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 장교육의역사• 철학적접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3 장교육의역사• 철학적접근"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교육학개론 - 제 3강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 남상인

제3장

교육의 역사

·철학적 접근

(2)

본 강의 내용은 아래의 교재를 요약 정리한 것임

한용진, 권두승, 남현우,오영재, 류지헌 (2006).

교육학개론. 학지사.

(3)

3 장 교육의 역사 • 철학적 접근

 오늘날 우리는 어떠한 삶이 좋은 삶이고 나쁜 삶인지, 그리고 어 떠한 교육이 좋은 교육이고 나쁜 교육인지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게 되었음

 예전에는 이러한 기준을 과거의 문화적 전통에 비추어 판단하였 으나, 오늘날에는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우리의 삶을 비교

• 평가해 볼 수 있는 가치관이나 준거가 불분명해졌음

 적어도 교육에 관한 시간의 흐름을 되돌아보는 것은 현재 우리가

어디에 서 있는지, 그리고 우리의 삶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보

다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됨

(4)

인 간 사 랑 을 실 천 하 는 순 천 향 대 학 교 – C o p y r I g h t s a r e r e s e r v e d I n S C H

List List 1. 시간의 흐름과 교육

2. 교육의 철학적 이해

(5)

인 간 사 랑 을 실 천 하 는 순 천 향 대 학 교 – C o p y r I g h t s a r e r e s e r v e d I n S C H

1. 시간의 흐름과 교육

(6)

1. 시간의 흐름과 교육

 교육의 역사는 현재의 이해관계에만 관심을 갖기 쉬운

현대인들에게 과거와 현재, 미래를 꿰뚫는 역사적 안목을 통해, 인간 존재의 올바른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해 봄으로써 교육 혹은 교육학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게 함

1) 교육학의 탄생 : 교육학사(敎育學史) 2) 교육목적의 변천

3) 세 가지 관계체 : 시간 과 교육

(7)

1) 교육학의 탄생 : 교육학사(敎育學史)

 교육학의 성립과 발전 세 단계

①‘사상으로서의 교육학’ : 학문으로서 교육학이 생겨나기 이전부터 위대한 교육사상가들에 의해 전개됨

②‘이론으로서의 교육학’ : 헤르바르트에 의해 교육의 목적과 방법이 정리되어 교육학이 학문적으로 형성됨

③‘이론과 실천으로서의 교육학’ : 교육학의 학문적 분화와

체계화를 통해 교육의 영역을 학교교육, 평생교육적 입장에서

인간 생애의 전시기에 걸쳐 진행되는 교육현장으로 파악함

(8)

• 사상으로서의 교육학

교육사상의 고전적 형태; 동양에서는 공자, 노자, 맹자, 장자 등 이른바 선진 교육가들을 비롯하여 인도의 고대 사상을 집대성한 불타와 기독교의 예수를 들 수 있음

논어. 성경 같은 경전들은 그 자체가 교육학적 고전임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들의 사상은 사회철학이며, 동시에 교육에 관한 이론임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들 간에는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에서 차이 소크라테스의 활동을 제자 플라톤은 ‘지혜의 사랑’이라고 부름

지혜를 사랑하는 애지학(愛智學)이 철학(philosophy)이며, 동시에 교육학이라 할 수 있음

즉, 초기의 교육학은 ‘배움의 학’이며 ‘지혜의 사랑’으로 철학과 동의어

(9)

• 이론으로서의 교육학

19세기 헤르바르트에 의한 ‘과학으로서의 교육학’ 성립 이후를 말함 로크, 루소, 페스탈로치 등의 발달심리학적 관심이 교육학의 학문적 성립을 촉진시킴

헤르바르트(1779~1841) : ‘과학적 교육학의 창시자’

‘일반교육학’: “교육이란 단순한 경험이나 관습으로 행해질 것이 아니라 과학적 기초를 갖지 않으면 안된다.”

학(Wissenschaft)의 조건 : 원리의 통일성, 원리에 의거하여 체계를 구축하는 방법의 일관성, 결과의 무모순성

‘교육학강의개요’: “과학으로서 교육학은 실천철학과 심리학에 의존한다.”

