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acute{e}$veloppement d'un Programme d'$\acute{E}$cotourisme dans la R$\acute{e}$gion de Yeosu en Coree du Sud: le Cas de l'$\hat{I}$le de Sado et de son Relief Caract$\acute{e}$ristiqu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D$\acute{e}$veloppement d'un Programme d'$\acute{E}$cotourisme dans la R$\acute{e}$gion de Yeosu en Coree du Sud: le Cas de l'$\hat{I}$le de Sado et de son Relief Caract$\acute{e}$ristique"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지형 특성에 기반한 여수시 사도일원의 생태관광 프로그램 구성

이 정 훈*

Deˊveloppement d'un Programme d'Eˊcotourisme dans la Reˊgion de Yeosu en Coreˊe du Sud: le Cas de l'Iˆle de Sado et de son Relief Caracteˊristique

Lee, Jeong Hun*

요약:우리나라 남해안, 특히 여수반도 주변의 도서들은 수많은 반도와 만, 섬 등의 자연경관으로 특별한 관심을 불러 일으킨다. 이와 같은 자연경관을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잘 보존하는 노력 또한 중요 하다. 현재 사도를 비롯한 여수시의 많은 도서들은 빼어난 자연경관에 비해 생태관광해설이 미비한 편이며, 자연경관 또한 염풍화와 침식으로 보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맥락 속에 여수시 사도일원 의 자연경관에 대한 조사를 통해, 생태관광지 선정 기준에 의한 생태관광 탐방로를 개발하고 생태관광해설 프로그램 을 제시함으로써 생태관광의 활성화와 지역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사도일원은 사도의 사빈과 해식애, 중도의 공룡화 석지와 연흔⋅건열, 시루섬의 육계사주와 응회암층 노두⋅암맥, 장사도의 풍화혈과 암맥, 그리고 나끝∼추도 구간의 해할 현상 등의 생태관광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생대 퇴적층 및 화석과 관련된 지형들이 발달하였다. 탐 방경로는 사도 선착장을 기점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구성된다.

주요어:자연경관, 생태관광자원, 생태관광해설, 생태관광 탐방로, 생태관광해설 프로그램, 공룡화석지

Reˊsumeˊ:La côte méridionale de la Corée du sud, et principalement la ville de Yeosu et ses environs présentent un intérêt particulier puisque le paysage offre de nombreuses presqu'îles, baies et îles. Pour tirer profit de ces paysages naturels il est d'abord néssaire de les protéger. Malgré la haute valeur de ces paysages naturels, ils demeurent peu connus et les analyses écotouristiques de la ville de Yeosu et ses environs sont encore incomplètes.

Par ailleurs, la protection de ces paysages naturels est rendue difficile par la désagrégation dûe aux sels haloïdes.

Cette recherche a pour objet l'étude du tourisme physico-écologique et sa contribution au développement économique d'une région de Yeosu en Corée du sud. Nous nous intéressons particulièrement au développement d'une route écotouristique, aux critères de sélection du lieu écotouristique et à la présentation des explications touristiques, en tenant compte de l'île de Sado et de ses paysages naturels sur le plan de l'écotourisme. Il y a plusieurs ressources écotouristiques sur l'île de Sado et dans ses environs: la plage de sable et la falaise de l'île de Sado; les traces fossiles de dinosaures, la ripple-mark et la crevasse dans le sol boueux de l'île de Joungdo; le tombolo, l'affleurement tufacé et le dyke de l'île de Silouseom; le trou provoqué par les sels haloïdes et le dyke de l'île de Jangsado; la mer asséchée entre l'île de Naquek et l'île de Choudo. On a, généralement, développé les reliefs liés à la couche sédimentaire et les fossiles de la dernière période du mésozoïque. La route écotouristique part de l'embarcadère de l'île de Sado et continue du Nord jusqu'au Sud.

Mot-cleˊ:paysage naturel, ressources écotouristiques, explication écotouristique, route écotouristique, programme d'explication écotouristique, lieu des fossiles de dinosaures

1. 서 론

1)

1) 연구 목적과 방법

“관광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 전략산업으로 인식되면서 관광시장을 선점하기 위 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09).”

최근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관광형태는 복잡⋅다

양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관광자의 여 행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기존의 대중관광 패턴에 서 탈피하여 전문적인 지식습득과 체험, 참여 형 태의 생태관광 등으로 바뀌면서 특수목적관광 수 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학계 연구도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새 로운 형태의 관광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박미 영, 2011; 전영권, 2011; 최재우, 2006; 문창현,

* 여수화양고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Professeur de géographie au lycée de Yeosu-Hwayang, Étudiant en master de l'université de Corée nationale de l'éducation)(que-sais-je@hanmail.net)

(2)

그림 1. 연구지역 개관

2006; 곽행구, 2006; 오정준, 2003). 이러한 연구 들은 지오투어리즘이나 갯벌⋅해양자원에 관한 생 태관광프로그램, 지속가능한 관광 등을 주제로 수 행되어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관광자원을 발굴 하고 설명하는 데 있어서 그 기저를 이루는 자연 경관에 대한 밑그림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연경관에 대한 이 해를 바탕으로 한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구성해 보 고자 한다.

먼저 연구지역으로서 여수시 사도(沙島)일원을 선정하였다(그림 1). 일반적으로 생태관광의 대상 지는 자연경관지역, 야생생물 서식지, 식생군락지, 해양자원⋅지질자원 보유지, 그 외 생태체험 등이 있는 지역으로 생태마을, 생태공원, 식물원, 수목원 등(최재우, 2004)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본 연구에 서는 자연경관지역 중 지형⋅지질경관자원을 주요 대상지로 삼았다. 그 이유는 이 지역에 대한 관광자 의 관광목적지 요인별 만족도 조사에서 자연경관 부문이 가장 높게 나왔기 때문이며(곽행구, 2006), 전남지역 관광자원의 매력도 연구에서도 갯벌, 다 도해, 섬 등의 해양형 관광자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전라남도⋅전남발전연구원, 2010).

사도일원은 2000년 12월 중생대 백악기로 추정 되는 공룡발자국화석이 발견되어 전라남도 지정문 화재로 지정된 곳이다. 여수시 사도일원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공룡발자 국화석지로서 세계최장 보행열의 발자국 화석을 보유하고 있다. 게다가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류와 화성암류를 같은 장소에서 볼 수 있어 다양하고 독특한 자연경관을 접할 수 있다. 또한 이곳은 여 수반도에서 비교적 멀지 않는 곳으로서 자연경관 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블루벨트(blue belt)지역으 로 생태관광과 교육체험이 가능하다. 특히 자연경 관은 지형학이나 자연지리적 측면의 주요 특징을 포함하고 있어 세계유산지역으로 선정될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생태관광자원 선정기준을 토대로 사도일원의 자연경관을 평가하 여 생태관광자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둘째, 생태 관광자원에 대한 지형 및 지질 특성을 조사하여 생태관광지와 탐방경로를 구성하는 데 있다. 셋째, 사도일원의 생태탐방지에 대한 생태관광자원 해설 의 예시를 통해 실제 활용 가능한 관광해설표지를 재현해 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 는 문헌연구와 현지답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생태 관광에 관한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함으 로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문제점과 대안을 도출 하여 연구의 기본 틀을 확립했다. 검토대상 문헌 은 지리학, 지질학, 생태학, 관광학, 환경교육 분야 등 여러 분야를 망라하였다. 둘째, 이러한 문헌연 구의 토대 위에 연구지역의 생태관광자원이 될 수 있는 지형 및 지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지답 사를 실시하였다(2010년 7월∼8월, 2011년 2월).

