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8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6 2

교육학석사 특수교육 학위논문 ( )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전공과 졸업생의 교육 및 진로 만족도

조 선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특 수 교 육 전 공

최 병 우

(3)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전공과 졸업생의 교육 및 진로 만족도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 and Career among the Graduates from Music-Specialized

Program at a Special School for the Blind

년 월

2016 2

조 선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특수교육전공

최 병 우

(4)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전공과 졸업생의 교육 및 진로 만족도

지도교수 김 영 일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특수교육 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 ) .

년 월

2015 10

조 선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특 수 교 육 전 공

최 병 우

(5)

최병우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이 승 희 인 ( )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허 유 성 인 ( )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영 일 인 ( )

년 월

2015 12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목 차

표 목차 ··· ⅳ 그림 목차 ··· ⅵ ABSTRACT ··· ⅶ

서론 .

Ⅰ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 연구 문제

2. ··· 4 용어의 정의

3. ··· 4 음악전공과

1) ··· 4 교육 만족도

2) ··· 4 진로 만족도

3) ··· 5 연구의 제한점

4. ··· 5

이론적 배경 .

Ⅱ ··· 6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의 역사

1. ··· 6 전공과 설치 배경

1) ··· 6 전공과 설치의 법적 근거

2) ··· 7 전공과 설치 과정

3) ··· 9 전공과 운영 현황

2. ··· 10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1) ··· 12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2) ··· 13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3) ··· 15

(7)

정서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4) ··· 16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5) ··· 16 음악전공과

3. ··· 19 음악전공과의 역사

1) ··· 19 음악전공과의 교육과정

2) ··· 21 선행연구

4. ··· 23

연구 방법 .

Ⅲ ··· 25

연구 설계

1. ··· 25 연구 대상

2. ··· 25 연구 도구

3. ··· 30 연구 절차

4. ··· 32 예비 조사

1) ··· 32 본 조사

2) ··· 32 자료 분석

5. ··· 33

연구 결과 .

Ⅳ ··· 34

전공과 교육

1. ··· 34 음악전공과 진학 선택의 이유

1) ··· 34 교재 및 보조공학기기 등 제공받은 학습지원

2) ··· 35

전공과 교사의 시각장애에 대한 이해 수준

3) ··· 36

전공과 교사의 강의에 대한 전문적 능력 수준

4) ··· 37

충분한 강의시간 확보 여부

5) ··· 38 개설 교과목의 음악적 소양 충족 여부

6) ··· 39 전공과 교사와의 관계

7) ··· 40

(8)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지도

8) ··· 41 전문학사 학위 취득 여부

9) ··· 42

졸업 후 진로

2. ··· 44 현재 주거 형태

1) ··· 44 현재의 취업 진로 현황

2) / ··· 45 음악과 관련된 경제활동 여부

3) ··· 46 음악과 관련된 비영리 사회활동 여부

4) ··· 53 향후 음악전공과 운영 방향

5) ··· 56

결론 및 제언 .

Ⅴ ··· 57

결론

1. ··· 57 제언

2. ··· 59

참고문헌 ··· 61 부 록 ··· 64

부록 설문지

< 1> ··· 65

(9)

표 목 차

표 특수학교 전공과의 장애유형별 설치 현황

< II-1> ··· 10 표 시각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설치 현황

< II-2> ··· 18 표 학점은행제 인정 전공 교과목

< II-3> ··· 22 표 학점은행제 인정 교양강좌

< II-4> ··· 23 표 음악전공과 설문 참여 졸업생 수 현황

< III-1> ··· 25 표 설문 참여 졸업생 기초 사항

< III-2> ··· 27 표 음악전공과 졸업생의 시각장애 관련 현황

< III-3> ··· 29 표 설문지의 구성과 주요내용

< III-4> ··· 31 표 음악전공과 진학 선택의 이유

< IV-1> ··· 34 표 교재 및 보조공학기기 등 제공받은 학습지원

< IV-2> ··· 35 표

< IV-3> 전공과 교사의 시각장애에 대한 이해 수준 ··· 36 표

< IV-4> 전공과 교사의 강의에 대한 전문적 능력 수준 ··· 37 표

< IV-5> 충분한 강의시간 확보 여부··· 38 표

< IV-6> 음악전공과에 개설된 교과목··· 39

표 개설 교과목의 음악적 소양 충족 여부

< IV-7> ··· 40

표 전공과 교사와의 관계

< IV-8> ··· 41

표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지도

< IV-9> ··· 42

표 교육부장관에 의한 학위수여 요건

< IV-10> ··· 43

표 전문학사 학위 취득 여부

< IV-11> ··· 43

표 현재 주거 형태

< IV-12> ··· 44

표 현재의 취업 진로 현황

< IV-13> / ··· 45

표 음악과 관련된 경제활동 여부

< IV-14> ··· 46

표 현 근무처의 재직 기간

< IV-15> ··· 47

표 일일 평균 근로시간

< IV-16> ··· 47

(10)

표 근무지에서의 음악활동 만족도

< IV-17> ··· 48

표 음악활동을 통한 월평균 소득

< IV-18> ··· 49 표

< IV-19> 본인의 음악적 능력을 고려한 현재 소득에 대한 만족도 · 50

표 취업 및 경제활동에 대한 음악전공과 교육이 끼친 영향

< IV-20>

여부 ··· 50

표 음악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

< IV-21> ··· 51

표 음악과 관련된 경제활동 희망 여부

< IV-22> ··· 52

표 음악과 관련된 비영리 사회활동 여부

< IV-23> ··· 53

표 비영리 단체의 종류

< IV-24> ··· 54

표 음악전공과 졸업생으로서의 자부심 여부

< IV-25> ··· 54

표 음악전공과 교육의 비영리 사회활동에 대한 도움 여부

< IV-26> 55

표 향후 음악전공과 운영 방향

< IV-27> ··· 56

(11)

그 림 목 차

그림 전공과 설치 학교 수 연도별 현황

< Ⅱ-1> ··· 11

(12)

ABSTRACT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 and Career among the Graduates from Music Specialized

Program at a Special School for the Blind

Choi, Byung Woo

Advisor: Prof. Young-il Kim, Ed.D.

Major in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Since the year of 2004 Hanbit School for the Blind has provided a music-specialized postsecondary program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and career experiences of the graduates from the music program. A total of 50 graduate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 trained interviewer asked them about their educational and career-related experiences by phone. Overall, the graduates were greatly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during their music program but modestly with their career-related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usic program needs to be improved to help the program participants secure their jobs.

(13)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오늘날의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은 교육의 주류에서 벗어난 학생들을 위한 은신처가 아니다 장애아동이나 장애청소년들은 특수교사들만의 관심 대상이. 아니라 일반교사를 포함한 모든 사회 구성원의 관심 대상이다 이러한 교육. 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특수교육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생각해 볼 때 1990 년대 후반 이후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어 온 이슈는 통합교육이다.

통합교육의 입장에서 볼 때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교육개혁 운동은 특수 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서비스를 개선하려는 것이다

이신동 김경희

( , , 2006).

통합교육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방향에 대해 모색하는 교육이고 이는 장애인들의 사회 진출을 통한 사회통합의 계기가 되었다 장, . 애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 자립능력의 계발과 사회통합을 위한 직업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장애인 재활의 궁극적 목적은 가능한 한 일반사회 내에서 사, 회적 경제적으로 독립된 형태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볼 때 장, 애학생의 직업교육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국립특수교육원( , 2000).

