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3 회 공적연금의 유형과 기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3 회 공적연금의 유형과 기능"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3 회 공적연금의 유형과 기능

(1) 공적연금의 의의와 역할

(2) 공적연금의 유형

(3) 공적연금의 재정체계

(2)

(1) 공적연금의 의의와 역할

1) 공적연금의 의의

ㆍ 비스마르크의 공적연금 도입목적 : 노령과 재해로 인해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된 노동자들을 국가가 보호

- 그러나 실제는 당시 사회민주당를 견제하기 위해 근로자를 지지층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투영

(3)

ㆍ 이후 여러 국가에서 권력을 차지하려는 정치가들이 대외 명분으로는 근로자 복지 강화를 내세우면서 정치적 이해타산에 맞춰 공적연금 도입

ㆍ 그러나 분명한 것은 노후대비를 개인 책임으로만 맡겨 둘 경우 대개 개인 빈곤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大

- 절대빈곤층이 아니더라도 빈곤 경계선 상에서 생활할 가능성이 다분

ㆍ 따라서 전적으로 고령 이후 경제생활 책임을 국민 개인의 몫으로 두지 않고 국가가 나서 공적연금을 시행함으로써 국민생활 안정화를 도모할 필요성은 충분

(4)

ㆍ 국가 책임 하에 근로기의 개개인에게 일정액을 거둬 들인 후 은퇴 후 생활 자금이나, 장애 치료비, 유족 생계비 등으로 급부 제공

- 공적연금 급부를 통해 국민들이 최저한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 → 공적연금의 가부장적 속성

ㆍ 공적연금의 필요성

- 국민 개개인의 근시안(shortsightedness, myopia)적 노후 대비 : 노후에 대한 사전 준비 인식 부족

(5)

- 민간보험의 한계

- 정보격차(information gaps) : 금리, 소득, 물가, 기대수명 등에 대한 정보 격차

- 빈곤층과 소득재분배 : 빈곤층는 불가피하게 존재, 국가 전체적 소득재분배 필요

- 사회적비용 절감 : 은퇴 후 최저 생활 보장을 국가나 사회에 기대려는 국민 축소, 사회적비용 감축

(6)

2) 공적연금 역할

공적연금의 역할 :

① 사회적 안전망, ② 소득재분배, ③ 리스크대응, ④ 사회 안정 등 크게 4가지

① 사회적 안전망 (safety net)

ㆍ 최저한도의 생활 보장, 기초 생활보장 등의 공적부조

* 원래 safety net는 서커스 공중그네뛰기에서 낙하에 대비한 망

(7)

ㆍ 고령, 장수리스크에 대응해 스스로의 생활 자조노력, 친족 부양 등으로 대응할 수 없을 때를 대비

- 특히, 빈곤 예방에 초점

② 소득 재분배

ㆍ 기여금(연금 보험료)과 세금 등을 통해 소득재분배 기능 수행

- 기여금과 세금은 통상 소득수준에 비례하여 징수, 일정 급여(연금지급액)는 정액 지급 → 소득 재분배 효과

(8)

③ 리스크 대응, 상호부조

ㆍ 예상치 못한 재해나 사망 등의 리스크 발생으로 인해 경제적 수요 발생 시 연금을 지급받음으로써 경제적 생활 안정 도무

ㆍ 연금가입자와 수급자 사이에 서로 간 상호부조

④ 사회 안정

ㆍ 연금급여 제공을 통해 급여수급자뿐 아니라 그의 가족의 경제적 불안감 감소

(9)

ㆍ 사회 안정화 도모 및 연금수급을 통한 소비 유도로 경기 변동 완화

ㆍ 연금가입자의 노후대비 저축 대체수단으로 역할

- 강제저축인 공적연금을 통해 예비적 동기에 의한 사적저축이 상당부분 감소

(10)

(2) 공적연금의 유형

ㆍ 공적연금은 재원조달 방식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

① 사회보험료를 재원으로 하는 기여방식으로 사회보험방식 (Social insurance schemes)

② 조세를 재원으로 하는 무기여방식(Non-contributory benefits)

③ 사회부조형방식 (Universal social assistance schemes)

④ 사회수당형방식 (Universal benefit schemes)

(11)

1) 사회보험방식(Social insurance schemes) : 가입자들에게 거둬들인 보험료로 필요 재원을 조달 ,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용