실천철학(주로 윤리학) : 인간 도야라는 교육의 목표를 제시 심리학 : 방법과 수단을 제시 => 교육학의 체계화를 시도함

(10)

교육을 경험과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보려는 과학주의적 시도와 교육이라는 고유한 가치를 실현하려는 실천행위의 복합적 문제

19세기 후반부터 심험심리학의 발달, 경험주의, 실증주의의 발달로 교육학을 기술과학적 특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의 경향

=> 뒤르켐은 교육과학으로 호칭함

실험과 관찰, 측정과 평가는 실험심리학의 방법론; 측정심리학의 연구결과는 교육심리학의 발달에 영향

실증적, 통계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 검사도구의 신뢰도 문제, 인간이 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 이론과 실천으로서의 교육학

(11)

• 이론과 실천으로서의 교육학

교육학의 대립된 견해

역사철학적 입장에서 교육적 가치를 중시하는 규범적 정신과학적 특성을 강조하는 교육학

실험심리학적 교수-학습 입장에서 현상을 설명하려는 기술 과학적 특성의 교육학

방법론적으로 두 가지 교육학적 흐름이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교육학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 탐구의 대상은 바로 살아있는 건강한 ‘사람’이며, 이는 개인적 존재로서의

‘인(人)’과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人間)’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

(12)

2) 교육목적의 변천

성인(聖人) 이나 현인(賢人), 군자(君子)와 같은 교육적 인간상은 어느 시대에나 훌륭한 사람의 모습으로 인정받고 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각 시대에 맞는 교육목적과 교육적 인간상을 새롭게 정립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 시대적 흐름에 따른 7가지 교육목적

- 각 사상가를 중심으로 한 서양의 교육적 인간상

(13)

시대적 흐름에 따른 7가지 교육목적

첫째, 군인양성 : 고대 부족사회가 군장사회, 부족국가로 변화면서 공동체의 체제를 보수적으로 계승하기 위해서는 건장한 군인양성과 예악을 통해 기존의 규범을 존중하는 인간양성을 목표로 삼음

그리스의 고대 도시국가들이나 중국의 춘추전국 시대에는 문(文)보다 무(武)가 강조되며, 건강한 군인양성이 가장 중요한 교육목적이었음

둘째, 자유시민 : 자유로운 도시국가 (그리스, 아테네)에서는 인간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이룬 자유시민을 육성하고자 체육 이외에 음악이나 문학 등이 발달됨; 동양은 한나라 때부터 예악 강조, 유학이 진흥됨

셋째, 영혼구원 : 중세 기독교의 세계관은 속세보다는 내세(來世)를 보다 중요시하며, 교육은 인간의 종교적 구원이라는 궁극적 목적을 따라야 한다고 봄; 교육적 인간상은 해탈을 목적으로 하는 것

(14)

시대적 흐름에 따른 7가지 교육목적

넷째, 신사양성 : 르네상스기를 통해 상업이 발달하자 세속적 세계관이 다시 나타났고, 젠트리(gentry) 계층(귀족과 독립자영농민의 중간계층)이 영국의 지배사회계층으로 등장하면서 예의 바른 교육양인의 의미가

확대되고 교육내용을 강조함

다섯째, 형식도야 : 교육의 목적은 특정 지식내용보다는 특정 지식을 습득하는 훈련을 통해 새로운 상황에 전이(transfer) 시키는 능력을 키우는 것; 형식적 능력의 연마(암기력, 분석력, 추리력 등)가 중요

여섯째, 전인양성 : 페스탈로치는 인간에게는 하나님이 주신 천부적 능력이 있으며, 이는 지적 능력, 기능적 능력, 도덕적 능력이라고 보고, 이것을 고루 발달 시켜 조화된, 온전한 인간을 키워내는 것이 목적임

일곱째, 자아각성 : 인간 존재를 스스로 일깨워주는 것; 실존주의적 만남의 논리나 불교적 각성의 논리가 이러한 교육목적에 근거함;

랑게펠트는 ‘각성인’을 교육적 인간상으로 제시함

(15)