국가에서 장애인을 위한 취업에 대한 교육과 기회를 법으로 지원하고 있 지만 비장애인에 견줄만한 전문성과 생산성을 갖추기 위한 충분한 준비 기간 이 부족하며 기술 수준이 미흡하기 때문에 장애인들은 일부 직종에 국한되, 어 경제적 사회적 활동을 하고 있을 뿐이다 진학이나 취업의 어려움에 시달· . 리는 다수의 장애인은 결국 사회에 잘 적응하지 못하게 되며 이들은 다시, 특수교육기관으로 돌아오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러한 장애학생에 대한 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과정으로 전공과가 설 치되었다 특수학교 전공과를 설치하게 된 것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 연.

(14)

한 연장과 관련이 있다 특수학교의 교육 연한 연장은 학부모의 경우 특수학. , 교 고등부를 졸업한 이후 대책의 하나로 학교교육 기간의 연장을 희망했고, 교육부에서도 교육 연한의 연장을 통하여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자 하였다 곽준기( , 1995; 정미애, 2010, 재인용).

교육부(2015)에 의하면 2005년 38개교에 설치되어 있던 전공과는 2015 년에는 127개교로 확대 설치되어 양적으로는 증가하였지만 이것이 질적인 수· 준까지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전공과 졸업생의 취업률은. 34.6%에 머물고 있으며 대부분 제조 관련 업종 청소 세탁이나 업무보조에 편중되어 있어 다, · 양한 업종에 진출하기가 쉽지 않다.

고등부를 졸업하고 진학하는 학생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절반 이 상이 전공과로 진학하였다 직업 및 재활교육을 목적으로 전공과를 입학하기. 도 하지만 역설적으로 사회로의 진출을 지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악용하는 경우도 있다 고등부 졸업생의 취업률은 쉽게 늘어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미진학・미취업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수학교에서는 장애특성에 맞는 특별하고도 전문적인 교수방법과 학습과 정이 요구되며 사회로의 진출을 위한 직업교육이 필요하다 교육부, . (2014)는 특수학교에서의 장애학생 진로 직업교육 내실화를 위해· 「학교기업」 설치사 업을 추진하고 장애유형 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공과, · 를 확대 설치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과제라고 하였다 또한 장애학생. 의 진로 직업교육 관련 중앙 지역 단위학교 차원의 유관기관 협력이 필요하· · · 고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장애인 고용 지원기관 및 산업체, 등 관련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의 운영방법 개선 및 지 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특수학교에서는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따라 다양한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시각장애 특수학교는 안마나 침술 등의 이료교육이 그 중심. 에 있다 예전부터 논란이 되었던 시각장애인의 안마업 독점은 지난. 2008년 합헌 결정으로 인하여 사회적 보호 안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직업

(15)

으로 인식되어 대다수의 시각장애인이 선호하고 있으나 이것은 개인이 원해 서가 아닌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볼 수밖에 없으며 경제 및 사회, 생활의 질적 수준을 충족시켜 주기에는 부족하다 시각장애 특수학교는 전국. 적으로 12개교에 불과하며 이료전공과, 6개교 자립생활전공과, 3개교에 설치 되어 있을 뿐이므로 시각장애 학생들의 직업교육 선택의 폭이 매우 제한적이 다 시각장애인의 경제적 사회적 자립을 위해 이와 같이 안마사 제도에만 의. · 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의 사립 시각장애 특수학교인 한빛맹학교는 지난

년 음악전공과를 개설하였다

2004 .

한빛맹학교 음악전공과는 이료교육으로 한정되어 있는 시각장애인의 직업 교육의 폭을 넓혔다 성악 작곡 피아노 관악 타악 등 각 전공별 담당교사. , , , , 를 배치하여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지도하고 있으며 전맹, 및 저시력 학생들의 음악적 요구에 맞는 교재 및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 연주단체와 연계하여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도 이바지하고 있으 며 장애인 대상 특별전형을 통한 대학 진학과 장애학생 지원 인력 제도로, 인해 장애학생들의 대학 진학의 기회가 넓어진 것과 맞물려 음악대학으로의 신입학 및 편입학도 가능해졌다.

특수학교 중에서 예술과 관련된 전문적인 교육과정이나 직업교육을 운영 하고 있는 학교를 찾아보기는 매우 어렵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학습. 에 대한 요구와 진로 선택에 제한이 된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빛맹학교의 음악전공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교육 만족도와 진로 만족도를 연구하여 예비 시각장애 음악인을 양성하는 기초자 료를 마련하고 앞으로 음악전공과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 다.

(16)

연구 문제 2.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 를 가지고 수행하였다.

첫째 음악전공과 졸업생들의 교육 만족도는 어떠한가, ? 둘째 음악전공과 졸업생들의 진로 만족도는 어떠한가, ?

용어의 정의 3.

음악전공과 1)

전공과란 고등학교 과정을 마친 장애학생에게 전문기술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고등학교 과정을 설치한 특수교육기관에 설치하는 전문기술교육 과정이 다 국립특수교육원( ,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음악전공과는 시각장애 특수 학교에 설치된 전문기술교육 과정으로서 음악을 전문영역으로 2년 동안 지도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교육 만족도 2)

교육 만족도란 음악전공과 교육과정 재학기간동안 직 간접적인 교육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하여 교육 기대치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를 의미한다 학생. 개개인의 시각장애의 특수성을 고려한 학습지원 강의수준 진로교육 및 학습, , 보조공학 기기의 지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17)

진로 만족도 3)

진로 만족도란 사회진출 혹은 취업을 위하여 개인이 설정한 진로에 대한 기준과 현재 성취수준을 비교하였을 때 음악전공과 교육과정이 끼친 영향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한다 소득 수준 재직기간 근로시간 및 영리 혹은 비영. , , 리 음악활동 여부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의 제한점 4.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강북구에 소재한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전공과 졸, 업생 중 일부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결과를 설문에 참여하지 않은 졸 업생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전공과 교원의 교체 학교교육현장의 변화 학교와 학생 간의 관계, , , 등 지난 10년 간 다양한 변화가 있었으므로 2015년을 시점으로 조사한 본 연구가 모든 시기의 졸업생의 경험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음악전공과에 대한 선행 연구가 미비하여 타 전공과 교, 육과정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음악전공과 졸업생에 대한 기초로 삼았으 므로 연구의 결과를 선행 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18)

이론적 배경 .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의 역사 1.

전공과 설치 배경 1)

특수학교 전공과의 설치배경을 살펴보면 1990년대부터 크게 이슈화되기 시작한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 출발되어진다고 볼 수 있 다 이상훈( , 2001). 장애학생의 직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절감한 교육부는 교육개혁핵심위원회 제 24회 전체회의에서 특수교육진흥법 5개 과정을 설정 하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보장하는 것으로 이전과, 는 달리 좀 더 체계적으로 장애학생들의 직업교육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노 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한편 이와 맞물려. 1991년 장애인 고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의무고용제가 도입된 이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인식이 호전된 것에 비, 해 실질적인 취업 증가는 매우 미미한 반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고용, ( 공단 의 부담금은 자꾸 쌓여가는 처지에 놓이게 되자 장애인고용공단 자체도) 많은 부담을 안게 되었다 즉 당초 의무고용제는 장애인들의 취업을 확대시. , 켜 사회에 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자 시도한 제도였으나 많은 현장의, 사업체들은 장애인들을 고용하는 대신 부담금만 내게 되자 오히려 장애인을, 앞세워 공단의 배만 불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오해 아닌 오해를 받을 수 있 는 입장이 된 것이다 전금면( , 2005).

