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수업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수업에 관한 연구"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8.12.10 심사기간_2019.01.01-16 게재확정일_2019.02.01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수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s craft design with ceramic materials

안재영, 광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An, Jae Young_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방법

2. 초등학교 공예실기수업을 위한 복합재료 전개 방법 2.1. 주변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2.2. 동물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2.3. 꽃과 자연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2.4. 움직임이 있는 의자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2.5. 자전거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3. 공간을 활용한 초등 공예디자인 수업 3.1. 하늘을 이용한 연출방법

3.2. 공간감각을 이용한 연출방법

4. 결론

참고문헌

(2)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수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s craft design with ceramic materials

안재영, 광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An, Jae Young_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디자인과 공예실기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아이디어와 주변의 환경을 활용할 수 있는 디자 인과 도자공예 수업 프로그램에 관한 논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도자공예수업을 유익하고 활동 적으로 임하고 초등 미술재료와 도자재료를 실험하며 복합재료를 이용한 작품을 제작하도록 유도하는 디자인 공예 수업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변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동물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꽃과 자연 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움직임이 있는 의자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자전거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을 기획, 실험하였다. 즉 아이들이 주로 타고 다니는 일상의 자전거나 사물들을 끌어내 초등미술에 활용하고 아이들이 도 자재료를 이용한 디자인 수업을 통해 다양한 시각과 생각을 발휘하게 하였다. 더불어 공간을 활용한 공예 디자 인 교육을 위하여 하늘을 이용한 연출방법과 공간감각을 이용한 연출방법을 기획, 실험하였다. 그리하여 다음의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미술수업에서 조형이란 재료의 구성과 성질에 따 라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다양한 유형, 무형의 자료로서 움직임의 입체기법을 초등미술수업에 도입시 키는 프로그램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변에서 자주 접하는 사물과 환경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상상력, 움직임의 감각과 능력을 초등미술수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험은 다양한 미술확장과 소재, 공 예기법을 통하여 재미와 흥미를 가져다주는 디자인과 도자공예 초등미술수업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우리는 자전거와 같은 한 가지의 형태를 가지고도 다양한 장식과 배경을 펼쳐 변화 있는 수업을 연출하고 학습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thesis studies designs and curriculums of ceramics to use the idea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nvironment around us in elementary school design and craft practice classes.

The study aims to search the design craft class leading the elementary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and positively, test art and ceramics materials, and create art works with composite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his, the ways to plan a design using the surrounding things, a design using animals, a design using flowers and nature, a design using moving chairs and a design using bicycles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In other words, I brought out bikes that children usually ride and things in their everyday lives, and applied them to art in elementary schools, making students exert their various thoughts and perspectives through the art class using ceramics materials. In addition, a directing method using sky and space sense was planned and implemented for craft design education utilizing space. The research results in several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moulding can vary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nature of the material in the elementary art class using ceramics material. Second, the program introducing the stereoscopic technique of movement as diverse tangible and intangible materials is required in elementary art classes. Third, we need to reflect the students’ imagination, sense of motion, and ability in the art lesson of elementary school, making use of objects and environment they often face around. Thus, this experiment opened the possibility of design and ceramics craft elementary art classes that create fun and interest via various art expansions, materials, and craft techniques. In this way, we can create a variety of decorations and backgrounds with a single form like a bicycle, producing changeable different lessons and drawing learning effects.

