二頭三點까지 같은 族律이 없고, 四點 부터 는 二數大葉• 調臨과 같다.

(6) 五 章

弄의 一刻은 三章과 같다고 (33) 하였으므로 弄 三章一횟l 과 調臨 五章 一刻을 比較하면, 두 曲이 같다. 弄의 二頭三點은 調臨과 같무며 , 四點이 하는 初 • 二數大葉• 調臨과 같다.

(7) 大餘륨

(30) 調臨은 現行 題擊에 해 당함. 趙運朝: 三數大葉과 훌훌훌. (셔 울大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76).

(31) 中餘音 與四五章 뾰同調臨. 三竹琴뽑 p.84.

(32) 二章• 三章 本同調臨,. 三竹琴讀. p.84.

(33) 죠章之頭 每一刻十點 郞三章之頭 每一刻十點也. 三竹琴調, p.88.

(9)

- 8 7 -

大餘률과 界面三數大葉의 大餘룹은 다르며 -弄이 四課에 서 三數大葉은 七課에 서 연 弄의

三數大葉은두가 주한다-옮數大葉 • 調臨과 같다. 단 弄의 大餘룹은 遊훌志와 같다. 한펀,

이 것들은 現在까지 傳한다 (34) 지 大餘륨이 있는데,

弄의 初童은 初數大葉• 調臨과 가깡고, 弄의 二章 이 하는 三數大葉(혹은 調臨)과 따라서

言弄의 二章이 하는 弄과 같으으로 (3S) , 遊藝志(I 9C初) 言弄의 初章은 三數大葉과,

또 같다.

에서와 같응 도식이 성렵한다. 이상을 갱리하면 다음 〈표 4> 와 같다.

〈표

4>

@

*지 f;Jjf;:大葉

二훌大葉

w'l £홉

數大葉

~2두첨 "'2두 13첨

@3첨 이하

@2두 4첨 이하 擁 弄과 통일한 부분

CD2두 "'2두 5챔

@2점

@초두 (])2두 4갱 이하

行 (36)

3) 現 章 (1) 初

三點까지를제외한四點이하는같다. 또, 頭 弄의 初頭는 始作部分이 初數大葉과 다르며 ,

끝부분이 淸 題 初頭와는 완전히 같다. 弄의 二頭는 初• 二• 三數大葉• 頭鍵와 다르지 만

으로 끝나지 않는 점에서 初數大葉과 같다.

章 (2) 二

弄의 初頭는 初• 二• 三數大葉의 初頭와 다르며 , 頭뿔의 初頭와 같니. 弄의 二頭는 頭題·

三數大葉과 같A며 , 弄의 二頭四點 이 하는 初• 二數大葉.과 같다.

(34) 三竹琴짧의 調臨 뒤 에 수록된 請三數大音과 三lf{大葉 뒤 에 수록펀 大餘音2.로, 謂三數大餘音은

成慶騎編 正樂거운고에 수록되었고, 三數大葉 大餘홉윤 金짧洙·具潤園共編인 玄琴正樂에 수록 되어 있다. 이 두가지 大餘音의 차이는 -젖l을 죄는 것(請三大餘音)과 쇠지 않는 것(三數大餘 音)에 차이가 있으며 二頭이하는 갇다.

(35) 26) 과 同.

(36) 현행 거운고보는 金짧洙 • 具潤園共編 玄琴正樂을 주로 하였으며, 비교한 曲은 三竹琴뽑(I9C末)

와 같이 初 ·二·프數大葉·頭훌·弄이다.

(10)

(3) 三 章

품의 -刻은 五點까지 다르며, 六點 이 하가 二 • 三數大葉 • 頭塵와 같으며 , 弄의 二頭는 頭學와 같다. 또, 三數大葉의 二頭五點까지 같다.

(4) 中餘륨

三數大葉을 제 외 한 初• 二數大葉• 頭學 • 弄의 中餘숍이 같다.

(5) 四 章

方:의 初頭는 二數大葉• 頭顧와 같다. 弄의 二頭四點까지 는 같은 旅律이 없고, 五點이 하 는 二數大葉 • 頭醫와 같다.

(6) 五 章

츄의 一刻은 頭鍵와 같고, 二數大葉은 一點• 三點이 다르며 , 初 • 三數大葉과는 다르다.

칸 二頭三點까치 같은 선율이 없고, 二頭四點 이 하는 初• 二數大葉• 頭擊와 같다.

(7) 大餘륨

}투의 -刻五點까지 는 初 • 三數大葉과 같고, 一刻六點 이 하는 같은 旅律이 없 다. 弄의 二 頭六點까지 깜은 旅律이 없고, 七點이 하 初• 三數大葉과 같다.