① 운영구조

ㆍ 노령, 장애, 사망 등의 사회적 위험에 직면한 가입자에게 금전, 서비스 등의 형태로 급여를 제공하는 형태

- 가입대상 : 국민 전체

- 가입방식 : 의무가입

(12)

- 가입자마다 건강수준과 직업상의 위험도가 다르지만, 이러한 차이를 무시하고 소득의 일정비율을 기여금으로 징수, 이를 재원으로 필요한 급여를 제공

→ 급부・반대급부 균등의 원칙이 미적용

② 운영원칙

⒜ 수지상등의 원칙

ㆍ 수입(기여)과 지출(급여)이 서로 상등

(13)

⒝ 대수의 법칙(The law of large)

ㆍ 개별적으로 보면 우연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상(事象)도 대량관찰을 하면 일정한 법칙이 존재

- 관찰 대상의 수 또는 관찰 횟수를 늘리면 늘릴수록 예상 결과치가 실제 결과치에 수렴

→ 리스크 Pooling을 통해 위험발생을 예측, 자신의 위험노출 축소 가능

: 다수의 리스크를 pooling해 손해발생 예측가능성을 높임으로써 리스크 인수가 가능

(14)

※ Pooling 효과

­ 어떤 사고에 대해 각각의 손해발생이 독립적이고, 각 손해발생의 평균과 분산이 같다고 가정하면,

~

  

여기서

= 사고 이 때 사고 발생수가

개일 경우

 

사고 발생에 따른 손해

~

  

 

사고 발생에 따른 손해

~

  

(15)

 

사고 발생에 따른 손해

~

  

= 전체 사고의 총 손해

~

 

앞의

사고가 모두 보험에 가입했을 경우 한 사고당 평균손해는

이다.

이 때

의 평균과 분산은

,

E(

) =

·E(

) =

x



=

Var(

) = (

)·Var(

) = (

) x



=

(16)

따라서

은 다음과 같은 확률분포를 갖는다.

~ (

,

)

→ 결국 동질의 Risk를 Pooling하면 단위당 평균위험인 분산은 크게 감소 특히 Pooling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분산은 0에 수렴

(17)
(18)

⒞ 대가성의 원칙

ㆍ 연금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소정의 가입기간 중 일정한 조건의 기여를 전제

ㆍ 연금급여액은 기여액에 근거해 산정

⒟ 객관적 요건 충족의 원칙

ㆍ 퇴직이나 일정 연령 도달 시 연금급여의 지급은 객관적으로 정한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만 비로소 개시

(19)

⒠ 보편주의 원칙

ㆍ 대다수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적용, 어떤 조건에 의거해 수급자를 분리, 선별하지 않아야 함

ㆍ 공적연금 도입 초기에는 선별주의가 강세였으나, 점차 보편주의 원칙으로 선회

⒡ 생활유지 자기책임원칙

ㆍ 최저 수준의 생계비 지원 후 부족한 노후생활비는 국민 스스로 자기책임 하에 마련

(20)

2) 무기여방식 (Non-contributory benefits) : 조세로 재원을 조달하는 방식

ㆍ 거주기간, 자산수준 등을 기준으로 급여 지급

- 동일한 금액의 정액급여를 하거나, 소득수준에 따라 급여 감액지급

ㆍ 국가마다 운영방식이나 지급범위 등이 매우 다양

ㆍ 국민의 노후최저소득보장을 목표

ㆍ 사회보험방식의 공적연금을 보완하는 역할

(21)

- 사회보험방식의 사각지대를 커버

- 급여가 적은 경우 보충형급여를 제공하는 방식

3) 사회부조형방식 (Universal social assistance schemes)

ㆍ 자산조사 또는 소득조사에 기초에 급여

ㆍ 일정소득(최저생계비) 이하의 저소득노령자를 주로 대상, 조세로 충당

(22)

ㆍ 수급자격을 과거의 기여기록과 연계시키지 않음.

ㆍ 적은 재원으로 저소득계층 집중지원 가능

4) 사회수당형방식 (Universal benefit schemes)

ㆍ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에게 급여 제공, 광범위한 계층에 연금수급권을 보장

ㆍ 재원은 일반조세로 충당

ㆍ 연금 사각지대 문제 해소, 특히 노인 빈곤문제 해결에 유리

(23)

ㆍ 과거 소득, 기여와 연계를 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연계하지 않음.