이러한 장애인고용공단의 입장과 맞물려 특수학교의 직업교육을 활성화시 키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재정지원을 1993년부터 공단에서 축적된 기금 으로 지원하게 되었고 이 기금으로 특수학교에서는 노후된 시설 및 장비를, 개선 확충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직종을 개발 운용하는 한편 장애인의 평・ , ・ ,

(19)

생지원을 위한 직업교육의 강화를 위해 기존의 고등부 과정은 부족하다고 여 겨 필요에 따라, 1년 이상의 전문 직업 교육을 위한 전공과를 설치하게 되었 던 것이다 국립특수교육원( , 2000; 전금면, 2005, 재인용).

전공과 설치의 법적 근거 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4조에서는 전공과의 설치・운영에 대하 여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특수교육기관에는 고등학교 과정을 졸업한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진로

및 직업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업연한 1년 이상의 전공과를 설치 운영할・ 수 있다.

교육부장관 및 교육감은 지역별 또는 장애유형별로 전공과를 설치할

교육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제8852 (호 정부조직법), 제 호 정부조직법

2013.3.23. 11690 ( )]

전공과를 설치한 각급학교는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 조에 따7

③ 「 」

라 학점인정을 받을 수 있다.

제 항 및 제 항에 따른 전공과의 시설 설비 기준 전공과의 운영 및1 2 ,

④ ・

담당 인력의 배치기준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또한 동법 시행령(2015. 1. 1) 제19조에서는 전공과의 설치 운영에 대하・ 여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법 제24조제 항에 따른 전공과를 설치 운영하는 특수교육기관의 장1

① ・

은 66제곱미터 이상의 전공과 전용교실을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하며 세부적, 인 시설・설비의 기준은 교육감이 정한다.

전공과를 설치한 교육기관의 장은 그 설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

(20)

장실습이 포함된 직업교육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전공과의 수업 연한과 학생의 선발 방법은 교육감의 승인을 받아 전공

과를 설치한 교육기관의 장이 정한다.

전공과를 전담할 인력은 전공과를 설치한 특수교육기관의 고등학교 과

정과 같은 수준으로 배치한다.

따라서 교육부에서는 고등학교 이후 교육연한의 연장과 진로 및 직업교육 을 실시하기 위해서 전공과를 설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용노동부의.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에서는 특수학교 전공과가 관련 부서와의 협

‘ ’

조 속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 조 교육부 및 보건복지부와의 연계 에서는 특수학교 전공과와 관련해서8 ( ) 다음과 같은 사실을 명시하고 있다.

교육부장관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에 따른 특수교육 대상

① 「 」

자의 취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직업교육 내용 등에 대하 여 고용노동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2009.10.9., 2010.6.4., 2013.3.23.>

보건복지부장관은 직업재활 사업 등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장관과 긴밀히 협조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2010.1.18., 2010.6.4.>

또한 동법 제 조 장애인 직업재활 실시 기관 에서는9 (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 조 제2 10호의 규정에 따른 특수교육기관을 장애인 직업재활 실시 기관으로 규정하고 있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은 장애인에 대한 직업재. 활사업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장애인에게 직접 제공하여야 하고 특히 중증장, 애인의 자립능력을 높이기 위한 직업재활 실시에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고 명 시하고 있다.

(21)

이와 같이 특수학교 전공과는 법적으로 명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설치되었 으며 특수교육기관의 성격과 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실시기관의 성격을 동, 시에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오현수( . 2009).

전공과 설치 과정 3)

특수학교 전공과가 정식으로 설치되기 시작한 것을 1996년부터라고 볼 수 있는데 박희찬, (1996)이 제시한 것처럼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단 계는 전공과 운영의 시범기로서 1993년에서 1995년까지인데 1993년 3월부 터 교육부에서는 전공과 운영 연구학교로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특수, , 학교를 각 1개교씩 지정하였다 이때 지정된 서울맹학교 서울선희학교 한국. , , 선진학교에서 전공과에 대한 시범 운영을 실시하였으나 서울선희학교는 년에 전공과 운영 연구학교가 취소되었다 제 단계는 교육부가 전공과

1994 . 2

를 정식으로 인가한 1996년부터 1998년까지인데, 3개교의 시범운영의 결과 를 토대로 노동부의 ‘장애인고용촉진기금 의 지원을 받아’ 1996년 8개교, 년 개교 년 개교 등 년에 걸쳐 전공과가 설치되었고 장애별

1997 8 , 1998 5 3 , ,

지역별 안배를 고려하여 1개교를 제외하고 20개 특수학교의 전공과를 시범 학교로 선정하여 훈련시설 장비 재료비 등을 재정 지원하였다 한국장애인, , . 고용촉진공단에서는 직업훈련의 내실화를 위해 ‘직업능력개발 의 일환으로’ 특수학교 방식으로 특수학교 고등부에 전공과를 더하는 직업훈련 실

< 3+1>

시방안을 마련하였다 유관기관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졸업생들의. 취업이 부진하다고 판단되어 전공과를 설치하여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추가 적인 훈련요소의 감소를 유도하고 직업훈련을 강화하여 취업률을 높이기 위 함이었다 제. 3단계는 노동부가 교사수당만을 지원하고 교육부가 전공과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일반 직업훈련 시설에 비해 장비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직업 훈련 교사의 부재로 인한 지도 감독의 미비로 인한 투자・

(22)

에 대한 효과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전공과에 대한 재정지원을 중단하였다.

그러나 전공과의 당초 지원 계획 수립 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개년 동 안 20개교에만 시범적으로 지원하기로 계획된 것이었다 이는 노동부의 전공. 과 설치 계획 시에 한시적인 지원을 하기로 협의된 사항으로 노동부의 지원 중단이 단지 전공과의 효과성에 기인된 것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김남순 김( ・ 경신, 2006; 이화영, 2008, 재인용). 또한 장기간에 걸친 안목으로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단기간의 실적 위주의 효과만을 강조하다보니 장애 유형나 정도 및 지역사회 여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처음 교육부와, 노동부가 계획했던 목표와는 상당히 뒤떨어지게 되었으며 오히려 학교 현장 에서는 많은 비용을 들여 설치한 시설이나 장비 때문에 장애 종류나 정도에 맞지 않더라도 할 수 없이 그에 맞는 직업교육을 운용할 수밖에 없는 역효과 를 낳게 되기도 했다 전금면( , 2005).

전공과 운영 현황 2.

년 현재 개 특수학교에 전공과가 설치 운영되어 있으며 개

2015 127 ・ , 493

학급에 4,274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육부( , 2015).

특수학교 전공과의 장애유형별 설치 현황은 <표 Ⅱ-1>과 같다.

표 특수학교 전공과의 장애유형별 설치 현황

< II-1>

단위 교 학급 명 ( : , , ) 장애영역 정신지체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장애 계

학교수 93 12 9 6 7 127

학급수 384 37 28 15 29 493

학생수 3,433 261 184 147 249 4,274 출처 교육부: (2015). 특수교육통계.

(23)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 2015)에 의하면 전국, 167개의 특수학교 중에서 전 공과를 설치 운영하는 학교는 정신지체학교・ 93개교 지체장애학교, 12개교, 시각장애학교 9개교 청각장애, 6개교 정서장애학교, 7개교로 총 127개교이고 재학하고 있는 특수교육대상자는 4,274명이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6개 학 교, 37개 학급, 326명의 학생이 증가하였다 전공과 설치 학교 수의 연도별. 현황은 <그림 II-1>과 같다.

