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급 지향적 대중문화와 패션의 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B급 지향적 대중문화와 패션의 특성"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20.08.10 심사기간_2020.09.01-14 게재확정일_2020.09.24

B급 지향적 대중문화와 패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and Fashion towards B-list

허은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 한희정(교신저자), 계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Hur, Eunjoo_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

Han, Heejung(Corresponding author)_Fashion design, Keimyung University

차례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B급의 개념 2.2. B급 문화의 특성

2.3. B급 대중문화의 확산 배경 2.3.1. 소비주체의 변화 2.3.2. 매체의 다변화

3. B급 지향적 대중문화의 특성 3.1. 촌스러움이 부각된 복고 3.2. 맥락없는 패러디의 재생산

3.3. 이종적 결합과 새로운 기준: 탈장르화 3.4. 부자연스러움의 과장

3.5. 언어유희

4. 대중문화의 B급 특성이 반영된 패션 분석 4.1. 과장된 촌스러움의 복고

4.2. 패러디적 요소의 적용 4.3. 이종적, 이질적 요소의 융합 4.4. 부자연스러운 과장

4.5. 유희적 언어의 시각적 표현 4. 결론

참고문헌

(2)

B급 지향적 대중문화와 패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and Fashion towards B-list

허은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 한희정(교신저자), 계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Hur, Eunjoo_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

Han, Heejung(Corresponding author)_Fashion design, Keimyung University

요약

중심어 B급 문화 B급 대중문화 B급 패션 패션컬렉션

본 연구는 현재 큰 주류를 이루고 있는 B급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B급 특성이 반영된 패션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학술논문과 단행본 등 문헌연구와 주요 포털사이트 통한 인터넷 자료조사와 SNS 홍보물도 연구대상으로 포함하였다. 패션컬렉션은 글로벌 패션사이트 WGSN, 삼성 디자인넷을 바탕으로 2015년 F/W부터 2019 F/W까지 5년간 세계 4대 컬렉션에 발표된 작품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로 B급 특성의 패션은 촌스러움과 천박함이 부각된 복고, 맥락없는 패러디의 재생산, 탈권위적 융합, 부자연스러운 과장, 유희적 언어의 시각화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과 장된 촌스러움의 복고는 1980~90년대 패션의 재해석으로 복고적인 스타일을 현대적 스타일로 표현 하나 과장된 실루엣과 강한 컬러로 의도적으로 촌스러운 스타일로 나타났다. 둘째, 패러디적 요소의 적용은 특정 소재나 브랜드의 아이템 또는 로고를 패션으로 옮겨와 패러디되고, 재해석되어 눈속임 기 법을 통한 착시현상을 일으켜 변형되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이종적, 이질적 요소의 융합은 다 차원적으로 관습과 규범, 성 역할 등 서로 다른 문화의 융합으로 스트리트 브랜드의 과감한 컬러와 그 래픽 프린트, 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색상과 패턴을 통해 재탄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부자연스 러운 과장은 부자연스러운 실루엣을 통한 부피의 확장과 과도한 장식의 사용을 나타내며, 이는 고착화 된 디자인을 희화한 것으로 실험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다섯째, 유희적 언어의 시각적 표현은 다양 한 시각적 언어의 변형을 통해 언어적 유희로 위트와 재미를 제공하며 다소 지루해질 수 있는 패션에 그 시대의 이슈와 디자이너의 정체성을 풍자적이고 재치있게 표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 는 B급 대중문화와 패션의 특성을 분석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특성과 이에 부합하는 패션경향을 분석,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패션컬렉션을 중심 으로, 후속연구로 일반 소비자 대상의 B급 패션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Keyword b-list culture

b-list popular culture b-list fashion fashion collec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ashion characteristics reflecting B-list popular cultural background. Literature review and online research with major web portals and SNS materials were conducted as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of fashion collections was based on top four fashion collections from 2015 F/W season to 2019 F/W on the global fashion web-site WGSN and Samsungdesignnet. The fashion characteristics toward B-list i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e emphasized old-fashioned retro styles, application of parodiable elements, convergence of disparate elements, strained exaggeration, and visualization of paronomasia. First, the emphasized old-fashioned retro styles are understood as a reinterpretation of fashion trends of 80s-90s, which mixed retro into contemporary styles, however expressed intentionally old-fashioned styles with exaggerated silhouettes and funky colors. Second, items or logos of certain materials or brands are parodied in fashion clothing, and humorously transformed. Third, convergence of disparate elements shows multidimensional changes of customs, norms, and gender roles, and its fashion styles express street brands’ features, and genderless colors and patterns. Forth, the strained exaggeration shows extended volume, excessive decoration and unusual materials, which can be experimental expression to make a satire and travesty of traditional fashion trends. Fifth, the visualization of paronomasia offers fun and pleasure through visual wordplay, which is an attempt to satirically and wittily reflects current issues and the designers’ identity in clothing. This research is a cornerstone to analysis and forecast the fashion trend connecting to rapidly changing sociocultural features.

이 논문은 허은주(2019)의 석사학위논문을 재정리한 것임.

(3)

1. 서론

패션은 시대적 상황과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개인과 집단의 가치관, 이념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그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오늘날의 패션 에서는 개인의 개성 표현이 보다 중요해졌으며 그 표현방식은 다양하게 진화되고 있다. 현재 패션산업에서 새로운 트렌드는 시대적 변화와 그에 따른 사회문화적 배경, 그리고 정보통신기 술의 발달을 바탕으로 더욱 빠르고 큰 확산력을 지니게 되었다. 인터넷과 모바일의 발달로 생겨 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개개인의 패션 콘텐츠가 하나의 문화를 이루게 되었 고, 비주류였던 젊은 층의 문화가 주류문화로 성장하고 있다.

새로움과 재미를 추구하는 오늘날 현대인들의 성향을 반영한 패션은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개인의 개성과 정체성 확립, 확고한 개인적 취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과 문화를 형성하고 있으며, 획일성과 보편성을 뛰어 넘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도들은 새로운 주류사회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문화의 변화 는 2000년을 중심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2000년 이전의 사회문화는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 문화인 반면 2000년 이후는 가벼움과 재미, 비주류를 지향하는 것으로 새롭게 재정립되어 확산 되고 있다. 특히, 현대의 포괄적 개념의 B급은 젊은 세대의 문화를 표현하는 하나의 새로운 특성으로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기준(Kim et al., 2012)으로 국내외적으로 강력한 사회문화 현상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B급에 대한 관심과 함께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B급의 특성에 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B급 취향으로 분류되던 비주류 문화는 맥락없 이 대담하게 뒤섞이지만 고유의 개성은 잃지 않으며 그들만의 방식으로 유희적으로 표현하고 과거의 촌스러움은 현재의 트렌드가 되고 비주류로 취급 되던 젊은 세대의 문화가 과감하고 이색적으로 표현되며 또 다른 문화를 양성해내고 있다.

