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숨마쿰라우데 중학수학 개념기본서 3-(하) 해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숨마쿰라우데 중학수학 개념기본서 3-(하) 해설"

Copied!
8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개념 BOOK 002 •테스트 BOOK 043

3

(2)

삼각비

V

1. 삼각비

01. 삼각비

개념

CHECK

026쪽 ⑴ a ⑵ ;bC; ⑶ ;aC; 01⑴ , , ;2!; ⑵ , , 2 0212'52 03;3@5$; 04113'55 05251'55 '5 125 2'5 115 2'5 115 '5 125

0

1

AC”="√2¤ +1¤ ='5

0

2

cosA= = 이므로 AB”=3'5 ∴ BC”="√9¤ -(3'5)¤ =6 (∵ BC”>0) ∴ tan C= =

0

3

cosA=;7%;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B=90˘, AB”=5, CA”=7인 직각 삼각형을 그려 보면 BC”="√7¤ -5¤ =2'6 즉, sinA= , tanA= 이므로 sinA_tanA= _ =;3@5$;

0

4

△ABDª△CADª△CBA(AA 닮음)이므로 ∠x=∠BAD=∠BCA ∠y=∠DAC=∠ABC △ABC에서 BC”="√2¤ +4¤ =2'5이므로 sinx+sin y= + = =41323'5 5 3 413 '5 4 4132 2'5 2 4132 2'5 2'6 41325 2'6 41327 2'6 41325 2'6 41327 C A B 5 7 '5 4132 3'5 41326 '5 4133 AB” 12539

0

5

일차방정식 2x-4y-10=0의 그` 래프의 x절편은 5, y절편은 -;2%;이 므로 오른쪽 그림의 직각삼각형 OAB에서 OA”=5, OB”=;2%;, AB”=æ≠5¤ +{;2%;}¤ = ∴ sina= =;2%;÷ = = '4125 5 1 412 '5 5'5 41322 OB” 1253AB” 5'5 41322 O B A 5 a a x 2x-4y-10=0 y 5 2 -S U M M A C U M L A U D E 정 답 및 풀 이

>

개념

BOOK

>

>

>

02. 삼각비의 값

개념

CHECK

037쪽 ⑴ , , , , ;2!;, , 1, '3 ⑵ 90, 0 ⑶ 0, 1 01⑴ 2'3 ⑵ ⑶ '2 ⑷ ;2!; 02x=3'2, y=2'6 03⑴ 0.59 ⑵ 0.80 ⑶ 0.73 04⑴ 0.9744 ⑵ 0.2079 ⑶ 5.1446 '3 126 '3 123 '2 122 '3 122 '3 122 '2 122

0

1

⑴ tan 60˘+sin 60˘+cos 30˘='3+ + =2'3

⑵ sin 30˘_tan 30˘=;2!;_ = ⑶ tan45˘÷cos 45˘=1÷ ='2 ⑷ = =;2!;

0

2

△ABH에서 sin45˘= = ∴ x=3'2 '2 15552 x 156 1 '3 253-25322 2 25325253255541-'3 sin 30˘-cos 30˘ 111111124tan 45˘-tan 60˘ '2 4132 '3 4136 '3 4133 '3 4132 '3 4132

(3)

개념 BOOK △AHC에서 sin60˘= = ∴ y=155526'2 =2'6 '3 '3 15552 3'2 15552y 유형 ③ 1-1 ;3!; 1-2 ⑤ 유형 9 2-1 4'5 2-2 2-3 cosA=;1!3@;, tanC=:¡5™: 유형 ;5&; 3-1 ;1!7%; 3-2 ;5&; 유형 2 4-14-2 ;4!; 4-3 35˘ 유형 1 5-1 2'6 5-2 2+2'6 5-3 10 유형 ④ 6-1 2.25 6-2 ③ 유형 ④ 7-17-27-3 2 유형 13.928 8-1 48˘ 8-2 0.4452 2'3 117

유형

EXERCISES

038~041쪽 2 3 1 4 5 6 7 8 유형`` AB”="√17¤ -15¤ =8이므로 ① sinA= =;1!7%; ② cosA= =;1•7; ③ tanA= =:¡8∞: ④ sinC= =;1•7; ⑤ cosC= =;1!7%;

1

-1 AC”=øπ('3)¤ +('6)¤ ='9=3이므로 sinA= , cosC= ∴ sinA_cosC= _ =;3!;

1

-2 ⑤ tanA=1ab ∴ a=btanA '3 4133 '3 4133 '3 4133 '3 4133 BC” 1253AC” AB” 1253AC” BC” 1253AB” AB” 1253AC” BC” 1253AC” 유형`` △ABCª△DBAª△DAC(AA 닮음)이므로 ∠B=∠CAD=∠y ∠C=∠BAD=∠x 또 직각삼각형 ABC에서 BC”="√4¤ +3¤ =5(cm) ∴ sinx+siny=sinC+sinB ∴ sinx+cosy=;5$;+;5#;=;5&;

3

-1 △ABCª△AED(AA 닮음)이므로 ∠B=∠AED 또 직각삼각형 ABC에서 AB”="√8¤ +15¤ =17 ∴ sinx=sinB=;1!7%; A B C D 4`cm x 3`cm y y x 유형`` sinA= =;5$;이므로 BC”=12 ∴ AC”="√15¤ -12¤ =9

2

-1 cosA= = 이므로 AB”=2'5 ∴ BC”="√6¤ -(2'5)¤ =4 ∴ △ABC=;2!;_2'5_4=4'5

2

-2 tan A=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B=90˘, AB”=2, BC”='3 인 직각삼각형 ABC를 그릴 수 있다. ∴ AC”="√2¤ +('3)¤ ='7 ∴ sinA_cosA= _ =

2

-3 ∠B=90˘이면서 sinA=;1∞3;를 만족시키는 직각삼각형 ABC를 그 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AB”="√13¤ -5¤ =12 ∴ cosA=;1!3@;, tanC=:¡5™: A B C 13 5 2'3 41327 2 413 '7 '3 413 '7 A B C 2 '3 '3 4132 '5 4133 AB” 12536 BC” 125315

1

2

3

(4)

5

-1 △ADC에서 tan60˘= ='3 ∴ AD”=2'3 △ABD에서 sin45˘= = ∴ AB”=2'6

5

-2 △ABH에서 cos60˘= =;2!; ∴ BH”=2 sin60˘= = ∴ AH”=2'3 △AH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CH”="√6¤ -(2'3)¤ =2'6 ∴ BC”=BH”+CH”=2+2'6

5

-3 △ADC에서 cos60˘= =;2!; ∴ AD”=10 △ABD에서 ∠DAB+30˘=60˘ ∴ ∠DAB=60˘-30˘=30˘ 즉, ∠DAB=∠B=30˘이므로 △ABD는 AD”=BD”인 이등변삼각형이다. ∴ BD”=AD”=10 5 1253AD” '3 4132 AH” 114 BH” 114 '2 4132 2'3 113AB” AD” 112 유형`` △DBC에서 tan45˘= =1 ∴ BC”='3 △ABC에서 tan60˘= ='3 ∴ AB”=1 '3 1253AB” BC” 1253 '3 유형`` (주어진 식)='3_ +1_;2!;=;2#;+;2!;=2

4

-1 ① tan45˘=1 ② sin30˘+cos60˘=;2!;+;2!;=1 ③ sin45˘÷cos45˘= ÷ =1 ④ tan60˘-tan30˘='3- = ⑤ sin60˘_tan30˘+cos60˘ ⑤= _ +;2!;=1

4

-2 A=180˘_ =30˘ ∴ sinA_cosA_tanA ∴=sin30˘_cos30˘_tan30˘ ∴=;2!;_ _ =;4!;

4

-3 12.5˘…x…57.5˘에서 0˘…2x-25˘…90˘ cos45˘= 이므로 2x-25˘=45˘, 2x=70˘ ∴ x=35˘ '2 4132 '3 4133 '3 4132 1 111241+2+3 '3 4133 '3 4132 2'3 41243 '3 4133 '2 4132 '2 4132 '3 4132

3

-2 △ABD는 직각삼각형이므로 BD”="√6¤ +8¤ =10 △ABDª△HBA(AA 닮음)이므로 ∠ADB=∠HAB=∠x 따라서 직각삼각형 ABD에서 sinx+cosx=;1§0;+;1•0;=;5&;

4

5

유형`` ① sinx= = =BC” ② cosy= = =BC” ③ cosx= = =AC” ④ sinz=siny= = =AC” ⑤ tanx= = =DE”

6

-1 sin40˘= =AB”=0.64 tan40˘= =CD”=0.84 △AOB에서 ∠OAB=90˘-40˘=50˘이므로 CD” 12555OC” AB” 12555OA” DE” 125551 DE” 12555AE” AC” 125551 AC” 12555AB” AC” 125551 AC” 12555AB” BC” 125551 BC” 12555AB” BC” 125551 BC” 12555AB”

6

(5)

개념

BOOK

sin50˘= =OB”=0.77 ∴ sin40˘+sin50˘+tan40˘

∴=0.64+0.77+0.84=2.25

6

-2 OB”=cosx, AB”=sinx이므로 점 A의 좌표는 ③ (cosx, sinx)이다. OB” 12555OA” 유형`` ∠BCA=90˘-35˘=55˘ sin55˘= =0.8192 ∴ x=8.192 cos55˘= =0.5736 ∴ y=5.736 ∴ x+y=8.192+5.736=13.928

8

-1 cosx=;1§0¶0;=0.67이므로 ∠x=48˘

8

-2 sinx=0.3907에서 ∠x=23˘ cosy=0.9063에서 ∠y=25˘ ∴ tan{112x+y2 }=tan 24˘=0.4452

y 225510

x 225510

유형``

① 0˘…A…90˘일 때, A의 크기가 커지면 sinA의 값도 커진 다.

② cos45˘=sin45˘=

③ 0˘…A…90˘일 때, A의 크기가 커지면 cosA의 값은 작아 진다.

④ 0˘…A…90˘일 때, A의 크기가 커지면 tanA의 값도 커지 므로 tan45˘<tan46˘ ⑤ sin30˘=;2!;, cos30˘= 이므로 ⑤sin30˘<cos30˘

7

-1 ⑤ tanA의 최댓값은 알 수 없다.

7

-2 ① cos0˘=1 ② sin60˘= ③ sin60˘<sin85˘<sin90˘이므로 ③ <sin85˘<1 ④ tan30˘= ⑤ tan45˘=1이고 tan50˘>tan45˘이므로 tan50˘>1 따라서 가장 큰 값은 ⑤ tan50˘이다.

