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경골과 골절에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의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경골과 골절에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의 연구"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경골과 골절에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의 연구

최장석・김영창・서승석・안기찬・이창섭・최재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 교실

= Abstract =

A MRI Study of Associated Soft Tissue Injury in Tibial Plateau F r a c t u r e s

Jang-Suk Choi, M.D., Young-Chang Kim, M.D., Sung-Suk Seo, M.D.

Ki-Chan Ahn, M.D., Chang-Sub Lee, M.D., Jae-Sang Choi,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Tibial plateau fractures can occur concomitent with injuries to the collateral, cruciate ligament and mensci.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e frequency of soft tissue injuries associated with tibial plateau fractures and analyze the pattern of fracture more accurately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Thirty one plateau fracture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MRI was more accurate in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fracture and measuring the displacement and depression of fragment. There was a 71%(22 of 31) frequency of associated soft tissue injuries in this series of tibial plateau fractures.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s were injured in 32.3%(10 of 31),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s in 29%(9 of 31), the posterior cruciated ligament in 22.5%(7 of 31), th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in 19.4%(6 of 31), and the menisci in 39%(12of 31). Schatzker type II and IV fracture patterns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soft tissure injuries.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were most commonly associated with Schatzker type II fracture patterns. Menisci were most commonly injured with Schazker type IV fracture patterns. Most of the patients with acute tibial plateau

※통신저자 : 최 재 상

부산광역시 진구개금동 633-165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정형외과학 교실(614-735) Tel : (051) 890-6257

Fax : (051) 892-6619 E-mail : drcjs@lycos.co.kr

* 본 논문의 요지는 1999년 대한골절학회 추계학술 대회에서구연되었음 .

(2)

서 론

근위경골과골절은최근교통수단의발달과더불 어증가되는추세를보이고있는관절내의골절로서, 슬관절부의십자인대, 측부인대, 반월상 연골및주 위의 연부 조직 손상을 흔히 동반하는 골절이다. 이 의치료에는관절면의정확한정복및동반되는관절 주위의인대와반월상연골의손상여부가치료와예 후에 중요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 손상인 근위 경골과 골절의 진단에는 단순 방사선 검사 및 관절 조영술, 전산화 단층 촬영, 자기공명 영상 그리 고관절경검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순 방사선 검사가초기진단에사용되고있으나, 관절면의함몰 과 골편의 전위및 슬관절주위 연부조직 손상을알 기어려운단점이있으며관절조영술은침습적이며 인대손상의진단에는한계가있는단점을가지고있 다. 반면 자기공명 영상은 비침습적이며,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고해상력을 가지고 있고 다평면상을 보여 주어 진단에 있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진 단법으로최근사용이증가되는추세이다.

본연구의목적은근위경골과골절에동반된연부 조직 손상의 빈도를 분석하고, 단순 방사선 검사와 MRI 소견을비교분석하여진단및치료에도움이되 고자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1 9 9 6년 1월부터1 9 9 8년 1 2월까지근위경골과골절 로본원정형외과에입원치료한환자중 M R I를시행 한 3 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남자는 2 5례, 여 자는 6례였고 연령 분포는 1 9세에서 7 1세까지로 평 균 3 8세였다. 수상의 원인으로는보행자 교통사고가

1 1례로 가장 많았으며 운전자 사고가 9례, 추락사고 가 8례, 낙상이4례의빈도를보였다.

2. 연구방법

M R I는 1.5 Teslar superconducting imager를 사용하였 으며, 절단 두께는 5 m m를 기준으로 관상면 및 시상 면, T1 및 T2 영상을얻었다.

골절의 분류는 단순방사선상으로 S c h a t z k e r7) 분류 법(Table 1)에 의해 분류하였으며, 골절의 함몰 및 전 위 정도를측정하였다. 이후 MRI 상에서Schatzker 분 류를 재시행하였으며관절의함몰과전위정도를재 측정하여단순방사선상의결과와비교하였다.

슬관절 주위 연부 조직 손상에 대하여는 한 명의 근골격계담당방사선과전문의에의해판독되었다.