2000년 이후 시대의 주류문화를 뒤흔들고 있는 문화와 패션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21세기만의 새로운 문화의 특성보다 2000년대 이전의 문화를 중심으로 연구 (Kwon, 2003; Yang, 2002; Yoon, 2003; Lim, 2002)되고 있다. 그리고 B급 패션과의 연계성 에 대한 연구(Sung & Jeon, 2017; Lee, 2017)가 있으나 광고, 영화, 음악과 같은 다양한 대중 문화를 중심으로 패션에 나타나는 B급 감성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는 한정적이다. 특히, 패션과 문화 자체가 서로 상호소통을 통해 변화와 영향을 주고받고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회문화에 큰 영향력을 미치며 새롭게 재해석 되고 있는 B급 지향 적 문화와 B급 감성이 반영된 패션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학술논문과 국내외 단행본을 통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도출 하였고, 국내외 주요 포털 사이트와 SNS를 통해 B급 관련 키워드로 인터넷 자료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B급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표현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초로 B급 특성이 반영된 패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범위로는 B급이 확산된 2012년(Kim et al., 2011) 을 기준으로 WGSN(Worth Global Style Network), 삼성디자인넷(samsungdesign.net)을 통 해 2015년 F/W 이후 패션에서 부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2015년 F/W부터 2019년 F/W까지 최근 5년간 세계 4대 컬렉션인 런던, 밀라노, 파리, 뉴욕 컬렉션 사진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컬렉션에 나타난 B급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도출된 패션 이미지는 644개이 며, 선정기준은 글로벌 패션 전문 매거진 GQ, VOGUE, ELLE, BAZAR, 패션사이트 WGSN, 뉴욕타임스 패션 칼럼, 디자이너 관련 저서 등에 실린 평론가의 기사 및 디자이너의 인터뷰 내용을 근거로 컬렉션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B급의 개념

B급은 현대 사회문화에서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여러 분야에서 이슈화 되고 있으며 새롭게 재창조되고 있는 단어로서 다양한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B급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4)

시작된 미국 대공황 이후, 영화 산업에도 불황의 조짐이 가시화되자 미국 주요 영화사들은 관객 들의 수요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의 일환으로 한편의 관람료로 A 무비와 B 무비 두 편의 영화를 보여주었다(Cho & Ahn, 2015). 이때, 본 영화 A 무비에 끼워 팔기용으로 제작된 저예산 영화 를 ‘B 무비’라고 하며(Kim et al., 2012), 이것이 한국에서는 B급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이에 B급 영화는 무명 배우를 캐스팅하여 짧은 시간에 적은 예산으로 제작한 영화로 대량 생산 되는 공산품처럼 규정된 공식대로 만든 이야기, 전형적인 주제와 어설프고 허술한 영상 표현, 비논리적인 스토리 구성이라는 특징을 가졌다(Lee, 2013). 할리우드에서 B 무비로 분류되었 던 영화들이 국내에 유입되는 과정에 B 무비라는 수식어가 그대로 사용되면서 B급 영화로 번역 하여 게시되었고, 당시 신예 감독들이 제작한 실험적인 영화를 두고 B급 이라는 수식어를 사용 함으로서 B급이라는 표현과 의미에 대해 공유된 범주를 형성해 간 것으로 보인다(Cho & Ahn, 2015).

이렇듯 영화에서 시작된 B급의 개념이 문화적으로 확산되어 뮤직비디오, 광고, 음악, 패션에서 다양한 개념으로 나타난다. 이로써 오늘날의 B급은 기존의 B 무비 특성의 상당 부분이 사라지 게 되었고, A 무비와 우열을 가르는 경쟁 관계가 아닌 B급 특유의 독자적인 스타일을 추구하는 하나의 장르로 인정받고 있다.

2.2. B급 문화의 특성

B급 문화는 여러 개념을 바탕으로 생성되었고 현재는 대중문화에서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 고 있다. B급 본래의 의미에서 확장되어 나타나는 하나의 사회 문화적 현상으로 하위 집단의 가치관과 생활방식을 기반으로 주류 사회에 대하여 비판과 풍자를 표현하며 하나의 장르로 각광받고 있다(Lee et al., 2017). 이러한 B급 문화의 가장 큰 특징 하나는 주류 문화와 달리 쾌락과 유희를 추구하는 마니아적 성향을 가진 문화로서 현재 여러 분야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재미있고 자극적인 콘텐츠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소비자가 늘 어남에 따라 B급 문화의 수요는 증가하였으며, 과거 B급의 마니아 성향으로 취급받던 덕후, 오타쿠 문화는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현재는 새로운 이미지의 B급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사회가 다원화되면서 문화적 다양성을 받아들이고 각자 개인의 개성을 추구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주류 문화보다 비주류 문화를 더 선호하고 자신의 취향을 드러낼 수 있는 능동적인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위와 같이 B급 문화는 주류 문화가 아닌 비주류 문화를 배경으로 발생하여 주류사회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하며 과거의 저급한 문화로 인식했던 것과 다르게 현재는 다문화 시대에 나타나 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며 하나의 장르가 되었다. B급과 A급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주류와 비주 류의 경계 또한 모호해지면서 현재 B급은 일탈과 유희의 문화가 더해지면서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으며, 주류 문화와 비주류 문화의 혼재가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3. B급 대중문화의 확산 배경 2.3.1. 소비주체의 변화

현대 사회문화는 밀레니얼(Millennials) 세대와 Z 세대 중심으로 사회적인 변화와 문화의 흐름 이 주체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비주류 문화로 불리면서 일탈과 유희의 문화가 특징인 B급 문화가 대중문화로 자리 잡게 된 배경에는 주요 소비층인 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의 성장이라 고 볼 수 있으며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의 주 활동 계층인 밀레니얼 세대는 주요 소비 계층으로 떠오르면서 정부와 기업 및 사회 전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출생 시기가 조금씩 다르지만 밀레니얼 세대란 1980년부 터 2000년 사이에 태어난 이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닐 하우(Neil Howe)와 윌리엄 스트라우스 (William Strauss)가 1991년에 출간한 저서 「Generations: The History of America’s Future」

에서 처음 사용되었다(Shin & Lee, 2018). 밀레니얼 세대는 전 세대인 X 세대에 비해 개인적 이며 SNS에 익숙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린 시절부터 디지털 환경에서 성장해 아날로그에

(5)

대한 경험이 많이 없고 개방적인 미디어 수용성을 보이며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토대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와 연계돼서 Z 세대는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으로 2000년 대 초반 정보기술(IT) 발달과 함께 유년 시절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세대답게 새로운 기술 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소비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Choi, 2015). 세계 최대의 인터넷 검색 서비스 Google에서 Z 세대는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세대부 터, 2000년대 후반, 2010년대 초반까지 출생한 세대를 뜻하며,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를 이끌 주역으로 부상한 밀레니얼 세대를 잇는 세대라 할 수 있다. 이 두 세대가 주요 소비주체로 확산 되고 트렌드의 주체가 되면서 새로움과 재미를 추구하고 다양성을 중시하는 이전의 세대와 다른 특성의 소비경향을 나타나고 있다. 자신에 대한 사랑과 행복이 매우 중요한 요소인 세대로 이러한 특성은 패션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로 2015년 구찌(Gucci)는 일반적인 명품의 특성과 다르게 디지털 기기에 능숙한 밀레니얼 세대를 주요 고객층으로 타겟팅하여 SNS를 통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오늘날 B급의 특성인 가벼움과 재미, 각자 개인의 개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세대임을 감안하여 DIY(Do It Yourself) 서비스로 상품에 자수, 이니셜 등을 원하는 대로 추가할 수 있는 마케팅을 통해 2017년부터 급격한 매출 상승을 겪었다.

