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Copied!
6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오 진 환

(2)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

지도교수 송 미 숙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5년

2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오 진 환

(3)

오진환의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송 미 숙

(

인)

심 사 위 원

현 명 선

(

인)

심 사 위 원

송 주 은

(

인)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14년 12월 18일

(4)

감사의 글

긴 시간동안 부족한 저를 믿어주시고 따뜻한 격려를 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 다.그동안 어려움도 있었지만 언제나 함께 해주신 여러분들이 계셔서 끝까지 논문에 매진 할 수 있었습니다.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논문의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해주시며 세심하게 살펴주시고 가르쳐주신 송미숙 교수님, 늦은 밤까지 논문을 봐주시며 단어 하나까지도 꼼꼼하게 체크해주신 교수님의 회신을 볼 때 면 가슴이 뭉클하면서 힘든 과정을 극복하리라는 용기를 낼 수 있었습니다.교수님의 큰 가 르침에 진심으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바쁘신 와중에도 논문의 체계를 잡아주시고 살펴주 신 현명선 교수님,지쳐있을 때 따뜻한 격려와 위로를 해 주신 송주은 교수님,진심으로 감 사드립니다.특히 대학원 과정동안 최고의 멘토이시며 저의 논문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지지 해 주신 유문숙 교수님,교수님의 은혜에 머리 숙여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부족함이 많은 딸을 자랑스럽게 여기시며 늘 기도로 지켜주신 어머니,그리고 오 안나 수녀님께 사랑을 전하며 가슴깊이 감사를 드립니다.일과 학업 병행으로 바쁜 일상에 허덕 일 때 음식을 챙겨주며 건강을 염려해준 동생 오옥환,필요한 정보를 매번 신속하게 찾아내 서 알려주며 응원해준 아들 은식.조카 용준,지인에게도 깊은 고마움을 전합니다.바쁜 생 활을 이해와 따뜻한 격려로 뒤에서 응원하며 기다려준 남편 요한씨,정말 고맙습니다. 대학원 생활동안 서로 의지하며 함께 지낸 김은경 선생님,박주리 선생님 소중한 추억과 많은 도움주어 고맙습니다.특히 바쁜 생활 중에서도 본인의 연구처럼 지지와 성원을 보내 준 정복희 선생님,깊은 고마움을 전합니다.논문 마무리작업으로 뛰어다닐 때 병동을 지키 며 응원해준 황문정 선생님 외 병동식구들,많이 힘들어 외로울 때 따뜻한 격려로 용기를 주신 김복순 행정 원장님 가슴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논문이 완성되기를 기도해주며 자료수집에 적극참여해주신 신숙현 선생님,이석림 선생님,이재선 선생님 외 자료수집에 참여해 주신 노인요양병원의 간호사 선생님들께 머리 숙여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일일이 고마움을 다 전하지는 못하지만 사랑과 관심으로 지 켜봐주시는 지인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늘 지금처럼 최선을 다하며 주어진 것에 감사 하는 마음으로 살겠습니다. 2014년 12월 연구자 오 진 환 올림

(5)

-국문요약-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 행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 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하는 노인요양병원 에 근무하는 간호사중 임종경험이 있는 160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4일부터 8월 29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총 160부의 회수하여 최종 158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조사도구는 이연옥(2004)이 개발한 임종간호 스트레스 측정도구 와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 수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t-test와 Oneway ANOVA 및 Scheffe 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수준은 평균평점 3.82±0.44점(최대 5점)이었는데, 영역별로 보면 업무량 과중에 대한 스트레스가 4.07±0.6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에 대한 스트레스(3.97±0.64점),환자 및 보호자의 임 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로 인한 스트레스(3.96±0.56점)순으로 나타났다. 2.임종간호 수행정도는 평균평점 2.52±0.41점(최대 4점)으로,영역별로 보면 신체 적 영역이 2.98±0.4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그 다음으로 심리적 영역(2.77±0.45점), 영적영역(1.80±0.63점)순으로 나타났다.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은 임상경력(F=4.877, p=.009)이 증가할수록,직위(t=2.297,p=.023)가 높을수록,임종간호교육 경험(t=0.007,

(6)

핵심어:임종간호 스트레스,임종간호 수행,노인요양병원 간호사 p=.006)이 없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정도는 결혼상태(F=3.390p=.036) 에서 사별을 경험한 대상자가,종교(t=2.017,p=.046)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직 위(t=3.666,p=.014)가 높을수록,임종간호 교육경험(t=2.163,p=.032)이 있는 대상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 이 없는 것(r=0.099,p=0.218)으로 나타났으나 스트레스 수준의 하부영역 중 의료한 계의 갈등 영역(r=0.167,p=0.036)과,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영역(r=0.168,p=0.035)이 임종간호 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임종환자들에게 신체적 영역 이외의 영적 영역의 임종 간호가 소홀하지 않도록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에게 지속적인 임종간 호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임종간호 표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 다고 본다.