그림 전공과 설치 학교 수 연도별 현황

< II-1>

0 20 40 60 80 100 120 140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38 45 54 64 73 83

100 108 115 121 127

전공과 설치 학교 수

년에 특수학교 개교가 신설되었으며 특수학급은 학급이 증설되

2015 1 , 251

는 등 최근 5년간 연평균 363학급이 증가하였다 이는 일반학교에서 통합교. 육을 받는 특수교육대상자가 증가함에 따라 특수학교의 학생은 장애정도가 심한 중도 중복장애학생이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년 특수교육대상자는 명으로 년보다 명이 증가하였

2015 88,067 2014 789

으며 최근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기회의 확대 및 지원 서비스 강화로 특수교 육대상자로 선정되는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1)

(24)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해 있는 한국선진학교가 1993년에 전공과 과정을 설치한 이후로 현재 전국 94개교에 3,215명의 학생이 전공과에 재학 중이다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 후 타 영역의 장애에

(2015 , ). ,

비해 취업하기는 어려운 편이며 일상생활 등에 있어서 보호자의 시간과 노력 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지관 등에 머물게 하거나 전공과를 고등부의, 연장으로 간주하여 신변자립 혹은 사회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거나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전공과를 선택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운영 중이 다 현재는 포장. ・조립 세탁 청소 등 단순노무직이나 바리스타 제과, , , ・제빵, 도예 및 공예와 같은 생산직 자립생활 여가생활 생활훈련과 같은 신변처리, , , 나 독립생활을 위한 전공과 과정 등 장애정도와 수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나 취업률은 낮은 편이다 전공과 운영은 단시간 내의 가시적. 인 성과에 급급한 탓에 시설투자에만 급급하다보니 많은 시설들이 제대로 활 용되지 못한 채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학교에 시설을 아무리 잘 갖. 추어 놓는다 하더라도 산업현장에 필요한 모든 것을 다 갖추어 놓을 수는 없 을 뿐만 아니라 설령 갖추어 놓았다 하더라도 급변하는 산업현장의 추세에, 따라 바꾸어 가기에는 불가능한 만큼 보다 단계적으로 개선 보완된 형태의, · 점진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했던 것이다 특히 정신지체나 정서장애학생들. 의 경우 점차 중증 중복화 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전공과 설립 취지에 맞, ・ 는 전문 직종 기능교육을 시키기에는 일선 현상에서 많은 갈등과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전근면( , 2005).

현행 교육과정에서 직업전환교육이 크게 중요시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지체인들이 현장에서 얼마나 만족할 만큼 고용되어있고 만족스러운 대, 우를 받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실로 심각한 수준이다 지극히 저조한 취업률. 과 매우 낮은 임금은 그들로 하여금 자립생활을 하기에 너무나 어려운 수준 이다.

일반적으로 현행 직업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교과목들은 장애영역을 불문하 고 공예와 포장 조립 운반 농업 전자조립 제빵 제과 정보처리 상업디자, , , , , , , ,

(25)

인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학교의 형편에 따라 적절히 원용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직업과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직업이 개발되어 야 한다 특히 정신지체인들의 여러 가지 제한점들을 고려하여 최소한 다음. 과 같은 직종선택의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지적 수준이 높지 않고 단순하며 일관된 반복 효과가 있고 기민한 동, ,

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종

장기간의 경험이나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면서 안전도가 높은

② 직종

기계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 장치 공구 재료 제품 등이 비교적, , , , ,

변화가 적은 직종

장기간의 정신 건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작업능률을 높게 요구하,

지 않는 직종

작업의 정밀도가 높지 않고 계산측정이 필요 없거나 아주 간단한 직종, ,

지역사회 산업과 연결되는 직종 등이다 김남순( , 2010).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2)

년과 년에 서울선희학교 현 서울농학교 와 전주선화학교가 청각

1995 1996 ( )

장애특수학교 전공과가 설치된 것이 그 시초이다 개설 초기에는 도예 자동. , 차 정비 제과 제빵을 훈련직종으로 하였으나 교육 여건상 훈련직종을 미리, · , 정해두고 학생들이 그 직종을 강제적으로 교육받기 때문에 학생들의 취미와 특성이 도외시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 국립특수교육원( , 2000). 교 육부 특수교육통계( , 2015)에 따르면 CAD나 CAM 같은 전문적 기술훈련부터 조립 제과제빵 공예 천연, , , DIY, 세탁 조리실습 등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 한 전공과 교육과정이 있으나 6개 학교에만 설치되어 있고 재학생도 불과

(26)

명에 지나지 않으며 더군다나 중도 포기자가 많아 더 직업교육에 대한 연 60

구나 투자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청각장애의 직업재활은 다른 장애에 비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특성이 있으나 그에 대한 직업교육은 전문적으로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박영숙( , 2011), 짧은 고용유지 기간과 높은 이 직률을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득 또한 평균적으로 낮은 실정이다 변용( 찬 외, 2009). 또한 청각장애는 신체적으로 단지 소리만 들을 수 없는 것처 럼 보여 다른 장애와 달리 취업직종 선택에 있어서도 폭이 넓을 것으로 생각 하지만 실제적으로 취업직종에서는 음성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취업할 수 있, 는 직종이 매우 제한되어 있어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선택의 폭이 좁은 편이 다 최현숙 이정섭( , , 1996).

청각장애 학생은 재해의 위험이 많은 직업이나 청각이 많이 사용되어지는 직종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아울러 의사소통이 많이 요구되는 판사 검사 상. , , 담가 등의 직종은 청각장애인이 수행하기 힘든 직업인 반면에 체격 체질 체, , 능 등의 일반적인 신체조건에는 일반인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시각 은 일반인보다 더 예민함을 보이므로 신체 및 운동기능 시각적인 예민성을, 요구하는 직종은 이들에게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장애인을 위한 법이 제정된 이후 본격적인 직 1978

업교육을 실시하여 이 시기는 장애인에 대한 영역 중에서 교육부분이 가장 먼저 입법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0년 56개교의 특수학교가 특수교육 진흥비를 지급 받았으며 1981년에는 81개교 등 25개교가 설립되는 등 현재 까지 많은 특수학교가 설립되는 급성장으로 장애학생이 직업을 갖기 위한 기 본 교육을 본격적으로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인적 물적 등의 제반 요건이 이루어져야 올바른 공예교육이 이루, 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학교 고등부가 설치된 역사가 짧은 학교 가 많다는 점과 학교현장의 공예실습 교과의 수준은 거의 취미에 가까운 수 준 정도의 지도를 하고 있는 학교가 대부분이라는 점 학교교육과 사회의 연, 계성이 없을 뿐 아니라 정상인들과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전문 기능인을

(27)

양성 할 수 있는 시설이나 전문지식을 가진 담당교사 및 실기교사가 없다는 점 등 현재의 청각장애 학교실정의 한 단면을 보여 주고 있다 하훈( , 2002).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3)

우리나라 지체장애 특수학교 중 최초로 전공과가 설치된 학교는 대구성보 학교이다. 1998년 3월에 1년 과정으로 1학급이 설치되었으며 훈련직종으로 는 인접해 있는 공업공단과 지역사회의 여건을 고려하여 전자 한 과목을 운 영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는 제과제빵 컴퓨터 포장, , , ・조립 공예 컴퓨터인, , 쇄 보치아 봉제 전통발효식품 청소세탁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 , , , 다. 2015년 현재 전공과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지체장애 특수학교는 한 국우진학교 서울정민학교 주몽학교 부산혜남학교 대구성보학교 대구보건, , , , , 학교 인천은광학교 대전성세재활학교 명혜학교 청주혜화학교 경남은광학, , , , , 교 창원천광학교 제주영지학교 등, , 13개 학교이다.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직업교육에 있어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대부분의 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이 가진 장애의 정도가 중복 및 중도로 인한 상지 및 수지(手指)기능의 결함으로 직업재활을 위한 교육에 다양한 어려움이 나타나 고 있음이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많은 교사들에 의하여 나타났다 최근 들어. 지체장애의 유형 가운데 뇌성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증가 추세에 있으 며 직업교육보다는 오히려 많은 비율의 지체장애 특수학교는 대학입학 특례, 제도에 의한 상급학교 진학에 더 관심을 두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 직업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생과 대학진학을 원하는 학. 생간의 상이한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교육을 위한 장비 및 시설설치의 높은 비용과 아울러 장애학생들의 장애 정도가 중복・중증화 되어감에 따라서 사용빈도가 극히 낮아 비효율적인 결 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학진학이나 취업이 곤란하여 가정이나,

(28)

복지시설에 수용되는 경향이 강하다 김기흥.( , 2004).