통계학적 분석은 student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p ≤ 0 . 0 5를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처리하였다.

결 과

단순 방사선상에서의 분류가 MRI 시행후 6례 ( 1 9 . 4 % )에서재분류되었다(Table 2).

Schazker 제 2형의골절이 1 2례( 3 9 % )로가장많았으 며제 6형의골절이 7례(23%), 제 5형이 4례(13%), 제 1 fracture were commonly associated with ligamentous and meniscal injuries. MRI can aid in accurate evaluation of tibial plateau fracture patterns and decision of treatement plan.

Key Words : Tibia, Plateau fracture, Soft tissue injury, MRI

Table 1.Schatzker classification of tibial plateau fracture

Classification Type I : pure cleavage

Type II : cleavage combined depression Type III : pure central depression Type IV : medial condyle fracture Type V : bicondylar fracture

Type VI : dissociation of metaphysis & diaphysis

(3)

형과 4형이 각각 3례(10%) 그리고 제 3형이 2례( 6 % ) 의순서였다.

관절면의함몰에있어 5 m m를넘는경우가단순방 사선상에서는 1 0례( 3 2 . 3 % )였으나, MRI 상에서는 1 6 례( 5 1 . 5 % )로 증가하였으며, 골절의 전위에 있어서도 1 5례( 4 8 . 4 % )에서 1 9례( 6 1 . 3 % )로 역시 증가하였다 (Table 3).

근위 경골과 골절에서 인대 손상 및 반월상 연골 손상의동반은 MRI 소견상총 3 1례중 2 2례( 7 1 % )에서 관찰되었다. 그 중 반월상 연골의 손상이 1 2례( 3 9 % ) 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인대 손상 중에서는 내측 측부인대의손상이 1 0례( 3 2 . 2 % )로 가장 많았고, 전방십자인대손상은 9례( 2 9 % )에서, 후방십자인대 손상은 7례( 2 2 . 5 % )에서 보였으며 외측 측부 인대의 손상은 6례( 1 9 . 4 % )로가장낮은빈도를보였다 . 이중 임상적불안정성이뚜렷하였던내측및외측측부인 대손상 8례에서는골절수술시에함께수술이시행 되었고, 다른 8례에서는 장하지 석고 고정이 시행되 었다. 또한, 역시 불안정성이 뚜렸하였던 전방 및 후 방십자인대손상 6례는추후인대재건술이시행되 었다.

반월상 연골 및 인대의 단독 손상은 7례에서 보였 고, 두가지이상의복합손상은 1 5례로그중 2가지구 조물에의 손상은 9례에서, 3가지 구조물의 손상은 5 례에서 관찰되었으며, 1례에서는 4가지의 구조물에 서의복합손상이관찰되었다.

골절의 형태와 연부조직 손상의 관계에서는 Schazker 제 2형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그 중특히 내측측부인대의손상이 7례로 가장많았으 며, 반월상 연골 손상은 제 4형에서 4례로 가장 높은 빈도를보였다(Table 4).

고 찰

근위경골과골절의 환자에서 수술의적응증으로 서는 대개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관절면의 함몰과 전위가 명확한 경우, 인대 손상 등의 연부 조직 손상 이 동반된 경우 및 개방성 골절인 경우로 보고되고 있다. 즉 경골과 골절 환자에서 골절의 양상과 관절 주위 연부 조직의 손상 여부가 치료와 예후에 큰 영 향을미치게되므로이의정확한진단이요구된다9 ). Table 4.Association between soft tissue injury and tibia plateau fracture pattern

I II III IV V VI Total

ACL 0 1 0 3 2 3 9

PCL 2 3 0 1 1 1 7

MCL 1 7 0 0 1 1 10

LCL 0 1 0 2 2 1 6

Meniscus 1 2 1 4 2 1 12

Total 4 14 1 10 8 8 44

Table 2.Changes of Classification after MRI Study

Simple Radiography MRI

Type I 4(13%) 3(10%)

II 11(35%) 12(39%)

III 2(6%) 2(6%)

IV 2(6%) 3(10%)