중심어

복합재료 도자 초등공예 디자인 설계

ABSTRACT Keyword

composite materials ceramic

elementary craft class design plan

(3)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초등디자인 공예 수업에서 초등학생 대상 공예수업을 유익하고 활동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도자재료를 활용하여 취할 수 있는 여러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본 실험논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사물들을 활용해서 시도할 수 있는 초등 디자인 및 공예 실기수업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초등학생들에게 친근한 도자재료를 활용해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수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크게 두 가지로 접근해 보았다. 먼저 초등 예비교사들 이 초등 도자재료 및 액세서리(accessory), 미술재료 등의 복합재료를 활용해 디자인 설계를 해 보도록 하였다. 복합적 재료를 활용한 공예 디자인은 초등학생들이 주변에서 자주 접하는 사물과 환경을 탐색해보고 이를 디자인에 활용해 보게 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 방식은 초등학 생들의 눈에 비치는 사물과 환경에 기반 하여 학생들이 상상력을 발휘하게 돕고 움직임의 감각 을 신장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다양한 도자재료와 아이디어 창출에 관심이 많은 초등 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하고 필요한 활동이다. 그리고 자전거나 의자, 꽃, 자연과 관련된 주제 와 관련하여 도자재료를 융합하여 디자인을 설계하고 이를 제작해 봄으로써 다양한 색채감과 공감능력을 기를 수 있는 잇 점이 있다. 복합적 재료 활용을 통한 디자인 실기 교육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주변을 이용한 디자인설계, 둘째, 동물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셋째, 꽃과 자연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넷째, 움직임이 있는 의자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다섯째, 자전거 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을 기획, 실험하였다. 다음으로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 디자인 실기수업을 위하여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공간을 활용하도록 조력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공간을 활용한 공예 디자인 교육은 초등학생들이 창안한 아이디어가 주변의 환경에 적극적으 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체득하게 하는 활동이다. 이 방식은 학생들의 작품이 환경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공예실기수업의 방식을 다양하게 확장해 나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 다. 공간을 활용한 공예 디자인 교육을 위하여 첫째, 하늘을 이용한 연출방법과 둘째, 공간감각 을 이용한 연출방법을 기획, 실험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미술 디자인 수업을 다양하게 접근해 봄으로써 교수 방법을 확장하였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생들이 좋아하는 자전거와 동물 등을 가지고 수업에 활용하였을 때 어떠한 교육적 영향과 효과가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2. 연구의 방법

본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수업> 실험연구를 위하여 G 교육대학교 X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80여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같이 연구대상으로 택한 이유는 이것은 초등학생들의 발달단계나 욕구, 흥미, 학습동기 요인 등에 대해 지난 X년 간 수학하고, 또 X달간의 교생실습을 통해 이론적으로 배운 내용을 실제 교육현장에서 확인함으 로써 초등학생들의 삶과 밀접한 디자인 공예 실기 수업의 필요성이나 실제적 교수방안의 필요 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밟았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도자재료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둘째, 이 요소들을 토대로 <복합적 도자재 료를 활용한 디자인 설계> 와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설계>의 교육 원리를 도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복합적 도자재료를 활용한 디자인 설계>를 위해 주변을 이용 한 디자인설계, 동물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꽃과 자연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움직임이 있는 의자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자전거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을 전개 실험 하였다. 그리고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설계> 원리를 위하여 하늘을 이용한 연출방법과 공간 감각을 이용한 연출방법을 디자인하였다. 셋째, G 교육대학교 <디자인과 공예실기> 수업에 참여한 초등 예비교사 80여명을 대상으로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프로그 램을 실시하고 사후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 예비교사들로부터 회수한 설문지 를 토대로 적용한 프로그램의 결과를 분석하고 교육적 효과에 대해 성찰해 보았다.

(4)

2. 초등학교 공예실기수업을 위한 복합재료 전개방법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실기수업을 위해 복합재료 전개방법을 취하고 주변 환경, 동물모양, 꽃과 자연, 움직임이 설정된 의자, 아이들 자전거 등을 이용하여 수업을 전개, 실험 해 보았다. 그리고 재료 분석한 보조재, 흙을 이용한 장신구등을 이와 같은 사물에 접목시킴으 로써 초등미술교육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아이들이 상상하는 주위의 사물들을 조사하고 차 용하여 수업프로그램을 완성하고자 복합재료전개방법을 실험하였다.

2.1. 주변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그림 1>

위의 <그림 1>은 본 주제인 주변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에 들어가기 전에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행한 기초 작업이다. 학생들은 자신을 둘러싼 주변을 생각하는 대로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요청받았다. 그리고 입체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대상을 평면에 대고 그리게 되었다. 움직임이 있는 동물이나 자연과 관련된 사물들을 고무판을 밑에다 고정시키고 그렸는데 기본 형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대상을 다양하게 접근하고 갈기갈기 찢어가며 디자인하게 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그림 1>과 같이 두꺼운 종이에 사물의 외곽형태 가 역동적으로 마치 물결처럼 처리된 작품이 탄생하였다.