2) 여수시 및 사도일원의 자연환경

여수시는 여수반도부와 도서부를 포함하는 남해 안 지역의 대표적 항구도시이다. 2012년 세계박람 회 개최지로 선정될 만큼 국제 관광도시로서 높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여수시는 남해안 관광벨트 의 중심지역에 입지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동북 아시아 지역의 중심권으로 일본이나 중국을 연계 할 수 있는 새로운 관광거점 도시로서 성장가능성 이 높으며, 동중국해와 태평양을 향해 뻗어가는 관문에 해당된다.

지형적 측면에서 살펴볼 때 여수시는 리아스식

(3)

해안으로 형성된 천혜의 해안절경을 가지고 있으 며, 다도해⋅한려해상국립공원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해양⋅수산자원을 가지고 있다. 여수시의 도서지 역은 남해안에 속하면서, 상대적으로 조류가 우세 한 서해안권과 파랑이 우세한 동해안권의 점이지 역으로서 두 권역의 속성이 함께 나타나며, 광양 만, 여수만, 가막만 등은 수심이 깊어 항구로서 최 적의 천연적 조건을 갖춘 내해이다. 따라서 각종 수산업과 양식업을 비롯하여 해양레저, 휴양시설 의 입지로 적합한 자연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여수시는 온난 다습한 해양성 기후를 가지 고 있다. 바다와 난류의 영향으로 비교적 한서의 차가 적고, 겨울기온이 온난하여 이 지역의 관광 개발에 매우 유리한 기후적 여건이 될 수 있다. 육지에서 볼 수 없는 도서지역의 독특한 자연경관 과 온화한 해양성 기후, 그리고 동백나무, 후박나 무 등 상록활엽수종으로 다른 지역과 비교우위의 관광자원을 갖추고 있다.

사도일원은 여수반도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지 질은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와 퇴 적암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고봉은 해발 49m이다. 섬 남쪽에 암석해안이 발달하였고, 중도 와 시루섬(甑島) 사이에 육계사주가 발달하였다.

사도일원은 사도, 중도, 시루섬, 장사도, 나끝, 연 목, 추도 등 7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수 시 화정면 적금도⋅낭도⋅목도와 함께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바 있다. 해안에는 기암절벽이 많 아서 이순신 장군의 눈에 띄어 거북선을 구상하게 했다는 장군바위를 비롯하여 용꼬리를 닮은 용미 암 등 갖가지 전설이 숨어 있는 바위들이 많다. 즉 관광자원으로 스토리텔링할 소재가 많으나 스 토리텔링의 경우, 자연경관에 대한 일반 관광자의 이해를 돕는 장점이 있지만, 자칫 전승설화 속의 담론으로 빠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 설기법에 있어 스토리텔링보다는 정확한 자연지리 적 사고에 입각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2. 생태관광의 정의와 선행연구 검토

1) 생태관광의 정의

생태관광(ecotourism)은 기존의 대중관광(mass

tourism)에서 산업화에 따른 산업공해와 현대도시 인들의 건강⋅휴식⋅탐사 등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 그리고 관광목적지의 문화 및 환경파괴 위 협에 대한 반작용으로 대안관광(alternative tourism) 이 대두되면서 형성되었다. 생태관광의 기본개념 은 생물자원의 유지, 재생가능한 자원고갈의 최소 화, 자원이용에 따른 혜택의 확대, 지역주민의 참 여로 요약할 수 있으며, 자연경관이 양호한 지역 이나 그 지역 내의 전통적 생활방식과 문화가 잘 보전된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체 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관 광개념이다(곽행구, 2006). 또한 생태관광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지오투어리즘과 비교하였을 때, 관 광자원 유형 중 무생물자원을 주된 대상으로 하는 지오투어리즘에 비해 생물자원과 무생물자원 그리 고 문화적 자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지속가 능한 관광 측면에서 지역민의 참여와 경제적 편익 을 상대적으로 비중 있게 고려한다는 점에서 지오 투어리즘과 구별된다.

생태관광에 대해 여러 학자나 단체가 정의한 내 용을 살펴보면, Ceballos-Lascuráin(1983, 1988)은 생태관광이란 말을 처음 사용하였고, 생태관광 대 상에 문화유산, 자연경관, 동식물 등을 포함시켰 다. 또한 Butler(1989)는 환경의식에 대한 의식 고 양과 관광에 의한 관광지의 영향에 대해 언급하였 으며, Fennell(1999)은 지역주민의 생태관광에 대 한 직접참여와 환경에 대한 관광의 영향을 중시한 지속가능한 관광을 표방하였다. 반면에 WTO(World Tourism Organization, 2000)는 지역발전과 생태 계 보존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관광을 언급하였 으며, 한국관광공사(1996)는 자연관광과 동식물 보호⋅보전 등을 중시하고 있다. 이들 내용을 종 합하면, 생태관광은 ① 자연지역에 대한 여행, ② 자연이나 환경에 대한 보전, ③ 지역주민의 참여 에 의한 지속가능한 관광, ④ 지역사회나 주민에 대한 경제적 편익과 전통 문화의 보존, ⑤ 환경에 대한 교육 등을 포함하는 관광으로 정의해 볼 수 있다.

2) 선행연구 검토

최근 10년 동안 자연생태계를 지속적으로 보존

(4)

하고, 환경보존과 연계된 지속가능한 발전의 지표 나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다루는 연구들이 국내외 적으로 나오기 시작했다(Stefanova, 2010; Wenjun Li, 2004; Weaver, 2007; Gulinck et al., 2001;

문창현, 2006; 최재우, 2006; 곽행구, 2006; 오정 준, 2003). 그러나 기존의 생태관광 프로그램 연구 는 갯벌 생태계나 탐조활동, 문화⋅역사 위주의 특정 분야에 치중하여 자연경관에 대한 생태관광 연구는 다소 소홀히 다뤄졌다. 그동안 우리나라 정부부처에서 실시했던 기존의 관광연구들도 도서 지역을 테마로 관광 개발과 도서지역의 경제 활성 화라는 측면에서 주로 논의되었다(문화체육관광부, 2010, 2008).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함께 자연경관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지오투 어리즘 등 관련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으나(박미영, 2011; 전영권, 2011, 2005), 지형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이나 일반인들에게 대중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은 그 연구 역사 가 짧은 편이다.