이 상 弄과 강은 旅律은 頭題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 初數大葉과 二數大葉에 는 부분적 으 록 나타나고, 三數大葉에 가장 적 게 나타난다. 이 상을 도표로 보이 면 〈표 5) 와 같다.

初톨大葉

二톨大훌

프f,(大훌

擁 弄과 同一한 부분

@ 초두 ~2두

@ 초두 CID2우 5정

@ 초두 @2두 4점

@2두 4점

@초두

@ 1 각 5정 弄과 數大葉의 관계 플 갱 리 하면 다음과 같다.

@ 초두 6점

@2두 4점

@2두 7정

遊藝志、에서는 三數大葉과 弄의 二章이하가 같았A며, 三竹琴讀에서는 調臨(三數大葉의 일 부)과 弄의 二章 이하가 같고, 現tE는 頭學와 弄의 二章 이하가 같다.

(37) 而今此 所異者 隨其歌聲之홉低故也. 三竹琴調. p.84.

(11)

- 8 9 -

이 와 같이 弄과 같은 旅律이 頭學에 남고, 三數大葉에 적 게 나타나는 理由는 다음과 같다.

三竹琴讀 界面三數大葉의 註에 기록된 것 같이 伴奏는 노래의 高低에 따라 달라진것 같다.

言弄과 ZP:弄의 二童 이 하는 三數大葉과 같았치 만, 初章은 다른데, 특히 言弄과 ZP:弄음 現훈까지도 初章만 다르다. 즉, ‘엇’(름)의 륙칭이 ‘지르는’ 것이므로 (38) 름弄은初童을三 數大葉 같이 ‘지르는 弄’, 平弄은 初章을 初數大葉 같이 ‘~으로 내는 弄’ a로 해석된다.

한펀 民諸의 엑이는 부분은 @ 숙여내는 소리 (2)ZP:으로 내는 소리 @ 질러내는 소리의 3 가지 변화형 이 있다 (39) 歌曲의 初 • 二 • 三數大葉의 初童올 각각 ‘ZP:으로 내 는 소리 • ‘숙여 내는 소리’ • ‘질러내는 소리’에 해당한다고 보면, 弄·樂·編에서는 ‘ZP:~로 내는 소리’와

‘질러내는 소리’ 뿐이며, ‘숙여내는 소리’가 없다. 이런 理由때운에 뿔團琴짧 (19C末)에서 는 言弄이하를 小歌曲이라 한 것 같다.

5.

現行 노래에서의 弄과 훌

遊藝志이후 現行 거문고樂調에 이르기까지 初章을 제외한 二章 이하가 同一하던 弄과 樂

〈표 6)

j

」폰혈쏟仁|호텐흔l뺀헌폰|혐현 행」

좁 戰 群 휴홈 훌 橫(‘ 1)

!I! ~ .æ.훌 左

쫓 風 홈 日

樂 時 調 花 爛 春 城 左

春 秋 風 雨

楚 @훌 乾 坤 樂 聚 春 없.

花含朝짧

W~ 無 11

S설l'Þ淸川

격S

쫓 浪 홈쩌 훌

(38) 張師動: “歌曲의 m:究” 韓國音樂~究 C*4園톰II~얻톰홉, 1975) 第죠輯. p.46.

(39) 꿇師鄭 짧萬榮 : 國樂樞꿇 C.國國藥홉흩. 1975) p. 34.

l::j

(40) 植짧 李짧詳 (1653~1733) 의 歌集2..로 與聚樂• 李民本 育.fí:永름 • 빼商歌曲훌의 異名이 있다.

(41) 倚稱 짧弄. r歌曲홈流 J p.90.

(12)

두 曲의 특정이 다픔을 알 이 엣 歌集의 風度形容에는 다르게 요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수 있다. 따라서 弄과 樂이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먼저 歌集애 나타난 風度形容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에 使用된 소재는 論爭 • 구릅 • 바람 • 강물 • 파도이며, 樂에 사용된 소재는 太~盛代 • 곡 ,

즉 弄은 변화가 많고,

옹 • 꽃 • 이슬 • 봄비 • 봄바람으로 그 소재가 대조적이다.

樂응 부도렵고 화사한 곡무로 묘사되었다. 이런 風度形容이 음악적인 面에서 어떻게 이며,

표현되었는지를 노래의 륨域과 旅律比較를 통하여 說明해 보겠다.

1) 音

全曲을 통하여 가장 높은 음은 츄과 樂의 흡-城을 노래 악보에서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 나 章別로 나누어 보면, 아

‘매’ 으로 두 曲의 흡域은 같다.