각 사상가를 중심으로 한 서양의 교육적 인간상

플라톤: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 (애지자:철인)

키케로 : 학문과 실천을 겸비한 인간 (변론인: 웅변가) 아우구스티누스: 영원한 평화를 지향하는 신국인

에라스무스: 고전 학예를 통한 박식함, 웅변술, 기독교적 경건함을 갖춘 사람 (기독교적 인문주의자)

코메니우스: 지식, 덕행, 경신을 모두 갖춘 자 (범지인) 루소: 보편적 인간 (자연인)

페스탈로치: 손, 머리, 마음의 균형을 갖춘 자 (조화인) 마르크스: 전면적으로 발달된 인간

막스베버: 자본주의 사회에서 요구되는 직업인 듀이: 반성적 사고를 하는 행위인

교육적 인간상이 지향하는 것

1)교육적 인간상에서 ‘교육적’이라는 의미를 ‘바람직한 ’혹은

‘ 이상적인 ’과 가은 의미로 보는 이상지향

2) 교육(가르침)을 받아 형성되고 만들어지는 ‘교육받은 사람’을 의미하는 교수 지향

(16)

3) 세 가지 관계체 : 시간과 교육

 사람들의 삶을 지배하는 3 관계체 : “시간, 공간, 인간”

공간과 인간의 문제는 선택과 통제 가능; 시간의 흐름은 통제 불가능

3 관계체의 구조: 교통 통신의 발달, 삶의 양식 변화로 달라지고 있음 공간 거리는 그대로 => 교통수단의 발달 => 시간 거리 단축

군중 속의 고독 => 인간 거리 멀어짐

시간은 비가역적; 주관적 지각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는 비실체

과거 선조들은 인생의 시간 설계를 중시함: 공자는 “하루의 계획은

아침에 있고, 일년의 계획은 봄에 있으며, 일생의 계획은 청년기에 있다.”

시간과 교육의 문제: 교육은 단순히 순간순간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의 삶 전체를 놓고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고민하며,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고 실천해 나가는 과정

(17)

사람들의 삶을 지배하는 3 관계체 : “시간, 공간, 인간”

교육에 있어서 시간의 문제(교육사)는 단지 과거의 전통에 머리 숙여 배 우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공간)과 역사적 맥락(시간) 속에서 깨닫고 새로운 미래를 개척 하는 힘을 제공해 준다.

< 표 3-1 >시간 • 공간 • 인간의 삼간(三間)과 교육 三間

내용 공간(空間) 시간(時間) 인간(人間)

대상 여기, 저기, 거기,어디 과 거 , 현 재 , 미 래 ( 직 선 )

전생과 내세(순환성) 나, 너, 그것 동사(명사) 가 다 (go), 오 다 (come),

머무르다(stay) 가다, 흐르다 (비가역성) 만남/헤어짐 사랑/미움, 무관심

거리

넓게/좁게, 점차 축소 (교통․통신수단 발달/

전자우편 등)

길 게 / 짧 게 ; 동 안 (period) 느리게/빠르게(재미,주관,지 각)

가깝게/멀게(주관 감정) (군중 속 고독) 사랑 감정의 시간초월성

실체 실재로 존재하지만, (착각 가능성)

•의식의 흐름 (비실체)

•문명화와 삶의 속도

‘사람’이라는 개체와 개체의 실재적 만남

(18)

인 간 사 랑 을 실 천 하 는 순 천 향 대 학 교 – C o p y r I g h t s a r e r e s e r v e d I n S C H

2. 교육의 철학적 이해

(19)

2. 교육의 철학적 이해

 1)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철학과 과학은 모두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지만, 사물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적 출발점은 서로 다르다.