이렇듯 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는 소비와 고용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 세대만이 가지는 특성을 파악하지 않고서는 변화하고 있는 사회문화의 흐름을 파악하기 힘들 것이다. 이와 같이 1020 젊은 층들의 영향력이 달라지고 있고 SNS의 발달과 새로운 B급 문화현상의 결합으로 다원화된 초문화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2.3.2. 매체의 다변화

현대 사회문화의 중심에 있는 밀레니얼 세대들은 디지털 문화와 함께 성장하여 인터넷, SNS,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해 디지털 문화를 적극적으로 소비하고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세대이다. 이들의 문화 속에서 B급 문화가 자리매김하고 대중문화의 확대에 가장 큰 역할은 모바일의 발달에 의한 콘텐츠 플랫폼의 다각화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SNS라 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와서는 SNS를 통해 비주류인 B급 문화를 공유하는 청소년들이나 패션 소비자들에 의해 디지털 문화가 형성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새로운 사회문화의 특성과 스타일의 표현이 상호 교류하여 감성적이고 감각적인 형태로 수용되고 있다(Kwon, 2008).

스마트폰과 SNS가 삶의 기반이 되어 모바일과 친숙해지면서 디지털을 활용하는 행태는 더욱 스마트해지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들은 개인의 경험과 취향을 바탕으로 진정성 있고 전문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을 믿고 팔로우(follow)한다. 이들이 주로 활동하는 플랫폼은 유튜브(Youtube) 와 인스타그램(Instagram)으로 유튜브의 경우 최근 1인 미디어가 인기를 끌면서 급부상한 플 랫폼이며, 인스타그램은 ‘#(해시태그)’를 통해 접근성을 높인 경우다. 이것은 과거 대중문화 확산의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던 매체인 TV의 시청 양상이 완전히 변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신의 취향을 바탕으로 타 계층의 문화를 자유로이 넘나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 유튜브와 SNS 같은 개인매체가 다각화 되고 활성화 되면서 특색 있는 개인의 취향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서 소수집단의 문화인 B급의 성향이 개인매체를 통해 확산되어 주류로 떠오 르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일반적인 대중매체인 음반, 영화, TV 등의 모든 정보가 디지털화되면 서 매체나 장르의 해체로 서로 다른 분야의 경계를 넘나들고 통합을 통해 이러한 특성의 B급 문화가 더욱 확산되고 공유하고 주류 문화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비주류로 취급 받던 B급 문화가 주류 문화로 성장하게 되고 B급 문화가 확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6)

3. B급 지향적 대중문화의 특성

현대 사회에서 B급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알려지면서 창의적인 대중문화로 재해석되고 있으며 현대의 핵심적인 B급의 특성은 B급 본래의 의미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과거 소수의 문화로 인식되었던 B급 콘텐츠가 매체의 다변화된 확산으로 대중들 사이에 빠르게 전파되어 B급은 A급을 능가하는 파급력을 지니고 있으며, B급으로 인식되었던 표현들이 현대에는 의도 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B급에 관련된 대중문화의 표현과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광고, 영화, 음악, 패션과 같은 대중문화에서 B급 성향이 파악되었다. 이들은 세부영역에 상관없이 일정방향으로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복고풍, 패러디, 탈권위의식(정형화 탈피, 탈장르), 고의적 저예산, 오버액션, 성적 코드, 말장난, 비호감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의해 도출된 B급 대중문화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 중 두드러지게 나타 나는 B급 지향적 대중문화의 특성으로 촌스러움이 부각된 복고, 맥락없는 패러디의 재생산, 이종적 결합과 새로운 기준: 탈장르화, 부자연스러움의 과장, 언어유희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저자명(연도) B급 대중문화의 표현과 특성 분야

Lee(2013) 촌티, 날티, 일탈, 유희 사회문화

Bang(2013) 저예산, 고효율, 장르적 영화

Kim(2016) 허세, 복고풍, 패러디, 말장난, 비호감, 오버액션, 고의적 저예산 연출, 탈권위의식, B급 예술 광고

Lim(2016) 비호감, 말장난, 패러디, 고의적 저예산 연출, 복고풍, 허세, 오버액션 광고

Lee(2017)

패러디, 오버액션, 퇴폐적, 복고, 반전, 유머 광고

유머, 성적코드, 오버액션, 액션, 반전 영화

코믹, 성적코드, 복고, 언어유희 음악

콜라보, 정형화 탈피, 재해석, 복고, 실험적 패션

Sung &

Jeon(2017)

고의적 저예산 연출, 복고풍, 비호감, 패러디, 말장난, 오버액션 광고

탈장르화, 키치, 패러디, 복고 영화

복고, 패러디, 오버액션 뮤직비디오

복고, 과장된 실루엣, 노출 패션

<Table 1> Express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list Popular Culture

3.1. 촌스러움이 부각된 복고

촌스러운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보다 과장되게 나타내는 복고스타일은 기성세대들의 과거에 대한 향수와 젊은 세대들의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롭고 독특한 문화를 제공한다. 복고를 동시대의 유행에 맞게 세련된 감각으로 새롭게 연출한 것과는 달리 지나간 복고스타일을 그 시대의 특성 으로 과장되게 표현함으로서 촌스러우면서도 또한 유머감각을 더해 나타내고 있다. 현재 사회 문화 속에서 B급 문화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B급 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복고 아이템들 이 인기를 끌고 있다. 어딘가 촌스럽고 황당한 유머 코드를 앞세우는 B급은 젊은 세대로부터 공감을 얻고 있으며 일상적인 광고에 지친 젊은 세대들이 유희적이고 자극적인 콘텐츠를 소비 하면서 B급은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소재로서 과거의 요소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현상으로 젊은 세대에겐 독특한 문화로 여겨지는 뉴트로(Newtro)가 트렌드로 급부상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영국 유명 패션디자이너 키코 코스타디노브(Kiko Kostadinov)는 동묘시장을 거니는 기존의 관점으로 다소 촌스러운 중년 아저씨들의 패션을 보고 자신의 SNS에 사진과 영상을 공유하며 ‘세계 최고의 거리, 스포티함과 캐주얼의 경계를 넘나드는 과감한 믹스 매치 정신’이라고 극찬하여 복고스타일을 새롭게 해석하는 관점을 제시하여 호응을 이끌었으며, 가 족이라는 주제의 복고적 분위기로 촌스러운 화질의 발렌시아가 2018 S/S 남성복 광고에서도

(7)

볼 수 있다. 또한 구찌도 2016 S/S 광고영상을 통해 1980~90년대 느낌의 촌스러움을 현대적 으로 재해석한 것을 볼 수 있다.