7

-3 0˘…x…90˘일 때, 0…sinx…1이므로 sinx+1>0, sinx-1…0 ∴ (주어진 식)=(sinx+1)-(sinx-1) =sinx+1-sinx+1 =2 '3 2525553 '3 2525552 '3 2525552 '3 2525552 '2 2525552

8

7

0

1

AC”="√3¤ +('7)¤ =4 ① sinA= ② cosA=;4#; ③ tanA= ⑤ tanC=

0

2

AB”=k, BC”=2k(k>0)라고 하면 AC”="√(2k)¤ -k¤ ='3k ∴ cosC= = =

0

3

직각삼각형 ADE에서 AE”="√8¤ +15¤ =17

∴ cosC=cos(∠AED)=1325DE”AE”=;1!7%; '3 13552 '3k 13252k AC” 1325BC” 3'7 1355557 '7 1353 '7 1354 0102 03;1!7%; 04;6#1); 05 06 -;2!; 07080910②, ⑤ 110 121.0425 136.25 cm 14 15 16 173'6 182'3 19'2-1 '6 15453 '2 15452 '7 15454 '6 15454 2'5 15455559 '3 15452

중단원

EXERCISES

042~044쪽

(6)

0

4

일차방정식 6x-5y+30=0의 그래 프의 x절편은 -5, y절편은 6이므 로 직각삼각형 AOB에서 AO”=5, BO”=6, AB”="√5¤ +6¤ ='∂61 ∴ sinB_cosB= _ =;6#1);

0

5

△ABCª△ADE(AA 닮음)이므로 ∠DEA=∠C, ∠ADE=∠B 또 직각삼각형 AED에서 AE”="√3¤ -2¤ ='5 ∴ sinB_sinC= _;3@;=

0

6

tan 30˘+cos 45˘_(sin 60˘-sin 45˘)

-tan 45˘÷tan 60˘ = + _{ - }-1÷'3 = + -;2!;-= -;2!;

0

7

직선과 x축, y축과의 교점을 각각 A, B라고 하면 △AOB에서 tan30˘= = ∴ BO”='3 ∴ B(0, '3) 이때 직선의 기울기는 tan30˘= 이므로 구하는 직선 의 방정식은 y= x+'3

0

8

⑤ tany= =

0

9

ㄱ. sin90˘+tan45˘=1+1=2 ㄴ. sin0˘+cos0˘+tan0˘=0+1+0=1 ㄷ. sin60˘_cos0˘_tan60˘= _1_'3=;2#;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3 253252 1 1325CD” OD” 1325CD” '3 253253 '3 253253 '3 253253 BO” 113 A B 30© -3 x y O '6 253254 '3 253253 '6 253254 '3 253253 '2 253252 '3 253252 '2 253252 '3 253253 2'5 13259 '5 253253 6 1325 '∂61 5 1325 '∂61 x 6x-5y+30=0 6 -5 O A B y

10

① A의 크기가 커지면 cosA의 값은 작아진다. ② sin0˘=0, sin90˘=1이므로 최솟값은 0, 최댓값은 1 이다.

③ cos0˘=1, tan0˘=0이므로 cos0˘>tan0˘ ④ 0˘<A<45˘일 때, 0<sin A<cosA<1

⑤ sin 45˘= , cos 45˘= 이므로 A=45˘일 때

sinA=cosA이다.

11

45˘<A<90˘일 때, cosA<sinA이므로 sinA-cosA>0, cosA-sinA<0 ∴ "√(sinA-cosA)¤ -"√(cosA-sinA)¤=(sinA-cosA)-{-(cosA-sinA)}=sinA-cosA+cosA-sinA=0

12

sin15˘+cos12˘-tan11˘ =0.2588+0.9781-0.1944 =1.0425

13

sin40˘= =0.64 ∴ AB”= =6.25(cm)

14

△CAH에서 sinA= =;5#; ∴ CH”=6 △CHB에서 BH”="√8¤ -6¤ =2'7 ∴ cosB= = =

15

△ABC에서 sinx= =;3!; ∴ AB”=9 이때 AC”="√9¤ -3¤ =6'2이므로 △ADC에서 tan(x+y)= = =

16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GE”='2a, CE”='3a △CEG는 ∠EGC=90˘인 직각삼각형이므로 '2 23252 6 13256'2 CD” 5321AC” 3 5321AB” '7 23254 2'7 1355558 BH” 5321BC” CH” 132510 4 13250.64 4 1325AB” '2 51552 '2 51552

(7)

개념 BOOK cosx= = =

17

△ABC에서 tan30˘= = ∴ BC”=6_ =6'3 △DBC에서 sin45˘= = ∴ DC”=6'3_ =3'6

18

△ABC에서 sin30˘= =;2!; ∴ AC”=6 ∠DAC=30˘이므로 △ADC에서 tan30˘= = ∴ y=2'3 sin30˘= =;2!; ∴ AD”=4'3

△ABD는 ∠DAB=∠DBA이므로 AD”=BD”인 이등변 삼각형이다. ∴ x=AD”=4'3 ∴ x-y=4'3-2'3=2'3

19

OA”=OB”=2, ∠COA=180˘-135˘=45˘이므로 직각삼각형 ACO에서 sin45˘= = ∴ AC”='2 또 cos45˘= = ∴ OC”='2 ∴ tanx= = ∴ tanx= ∴ tanx='2-1 '2(2-'2 ) 111111123 (2+'2 )(2-'2 ) '2 1215552+'2 AC” 1335BC” '2 122 OC” 1332 '2 122 AC” 1332 2'3 1325AD” '3 253253 y 2256 AC” 132512 '2 253252 '2 253252 DC” 13256'3 3 25325 '3 '3 253253 6 1325BC” '6 253253 '2 25325 '3 GE”” 1325CE” 01. 삼각비의 활용`⑴`-`길이 구하기

개념

CHECK

053쪽 ⑴ B, C ⑵ C, B, C 01⑴ 1.54 ⑵ 6.25 02(2'3+6)m 03⑴ 4'3 ⑵ 2'6 04⑴ 50(3-'3) ⑵ 20('3+1)

0

1

⑴ x=2cos40˘=2_0.77=1.54 ⑵ ∠A=90˘-50˘=40˘∴ x= = =6.25

0

2

△ABD에서 BD”=AD” tan30˘=6_ =2'3(m) △ACD에서 CD”=AD” tan45˘=6(m) ∴ BC”=BD”+CD”=2'3+6(m)

0

3

⑴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 ⑴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BH에서 ⑴AH”=4sin60

˘

⑴ AH”=4_ =2'3(cm) ⑴BH”=4cos60˘=4_;2!;=2(cm) ⑴∴ CH”=BC”-BH”=8-2=6(cm) ⑴△AHC에서 x="√6¤ +(2'3)¤ =4'3 ⑵ 꼭짓점 B에서 AC”에 내린 수선 ⑴의 발을 H라고 하면 △BCH에서 ⑴BH”=6sin45

˘

⑴ AH”=6_ =3'2(cm) ⑴△ABH에서 ⑴x= =3'2_ =2'6

0

4

⑴ ∠BAH=45˘, ∠CAH=30˘이므로 ⑴BH”=htan45˘=h 2 251 '3 3'2 251155cos30˘ '2 2512 A H 45© 45© 30© x`cm 6`cm C B '3 2512 C H A 60© 4`cm x`cm 8`cm B '3 2513 4 1130.64 4 1113sin40˘

2. 삼각비의 활용

(8)

CH”=htan30˘= h ⑴이때 BC”=BH”+CH”이므로 ⑴100=h+ h, h=100∴ h=100_ =50(3-'3) ⑵ ∠BAH=60˘, ∠CAH=45˘이므로 ⑴BH”=htan60˘='3hCH”=htan45˘=h ⑴이때 BC”=BH”-CH”이므로 ⑴40='3h-h, ('3-1)h=40∴ h=251515540 =20('3+1) '3-1 3 2515155 3+'3 3+'3 25151553 '3 2513 '3 2513 02. 삼각비의 활용`⑵`-넓이 구하기

개념

CHECK

058쪽

⑴ ① sinB ② sin(180˘-B) ⑵ absinx

0112'5 0255'3 034'3 0412'3 0524

0

1

△ABC=;2!;_4'5_BC”_sin30˘ △ABC=;2!;_4'5_BC”_;2!;=60 ∴ BC”=12'5

0

2

보조선 BD를 그으면 △ABD=;2!;_AB”_AD” △ABD=_sin(180˘-120˘) △ABD=;2!;_6_10_ =15'3 △BCD=;2!;_BC”_CD”_sin60˘ △ABD=;2!;_16_10_ =40'3 ∴ `ABCD=△ABD+△BCD ∴ `ABCD=15'3+40'3=55'3

0

3

`ABCD=6_AD”_sin(180˘-120˘) `ABCD=6_AD”_ =36 ∴ AD”=4'3 '3 2512 '3 2512 '3 2512 D B 16 C 10 10 6 A 120© 60©

0

4

`ABCD=;2!;_6_8_sin(180˘-120˘) `ABCD=;2!;_6_8_ =12'3

0

5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직각삼각형 ABH에서 A’’H”=AB” sin45˘ A’H”=4'2_ =4 BH”=AB”” cos45˘=4'2_ =4 A’D”=CH”=BC”-BH”=8-4=4 ∴ `ABCD=;2!;_(4+8)_4=24 '2 2512 '2 2512 A C H D 8 B 4'2 45© '3 2512 유형 14.1 1-11-2 60'3 유형 84 m 2-1 12'3 m 2-2 10분 유형 '∂31 cm 3-1 10'3 m 3-2 '∂34 3-3 '∂37 cm 3-4 4'2 cm 3-5 2'6 cm 3-6 50('6+'2 )m 유형 30(3-'3)cm 4-1 100('3-1)cm¤ 4-2 2('3+1)cm 4-3 10 m 유형 12 5-1 25 cm¤ 5-2 45˘ 5-3 4'3 유형 20'3 cm¤ 6-1 5'3 cm 6-2 6 cm¤ 6-3 14'3 cm¤ 유형 20'2 cm¤ 7-1 28'3 cm¤ 7-2 50'2 cm¤ 7-3 4'2 cm

유형

EXERCISES

059~062쪽 2 3 1 4 5 6 7 유형`` x=10sin41˘=10_0.66=6.6 y=10cos41˘=10_0.75=7.5 ∴ x+y=6.6+7.5=14.1

1

-1 AC”=7tan46˘ 또한 ∠C=90˘-46˘=44˘이므로

1

(9)

개념 BOOK AC”=

1

-2 EG”="√3¤ +4¤ =5 △CEG에서 CG”=5tan60˘=5'3 ∴ (부피)=3_4_5'3=60'3 7 1311tan44˘

3

-2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BH에서 AH”=13sinB=13_;1∞3;=5 BH”="√13¤ -5¤ =12 즉, △AHC에서 CH”=BC”-BH”=15-12=3 ∴ A’C”="√5¤ +3¤ ='∂34

3

-3 꼭짓점 A에서 BC”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CH에서 ∠ACH=180˘-120˘=60˘ ∴ AH”=4sin60˘=4_ =2'3(cm) ∴CH”=4cos60˘=4_;2!;=2(cm) 따라서 BH”=3+2=5(cm)이므로 AB”="√5¤ +(2'3)¤ ='∂37(cm)

3

-4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H”=8sin30˘ AH”=8_;2!;=4(cm) ∴ AC”= =4_'2=4'2(cm)

3

-5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CH에서 AH”=6sin45˘ AH=6_ =3'2(cm) △ABH에서 AB”= =3'2_ =2'6(cm)

3

-6 꼭짓점 C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BCH에서 CH”=100sin45˘ CH”=100_12'2=50'2(m) 2 H A B H C 100`m45© 30© 2 153 '3 3'2 13251sin60˘ '2 122 A B H C 6`cm 60© 45© 4 522555225sin45˘ B H C A 8`cm 30© 105© 45© '3 122 A B 3`cm C H 4`cm 120© 60© 15 13 B H C A 유형``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BH에서 AH”=4sin30˘=4_;2!;=2(cm) BH”=4cos30˘=4_ =2'3(cm) 즉, △AHC에서 CH”=5'3-2'3=3'3(cm)이므로 AC”="√2¤ +(3'3)¤ ='∂31(cm)