ㆍ 뉴질랜드, 캐나다, 덴마크, 스웨덴(기초연금)에서 도입

(3) 공적연금의 재정체계

ㆍ 공적연금의 재정은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가장 중요

ㆍ 특히, 공적연금은 국가와 국민 간에 맺는 약속으로, 장기 안정적 운영이 필수

(24)

→ 따라서 공적연금의 급여 지급재원을 어떤 방식을 채택하느냐가 공적연금제도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 요소

ㆍ 공적연금 재정 방식은 크게 부과방식과 적립방식으로 구분

- 연금보험료의 부담과 연금 지급이 세대 간에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냐가 부과방식과 적립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

(25)

1) 부과방식(pay-as-you-go system)

ㆍ 현재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세대가 납부하는 기여금으로 현재의 연금수령자에게 연금을 지급

- 매년도의 연금 지급 소요액을 그 전년도에 연금보험료(또는 세금)를 재원으로 지급 (다만, 현실적으로 수년치에 해당하는 금액을 적립)

- 당해의 지출액 정도에 해당하는 미미한 보유 잔고만을 남겨두고 그 해 연금보험료 수입을 그 해 급여로의 지출

(26)

 ① 부과방식의 장점

ㆍ 시행 초기에 적은 보험료로 제도 운영이 가능

ㆍ 연금수지차가 거의 없어 연금의 실질가치 유지 대책이나, 연금재정의 장기 추계를 필요로 하지 않음

② 부과방식의 단점

ㆍ 제도가 성숙하여 연금 수급권자가 증대하게 되면 보험료 부담이 증가되어 후세대의 가입자가 전세대의 가입자나 가입했던 자들의 부담분까지 가중 부담

(27)

ㆍ 인구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재정운영이 불안정해지는 약점

2) 적립방식(funded system)

ㆍ 현재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세대가 납부하는 연금보험료를 적립, 운용하여 후에 그 세대가 연금수령자가 되었을 때 연금을 지급

- 순수 적립방식보다 부분적립방식(partially-funded system)이 일반적

(28)

ㆍ 장래에 지급하게 될 연금급여를 가입자가 보험료를 납부하는 기간 동안 보험료, 국고출연금, 누적기금 등을 재원으로 적립했다 지급하는 방식

- 제도시행 초기 지출보다 수입이 커 적립금이 계속 누적, 수입이 지출 상회

- 제도가 점차 성숙화됨에 따라 지출이 증가, 지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시점에 이르게 되면 적립금으로 초과지출을 보충하는 구조

 ① 적립방식의 장점

(29)

ㆍ 연금지출액이 적은 초기부터 지출액이 증가될 때까지 보험료 평준화 가능, 세대 간 공평한 보험료부담이 가능

ㆍ 저축 강제화로 누적기금 형성

② 적립방식의 단점

ㆍ 시행 초기의 막대한 보험료 부담 불가피

ㆍ 장래 지출 예측 곤란, 초기 적정 보험료율 산정 어려움

(30)

일본 등

동남아 국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홍콩

남미 국가: 칠레,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② 부분 적립식 DB

④ Provident Fund

⑤ DC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① 부과 방식 DB

③ 적립식 DB

CPP, QPP, 공무원(사학)연금

※ 한국

부과 방식

(PAYG) 부과 + 적립 적립 방식

(Funded System)

확정 급여형 (DB)

확정 기여형 (DC)

세대간 운영 체계 동세대

운영 체계

스웨덴, 라트비아, 폴란드, 이탈리아

⑥ 부과 방식 NDC & DC

참조

관련 문서

[r]

② 전역 변수가 선언된 소스 파일의 헤더 파일에 전역 변수에 대한 extern 선 언을 넣어준다. 전역 변수의 extern 선언은 메모리를 할당하지

cāi cái cǎi cài shōu shóu shǒu shòu tāng táng tǎng tàng jiāo jiáo jiǎo jiào hūn hún hǔn hùn xuē xué xuě xuè2.

갤럭시 S를 통해 재도전하였으며, 선별적 유통을 선택한 애플과 달리, 전방위적인 판매망을 확보하며, 선전 중.. 애플은 기업

갤럭시 S를 통해 재도전하였으며, 선별적 유통을 선택한 애플과 달리, 전방위적인 판매망을 확보하며, 선전 중.. 애플은 기업

 접촉상실로 인해 치아가 옆으로 쓰러지거나 정출이 일어나며 정

문제해결에 관한 동기가 높다 (인지적).. 2.조직자는 학습자료와 같은 수준의 추상성과 일반성을 가진다. 3.학생의 인지구조를 강하게 하는 것은 새로운 정보의 습 득과

산출 자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