정서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4)

년 월에 년 과정의 학급으로 한국육영학교에 전공과가 설치 운

1999 3 2 2 ・

영되었다 훈련직종은 현장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원예영역과 보호작업이. 가능한 조립영역을 선정하여 운영하였다. 2015년 현재 정서장애 특수학교는 서울정애학교 밀알학교 한국육영학교 대구덕희학교 한국경진학교 청주성, , , , , 신학교 안동진명학교 등, 7개 학교에서 바리스타 원예 포장 조립 작업실, , ・ , 습 원예 홍보 판촉물 생산 식품가공 생활공예 자동차 세차 등 학교여건, , ・ , , , 과 지역사회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전공과 운영 현황 5)

전공과는 원래 일본에서 시작되어 우리나라에 도입된 제도이다 일본 시. 각장애인계는 1947년에 침술을 인정받기 위하여 맹학교에 2년제 전공과 전( 문대 수준 를 설치하였고 해당 관계자들의 많은 노력으로 맹학교에서 침술교) , 육은 물론 침 구 안마사 제도를 부활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그리하여 일본・ ・ . 에서는 2011년 현재 전공과에 1,182명의 학생이 학습하고 있으며 고령의, 중도실명학생들도 상당수 입학하여 공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2년 특수학교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침술을 시각장애인의 직업으로 인정받기 위 해서는 맹학교 이료교육을 전문대학 수준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대학에 침구과를 설치하는 것보다 일본과 같이 맹학. 교에 전공과를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었다 임안수( , 1986). 그 후 이 료교육의 개선 방안으로 맹학교에 전공과를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제 기되었다 이에 따라 이료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한 이료전공과가 서울맹학교.

(29)

에서 1993년과 1994년에 1년 과정의 실험 과정을 2회 실시한 후 1995년 1 월 27일에 교육부로부터 이료전공과 년제 를 인가받아 동년(3 ) 3월에 수업을 시작했다 이영미( , 2003).

이료전공과의 설치근거는 초 중등교육법 제・ 54 , 57 (조 조 전공과의 설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법률 제( ) 24 (조 전공과의 설치 운영 와 동법 시・ ) 행령 제18 (조 전공과의 운영), 평생교육법 제31조 등이다 설립 목표는 의학. 의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안마 마사지 지압 등의 수기요법 전기요법 자, , , , 극요법 호침 이하 시술 포함 등의 물리적 시술 행위에 관한 기초 의학과(3 ) 관련 전문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여 시각장애인이 창의적 태도를 가지고 국 민보건에 이바지하면서 자활 자립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하・ 는 데 있다 서울맹학교( , 1995, 박영준, 2014a, 재인용).

서울맹학교와 대전맹학교의 이료전공과가 1998년에 학점은행제 학습과목 운영 평가 인정기관으로 지정받아 소정의 학점을 취득하는 자는 전문대학 졸 업 학력을 인정받고, 이료전문학사학위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김기창( , 이료전공과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졸업 학력과 안마사 자격증 소지자 2004).

를 대상으로 평생교육의 이념 하에 고등학교 심화과정의 차원에서 1년 이상 의 교육과정으로 편성하되 학점인정제 이료전공과는, 3년제 전문대학 수준으 로 편성한다 박영준( , 2013, 박영준, 2014a, 재인용). 이료전문학사학위를 취 득하려면 소정의 교양과정 30학점과 전공과정 90학점 전공필수( 6개 과목 18 학점 포함 등) 120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 령 제13 , 2013).조 전국의 시각장애 특수학교와 전공과가 설치된 학교는 <표

과 같다 II-2> .

표 시각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설치 현황

< II-2>

(30)

학교명 구분 설치 과정 학 제 학급 수 비고

서울맹학교 국립

이료 3년제 3학급 학점인정기관 자립생활 2년제 2학급

청주맹학교 사립 이료 3년제 3학급 학점인정기관 인천혜광학교 사립 이료 3년제 3학급

대전맹학교 공립 이료 3년제 3학급 학점인정기관

부산맹학교 공립

이료 3년제 3학급 2014학년도부터 학점인정기관 시범운영 생활자립 2년제 2학급 2013학년도 인가 강원명진학교 사립 이료 2년제 2학급

대구광명학교 사립 이료 2년제 2학급 충주성모학교 사립 재활 2년제 2학급

한빛맹학교 사립 음악 2년제 2학급 학점인정기관 광주세광학교 사립 -

전북맹아학교 사립 -

은광학교 사립 -

자료 교육부: (2015), 특수교육통계.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이료전공과가 설치된 곳은 총 6곳으로 서울맹학교가 년에 년제 실험과정으로 전공과 설치인가를 받게 된 것이 그 시초이 1993 1

다. 1997년부터 학점은행제가 시행되면서 맹학교의 전공과가 전문대 학력인 정을 받게 되었으며 대전맹학교와 청주맹학교 역시 전공과 설치와 더불어 2 년에서 3년에 걸친 학점은행제 시행을 통해 전문학사 학위인정을 받게 되었 다 이는 교육연한 연장 전문적인 직업교육 전환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 , 바람직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시각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설립목표를 살펴보면, ‘의학의 과학적 근거를

(31)

바탕으로 안마 마사지 지압 등의 수기요법· · , 전기요법, 자극요법 호침 이하(3 시술 포함 등의 물리적 시술 행위에 관한 기초 의학과 관련 전문 지식 및) , 기술을 습득하여 시각 장애인들이 창의적 태도를 가지고 국민 보건에 이바, 지하면서 자활 자립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함을 목표로 한다· 서울맹학교 라고 규정하고 있고 전공과 운영목적은 고등부 교육을

( , 2000).’ , ‘

마친 안마사에게 심화된 전문대학 수준의 이료 시술을 교육하고 이료교육의, 연구와 전문기술을 보급하여 변화 발전하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이료사의 전문화와 평생교육의 실현을 위한 전공과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공과 설치 목적을 한마디로 요약.’ . 하면 전문이료인을 양성하기 위한 심화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국립특수교육( 원, 2000).

음악전공과 3.