3

-1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BH에서 A’H”=10sin60˘ A’H”=10_ =5'3(m) BH”=10cos60˘=10_;2!;=5(m) 즉, △AHC에서 CH”=BC”-BH”=15(m)이므로 AC”="√(5'3)¤ +15¤ =10'3(m) '3 122 A H B C 20`m 10`m 60© '3 122 A B C 4`cm 5'3`cm 30© H 유형`` AB”=100tan40˘=100_0.84=84(m)

2

-1 AB”=12tan30˘=12_ =4'3(m) AC”= =12_ =8'3(m) 따라서 부러지기 전의 나무의 높이는 AB”+AC”=4'3+8'3=12'3(m)

2

-2 AC”= = =500(m) 따라서 A지점에서 C지점까지 분속 50 m의 속력으로 걸 었으므로 가는 데 걸린 시간은 :∞5º0º:=10(분) 300 41320.6 300 41312sin37˘ 2 12 '3 12 13251cos30˘ '3 123

2

3

(10)

BH”=100cos45˘ BH”=100_ =50'2(m) △ACH에서 AH”= =50'2_'3=50'6(m) ∴ AB”=AH”+BH”=50'6+50'2 ∴ AB”=50('6+'2)(m) 50'2 132515tan30˘ '2 122 유형`` ∠BAH=45˘, ∠CAH=30˘이므로 AH”=h cm라고 하면 BH”=h tan45˘=h(cm) CH”=h tan30˘= h(cm) BC”=BH”+CH”= h=60(cm) ∴ h=60_ =30(3-'3) ■ 다른 풀이 ■ △ABH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AH”=BH”=h cm라고 하면 CH”=(60-h)cm △AHC에서 tan60˘= ='3 ∴ h=30(3-'3)

4

-1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HAB=60˘, ∠CAH=45˘ AH”=h cm라고 하면 BH”=h tan60˘='3h(cm), CH”=h tan45˘=h(cm)이므로 BC”=BH”+CH”=('3+1)h=20(cm) ∴ h= =10('3-1) ∴ △ABC=;2!;_20_10('3-1) ∴ △ABC=100('3-1)(cm¤ )

4

-2 ∠BAH=60˘, ∠CAH=45˘이므로 AH”=h cm라고 하면 BH”=h tan60˘='3h(cm) 20 555211 '3+1 A B 30© H C 60© 45© 45© 20`cm h 55521160-h 3 121233+'3 3+'3 121233 '3 123 CH”=h tan45˘=h(cm) BC”=BH”-CH”=('3-1)h=4(cm) ∴ h= =2('3+1) ■ 다른 풀이 ■ AH”=h cm라고 하면 △ACH에서 CH”=h cm, BH”=(4+h)cm tan30˘= , = 이므로 '3 h=4+h ∴ h= =2('3+1)

4

-3 꼭짓점 A에서 BC”의 연장 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고 하면 ∠BAH=77˘, ∠CAH=53˘ AH”=hm라고 하면 BH”=htan77˘=4.3h(m) CH”=htan53˘=1.3h(m) BC”=BH”-CH” =(4.3-1.3)h=30(m) ∴ h=;;£3º;;=10 A 30`m B C H 13© 37© 77© 53© 4 5552512 '3-1 h 5552514+h '3 123 h 5552514+h 4 1212 '3-1

4

유형`` △ABC=;2!;_6_8_sin30˘ △ABC=;2!;_6_8_;2!;=12

5

-1 ∠A=180˘-2_75˘=30˘ ∴ △ABC=;2!;_10_10_sin30˘ ∴ △ABC=;2!;_10_10_;2!;=25(cm¤ )

5

-2 △ABC의 넓이가 cm¤ 이므로 ;2!;_6_5_sin B= 15sinB= ∴ sinB= 이때 0˘<∠B<90˘이므로 ∠B=45˘이다. '2 122 15'2 232132 15'2 232132 15'2 232132

5

(11)

개념 BOOK

5

-3 △ABC=;2!;_8_12_sin60˘ △ABC=;2!;_8_12_ =24'3 ∴ △GBD=;6!;△ABC=;6!;_24'3=4'3 '3 522552

7

-2 `ABCD=10_10_sin(180˘-135˘) `ABCD=10_10_ =50'2(cm¤ )

7

-3 `ABCD는 등변사다리꼴이므로 AC”=BD”=x cm라고 하면 ;2!;_x_x_sin (180˘-120˘)=8'3 x¤ =8'3, x¤ =32 ∴ x=4'2 (∵ x>0) '3 522554 '2 122 유형`` `ABCD=;2!;_8_10_sin45˘ `ABCD=;2!;_8_10_ =20'2(cm¤ )

7

-1 `ABCD=7_8_sin60˘ `ABCD=7_8_12'3=28'3(cm¤ ) 2 '2 122 유형`` △ABC=;2!;_8_10_sin(180˘-120˘) △ABC=;2!;_8_10_ =20'3(cm¤ )

6

-1 △ABC의 넓이가 10'3 cm¤ 이므로 ;2!;_8_AC”_sin(180˘-150˘)=10'3 ;2!;_8_AC”_;2!;=10'3 ∴ AC”=5'3(cm)

6

-2 CE”=4sin60˘=4_ =2'3(cm) ∠ECD=30˘이므로 ∠BCE=90˘+30˘=120˘ ∴ △BCE=;2!;_4_2'3_sin(180˘-120˘) ∴ △BCE=;2!;_4_2'3_ =6(cm¤ )

6

-3 보조선 BD를 그으면 `ABCD =△ABD+△BCD =;2!;_4_2'3_sin(180˘-150˘) =+;2!;_6_8_sin60˘ =2'3+12'3=14'3(cm¤ ) 6`cm 4`cm 8`cm 2'3`cm 150© 60© A B C D '3 522552 '3 522552 '3 122

6

7

0102(27'3+54) cm¤ 0324'3 cm¤ 048.8 m 058'3 m 064'∂19 cm 07 81(3-'3) cm¤ 08 50'3 m 09 1016'3 11 +1212∠x=30˘, ∠y=150˘ 13302 m 14200'6 m 154'6 m 16 17 18 28 cm¤ 40'3 11259 9'3 1152

중단원

EXERCISES

063~065쪽

0

1

④ c=atanC

0

2

AB”=6cos60˘=6_;2!;=3(cm) AC”=6sin60˘=6_ =3'3(cm) 따라서 삼각기둥의 겉넓이는 2_{;2!;_3_3'3}+6_{3+6+3'3} =27'3+54(cm¤ )

0

3

CO”=AO”=8 cm, ∠COD=180˘-120˘=60˘ 이므로 △COD에서 OD”=8cos60˘=8_;2!;=4(cm) CD”=8sin60˘=8_ =4'3(cm) ∴ △CAD=;2!;_(8+4)_4'3=24'3(cm¤ ) '3 122 '3 122

(12)

0

4

△ABC에서 BC”=10tan36˘=10_0.73=7.3(m) ∴ (나무의 높이)=BC”+(사람의 눈높이) ∴ (나무의 높이)=7.3+1.5=8.8(m)

0

5

전봇대의 꼭대기를 C라 하고, C지 점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CAH에서 AH”= =6_'3=6'3(m) △CHB에서 BH”= = =2'3(m) ∴ AB”=AH”+BH”=6'3+2'3=8'3(m)

0

6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2!;_20_AH”=60'3 ∴ AH”=6'3(cm) △ABH에서 BH”= = =6(cm) ∴ CH”=20-6=14(cm) 따라서 △ACH에서 AC”="√(6'3)¤ +14¤ =4'∂19(cm)

0

7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AH”=h cm라고 하면 ∠HAB=45˘, ∠CAH=30˘ 이므로 BH”=htan45˘=h(cm) CH”=htan30˘= h(cm) BC”=BH”+CH”=h+ h=18(cm)이므로 h=18_ =9(3-'3) ∴ △ABC=;2!;_18_9(3-'3) ∴ △ABC=81(3-'3)(cm¤ )

0

8

∠ABH=60˘, ∠CBH=30˘이므로 BH”=h m라고 하면 3 11133+'3 '3 123 '3 123 B H A C 45© 45© 60© 30© 18`cm h`cm 6'3 1233 '3 AH” 1112tan60˘ C A B 60©H 30© 20`cm 6 153 '3 6 123515tan60˘ 6 123515tan30˘ H C A 30© B 60© 6`m AH”=htan60˘='3h(m) CH”=htan30˘= h(m) AC”=AH”-CH”='3h- h=100(m) ∴ h=100_ =50'3

0

9

△AO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CO=∠CAO=30˘ ∴ ∠AOC=180˘-(30˘+30˘)=120˘ ∴ (색칠한 부분의 넓이) =(부채꼴 AOC의 넓이)-△AOC =p_2¤ _ -;2!;_2_2_sin(180˘-120˘) =;3$;p-'3

10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H”=4sin60˘ AH”=4_ =2'3 ∴ `ABCD=;2!;_(6+10)_2'3=16'3

11

△ABC에서 BC”= =3'3_ =3 ∴ AC”="√(3'3)¤ +3¤ =6 ∴ ABCD=△ABC+△ACD ∴ ABCD=;2!;_3'3_3+;2!;_6_8_sin30˘ ∴ ABCD= +12

12

`ABCD=5_8_sinx=20(cm¤ )이므로 40sinx=20, sinx=;2!; ∴ ∠x=30˘, ∠y=150˘

13

경사도가 20 %이므로 tanA_100=20 ∴ tanA=;5!;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sinA=123'∂2626 이므로현재 위치는 A B C '26 5 1 9'3 1152 1 12 '3 3'3 1112tan60˘ '3 122 C A D H B 60© 2'3 6 10 4 120 11360 3 125352'3 '3 123 '3 123

(13)

개념 BOOK 200+520 sinA=200+520_ 200+520 sinA=200+102=302(m)

14

AH”=1200sin45˘=1200_ =600'2(m) ∴ CH”=600'2tan30˘ ∴ CH”=600'2_ =200'6(m)

15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 을 H라고 하면 ∠CAH=30˘, ∠BAH=45˘이므로 △ACH에서 AH”=8sin60˘=8_ AH”=4'3(m) △ABH에서 AB”= =4'3_'2=4'6(m)

16

△ABC=△ABD+△ADC이므로 ;2!;_10_8_sin 60˘ =;2!;_10_AD”_sin30˘+;2!;_8_AD”_sin30˘ 20'3=;2(;AD” ∴ AD”=

17

AB”=x, BC”=y라고 하면 A'B”=;1•0º0;x=;5$;x BC'”=;1!0@0);y=;5^;y △ABC=;2!;xysinB △A'BC'=;2!;_;5$;x_;5^;y_sinB △A'BC'=;2@5$;_;2!;xysinB △A'BC'=;2@5$;△ABC 따라서 ;2@5$;=;1ª0§0;이므로 4 % 줄어든다.