생태관광과 관련한 최근 외국 학계의 연구는 크 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생 태관광지의 관광전략에 관한 연구이다(Hong Zhu et al., 2006; Williams, 2006). 예컨대, Hong Zhu et al.(2006)은 중국 하이난 섬이 지니고 있는 기 후적 이점을 이용하여, 관광전략을 수립하였고, 관 광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는 생태관광 교육과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 한 자연 보존에 관한 연구이다(Stefanova, 2010;

Wenjun Li, 2004; Gulinck et al., 2001). 주요 연 구로서, Stefanova(2010)는 생태관광 교육과 생태 교육 목표의 활용에 대해 검토하여 불가리아의 생 태관광지를 사례로 자연관광과 경승지 방문, 관습 과 축제 경험에 의한 생태관광을 소개했다. Wenjun Li(2004)는 티앤무산 자연 보존을 사례로 생태관 광에 대한 환경 조정지표를 연구했다. 그는 ‘압력 -상태-반응’ 개념 모델에 기초한 자연 보존에 대 한 생태관광 조정 지표를 마련하였는데,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에 적용 되었다. Gulinck et al.(2001)은 짐바브웨를 사례로 지역적 지속가능성과 생태관광을 연계하는 구조로 서 경관을 연구하고자 했다.

셋째는 관광이 지역사회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이다(de Haase, 2002; Priskin, 2003;

Newsome, 2002). de Haase(2002)는 남태평양의 니우에(Niue) 섬 연구를 통해 관광이 도서지역의 수용능력을 초과하게 되면, 관광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변화상태가 회복 불능으로 되기 때문에 신뢰성이나 언어, 관습, 의상의 변화가 초래될 것 이라고 주장했다.

마지막 유형으로는 코스타리카나 쿠바를 사례로 생태관광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관한 연 구가 있다(Honey, 1999). 이상에서 살펴본 해외 연구는 주로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에서 환경보존 을 위한 지표(指標)개발이나 특이 동식물 서식지 에 대한 보호와 관찰, 환경보존교육, 관광이 미치 는 영향 측면에서 논의되어졌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지속가능한 관광 범주에서 생태관광의 환경보존 지표나 개발방향에 대한 논 의가 진행되어왔으나 이를 지속적 관심으로 이끌 어내어 확산하는 데는 미치지 못했다. 생태관광과 관련한 국내 학계의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 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지오투어리즘을 포함 한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박미 영, 2011; 한국관광공사, 2009; 곽행구⋅김농오⋅

김지인, 2008; 최재우, 2006, 2004; 전영권⋅손명 원, 2004). 지오투어리즘은 최근에 들어와 연구되 는 분야로서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연구한다는 점 에서 본 연구와 유사하다. 박미영(2011)은 지오파 크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홍도 유람선 선상해설 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관광공사(2009) 는 생태관광과 유사한 개념인 녹색관광 추진전략 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녹색관광에 대한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녹색관광 상품개발전략을 제시하 였다. 곽행구 등(2008)은 전남 서부지역의 갯벌 및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생태체험 관광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 을 제시하였다. 최재우(2006)는 피지의 생태관광 을 사례로 생태관광시설과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국내 생태관광에 시사하는 점을 모색하고자 했다. 전영권⋅손명원(2004)은 비슬산 화강암 지형자원 을 대상으로 학습탐방로를 개발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지형자원을 일반인이나 학생들 도 이해할 수 있게끔 쉬운 용어로 설명한 점이 돋 보인다.

(5)

출처: 박계헌 등, 2003

그림 2. 적금도, 낭도, 사도일원의 지질도 둘째는 생태관광 개발 사례이다(문창현, 2006;

오정준, 2003). 먼저 문창현(2006)은 전남 순천만 일대를 사례로 생태관광의 개발방향과 장소마케팅 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순천만이 가지 는 관광지의 속성을 SWOT분석을 통해 지속가능 한 관광의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생태관 광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오정준 (2003)은 생태관광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제주 도의 지속가능한 관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제주도 의 관광개발 과정과 생태관광지의 관광영향 및 지 역주민의 환경의식을 파악하였다.

관광은 21세기 국가전략사업으로 세계 각국이 관심을 갖는 분야이다. 환경보존과 관광활동이 조 화를 이루면서 지역 경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선순환(善循環) 구조로 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태 관광해설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 한 자연경관의 보존활동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가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 되는 것은 첫째, 국⋅도립 공원에 속하지 않은 도서지역에 대한 생태관광 목 적의 자연경관 조사와 생태관광 탐방로 구성에 있 다. 둘째는 자연경관에 대한 지식⋅정보 전달의 기존의 해설과는 달리 규모(scale)와 비교 지역적 관점에서 해설을 시도하려는 점이다.

3. 사도일원의 생태관광자원 분석과 특성

사도일원은 여수시 화정면에 속하는 0.34㎢ 면 적의 조그만 섬들로 바다 한가운데 모래로 쌓은 섬 같다고 해서 모래섬이라고 했으며, 임진왜란 당시 성주 배씨가 이곳을 지나다가 해초(海草)가 많아 살기 시작했다고 전해지고 있다(여수⋅여천 향토지편찬위원회, 1982).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며, 부업으로 민박과 낚싯배 대여 등 관광 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민은 총 44명(2010.12 기 준)으로 심층면담에 의하면 주민들은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며, 관광업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 고 있다. 지역주민이 관광자원으로 가장 많이 추 천하는 곳은 사도일원인 시루섬의 지형들과 중도 의 공룡화석 등 자연경관이 대부분이다1). 따라서 이들 자연경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생태관광 해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사도일원이라 함은 사도, 중도, 시

루섬(증도), 장사도, 연목, 나끝, 추도 등 7개 섬을 포함하는 지역을 일컫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 중 추도는 나머지 섬과 선편이 연결되지 않아 접근성 이 불편하다. 따라서 추도는 본 연구에서 별도의 지역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사도일원은 고흥반도 와 여수반도 사이에 자리 잡고 있어 외해의 영향 이 거의 미치지 않는 해역으로 비교적 수심이 얕 아 다양한 퇴적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여건을 지 니고 있는 곳이다. 사도일원에서 공룡발자국화석 이 발견된 지점은 대부분 해안가에 위치하며, 파 도와 조류의 침식작용으로 해안가의 퇴적암층이 노출되면서 화석이 드러나게 되었다. 사도일원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류와 화산암류로 구 성되어 있다(그림 2). 퇴적암층은 주로 여수시의 적금도, 낭도, 사도, 추도, 돌산도 및 묘도 등 도서 에서 소규모로 분포하는데, 적금도-낭도-사도-추 도로 이어지는 곳에서 비교적 노두가 잘 나타나 며, 그곳에는 층리, 층서구조 및 생흔화석(生痕化 石)들이 잘 드러나 있다.