<그림 2>

<그림 3>

<그림 2>는 얇은 고무판 위에 크고 작은 물고기와 꽃을 기초 드로잉 한 후에 드로잉 형태대로 가위로 절단한 후 이를 입체화 시키고 연결한 작업이다. <그림 3>은 <그림 2>에서 구성한 물고기 비늘 드로잉 작업들을 확대시켜 색상을 입히고 절단한 작업이다. 실제 드로잉보다 부분

(5)

부분을 더욱 확대시키거나 색감을 입혀 실재로 입체작업을 할 때보다 더 다양한 청량감이 구성 되도록 유도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 작업은 확대 축소를 통해 짜임새를 가지는 패턴을 만들 어내게 하는 단계의 작업으로서 실기작업 이후 패턴과 패턴을 연결하여 완성시켜 보게 하였다.

2.2. 동물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아래의 <그림 4>와 <그림 5>는 초등학생들이 좋아하는 동물 형태를 이용한 작업들이다.

이 작품들은 동물 형태 중에서도 공룡과 호랑이의 움직임을 자세히 살피고 관찰하여 형상을 묘사하여 제작하였다. 두꺼운 종이에 매우 작은 도자 액세서리나 보조재 장식을 붙여 완성하였 고 공룡의 동적인 움직임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 설계하도록 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다.

초등 예비교사들은 <그림 4>처럼 학교근처의 화단을 이용하고 공룡주변의 또 다른 물체들을 고정시켜 환경과 어울리도록 즐겁게 연출하였다. <그림 5>는 나무에 공룡을 화려하게 장식하 여 세로로 고착시켜 <그림 4>와는 또 다른 연출을 시도한 작품이다. 입체기법의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세로로 매달아 보았다. 연구자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표현 감각 기능을 주변과 조화될 수 있도록 실험하고, 대상의 위치를 변화감 있게 배치해 보면서 디자인 능력을 창의적으로 신장 하도록 돕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림 4> <그림 5> <그림 6>

위의 <그림 6>은 화단의 분수대와 물을 이용하여 작품을 조각하고 연출한 작업으로서 돌이나 풀잎 등을 돋보이게 하고 이를 조각내어 장식화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제작자는 공룡의 움 직임을 물가의 색상과 조화롭게 표현되도록 푸른 계열로 연출하였고, 공룡의 다리부분과 발바 닥 부분을 달리 색상처리 하여 생동감과 동적 운동감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그림 6>은 다채로운 연출을 위해서 물가를 이용해 작업한 학생의 공룡 조각 작품이다. 초등미술수업에서 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고 확장된 초등 디자인 능력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림 7> <그림 8> <그림 9>

<그림 7>은 우주행성을 바라보고 따라가는 공룡의 극적인 움직임을 표현한 작품이다. 그림과 사진을 이용했고 밑바닥은 모래나 잡 토를 미세한 도자파편을 이용하여 표현.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만들어낸 동물은 공룡의 여러 가지 포맷 중에서 시선처리와 발의 움직임을 더욱 동적

(6)

으로 처리하고 있다. 공룡의 피부가죽 처리를 위해 도자방울을 이용하였고 일회용 도자물감처 리로 마감을 하였다. <그림 8>과 <그림 9>의 작품을 실기수업시간에 실험하면서 초등학교 미술 수업시간에서 조형과 형태라는 것은 재질의 구성과 특성에 따라 관념을 추이 할 수 있 1)는 연관성을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그림 7>과 <그림 9>는 초등 조형 디자인수업의 일환으로 행성의 움직임과 도시를 향하는 공룡의 움직임을 대비하여 조형적인 변화와 관계를 고려하여 만든 초등 미술수업 실험 작업이다.

<그림 10> <그림 11>

<그림 10>의 경우는 색상을 입히지 않고 복도의 비상구를 달려가는 공룡의 움직임을 표현한 작품이다. 동선을 따라 급히 달려가는 움직임을 연출하고자 동물의 다리 사이즈가 다른 동물 작품에 비해서 큰 것이 특징적이다. 더불어 상체에 비해서 다리가 길고 중앙에 위치한 연출 을 보였다. 그리고 그림자 처리를 이용하여 더욱 사실적으로 뛰는 모습을 연출하고자 하였 다. <그림 11>의 작업은 공룡이 뛰어가서 결국 도자기로 만든 열매를 따먹는 실험 작업으로 공룡의 무채색과 도자기 열매의 빨강색을 잘 연출하고 달콤하게 느껴지도록 구성한 것이 특 징적이다.