패션광고뿐만 아니라 대중음악에서도 나타나는데 개그맨 유세윤과 프로듀서 뮤지가 멤버인 남성 듀오 UV(유브이)는 복고풍 콘셉트를 바탕으로 1980년대 장발의 복고 스타일로 UV만의 독특하고 적나라한 가사가 인상적이다. 개그맨다운 코믹스러운 모습과 특유의 음악성과 독특 함 콘셉트로 B급의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영화나 드라마, 음악에서도 복고적 특징을 살펴보면 대표적인 예로 드라마 응답하라 1988과 영화 써니를 꼽을 수 있다. 이들은 1980년대 배경으로 그 당시 유행하였던 대중문화를 불러내 기성세대들에게는 향수를 자극하고, 현재 젊 은 세대들에게는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문화로 신선함을 안겨주었다. 복고에 대한 소비는 세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기성세대는 과거의 향수를 느끼고 추억을 소환하는 도구로 활용하며, 현재 젊은 세대들에게는 경험해보지 못한 문화로 새롭고 독특한 개성의 문화로 받아들이는 것을 볼 수 있다.

<Figure 1> Dongmyo Market Middle-aged Man

(www.instagram.com/

kikokostadinov/)

<Figure 2> Balenciaga 2018 S/S Advertising (www.fashionela.net)

<Figure 3> Gucci 2016 S/S Advertising (www.somewhere- magazine.com)

<Figure 4> UV Album Cover

(sports.hankooki.com)

<Figure 5> Drama Reply 1988 and Movie Sunny (movie.daum.net)

3.2. 맥락없는 패러디의 재생산

B급 특성이 표현되는 패러디는 영화, 광고 등을 중심으로 장르의 스토리에 연계되지 않고 맥락 없이 연출되어 기존의 질서나 가치관에 대한 재해석, 풍자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한 냉소와 저항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B급이 더해진 패러디는 소비자에 의해 검증된 바이럴 (viral) 콘텐츠를 어딘가 모르게 촌스럽고 저렴하게 패러디해서 원작의 바이럴 효과를 연장시 키는 방법을 이용한다(Kim, 2016).

패러디 광고를 살펴보면 발렌시아가가 매트릭스(Matrix)를 오마주(hommage)한 2019 여름 광고 필름을 공개했는데 매트릭스 패션을 과거로 회귀하는 현재의 패션 트렌드에 맞춰 나타냈 다. 국내 패션업계 신성통상은 티몬(Timon)과의 협업을 통해 지구방위대 파워레인저를 패러 디한 롱 패딩 웹 드라마를 만들었으며, 광고에서는 Kalenciaga는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 와 킴 카다시안(Kim Kardashian)의 K와 Balenciaga를 조합한 합성어로 발렌시아가 브랜드의 패러디를 담고 있다. 이렇듯 패러디는 단순히 눈속임에 그치지 않고 재미의 개념으로 재치 넘치 는 유희적 문화를 이끌었고,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운 분위기 속에서 심리적 여유를 찾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Figure 6> Balenciaga Ad (www.youtube.com)

<Figure 7> ShinnsungTongsang × Timon Ad (www.fashionbiz.co.kr)

<Figure 8> Balenciaga Ads (visla.kr)

(8)

3.3. 이종적 결합과 새로운 기준: 탈장르화

대중매체 속 나타나는 B급 특성 중 하나로 이종적 결합과 새로운 기준: 탈장르화는 주류문화의 비주류 문화 의도적 수용, 성 역할의 변화, 서로 다른 개념과 기준의 통합을 통한 정형화된 틀을 깨는 것으로 탈장르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먼저 주류문화의 의도적 비주류 수용을 살펴보 면 근엄하고 진중한 모습의 대기업과 보수적인 금융업에서 B급을 차용 한 광고를 볼 수 있다.

‘본격 LG를 빡치게 하는 노래’라는 제목의 LG생활건강의 광고로 광고주를 대놓고 비판하는 내용으로 대중들에게 신선함을 제공하였다. 패션계에서는 성 역할과 표현의 변화로는 배우인 빌리 포터(Billy Porter)가 오스카 시상식 레드카펫에 드레스를 입고 등장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최초의 성별파괴 베스트 드레서로 성 역할에 관한 일반적 고정관념과 편견을 버리고 다양 한 선택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면서 많은 변화를 통해 사회 인식이 점차 나아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사회문화적으로 편견 없이 다양성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

3.4. 부자연스러움의 과장

부자연스러움의 과장은 영화, 광고 등에서 진지함을 벗어난 과장적 표현으로 다양하게 나타나 고 있다. 필요 이상의 과장과 허세의 과장된 표현은 부자연스러운 상황으로 이어지면서 맥락 없는 어이없음으로 병맛 코드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병맛이란 어떤 대상이 맥락 없고 형편없으 며 어이없음을 새로 만들어 표현하는 언어로 나타난다.

이러한 B급을 대표하는 사례로 영화에서 킥 애스(Kick-Ass)시리즈, 데드풀(Deadpool)시리 즈, 킹스맨(Kingsman)시리즈가 있으며 이러한 영화들은 진지한 맥락에서 다소 황당하고 어이 없는 유머와 과장된 행동적 언어적 표현이 특징이다. 광고에서는 진지함과 배우 및 연출의 과장 된 표현으로 제작된 팔도 비락식혜 광고를 꼽을 수 있는데 정의롭고 만화적인 캐릭터로 의리의 아이콘으로 알려진 배우 김보성을 모델로 발탁하여 으리 시리즈로 대한민국에 으리 신드롬을 일으켰다. 빙그레의 참붕어 싸만코 광고에서 참붕어 싸만코들의 지구 침공 계획이라는 기발하 고 독특한 스토리에 블록버스터 급 SF 영화를 연상시키는 영상과 음악으로 완벽한 오버액션의 병맛 코드를 이용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패션광고에서는 이태리 프리미엄 브랜드 몽클레어 (Moncler)가 2017 F/W컬렉션 테마 중 하나인 ‘문 레이’ 영상을 공개했는데 3분짜리 단편 영화 로 전형적인 B급의 특성을 따르고 있다. 이렇듯 B급 특성의 하나인 오버액션은 영화나 광고에 서 진지함을 벗어나 필요 이상의 과장된 표현과 행동으로 희극적인 면을 보이며 대중들이 흥미 를 느끼고 관심을 가지게 하며 웃음을 유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Figure 11> Kick-ass (www.cine21.com)