1) 생태관광자원의 발굴

본 연구에서는 사도일원의 생태관광자원을 발굴 하기 위해 먼저, 사도일원의 자연경관을 환경부⋅

(6)

지형 평가 항목 기 준

대표성 지형조사 분류표에 제시된 단위 지형의 성인, 특성, 형태 등이 전형적으로 잘 나타나거 나, 각각의 지형을 대표하는 것일수록 높다.

희소성 고층습원, 사구 등 자연발생빈도가 적은 것이거나, 지역적으로 편재되어 있는 것, 또는 지역성 특성에 따른 상대적 희소성이 높을수록 높다.

특이성 특이한 자연현상과 관련된 것일수록 높다(예: 간헐천, 풍혈).

재현가능성 자연적 또는 인위적 환경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아 변형되기 쉽고, 현재의 환경에서 다시 형성되기 힘든 것일수록 높다.

교육적 가치 지형학 분야의 연구와 자연교육의 대상이 되는 것일수록 높다.

자연성 자연 상태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인위적인 훼손이 적은 것일수록 높다.

다양성 동일 지형 요소로서 군집형태로 대상으로 분포하거나, 동일 지역내에 다양한 지형이 나 타나는 것일수록 높다.

규모 일반적인 출현 형태에 비해 규모가 큰 것일수록 높다. 출처: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2008)

표 1. 지형 평가 항목

지 역 분 류

사도 중도 시루섬 장사도

유형 평가 유형 평가 유형 평가 유형 평가

해안지형 Coastal landform

침식 및 풍화지형

해식애 ○ 6 ○ 5 ○ 5 ○ 4

해식동 - - - -

파식대 ○ 5 ○ 5 ○ 4 - -

시스택 ○ 5 ○ 4 ○ 3 ○ 4

시아치 - - - -

노 치 ○ 5 - - ○ 4 - -

마린포트홀 - - - - ○ 4 ○ 3

해안타포니 - - ○ 5 ○ 3 ○ 8

퇴적지형

간석지 - - - -

염습지 - - - -

자갈해안 - - - -

모래해안 ○ 6 - - ○ - - -

사 주 - - - -

육계사주 - - - - ○ 6 - -

육계도 - - - - ○ 4 ○ -

범(berm) ○ 5 - - ○ 3 - -

특수지형 해할 현상 ○ 6 - - - -

주요 지질 현상

암 맥 ○ 4 ○ ○ ○ 5 ○ 7

절 리 ○ 4 ○ ○ ○ 5 ○ 5

층서구조 ○ 4 ○ ○ ○ 7 - -

화 석 - - ○ 7 ○ 5 - -

: 1. 해안지형의 지형단위 중 연구지역과 관련이 없는 일부 항목은 생략하였으며, 해할 현상과 주요 지질 현상은 기 연구된 논문(허철호⋅김성용⋅윤성택, 2005)에서 추가된 항목임.

2. 화석에는 공룡발자국과 연흔, 그리고 건열이 포함됨.

3. 나끝과 연목은 ‘여(嶼)’에 해당되기 때문에 자연경관 유형에서 제외하였고 추도는 추후에 논의하고자 함.

4. 본 표의 숫자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평가 항목(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08)에 나와 있는 8개 분야 중에 만족되는 항목 수를 의미함.

표 2. 여수시 사도일원의 자연경관 유형 및 평가

(7)

34˚35'27˝N/127˚33'22˝E, 2010.07.26 촬영.

그림 3. 사도 퇴적층 노두(좌)와 사도 사빈(우) 국립환경과학원(2008)이 분류한 경관요소를 기준

으로 분석하였다(표 2). 사도일원은 사빈, 해식애, 풍화혈, 공룡화석, 연흔, 건열, 암맥, 응회암층 노 두, 육계사주, 해할 현상 등의 특이한 자연경관이 잘 나타난다. 다음으로 사도일원의 다양한 자연경 관 요소들이 생태관광자원으로서 어떠한 가치를 갖는지를 평가했다. Chubb and Chubb(1981)에 의하면 자원은 ‘개발된 자원(developed resources, 인프라와 관련된 인위적 자원)’과 ‘미개발된 자원 (undeveloped resources, 자연환경에 기초한 자원)’

으로 구분하는데 미개발된 자원에는 기복과 지형, 지표 물질(암석, 화석) 등이 포함된다(Fennell, 2008).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개발된 자원(undeveloped resources)’을 대상으로 지역적 scale에서 제3차 전 국자연환경조사 지침(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08) 에서 제시한 항목 중 대표성, 희소성, 특이성, 재 현 가능성, 교육적 가치, 자연성, 다양성, 규모 등 8가지 평가항목을 이용했다(표 1). 이 가운데 6가 지 이상의 항목을 만족하는 지역을 주요 생태관광 자원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평가에 의하면 사도의 사빈과 해식애 는 사빈과 그 주위에 중생대 퇴적층 노두가 잘 나 타나 그 당시 자연환경을 잘 대변하고 있는 곳이다. 중도 해안은 공룡발자국화석과 연흔, 건열 등이 나타나며 당시 기후환경을 반영하는 화석들이 많 이 발견되고 있다. 시루섬 역시 지각이 형성될 당 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응회암층이나 암맥, 그 리고 육계사주 등이 자연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 어 학술적⋅교육적 가치가 높다. 장사도는 사도일

원의 중생대 퇴적층에 나타난 신생대 3기 때 화성 활동을 설명해줄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암맥이 잘 발달해 있으며, 특히 풍화혈의 규모는 여타 지역 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폭이나 높이 면에서 규 모가 크다. 끝으로 ‘나끝∼추도’ 구간은 해할(海割) 현상이 나타나는 곳으로, 영등사리나 백중사리 때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해저 평탄면이 드러나며 주 변의 7개의 섬이 하나로 연결된다. 요컨대, 사도일 원은 중생대 백악기 공룡들이 가장 늦게까지 활동한 지역으로서 각종 화석과 노두를 통한 자연사 공부 에 적합한 곳이며, 이들 자연경관이 어떻게 형성 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생태관광의 적지이다.

2) 생태관광자원의 특성

본 절에서는 사도일원의 자연경관 중 생태관광 자원으로 선정된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지형 및 지 질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1) 사빈과 중생대 퇴적층 노두(사도 사빈과 해 식애)

사도일원의 사도 사빈은 사도 선착장을 지나서 나타나는데, 길이 약 300m, 폭 10m 가량의 사빈 으로 구성 물질은 전빈(fore-shore)의 조립질 모래 와 후빈(back-shore)의 pebble급 각력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일부 패각사가 섞여 있다. 사빈의 가장 자리에 중생대 백악기 퇴적층의 노두가 잘 드러나 있는데, 이 퇴적층은 흑색⋅암회색의 사암, 실트스 톤 및 셰일로 구성된 해식애에 해당된다(전남대학

(8)

34˚35'24˝N/127˚33'22˝E, 2010.07.26 촬영.