-과학: 인과관계에 대한 법칙을 확률적으로 밝히는데 주된 관심 -철학: 전체와 종합을 조망하고 부분적 사실이 전제하는 기본적

관념을 서로 연관시켜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틀을 탐구함

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철학적 토대(형이상학, 인식론, 가치론)에 따라 이상주의 (Idealism) 실재주의(Realism), 실용주의 ( Pragmatism)로 구분

(20)

1)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학문유형 연구대상 특성 비유적

철학 philosophy

개 별 사 실 들 이 전제하는 기본 관념을 탐구

*근본을 좆아 말함

통 합 적 • 전 체 적 •

추상(抽象) 시도 숲을 전체적으로 조망

과학 science

감 각 되 거 나 측 정 된 구체적 사실을 다룸

*사실을 쫒아 말함

부 분 적 • 사 실 적 •

구체(具體)추구 숲 속의 나무(잎) 분석

< 표 3-2 > 철학과 과학

(21)

1)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 교육철학(philosophy of education)

① 사변적 특성 :

부분적 사실이나 경험보다 모든 지식이나 경험에 적용되는 전체성이나 체계성, 통일성을 탐구하려는 사변 철학적 특성(독일, 유럽의 특성)

② 규범적 특성 :

바람직한 인간행동과 특성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그러한 행동이나 특성에 대한 당위성을 밝히려는 규범 철학적 특성(삼강오륜. 유교사상)

③ 분석적 특성 :

교육학에서 쓰이는 용어와 전제를 다듬어 개념상의 논리적 모순이 없도록 하는 분석철학적 특성 (경험주의적 영미계통에서 경향이 우세)

 교육과학 (science of education)

교육철학이 거시적 맥락에서 통합적 · 전체적 입장에서 추상을

시도하는데 반해, 교육과학은 미시적 맥락에서 부분적 · 사실적 입장에서 구체를 추구하는 학문영역임

(22)

1)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 교육예술(arts of education)

교육예술: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치하는 상태에서 교육학과 교육이 함께 실현되는 예술적 경지의 활동; 교육현장에서 마치 공연이 회를 거듭하여도 항상 새로운 느낌을 갖게 하는 것처럼 모든 교육활동을 예술적으로 실천하는 것을 ‘교육예술’이라 함

모든 교사들은 교재 (교육내용)와 학생(대상)을 대상으로

교실(공간)이라는 무대에서 언제나 새로운 창조적 수업을 진행하는 교육예술가이어야 함

(23)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 형이상학(Metaphysics)은 주로 사변철학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교육이론과 실제 사이에서 과학만으로는 대답할 수 없는 질문(마음이란 사고의 실질적인 원천인지 아닌지?)을 제기하며, 우주의 궁극적 실재가 무엇인가에 대한 나름의 일괄된 관점을 제공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인식론(Epistemology)은 지식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분야로, 계시적 지식, 직관적 지식, 합리적 지식, 경험적 지식, 권위적 지식 등 지식의 형태를 구분하였다. 진(眞)의 문제를 다룬다.

- 가치론(Axiology)은 교육활동의 모든 선택이나 결정의 기초가 되어 가치는 개인적인가 일반적인가?/ 가치는 변화하는 것인가, 아니면 영원불변하나? / 가치 체계에는 단계 혹은 위계가 있는가 없는가?/의 3가지 근본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선(善) 과 미(美)의 문제에 관련된 윤리학과 미학을 다룬다.

(24)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교육철학은 교육의 이러한 본질과 삶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해주는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를 촉진하는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 표 3-4 > 전통적 철학과 교육

이상주의(Idealism) 실재주의(Realism) 실용주의(Pragmatism)

형이상학과 교육

Spiritual Essence 정신적>물질적

인간은 Idea 세계지향

External Object

인간은 생물학적 유기체

Change( 변 화 ) 만 이 실재인간은 만물의 척도

인식론과 교육

진리정합설(眞理整合\設) 계시적• 직관적 지식 - 산파술

대응이론(對應理論) 합리적•경험적 지식

유용성 유무(문제해결) 경험적지식(시행 착 오를 통한 경험의 재구성)

가치론과 교육

가 치 • 윤 리 는 절 대 불 변 위대한 정신세계

(우주와 인간의 合一)

기본적 가치는 보편적 기 본 가 치 • 윤 리 를 습득케

가 치 • 윤 리 는 상 대 적 개인의 비판적 사고력

(25)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 이상주의와 교육

Idealism은 단순히 ‘관념’을 쫒기보다는 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이상태(Idea)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상주의’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대표자로는 플라톤을 들 수 있다. 신적인 것은 완전한 것이며, 인간은 이러한 완전함을 추구하고 배우려 노력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주의의 인식론은 지식 체계가 보다 포괄적일수록 그리고 지식의 관념들이 일관성을 가질수록 그것은 진리에 가깝다고 보며, 이러한 원리를 ‘진리 정합성(coincedence)’이라 한다.