V 3(10%) 4(13%)

VI 7(23%) 7(23%)

other Fx. 2(6%)

Table 3.Depression & Displacement measurement

Simple Radiography MRI Depression > 5mm 10(32.3%) 1 6 ( 5 1 . 6 % ) Displacement > 5mm 15(48.4%) 1 9 ( 6 1 . 3 % )

(4)

그러나급성손상시환자의통증과 부종등의 원인 에 의해서 이학적 검사 및 부하 방사선 검사의 실시 에는한계가있게되어최근 M R I의유용성이증가되 고있으며정확한진단에많은도움을얻는추세이다

1 , 2 , 3 , 1 0 ).

경골과 골절 환자에서 수술의 적응증에는 다양한 보고들이있으며, Brown 등1 2 )은관절면의함몰및전 위가 3mm 이상시수술적치료로정확한정복을주장 하였고, Bennet 등6 )은 5mm 이상의 관절면의 함몰 및 전위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Rasmussne 등9 )에 의하면수술적치료의 더욱중요한

적응증으로서 골편의 함몰 정도 보다는 1 0°이상의 외반또는내반불안정성이라주장하였다.

Schatzker 등7 )은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6가지 형태 로 분류하였으며 제 3형이 3 6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Colleti 등4 )은 제 2형이 4 8 %로 가장 흔하 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제 2형이 3 9 %로 가장높은빈도를보였다.

Kode 등1 1 )은경골과골절환자에서전산화단층촬

영과 M R I를시행하여비교하였는데, 골절양상을파 B

Fig 1A.Thirty nine year old male patient with Schatzker type 2 fracture Fig 1B.Coronal MR image shows depression of lateral tibial plateau

Fig 1C.Sagittal MR image shows complete ruptur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nd incomplete rupture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Fig 1D.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screw A

D C

(5)

악하는데는비슷한결과를보였으나관절주위인대 나반월상연골손상여부를파악하는데는 M R I가훨 씬우수한것으로보고하고있다.

유 등3 )에 의하면 단순 방사선 사진 상에서보이는 관절 함몰 및 전위의 정도가 M R I와 비교하여 각각 25.9%, 14.9%에서 작게 판독된다고 하였으며, 본 연 구에서도 관절 함몰은 19.3%, 전위는 1 2 . 9 %로 과소 측정되었다.

Holt 등8 )은 단순 방사선상에서 Schazker 분류가 4 7 . 6 %에서 MRI 후 재분류되었으며, 본 연구에 있어

서도 1 9 . 4 %에서 재분류되었다. 이는 단순 방사선 사 진에서보이지않던선상골절이나경미한관절함몰 등이M R I로진단이가능하였기때문이다.

근위경골과골절환자의 MRI 소견상관절주위인 대및반월상연골손상이 Colletti 등4 )에서는9 7 %에서 동반됨을보고하였고, Bennett 등6 )에서는5 6 %에서보 고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도 역시 7 1 %의 높은 빈도를 보여주었다.

Barrow 등5 )은 Schatzker 제 2형과 6형에서주로연부 조직 손상이 동반됨을 보고 하였으며, Bennet 등6 )Fig 2A.Twenty five year old male patient with tibial intercondylar eminence fracture

Fig 2B.Coronal MR image shows associated with tibial plateau fracture Fig 2C.Sagittal MR image shows tear of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Fig 2D.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screw

B

C A

D

(6)

제2형과 4형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Schatzker 제 2형과 4형에서 높은동반 손 상을보이고있었으며, 특히 제 2형에서는내측측부 인대의 손상이, 제 4형에서는반월상연골의손상 빈 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골절의 형태와 슬관절 주위연부조직손상의상관관계는증례가충분하지 않아통계학적으로의유의점은발견할수없었다.

결 론

많은 근위 경골과 골절 환자에서 관절 주위 인대 손상이나반월상연골 손상을동반하였으며이의동 반시예후가불량하므로치료와예후에중대한영향 을미치게된다.

술전 MRI 검사로서골절의함몰및분쇄정도를정 확히 파악하며, 슬관절 주위 연부 조직 손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골절의 치료와 예후에 있어 점점 그 중요성을더해간다고하겠다.