‘演’이며, 가장 낮은 음은

‘演’ S로들

弄에 서 初• 三• 四• 五章에 서

래 표와 같이 樂에서 높은 음은 二 • 四章에서,

‘南’까 않고

‘漢’으로 틀어내지 그리 나 金짧洙編 男 P昌歌曲百選에 는 樂의 四章에 서

어낸다.

曲의 名章의 終止形 치 플어 낸 다 (43) 한편 낮은 음은 初 • 二 • 三• 五章이 같으며 , 이 는 두

‘↑뿌’ 까지 樂은 ‘柳’ 까지 사용한다. 따라서 樂은 弄보다 낮 四章은弄이

이 갇기 때문이다.

은 숍域을 사용한다.

I

1

) 2

장 I

3

장 I

4

장 I

5

l

演-佛 | 林-빼 | 演-佛

1

漢-

f'l' I

1

林-佛 | 演-빼

j

林-佛

(

續-柳 |

演 -fl뿌

-f1lþ

2) 旅

章 (1) 初

林-件-黃의 旅律을 두 츄은 初頭를 件-林-빼의 단순한 旅律로 부르고 있으나, 樂은

글자수와 흡數의 관계 는 樂이 弄보 번 反復한다. 弄과 樂은 歌解 字數의 차이가 없으므로,

다 멜리스마닥하다. 弄의 二頭 반각 (44) 은 빼-林-빼의 族律이며, 樂의 반각은 빼-林의 旅 樂의 왼각이 林-件-黃-件- 律이다. 弄의 왼각은 林-漢-林-件-빼-黃의 旅律이고,

黃-柳-黃-林-黃의 旅律이다. 따라서 二頭에서도 樂이 弄보다 멜리스마탁하다.

(42) 李珠燦編: 歌曲讀(國立國變院 歌曲맑究會. 1960).

李珠燦編: 歌曲뽑 빼(國立園業院 歌曲liFf究會. 1962).

(43) 四章 11 拍, 金짧洙屬 : 男 n昌歌曲百選(大훌훌大樂院. 1979).

(44) 가곡 16박 1 장단올 11 박과 5박으로 나누어 각각 왼각, 반각이라 부른다.

(13)

- 9 1 -

(2) 二 章

弄의 初頭는 빼-林-件(黃)의 旅律이고, 樂은 灌-件-港-林-件-黃-빼-賣이다.

弄의 二頭 반각은 {中-林-{'中-黃의 族律이며, 樂의 그것은 빼-黃의 선율이다. 弄 ‘물 우회 ’ 와 樂 ‘솔아래 ’ 의 旅律응 林-{I매-黃으로 두 曲이 같으며 , 왼각에 서 는 비 교악보와 같 이 통일한 종지선율로 되어 있다. 따라서 初頭에서는 樂이 弄보다 멜리스마탁 하치만 二頭 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와 같이 弄과 樂에서 같은 終止旅律이 나타나는 곳은 五章 24拍 이 하에서도 나타난다. (弄은 ‘남훈전’ 樂은 ‘냥산에’)

(3) 三 章

’弄은 가사가 확대됨에 따라 곡을 확대하여 부르는데, 樂은 弄과 같이 가사를 확대하지 않는다. (界樂에 限하여) . 弄과 갇이 가사가 확대된 曲은 三章과 五章에서 長短연장법을 사 용하여 各章의 -刻 十點에 해 당하는 旅律을 계 속 반복한다 (451 이 와 같이 장단을 연 장할 때 반복되 는 一刻은 가사의 高下字에 따라 부르는 방법 을 조금씩 바꾼다 (461 따라서 弄一刻 의 $힐律은 다음과 같이 여 러 가지 가 나타난다.

漢-林-件-黃-빼-黃-뺀-黃 {뿌---黃-件-林---件 林---件-黃-柳-黃-{'中 빼---件---灌-林-빼-黃 黃---件-黃

{'I'----黃

한펀 樂의 -刻族律은 林-{'변-林-件-林-黃 또는 黃-件-林-件-黃-件의 두가지가 있다.

弄 二頭의 族律은 4中-林-{'中 黃-{I뿌-黃-柳-i1'며-柳의 旅律이 며 , 樂의 二頭旅律은 {中--)

빼---黃 \

林-件-太-黃

l

件-林-{'中-빼-黃-柳-Í'빼-柳이 다.

林-件---黃/

따라서 樂이 弄보다 멜리스마틱 하치 만, 弄은 樂보다 長短연장법 을 많이 사용하기 때 문 에 멜르다의 변화는 弄이 樂보다i 심하다.

