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악구강계의 기능 및 교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3. 악구강계의 기능 및 교합"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Hee Eun Kim

3. 악구강계의 기능 및 교합

이상적 교합 :

상실된 치아의 형태를 복원하고 기능을 부여하는 것

(2)

O bjectives

1. 악구강계의 기능과 치아상실에 수반되는 변화 2. 치열 형태와 위치적 관계; 만곡, 평면

3. 중심위와 중심교합위, 하악안정위

(3)

1. 악구강계의 기능

(4)

저작 (Mastication) _ 1

 음식물을 씹어서 잘고 부드럽게 분쇄하는 동작

– 중추신경, 저작근, 악관절, 치근막 등의 감각수용기에 의해 제어 – 근육, 치아, 치주지지조직, 입술, 혀, 뺨 등을 이용한 복합적 활동

 저작주기(masticatory cycle)

– 저작 시 하악 절치점이 움직이는 운동경로 (물방울 모양)

1. 악구강계의 기능

(5)

저작 (Mastication) _ 2

 교합력 (occlusal force)

– 치아를 다물 때 상,하악 대합치 사이에 발생하는 힘

– cf] 저작력 (forces of mastication) : 실제 음식물 저작 시 힘

 치아 상실 시, 저작기능 저하

– 제 1 대구치 상실 시, 평균 40~60% 감소 – 총의치 장착 시, 자연치 교합력의 ¼수준

1. 악구강계의 기능

(6)

저작 (Mastication) _ 3

 저작근의 주요 기능

① 교근 (masseter muscle) : 폐구 운동 및 전진, 후퇴운동에 관여

② 측두근 (temporalis muscle): 폐구 운동 및 측방, 전진, 후퇴운동에 관 여

③ 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uscle): 폐구운동 및 측방, 전진운동 에 관여

④ 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uscle) : 상두는 폐구운동, 하두는 개 구운동 및 측방, 전진운동에 관여

1. 악구강계의 기능

(7)
(8)

연하 (swallowing)

 저작에 의해 형성된 음식물 덩어리가 구강에서 인두와 식도를 거 쳐 위로 수송되는 일련의 무의식적인 반사적 운동

– 이때의 하악의 위치 : 연하위

 교두감합위보다 약간 후방(0.5 mm)에서 폐구

1. 악구강계의 기능

(9)

심미성 (esthetics)

 치아의 색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 반투명도(translucency) – 치아의 폭과 길이

– 치열의 배치 (비율, 균형, 배열, 접촉관계, 치간공극 등)

1. 악구강계의 기능

(10)

발음 (speech)

 구개와 치아에 대한 입술 및 혀의 관계를 변화

1. 악구강계의 기능

(11)

감각 기능과 타액 분비

 입술과 구강점막에 다양한 감각수용기 분포

– 10 ㎛의 치아동요도 감지

 타액의 주요 기능

– 물리-기계적 세척

– 조직 보호 : 윤활 작용 및 투과장벽 – 구강미생물 조절

– 완충작용 – 재광화작용 – 소화작용

 타액 분비량 : 하루 약 1~1.5L

– 전신질환자, 의치장착자 감소

1. 악구강계의 기능

(12)

2. 치아결손 시 구강 내의 변화

(13)

치조골의 변화

 치아 결손 후 약 3~6개월에 걸쳐 골조직 재생

 발치 후 보철치료

– 1~2개월 후 시작

 치조와가 골로 바뀌는 골화시간은 약 5개월 후가 되지만 창상이 치유되는 1~2개월 후에 보철치료 시작

– 치아상실 후 골흡수 양상

 상악 : 순, 협측이 흡수 빠름

 하악 : 전치와 소구치부 – 고경이 낮아짐 / 구치부 - 설측 흡수 빠름

2. 치아결손 시 구강내의 변화

(14)