그림 4. 중도의 공룡발자국 화석(좌)과 연흔(우) 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여수시, 2002). 이곳의 층리

는 반복층리 형태로 사암과 셰일이 반복되어 나타 나는데, 이는 퇴적물질의 입자별에 따른 유속과 유량의 차이로 형성된 것이며, 퇴적당시 이 일대 환경이 지각운동이나 화산활동이 없었던 시기의 얕은 호숫가였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그림 3). 특 히 이 퇴적층에 나타나는 캘크리트(calcrete)는 세 립질 석회암으로서 과거 이 일대가 호숫가 하도 (河道)부근이었음을 시사한다. 즉 현재는 바다 가 운데 섬이지만 그 당시에 내륙의 호숫가였다는 점 을 뒷받침하는데, 이는 중생대 육성층인 경상분지 가 오늘날 경상도일원뿐만 아니라 전라남도의 남 해안 지역까지 포함되었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2) 공룡발자국 화석과 연흔, 건열 (중도) 중도 해안에는 풍화된 흑색 이암 퇴적층에 공룡 화석이 잘 나타난다. 이 화석은 조각류(鳥脚類, ornithopod) 공룡발자국 화석으로서 그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다. 사도일원의 공룡발자국 화석지를 남해안의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보면, 이 지역은 공 룡이 가장 늦은 시기(6천 5백만년 전)까지 활동하 던 지역으로서, 조각류 화석이 우세한 지역이며 세계 최장급 공룡발자국 보행열이 발견된 곳임을 알 수 있다(전남대학교 박물관⋅전라남도⋅해남군, 1998;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여수시, 2002;

경남 고성군, 2005).

이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의 경우 시간이 경과 됨에 따라 훼손이 심해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 특히 사도일원 같은 도서지역 해안가 의 퇴적암들은 염풍화와 함께 파랑과 조류에 의한 풍화, 침식작용이 활발하여 급격히 파괴될 수 있 다. 셰일층을 따라 스며들어간 염분은 정출과정을 통해 암석의 박리현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해남 우황리 공룡화석지처럼 화 석 보존을 위한 적절한 보호각 등의 시설을 고려 해 볼 필요가 있으나, 조석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 위치한 화석들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따라 서 화석층을 모사품(replica) 등으로 복제하여 보 존하거나 화석층 자체를 떼어내어 공룡박물관 등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 볼 필 요가 있다.

한편 사도를 비롯한 주변 지역의 퇴적층에는 연 흔이 나타나는데, 연흔이란 흐르는 물이나 파도에 의해 퇴적물이 쌓이면서 퇴적물의 표면에 만들어 지는 요철구조로, 주로 모래 퇴적물에 잘 발달한 다. 사도의 연흔은 대칭형이 주를 이루며 대체로 직선에 가까운 모양을 보이는데, 이러한 특징은 이곳이 중생대 백악기 때에 호숫가였음을 시사한 다(그림 4).

건열은 물속에서 쌓인 퇴적물이 수면위로 노출 되어 퇴적물 내에 들어 있던 수분이 증발됨에 따 라 퇴적물이 수축되면서 나타나는 균열현상이다. 이러한 퇴적물 수축에 의한 균열현상은 응집력이 강한 점토질로 이루어진 진흙 퇴적층에 잘 나타난 다. 또한 건열은 당시 고기후환경이 건조한 시기 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도일원은 건기와

(9)

출처: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여수시, 2002 그림 6. 반복층리로 이루어진 사도일원의 퇴적층 노두 34˚35'20˝N/127˚33'35˝E, 2010.07.26 촬영.

그림 5. 장사도 해안의 거력(좌)과 시루섬의 육계사주인 양면해수욕장(우) 우기가 반복되는 아건조 내지 건조기후였을 것으

로 추정된다.

(3) 응회암층 노두, 암맥, 육계사주(시루섬) 시루섬은 응회암층 노두, 암맥, 풍화혈, 육계사 주, 해식애, 노치 등의 지형이 나타나는데, 이 중 대표성을 지닌 지형은 응회암층 노두와 ‘용미암(龍 尾岩)’으로 불리는 암맥, 양면해수욕장의 육계사주 등이 있다. 특히 응회암층 노두는 화산활동이 활 발하게 일어났던 시기와 화산활동이 휴지기에 들 어갔던 시기의 반복에 의한 퇴적층으로 당시의 화 산활동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 노두이다. 전체적 으로 화쇄류에 의해 쌓인 응회암층이며, 단애를 이루는 노두 하부에 화쇄난류의 특징인 사층리(斜 層離, 경사를 이루는 층리)가 잘 관찰된다. 그 위 에 화쇄류퇴적층의 특징인 분급이 불량하고 무질

서한 퇴적층이 잘 나타난다(전남대학교 한국공룡 연구센터⋅여수시, 2002). 게다가 중도와 시루섬 사이에 모래톱과 거력(巨礫)으로 이루어진 육계사 주가 관찰된다(그림 5). 모래는 패각사를 비롯한 조립질과 세립질의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거력이 나타나는 해안가의 바위에서 풍화혈이 잘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사도일원의 퇴적층은 똑같은 층이 여러 번 반복해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층리를 반복층리(rhythmite)라 하며, 이는 화산활동이나 지각 운동이 없었던 시기에 호숫가에서 형성된 퇴 적층이다(그림 6).

(4) 암맥과 풍화혈(장사도)

장사도의 대표적인 자연경관은 암맥과 풍화혈이 다. 이곳의 암맥은 사도일원에서 가장 나중에 형 성된 신생대 3기 때[38.1±0.8(1σ)Ma]의 암맥이며, 화산암들은 대체로 밝은 회백색 내지 담황색의 유 문암질 응회암으로 매우 국지적인 분포형태를 보 인다(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여수시, 2002).

또한 장사도의 풍화혈은 폭 200m, 높이 40m에 달하는 대규모 풍화혈 지역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 가 크다. 이는 유문암질 응회암이 염풍화 된 것으 로, 외해와 마주보고 있어 해풍의 직접적인 영향 을 받는 지역이기 때문이다(그림 7).

(5) 해할 현상(나끝∼추도)

사도일원의 ‘나끝∼추도’ 구간은 해할(海割, drained sea; la mer asséchée) 현상이 나타나는 곳이다.

(10)

34˚35'10˝N/127˚33'54˝E, 2010.07.26 촬영.

그림 7. 장사도의 풍화혈, 원경(좌)과 근경(우)

34˚35'38˝N/127˚33'24˝E, 2011.02.19 촬영.