<Figure 12> Dead Pool (www.cine21.com)

<Figure 13> Kingsman (www.cine21.com)

<Figure 14> Paldobirak Sikhye and Binggrae Ad (view.asiae.co.kr)

<Figure 15> Moncler Munrey Video (blog.aishti.com)

3.5. 언어유희

언어는 정보전달과 의사소통을 위해 사회문화적으로 규정한 문자, 음성이나 B급 특성이 결합 되어 유희적 감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각적 언어의 변형을 통해 하나의 법칙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변형을 만들어 내어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부분에서 실소를 일으키며 예상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어 내지만 확실한 정보 전달을 담고 있다. 그 예로 주얼리 브랜드 스와로브스키 (Swarovski) 광고로 스와로브스키 6글자 중 끝의 두 음절인 스키를 이용하여 만든 광고 문구를 들 수 있다. 기존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고급스러운 주얼리에 대한 이미지의 틀을 깨고 B급

<Figure 9> LG Household &

Healthcare Ad (view.asiae.co.kr)

<Figure 10> Billy Porter's dress (www.vogue.com)

(9)

감성을 더한 광고로 호응을 얻고 있다. 그리고 신세계 그룹의 통합 온라인 쇼핑몰 SSG 닷컴 광고 또한 언어유희를 활용한 쓱 마케팅으로 성공한 사례로 SSG를 ㅅㅅㄱ으로 표기 및 쓱으로 명명하고, 광고에 등장하는 대사의 모든 자음을 ㅅ과 ㄱ으로 바꿔 소비자의 관심을 끌었다.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브랜드 이미지로 지속하였던 브랜드들이 새로운 소비층을 사로잡 으로 변화된 시대의 감성을 받아들여 표현도구로 언어를 사용해 유희적 감성을 나타내고 있다.

패션 분야에서는 삼성물산 패션 부분 SPA 브랜드 에잇세컨즈(8seconds)는 우아한 형제들 의 배달 어플리케이션 배달의 민족과 협력하여 개성있는 패션아이템으로 에잇세컨즈×배달 의 민족 감성폭8을 출시했다(Kim, 2016). 특유의 B급 정서와 재치 있는 문구가 패션과 결 합하여 헐, 흥, 쩔과 같은 감탄사를 재치 있게 적용하였다. 이렇게 B급의 특성

인 언어유희와 말장난의 특성이 잘 반영된 콘텐츠를 패션에 접목시켜 소비자들에게 친숙함 과 재미를 제공하며 구매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4. 대중문화의 B급 특성이 반영된 패션 분석

대중문화를 포함한 현재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B급 특성이 다차원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주어 패션트렌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해 글로벌 주요 패션컬렉션을 분석하였다. B급 대중문화의 특성을 기반으로 B급 특성이 반영 된 패션이미지를 선별하여 과장된 촌스러움의 복고, 패러디적 요소의 적용, 이종적, 이질적 요소의 융합, 부자연스러운 과장, 유희적 언어의 시각적 표현의 5개 특성으로 살펴보았다. 패션 평론가의 기사 및 B급 관련 키워드와 디자이너의 인터뷰 내용을 근거로 B급 특성이 반영되었다 고 검증된 컬렉션 이미지는 총 644개이다. 전문가 집단의 사진 자료의 표현 특성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B급의 특성이 반영된 패션의 착장 수를 살펴보면 과장된 촌스러움의 복고(23.6%), 패러디적 요소의 적용(12.4%), 이종적, 이질적 요소의 융합(34.0%), 부자연스러운 과장 (22.5%), 유희적 언어의 시각적 표현(7.5%)로 나타났다.

4.1. 과장된 촌스러움의 복고

1980~90년대 패션의 재해석으로 의도적으로 촌스러움과 싸구려적 이미지를 유희적으로 나타 내고 있다. 복고적인 스타일에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실루엣의 강조와 펑키한 악센트 컬러, 복고적인 스타일링으로 당시 패션의 특징들이 현대의 패션에 과장적으로 반영되었다.

먼저 2018 F/W 미우미우(Miu Miu)는 80년대 복고풍의 스타일로 어깨가 과장된 실루엣과 넓은 칼라로 복고 느낌을 살렸으며 함께 매치한 원색 스카프와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더해져 촌스러운 복고풍을 나타냈다. 90년대에 큰 인기를 누렸던 데님 패션으로 2017 S/S 구찌는 채도가 낮은 컬러의 리본 블라우스와 데님 소재의 칼라가 넓은 재킷과 판탈롱 팬츠는 일명 청청패션으로 상하의 컬러와 소재를 통일하였고, 꽃 자수와 커다란 리본 헤어밴드, 안경으로 촌스러움이 한층 더해졌다. 그리고 각진 어깨의 파워슈트, 극도의 반짝임으로 대표되는 80년대 패션도 살펴볼 수 있는데, 2018 F/W 톰 포드(Tom Ford)는 바디라인을 강조한 실루엣으로 호피무늬와 메탈릭 실버 컬러, 굵고 대담한 액세서리를 매치하여 80년대의 촌스러움을 표현하 였다. 2019 S/S 구찌는 러시아어로 할머니를 뜻하는 바부슈카(babushka)패션의 일환으로 할 머니가 즐겨 입는 스타일의 꽃무늬 스카프를 선보였다. 2019 F/W 루이비통은 과장된 어깨와 볼륨 있는 퍼프소매, 칼라가 없고 허리선이 들어간 실루엣의 스트라이프 패턴의 재킷과 그와 반대로 밑단까지 통이 좁아지는 크롭 테이퍼드(cropped tapered) 팬츠, 원색의 플라워 프린트 이너웨어로 복고풍의 느낌이 나타났다. 이렇듯 촌스러움과 싸구려와 같은 요소로 단순한 복고 가 아니라 패션트렌드를 반영한 아이템과 함께 어우러져 세련미를 더해가고 있으며, 현시대에 도 여전히 강력한 패션트렌드로서 재탄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6> Swarovski Ad (www.ksilbo.co.kr)

<Figure 17> SSG Ad (www.ytn.co.kr)

<Figure 18> 8seconds × Baemin Ad

(www.kinews.net)

(10)

<Figure 19> Miu Miu ’18 F/W (www.wgsn.com)

<Figure 20> Gucci

’17 S/S (www.wgsn.com)

<Figure 21> Tom Ford ’18 F/W (www.wgsn.com)

<Figure 22> Gucci

’19 S/S (www.wgsn.com)

<Figure 23> Louis Vuitton ’19 F/W (www.wgsn.com)

