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모음과 초분절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모음과 초분절음 "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주차.

한국어의 말소리(2):

모음과 초분절음

(2)

1. 자음과 모음의 다른 점을 안다.

2. 한국어 모음에는 단모음과 이중모 음이 있음을 안다.

3. 단모음의 분류 기준과 그에 따른 모 음을 안다.

4. 한국어 초분절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안다.

학습목표

(3)

3주차.

한국어의 말소리(2):

모음과 초분절음

(4)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1

음운적인 관점 음성적인

관점

(5)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1

1) 음성적 구분

• 말소리 자체에 대한 분류로 말소리가 갖는 특성 분석

• 폐에서 생성된 공기가 성대를 거쳐 입이나 코로 빠져 나오는 동안 장애를 수반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분류

공기 흐름에 장애를 수반하는 말소리

(예) /ㅂ, ㅍ, ㅃ/: 입술을 닫는 순간 공기 흐름에 장애가 생겨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함

공기 흐름에 장애를 수반하지 않는 말소리

(예) /ㅏ, ㅓ, ㅑ/: 공기가 입 밖으로 빠져나가는 동안 아무런 장애가 일어나지 않음

자음

모음

(6)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1

2) 음운적 구분

① 자∙모음의 발음(허용·김선정 2005)

(가) - 모음은 자음 없이 발음이 가능 (나) - 모음 뒤에 자음이 오면 발음 가능 (다) - 모음 앞에 자음이 오면 발음 가능 (라) - 자음은 모음 없이 발음이 불가능

어떤 경우든 자음은 모음 없이는 발음 불가

(가) (나) (다) (라)

(7)

1

자음과 모음의 구분

1

2) 음운적 구분

② 자∙모음과 음절(Crystal 2008)

음절의 중심요소로 기능

(sounds function at the center of syllables) : 음절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핵심요소

음절의 주변요소로 기능

(sounds function at the margins of syllables) : 음절에서 선택적으로 나타나는 요소

모음

자음

(8)

참고자료: 자음과 모음의 용어

 ‘자음(子音, 아들 소리)’과 ‘모음(母音, 어머니 소리)’

자음이 모음 없이 독립적인 음절을 구성하지 못한 다는 사실을 잘 반영함 따라서 한국어에서의 ‘자음, 모음’의 명칭은 음성적인 관점이 아니라 음운적 관 점에서 붙여진 것이라 할 수 있음

 ‘안, 옷, 오이, 아우’ 등과 같이 모음 앞에 사용하는

‘ㅇ’은 자음 [ŋ]이 아니라, 자음이 비어 있거나 두 모음이 다른 음절에 속함을 보여주기 위한 부호임

(9)

생각해봅시다 (1)

1) 아래와 같이 명사의 마지막 소리가 자음인지 모 음인지에 따라 조사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빈 칸을 채워보고 무엇이 문제인지 말해 보자.

바다

이/가 집-이 바다-가 으로/로 집-으로 바다-로

‘ㄹ’은 자음인가, 모음인가

(10)

생각해봅시다 (2)

① 한국에서 ‘위, 요’와 같은 소리는 자음인가 모음인가?

② 영어에서 ‘window, yacht’의 첫소리는 자음인가 모음인가?

( 힌트: ‘window, yacht’ 앞에 ‘an’ VS. ‘a’ )

③ 두 언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자음과 모음은무엇을 기준으로 나누는가

(11)

생각해봅시다 (3)

자음과 모음에 대한

우리의 지금까지의 생각과

위의 예들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12)

3주차.

한국어의 말소리(2):

모음과 초분절음

(13)

1

모음의 분류

2

 모음이 자음과 다른 점

① 조음방법:

장애를 수반하지 않고 나는 말소리

② 조음위치 : 자음보다 좁다

수동부 윗 입술 윗니

입천장

(성문) 목청 치조 경구개 연구개

능동부 아랫 입술 (아랫 니)

설첨 설단 전설 후설

< 모음의 조음위치 >

(14)

1

모음의 분류

2

 모음이 자음과 다른 점

③ 모음은 입을 벌리는 정도에 따라 소리가 달 라짐(예: 으악)

④ 모음은 입술 모양에 따라 소리가 달라짐

⑤ 모든 모음은 유성음

모음 분류 기준은

자음의 분류 기준과 다르다.