18

두 대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x라고 하면 40'3 11239 4'3 123515sin45˘ '3 122 C A B H 60© 75© 45© 8`m '3 123 '2 122 '∂26 12326 `ABCD=;2!;_7_8_sinx=28sinx(cm¤ ) 0˘<x…90˘일 때, 0<sinx…1이므로 sinx=1, 즉 x=90˘일 때,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은 28 cm¤ 이다. 0102 03 04'2 0506('3-1)cm 07 08(48p-72'3)cm¤ 09y='3x+2'3 1011a=0.8090, b=1.3764 1248'2 1325 m 148(2-'3)cm 15 20('3-1)m 16 30'3 cm¤ 17 4'3 cm¤ 188('6-'2) 19 4'3+4'2+4 20 54'3 cm¤ 21 20+2'3 22 '2 23 24 12'33 12258'33 cm¤ 25 12'3 cm¤ 3'7 15227 2'2 15229

대단원

EXERCISES

068~071쪽

0

1

BC”="√13¤ -5¤ =12이므로 ⑤ tanC=;1∞2;

0

2

AB”=k, AC”=3k(k>0)라고 하면 BC”="ç(3k)¤ -k¤ =2'2k 즉, sinA= = , cosA= =;3!;이므로 sinA_cosA= _;3!;=

0

3

sinA= =;4#;이므로 BC”=9 ∴ AB”="√12¤ -9¤ =3'7 ∴ tanA= =

0

4

sinA=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C=90˘, AB”=3, BC”='3인 직각삼 각형을 그릴 수 있다. 즉, CA”="√3¤ -('3)¤ ='6이므로 B A C '3 3 90©-A '3 123 3'7 1227 9 12253'7 BC” 12412 2'2 13339 2'2 13333 k 1253k 2'2 13333 2'2k 122533k

(14)

tan(90˘-A)=tanB= = ='2

0

5

AC”="√5¤ -4¤ =3 △ABCª△HAC(AA 닮음)이므로 ∠B=∠HAC=∠x ∴ tanx=tanB=;4#;

0

6

tan30˘= = ∴ AC”=2(cm) cos30˘= = ∴ AB”=4(cm) 내접원 I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ABC=△IBC+△ICA+△IAB이므로 ;2!;_2'3_2=;2!;_(2'3+2+4)_r (3+'3)r=2'3 ∴ r= ='3-1

0

7

△ABD에서 ∠BAD=30˘-15˘=15˘ 따라서 △AB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D”=BD”=4 cm △ADC에서 sin30˘= =;2!; ∴ AC”=2(cm) cos30˘= = ∴ DC”=2'3(cm) 즉, BC”=BD”+DC”=4+2'3(cm)이므로 tan15˘= = =2-'3

0

8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2pr_ =4p ∴ r=24 △AOH에서 sin30˘= =;2!; ∴ A’H”=12(cm) cos30˘= = ∴ OH”=12'3(cm) '3 1522 OH” 123324 A’H” 123324 30 11360 2 151124+2'3 AC” 122BC” '3 1522 DC” 1224 AC” 1224 2'3 151153+'3 '3 1522 2'3 1223AB” '3 1523 AC” 12232'3 '6 12 '3 AC” 122BC” ∴ (색칠한 부분의 넓이) =(부채꼴 AOB의 넓이)-△AOH =p_24¤ _ -;2!;_12'3_12 =48p-72'3(cm¤ )

0

9

직선의 기울기는 tan 60˘='3 이 직선의 y절편을 b라고 하면 직선 y='3x+b가 점 (-2, 0)을 지나므로 0=-2'3+b ∴ b=2'3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x+2'3

10

⑤ x의 크기가 커지면 cosx의 값은 작아진다.

11

cosx=0.5878이므로 ∠x=54˘ ∴ a=sin54˘=0.8090, b=tan54˘=1.3764

12

△ABE에서 BE”=8cos45˘=8_ =4'2 ∴ `EBCF=12_4'2=48'2

13

손에서 연까지의 높이는 50sin28˘=50_0.47=23.5(m) 따라서 지면에서 연까지의 높이는 1.5+23.5=25(m)

14

점 B에서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OBH에서 OH”=16cos30˘ OH”=16_ =8'3(cm) ∴ AH”=OA”-O’H” AH=16-8'3=8(2-'3)(cm)

15

∠DBC=45˘이므로 CD”=BC”=20 m △ABC에서 AC”=BC”tan60˘ AC”=20_'3=20'3(m) ∴ A’D”=AC”-CD” =20'3-20=20('3-1)(m) B C A D 15© 45© 20`m 45© '3 1522 16`cm O A H B' B 30© '2 1522 30 11360

(15)

개념 BOOK

16

△ABH에서 AH”=8sin60˘=8_ =4'3(cm) BH”=8cos60˘=8_;2!;=4(cm) 따라서 BC”=4+11=15(cm)이므로 △ABC=;2!;_15_4'3=30'3(cm¤ )

17

△ABD는 ∠DAB=∠B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D”=BD”=4 cm ∠BAC=2∠B이므로 ∠BAC+∠B=3∠B=90˘ ∴ ∠B=30˘ 따라서 ∠BDA=180˘-(30˘+30˘)=120˘이므로 △ABD=;2!;_4_4_sin(180˘-120˘) △ABD=;2!;_4_4_ =4'3(cm¤ )

18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AH”=h라고 하면 ∠BAH=60˘, ∠CAH=45˘ 이므로 BH”=htan60˘='3h CH”=htan45˘=h BC”=BH”+CH”=('3+1)h=16 ∴ h= =8('3-1) ∴ AC”= =8('3-1)_'2=8('6-'2)

19

꼭짓점 C에서 BA”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CH”=a라고 하면 AH”=a AC”= =a_'2='2a BC”= =a_2=2a BH”= =a_'3='3a AB”=BH”-AH”='3a-a=('3-1)a △ABC의 넓이가 8('3-1)이므로 ;2!;_('3-1)a_a=8('3-1) ∴ a=4(∵ a>0) a 152152tan30˘ a 152152sin30˘ a 152152sin45˘ A B C H 30© 45© a a 45© 15© h 152152cos45˘ 16 15215 '3+1 A H h C 16 30© 60© 45© 45© B '3 122 '3 1522 따라서 AB”=4('3-1), BC”=8, A’C”=4'2이므로 (△ABC의 둘레의 길이)=4('3-1)+8+4'2 (△ABC의 둘레의 길이)=4'3+4'2+4

20

OB”를 그으면 △OAB는 정삼각형 이므로 (정육각형의 넓이) =6_△OAB =6_{;2!;_6_6_sin60˘} =6_{18_ } =54'3(cm¤ )

21

AC”를 그으면 `ABCD =△ABC+△ACD =;2!;_4'2_10_sin45˘ =+;2!;_4_2'3_sin(180˘-150˘) =20+2'3

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겹쳐진 부분을 `ABCD라 하고 점 A에서 BC”, DC”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F라고 하면 △AEB에서 AB”= =1_'2='2 △ADF에서 A’D”= =1_'2='2 따라서 `ABCD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마름모이므로 `ABCD='2_'2_sin45˘ `ABCD='2_'2_ ='2

23

0˘<A<45˘일 때, sinA<cosA이므로 cosA+sinA>0, sinA-cosA<0 ∴ "√(cosA+sinA)¤ +"√(sinA-cosA)¤ =cosA+sinA-(sinA-cosA) =2cosA='3 yy❶ 즉, cosA= 이므로 A=30˘ yy❷ ∴ tanA=tan30˘=5255555'3 yy❸ 3 '3 52555552 '2 52555552 1 525555521sin45˘ 1 525555521sin45˘ 1 A F D C B E 45© 45© 45© C D A B 10 4'2 4 2'3 45© 150© '3 1522 A 6`cm B O D E F C

(16)

원의 성질

VI

1. 원과 직선

01. 원의 현

개념

CHECK

085쪽 ⑴ B’M” ⑵ ON” ⑶ CD” 018 0215 032 0452˘

0

1

AD”=DB”=12 직각삼각형 OAD에서 OD”="√13¤ -12¤ =5 ∴ CD”=13-5=8

0

2

원의 중심을 O라고 하면 CM”의 연장 선은 이 원의 중심 O를 지난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직각삼각형 OAM에서 r¤ =12¤ +(r-6)¤ ∴ r=15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5이다.

0

3

AB”=2MB”=4이므로 AB”=CD” ∴ OM”=ON”=x 한편 AM”=MB”=2이므로 직각삼각형 OAM에서 x=øπ(2'2)¤ -2¤ =2

0

4

OM”=ON”이므로 AB”=AC” 따라서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B=64˘ ∴ ∠x=180˘-2_64˘=52˘ O r-6 r 12 M C A B 02. 원의 접선

개념

CHECK

092쪽 ⑴ AF”, BD”, CF” ⑵ 180 014'5 cm¤ 0218+6'3 03;;™2£;; 042 cm 0572

0

1

∠PTO=90˘이므로 △POT는 직각삼각형이다. ∴ PT”="√6¤ -4¤ =2'5(cm) ∴ △POT=;2!;_2'5_4=4'5(cm¤ )

24

△BOA에서 OB”= =3_ =2'3(cm) △COB에서 OC”= =2'3_ =4(cm) yy❶ △DOC에서 CD”=4tan30˘=4_ = (cm) yy❷ ∴ △DOC=;2!;_4_ = (cm¤ ) yy❸

25

점 A에서 BC”의 연장선에 내린 수 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H”=6 cm, ∠ABH=60˘ AB”= =6_ =4'3(cm) yy❶ ∠DAC=∠BAC(접은 각), ∠DAC=∠BCA(엇각)이므 로 ∠BAC=∠BCA 따라서 △ABC는 AB”=B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C”=AB”=4'3 cm yy❷ ∴ △ABC=;2!;_4'3_4'3_sin(180˘-120˘) ∴ △ABC=;2!;_4'3_4'3_ ∴ △ABC=12'3(cm¤ ) yy❸ '3 52555552 2 152 '3 6 152152sin60˘ A B H D C 120© 6`cm 8'3 15223 4'3 15223 4'3 15223 '3 1523 2 12 '3 2'3 152152cos30˘ 2 12 '3 3 152152cos30˘ ❶주어진 식 간단히 하기 ❷A의 크기 구하기tanA의 값 구하기 50 % 30 % 20 % 채점 기준 배점 ❶OB”, OC”의 길이 구하기 ❷CD”의 길이 구하기 ❸△DOC의 넓이 구하기 50 % 30 % 20 % 채점 기준 배점 ❶AB”의 길이 구하기 ❷BC”의 길이 구하기 ❸△ABC의 넓이 구하기 30 % 30 % 40 % 채점 기준 배점

(17)

개념 BOOK

0

2

∠PAO=90˘이므로 △APO에서 PA”=6'3cos30˘=6'3_ =9 AO”=6'3sin30˘=6'3_;2!;=3'3 또한 PB”=PA”=9, BO”=AO”=3'3이므로 `APBO의 둘레의 길이는 2(9+3'3 )=18+6'3

0

3

AE”=;2!;_(AB”+BC”+AC”) AE”=;2!;_(9+6+8)=:™2£:

0

4

BE”=BD”=6(cm), C’F’=CE”=10-6=4(cm)이므로 AD”=AF”=x cm라고 하면 (△ABC의 둘레의 길이)=2_(6+4+x)=24 ∴ x=2 따라서 AD”의 길이는 2 cm이다.

