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악구강계의 기능 및 교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3. 악구강계의 기능 및 교합"

Copied!
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Hee Eun Kim

이상적 교합 :

상실된 치아의 형태를 복원하고 기능을 부여하는 것

(2)

O bjectives

4. 교합 양식의 종류

5. 악관절장애와 치료방법

(3)

4.

(4)

하악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저작계

– 치아, 지지구조, 측두하악관절, 근신경계

4. 교합과 하악운동

(5)

하악위와 관련된 교합 _ 1

 중심위(centric relation, CR)와 중심위관계 : 악관절 기준

– 관절와 내에서 하악과두가 가장 생리적이면서 긴장하지 않은 최후방 위치 에 있을 때, 상악에 대한 하악의 최후방, 최상방, 정중앙 관계를 중심위관 계

 측두하악관절(TMJ)이 기준이 되는 악구강계에서 가장 편안하고 기능적인 관

 하악과두가 하악와의 전상방 위치

 치아위치가 중심교합(CO)보다 1~2.25mm 후방에 위치

 악관절 위치관계이므로 재현성이 높고 안정된 위치

– 보철임상에서 교합 재구성을 위한 이개교합 부여 시 기준이 됨

(6)

하악위와 관련된 교합 _ 2

 중심교합(centric occlusion, CO) : 치아기준

– 상,하악 치아의 교두가 대합되는 치아의 와(fossa)나 구(groove)에 최대 한의 면적으로 접촉하는 것

– 이 때의 하악의 위치를 중심교합위(centric occlusal position)

 치아의 유무, 위치 및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치열의 기본위 (보철임상에서 중요)

– 치아가 기준이 되지만 과두가 중심위(CR)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

– 중심교합에서 기능교두가 대합치에 최대한의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최대 교두감합(maximum intercuspidal occlusion)이라고도 함

 이때의 하악의 위치를 최대 교두감합위(maximum occlusal intercuspidal position)

4. 교합과 하악운동

(7)
(8)

하악위와 관련된 교합 _ 3

 하악안정위(rest position, RP) : 생리적 안정 기준

– 무긴장 상태로 하악과두가 하악와에 습관적으로 취하는 자세 – 안경간격(자유로 간격, free-way space)

 상,하악 치아 사이 2~3 mm 간격

하악위와 관련된 교합 _ 4

 편심위 (eccentric position)

– 중심교합위가 아닌 다른 하악골의 위치

 하악의 위치는 전방위와 측방위로 구분

 저작운동 시, 씹을 쪽으로 하악이 움직였을 때,

– 움직여간 쪽을 작업측(working side)

– 반대쪽을 균형측(평형측balancing side) 또는 비작업측(non-working side) 4. 교합과 하악운동

(9)

하악위와 관련된 교합 _ 5

 중심위 교합(centric relation occlusion, CRO)

– 상하악 치아는 중심교합 상태이고, 악관절은 중심위 관계를 이루는 교합 상태로 중심교합과 중심위 상태가 일치하는 경우 (CO = CR)

– 총의치 제작 시,

 환자가 무치악 상태이므로 구강에서 중심교합을 채득하지 못하고 중심위 기 록으로 모형을 교합기에 부착하여 인공치를 중심교합 상태로 배열

 치아는 중심교합, 악관절은 중심위 관계

(10)

총의치 제작 시, E=A

(11)

하악운동

 동영상

 회전 및 활주운동이 동시 진행

 하악의 한계운동(border movement)

– 하악운동을

 절치점에서 관찰하면 입체 마름모 기 둥을 그리며 운동

 시상면에서 보면 바나나 모양

(12)

하악의 운동

1. 접번운동 및 회전운동 2. 활주운동

기본운동

1. 개구 및 폐구운동

2. 하악의 전진 및 후퇴운동 3. 하악의 측방운동

기능운동

4. 교합과 하악운동

(13)

하악의 기본운동

1. 접번운동(hinge movement)=회전운동(ratation M.)

• 좌,우 하악두를 이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

• 하악두가 하관절강 속에서 하악두의 위치 변화없이 축 주위를 돌면 서 움직임

• 개구운동의 초기(단순개구운동) 및 폐구운동의 말기

2. 활주운동(sliding movement)

• 하악두가 관절원판과 같이 관절융기의 후방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 는 운동

• 상관절강 속에서 이루어짐

• 개구운동의 말기, 하악의 전진 및 후퇴운동, 하악의 측방운동 및 폐

구운동의 일부

(14)
(15)

하악의 기능운동 _ 1

1. 개폐운동(opening & closing movement)

– 하악골이 후하방으로 개구했다가 다시 전상방으로 폐구하는 운동 – 좌우대칭으로 발생

– 하악이 약 5~6 cm 이동

– 보철제작 시 교합채득, 교합조정 등에 이용

– 재현성이 높기 때문에 중심위(CR)를 결정하는 데 이용

(16)

하악의 기능운동 _ 2

2. 전후방 운동(protrusive & retractive movement)