음악전공과의 역사 1)

음악은 예로부터 시각장애인과 깊은 연관성을 지닌 직업이었다 그래서.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 및 조선시대에 음악을 업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이 있 었고 특히 조선 시대에는 관현맹인 제도가 있어 시각장애인이 음악을 직업, 으로 하여 생활하기도 하였다 음악전공과는 고등학교의 연속선상에서 음악. 에 대한 재능과 적성을 지닌 시각장애학생에게 음악교육을 심화 및 전문화하 기 위해 설치된 전공과이다 현재 음악 관련 전공과를 설치. ・운영하는 특수 학교는 한빛맹학교가 유일하며 학점은행제로 운영되며 교육연한은, 2년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음악전공과의 성격을 보면 음악에 재능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시각장애인들이 학점은행제를 통하여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32)

더 많은 학업을 연계하여 수학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음악적 소양을 길러 음악 관련 단체에 취업하도록 돕는 교육과정이다 그리고 교육과정 목표로는. 첫째 음악전공과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높이고 창조적 예술관을 정립하며, , 둘째 학점은행제를 이용한 학점 취득은 전문학사가 되는 기회를 제공 이료, , 에 국한된 직업의 장을 새로이 개척하여 시각장애인의 자아실현에 도움을 준 다 이성철( , 2014).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한 한빛맹학교는 1971년 임마누엘여맹학교로 개교하여 1976년 10월에 한빛맹학교로 개명하였다 초등부. 12학급으로 시작 하였으며 꾸준한 학급증설을 통해 현재 유치부 초등부 중학부 고등부 이료, , , , 재활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음악전공과는 2003년 10월 1일에 2개 학급 설치를 인가받아 2004년 3 월 2일부터 운영되었다. 2004년 11월 29일에는 2개 학급의 증설을 인가받 아 학년 당 2개 학급, 2학년 과정이 되었으며 2005년 2월 4일에는 국가평생 교육진흥원으로부터 전문예술학사 학위취득이 가능한 학점은행제 인가를 받 았다.

음악전공과는 교육인적자원부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 조 제 항 및 동3 1 법률 시행령 제 조 제 항의 규정에 의하여 학점은행제 실시 기관으로4 3 2년 과정의 전문대학 학력 인정을 받는 국내 최초의 예술전문학사 학위 취득이 가능하다 시각장애 학생들의 음악 교육을 위하여 넓고 확실한 방음 시설을. 갖춘 강의실 앙상블실 실용음악실 악기실 개인 연습실, , , , , 400여석의 콘서트 홀 한빛 점자 도서관 등 학생들이 마음껏 기량을 높일 수 있도록 교재 및, 시설을 완비하였으며 성적 및 실기 능력이 우수한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 고 음악전공과가 설치된 시각장애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들의 실기 지도 보조 강사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음악전공과 입학생에게 본교와 연계된. 예술단 준단원으로서의 자격을 부여하고 실기 능력이 우수한 졸업자에게는 오디션을 거쳐 정단원 대보험 기본급 보장 연주수당 제공 및 숙식보장 으(4 , , ) 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33)

음악전공과의 교육과정 2)

음악전공과는 기악과 성악과 작곡과 실용음악과 등 전공별 담당교사의, , , 실기지도를 통해 음악기술 및 전문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있다.

기악과의 교육목적은 음악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해석능력을 균형 있게 갖 춘 창의적인 전문연주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둔다 세부 전공으로 피아노. ,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등이 있다, , , .

성악과의 교육목적은 성악에 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실기 위주의 지도 를 통하여 뛰어난 성악 전문연주자를 양성하는데 있다 따라서 개인 레슨을. 통한 전문적인 실기 지도와 합창 등의 전공심화 과정을 이수하게 하여 가장 실제적인 연주 능력과 성악가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지식을 습득시킨다.

작곡과의 교육목적은 능력 있는 작곡가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하여 서양과 우리나라의 다양한 음악어법 및 이론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한편 지속적인 창작 연습을 통하여 작곡가에게 요구되는 작가적 사고와 기술 적 연마를 습득시킨다.

실용음악과의 교육목적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음악장르와 새로운 음악 환경 에 빠르게 적응하고 자신의 예술성을 표현할 수 있는 연주자를 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중성과 실용성에 중점을 두며 이를 위해 자유로우며 도전. 적인 음악적 소양을 키운다.

곳의 전공과 전용교실과 합주실 실용음악실 타악기실 피아노실 곳의

4 , , , , 4

연습실 등 전공과 전용시설을 갖추고 있어 전공별 연습이 가능하며 재학생들 의 다양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교내의 학생휴게실과 체력단련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콘서트홀은 한 학기당. 2회 이상의 연주수업 등 학생의 공연발 표 기회를 상시 제공하여 현장 감각을 배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수준 높은. 음악교육을 위해 교육기자재에 충분한 투자를 통해서 최상의 교육기자재를 확보하여 대외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그랜드 피아노. 4 ,대 다양한 편성의

(34)

앙상블과 오케스트라에 필요한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을 보유하여 학생들, , 에게 무상 대여하고 있다.

교육부장관에 의한 전문학사 학위취득을 위해서는 80학점 이상을 이수하 여야 하는데 전공학점 45학점 이상 교양학점, 15학점 이상을 반드시 취득하 여야 한다 음악전공과는 평가인정과 학점인정의 기준에 관한 사항을 학습자. 와 교육기관에 안내하기 위해 교육부장관이 고시하는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인 기악 전공(Music Instrument) 표준교육과정에 의거하여 4학기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학점은행제는 고등학교 졸업자 혹은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 진 자는 학점은행제를 활용하여 학업연장이나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이기에 음악전공과는 학점은행제 취지에 입각하여 일정 조건에, 부합하면 누구나 입학할 수 있으며 전공학점을 취득할 수 있다 국가평생교. 육진흥원 학점은행제로부터 인가받아 운영 중인 교과목은 <표 II-3>와 같다.

표 학점은행제 인정 전공 교과목

< II-3>

학년 학기 과목

1

1 음악개론I, 음악사I, 화성학I, 시창 청음 필수・ I( ), 전공실기 필수I( )

2 대위법I, 음악감상법I, 클래스피아노I, 시창・청음II(필수), 전공실기II(필수)

2

1 지휘법I, 악식론I, 반주법I, 합창 관합주/ I, 컴퓨터음악I, 전공실기III(필수)

2 피아노교수법I, 음악분석 음악미학, I, 실내악I, 전공실기IV(필수)

또한 음악전공과 재학생들의 원만한 학위취득을 위하여 백석대학교 평생교 육원과 협약 및 위탁하여 교양강좌 강사를 음악전공과에 파견하여 2년을 주 기로 하여 한 학기당 2개의 교양강좌를 음악전공과에 개설하고 있다 음악전.

(35)

공과에 개설된 교양강좌는 <표 II-4>과 같다.

표 학점은행제 인정 교양강좌

< II-4>

년도 학기 과목

2014 1 음악과 생활 재즈음악사,

2 생활지도와 상담 효율적 학습지도법,

2015

1 심리학개론 상담심리학,

2 교육학개론 여성과 성,

선행연구 4.

시각장애 특수학교 관련 선행연구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립특수교육원(2000)은 갈수록 고도로 분화된 수많은 직종이 생기고 시 대 흐름에 따라 취업 가능한 인기 직종이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몇 가지로 고정된 직종을 설치하여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잘못이며 이런 이유로 학 생들이 전공과를 졸업한 후에 전공과와 관계없는 직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 으며 또한 직종을 미리 정해 두고 학생들이 그 직종을 강제적으로 선택받기, 때문에 학생들의 취미와 특성이 도외시 될 수밖에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 해 학생들이 직종을 선택할 수 있는 체제로 과감하게 혁신해야 한다고 하였 다.

박중휘와 장덕자(2003)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시각장애학교 학 점은행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서 학점은행제에 의한 이료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또한 평가인정기관이 일정지역에 편중되어 있다고 지적하였으며 수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학생들 개인 간의 능력차를 가장,

(36)

많이 들고 있어 학점은행제 학생선발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생각하는 수업의 불만족 원인으로 교 강사의 전문성에 대한・ 불만족을 일부 나타나고 있다고 하였다.