2.3. 꽃과 자연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그림 12> <그림 13>

본 실험에서는 골판지와 도자재료를 이용하여 꽃을 구성하였다. <그림 12>와 <그림 13>은 꽃과 화분만을 이용하여 도자금칠을 칠해 묘사하도록 하였고 꽃이라는 사물을 확대와 축소해 보도록 하였다. 차후에 자연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꽃만을 이용해 재단하고 도자 흙점을 꽃 속에 달아 구성해 본 단계적인 작업이다.

1)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미술 3,4』. 서울: 교학사, 2009, p.69.

(7)

<그림 14> <그림 15> <그림 16>

<그림 14>는 유채색으로 이루어진 화단 위를 날아다니는 공예품을 표현한 작품이다. <그림 15>는 차후 만들어질 의자와 자전거작업을 대비하여 화분을 여러 각도로 고무판에 그려보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림 16>은 자연과 효과적으로 상생하는 사물들을 묘사하는 것으로 나비 모양을 만들어 구성하는 작업이다. <그림 14>, <그림 15>, <그림 16>처럼 초등 공예수업 을 위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재료에 대해 탐색하고 연구하여 디자인 수업 방법을 다채롭게 확장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보다 큰 의미로 초등 디자인 기법이 시각부분으로 보편화되는 초등 미술수업이 되도록 프로그램 실험이 활발히 연구되어야 한다.2)

2.4. 움직임이 있는 의자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아래의 작품들은 팀 티칭 수업을 통해 이루어낸 작품들로 움직임이 있는 다양한 의자들과 도자 장식 액세서리(accessory) 및 종이를 이용하였다. 의자와 재료 및 환경을 이용하여 사찰의 절의 배치와 같은 가람의 배치를 유도한 것이다. 의자의 움직임과 도자장식 구성들은 초등수업에 새로 운 활력소와 즐거움을 가져다준다. 단순히 장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활동적이고 동적이기 때문이 다. 이를 통해 환경을 이용한 초등미술 디자인수업의 좋은 방안이 된다.3) 의자에 앉은 다양한 사람형태 모습들은 다리모양과 움직임을 통해 운동감을 살리는데 초점을 둔 실험방법을 보여준다.

<그림 17> <그림 18>

<그림 17>은 꽃의 모양을 응용한 도자 액세서리(accessory) 인형의 형태로서 장식성에 주의 를 기울여 완성한 작품이다. 주변 화단과 어울리도록 여인형태의 모습을 띠게 하였고 종이작업 안에 자그마한 도자 액세서리(accessory)를 이용하여 옷을 만들고 꽃을 얼굴에 입혔다.

여성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얼굴 형태는 꽃을 추상화하여 도자기 파편들을 이용해서 가미 하였다. 이와 같은 환경을 이용한 도자작업과 공예실기작업들은 다양한 장식성과 환경을 요구 하면서 초등수업으로 확장 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파악 할 수 있었다.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미술 3,4』. 서울: 교학사, 2010, p.85.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미술 5,6』. 서울: 천재교육, 2010, p.112.

(8)

<그림 19> <그림 20>

<그림 19>는 줄무늬 티셔츠를 입은 사람 형태에 도자 액세서리(accessory) 안경을 청자토를 이용하여 씌우고, 인물의 다리를 크게 올려 동적인 움직임을 극대화하도록 디자인 한 작품이 다. <그림 20>은 가상공간 화면에 <그림 19>의 사람형태를 배치하여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 한 작품이다. 초현실주의적인 환상을 도입하기 위하여 물고기가 떠다니고 비행선이 떠다니도 록 사물들을 묘사하였다. 이 작품은 초등미술 공예실기 수업을 통해 다양한 표현을 융·복합적 으로 발휘한 작품이라 하겠다.

2.5. 자전거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본 초등미술 수업은 자전거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에 도자 장신구를 가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자전거를 묘사하고 여기에 맞춰서 도자소품을 매달아 붙여 가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일상적으로 타고 다니며 즐기는 아이들의 자전거를 차용하여 수업으 로 이끌어 낸 점이 특징적이다. 자전거는 초등학생들이 공예실기수업으로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소재이다. 도자재료를 매달아가는 연출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갖고 창의적인 초등미술 디자인 및 공예 수업을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하는 유익한 수업방법이다.