0

5

CD”=8+8=16 ∴ ( `ABCD의 둘레의 길이)=AB”+BC”+CD”+AD” =2(AB”+CD”) =2_(20+16)=72 '3 2512 유형 6'3 cm 1-1 4'5 1-2 5 1-3 ;;™3∞;; cm 유형 ;;¡2£;; 2-1 2 cm 2-2 6'3 cm 유형 3'2 3-1 15 3-2 12 cm¤ 3-3 108p cm¤ 유형 69˘ 4-1 50˘ 4-2 60˘ 4-3 12p cm¤ 유형 50˘ 5-1 28 cm5-2 2'∂21 cm 5-3 ③ 유형 5 cm 6-1 16 cm6-2 2'∂15 유형 6 cm 7-1 13 cm7-2 16 cm 7-3 1 cm 유형 2 8-1 4 8-2 2 8-3 ;;™2∞;; cm

유형

EXERCISES

093~096쪽 2 3 1 4 5 6 7 8 유형`` 직각삼각형 OAM에서 AM”="√6¤ -3¤ =3'3(cm) AB”⊥OM”이므로 AM”=BM” ∴ AB”=2AM”=2_3'3=6'3(cm)

1

-1 DN”=;2!; CD”=6이므로 직각삼각형 DON에서 OD”="√6¤ +3¤ =3'5 OA”=OD”=3'5이므로 직각삼각형 OAM에서 AM”="√(3'5)¤ -5¤ =2'5 ∴ AB”=2AM”=2_2'5=4'5

1

-2 AB”⊥OD”이므로 AC”=BC”=4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OA”=r, OC”=r-2 직각삼각형 OAC에서 r¤ =4¤ +(r-2)¤ 4r=20 ∴ r=5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1

-3 AB”⊥OC”이므로 AM”=BM”=;2!; AB”=;2!;_16=8(cm) 직각삼각형 BCM에서 CM”="√10¤ -8¤ =6(cm) 이때 OA”=OC”=r cm라고 하면 OM”=OC”-CM”=r-6(cm) 직각삼각형 OMA에서 r¤ =(r-6)¤ +8¤ 12r=100 ∴ r=:™3∞: ∴ OA”=:™3∞: cm

1

유형``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OM”=OC”-CM”=r-4 직각삼각형 OMA에서 OA”¤ =AM”¤ +OM”¤ 이므로 r¤ =6¤ +(r-4)¤ , 8r=52 ∴ r=:¡2£: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O 6 r r-4 A M B C 4

2

(18)

2

-1 원의 중심을 O라고 하면 OM”⊥AB”이므로 AM”=BM”=;2!;AB” AM”=;2!;_12=6(cm) 직각삼각형 OMA에서 OM”="√10¤ -6¤ =8(cm) ∴ CM”=OC”-OM”=10-8=2(cm)

2

-2 원의 중심 O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M, OM”의 연장선이 호 AB와 만나는 점을 C라고 하면 원의 반지 름의 길이가 6 cm이므로 OA”=OC”=6 cm 이때 OM”=CM”이므로 OM”=;2!; OC”=;2!;_6=3(cm) 직각삼각형 OAM에서 AM”="√6¤ -3¤ =3'3(cm) AB”⊥OC”이므로 AM”=BM” ∴ AB”=2 AM”=6'3(cm) A B C M O A B C O M 10`cm 12`cm 유형`` OM”=ON”=3이므로 CD”=AB”=6 이때 ON”⊥CD”이므로 CN”=DN”=3 따라서 직각삼각형 OCN에서 x="√3¤ +3¤ =3'2

3

-1 AM”=BM”이므로 x=5

OM”=ON””이므로 CD”=AB”=10 cm ∴ y=10 ∴ x+y=5+10=15

3

-2 원의 중심 O에서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N이라고 하면 AB”=CD”이므로 ON”=OM”=3 cm 직각삼각형 OCN에서 CN”="√5¤ -3¤ =4(cm) 즉, CD”=2CN”=8(cm)이므로 △OCD=;2!;_8_3=12(cm¤ )

3

-3 OE”=OF”이므로 AB”=CD””=18(cm) B C A D M N O 3`cm 5`cm ∴ EB”=;2!; AB”=9(cm) 따라서 직각삼각형 OBE에서 OB”= =9_ =6'3(cm) ∴ (원 O의 넓이)=p_(6'3)¤ =108p(cm¤ ) 2 152 '3 9 1113cos30˘

3

유형`` OM”=ON”이므로 AB”=AC”이다. 따라서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x=;2!;_(180˘-42˘)=69˘

4

-1 `MBHO에서 ∠B=360˘-(90˘+90˘+115˘)=65˘ 한편, OM”=ON”에서 AB”=AC”, 즉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B=65˘ ∴ ∠x=180˘-65˘_2=50˘

4

-2 OL”=OM”=ON”이므로 AB”=BC”=CA” 따라서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x=60˘

4

-3 OD”=OE”=OF”이므로 BC”=CA”=AB”=6 cm 즉,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CAB=60˘ ∴ ∠OAF=;2!;_60˘=30˘ AF”=;2!;AB”=3(cm)이고, 직각삼각형 AFO에서 AO”= =3_ =2'3 따라서 구하는 원 O의 넓이는 p_(2'3)¤ =12p(cm¤ ) ■ 다른 풀이 ■ △ABD에서 ∠B=60˘이므로 AD”=6sin60˘=6_ =3'3(cm) 원의 중심 O는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AO”=3'3_;3@;=2'3(cm) '3 1252 2 152 '3 AF” 1113cos30˘

4

유형`` PA”=PB”이므로 △APB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PBA=∠PAB=65˘ ∴ ∠x=180˘-(65˘+65˘)=50˘

5

(19)

개념 BOOK

5

-1 P’A”⊥O’A”이므로 △APO에서 O’A”="√102 -82 =6 (cm) PB”=P’A”=8 (cm) ∴ ( APBO의 둘레의 길이)=2_(8+6)=28(cm)

5

-2 OQ”=AO”=4 cm ∠PAO=90˘이므로 △APO는 직각삼각형이다. ∴ PA”="√(6+4)¤ -4¤ ='∂84=2'∂21(cm)

5

-3 △PAO와 △PBO에서

PO”는 공통, ∠PAO=∠PBO=90˘, OA”=OB” ∴ △PAO™△PBO (RHS 합동)

△PAO에서 ∠APO=30˘, AO”=BO”=3 cm이므로 ③ PA”= =3_ =3'3(cm) ④ PO”=11133 =3_2=6(cm) sin30˘ 3 152 '3 3 1113tan30˘ 유형`` BD”=BE”, C’E’=CF”이므로 (△ABC의 둘레의 길이)=A’D”+AF”=2AD” 7+BC”+6=2_9 ∴ BC”=5(cm)

6

-1 ∠OPA=∠OQA=90˘이므로 AP”=AQ”="√10¤ -6¤ =8(cm) 이때 BD”=BP”, CD”=CQ”이므로 (△ABC의 둘레의 길이) =AP”+A’Q”=8+8=16(cm)

6

-2 AE”=AB”=6, DE”=DC”=10이 므로 AD”=6+10=16 점 A에서 D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H”=BC”이 고, DH”=10-6=4이므로 BC”=AH”="√16¤ -4¤ =4'∂15 따라서 반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2!;_4'∂15=2'∂15 H B C 10 6 D E O A

6

유형`` AP”=AR”=x cm라고 하면 BQ”=BP”=(10-x)cm, CQ”=CR”=(8-x)cm 이때 BC”=CQ”+BQ”이므로 6=(8-x)+(10-x) 2x=12 ∴ x=6 ∴ AP”=6(cm)

7

-1 A’D”=AF”=x cm라고 하면 BD”=BE”=7(cm), CF”=CE”=5(cm)이므로 (△ABC의 둘레의 길이)=2(x+7+5)=36 ∴ x=6 ∴ AB”=6+7=13(cm)

7

-2 △AGH의 둘레의 길이가 20 cm이므로 AD”=AF”=;2!;_20=10(cm) BE”=BD”=18-10=8(cm) CF”=CE”=14-8=6(cm) ∴ AC”=AF”+CF”=10+6=16(cm)

7

-3 직각삼각형 ABC에서 AB”="√5¤ -4¤ =3(cm)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BD”=BE”=r cm CF”=CE”=(4-r)cm AF”=AD”=(3-r)cm 이때 AC”=AF”+CF””이므로 5=(3-r)+(4-r) ∴ r=1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1 cm이다. A 4`cm r`cm 5`cm B F E D C O

7

유형`` 4+(3x+1)=5+(x+4)이므로 2x=4 ∴ x=2

8

-1 CE”=x라고 하면 5+(8+x)=10+7 ∴ x=4 ∴ CE”=4

8

-2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AE”=AF”=BF”=BG”=4 ∴ DE”=12-4=8 점 C에서 AD”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고 GC”=x라고 하면 직각삼각형 CDI에서 E I F O G A B C H D 12 8

8

(20)

DI”=8-x, CD”=x+8이므로 (x+8)¤ =8¤ +(8-x)¤ , 32x=64 ∴ x=2 ∴ GC”=2

8

-3 DE”=x cm라고 하면 DP”=DC”=10 cm이므로 EB”=EP”=(x-10)cm AE”=AB”-BE”=10-(x-10)=20-x(cm) 직각삼각형 AED에서 x¤ =(20-x)¤ +10¤ ∴ x=:™2∞: ∴ DE”=:™2∞: cm 01020310 m 0405066 cm 074'∂10 cm 08092 cm 1011 4p 12 2 cm 13 6+3'2 14 4'3-;3$;p 153 cm 1617182'6 cm 19;2#; cm

중단원

EXERCISES

097~099쪽

0

4

직각삼각형 OMA에서 AM”="√6¤ -3¤ =3'3(cm) ∴ AB”=2AM”=6'3(cm) 이때 OM”=ON”이므로 CD”=AB”=6'3 cm

0

5

OD”=OE”이므로 BC”=AC”이고∠B=∠A=55˘ △ABC에서 ∠x=180˘-2_55˘=70˘

0

6

ADOE에서 ∠EAD=360˘-(90˘+120˘+90˘)=60˘ OD”=OE”이므로 AB”=AC” ∴ ∠B=∠C=;2!;_(180˘-60˘)=60˘ 따라서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BC”=AB”=2AD”=6(cm)

0

7

CO”=BO”=3 cm이므로 PO”=4+3=7(cm) 직각삼각형 POB에서 PB”="√7¤ -3¤ =2'∂10(cm) ∴ P’A”+P’B’=2PB”=4'∂10(cm)

0

8

PBØ가 원 O의 접선이므로 OB”⊥PB” 즉, ∠OBP=90˘이므로 ∠ABP=90˘-24˘=66˘ 이때 PB”=PA”이므로 △ABP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x=180˘-2_66˘=48˘

0

9

원 밖의 한 점 P에서 원 O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는 같으므 로 PA”=PB”, CA”=CE”, DB”=DE”

∴ PA”+PB”=(PC”+CA”)+(PD”+DB”) =PC”+CE”+PD”+DE” =PC”+PD”+CD” =7+8+5=20(cm) 따라서 PB”=;2!;_20=10(cm)이므로 DB”=10-8=2(cm)

10

BC”=x라 하고 점 D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BH”=AD”=4이므로 CH”=x-4 A 12 4 4 x x-4 4 C E B H D

0

1

BH”=;2!;AB”=4(cm) 직각삼각형 OHB에서 OH”="√6¤ -4¤ =2'5(cm)

0

2

AM”=BM”=;2!;AB”=12 직각삼각형 AOM에서 OA”="√12¤ +5¤ =13 이때 OC”=OA”=13이므로 CM”=8 직각삼각형 BCM에서 BC’”="√12¤ +8¤ =4'∂13

0

3

원의 중심을 O라 하고 원 O의 반 지름의 길이를 r m라고 하면 OC”=AC”-AO”=16-r(m) CD”=;2!;BD”=8(m) 따라서 직각삼각형 OCD에서 r¤ =(16-r)¤ +8¤ , 32r=320 ∴ r=10 따라서 구하는 반지름의 길이는 10 m이다. O A 16`m 16`m C B D (16-r)m

(21)

개념 BOOK CD”=DE”+CE” =AD”+BC”=4+x 직각삼각형 CDH에서 DH”=AB”=12이므로 (4+x)¤ =12¤ +(x-4)¤ , 16x=144 ∴ x=9 따라서 BC”의 길이는 9이다.