박홍식(2006)은 전국 12개 시각장애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의식 진로계획 진로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진로교, , 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는 이료교육. 편중 현상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직업교육 기회를 오히려 제한하고 새로운, 형태의 직업교육 방법이나 현장훈련 지원고용 형태의 다양한 직업경험을 갖, 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였으므로 시각장애인의 직업이 특정분야에 편, 중되는 현상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이성철(2014)은 시각장애학교 전공과 담당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전공 과 운영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합리적이고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직종 발굴과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향. , 후 전공과 교육연한을 연장하여 사회적응과 전문 직업능력 신장을 도모해야 하며 전공과의 근본적인 성격 규명을 통해 직업교육이 우선적으로 다루어져, 야 한다고 하였다.

(37)

연구 방법 .

연구 설계 1.

본 연구는 음악전공과 졸업생의 교육 및 진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학년도부터 학년도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실시된 조사 2006 2015

연구이다.

연구 대상 2.

본 연구는 음악전공과 졸업생의 교육 및 진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학 교장의 동의를 받아 학적부를 참고하여 학생현황 및 연락처를 파악하였다.

년부터 년까지의 음악전공과 입학생 명 중 휴학이나 질병 등

2004 2013 110 ,

자발적 의지에 의한 학업중지자 17명을 제외하였다 이 중에서. 2년제 전공과 교육과정을 졸업한 음악전공과 학생 중 연구에 동의한 학생 수와 제외된 학 생 수를 제시하면 <표 III-1>와 같다.

표 음악전공과 설문 참여 졸업생 수 현황

< III-1>

구분 졸업생 수 구분 빈도 명( ) 비율(%)

동의 63 실시 50 53.76

미실시 13 13.98

제외 30

전화번호의 비등재 및 결번 18 19.35

중복장애 11 11.83

거부 1 1.08

93 100

(38)

전화면접을 위한 동의를 구하고자 연구자는 졸업생에게 전화를 걸어 본 연구에 대한 목적과 절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 중, 63명이 설문에 동의하였다 그러나 동의자. 63명 중 수술 해외 출국 및, 3차에 걸쳐 설문을 시도하였으나 전화를 수신하지 않은 13명을 제외한 50 (53.76%)명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적부 및 지인을 통해 최대한 많은 졸업생의 연락처를 확보하. 려고 하였으나 18 (19.35%)명 의 연락처가 등재되어 있지 않거나 결번이었으 며 특히 다수의 2010년 이전 졸업생의 연락처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또한 연. 구자가 직접 지도 경험이 있는 학생 중 지적 인지적 능력에 뚜렷한 제한이・ 있고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고 대인 관계에 관심이 부 족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보이는 양상이 발견되며 언어 사용이 제 한적이거나 부적절하고 독특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거나 관심의 범위 가 한정되어 있고 특이하며 엉뚱한 반복 행동을 보이는 양상 등이 지속되는 학생 또한 연구자가 직접 지도하지 않았으나 동료교원들의 간접경험 자녀대, , 신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학부모의 학생 및 학적부 자료 등을 근 거로 중복장애 학생 11 (11.83%)명 을 연구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설문에. 응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졸업생은 1 (1.08%)명 으로 30명의 졸업생이 연구에 서 제외되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기초 사항을 제시하면 <표 III-2>과 같다.

(39)

표 설문 참여 졸업생 수 현황

< III-2>

구분 구분 빈도 명( ) 비율(%)

성별 남 25 50

여 25 50

응답자 연령대 만 나이 ( )

20~29 25 50

30~39 14 28

40~49 5 10

세 이상

50 6 12

입학 전 최종학력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 9 18

특수학교 졸업 타 전공과 포함

( ) 35 70

전문대학 졸업 1 2

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4 4 8

기타 1(검정고시) 2

입학 전 학업 공백기간

년 미만

1 24 48

1 4 8

2 1 2

3 4 8

년 이상

4 17 34

입학 전 음악 배운

경험

있다

년 미만

2 4 8

년 이상 년 미만

2 ~4 5 10

년 이상 년 미만

4 ~6 1 2

년 이상 년 미만

6 ~8 3 6

년 이상 년 미만

8 ~10 3 6

년 이상

10 5 10

없다 29 58

(40)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연구에 참여한 졸업생들의 성별을 보

< III-2>

면 남 여 각각・ 25 (50%)명 로 동일하였다. 연령대는 20~29세 25 (50%),명 세 명 으로 최근에 졸업하여 사회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인 30~39 14 (28%)

대가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세 이상 명 과

20~30 50 6 (12%) 40~49

세 4 (8%)명 에 불과했다.

음악전공과 입학 전 최종학력으로는 특수학교의 고등부나 타 전공과를 졸 업한 학생은 35 (70%)명 으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일반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는 9 (18%), 4명 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소지한 학생은 4명

검정고시 명 였다 음악전공과 입학 전 학업의 공백기간을 보면

(8%), 1 (2%) . 1

년 미만이 24 (48%)명 이 응답하였고, 4년 이상 공백을 두고 입학을 했다고 응답한 졸업생이 17 (34%)명 이었다. 1년 뒤에 입학하였다고 응답한 학생은 4 명(8%)으로, 3년 뒤에 입학하였다고 한 응답자 수가 동일하였고, 1 (2%)명 이

년의 공백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2 .

음악전공과 입학 전 음악을 배운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졸업생이 29명 였으며 있다고 응답한 졸업생은 명 였다 이 중 년 이상 음

(58%) 21 (42%) . 10

악을 배운 사람과 2년 이상~4년 미만 배웠다고 응답한 졸업생이 각 5명 으로 나타났다 음악을 배운지 채 년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졸업생

(10%) . 2

이 4 (8%), 6명 년 이상~8년 미만, 8년 이상~10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졸업생 도 각 3 (6%)명 로 응답하였으며 4년 이상~6년 미만 이라고 응답한 졸업생은

명 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졸업생들의 평균 음악학습 기간은 약 년

1 (2%) . 6 8

개월이었으나 최소 9개월에서 최대 30년으로 상당히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졸업생들의 시각장애 등급 시각장애 발생시기 주로 사용, , 하는 문해매체 점자 혹은 묵자악보의 독해 가부를 제시하면, <표 III-3>과 같다.

(41)

표 음악전공과 졸업생의 시각장애 관련 현황

< III-3>

변인 구분 빈도 명( ) 비율(%)

시각장애 등급

1 46 92

2 2 4

3 1 2

4 1 2

시각장애 발생시기

태어날 때 26 52

만 세 이전2 5 10

만3~6세 1 2

만7~18세 9 18

만19세 이후 9 18

주로 사용하는 문해매체

점자 31 62

묵자 7 14

음성자료 12 24

점자 혹은 묵자악보

읽을 수 있다 47 94

읽을 수 없다 3 6

명의 응답자 중 시각장애 급은 명 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급

50 1 46 (92%) , 2

명 급과 급은 각각 명 로 나타났다 선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갖 2 (4%), 3 4 1 (2%) .

고 태어났다고 응답한 사람은 26 (52%)명 였고 만, 7~18세와 만19세 이후에 시각장애가 발생했다고 응답한 졸업생은 각각 9 (18%)명 였으며 만, 3~6세에 시각장애가 발생했다고 응답한 졸업생은 1 (2%)명 뿐이었다 주로 사용하는. 문해매체로는 점자 31 (62%),명 음성자료 12 (24%),명 묵자 7 (14%)명 순으로 나타났다. 점자 혹은 묵자악보를 읽을 수 없다고 응답한 졸업생은 47명

로 읽을 수 없다고 응답한 사람은 명 에 불과하였다

(94%) 3 (6%) .