(15)

1

모음의 분류

2

2.1 단모음과 이중모음

(monophthong)

조음 시 동질의 음가(qualitatively the same) 를 갖는 모음 (예) ㅏ ㅗ keep shoe

(diphthong)

조음 시 음질의 변화(change in quality)를 갖 는 모음 (예) ㅕ ㅝ boy cow

단모음

이중모음

모든 언어는 단모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중모음은 선택적이다.

(16)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높이(high/low dimension)

• 모음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기준이다.

: 모든 언어는 높이에 따른 모음의 차이를 두고 있어 모음이 2개만 있는 언어는 모두 높이에 따라 차이가 난다. 모음이 많은 언어일수록 고모음과 저모음의 중간 단계에 놓이는 모음이 생겨 단계가 늘어난다.

이론적으로는 IPA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이 7단계도 가능하다. 모음 높이의 이렇게 세밀하게 나누어지는 비해 다른 기준들은 두세 개에 그치는 사실을 볼 모음의 높이에 따른 분류가 가장 중요한 분류 기 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17)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1) 모음의 높이

<표> 높이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분류

화살표를 따라 턱이 점점 내려감 : 모음의 높이 차이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18)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① 모음 분류의 가로축

② 자음에서의 조음위치와 맥을 같이 함

: 자음에서는 장애가 일어나는 곳이 조음위치라면 모음의 앞뒤 위치는 혀에서 가장 높아지는 부분, 입천장에 가까이 가는 혀의 위치를 따라 전설모음(front vowel)과 후설모음 (back vowel)으로 나누고 필요에 따라 중설모음(central vowel)을 추가하기도 한다.

(19)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1)혀끝 또는 설첨 2)혓날 또는 설단 3)전설

4)중설 혓몸 또는 설배 5)후설

6)혀뿌리 또는 설근 [그림1] 혀의 위치에 따른 명칭

(20)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그림2] 전설모음 [그림3] 후설모음

(21)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2) 모음의 앞뒤 위치(front/back dimension)

/ㅣ/

전설고모음

/ㅔ/

전설중모음

/ㅐ/

전설저모음

• 한국어 /ㅣ, ㅔ, ㅐ/는 전설모음.

• ‘히, 헤, 해’를 발음해 보자.

- 혀끝이 내려가 아랫니에 닿는다.

- 혀의 앞부분이 입천장 쪽으로 올라간다.

- 중모음을 가진 ‘헤’나 저모음을 가 진 ‘해’를 발음할 때는 고모음을 가 진 ‘히’를 발음할 때보다 입이 좀 더 벌어진다.

(22)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2) 모음의 앞뒤 위치

• , 한국어에서 /ㅡ, ㅜ, ㅓ, ㅗ, ㅏ /는 후설모음.

• ‘흐, 후, 허, 호, 하’ 발음해 보자.

- 혀끝이 아랫니에서 떨어지고, 혀는 뒷부분이 입천장 쪽으로 올라가는 것을 느낄 수 있음

모음들이 후설모음이기 때문 /ㅡ/와 /ㅜ/

후설고모음

/ㅓ/와 /ㅗ/

후설중모음

/ㅏ/

후설저모음

(23)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2) 모음의 앞뒤 위치

전설모음 후설모음

⇒ ⇒ ⇒

ㅣ ㅡ / ㅜ ㅔ ㅓ / ㅗ

ㅐ ㅏ

• 화살표를 따라 혀가 안쪽으로 들어감 : 혀의 앞뒤 차이

(24)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2) 입술의 둥근 정도 (degree of lip rounding)

• ‘후, 호’ 또는 ‘부, 모’ 등의 발음

- 입술이 동그래지고 앞으로 조금 튀어나옴

• ‘히, 제, 래, 가, 더, 느’ 등의 발음 - 입술이 상대적으로 덜 동그래짐

• /ㅗ, ㅜ (ㅟ, ㅚ)/: 원순모음(rounded vowel)