11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CF”=CE”=r, AD”=AF”=6, BD”=BE”=4이므로 AC”=r+6, BC”=r+4 직각삼각형 ABC에서 (r+6)¤ +(r+4)¤ =10¤ 이므로 r¤ +10r-24=0, (r+12)(r-2)=0 ∴ r=2(∵ r>0) 따라서 원 O의 넓이는 p_2¤ =4p

12

BR”=BQ”=3 cm, CS”=CR”=8-3=5(cm) ∴ PD”=DS”=7-5=2(cm)

13

두 음료수캔의 밑면인 원의 중심 을 각각 O, O'이라 하고, 각 변 이 상자의 테두리와 평행한 정사 각형 AOBO'을 그린다. 이때 O’O'”=6 cm이므로 OB”= =3'2(cm) ∴ l=6+3'2

14

∠OTP=∠OT'P=90˘이므로 ∠T'OT=360˘-(90˘+60˘+90˘)=120˘ 이때 ∠T'OP=;2!;∠T'OT=60˘이므로 OT'”=4cos60˘=4_;2!;=2 T'P”=4sin60˘=4_ =2'3 ∴ (색칠한 부분의 넓이) ∴= `OTPT'-(부채꼴 T'OT의 넓이) ∴=2_{;2!;_2'3_2}-p_2¤ _;3!6@0); ∴=4'3-;3$;p '3 1252 6 152 '2 3`cm A B O' O 3`cm 6`cm l`cm B D C O F E 6 6 4 4 r r A

15

직각삼각형 ABC에서 AC”="√12¤ +5¤ =13(cm) AD”=;2!;_(△ABC의 둘레의 길이) AD”=;2!;_(12+5+13)=15(cm)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BD”=AD”-AB”=15-12=3(cm)

16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 이를 r라고 하면 △ABC의 넓 이가 42이므로 ;2!;_r_(10+12+6)=42 ∴ r=3 BD”=BE”=a라고 하면 EC”=FC”=12-a, AD”=AF”=10-a 이때 AC”=AF”+FC”이므로 (10-a)+(12-a)=6 ∴ a=8 △BOD는 직각삼각형이므로 BO”="√8¤ +3¤ ='∂73

17

DS”=4 cm이므로 DR”=4 cm ER”=EQ”=x cm라고 하면 EC”=(4-x)cm, DE”=(4+x)cm △CDE에서 (4+x)¤ =(4-x)¤ +4¤ 8x=-8x+16 ∴ x=1 따라서 EC”=4-1=3(cm), DC”=4 cm이므로 △DEC=;2!;_3_4=6(cm¤ )

18

점 O'에서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OH”=OA”-AH” OH”=OA”-BO'” OH”=6-4=2(cm) OO'”=OT”+O'T”=OA”+O'B”=6+4=10(cm) 직각삼각형 OHO'에서 O'H”="√10¤ -2¤ =4'6(cm) 한편 PA”=PT”=PB”이므로 PT”=;2!;AB”=;2!;O'H”=2'6(cm) A H B P T 4`cm 6`cm O O' A B ER O P Q S C D 4`cm 2`cm 2`cm 4`cm 2`cm 2`cm A C E F O D 10 6 12 B a a r 12`cm 13`cm 5`cm A B D E C O

(22)

19

점 O'에서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C라 하고 원 O'의 반지름의 길이 를 r cm라고 하면 OO'”=OD”-O'D”=6-r(cm) AF”=;2!;AB”=2(cm) △O'OCª△AOF이므로 O'O” : O'C”=AO” : AF”

즉, (6-r) : r=6 : 2이므로 r=;2#;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2#; cm이다. 6`cm r`cm {6-r}`cm A C D E B O O' F 3∠AOB=96˘ ∴ ∠AOB=32˘ ∴ ∠x=;2!;∠AOB=;2!;_32˘=16˘

0

4

20˘ : ∠DBC=3 : 6이므로 3∠DBC=120˘ ∴ ∠DBC=40˘ ∴ ∠x=20˘+40˘=60˘

2. 원주각

01. 원주각

개념

CHECK

107쪽 ⑴ ∠BQC ⑵ 2 01⑴ 104˘ ⑵ 63˘ 02⑴ 30˘ ⑵ 65˘ 03⑴ 25˘ ⑵ 16˘ 0460˘

0

1

⑴ CO”를 그으면 ∠BOC=2∠BAC=2_24˘=48˘ ∠COD=2∠CED=2_28˘=56˘ ∴ ∠x=∠BOC+∠COD=48˘+56˘=104˘ ⑵ ∠CBA=;2!;_(360˘-∠COA) ⑵ ∠CBA=;2!;_(360˘-110˘)=125˘ ∴ ∠x=360˘-(110˘+62˘+125˘)=63˘

0

2

⑴ μAD에 대하여 ∠ABD=∠ACD=60˘ AB”가 원 O의 지름이므로 ∠ADB=90˘ ∴ ∠x=180˘-(90˘+60˘)=30˘ ⑵ μCA에 대하여 ∠CDA=∠CBA=25˘

AB”가 원 O의 지름이므로 ∠ADB=90˘ ∴ ∠x=90˘-25˘=65˘

0

3

⑴ μAB=μ CD=4이므로 ∠CED=∠AFB=25˘ ∴ ∠x=25˘

⑵ μAB : μCD=6 : 18=1 : 3이므로

∠AOB : ∠COD=1 : 3, ∠AOB : 96˘=1 : 3

유형 40˘ 1-1 150˘ 1-2 65˘ 1-3 69˘ 유형 162˘ 2-1 108˘ 2-2 65˘ 2-3 42˘ 2-4 44˘ 2-5 64˘ 2-6 2-7 (15+5'3)cm 유형 75˘ 3-1 35˘ 3-2 20˘ 3-3 60˘ '2 1252

유형

EXERCISES

108~109쪽 2 3 1 유형`` ∠AOB=2∠ACB=2_50˘=100˘ △OAB는 OA”=OB”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x=∠OBA=;2!;_(180˘-100˘)=40˘

1

-1 ∠BCD는 μBAD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μBAD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는 2∠BCD=2_130˘=260˘ ∠x=360˘-260˘=100˘ ∠y=;2!;∠x=;2!;_100˘=50˘ ∴ ∠x+∠y=100˘+50˘=150˘

1

-2 OT”를 그으면 ∠PTO=90˘ 이므로 직각삼각형 OPT에서 ∠POT=180˘-(40˘+90˘) ∠POT=50˘ ∠TOB=180˘-50˘=130˘ ∴ ∠x=;2!;∠TOB=;2!;_130˘=65˘

1

-3 O’A”, OB”를 그으면 ∠PAO=∠PBO=90˘이므로 ∠AOB=180˘-42˘=138˘ ∴ ∠x=;2!;∠AOB=;2!;_138˘=69˘ A B C T O P 40© x

1

(23)

개념 BOOK 유형`` CD”가 원 O의 지름이므로 ∠CBD=90˘ ∠ABC=∠ADC=33˘이므로 ∠x=90˘-33˘=57˘ ∠y=180˘-(42˘+33˘)=105˘ ∴ ∠x+∠y=57˘+105˘=162˘

2

-1 ∠y=∠BDC=36˘, ∠x=2_36˘=72˘ ∴ ∠x+∠y=72˘+36˘=108˘

2

-2 △BCQ에서 ∠ABC=29˘+36˘=65˘ ∴ ∠x=∠ABC=65˘

2

-3 AC”가 원 O의 지름이므로 ∠ABC=90˘ ∠ACB=∠ADB=48˘

∴ ∠x=90˘-48˘=42˘

2

-4 BC”를 그으면 AB”가 원 O의 지름이므로 ∠ACB=90˘ △ACB에서 ∠CBA=180˘-(90˘+46˘)=44˘ ∴ ∠x=∠CBA=44˘

2

-5 AD”를 그으면 AB”가 원 O의 지름 이므로 ∠ADB=90˘ ∴ ∠ADP=90˘ ∠CAD=;2!;∠COD ∠CAD=;2!;_52˘=26˘ △PAD에서 ∠x=180˘-(90˘+26˘)=64˘

2

-6 BO”의 연장선과 원 O의 교점을 P라고 하면 ∠BAC=∠BPC B’P’가 원 O의 지름이므로 ∠BCP=90˘ B’P’=2_4=8(cm)이므로 sinA=sinP= =

2

-7 AB”가 원 O의 지름이므로 △ABC는 ∠BCA=90˘인 직각삼각형이다. 즉, BC”=10sin30˘=10_;2!;=5(cm) CA”=10cos30˘=10_22555'3=5'3(cm) 2 '2 225552 4'2 125558 O A P B C 4`cm 4'2`cm A B D C P O 52© x

2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는 AB”+BC”+CA”=10+5+5'3=15+5'3(cm) 유형`` μBC=μCD이므로 ∠CBD=∠BAC=30˘ △ABC에서 ∠x=180˘-(30˘+45˘+30˘)=75˘

3

-1 μAQ=μBP이므로 ∠BQP=∠APQ=∠x PQ”가 원 O의 지름이므로 ∠QBP=90˘ △QBP에서∠x+90˘+(20˘+∠x)=180˘이므로 2∠x+110˘=180˘ ∴ ∠x=;2!;_70˘=35˘

3

-2 μAD :μCB=1 : 3이므로 ∠x : ∠CAB=1 : 3 ∴ ∠CAB=3∠x 즉, △ACP에서 3∠x+∠x=80˘이므로 4∠x=80˘ ∴ ∠x=20˘

3

-3 μAB :μ BC :μ CA=2 : 3 : 4이므로 ∠C : ∠A : ∠B=2 : 3 : 4 그런데 ∠A+∠B+∠C=180˘이므로 ∠A=180˘_125551253 =60˘ 2+3+4

3

02. 원주각의 활용`⑴`-원과 사각형

개념

CHECK

114쪽 ⑴ 180 ⑵ 180 0140˘ 02110˘ 0370˘ 0445˘

0

1

∠BAC=∠BDC이어야 하므로 ∠BDC=50˘ ∴ ∠x=∠BEC-∠BDC=90˘-50˘=40˘

0

2

∠BOD=2_70˘=140˘ ∠BCD=180˘-70˘=110˘ OBCD에서 ∠x+∠y=360˘-(140˘+110˘)=110˘

0

3

△DPC에서 ∠PDC=180˘-30˘-80˘=70˘

(24)

