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환경정책통합이론에 근거한 기후변화대응산림정책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환경정책통합이론에 근거한 기후변화대응산림정책분석"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환경정책통합이론에 근거한 기후변화대응산림정책분석

Analysis on forest policies to climate change with concept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ntegration

박미선1*, 윤여창2 (1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최근 국내외에서 관심이 높은 기후변화문제는 생태계 변화를 포함하는 환경문제일 뿐만 아니라 에 너지 소비와 연결되는 경제문제인 동시에 인류의 건강과 복지와 깊은 관련이 있는 사회문제이다. 이 와 같이 다양한 영역에 걸쳐있는 기후변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정책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환경문제를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정책영역과 통 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환경정책결정과정에서 ‘환경정책통합(Environmental Policy Integration)’ 개념이 등장하였다. 특히 여러 선진국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환경과 사회의 균 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환경정책통합을 시도해왔다. 본 연구는 환경정책통합 이론에 근거하여 기후변화 대응 산림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산림기관과 비산림기관과의 협력의 양상과 수준을 환경정책통합이론에 근거하여 증명하고자 하였다. 정책통합 대상인 정책목표와 목적, 행위자, 구조와 절차, 수단을 중심으로 정책통합 현상을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정책목표와 목적 차원의 기후변화정책통합은 13개의 정부기관이 공동으로 작성한 국가기 후변화적응종합계획에서 명확히 드러났다. 산림청을 포함한 13개의 정부기관은 기후변화 적응을 통 해 안전사회를 구축하고 녹색성장을 지원하는 공동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였다. 공동의 목표 하에 서 13개의 정부 기관이 부문별로 세부적인 기후변화적응 계획을 수립하였다. 정책수단 차원에서의 정책통합사례로는 2008년도부터 실행되고 있는 탄소중립프로그램이 있다. 산림청은 나무심기와 숲가 꾸기를 통한 탄소상쇄방안 실행을 지원함으로써 에너지관리공단과 지자체와 공동으로 탄소중립프로 그램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산림청은 광역도시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산림청과 지자체 간 산림정책통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산림청과 광역도시들은 온실가스 흡수원인 산림 조성과 관리에 관해 목표와 목적, 수단 차원에서 정책통합을 이루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산림기관이 다양한 차원에서 여러 정부기관과 통합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 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기존의 산림정책과는 다른 새로운 정책 적 시도로써 산림정책 혁신으로 평가할 수 있다. (사)한국임학회 정기 학술연구발표회 2010년 3월 12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

참조

관련 문서

○ 도매유통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과 도매시장 시설현대화 지속적 추진 - 정가·수의매매, 선취거래 등 다양한 거래방법 도입을 위한 기반조성, 정책자금 지원 확대

• 재료의 미세한 구조차이가 유변물성을 통 하여 증폭되어 발현.. • 품질관리, trouble shooting, 제품설계 등

또한 마지막 활동에서 지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표 하는 활동이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활용 제품들을 활용하거나 대체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절약에 대한 방안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건축물에 있어서 에너지

성실과 검소를 통해 얻은 이익들은 극빈자를 위한 무료병원 설립, 탁아소 건립, 가정 같은 양로원과 고아원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누고자 합니다.. 기업은

일자리창출을 위한 위한 전방위적 전방위적 노력 노력 (3) 고용확대를 위한 노동시장 제도 개선. ™시간제 등 다양한

STEM의 개념과 소재에 바탕을 두어 공연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2.재미를 줄 수 있는 발명품을 만드는 과정과

’20년 상반기 주요 환경변화와 사회∙경제 영역 전망을 통해 비대면∙원격 서비스의 보안성 향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