4.2. 패러디적 요소의 적용

패션과 직접 연관되지 않는 특정 소재나 브랜드의 아이템 또는 로고를 풍자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를 통한 저항적 메시지를 패션으로 옮겨와 흉내 내거나 변형하여 표현하거나 또는 눈속 임 기법을 통해 착시 현상을 일으켜 패션과 문화를 재해석하는 방식 등으로 전혀 다른 분야에서 요소를 가져와 맥락 없는 방향으로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특정 물건이나 작품의 소재를 익살스럽게 표현한 것으로 2016 S/S 모스키노 컬렉션을 보면 공사현장, 길거리 표지판을 이용하여 도로 환경미화원들의 유니폼에서 영감을 받아 레몬 빛 형광 사인의 원피스로 재치 있는 패러디를 표현하였다. 2018 F/W 구찌 컬렉션에서 자신의 머리 모형을 들고 나오는 모델을 볼 수 있는데, 르네상스 시대 작품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들고 있는 유디트(Judith with the Head of Holophernes)를 오마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16 S/S 자크뮈스(Jacquemus)의 컬렉션에서는 눈속임 기법의 특수성으로 네이비 컬러의 롱 드레 스에 슈트가 프린트되어 이는 세밀한 묘사로 실제의 것을 보는 듯 착각을 주고 있다. 2017년 S/S 발렌시아가의 컬렉션에서 선보인 오버사이즈 파란색 가방은 이케아 쇼퍼백을 패러디한 것으로 소재를 바꾸고 디테일을 추가하여 차별성을 두었다. 이미 존재하는 것을 재사용하여 패러디하는 것에 포인트를 맞추어 재치와 재미를 나타냈다. 2018년 S/S 시즌의 베트멍은 운송 업계의 대표적인 택배 회사인 DHL의 로고와 컬러를 사용하여 변형하지 않은 디자인 그대로 표현하였고 DHL의 대표 컬러인 레드와 옐로의 로고를 강조한 모자와 재킷을 선보여 재치있는 패러디를 보여주었다. 이렇듯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 속에서 과거의 패션과 문화를 재해석하고 불러내는 방식 중 하나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시도는 완전한 새로움이 등장하기 어려운 환경 에서 새로운 패션을 만들어내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Figure 24>

Moschino ’16 S/S (www.wgsn.com)

<Figure 25>

Gucci ’18 F/W (www.wgsn.com)

<Figure 26>

Jacquemus ’16 S/S (www.wgsn.com)

<Figure 27>

Balenciaga ’17 S/S (www.wgsn.com)

<Figure 28>

Vetements ’18 S/S (www.wgsn.com)

(11)

4.3. 이종적, 이질적 요소의 융합

기존의 서로 다른 개념과 규범, 성 역할 등이 본래 가지고 있던 영역을 탈피하여 다차원적으로 주류문화와 비주류 문화의 융합과 같은 럭셔리 브랜드와 스트리트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성의 이분법적인 사고의 탈피가 나타났다. 이는 이종적, 이질적인 문화의 융합으로 스트리트 브랜드의 과감한 컬러와 그래픽 프린트, 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색상과 패턴, 디테일 요소를 통해 새로운 형태로 재탄생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럭셔리 브랜드의 스트리트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탈권위적 융합의 사례를 살펴보면 2017년 F/W 루이비통 컬렉션은 뉴욕 스트리트 브랜드 슈프림과의 협업을 통해 탈권위를 표현 하였고, 2018년 S/S 고샤 루브친스키와 버버리의 협업 컬렉션은 버버리의 아이덴티티인 트렌 치코트를 비롯해 오버사이즈 재킷과 색이 바랜 데님 팬츠로 현대적인 스트리트 웨어와 버버리 의 클래식한 브리티시스타일의 조화를 표현하였다. 2019년 F/W 발렌티노(Valentino)는 언더 커버(Undercover)와의 그래픽을 통한 협업으로 새롭게 개발된 브랜드 로고와 타임 트래블러 타이포 등을 혼합한 그래픽이 새겨진 트렌치코트와 선명한 컬러의 조합으로 스트리트 웨어의 느낌이 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는 성의 고정화 탈피의 현상으로 탈권위적 융합이 나타나는 것으로 2019 S/S 블라인 드니스(Blindness)는 남자 모델이 블랙 시폰과 오간자 소재의 롱 드레스를 입고 있으며 퍼스 소매와 드레스 밑단의 프릴, 여성스러움의 상징인 진주 디테일을 사용하여 의상만 보면 여성복 으로 느껴진다. 2019년 F/W 구찌 또한 남녀 구분 없이 화려한 컬러의 플라워 패턴 오버롤을 착용하였으며, 화이트 컬러의 시폰 블라우스로 가슴 부분의 프릴 디테일로 여성스러움을 표현 했다. 이와 같이 탈권위적 융합을 통한 패션은 이질적인 두 가지 요소가 혼합되어 새로운 형태 로 재탄생되거나, 일반적인 관념과 편견이 뒤집어지는 계기로 볼 수 있으며, 패션이 추구하는 미적 표현을 넘어 패션이 추구해야 하는 방향성과 그에 대한 탐색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Figure 29> Louis Vuitton ’17 F/W (www.wgsn.com)

<Figure 30> Gosha Rubchinskiy ’18 S/S (www.wgsn.com)

<Figure 31>

Valentino ’19 F/W (www.wgsn.com)

<Figure 32>

Blindness ’19 S/S (www.wgsn.com)

<Figure 33>

Gucci ’19 F/W (www.wgsn.com)

4.4. 부자연스러운 과장

압도적이며 과장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실루엣을 통한 부피의 확장과 과도한 장식과 소재의 사 용은 고착화된 디자인을 풍자적으로 희화한 것으로 실험적 표현으로 볼 수 있었다.

먼저 2017년 F/W 톰 브라운 컬렉션을 보면 헤링본 무늬의 모직으로 만들어진 박스 실루엣의 왜곡된 의상은 형태의 과장을 표현하였고, 2018 S/S 톰 브라운은 퀼팅 기법으로 제작된 형태적 으로 과장된 드레스에 다양한 색상의 패턴을 통해 과장된 실루엣을 강조하였다. 2019 F/W 온 오프 프레젠츠(On off Presents)는 세서미 스트리트(Sesame Street)의 엘모(Elmo) 캐릭 터 인형을 어깨에서부터 소매 전체에 이어 붙여 상의 부분을 과장적인 형태로 하의보다 상의의 부피를 크게 만들어서 시선을 한쪽으로 고정하였다. 과도한 장식과 소재의 사용은 2018년 F/W 시즌의 구찌 의상에서 나타나는데, 이질적인 느낌이 드는 머리장식을 통해 과한 장식성을 보여 주었다. 2018 S/S 톰 브라운은 수박을 형상화하는 것으로 수박 모양의 머리장식과 수박 무늬를

(12)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패션에 나타나는 부자연스러운 과장적 표현은 도전적인 시도이자 패션에서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을 창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부자연스러움은 현대 패션에 있어 새로움을 추구하고 디자인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관찰된다.