(42)

연구 도구 3.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시각장애 특수교육대상자를 파악하는데 있어 일반적으로 조사하는 문항들과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특성 및 음악전공 과 교육과정과 음악전공자들의 보편적인 진로를 고려하여 연구자가 구성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크게 응답자들에 관한 인적사항 및 장애구 분을 묻는 기초조사 부분 음악전공과 교육과정의 실태 및 주관적 만족도를, 묻는 전공과 교육 졸업 이후 현재의 진로 및 주관적 만족도와 음악전공과,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묻는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기초조사에 관한 질문은 성별 연령 시각장애 등급 시각장애 발생시기 음, , , , 악전공과 입학 전 최종학력 최종학력과 음악전공과 입학까지의 기간 음악전, , 공과 입학년도와 연령 졸업 연령 학업에 주로 사용하는 문해매체 묵자 혹, , , 은 점자악보의 독해여부 음악전공과 입학 전 음악을 체계적으로 배운 기간, 등 총 11문항이다.

전공과 교육에 대한 잘문은 음악전공과 진학을 선택한 이유 전공과에서, 제공받은 학습지원의 만족도 전공과 교사의 시각장애에 대한 이해 수준 정, 도 전공과 교사의 강의에 대한 전문적 능력 수준 정도 강의시간 확보 여부, , , 전공과 개설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전공과 교사와의 관계 정도 졸업 후 진, , 로지도에 대한 만족도 전문학사 학위 취득 여부 등 총, 9문항이다.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질문은 현재 주거 형태 현재의 취업 또는 진로 음악, , 과 관련된 경제활동 여부 음악과 관련된 비영리 사회활동 여부 음악전공과, , 의 운영 방향 등 총 6문항이다 음악과 관련된 경제활동 여부를 묻는 질문에. 는 응답에 따라 2개의 하위영역으로 나뉜다 경제활동을 하는 응답자의 경우. 현 근무처의 재직기간 일일 평균 근로시간 근무지 음악활동의 만족도 월평, , , 균 소득 음악적 능력에 비례한 현재 소득에 대한 만족도 전공과 교육의 취, ,

(43)

업 및 경제활동에 대한 영향력 여부 등 하위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 악관련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할 경우 음악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 음악과 관련된 경제활동 희망 여부 등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설문지. 의 구성과 주요내용을 제시하면 <표 III-4>와 같다.

표 설문지의 구성과 주요내용

< III-4>

영역 구분 주요내용 문항 수 하위 문항

기초 사항

사회학적 특성

성별

·

현재 연령

·

입학 전 최종학력

·

최종학력과 전공과 입학과의 공백기간

·

입학년도 당시 연령

· ,

졸업 연령

·

입학 전 음악교수 경험

·

11 11-1

장애특성

시각장애 등급

·

시각장애 발생시기

·

사용하는 문해매체

·

점자 또는 묵자악보 독해여부

·

전공과 교육

음악전공과 선택 이유

·

학습지원

·

교사의 시각장애 이해수준 및 전문성

·

강의시간

·

교과목 편성

·

교사와의 관계

·

진로교육

·

학위취득 여부

·

9 -

졸업 후 진로

주거 형태

·

현재 취업 진로 상황

· /

음악과 관련된 경제활동 상황 및 만족도

·

음악과 관련된 비영리활동 상황 및 만족도

·

향후 전공과 운영방향

·

6 23-1~6, 24-1~2

(44)

연구 절차 4.

예비 조사 1)

연구자는 맹학교 전공과 학점은행제도 운영 및 개선에 관한 선행논문 박( 중휘 장덕자, , 2003)을 근거로 이 연구에서 사용할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 다 특수교육 전공 분야 교수. 1인과 두 차례 수정하였고 수정된 질문지의 타 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2015학년도 졸업생 2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조사 결과를 근거로 특수교육 전공 분야 교수와 협의하 여 수정을 한 후 2013, 2014학년도 졸업생 3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차례의 예비조사 기간은. 2015년 9월 11일부터 9월 15일까 지였다. 2차 예비조사 결과를 근거로 특수교육 전공 분야 교수와 협의하여 소요시간 10분 내외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구성하였다.

본 조사 2)

본 설문의 실시기간은 2015년 9월 16일부터 10월 3일까지였다 설문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서울에 소재한 E대학교 사범교육대학 특수교육학 과 재학생에게 본 설문을 대행하여 실시하여 줄 것을 의뢰하였고, 2차례에 걸친 사전교육 이후 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대행자는 본 연구자의 사전. 교육대로 시각장애인의 전화수신에 대한 어려움 및 생업에 대한 피해 및 요 일별 시간대별 전화수신 부재의 최소화를 위하여 설문 실시 당일 오전에 휴, 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설문 실시 시간에 대한 사전알림과 전화수신이 가능한 시간대를 묻는 문자를 전송하였다 총. 63명이 설문에 동의하였으나 수술 해, 외 출국 등의 개인 사유로 설문에 응하지 못한 경우와 3차례에 걸쳐 사전알 림문자와 전화를 하였으나 끝내 전화 수신이 되지 않은 13명이 설문에 응하

(45)

지 못하였으며 최종적인 설문 응답자 수는 50명이었다.

자료 분석 5.

이 연구에서는 음악전공과 교육 및 진로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을 사용하였다 중복응답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백분율과 반응백분율. 을 각각 산출하였다.

(46)

연구 결과 .

본 연구는 음악전공과의 교육 및 진로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 었다 이 장에서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음악전공과 졸업생 중. 50명을 대상으 로 전화를 통하여 설문조사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전공과 교육 1.

음악전공과 진학 선택의 이유 1)

음악전공과 진학을 선택한 이유에 대한 응답 결과를 제시하면 <표 IV-1>

과 같다.

표 음악전공과 진학 선택의 이유

< IV-1>

구분 빈도 명( ) 케이스백분율(%) 반응백분율(%)

음악대학 신・편입학 14 28 15.4

전문학사 학위 취득 20 40 22.0

장애인 예술단체 취업 25 50 27.4

음악적 기술과 음악성의 향상

등 자기개발 23 46 25.3

여가활용 5 10 5.5

이료전공 외에 선택할

전공과가 없어서 2 4 2.2

기타 2 4 2.2

91 182* 100

복수응답임

* .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애인 예술단체 취업 으로 응답한 졸업

< IV-1> ‘ ’

참조

관련 문서

시간을 거꾸로 돌리면 일어날 수 없는 일이 되는 경 우(실제로 모든 경우).. Ø 거시세계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사건 영화 필름을

IV. 성공적인 국제합작투자와 전략적 제휴의.. 사례: Volkswagen의 중국합작투자.. ƒ 중국에 많은 해외직접투자가 이루어지면서 특히 합작투자 형태의 진출이

가정의 김장 수요를 촉진할 수 있는 대책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의 식품안전성 우려 를 해소하기 위해 김치 및 절임배추의 위생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칼슘을 많이 섭취하고 싶다면 공복상태에서 위장 내의 pH가 낮을 때 마시는 것이 좋음.. 더 많은 칼슘 분자가

현재 국내에서 근골격계 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직종은 대부분 제조업 으로 자동차업종,조선업종 그리고 전자업종순으로 발생하고 있다.이는

물을

Random Forests는 과학계는 물론 산업계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으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알고리즘 중에 하나입니다.. Random

대상자의 체중조절행위 정도를 비교한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정상적인 체중조절 행위와 극단적인 체중조절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여학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