<그림 21> <그림 22> <그림 23>

<그림 21>은 화단 색에 맞춘 자전거 장식에 한복을 입은 사람의 형태를 가미해 조형미를 부여 했다. <그림 22>는 철쭉을 이용하고, 파란색의 옷으로 화사한 배치를 유도했으며 자전거 휠에 도자장식의 작업을 구사했다. <그림 23>은 무한한 공간에 도자물감을 입힌 자전거를 배치하 고 배경 공간에 반짝이는 금분을 칠한 작업이다. 이 작품은 공간속을 날아가는 소년을 형상화한 작품으로서 공상적인 방법을 취하였다. 이 수업은 각 형태의 작품이 완성되고 주변 환경과 연결 되면 마치 자전거가 장소를 무한대로 옮겨가는 느낌을 연출하는데 강조점을 두었다.

(9)

<그림 24>

<그림 24>는 평범한 공간구조에서 미세도자 장신구를 수없이 자전거 타이어에 부착시켜 봄 으로써 장식성을 표현한 실험방법이다. 이처럼 한 사물에 공격적으로 도자 장신구를 달아 표현 하는 설치방법들은 특수한 상황과 연결되어 색다른 정서와 감상기법을 연출하게 된다.4)

3. 공간을 활용한 초등 공예디자인 수업 3.1. 하늘을 이용한 연출방법

아래 <그림 25>와 <그림 26>은 하늘을 배경으로 바닷가와 나무 가지에 행글라이더가 얹혀 있는 형태이다. <그림 26>은 나무에 걸린 행글라이더 모습을 연출하고 행글라이더 위에는 또 다른 색상의 형태와 연출로 또 다른 감정을 가미시켜가는 초등수업의 연속성을 보였다.

<그림 25>와 <그림 26>와 같은 바닷가와 나무 등을 이용한 묘사와 배치는 초등미술수업으 로서 구성능력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더불어 블루오션의 창의성개발에 필요한 실험수업이다.

여기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공예 및 디자인 수업을 할 때 어린 학생들 이 복합재료를 활용하고 다양한 사물의 형태를 공간에 배치하며 매우 작은 크기의 도자 장신구 들을 활용해 보게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초등 예비교사의 편에서 보았을 때 본 활동은 초등 미술실기 수업의 확장된 모습을 실험하는 기회가 되었다. 다양한 각도의 꽃, 자연, 공룡, 자전 거들과 주변의 색다른 배경들을 수업에 적용해 보았고 다양한 환경적인 묘미를 찾고자 하였다.

중요한 것은 이를 통해 사물이 가람의 위치와 배경에 따라 도자 장신구의 표현도 다양하게 변화 된다는 것을 초등 예비교사들이 느낄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수업방식의 전개 방식도 여러 가지로 진행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수업에서의 움직임이 있는 활용수업은 계속 해서 초등미술에서 실험되어 초등수업의 다양성을 보장 받아야 한다.

<그림 25> <그림 26>

3.2. 공간감각을 이용한 연출방법

초등미술수업에서 자전거나 행글라이더는 주어진 환경 속에서 움직임을 준다. 그리고 도자 장신구는 학생들이 나름의 공간감각과 공간 구성력을 신장하는 데 있어 필요하다. 다양한 배경 과 구조 속에서 미술실기의 프로그램 변화 및 사물의 움직임을 훈련시켜나가는 수업이 지향되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미술 5,6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2010, p.44.

(10)

어야 한다. 이와 같은 미술실기방법을 지향하여 색다른 공예실기수업방법으로 유도하고 발전 시켜 나가는데 공간을 이용한 프로그램 공예미술수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화면의 어디를 강조할 것인가의 구성능력과 작품을 만드는 학생의 조율과 기능의 역할이 필요하다.