<Figure 34> Thom Browne ’17 F/W (www.wgsn.com)

<Figure 35> Thom Browne ’18 S/S (www.wgsn.com)

<Figure 36> On off Presents ’19 F/W (www.wgsn.com)

<Figure 37> Gucci

’18 F/W (www.wgsn.com)

<Figure 38> Thom Browne ’18 S/S (www.wgsn.com)

4.5. 유희적 언어의 시각적 표현

언어유희를 통한 직설적인 메시지의 전달로 다양한 시각적 언어의 변형을 통해 위트와 재미를 제공하며, 그 시대의 이슈와 디자이너의 정체성을 풍자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시각적인 이미지와 컬러의 전달이 중요한 패션에서 언어를 시각화하여 패션디자인의 한 요소로 표현한 것이다.

2016년 F/W 오 쥬르 르 쥬르(Au Jour Le Jour)는 글자를 조합한 수수께끼와 같이 의미 없는 단어들이 나열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블랙의 롱 재킷 여밈 부분에는 ‘Touch Me, Smell Me’라는 센슈얼한 단어가 직설적으로 새겨져있다. 2016년 F/W 오프화이트(Off-White)는 후드 여밈 부분에 ‘You Cut Me Off’라는 직설적인 단어를 숨기지 않고 드러냄으로써 메시지를 직설적으 로 전달하고 있어 위트와 재미가 느껴진다. 2016 S/S 모스키노는 화이트 재킷과 블랙 스커트에

‘Brand New Look’이라는 글귀를 의상 전면에 과감하게 드러내 강조함으로써 메시지의 의미를 직설적이며 시각적으로 전달하였다. 또한 STOP이라는 단어의 철자 중에 T를 H로 바꿔 패션과 연관 있는 SHOP이라는 글자로 바꾸는 시각적 언어의 변형을 통해 언어유희의 재미를 표현하 였다. 2019 S/S 펜디는 의도적인 오타로 펜디의 로고 알파벳을 재조합해 브랜드 탄생지를 나타내는 ROMA(로마)를 라틴어로 사랑이라는 뜻의 AMOR로 재조합하여 새로운 시그니처 로고를 선보였다. 이렇듯 언어유희와 직설적인 메시지의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은 다양 한 아이디어로 나타나고 있으며, 디자인의 목적과 브랜드의 정체성에 의해 다듬어지고 활용되 고 있으며 유희적 언어의 시각화를 통해 다소 지루해질 수 있는 패션에 그 시대의 이슈와 디자 이너의 정체성을 세련되고 재치있게 표현하고 있다.

<Figure 39> Au Jour Le Jour ’16 F/W (www.wgsn.com)

<Figure 40>

Off White ’16 F/W (www.wgsn.com)

<Figure 41>

Moschino ’16 S/S (www.wgsn.com)

<Figure 42>

Moschino ’16 S/S (www.wgsn.com)

<Figure 43>

Fendi ’19 S/S (www.wgsn.com)

(13)

5. 결론

오늘날 패션은 다양한 문화와 개인의 개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의 발달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으며 새로운 트렌드는 더욱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 매체 활용의 주체인 밀레 니얼 세대와 Z 세대의 SNS 소통과 개인 가치관의 변화로 비주류와 주류문화가 서로 소통 및 융합하면서 새롭게 성장하였다. 특히, 2000년 이후 문화의 개념이 새롭게 재정립되어 확산되면 서 주류에 대한 비주류의 역전으로 탈바꿈한 비주류 문화가 확산되었다. 특히, B급의 경우 사회 문화적 변화로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의미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 으로 바뀌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류문화에 큰 영향력을 미치며 새롭게 재해석되고 있는 B급의 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B급 특성이 반영된 패션이 주로 나타난 2000년대 이후 컬렉션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과장된 촌스러움의 복고, 패러디적 요소의 적용, 이종적, 이질적 요소의 융합, 부자연스러운 과장, 유희적 언어의 시각적 표현 다섯 가지 특성으로 구분하여, 이를 기준 으로 대중문화의 B급 특성이 반영된 패션을 살펴보았다.

첫째, 과장된 촌스러움의 복고는 현시대의 트렌드와 어우러져 새로운 레트로인 뉴트로 스타일 로 나타났다. 과거의 향수를 떠올리고 추억을 소환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복고는 기성세대와 신세대 간의 문화적 공감이 형성되는 융합적 특성을 보였다.

둘째, 패러디적 요소의 적용은 특정 물건이나 작품의 소재를 흉내내어 표현한 것과 기업 로고나 제품을 그대로 차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패러디는 매번 새로운 패션이 등장하 기 어려운 상황에서 존재하고 있던 것과 현재의 문화가 어울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현상으 로 나타났다.

셋째, 이종적, 이질적 요소의 융합은 대중문화의 B급 특성이 패션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성으로 럭셔리와 스트리트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성의 이분법적 개념을 탈피한 과감한 색상과 문양 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기존과 다른 일탈적인 이미지를 의복의 문양과 소재, 색상을 이용하 여 새로운 형태와 이미지로 창출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관념과 편견을 탈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자연스러운 과장은 실루엣과 소재, 아이템의 과장적 표현으로 특히 의복의 실루엣의 변형과 이질적인 소재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정형화된 복식 구조의 탈피 와 파괴는 새로운 패션에 대한 열망과 개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새로움을 추구하고 트렌드와 문화를 이끌어 나가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희적 언어의 시각적 표현으로 언어유희와 직설적인 메시지를 레터링 기법으로 의상 전면에 프린트하여 나타났다. 의미 없는 단어의 조합이나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직설적이면서 도 재치있게 나타낸 모순된 아이디어의 조합으로 유희와 풍자를 제공하고 있다.

위와 같이 현대 사회문화의 B급은 뉴트로의 흐름과 함께 메가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으며, 앞으 로도 지속적으로 패션과 문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현대 패션은 이전부터 지속적으 로 새로운 아이디어의 발상과 시대에 부합하는 표현의 방식을 추구하여 왔다. 패션은 단순히 그 자체만의 디자인이 아닌 사회문화적 특성과 가장 밀접한 분야이며 착장자의 개성을 직접 나타내기 때문에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과 변화 방식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에 현재 패션의 흐름은 더욱 다각화되어 새로운 트렌드 주체의 변화, 모바일의 발달과 SNS 활동, 성 역할 개념의 변화, 자기표현 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패션은 더욱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B급은 현재 가장 대세적인 메가트렌드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급속하게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에서 B급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패션 상품 기획과 트렌드 파악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연구의 범위는 패션컬렉션을 중심으로, 후속연구로 일반 소비자 대상의 B급 패션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14)

References

Ahn, S. H. (2013, August 21). Shinnsungtongsang × timon ad. Fashionbiz.

http://www.fashionbiz.co.kr/TN/?cate=2&recom=2&idx=168218

Bae, J. H. (2018, December 15). Swarovski Ad. Ksilbo. http://www.ksilbo.co.kr/news/arcticleVi ew.html?idxno=673448

Bang, J. H. (2013).