(45) 成愛順: 歌曲의 原形과 흉形에 관한 맑究(훌훌蘭大學校 大學院 碩士훌位議文, 1980). p.8.

(46) 변화시키는 방법을 ‘물아래’에서 보면 演• 件 • 黃• 林£흘 변화되며, ‘들어내고’, ‘숙여내고’,

‘;qs:~로 내 는’ 3가지 방법 올 쓴다.

(14)

(4) 四 章

츄 初頭는 林---灌\-林-演의 旅律이며, 樂은 林-땐-林-演(南)의 t힐律이다.

灌-件-澈 j

弄 二頭는 演-林-滿-林-件이 며 , 樂은 林-件-黃-{I뿌-柳-黃-備으로서 두 각의 형 태 가 다르다‘ 즉 弄은 제 13 박부터 제 25박까지 13박을 林드로 부르는데 , 樂은 한음을 걸게 끌지 않고 굴곡있는 旅律이어서 멜리스마틱 하다.

(5) 五 章

츄의 一刻은 三章과 같고, 樂의 -刻은 {中-林-까1_黃의 :âÆ律이 다. 二頭 五點 (8박) 까지 꽃은 ↑中-林-件-黃-件이며, 樂은 件-黃-林-{'매-黃 件이다. 二頭 六點 (9박) 이하는 빼-黃-1'件-黃-빼-H며의 旅律로 두 따1의 終止形이 같다.

3) 弄鉉法

(1) 搖 휩

弄과 樂은 播짧까지의 搖건홍 보다 더 폭 넓은 搖聲을 사용한다 (471 그러나 폭 넓은 搖聲 은 樂짧에는 구분되어 記調되지 않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설명하기가 어렴다. 그러나 전 曲을 통하여 특징적인 搖聲의 位置와 方法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弄온 뺀딩에서, 樂은 黃 鍾에서 만미 악보와 갇이 사용된다. (界樂 初章 제 9"' 1l박과 zfi 弄 三章 제 28박 참조)

弄의 搖聲은 界面初數大葉이 하 곡의 終11::부분 (5장 46박) 에 공통적 으로 사용되 지 만 弄에 서는 곡중간에 특히 많이 사용된다. (南薰願 : 7회)

폈의 搖聲은 다른 iill 에는 없고 樂에만 사용된다. 특히 弄 南薰願의 初章初頭 끝 3 박은 樂과 다르게 처리한다. 따라서 樂이 弄보다 멜리스마틱하게 된다. (弄(南薰願詞) 二章 제

9 박~제 11 박 참조).

(2) 退 f聲

退聲의 자리는 두 曲이 갚으나, 방법은 樂이 弄보다 멜리스마틱하게 처리한다. 즉 다음 악보에서와 같이 林-件 진행시에 弄은 천천히 풀에내리는 되성응 사용하거나, 1 박내에서 退聲을 사용하지만, 樂은 천천히 풀어내려는 退聲法올 쓰거나 l 번 退聲을 한후 다시한번 退 聲을 하는 경퇴성법을 쓴다. 따라서 樂은 겹되성법 때문에 곡이 멜리스마틱하케 느껴진다.

위와 같이 弄은 樂보다 높은 옴을 많이 쓰며, 樂은 弄보다 멜리스마틱하다. 또한 弄은 樂보다 長短연장법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선융의 별화가 다양하다.

옛 가집 에 사용된 風度形容중 弄에 使用된 폼戰群關와 變態凰雲은 長短연장법 에 의 한 다

(47) 張師動: 弄鉉法의 ~究

(15)

- 9 3 -

양한 雄律形을, 洗양淸川은 四章에서 1옴을 걸게 끄는 것올 묘사한 것 같다. 한펀 樂의 훌 風揚日, 花爛春城은 曲의 멜리스마틱한 정율 요사하였다고 할 수 있다.

6.

結 홉

현재 傳하는 歌曲은 數大葉 系統으로 歐曲羅流에는 數大葉 외에 도 弄• 樂• 編이 P훌한다.

치금까지 歌曲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었으나, 이플 弄·聚·編의 륙갱에 대한 훌¥究가 없었 으므로, 필자는 本鎬에서 弄과 樂(界面調에 限하여)에 대하여 다용 3가지 사항울 연구하 였다.

1) 弄과 樂의 관계.

2) 數大葉과 弄의 관계 3) 弄과 樂의 특정

위 돼究를 위해 琴學切要(19C末) • 遊藝志Cl9C初) • 演隱讀(1779) • 三竹琴讀(19C末) • 新 作琴讀 (1725 ,,-, 1776) 를 比較 •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갱리하면 다옴과 갇다.