인접치와 대합치의 변화

 접촉상실로 인해 치아가 옆으로 쓰러지거나 정출이 일어나며 정 상교합이 깨짐

2. 치아결손 시 구강내의 변화

(15)

얼굴 형태의 변화

 무치악 환자의 경우, 하악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노출됨

– 상악과 하악의 치조골 흡수 양상이 다르기 때문

(16)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17)

치열과 치조제

 치열(detition)

– 상,하악 치아의 배열

 치열궁(dental arch)

– 구치의 협측교두정과 견치의 교두정, 절치의 절단연을 연결한 궁상의 선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18)

치조제 (alveolar ridge)

 구성 : 치은조직과 악골

– 치조제의 꼭대기 : 치조정 (alveolar crest)

– 치아 상실 후 치주조직과 내부 치조골이 흡수되면서 순측과 협측 및 수직 적으로 변화 생김

 수직교합고경의 감소, 하악의 상대적인 전돌증 야기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19)

교합만곡 (curve of occlusion)

 양쪽 악궁의 절치의 절단과 구치의 교합면의 교두정의 접촉에 의 하여 형성되는 평균치 가상면

(1) 스피만곡 (curve of Spee)

– 하악치열을 협측에서 관찰 시, 교합면과 절단연이 이루는 만곡

(2) 윌슨만곡 (curve of Wilson)

– 자연치열의 전두면에서 볼 때 좌우 구치들의 협,설교두정을 연결하여 생기 는 만곡 (=측방만곡)

(3) 몬슨만곡 (curve of monson)

– 스피만곡 + 윌슨만곡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20)
(21)
(22)

기준면 (reference plane)

1. 교합 평면 (occlusal plane)

– 하악 중절치 절단연과 하악 좌우 제2대구치 원심협측교두정을 포함한 가 상적인 평면

– 캠퍼 평면과 거의 평행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23)

기준면 (reference plane)

2. 프랑트푸르트 평면 (frankfort horizontal plane)

– 좌,우 안와 변연의 최하점(orbitale)과 양측 외이도 변연의 최상점을 지나 는 수평면 (해부학적 수평기준면)

– 모형 제작, 두부 방사선사진 촬영, 생체계의 기준면으로 이용 – 상악 모형을 교합기에 장착시킬 때 이용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24)

기준면 (reference plane)

3. 캠퍼 평면 (camper plane)

– 가상 교합면을 위한 기준 평면

– 비익(콧망울)의 하연과 외이도(or 이주, 귓볼)의 상연을 연결한 선을 캠퍼 선, 좌,우 두선 사이에 이루는 평면(보철학적 평면)

– 총의치 제작 시 교합제를 구강 내에 시적하여 시상면에서 관찰할 때 활용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25)

시상면, 전두면, 수평면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26)

정상교합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27)

부정교합 _ 1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28)

부정교합 _ 2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29)

부정교합 _ 3

3. 치열의 형태와 위치적 관계

(30)

Thank You

참조

관련 문서

특수교육의

- 단백질 성분  지질과 결합하도록 높은 비율의 비극성 아미노그룹  비공유성 비이온성 결합 - 지질과 단백질의 소수성

되는 정보는 참고만 하기 판매사이트의 가격 정보나 품절상품 등재 정보가 자료 업데이트 의 시차로 인해 가격비교사이트에 실시간으로 반영되지 않아, 정 보

고대 그리스의 클리스모스(klismos)-그리스 민주주의에서 넓은 범위의 사용자들에게 위엄과 균형 부여..

– 측두하악관절에서는 작업측과 비작업측 과두가

업무상 재해로 인해 고정성 가공의치로는 기능 회복이 어려운 치아결손이 발생한 경우 연령 제한 없이 인정한다... 재활보조기구의 수가는 산재보험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

다른 시스템 요소들과 연결된 소프트웨어가 시스템 기능 및 성능 등의 사용자 요구를 만족하는가를 테스트. 인수/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