그림 8. 나끝∼추도 간 해할 현상 사도는 1년에 2∼3회 2∼3일간 오후 3시경 2시간

동안 길이 780m, 폭 15m 규모로 바닷물이 갈라 져 바닷밑이 드러나는데, 바닷물이 가장 많이 빠 지는 영등사리와 백중사리 때 7개의 섬이 하나로 연결된다(그림 8). 이를 지역에서는 ‘모세의 기적’

이라 부른다. 특이한 점은 해저 구성 물질이 점토 같은 미립물질보다는 화산암의 거력들이 많이 분 포한다는 점이다.

4. 생태관광 탐방경로와 관광해설표지의 구성

1) 생태관광 탐방경로의 구성

본 절에서는 위에서 생태관광자원으로 발굴된 자연경관을 토대로 생태관광 탐방경로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탐방경로의 구성을 위해 다음과 같 은 사항을 고려하였다. 첫째, 관광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생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보여행을 전제로 하였다. 둘째, 섬내 관광편의시 설을 고려하여 전체 탐방경로는 당일 관광에 적합 한 코스로 선정하였다. 이는 섬내에 음식점이나 숙박시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지역의 난개발을 막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관광자2)들이 사도일원을 탐방하자고 할 때, 여수시에서 접근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가 있다. 하나는 여수여객선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방법인데 운항시간은 약 1시간 20분 정도 소요된 다. 다른 하나는 여수시 화정면 백야도 선착장에서 출발하는 방법인데 여수시와 백야도 선착장 간 거 리는 승용차로 40분 정도 소요되며, 백야도 선착장

(11)

자연경관 생태관광자원 탐방 시간 1 사도 사빈과

해식애 해식애(퇴적층 노두), 사빈 퇴적층의 특징과 사빈 구성 물질 30분 2 중도 해안 화석(공룡발자국 화석, 연

흔, 건열) 화석의 유형, 고기후환경과 화성활동 30분 3 시루섬(증도) 응회암층, 육계사주 응회암층의 형성과정과 화성활동, 육계사주

의 구성 물질 30분

4 장사도 암맥, 풍화혈 신생대에 형성된 암맥의 특징과 대규모 풍

화혈 지대의 특징 40분

5 나끝∼추도 해할(海割) 현상 음력 정월∼영등사리 시 7개의 섬이 ‘ㄷ’

모양으로 연결됨 특정 시기

주: ‘나끝∼추도’ 구간의 해할 현상은 대략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서 볼 수 있음.

표 3. 사도일원의 생태관광자원 및 탐방경로

그림 9. 사도일원의 생태관광 탐방경로 과 사도 간 운항시간은 약 40분 정도 소요된다.

이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을 취하더라도 모든 관 광자는 섬 북쪽에 있는 사도 선착장을 통해 섬을 출입하게 된다. 선착장 옆에는 사도관광센터가 있 는데, 자료 미비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곳을 지나 탐방로는 북쪽에서 남쪽으 로 이어지게 되는데, 사도 사빈과 해식애 지역에 서 사빈과 지층노두를 관찰하는 데 약 30분 정도 의 탐방시간이 요구되며, 다음 탐방지는 바로 옆 에 있기 때문에 이동시간은 5분 정도 소요된다.

여기서는 사빈의 구성 물질과 퇴적층의 층리를 눈 여겨봐야 한다. 다음으로 중도해안에서 관광자들 은 공룡발자국화석과 연흔, 건열, 암맥 등을 관찰 하게 되며 탐방시간은 약 30분 정도, 다음 이동장 소까지 10분정도 소요된다. 이곳에서 관광자들은 공룡발자국화석의 형태를 잘 관찰해야 하며, 이암 층에 나타나는 건열을 주의깊게 봐야 한다. 시루 섬에서 관광자들은 육계사주와 응회암층 노두, 탄 화목화석, 암맥 등을 관찰하게 되며 탐방시간은 40분 정도 소요된다. 특히 응회암층 노두 천장에 숨어 있는 탄화목화석을 잘 관찰해야 한다. 게다 가 다음 장소로 옮기게 될 때 주의할 점은 물때를 잘 맞추어 이동해야 한다. ‘시루섬∼장사도’ 구간 은 이동시간은 10분 정도 소요되지만, 만조에 이 르렀을 때 도보로 건너가기 불가능한 곳이기 때문 이다. 따라서 하루 중 물이 빠지는 때를 잘 맞추 어 탐방해야 한다. 장사도에서 관광자들은 암맥과 풍화혈을 관찰하게 되며, 탐방시간은 약 40분 정

도 소요된다. 이곳에서는 현무암질 중성 암맥의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 탐방을 마친 후 장사도 에서 선착장까지 되돌아오는 시간은 약 30∼40분 정도 소요된다. ‘나끝∼추도’ 구간은 바닷길이 열 리게 될 때 탐방시간은 1시간 정도 예상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탐방경로를 정리하면, ‘사도 사빈⋅해식애 → 중도 해안 → 시루섬 → 장사도

→ 나끝’으로 구성되며, 탐방경로 구성은 평상시는

‘사도 사빈⋅해식애∼장사도’ 구간까지, 해할 현상 이 나타나는 시기에는 ‘나끝’ 지역까지 포함된다 (표 3, 그림 9). 탐방 시 주의할 점은 바닷가 바위 들의 경사가 급하고 해초가 많기 때문에 보행에 주의를 기울어야 하며, 섬 내에서 식수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음용수를 충분히 준비해야 한다.

2) 생태관광 해설표지의 구성

(12)

출처: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여수시, 2002 그림 11. 시루섬의 관광해설표지 내용 2010.07.26 촬영.

그림 10. 시루섬의 관광해설표지

일반적으로 관광해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있어, 참가자 분석, 대상지 분석, 목표분석 등의 3 단계 방법을 많이 따르나(국립공원자연해설서, 2000),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이드나 해설사에 의해 설명 하는 방식이 아닌 ‘자기안내식 방식(self guide)’을 택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도서지역은 탐방인원이 적고 관광해설요원이 상주할 만한 여건이 되지 못 해 관광해설사에 의한 직접 안내는 효율성이 떨어 지기 때문이다. 한편 지역주민을 해설사로 활용하 는 방법도 있으나 사도일원의 경우 총 주민은 44 명(2010.12. 기준)으로 대부분 고령인데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많아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실제로 생태관광에 대한 해외사례로서 도서지역인 누벨깔레도니(Nouvelle-Calédonie)에서도 ‘자기안 내식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현재 여수시 일원에는 돌산도, 사도, 추도 일대 를 제외하고 관광해설표지3)가 전무한 실정이다. 사도일원에는 여수시에 의해 자연경관을 소개한 해설표지가 몇 군데 설치되어 있지만 낡고 오래된 관광해설표지가 많아 체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그림 10). 이러한 관광해설표지의 해설 내용은 일 반인과 학생을 대상으로 알기 쉽게 작성된 것이라 고 하지만 자연현상 자체에 대한 해설에 치중한 나머지 종합적인 해설이 되지 못하고 있다. 예컨 대, 시루섬의 응회암층을 소개한 기존 해설표지 내용의 경우(그림 11), 이곳에 단순히 화산활동이 있었다는 사실과 응회암층에 대한 정의 그리고 지 층의 발달특성만을 간략히 설명하고 있다. 적어도