1. 琴學切要 (19C末)의 旅律 • 口音을 遊藝志(1 9C初) • 懶隱讀(1779) • 三竹쫓짧(I 9C末) • 新作琴謂(1 725"-' 1776) 와 비교한 결과, 琴뽕切要의 內容이 遊藝志、에 가깡다.

2. 遊藝志 (19C初)의 弄 • 界面三數大葉과 琴훌切훌 (19C末)의 界樂은 初훌율 除外한 二童 이하가 같은 旅律이었다.

3. 遊藝志、(1 9C初)의 ‘엇界樂’온 현행 롭弄이며, 그 初章은 界面三數大葉과 같고, 二章 이하는 弄과 같다. 따라서 言弄은 ‘지표는 弄’,zp.弄은 ‘후으로 내는 弄’, 으로 해석되며,

뿔團琴讀(1 9C末)의 小歌曲이란 ‘zp.으로 내는곡(初數大葉)’, ‘숙여내는곡(二數大葉)’, ‘플 어내는 곡(三數大葉)’중 ‘平으로 내는 곡(zp.弄)’, ‘들어내는 푹(룸弄)’만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4. 遊훌志、 (19C初) 당시의 弄파 界面三數大葉은 二章 이하가 같았으나, 三竹琴謂 이후 頭 뽕(調臨)에 弄과 같은 旅律이 남고, 三數大葉은 노래의 홉低에 따라 변화되 었다.

5. 현행 노래에서 弄은 樂보다 높온 륨城올 많이 사용하고, 樂은 弄보다 t휠律에셔 멜리 스마틱 하며, 弄은 킬게 끄는 음(長引)이 많다. 또한 弄鉉法에서도 樂은 弄보다 잔잔한 搖 聲을 사용하고 겹퇴성을 사용한다. 따라서 歌曲聽流 (1876) 의 凰度形容에셔 홉退簡훌은 弄

의 三• 五章의 長短 연장에 의 한 다양한 族律形을, 洗t&淸川은 弄 四章의 걸게 끄는 旅律율

묘사한 것이다. 花뼈春城, 훨風陽日은 樂의 멜리스마틱한 첨올 요사한 것이다.

(16)

훌 考 文 It

1. 古樂讀

琴學切흉흉, Xerox本.

芳山韓B:;琴調, 韓ff錫編.

三竹琴讀, 韓國즙樂뿔寶料훌書 2, (傳統音樂돼究會, 1981).

西琴歌曲"

梁琴新調, 梁德、훌훌編(通文館, 1959) 影印本.

#뀔隱讀. (서 울大學校 숍樂大뿔 國樂學없究會, 1978) Xerox本.

遊藝志, 徐有緊編(韓國國樂學會, 1969) 影印本.

一養琴짧, Xerox本.

뻐EE護鍵, Xerox本.

學園琴調, Xerox本.

微琴歌曲讀, 尹用求編, Xerox本.

2. 樂 讀

具潤國• 金짧洙, 玄琴正樂, 國立國樂高等學校, 1979.

金짧洙, 男 P昌歌曲百選, 大韓大樂院, 1979.

jÌî:짧洙 • 崔忠雄,fJm椰琴正樂, 國立國樂高等學校, 1979.

成慶購, 正樂거 문고調, 大樂會, 1980.

李珠煥, 歌曲짧, 國立國樂院 歌曲昭究會, 1960.

李珠煥, 歌曲讀續, 國立國樂院 歌曲昭究會, 1962.

3. 參考書籍

朴孝寬• 安횟趣, 歌曲源流, 韓國륨樂學資料覆書 5. (國立國樂院, 1981).

李 遭, 星湖樓說.

李衝햄, 樂學給零, 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78.

張師動• 韓萬榮. 國樂擺論, 韓國國樂學會, 1975.

張師動, 國樂論꿨 서 울大出版部, 1971.

4. 論 文

成愛}I頂, 歌曲의 原形과 變形에 관한 짧究, 漢陽大뽕校 大훌院 碩士훌位論文, 1980.

(17)

- 9 5 -

李맺윗姬, 쩌調數大葉과 겼樂의 상관관계에 관한 맑究, 서 울大훌校 大훌院 碩土훌位論文,

1982.

李惠求, Variation in the Korean Classical Lyric Song (Kagok), 民族륨樂(서울大훌按 륨樂大뿔 附說 東洋륨樂뽑究所, 1977), 創刊號.

李惠求, 白雲廣琴讀, 韓園룹樂序說, 서울大버版郞, 1972.

張師m, 言弄과 言編, 李惠求博土 領홉記;용 흡樂홉論훌훌 韓國國樂훌홉 1979.