• 나머지 모음: 평순모음(unrounded vowel)

(25)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2) 입술의 둥근 정도 (degree of lip rounding)

• 화살표를 따라 입술이 동그래짐

: 입술의 둥근 정도

평순모음 원순모음

⇒ ⇒ ⇒

ㅣ ㅡ ㅔ ㅓ ㅐ ㅏ

(ㅟ ㅚ) ㅜ ㅗ

(26)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 모음의 높이, 혀의 앞뒤 위치, 입술의 둥근 정도

[표] 한국어 모음의 분류 혀의 높이 원순성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ㅣ(i) ㅡ (ɨ, ɯ) ㅜ (u) 중모음 ㅔ(e) ㅓ (ə, ʌ) ㅗ (o) 저모음 ㅐ(æ ) ㅏ (a, ɑ)

혀의위치

(27)

1

모음의 분류

2

2.2 단모음 분류의 세 기준

 각 모음의 명칭은?

1 ㅣ 전설평순고모음 2 ㅔ 전설평순중모음

3 ㅐ 4 ㅡ

5 ㅓ 6 ㅏ

7 ㅜ 8 ㅗ

(28)

생각해봅시다

1) 여러분은 /ㅔ/와 /ㅐ/를 구별하여 발음하는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위의 모음 분류표를 어떻게 수정하는 것이 좋을까?

2) 한국어 단모음은 <표준발음법>과 현실 발음에서 각 각 몇 개로 나타나는가?

3) 자연언어에서 가장 보편성이 높은 모음체계는 5모음 체계로, 스페인어가 그 예가 된다. 스페인어와 비교할 때 한국어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29)

1

모음의 분류

2

2.3 모음 공간과 기본 모음

• 모음공간(vowel space);

입안에서 모음이 발음될 수 있는 위치

• 수평적으로는 경구개와 연구개 사이에서 발음, 수직적으로는 거의 입을 다물고 발음하는 고모 음의 상태에서부터 입을 크게 벌리고 발음하는 저모음의 상태 사이에서 발음

• 모든 모음은

이 사각형 내부에서 발음

[그림4] 모음 공간

(30)

1

모음의 분류

2

2.3 모음 공간과 기본 모음(cardinal vowels)

• 영국 음성학자 Daniel Jones의 8개의 기본모음

[그림] 모음 공간 안에서의 모음 위치

[그림] 기본 모음

(31)

1

모음의 분류

2

2.3 모음 공간과 기본 모음

 이 8개의 기본모음 중 한국어에 나타나는 모음

• 1(ㅣ), 2(ㅔ), 3(ㅐ), 5(ㅏ), 7(ㅗ), 8(ㅜ)

• 나머지 두 모음 /ㅡ/와 /ㅓ/는 기본 모음에속하지 않음

• 4와 5의 차이는 음성적으로는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의 차이

• 한국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는 둘 중 하나만 가짐

• 음운적으로는 같은 것으로 보아 편의상 /a/로 표기

참조

관련 문서

중간/기말 대비

중간/기말 대비

진보정치세력이 이러한 보수적・중도개혁 자유주의적 현실전형에 맞서는 진보적・급진적인 현실전형을 어떻게 만들것인가하는

최종제품에서 중간 시약의 제거여부 확인 : 중간 단계에 사용된 시약이 최종 제품 에 잔류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시험에 관한 자료로서 대상 물질은 제

제 얘기는 뭐냐 하면, 이렇게 하나님은 우리를 거룩하게 해 가시는데 우리가 하나님 안에 붙어 있으면 하나님이 하나님의 때에 우리를 만지시고 우리에게

 Core는 전에 언급한 것과 같이 개인의 합리성(Individual Rationality)과 단체의 합리성(Group Rationality)의 교집

n 성문수준에서 기류를 멈춤으로써 흉곽을 고정시켜 팔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리는 것과 같은 상당히 많은 힘이 필요한 일을 가능하게

이것은 괄호를 풀고 동류항끼리 모아서 다음과 같이 계산한 것과 같다.. 이때 다항식의 뺄셈은 빼는 식의 각 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