REFERENCES

1) 최남홍, 김명규, 윤용진, 유재두, 이호민: 전방 십자 인대파열시 후방십자인대의 핵자기공명 술적 형태 관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31:371- 375, 1996.

2) 하권익, 윤경호, 안진환, 김승호, 한계영: 급성 전십자인대 손상에서 관절경 소견과의 비교 분 석을 통한 초기 자기공명영상 촬영의 의의. 대한 정형외과학회지, 33:68-74, 1998.

3) 유문집, 김승철, 심영희, 김명호 : 슬관절을 침 범한 근위 경골과 골절에서 M R I의 효용 성. 대한

정형외과학회지, 34:483-488, 1999.

4) Colletti P, Greenberg G and Terk MR : MR finding in patients with acute tibial plateau fractures.

Computerized Medical Imaging and G r a p h i c s, 20:389-396, 1996.

5) Barrow BA, Fajman WA, Parker LM, Alvert MJ, Drvaric and Hudson TM : Tibial plateau fracture:

Evaluation with MR imaging. R a d i o g r a p h i c s, 12:553- 559, 1994.

6) Bennett WF and Browner B : Tibial plateau fracture : A study of soft tissue injury. Journal of Orthopaedic T r a u m a, 8:183-188, 1994.

7) Schatzker J, McBroom R and Bruce D : The tibial plateau fracture. Clin Orthop, 138;94-104, 1979.

8) Holt MD, Williams LA and Dent CM : MRI in the management of tibial plateau fracture. I n j u r y, 26:595- 599, 1995.

9) Rasmussen PS : Tibial condylar fractures.

Impairment of knee joint stability as an indication for surgical trearment. J Bone Joint Surg, 55-A:1331- 1350, 1973.

10) Boeree NR, Watkison AF, Ackroyd CE and Johnson C :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meniscal and cruciate ligament injuries of the knee. J Bone Joint Surg, 73-B:452-457, 1991.

11) Kode L, Lieberman JM, Motta AO, Wilber JH, Vansen A and Yagan R : Evaluation of tibial plateau fractures: Efficacy of MR imaging compared with CT. A J R, 163:141-147,1994.

12) Brown TD, Anderson DD, Nepola JV : Contact stress aberrations following imprecise reduction of simple tibial plateau fractures, J Orthop Res, 6:851- 859, 1988

수치

Table 2. Changes of Classification after MRI Study
Fig 1A. Thirty nine year old male patient with Schatzker type 2 fracture Fig 1B. Coronal MR image shows depression of lateral tibial plateau
Fig 2B. Coronal MR image shows associated with tibial plateau fracture Fig 2C. Sagittal MR image shows tear of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Fig 2D

참조

관련 문서

 이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의학적 손상 중심의 사정을 통해 장애 등록 여부와 장애 등급을 결정하고 있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 의학적

생물체에 대한 방사선 조사부위에 따라 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조사받은 부위와 주변의 조직 및 기관간에는 상호작용이 있으나 장해는 대부분의 경우 조사받은

스마트 키의 배터리 상태에 이상이 없는데 대기 상 태 안내가 계속될 경우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 템을 사용하지 마시고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예약시 중국인 신분증이 필요하여 외국인은 예약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대형병원 및 의사별 전문분야와 외래시간을 미리 파악할 수 있으니

서울과학고의 경우 2010년부터 GLOBE반에 서는 서울과학고 주변 암석 및 토양에 관한 연구 및 서울지역 주요 하천 지역 토양의 중금속 오염도에 대한 연구를

재고자산의 진부화, 물리적인 손상 및 시장가치의 급격한 하락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해당 재고자산의 회수가능가액이 장부가액에 미달하고 그 미달액이

머리 가속 또는 감속 움직임시 TM joint 손상 탈구 시 연부조직 손상..

손상 후속연도에 손상을 발생시킨 원인이 전부 또는 일부 소멸하여 당해 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이 다시 증가할 경우 손상차손을 당기손익으로 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