(7)

차 례

국문 요약 ...ⅰ 차례 ...ⅲ 부록 목차 ...ⅵ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1 2.연구의 목적 ...4 3.용어의 정의 ...4

Ⅱ.문헌고찰

1.임종간호 ...6 2.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 ...8

Ⅲ.연구 방법

1.연구설계 ...12 2.연구대상 ...12 3.연구도구 ...12 4.자료수집방법 및 절차...13 5.자료분석방법 ...13 6.윤리적 고려 ...14

Ⅳ.연구결과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 2.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 ...17

(8)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19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 ...21 4.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23

Ⅴ.논의

...25

Ⅵ.결론 및 제언

1.결론 ...30 2.제언 ...32 참고문헌 ...33 ABSTRACT ...48

(9)

표 목 차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표 2>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18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 차이...20 <표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22 <표 5>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24

(10)

부 록 목 차

<부록 1> 심의결과 통지서 ...39 <부록 2> 연구 참여자 설명문 및 동의서...41 <부록 3> 연구도구 1.임종간호 스트레스 측정도구...44 2.임종간호 수행 측정도구...46 3.일반적 특성 ...47

(11)

Ⅰ.서 론

1.연구의 필요성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과 의학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 어가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급속한 고령화 현상으로 2013년 총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 24.3%,2050년 37.4%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85세 이상 초 고령인구 비 율은 2013년 0.9%에서 2030년 2.5% 2050년 7.7%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통계청,2013고령자통계)또한 노인의 88.5%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보건복지 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이와 같은 변화는 가족유형의 변화와 단순히 노인 인구나 질병인구의 증가라기보다는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 인구 및 고령과 관 련된 문제가 증가함을 의미 한다(이윤희,2010). 동서양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친숙한 삶의 공간 안에서 사랑하는 사람 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조용하고 평화로운 죽음을 맞이하기를 희망하지만 현대사회 가 기능적으로 분화되어 실제로는 가정이 아닌 의료시설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 가 늘어나고 있다.미국인의 약 72%는 병원(43%)이나 요양원(29%)에서 사망하였다 고 보고되었다(NationalCenterforHealthStatistics,2010).

우리나라는 최근 장기요양시설활성화로 요양병원 입원환자가 2012년에 전체의료 기관 입원환자의 약 30%를 차지하였고(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노 인환자중 병원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경우는 1998년 28.5%에서 2010년 67.5% (통계 청,2011)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십여 년 전보다 2배 이상 상승되었다.이렇듯 임 종장소가 가정에서 의료기관으로 옮겨짐에 따라 간호사는 죽음이나 임종상황에 자 주 접하게 되며 환자들이 죽음을 수용하고 편안하게 생을 마무리 지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간호사에게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강성례,2000). 임종간호는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가 남은 여생동안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죽음을 맞이하도록 신체적,정

(12)

서적,사회적,영적으로 도우며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 인 돌봄(holisticcare)이다.(가톨릭대학교 호스피스교육연구소.2006).임종 시기에 있는 환자는 자신의 삶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와 관련된 복잡한 이슈들의 다중성에 직면하므로 간호사는 환자와 그 가족이 적극적인 자세로 죽음의 의미를 추구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전인적 간호를 제공하여야 한다(조계화 외,2013).그러므로 생의 마지막 기로에 선 인간이 존엄성을 지니고 이 세상을 떠나도록 돕는 것은 전문직 간호의 본질적 가치이며(Milton CL.2008),임종간호의 숭고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강성례,2000).그러나 많은 간호사들이 임종간호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 해하고 두려움과 무력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노준희 외,2009).이는 간호사들이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부족하고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와 철학을 확실하게 정립하지 않고 있으며 (이영숙,2007),환자의 죽음과 관련된 불안,공포 및 슬픔 등 심리적 증상을 함께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이연옥,2004).그러므로 병원에서 임종 이 예견되는 환자가 많은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매우 심한 스트레스나 고통을 받는다(전미희,2008)고 보고되고 있다.임종의 증가는 업무량 증가로 임종환자 간호 에 많은 간호 부담감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환자간호 갈등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다(이연옥,2004).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간호사들은 지속적인 긴장상태에 놓이 게 되고 좌절감을 경험하며 많은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접하게 된다(이향련,이연옥, 최은영,박영미,2007).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며(정지수,2014),체계적인 임종 간호는 임종환자와 가족의 죽음에 대한 스트레스,불안 및 우울감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환자 및 가족이 지각한 환자의 죽음의 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Karen,Andrew,Michael,& William,2010).그러므로 간호사는 임종간호 를 통하여 대상자가 적극적인 자세로 죽음의 의미를 추구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우영화 외,2013).간호사들은 이러한 임종간호 제공시 자신을 하나 의 간호도구로 사용하기 때문에 간호사 개인의 심리적,영적 특성과 수용성에 따라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서영숙 외,2012).그러나 간호사는 임종을 앞 둔 환자를 돌보면서 육체적인 피로와 함께 환자를 살리기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