張師動, 歌曲의 짧究, 韓國즙樂뽑究(훌훌國園樂훌會, 1975) 第五輯.

趙運朝, 三數大葉(嚴耳)과 훌훌훌, 서 울大훌校 大훌院 碩土훌位論文, 1976.

黃浚淵, 歌曲의 餘륨, 서 울大뿔校 碩土훌位論文, 1977.

1."遊흩志와 훌훌切훌의 낌껴훌파 界훌

〈初 1톰〉

遊훌훌志~끼樂

琴學切흩, 쩌樂 遊훌志, 界樂

琴學切횟, 界찢

<= *>

遊, 겼樂

琴, 경깅樂 遊, 界聚 琴, 界樂

〈三 훌〉

遊, 쩌樂

琴, 꼈樂 遊, 界樂 琴, 界樂

四슬죠四四文四四죠七文七죠七四七七훌四죠四七 四슬죠四四文四四표七文七죠七四七四훌四죠四七 四슬六四四文四四六七文七四七四七六훌四六四七 四슬六四四文四四六七文七六四七七四훌四六四六

四죠 四五 四六

四四

샤샤 μ μ π따 懶懶 차찮 μ샤찮 댔 댔

八八

-'- 大大

六七七六文숲四六七六四四六四七五上下武

大四四四大四죠七죠四大四죠七죠四五

大大四四大四죠七표四추四죠七죠四五

五표 .zl.

쟁 매얘 샤샤

四大죠

六大표 文文

쳤 겠표 섰표 섰끊

大六

↓맴 셨찮 쳤찮 쳤많 ↓쁨 돼 돼 얘

大죠 大六七七

(18)

〈中훌훌〉

遊, 겨경영훌

琴. ~껴樂 遊, 界樂 琴, 界樂

〈四 훌〉

遊, 꼈樂

琴, 갱겨영흩 遊, 界樂 琴, 界業

〈효 훌〉

遊, 껴樂

琴, 경껴樂 遊, 界樂 琴, 界樂 遊, 까경영훌

琴, 꼈영뻗 遊, 界樂 琴, 界樂

〈大i훌훌〉

遊‘ :r:l樂 琴, 겼樂 遊, 界樂 琴, 界樂

遊, 쩌樂

琴, 껴경영훌 遊, 界영훌 琴, 界樂

職 鋼

섰 E 차표

며 大五大죠 四大죠 大五大표

四六七四六四七 t文下

八八七표八七죠七八七 죠四죠四초초上下武

/、.LL

八八七표八七표七八七 죠四표四{죠上下武 *大

十十八七十八七八十八七七四七四七五上下武*大

四七四죠七끼七죠四~-r...J..-四죠七 죠 며 大大大

/、.LL/、

四七며죠七七七죠四초후 며죠七七효 四/、..LL

때 했 짧

七大三大=

歐 차二찾

大죠 大二大二

없 혔椰썼椰

大=

·t=

七大표大죠 七上上

없 않샤샤갚 샤샤 돼 돼

六四찮上젊훌훌젊젊文上축족젊上文下武

大六七죠 죠

돼 돼

七七大죠 죠 四四大죠 大죠

職鋼

大표 大죠

때 때 +팽섰끊

大大四四四六文/、+ 四文七六四六六四 죠죠

大大大大大 大大 大大 大大大大

죠띠六죠六죠죠文죠五文죠표四죠四六죠죠六四

大大 大大 大大 大大 大大

五四 六표四죠죠文죠죠文죠죠四죠四六죠 六며

大大 大大 大大 大大 大大

七六四六죠四죠죠文죠죠文죠표四六四七五 七四 2. 遊훌志의 弄과 쭉뭘IHJJ혹의 g톨

K 初 훌〉

遊훌훌志, 弄 琴學切훨, 樂

六七四七大죠

繼 爛

八七

샤사 않

七六

懶때

七四四六六大五七四大죠

(19)

<=

훌〉

遊, 弄 琴, 樂

〈三 훌〉

遊, 琴 琴, 樂

〈中훌훌〉

遊, 弄

琴, 樂

〈四 훌〉

遊, 弄 琴, 樂

〈표 훌〉

遊, 弄 琴, 樂

遊, 弄

琴, 業

<*-音〉

遊, 弄 琴, 藥

遊, 弄

琴, 樂

- 9 7 -

四六四四

六t 七六文六죠四六七七六四 六四七죠上下武 大大 六七七六文六죠四六七七六四四六四七죠上下武 大大

六六大七

쟁 爛

七 꽤 六 샤샤

四四*죠 大죠

*”