<그림 27> <그림 28> <그림 29>

<그림 27>, <그림 28>, <그림 29>는 공룡이 움직이는 정원 속에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작업들이다. 공룡의 얼굴 형태를 도자물감과 도자알맹이로 연출하였고 자전거 타이어를 도자 파편으로 연출하였다. <그림 29>는 환경디자인 안에서 정원 속을 엉금엄금 걸어가는 공룡의 형태를 구성한 작품이다. 본 초등 미술공예 실기수업을 통해 공룡을 연속적으로 변화시켜가며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4.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디자인과 공예실기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 아이 디어들을 주변의 환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성장시키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시도 되었다. 이를 위해 공예수업을 위한 복합전개방법에 있어서 주변을 이용한 디자인설계, 동물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꽃과 자연을 이용한 디자인 설계, 움직임이 있는 의자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자전거를 이용한 디자인 설계 방법 등으로 본 연구를 전개 실험 하였다. 더불어 공간을 활용한 초등 공예디자인 수업과 관련하여 하늘을 이용한 연출방법과 공간감각을 이용한 연출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물, 공룡, 꽃, 의자, 자전거 등 아이들이 주로 활용하는 사물들을 미술수업에서 활용하였다. 미술 수업을 진행하면서 프레임 안에 다양한 환경을 연출하고 도자 재료와 장신구들을 이용하여 사물을 바라보고 따라가도록 실험하였고 더욱 극적으로 움직임 이 생기는 작업들을 묘사해가며 초등 공예실기수업을 활동적으로 처리하였다.

화면은 그림과 사진을 이용했고 사람의 형태나 미세한 도자파편을 이용하여 표현을 구성하였 다. 그리하여 학생들은 여러 가지 포맷으로 동물들의 얼굴인상과 시선처리를 특징적으로 표현 하였고 발의 움직임을 더욱 동적으로 처리해가며 도자장식을 활용한 움직임 표현을 개성 있게 표현해 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자재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공예디자인 실기 수업을 계획, 실험하면서 초등학교 미술수업에서 조형과 형태라는 것은 재료의 집합과 특성에 따라 유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양한 유형, 무형의 자료를 끌어내어 움직임 이 통용되는 입체기법의 다양성을 초등수업에 도입시키는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효과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초등 공예실기수업에서 표현된 감각 기능을 연속적으로 주변과 어울리도록 위치 변화를 주어가며 실험하면서 디자인 능력을 창의적으로 키우는데 흥미를 갖고 있고 잠재적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주변에서 자주 접하는 사물과 환경을 활용하여 아이들의 상상력. 움직임의 감각. 능력을 초등 수업에 반영하고 전개 할 필요성을 느꼈다. 본 논문에서 자전거 및 다양한 사물을 초등미술에 활용함으로써 아이들이 디자인 수업을 통해 다양한 시각과 생각을 발휘하도록 도운 것처럼 초등학교 현장에서 아이들 과 관련된 사물을 주제중심 수업으로 진행한다면 초등학생들이 지닌 다양한 색채감과 공간

(11)

능력을 표현해 볼 수 있도록 조력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실험을 통해서 다양한 미술확장과 소재, 그리고 공예기법을 통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해가며 초등미술실기 수 업으로서 연출 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재미와 흥미를 가져다주는 도자 프로그램, 공예 수업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교육분야에서 계속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를테면 자전거와 같은 한 가지의 형태를 가지고도 다양한 장식과 배경을 펼쳐 다양한 수업프로그램을 연출할 수 있고 초등미술실기 수업으로서 다양한 학습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미술 3,4』. 서울: 교학사, 2009.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미술 3,4』. 서울: 교학사, 201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미술 5,6』. 서울: 천재교육, 201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미술 5,6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2016.

(12)

참조

관련 문서

생각열기 표에서, 만나는 세 수의 계산에 따른 패턴 알아보기.. 생각펼치기 나눗셈 나머지에서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로봇 디자인. 재활

• 디자인 의뢰가 들어오면 시장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취향과 욕구 , 유행흐름 을 분석하고 디자인 동향을 파악하여 ,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기술동향 ,

바이오 아트 키트를 이용한 멋진 뉴런 작품 설계. • 바이오 아트

위에서 제시한 기능과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내가 원하는 형태의 플랜스틱을 디자인 해보고 그렇게 디자인 한 이유를

디자인 자를 이용해 나만의 꽃 문양 보석을 디자인해 봅시다.. 디자인 자로 만든 꽃 문양 보석을 다음의 과정으로 선생님의

또한 기름과 물이 혼합되지 않는 원리를 활용한 여러 가지 미술 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다양한 기법 중 생활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한국의 상징 소나무가 사라지게 된다면 우리에게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소나무의 역할을 생각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