03. 원주각의 활용`⑵`-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

개념

CHECK

119쪽 ⑴ ∠BCA ⑵ ∠CAT' 0130˘ 0238˘ 03∠x=140˘, ∠y=20˘ 0460˘

0

1

AB”가 지름이므로 ∠BCA=90˘ ∠ABC=∠ACT=60˘ ∴ ∠x=180˘-(60˘+90˘)=30˘

0

2

A’T”를 그으면 ∠ATB=90˘ ∠ATP=∠PBT=26˘ ∴ ∠PTB=90˘+26˘=116˘ △PBT에서 ∠x+26˘+116˘=180˘ ∴ ∠x=38˘

0

3

∠BCA=∠BAT=70˘ ∴ ∠x=2∠BCA=2_70˘=140˘ 이때 △OAB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y=;2!;_(180˘-140˘)=20˘

0

4

∠DTP=∠CTQ=∠CAT=75˘ ∠BTQ=∠BDT=45˘ ∴ ∠x=180˘-(75˘+45˘)=60˘ 26© O B T P A x

0

4

∠BAD=∠DCE=92˘이므로 `ABCD는 원에 내접한 다. ∴ ∠ADB=∠ACB=45˘ 유형`` 네 점 A, B, C, D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BDC=∠BAC=43˘ △DBC에서 43˘+∠x+(42˘+58˘)=180˘ ∴ ∠x=37˘

1

-1 ㄱ. ∠ACB+∠ADB ㄴ. ∠ADB=180˘-(25˘+90˘)=65˘이므로 ∠ADB=∠ACB=65˘ ㄷ. ∠ACB=180˘-(85˘+40˘)=55˘이므로 ∠ADB+∠ACB ㄹ. ∠ADB=180˘-(50˘+25˘+40˘)=65˘이므로 ㄹ. ∠ADB=∠ACB=65˘ 따라서 네 점 A, B, C, D가 한 원 위에 있는 것은 ㄴ, ㄹ 이다.

1

-2 네 점 A, B, C, D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ADB=∠ACB=15˘ △EBC에서 ∠EBC=80˘-15˘=65˘ △DPB에서 ∠x=65˘-15˘=50˘

1

유형 37˘ 1-1 ㄴ, ㄹ 1-2 50˘ 유형 108˘ 2-1 ∠x=80˘, ∠y=100˘ 2-2 ∠x=75˘, ∠y=75˘2-3 80˘ 유형 105˘ 3-1 ∠x=78˘, ∠y=156˘ 3-2 55˘ 3-3 ② 유형 40˘ 4-1 85˘ 4-2 40˘ 4-3 72˘ 유형 69˘ 5-1 30˘ 5-2 18'3 cm¤ 5-3 5 cm 유형 70˘ 6-1 46˘ 6-2

유형

EXERCISES

120~122쪽 2 3 1 4 5 6 유형`` AD”=BD”이므로 △ABD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DAB=;2!;_(180˘-36˘)=72˘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BAD+∠x=180˘ ∴ ∠x=180˘-72˘=108˘

2

-1 ∠x=180˘-(53˘+47˘)=80˘ ∠y=180˘-∠x=180˘-80˘=100˘

2

-2 ∠x+105˘=180˘이므로 ∠x=75˘ △PCD에서 ∠y=180˘-(30˘+75˘)=75˘

2

-3 BD”를 그으면 `ABDE가 원 O에 내접하므로 ∠BDE=180˘-90˘=90˘ 즉, ∠BDC=130˘-90˘=40˘ 이므로 ∠x=2_40˘=80˘ A B C D E O 130© x

2

(25)

개념 BOOK 유형`` ∠BDC=∠BAC=50˘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ABE=∠CDA=55˘+50˘=105˘

3

-1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x=78˘ ∴ ∠y=2∠x=2_78˘=156˘

3

-2 △ABQ에서 ∠PAD=∠x+30˘, ∠ADP=∠x 따라서 △PAD에서 40˘+(∠x+30˘)+∠x=180˘ ∴ ∠x=55˘ ■ 다른 풀이 ■ ∠x=∠PDA=∠CDQ이고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한 쌍의 대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므로 ∠BAD+∠BCD=(40˘+∠x)+(∠x+30˘)=180˘ 2∠x=110˘ ∴ ∠x=55˘

3

-3 ① 100˘+∠BQP=180˘ ∴ ∠BQP=80˘ ③ ∠PQC=∠PAB=100˘이므로 ②100˘+∠CDP=180˘ ∴ ∠CDP=80˘ ④ ∠PAB+∠CDP=100˘+80˘=180˘이므로 ②AB”∥DC” ⑤ ∠ABQ=∠DPQ이므로 ②∠DPQ+∠DCQ=180˘에서 ②∠ABQ+∠DCQ=180˘

3

유형`` ∠BCA=∠BAT=50˘ ∴ ∠BOA=2∠BCA=2_50˘=100˘ △OAB는 OA”=OB”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x=;2!;_(180˘-100˘)=40˘

4

-1 AC”를 그으면 ∠DCA=∠DAT=50˘ ∠ACB=∠ADB=35˘ ∴ ∠x=50˘+35˘=85˘

4

-2 `ABTC가 원 O에 내접하므로 ∠PBT=∠ACT=86˘ T A B D C 35© 50© x ∠PTB=180˘-(86˘+54˘)=40˘ ∴ ∠x=∠PTB=40˘

4

-3 A’T”를 그으면 ∠BAT=∠BTP=42˘ ∠BAT : ∠CAT=μ BT : μ CT이므로 42˘ : ∠CAT=7 : 5 ∴ ∠CAT=30˘ ∴ ∠x=42˘+30˘=72˘

4

유형`` AB”를 그으면 ∠ABC=90˘ ∠CAB=∠CBQ=∠x △APB에서 ∠ABP=∠x-48˘ ∠PBQ=180˘에서 (∠x-48˘)+90˘+∠x=180˘ 2∠x+42˘=180˘ ∴ ∠x=69˘

5

-1 DB”가 원 O의 지름이므로 ∠BCD=90˘ 따라서 ∠ACD=90˘-50˘=40˘이므로 ∠ABD=∠ACD=40˘

직선 AT가 원 O의 접선이므로 ∠ABC=∠SAC=70˘ ∴ ∠x=70˘-40˘=30˘

5

-2 ∠ABT=∠ATP=30˘ AB”가 지름이므로 ∠ATB=90˘ 따라서 직각삼각형 ATB에서 AB”=12 cm이므로 AT”=12sin30˘=12_;2!;=6(cm) BT”=12cos30˘=12_ =6'3(cm) ∴ △ATB=;2!;_6_6'3=18'3(cm¤ )

5

-3 원 O의 지름 AD를 그으면 ∠ADB=∠ABT=∠ACB=∠x 따라서 직각삼각형 ABD에서 AB”=6 cm이므로 tanx= =;4#; ∴ BD”=8(cm) ∴ A’D”="√6¤ +8¤ =10(cm)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5 cm이다. 6 14555BD” A C D 6`cm x B T O '3 145552 30© 30© T A B P O 6`cm O B Q A C P x x 48©

5

(26)

010238˘ 0315˘ 0414˘ 0506∠x=36˘, ∠y=54˘ 0796˘ 0809200˘ 1011 60˘ 12 8'3 cm¤ 13 5p cm 14 21˘ 15 6'3 m 16 136˘ 17 30˘ 18 70˘ 19 90˘

중단원

EXERCISES

123~125쪽

0

1

BQ”를 그으면 ∠BQC=;2!;∠BOC=;2!;_100˘=50˘ ∠AQB=75˘-50˘=25˘이므로 ∠APB=∠AQB=25˘

0

2

BD”가 지름이므로 ∠BAD=90˘ ∠ADB=∠ACB=52˘이므로 ∠x=90˘-52˘=38˘ A P Q B C O 100© 50© 25©

0

3

∠BOC=x˘라고 하면 μBC=3p cm이므로 2p_18_ =3p ∴ x=30 ∴ ∠BAC=;2!;∠BOC=;2!;_30˘=15˘

0

4

μAC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ADC=∠x △PCB에서 ∠BCD=∠x+40˘ △QCD에서 ∠QCD+∠QDC=68˘이므로 (∠x+40˘)+∠x=68˘ ∴ ∠x=14˘

0

5

BC”를 그으면 μCD의 길이가 원의 둘레의 길이의 ;1¡0;이므 로 ∠DBC=;1¡0;_180˘=18˘ μAB : μCD=5 : 3이므로 ∠ACB : ∠DBC=5 : 3 ∴ ∠ACB=;3%;∠DBC ∴ ∠ACB=;3%;_18˘=30˘ 따라서 △PBC에서 ∠x=18˘+30˘=48˘

0

6

10개의 칸 사이의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모두 같으므 로 ∠x=;1™0;_180˘=36˘ ∴ ∠y=;1£0;_180˘=54˘

0

7

AC”를 그으면 ∠BAC=180˘_;3!;=60˘ ∠CAD=180˘_;5!;=36˘ `ABCD가 원 O에 내접하므로 ∠x=∠BAD=60˘+36˘=96˘

0

8

BE”를 그으면 ∠ABE=;2!;∠AOE=36˘ `BCDE가 원 O에 내접하므로 ∠EBC+∠CDE=180˘ ∴ ∠x+∠y=∠ABE+∠EBC+∠CDE ∴ ∠x+∠y=36˘+180˘=216˘ O B E A C D 72© x y 60© 36© O B C D A x 18© 30© D C B A x P x 11360 유형`` PA”=PB”이므로 ∠PAB=∠PBA=;2!;_(180˘-40˘)=70˘ 이때 직선 PA는 원 O의 접선이므로 ∠BCA=∠PAB ∴ ∠x=70˘

6

-1 △APB에서 PA”=PB”이므로 ∠PAB=∠PBA=;2!;_(180˘-58˘)=61˘ ∴ ∠CAB=180˘-(61˘+73˘)=46˘ 이때 직선 PE는 원 O의 접선이므로 ∠CBE=∠CAB=46˘

6

-2 ① ∠ABT=∠ATP=∠CTQ=∠TDC ② ∠BAT=∠BTQ=∠PTD=∠TCD ③ ①에서 ∠ABT=∠TDC(엇각)이므로 ② AB”∥CD” ④ △ABT와 △CDT에서 ②∠ABT=∠CDT, ∠ATB=∠CTD ②∴ △ABT∽△CDT`(AA 닮음) ⑤ △ABT∽△CDT이므로 A’T” : CT”=BT” : D’T”

6

(27)

개념 BOOK

0

9

`PQCD가 원 O'에 내접하므로 ∠PQB=∠PDC=80˘ `ABQP가 원 O에 내접하므로 ∠PAB+∠PQB=180˘에서 ∠PAB=180˘-80˘=100˘ ∴ ∠x=2∠PAB=200˘

10

∠BCE=∠BDE=60˘이므로 △BCF에서 ∠x=25˘+60˘=85˘ `ABDE가 원 O에 내접하므로 ∠y+60˘=180˘ ∴ ∠y=120˘ ∴ ∠y-∠x=120˘-85˘=35˘