겠 꼈

文文

大五

셨끊 셨표

六四大七四四四大죠 大五大표 大七大七大죠 大죠 四四

많 짧 때생 얘생

四大죠大五

혀 차

四四大五大五四四

서셨끊 써 때 야마 나마 冊 써 샤샤 서

샤샤 샤 武 武 μU 什 πμ πμ

四六四六七七七六文六훌며六七七六四 七 六七며六七七七六文六훌四六七 六四四六

四大大上大大大*大:文컬大大t文下武

七죠 며七표며四 -三四

四大大上大*大大大文*大大上文下武

七표 四七표四四 四三四

大 四六七大四六文六大四六七七 六六띠 大大四四 大四六文六좋四六七六四六六四七

표죠 A

-‘-四大大大大*文大大四六며六六六七四文

七五七五五 표죠 七표죠

六四찮四훌훌文훌훌四六四찮 종四

(20)

3. 遊훌 志

져웠I[

~t~

t.tt

t

,h '1Ì"C내잉 싸t !‘혹

*’

~~-~

...

~~

’”

용it

i

1 ,:딩

l찮 i

1-.흥 쳐.l' ~'i- 것"

~의

-

11F호‘: ‘돈 11. ü

견’한 <\-

1

'l. I

」‘

JOlOO

-

~쩡t

f -* l

lt

.,

lt 앙 1~~

,

k :'tr- ~~I-

흥t

...

~‘

'-.: !: if!: r~ ’‘ ;t「 p"~_. ••• --

1 써~ -•-->=-

때( }1 I~ι; ,l

’.,,..‘

4상.1}q-d .~ 1"r" 1. 'i: ,t처t

웅·“ 씨.‘J

l

펴~’t

1,i4~..:~-웅 -fl-'t

I!힘t

t ,;ar j젠ζ 꺼: ,!갖 "J 용 1--1. ?강한j

~ 1",

1 받뽕

「↑+·e II 'i 1tτ

I~" 션?

11tf T "."t용

t |‘'"~ 11

4+1안 1

-‘、 --、.,!’

4Zr 셔: 셔* 껴‘* 낼엉 {!r<i 싼* 국~ 1!.~

@,*~f;!f; '"

-.:

~7'

~

* *

n

f ‘L《j슬 I~H. <.(양1$0{잉 t 1l‘Kt영 ':'외 야 1;'흥 .l'itl1't

”’(

안(. jIIIÞI~- - - .

二-μF↓

껴 d. 1t'o: 야융 갱양 +,샀 lt. .. 까H 1ì~ l 흩→ 11"1-1.1. ~.ι1억

.... ,..、

~.ì.'\- 1좋+ {~ .. ιH ?~'t 1+ 순후오

..

’에(

-

R

---;

강아 /호i 융 ?&f f i t 「션 의 1Ì<t 학 1혀 1t'- ,;:\,양

찌~..-. ..

~

~

」욕

써 폐

、:;

...

/i

'ul애jr ga「송

j h !

.i

‘ ‘’

tr-•“

싸~

ll-! ;I ~~1ξ~ -1":ζ 악 씌4 :~下 'i$예

·‘

1

4 길양 'f1" 1:1 '1 9앓 ... 1 ‘암 1}ξ ~.f‘중 lt ’;\41흥..,. .(~"!. ;1;

* ’을 f을

·‘끽/、

,--、”‘·

-.-

i

뼈~ --、

.. ,

l

;t;η

, i

't 1~ 앙 ‘’ 11.'1 ?lμ1섭 싸나 1~ 휴 1\ π 껴J‘ ~

.

*下 쇄카

(21)

4. 三竹훌훌훌

t-'、k

~~ &

*

k

þ

형t

*

1t

*

; ' Ï

~~I

*

ti

-츄 츄

tþJ._ ...

.,-.

i

u

“ ·‘ “

j 각

톨‘

‘· ·“

,.~ ....

.·41

i

‘ ‘* ‘’

1-

,

e E .... ξ.t

• ‘

. i

‘< !'I> -“ !1. .... <t“ ?‘ ....

.. .. i"

~‘.~.~ I~

i에 앙%

“ 1 ‘

F’.~‘

’ ••

~ ,.,. 't ~ r-: f

... -

-t . • -:-

"

.~

↑1j틀-·.-4J(t

F

*··‘ i

i

.“, “ .. ... ‘1" ...

r~-" r~'"、

‘ *’ ’

!. !. It ~

”’'- ’‘(

f

I 잉

!'i ’ ... ' t ’

~

...

1: 흩@“ r:''":

t

J

.@ ,,~ ~ -: . - t " ‘ ' t - .. :l .... 't

i' . t

“·

‘’

,·'.

11t ir-~ ~

. .