지리적 관점에서 해당지역을 해설할 때는 이러한 자연경관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간간의 관계에서 현상을 종합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해 설표지를 보완하여 보았다. 첫째, 지형이 만들어진 과정을 ‘전체'와 '부분'의 두 가지 scale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둘째, 비교 지역적 관점에서 다른 지 역과 차이점이나 특성을 부각시켜 보았다. 셋째, 자연경관의 보존과 활용에 대해 지속가능한 생태 관광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한편 최근 회자되고 있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해보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자연경관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위해 최소화 하였다.

<표 4>는 본 연구에서 이상과 같은 관점을 토 대로 사도일원의 생태관광지 가운데 세 번째 탐방 지인 시루섬을 사례로 생태관광 해설표지를 구성 해 본 것이다. 생태관광자원의 해설표지 내용 중 (가)는 현재 설명하고 있는 지역을 축소해 표현한 지도로서 해설표지를 읽을 때 현 위치를 환기시키 는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다음으로 밑줄 친 (나)는 scale 측면에서, 지형이 만들어진 과정을 내 인적 작용으로 설명한 부분이다. (다)는 이 지역 일대의 화산활동을 설명한 부분으로 응회암과 화 쇄류층이 교대로 형성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암맥 과 같은 마그마 활동이 있었음을 설명한다. (라)는 자연과 인간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이 다. 이를 통해 환경에 대한 소중함과 자연을 보전 하려는 태도를 환기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마)

(13)

<시루섬의 육계사주>

(가) →

시루섬의 응회암층과 육계사주

한반도는 중생대 때 얕은 호수에서 이루어진 퇴적층이 형성되기도 하였지 만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충돌로 잦은 화성활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나) 외해를 바라보는 남해안 대부분의 도서 남쪽은 해식애가 잘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바로 이러한 지구조운동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화산활동이 일어나면 화산분출물이 주변에 쌓이게 되는데 이 같은 물질이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응회암이라 한다. 또한 (다) 화 산 폭발 시 분출물(화산쇄설물)이 흘러 응회암층 위를 흐르기도 하는데 이를 화쇄류라 한다. 시루섬은 여러 시기에 걸쳐 형성된 응회암층이 중생대 퇴적 층 위에 잘 나타나 있으며, 이러한 퇴 적층 사이로 간헐적으로 마그마가 굳 어져 형성된 암석(암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를 도식화 하면 위의 그림과 같다. (라) 예로부터 사도일원은 바닷가라서 바람이 강하고 습한 지역이기 때문에 건축물이나 돌담의 재료로 화산암을 많이 이용하였다. 또한 화산암은 육계사주나 파 식대 상에 다양한 크기로 넓게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섬에 비해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사도에 처음 입도했던 성주 배씨도 바로 이러한 조건 때문에 들어오게 되었다.

중도와 시루섬 사이에는 모래톱과 거력으로 이루어 진 사주가 성장하여 가까운 섬에 연결된 육계사주가 관찰된다. 이곳은 여름철 해수욕장으로 활용된다. 이 곳 모래톱의 특이한 점은 파랑에 의해 북동-남서 방 향의 양쪽에서 퇴적되어 가운데가 가장 높으며, 조립 질 모래와 패각사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양쪽에 사빈이 발달하여 일명 ‘양면 해수욕장’이라 불린다. 큰 파도가 밀려올 때는 바닷물이 육계사주 위로 넘어가기 도 한다. 또한 시루섬 근처, 해안가 바위에는 벌집모 양의 풍화혈(해안타포니)이 잘 발달되어 있다. (마) 이 러한 육계사주는 여수지방에서 ‘다리목’(月亢)이라는 지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여수시의 다른 도서지 역에서도 그러한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 시루섬의 생태관광자원 해설표지 (예시)

출처: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여수시(2002)를 재구성

<시루섬의 응회암층>

(14)

는 육계사주와 관련된 지역의 지명에 대해 부가적 으로 설명한 부분이다.

5. 결론 및 제언

사도일원은 블루벨트 지역으로서 천혜의 자연경 관을 지닌 곳이며, 남해안 관광벨트의 중심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태관광지 선정기준을 토대로 사도일원의 자연경관을 평가하여 생태관광 자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생태관광자원에 대 한 지형 특성을 조사하여 생태관광지와 탐방경로 를 구성하고, 사도일원의 생태탐방지에 대한 생태 관광자원 해설의 예시를 통해 실제 활용 가능한 관광해설표지를 재현해 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생 태관광에 관한 문헌연구와 지역의 관광현황을 파 악하고 지역주민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생태관광지 를 선정하였고, 현지답사를 통해 탐방경로 구성과 관광해설의 틀을 마련하였다.

자연경관에 대한 평가는 환경부⋅국립환경과학 원(2008)의 평가 항목을 토대로 실시하였으며, 생 태관광자원을 추출한 결과 사도의 사빈과 해식애, 중도의 공룡화석지와 연흔⋅건열, 시루섬의 육계 사주와 응회암층 노두⋅암맥, 장사도의 풍화혈과 암맥, 그리고 ‘나끝∼추도’ 구간의 해할 현상 등을 생태관광자원으로 선정하였다. 생태탐방경로는 사 도 북쪽의 선착장에서 남쪽의 장사도로 이어지는 해안 루트를 따라 구성하였으며, 생태관광 해설표 지의 예시로서 세 번째 탐방지인 시루섬 일대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도일원의 생태관광 활성 화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사도 선착장 입구에 있는 관광센터를 정비하 여 관광자들에게 사도일원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공룡화석지 같은 자연경관 훼손 우려 지역에 대한 철저한 보호 대 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관광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편의시설의 난개발을 막기 위해 당일 관광을 적극 추천하며, 필요할 경 우 일일 탐방자 수를 제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관광안내표지와 관광해설표지를 재정비함 으로써 관광자들이 해설 내용을 통해 ‘자기안내식’

관광을 경험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자연경관에 바탕을 둔 도서지역 생태관광의 경우, 생태관광해설, 자연경 관 보호, 그리고 지역민에 대한 경제적 편익 이 세 가지 내용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데, 대부 분의 도서지역들은 우수한 자연경관을 지니고 있 으면서도 낮은 접근성, 관광해설표지의 미비 등으 로 관광 측면에서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향 후 사도일원을 비롯한 도서지역의 생태관광 프로 그램 개발을 통해 이를 여가와 교육 목적으로 활 용한다면 생태관광의 진흥뿐만 아니라 도서지역의 경제적 편익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1) 김장수, 사도리 전 이장과의 심층면담 내용.