(13)

다는 무력감,환자가 죽을 경우 보상 없는 헌신과 절망감 등과 같은 심리적인 고통 으로 일반 환자를 간호할 때와는 또 다른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강성례,이병 숙,2001;이이정,2011)).간호사들은 불안,분노를 표현하는 임종환자들을 대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임종환자들의 고통과 요구가 증가 할수록 간호사는 에너지 소모 와 더불어 가중된 스트레스는 직업적 소진으로 이어지면서 환자를 돌보는데 소극적 인 태도를 취하며 심지어 이직과도 연결된다(조영자,2011).임종간호 스트레스가 높 을수록 임종간호 수행이 낮은 것으로 보고가 되고 있다(정상이,2013).이처럼 간호 사의 높은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임종환자 간호수행의 장애요인이 되며 인간적인 돌 봄이 흐려지고 매우 기계적으로 대하게 된다.간호사는 임종환자가 신체적,심리적, 영적인 측면에서 많은 요구를 가지고 있지만 임종환자의 요구가 충족되지 못하거나 간호수행의 효과가 부족하다고 생각 될 때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이연옥,2004).그 러므로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저하시키고 전인적 임종간호를 제공하기위한 효율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임종간호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급성기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암 병동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김정희,2009),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에 관한 연 구(노선숙,2010)로 암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 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김성은,20110),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권은진,2013)로 급성기 병원의 특수병동에서 이루 어진 연구가 대부분이다.임종간호와 관련된 요양병원에 대한 선행연구로는,요양병 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정지수,2013)으로 요양병원에 대한 연구 는 미흡한 실정이며 노인요양병원 간호사가 임종간호를 하면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 와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따라서 2018년 고 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고 요양병원에서 임종을 맞는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시점에 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연 구는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고 임

(14)

종간호 수행도를 향상시키는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의 표준지침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2.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도 를 파악하여 노인요양병원 임종간호 실무의 표준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파악한다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파악한 다. 3)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도간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3.용어의 정의

1)임종간호 스트레스 (1)이론적 정의 간호사가 임종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간호를 하는 동안 업 무로 인해 생리적,심리적,사회적인 부담을 느끼는 상태로 임종환자 간호시 경험하 게 되는 스트레스를 말한다(이원호,1995). (2)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이연옥(2004)이 개발한 임종간호스트레스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 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점수가 높을수록 임종간호 스트레스 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15)

2)임종간호 수행 (1)이론적 정의 살 가망이 없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을 돌보아 주어 인간으로서 존엄성 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온하게 맞이하도록 환자와 그 가족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요구를 충족 시켜주는 총체적 돌봄이다(노유 자,한성숙,안성희,김춘길,1995). (2)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 게 수정,보완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점수가 높을수록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16)

Ⅱ.문헌 고찰

1.임종간호

죽음은 삶의 종말이라는 시간의 유한성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죽음자 체보다는 천천히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임종과정을 두려워한다(서혜경,2009:재인용). 임종간호란 임종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간호로써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환자와 가족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요구를 충 족시키며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인 돌봄(노유자 등,1995).을 말하며 호스피스 등의 용어와 함께 쓰인다.호스피스는 돌봄의 공동체 로써 정의되기도 하며 인간이 죽기 전에 머물면서 쉬고 생을 정리하고 완성하여 조 화를 이루는 작업을 하도록 시간과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며 인생의 마지막에 환자 개개인마다 개인적 특성이 고려된 경험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고통에 직면하더 라도 환자와 가족 모두가 성숙하고 마무리를 더 잘 할 수 있도록 돕는다(가톨릭대 학교 호스피스 교육연구소,2006) 인간이 임종에 도달하게 되면 개인 전체의 삶에 영향을 받게 되며 임종환자는 불 안,공포,좌절,외로움 등 여러 가지 심리 정서를 느끼게 된다.그러므로 임종간호 는 질병의 치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심리적,정신적인 면과 인격적 품 위 등 환자가 겪는 모든 장애들을 보살피면서 고통을 덜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김기섭 역,2010).임종간호는 죽음에 대한 고요한 통찰력을 갖도록 하여 임종 환자가 그의 마지막 삶을 가족과 친지들로 둘러싸여 평온하게 최종의 날을 맞도록 하는 것이며 임종간호의 철학은 첫째,말기환자와 임종환자 그리고 그 가족들을 돌 보고 지지함을 목적으로 하며,둘째 그들의 남은 생을 편안하고 충만하게 살도록 해 주며 셋째,죽음을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분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며 넷 째,삶을 연장시키거나 단축시키지 않으며 다섯째,환자와 그 가족의 요구에 부응하 여 가능한 자원을 이용하여 신체적,사회 심리적,영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죽음을