The periphery of the mainstream cinema : B movie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Balenciaga spring 2018 campaign. (2018, February 6). Fahionela. Retrieved July 15, 2020 from http://www.fashionela.net/fashion/balenciaga-spring-2018-campaign/

Balenciaga 2018 s/s advertising. (n.d). Visla. Retrieved July 15, 2020 from https://visla.kr/news/fashion/66697/

Balenciaga summer 2019 campaign. (n.d). Balenciaga SA. Retrieved July 15, 2020 from https://youtu.be/F0W1bkBEz10

Choi, A. I. (2015). A study on the objectives of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for the generation Z.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 21(3), 675-83.

Christian, Allaire. (2019, February 24). Billy porter on why he wore a gown, not a tuxedo, to the oscars.

Vogue

. https://www.vogue.com/article/billy-porter-oscars-red-carpet-gown-christian-siriano Dead pool. (n.d). Cine21. Retrieved July 11, 2020 from http://www.cine21.com/movie/info/

?movie_id =45320

Fall/Winter 2016 Au Jour Le Jour.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1&season=0&city=0&show=26186 Fall/Winter 2016 Off-white.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1&season=0&city=0&show=26921 Fall/Winter 2017 Louis Vuitton.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1&season=0&city=0&show=35656 Fall/Winter 2018 Gucci.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46116 Fall/Winter 2018 Miu Miu.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46931 Fall/Winter 2018 Tom Ford.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45176 Fall/Winter 2019 Gucci.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53246 Fall/Winter 2019 Louis Vuitton.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54101 Fall/Winter 2019 Valentino.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53986

Gucci spring summer 2016 by Glen Luchford. (2016, January 4). Somewhere. Retrieved July 10, 2020 from http://www.somewhere-magazine.com/gucci-spring-summer-2016-by-glen-luch

ford/

Jang, S. Y. (2015. December 16). UV album cover.

Sports Hankook.

http://sports.hankooki.com/lpage/entv/201512/sp20151216092737136690.htm Jang, I. S. (2014. June 12). Paldobirak sikhye ad.

The Asia Business Daily

.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61216233902175

Jung, Y. J. (2016. July 19). SSG Ad. YTN. https://www.ytn.co.kr/_ln/0115_201607191750066016 Kick-ass. (n.d). Cine21. Retrieved July 11, 2020 from

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25945

Kim, H. J. (2016. July 21). Bamin B-class cultural code, 8seconds fashion and encounter. Kinews.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1697.

(15)

Kim, J. H. (2018. April 20). Gucci, the establishment of gucci art lab, the future innovation research center. Fashionseoul. https://www.fashionseoul.com/157957.

Kim, N. D., Lee, J. Y., & Kim, S. Y. (2011).

Trend Korea 2012

. Seoul: Miraebook.

Kim, N. D., Lee, J. Y., & Kim, S. Y. (2012).

Trend Korea 2013

. Seoul: Miraebook.

Kim, S. Y. (2006). A study on the impact of images in popular culture on fashion - focusing on Japan comic strip Nan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 9(3), 75-86.

Kim, Y. J., &, Lee, S. L. (2018). The new normal of contemporary fashion by the influence of youth culture.

Journal of Fashion Design

, 18(3). 75-91. doi:10.18625/2018.18.3.5

Kim, J. M. (2016). Case study for the expression method of B-humor

advertising.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17(1), 133-48.

Kingsman. (n.d). Cine21. Retrieved July 11, 2020 from 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42341

Kostadinov, K. (2018. July 28). Dongmyo market middle-aged man. Instagram.

http://www.instagram.com/kikokostadinov/

Kwon, M. H. (2008).

Analysis of the subcultural fashion styles reflected in the digital media and development of their designs : focused on the fashion of the online game characters and popular singer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s University, Seoul.

Lee, H. S. (2013).

B-class culture attacks Korea

. Seoul: Bookocean.

Lee, J. H. (2017).

A study in experimental formative design based on pun with B cultural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s University, Seoul.

Lim, H. D. (2016).

How dose type of B class humor affect to consumer reaction: focusing on overaction and bluff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Moncler’s Moonray Abducts Aishti. (2017, July 21). AÏSHTIBLOG.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blog.aishti.com/monclers-moonray-abducts-aishti/

Movie Sunny. (n.d). Daum. Retrieved July 15, 2020 from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57884#none

Park, H. J.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neo-subcultural fashio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Park, H. S. (201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 with life style focus on generation Z.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 7(6), 753-67.

Park, J. H. (2010). A

study on subculture style expressed in 21

st

century fashion trend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Park, M. J. (2018, April 30). LG household & healthcare ad.

The Asia Business Daily.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42515235004712

Seong, H. J., & Chun, J. H. (2017). Analysis of costumes in mass media reflecting B-class code.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 61, 150-65.

Shin, Y. W. &, Lee, C. Y. J. (2018). A study of br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sumer trend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mirrors from a dualistic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 24(1), 355-364

Song, M. H. (2003).

A study on sub-culture style in the modern fashion trend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Spring/Summer 2016 Jacquemus.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24511 Spring/Summer 2016 Moschino.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21176 Spring/Summer 2017 Balenciaga.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34366 Spring/Summer 2017 Gucci.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31306 Spring/Summer 2018 Gosha Rubchinsky.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16)

Spring/Summer 2018 Gucci.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50321 Spring/Summer 2018 Thom Brown.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2&season=0&city=0&show=42956 Spring/Summer 2019 Blindness.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1&season=0&city=0&show=47526 Spring/Summer 2019 Fendi. (n.d). WGSN.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wgsn.com/catwalk_gallery/#gender=1&season=0&city=0&show=47931 Swarovski AD. (2018. December 14). Youtube.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GX_RLWjnQXk

Yang, M. K. (2002).

Study on the styles of subcultural clothing : from 1930s to 1990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 University, Seoul.

Yun, S. K. (2003).

A thesis on the hippie as a counteracting subculture and its styles in pre-and

post-Hippie time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참조

관련 문서

과거 B급 마케팅은 주로 기업의 인지도 및 인식 개선을 위한 브랜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나 점차 브랜딩을 위한 콘텐츠뿐만 아니라 세일즈를 위한 퍼포먼스

Hairdressing Appliances And Hand Dryers, Space-Heating And Soil-Heating Apparatus, Water Heaters, Immersion Heaters, Smoothing Irons, Microwave Ovens, Ovens,

그러나 수요는 공급을 넘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 황이며, 캄보디아 농업연구개발 센터에서도 유기농 쌀 재배를 위한 기간산업 시설의 지원을 통해 생산을

과수농민이 한국농산물품질관리원의 농산물 품질규격에 따라 과일을 출하할 때 의무적 으로 표시해야 하는 등급은 크기와 색택(빛깔), 신선도, 결함 여부로

한편 기존연구들은 온라인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용자의 성향으로 설 명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이용자 성향이 미디어 이용행 위에

[r]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를 직접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텐츠를 구성하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이용하여 콘텐츠 간 유사도를 측정하고 추천

학업 및 기타 등의 스트레스를 풀기위한 여러 행사 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