교사는 학생에게 전인적 삶의 모범을 보여야 하며, 교사 주도적인

교육방법을 선호한다. 또한 이상주의자들에게 가치와 윤리는 절대적인 것이다. 교육은 객관적으로 위계가 정해져 있는 절대지속의 위대한 정신세계를 각성케 함으로써, 소우주로서 인간이 대우주인 세계와 합일하는 것을 궁극의 경지로 본다.

(26)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 실재주의와 교육

Realism은 철학에서는 실재론, 교육사학에서는 17세기 실학주의를 지칭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실재주의라 표현하며, ‘종교적

실재주의/자연적 실재주의’로 나누어 본다.

- 종교적 실재주의: 신이 우주를 창조하였다는 사실이 우주의 실재를 증명한다고 보며, 정신보다 물질이 더 중요하다고 간주한다.

- 자연적 실재주의 : 세계는 인간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기에 인간이 거의 통제할 수 없는 법칙에 의해 지배되는 것이다.

실재 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어떤 관념이나 명제는 그것이 기술하고자 하는 세계의 그것이 ‘대응(correspondence)’할 때 참(진실)이라 보며,

천동설과 지동설도 각각의 시대적 한계 속에서 참으로 간주되고, 교사는 교육의 주도권을 갖고 학생들이 교실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27)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 실용주의와 교육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은 종종 ‘도구주의’, ‘기능주의’, ‘실험주의’

등으로 번역되기도 하며, 실용주의자들에게 실재하는 것은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이며, 인간 경험의 총체’이다.

교육은 ‘생활의 준비’가 아니라 생활자체이며, 바로 ‘지금-여기(here and now)’의 문제를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의 마음은 수동적이기 보다는 활동적이고 탐구적이라는 신뢰를 바탕으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이야말로 바로 참된

지식이라 보고, 가치는 상대적인 거시며, 이들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서 지나친 개인주의나 국가주의를 경계하고, 인간의 개인성을 무시하는 어떠한 시회제도도 거부한다.

이는 개인이 독립적으로 사고하면서도, 그 자신을 비판적 참여를 통해 집단과 연관시키는 사회이다.

(28)

인 간 사 랑 을 실 천 하 는 순 천 향 대 학 교 – C o p y r I g h t s a r e r e s e r v e d I n S C H

참조

관련 문서

 이해관계자의 입장에서 새로운 개선 프로젝트를 고려해야 하는 영역을 찾아내고 현재 개선 프로젝트가 전략과 조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데 조 직이 정의한 전략

한국 행정연구의 특징과 문제점... 한국

가족이나 다른 관계가 관련된 성폭력은 이방인에 의한 것보다 신고율이 낮고 암수율이 높기 때문에 이와 갚은 관계는 통계 나 연구결과보다 통상적으로 더 높을 것이다.. 또한

-모방과 암기를 중시함; 금기나 훈육을 통해 일탈행동 규제; 집단의 정체성을 유지하려 함.. 어원으로 보는 교육의 개념.. 어원으로 보는 교육의

암면재배의 이론과 실제.. 수출딸기

모든 국가에서 외부 리서치 기관을 통해 조사 수행. 아태 지역 11개국에

IT 관련 전공 중에서 가장 popular한 것이 컴퓨터 사이언스이고, 그 다음 이 컴퓨터 엔지니어링, 경영정보 시스템 순이다. 그러나 IT 업종에 종사하는 상당수의 근로자들은

Math Thematics 교과서는 새로운 개념 도입 시 학습자 스스로가 수학적 개념을 생각하게 하는 상황과 소재를 제시하여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깨 달을 수 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