ι ‘ .. "' Ir.~ ... I~‘‘... .. ‘- ‘.. '4..

04-"

~-- ~I': r년(. {C-_ L

~ :; I

>1

~ Ilr~ •.

셔 I~‘

l

't

14- ' " 10...

4

1

,,.

r'.( t i - . . -

f?.... 1"

‘ ”

1

.. ,

11+ 1. 1 + . 1+

."': ,,~ 홈 흥 홉..↑ L I A.":

*

출 ‘핏 .+

'f"

ot -、··’·

~

\ ...

II.~ “

''> i

“ ‘ 11 ‘

ot '1. ...

’영~. ~

....

I r'~~. _ 1

,.’‘

’.~

..

J"

f¥¥;

f 꺼 1

..L

’ ‘ ....

“ ' 1 . -l

‘’‘ ·‘·“’ ,"t "t

~ .Ll!!L

f

@‘1.

,.. ~

""'-'t 1

.‘ 에

-i

·‘

A< !.. -..;:

’‘

j

..

‘-、

...

l~~

4

‘% ,.,

... ‘ ...

4

“ ‘

4 1 k

“ 1. "t’

fl1

- ---

~''' ... ITI~ 멘~

..

}.깐 액흥 ‘펙

,.‘ ‘

~ ~“‘

*“ ‘

」‘ J

‘ “ ‘ 1. “

L ”‘얀l

,.• ‘

i

‘ “

1

1

*“

·• J

‘ ....

!’.

,.Ji . . . :t~ 에(

F

‘·

lti!!

• . . .

i

“‘ 지

“ ’ ‘ 용 써 * ‘ ...

+ "\ ... h

1

- 99-

(22)

f .t L

i션 1

-

Ԥ

.

A

.

i

”‘

5. 現行(거문고)

4

---비니1υUH비이

1Uh--J

베 -씩애」내샤니에페터 U 기때 ι 「 ψ 며띠 υ Uj 써삐 μ

1

/

1

1

1

/

U

끼며 {μι 최페며 μ 메ψHh 메 Pν]펜υ{{도펜-[도믿

’ υι멘 ψ hhι 너 런」

Fκ깨끼 νμ 「시 끼넌 U니 이미] 1ι -

}

J

띠멘미패냐멘반 p 니이씨시때

]1」!」1」이」파fj←h1jL」←

11 」」 1

1 〔1 」뻐

LJ

1 「빼 jjJ

L

내「 「

11LL빼

새[

--”

JA11111k

---j11

6

-써

과 「배기

g:~멘

l/

듀>1

11 '1'

’냐

.

T 1

i

(23)

- 101 -

애 ξ

iI

,‘--

-jf 에 냐

6. 現行 노래의 弄과 훌

t

a

i-il--}lil

Lh

”」 써斗니 V‘←

ι

센웬빼

ιl

r# 川 」 펴때씨떠잃밴배써넓냄써

기써l·ιν }μIl---L[|1」쇠|씨tIlI1t11jjjll μ …*

→-믿 -써↑」샤서각」

]

--ι ιτ 셔안

Jt

-4-)

년바써대바|냐녀 네니며바빠삐빼[ hμ

f1 { ---영

i

it

~

x

r

뀐피띠휠→--기

꾀되u

닙냐삐기뻐꺼페멘

U

배」

-{

--에

!

LU

J

-〔샤쐐낌때젠 삐런폐꾀권사비

뻐」

1J

¥j션t핸4

1

‘ -

l

l

-•

참조

관련 문서

• 예제 3.1) 메탄 가스의 연소반응에 대한 알짜 연소열(net heat of combustion)과 총연소열(gross heat of combustion)을 계산하여라... 이 자발적인 과정 은

[r]

기후변화에 따른 북아메리카 지역의 ‘부정적인 영향’(Nagative Impact)과 ‘긍정적인 영향’(Positive Impact)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정적인

검지로 이마 아래쪽 중심부에서 측두와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천천히 3회 반복하여

태양 빛을 렌즈에 집중하면 종이나 나무를 태울 수 있는 정도이지만, 레이저 빛의 경우에는 에너지양이 크기 때문에 철판까지도 녹일 수 있습니다. 레이저

항생제의 선택에 있어 Sandor 2) 은 β-l actam 계통의 항생제 특히 peni ci l l i n 은 병원균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으며 비용이 저렴하여

완성된 시퀀서위로 나무자동차를 천천히 움직여서

그 口音法을 초사함에 있어 古樂諸의 遊鉉과 大鉉의 打鉉, 擊結, 自出의 口홉法을 여러 가지 陳法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릎 보고 이를 現行口홉法과 비교하여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