2) 관광객은 본래 관광업계 측에서 사용하는 호칭으로, 관광객은 체재기간과 상관없이 관광목적지를 방문하 는 여행객을 광범위하게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관 광활동을 행하는 주체는 관광자라고 지칭하는 것이 정확하다고 판단된다(문창현, 2006). 생태관광연구 (최재우, 2000)에서도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 므로, 본 연구자도 관광주체라는 의미로서 관광자라 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3) 이 용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관광안내판, 관광해 설판, 관광표지판 등 여러 가지 용어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한국 관광안내표지 가이드라인(문화체 육관광부, 2009)’에 제시된 관광해설표지라는 용어 를 사용하고자 한다.

문 헌

경남 고성군, 2005, 고성공룡화석도감, 고성군 문 화관광과.

곽행구⋅김농오⋅김지인, 2008, 해양자원의 생태 관광 프로그램 개발, 관광연구저널 22(2), 227- 243.

곽행구, 2006, 해안자원의 생태관광 프로그램 개 발에 관한 연구, 전남발전연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2000, 국립공원 자연해설 안내서.

문창현, 2006, 순천만 지역의 생태관광에 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화체육관광부, 2010, 가고 싶은 섬 시범사업 중 간평가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9, 2008 관광동향에 관한 연 차보고서.

(15)

문화체육관광부, 2008,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과 제발굴 및 평가모델 개발.

박계헌⋅백인성⋅허민, 2003, 여수시 도서지역의 백악기층에 나타나는 화성활동 및 퇴적시기, 한 국암석학회지 12(2), 70-78.

박미영, 2011, 홍도 지형 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 리즘,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1), 109-121.

여수⋅여천향토지편찬위원회, 1982, 여수⋅여천 향 토지, 동광인쇄공사.

오정준, 2003, 제주도의 지속가능한 관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박물관⋅전라남도⋅해남군, 1998, 해 남 공룡화석지 종합학술연구, 도서출판 무돌.

전라남도⋅전남발전연구원, 2010, 전남관광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을 위한 「관광발전협의회 창립식」

및 「관광발전토론회」 심포지움.

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여수시, 2002, 여 수 공룡화석지 종합학술조사, 전남대학교출판부.

전영권⋅손명원, 2004, 대구 비슬산지 내 지형자 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지 10(1), 53-66.

전영권, 2011,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2011년 (사) 한국지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집, 72-82.

최재우, 2006, 남태평양제도의 환경친화적 관광특 성-피지(Fiji)의 생태관광을 사례로-, 한국지역 지리학회지 12(1), 124-141.

최재우, 2004, 금호강 유역 생태관광자원의 교육 적 활용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357- 374.

한국관광공사, 2009, 녹색관광 추진전략.

허민⋅백인성⋅정철환⋅박재봉⋅김보성, 2001, 전 남 여수시 도서지역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 화석, 지질학회지 37(4), 653-658.

허철호⋅김성용⋅윤성택, 2005, 오대산 국립공원 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조사를 통한 관광지질 학적 가치 증진, 한국지구과학회지 26(3), 218- 231.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08, 제3차 전국자연환 경조사 지형분야 조사지침.

Chubb, M. and Chubb, H. R., 1981, One-third of our time? An Introduction to Recreation Behavior and Resources, New York: John Wiley.

de Haas, H. C., 2002, Sustainability of small- scale ecotourism: the case df Niue, South Pacific, Current Issues in tourism 5(3-4), 319 -337.

Fennell, David., 2008, Ecotourism (3rd ed.), London ; New York: Routledge.

Gulinck, H., Vyverman, N., Van Bouchout, K., Gobin, A., 2001, Landscape as framework for integrating local subsistence and ecotourism,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3, 173-182.

Honey, Martha, 1999, Ecotour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ho Owns Paradise?, Island Press.

Hong Zhu⋅Dan Feng⋅Qin Bo Cai⋅Ya Lin Han, 2006, The Island Economies and the Future of Jeju; Development Model for Island Based on the Climate Advantages (The Experiences of Hainan Island, China),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ty 9(3), 35-44.

Stefanova, A., 2010, Education In Ecological Tourism and The Use of Ecological Educational Paths, UTMS Journal of Economics, 1(2), 77 -83.

Weaver, D. B., 2007, Twenty years on: The state of contemporary ecotourism research, Tourism Management 28, 1168-1179.

Wenjun Li, 2004, Environmental management indicators for ecotourism in China's nature reserves, Tourism Management 25, 559-564.

Weaver, David B., 1998, Ecotourism in the less developed world, Oxon ; New York: CAB International.

Williams, Jack F., 2006, The Island Economies and the Future of Jeju ; Reflections on Island Economies: Lessons for Jeju,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ty 9(3), 1-10.

디지털여수문화대전(http://yeosu.grandculture.

net/)

누벨깔레도니 관광(www.nouvelle-caledonie-tourisme.fr.) (접수: 2011.9.8, 수정: 2011.10.7, 채택: 2011.11.7)

수치

그림 1. 연구지역 개관 2006;  곽행구,  2006;  오정준,  2003).  이러한  연구들은  지오투어리즘이나  갯벌⋅해양자원에  관한  생태관광프로그램,  지속가능한  관광  등을  주제로  수행되어왔다

참조

관련 문서

타입 매개 변수 사용하지 않는 경우 경고 발생9. Vector&lt;Integer&gt; 로 타입 매개

Tanguy, c'est une vrai comédie populaire au sens le plus noble du terme qui sait efficacement et avec beaucoup de drôlerie bousculer et renverser les

Entre les Entretiens sur le Fils naturel et le Discours sur la poésie dramatique, la terminologie se fixe ainsi autour du mot drame, qui remplace les

그리 고 필리핀은 인터넷 연결이 약하기 때문에 수강신청을 하는 날은 한국에 있는 지인에게 부탁하는 것이 좋을 것

Reprinted in Das Kontinuum und Andere Monographen (Ed. &#34;La fonction Zeta de Riemann prend une infinité de valeurs irrationnelles aux entiers impairs.&#34; Comptes

Elle poursuit ses études de piano au Conservatoire Supérieur-CNR de Paris avec Olivier Gardon et obtient le Premier prix à l'unanimité.
Ensuite, elle entre au Conservatoire

•La personne possédant la double nationalité dont les parents résident à l’étranger sans l’intention d’obtenir la carte de résident doit passer ou être exemptée

PARASITE n’est donc pas seulement le nouveau film de Bong Joon Ho, mais bel et bien le début d’une nouvelle étape dans la carrière du cinéaste coréen.. Ce mél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