– 하악 치아가 중심위 상태에서 중심교합한 후 계속해서 전하방으로 움직여 서 상악 전치부 설측을 따라 하악 전치절단이 활주하여 절단교합 상태가 된 후 계속 전상방으로 움직인 후 거꾸로 후하방과 후상방으로 이동되는 운동

– 최대전방운동 : 절치점에서 8~11 mm

– 최대후방운동: 중심교합에서 중심위 상태로 움직인 것(1(~2.25) mm 정도)

3. 측방운동(lateral movement)

– 하악골이 좌측, 우측으로 움직이는 운동

– 측두하악관절에서는 작업측과 비작업측 과두가 비대칭적으로 운동함

4. 교합과 하악운동

(17)

교합양식 _ 1

1. 양측성 균형교합

– 모든 치아가 접촉하는 것

– 총의치에서 편심위 시 작업측 외에 균형측에서도 상,하악 치아는 접촉하고 있어야 의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음

(18)

교합양식 _ 2

2. 편측성 균형교합

– 작업측(working side)

 상,하악 다수 치아들이 접촉되게 해서 군기능(group function)을 유도함으 로써 교합력을 분산

– 균형측(balancing side)

 치아들이 접촉되지 않음

4. 교합과 하악운동

(19)
(20)

교합양식 _ 3

3. 상호보호교합(Mutually protected occlusion)

– 하악이 전방 운동 시 전치에 의해 유도되고, 측방 운동 시 일반적으로 견치 에 의해 유도되어 구치는 이개되는 교합양식

4. 교합과 하악운동

(21)

5.

(22)

교합기 (articulator)

5. 교합기

(23)

안궁 (facebow)

(24)
(25)

6.

TM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근육관련질환 + TMJ 관련 질환

TMJ: Temporomandibular joint

(26)

측두하악관절 구조

(27)

C.C. 턱이 아파요..ㅠㅠ

1. 턱에서 소리가 나는지 확인함

2. 통증부위가 어디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함

원판뒤결합조직

혈관, 신경이 많이 분포됨 통증에 매우 예민

디스크

혈관, 신경 분포 X

(28)

측두하악장애(TMD)

 3대 증상

– 관절잡음

 clicking sound(딸깍), poping sound, crepitus(모래 갈리는 소리)

– 통증 – 개구장애 – 이명

 관절낭외(근육) 질환 / 관절낭내(관절) 질환

 약물요법, 물리요법, 운동요법, 교합장치, 행동요법 등의 비관혈 적, 가역적, 보존적 치료법을 우선 시

6. 악관절 장애와 치료

(29)

관절낭 외(근육) 질환

1. 근막동통

– 어깨, 목 주위 통증

2. 근염

– 근섬유 손상, 근육 수축의 기능이 약해짐 – 근육통, 근육의 압통 유발

3. 근경련

– 불수의적 긴장성 근수축

(30)

관절낭 내(관절) 질환

1. 염증성 관절장애

2. 악관절 내장증

1) 관절원판 협착

2) 측두하악관절 탈구 3) 관절원판 변위

3. 골관절염

4. 하악과두골절

6. 악관절 장애와 치료

(31)

1. 관절원판 협착

– 관절낭 내에 활액의 양이나 성상에 변화가 생겨서 관절의 윤활작용의 장 애

– 원인

 이갈이, 이 악물기, 관절잡음, 관절경직, 윤활작용의 장애

2. 관절탈구

– 하악과두의 관절융기보다 전상방으로 전진하여 다시 폐구할 수 없는 상태 – 원인

 장시간 치과치료, 외상, 하품, 재채기

(32)

악관절 내장증 _ 2

3. 관절원판 변위

– 입이 반정도만 벌어짐

– 정복성 : 개폐구 시, 관절원판과 하악과두의 관계가 갑작스럽게 변화되어 변위 후에 다시 원상태로 돌아옴

 개폐구 시, 관절잡음, 통증, 개구장애

– 비정복성 : 하악의 활주운동 시에 관절원판과 하악과두의 관계가 원상태 로 돌아오지 못하고 불일치됨

 통증, 개구장애, 관절잡음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음

(33)

TMD 치료 방법

 가역적, 보존적 치료

– Self-care : 온찜질, 유동식, 스트레칭 – 행동요법 : 근육이완, 스트레스 경감 – 약물치료 : 근이완제, 진통소염제 – 물리치료

– 교합안정장치 (야간만 장착)

 비가역적 치료

– 교합안정장치 (24시간 장착) – 외과적 수술

(34)
(35)

Thank You

참조

관련 문서

- 단백질 성분  지질과 결합하도록 높은 비율의 비극성 아미노그룹  비공유성 비이온성 결합 - 지질과 단백질의 소수성

고대 그리스의 클리스모스(klismos)-그리스 민주주의에서 넓은 범위의 사용자들에게 위엄과 균형 부여..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문화원형 기반의 스토리텔링 장치를 통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진단하 는 문화원형과 스토리텔링 모델이 국순당의 브랜드

[r]

영상은 피험자가 supine position에서 시행하고 ante- cubital fossa 부근에서 상완동맥의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5) 세광음악출판사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