11

μAB : μBC=4 : 3이고, ∠ABC=40˘이므로 ∠BAC=(180˘-40˘)_ =60˘ ∴ ∠CBT=∠BAC=60˘

12

∠ABC=∠CAT=60˘ 원 O의 넓이가 16p cm¤ 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4 cm이다. ∴ BC”=2_4=8(cm) 따라서 AB”=8cos60˘=4(cm), A’C”=8sin60˘=4'3(cm)이므로 △ABC=;2!;_4_4'3 =8'3(cm¤ )

13

내심은 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므로 ∠ABQ=∠CBQ, ∠ACP=∠BCP μ PAQ의 원주각의 크기는 ∠ACP+∠ABQ =;2!;_(180˘-30˘)=75˘ 이고 μPAQ의 중심각의 크기는 2_75˘=150˘이다. ∴ μPAQ=2p_6_ =5p(cm)

14

△ACE에서 ∠BAC=∠x+32˘ BD”를 그으면 μAB=μBC=μCD이므로 ∠BCA=∠CBD=∠BAC ∠BCA=∠x+32˘ 한편 ∠ABD=∠ACD=∠x이므로 △BCE에서 B E A C x D 32© x O 150 11360 I P B C Q A 30© 3 11554+3 (∠x+32˘+∠x)+(∠x+32˘+∠x)+32˘=180˘ 4∠x+96˘=180˘ ∴ ∠x=21˘

15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모두 같 고, 반원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 이므로 ∠BAP=90˘가 되도록 원 O 위에 점 P를 잡으면 B’P’는 원 O의 지 름이고, ∠APB=60˘이다. 직각삼각형 APB에서 sin60˘= 이므로 B’P’=A’B’_ =9_ =6'3(m) 따라서 원형 극장의 지름의 길이는 6'3 m이다.

16

OB”를 그으면 △OAB와 △OCB는 각 각 이등변삼각형이므로 ∠OBA=∠OAB=72˘, ∠OBC=∠OCB=28˘ ∴ ∠ABC=72˘-28˘=44˘ `ABCD가 원 O에 내접하므로 ∠ADC=180˘-∠ABC=180˘-44˘=136˘

17

AD”를 그으면 DT”가 원 O의 접선이 므로 ∠BAD=∠BDT=45˘ μ AC : μ BD=1 : 3이므로 ∠CDA : ∠BAD=1 : 3 ∴ ∠CDA=;3!;∠BAD=;3!;_45˘=15˘ △APD에서 ∠BPD=45˘-15˘=30˘

18

∠ABC=∠a, ∠ADE=∠BDE=∠b라고 하면 ∠CAD=∠ABC=∠a △ABD에서 (40˘+∠a)+∠a+2∠b=180˘ ∴ ∠a+∠b=70˘ △EBD에서 ∠x=∠a+∠b=70˘

19

BT”를 그으면 ∠BTA=90˘, ∠ABT=∠ATT'=30˘이므로 ∠BAT=180˘-(90˘+30˘)=60˘ ∠BCT=∠BAT=60˘이고 BC”∥T’T'”이므로 T 30© 60© 60© T' P C A B O 30© x D C A E F B 40© x a bb a A B D T C P O 45© 45© O B A C D 72© 28© 2 152 '3 1 1115sin60˘ AB” 113 B’P’ A B P 9`m O 60© 60© 무대

(28)

0124 0212'3 cm¤ 030440 cm¤ 05(12+12'3)cm 06078 cm 084 cm 0936˘ 10110˘ 111280˘ 131462˘ 1584˘ 1675˘ 1785˘ 18192069˘ 2144˘ 2260˘ 2310 cm 242'3 25 144p

대단원

EXERCISES

128~131쪽

0

1

OA”=OD”=15, OM”=15-6=9 직각삼각형 AOM에서 AM”="√15¤ -9¤ =12 ∴ AB”=2AM”=24

0

2

O’M”=O’N”이므로 AB”=AC” ∴ ∠ABC=∠BCA=60˘ 즉, ∠CAB=60˘이므로 △ABC는 정 삼각형이다. O’C’를 그으면 △OCN에서 ∠OCN=30˘이므로 O’C’= =4(cm), C’N”= =2'3(cm) ∴ AC”=2_2'3=4'3(cm) △AOC=;2!;_4'3_2=4'3(cm¤ ) ∴ △ABC=3_△AOC=12'3(cm¤ )

0

3

O’T”를 그으면 O’T”⊥TP” 직각삼각형 OTP에서 T’H”¤ =5_10=50이므로 T’H”='∂50=5'2 ∴ T’T'”=2T’H”=10'2

0

4

AC”=CP”, BD”=DP”이므로 AC”+BD”=CD”=10(cm) ∴ `ABDC=;2!;_10_8=40(cm¤ ) P T T' 10 5 O H O’N” 1115tan30˘ O’N” 1115sin30˘ A B 2`cm C N M 30© O

0

5

PB”가 원 O의 접선이므로 OB”⊥PB” △OBP가 직각삼각형이므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sin30˘= , ;2!;= ∴ r=6 OB”=O’C’=6 cm, BP”=C’P’=6'3 cm 따라서 `OBPC의 둘레의 길이는 2(6+6'3)=12+12'3(cm)

0

6

직각삼각형 ABC에서 AC”="√17¤ -15¤ =8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고 점 O에서 AB”, BC”, CA”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 F라고 하면 CE”=CF”=r BD”=BE”=15-r AD”=AF”=8-r 이때 AB”=BD”+AD”이므로 17=(15-r)+(8-r) ∴ r=3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0

7

BD”=BE”=5 cm, CF”=CE”=7 cm AD”=AF”=x cm라고 하면 △ABC의 둘레의 길이가 30 cm이므로 2_(5+7+x)=30 ∴ x=3 ∴ AB”=AD”+BD”=3+5=8(cm)

0

8

직각삼각형 APB에서 PB”="√10¤ -6¤ =8(cm) PC”+PD”=10+6+8=24(cm) ∴ PC”=PD”=;2!;_24=12(cm) ∴ BD”=12-8=4(cm)

0

9

μAB=μ BC=μ CD=μ DE=μ EA이므로 ∠ADB=180˘_;5!;=36˘

10

μAD=μDE=μBE이므로 ∠ACD=∠DCE=∠ECB AB”가 원 O의 지름이므로 ∠ACB=3∠x=90˘ ∴ ∠x=30˘ x x x y A G B D E C O O A C E D F B 17 15 r r 1153r+6 r 1153r+6 ∠CTT'=∠BCT=60˘(엇각) ∴ ∠CTA=60˘-30˘=30˘ △PTA에서 ∠x=∠APT=180˘-(30˘+60˘)=90˘

(29)

개념 BOOK 또 μAC :μ CB=5 : 4이므로 ∠ABC : ∠BAC=5 : 4 ∴ ∠ABC= _90˘=50˘ 이때 △CGB에서 ∠y=∠x+∠ABC=30˘+50˘=80˘ ∴ ∠x+∠y=30˘+80˘=110˘

11

μ`BAC=μ``BPA+μARC BAC=2μ PA+2μAR=2μPAR 즉, μ``BAC=2μ`PAR이므로 ∠BQC=2∠PQR=2_65˘=130˘ `ABQC가 원에 내접하므로 ∠BAC+∠BQC=180˘, ∠x+130˘=180˘ ∴ ∠x=50˘

12

AC”를 그으면 ∠EAC=90˘이므로 ∠ACE=90˘-50˘=40˘ 이때 ∠AOD는 μAD의 중심각이므로 ∠AOD=2∠ACD=80˘

13

AD”를 그으면 `ADEF가 원에 내접 하므로 ∠E+∠FAD=180˘ 또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DAB+∠C=180˘ ∴ ∠A+∠C+∠E ∴=(∠FAD+∠DAB)+∠C+∠E ∴=180˘+180˘=360˘

14

BC”를 그으면 ∠BCA=90˘ μCD=μAD이므로 ∠CBD=∠ABD=28˘ △CPB에서 ∠x=180˘-(90˘+28˘)=62˘

15

BT”=BP”이므로 ∠BTP=∠BPT=32˘ PT”가 원의 접선이므로 ∠BAT=∠BTP=32˘ △ATP에서 32˘+(∠x+32˘)+32˘=180˘ ∴ ∠x=84˘ C D A B P O x 28© A B C D E F E A D C B O 50© A B C R P Q 65© x 5 1135+4

16

PQ”를 그으면 ∠PQC=∠PAB=105˘ ∴ ∠D=180˘-105˘=75˘

17

∠APB=∠CPD=45˘(맞꼭지각), ∠ABP=∠CDP=50˘ △ABP에서 ∠x=180˘-(50˘+45˘)=85˘

18

AT”, BT”를 그으면 AB”가 원 O의 지름이므로 ∠ATB=90˘ 이때 ∠BAT=∠BCT=55˘이 므로 △ATB에서 ∠ABT=180˘-(90˘+55˘) =35˘ 이때 ∠ATP=∠ABT=35˘이므로 △APT에서 ∠x=55˘-35˘=20˘

19

PB”를 그으면 ∠CBP=∠APC=∠x CB”는 원 O의 지름이므로 ∠CPB=90˘ △APB에서 26˘+(∠x+90˘)+∠x=180˘ 2∠x=64˘ ∴ ∠x=32˘

20

∠CBA=180˘-(18˘+∠x)=162˘-∠x ∠CDA=180˘-(24˘+∠x)=156˘-∠x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CBA+∠CDA=180˘ 에서 (162˘-∠x)+(156˘-∠x)=180˘ 2∠x=138˘ ∴ ∠x=69˘

21

PA”=PB”이므로 ∠PAB=∠PBA=;2!;_(180˘-40˘)=70˘ ∴ ∠ACB=∠ABP=70˘ ∠BAC+∠ABC =180˘-70˘=110˘ ∴ ∠x=110˘_ ∴ ∠x=44˘ 2 1132+3 40© O P B C A x 26© A B P C O x x P A T O B C 55© x A D C Q B P O O' 105©

참조

관련 문서

또, 조건 ㈏에서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4개이므로 조건 을 모두 만족하는

미지수 2개를 곱한 xy항이 있으므로

[해설] 고대부터 건강의 지표로 삼아왔으며, 하루 평균 0.1mm씩 손가락 끝에서 자라고, 기타 줄을 뜯는 데 사용한다는 말에서 손톱임을 유추할 수 있다..

11 해설 ④ 우주선의 화장실은 모든 쓰레기를 빨아들이기 위해 특별한 기계를 사용한다고 했다.. 우주선의 화장실에는

해설 보스턴엔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릴 것이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가수인 Jim Reed

예외라면 정말 한국인이 없는 지역 (그런 지역에 한국인이 다닐만한 어학원이 있 을지도 의문이지만)에 가서 철저하게 영어로만 서바이벌을 하기로 한다든지, 원어민

강원대학교 발전을 위하여 후원의집에서 매월 기부하는 기금을 운영하여 지원하는 장학금 - 신입생 유치 장학 : 수능 언어, 수리, 외국어 평균 성적이 5등급 이내이며

․겹침이음은 두 철근의 겹침길이를 충분히 하여 원래 철근의 힘이 콘크리트의 부착 응력에 의하여 이어지는 철근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이음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