(17)

준비하도록 돕는 것이다 (노유자,안성희,한성숙등,1995).즉 임종간호 제공자는 편 안하고 경험이 있는 유능한 돌봄 제공자로서,임종환자가 편안한 환경에서 질병의 고통에서 해방되며,환자와 가족이 필요로 하는 요구를 제공해야한다(홍숙자,2010). 그러나 임종 시 환자의 상태가 다급하므로 환자와 가족 및 친지들에 대한 인간적인 돌봄이 흐려지고 매우 기계적으로 대하게 된다.그러므로 임종환자 간호 시 간호사 는 무엇보다도 죽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죽음에 대한 철학과 신앙,그리고 죽음 을 받아들이는 긍정적인 태도는 인간이 성장해 가는 한평생의 과정이라고 하겠다. 두렵고 외롭고 슬프며 괴로운 환자를 혼자 있게 놔두지 말고 옆에 있어 주며,위로 해 주고 신체적인 여러 가지 불편을 덜어주어 편하게 해 주어야 한다(성인간호학, 2008).간호사는 환자의 임종을 겪을 때 각기 개별화된 경험을 하게 되며 문화,종 교,가치관 등에 영향을 받게 되어 고통과 죽음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태도를 초래하게 되고 환자들의 통증,고통,두려움의 에너지가 자신에게 전이됨을 경험하 며 환자들의 좌절감과 분노에 반응하기도 한다.죽음에 대한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 거나 죽음에 대한 가치관을 갖고 있지 않을 때 간호사는 임종환자의 요구를 파악하 고 해결해 주는 간호를 하기 어렵다.간호사는 임종 과정에서 자신과의 갈등을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전문적인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으므로,임종환 자 돌봄의 경험을 이해하여 삶과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확립하고 있어야 한다(함귀선,2008).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종간호가 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유승연(2001)의 연구를 보면 말기 암 환자에게 임종간호는 정신적,지지적,영적 차원의 삶의 질을 포함한 전체적인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 를 가져 온 것을 볼 수 있다.또한 간호사의 대부분은 임종간호가 임종환자에게 정 확한 진단과 진실을 알려주어 남은 생을 의미 있는 삶이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 으며 환자의 신체적,정신적,영적 고통을 덜어주어 편안을 도모한다고 인식 하였으 며(이용주,2004),임종간호는 임종을 맞이하는 환자에게 죽음을 준비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최대한 증가시키는 전인적인 간호라고 보고하였다(김강미자외,2009). 이상 임종간호와 관련된 문헌을 고찰해본 결과 임종간호에 있어 간호사는 환자 를 돌보는 주체인 동시에 간호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임종과정을 긍

(18)

정적으로 수용하여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가적인,간호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함을 알 수 있다.

2.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

의료인은 임종환자를 발견하고 대할 때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임종환자를 간호해 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면 부담감, 공포, 좌절감, 우울감 등을 느낀다고 한다 (Stewart,Lord& Mercer,2000).스트레스란 그 어원이 라틴어의 ‘Stringer’에서 유 래된 것으로 ‘팽팽하게 죄다’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14세기 이후부터 사용되어 왔 다.초기에는 ‘고초’‘궁지’‘역경’‘고통’의 의미로 사용되었고 타인에 대한 압력의 의미도 내포되어 있었다.20세기 들어서 스트레스와 건강의 연관성이 연구되면서 스 트레스 개념이 확장되어 왔다(대한불안의학회,2005).어떤 스트레스든지 지나치게 장기간 계속되거나 심하면 아무리 적응력이 뛰어난 사람일지라도 결국은 질병이나 적응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성인간호학,2008). 말기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자신의 헌신적인 노력으로도 환자의 아픔이 경감 되지 않을 때 심한 좌절감을 경험하게 되고,지속적인 긴장상태에서 고통을 경험하 며 책임과 부담감이 높을수록 고통을 더 심하게 경험하고,상태에 호전이 없는 환자 를 간호사는 간호사가,환자와 관계가 두터울수록 더욱 심한 고통을 경험하는 것으 로 보고하였다(조계화,한희자,2001).죽음을 맞이하는 환자들의 간호요구 변화와 간호사들의 역할변화 요구,의료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으로 인하여 임종환자를 간 호하는 간호사의 부담감 및 스트레스는 증가하고 있다(이강오,윤현정,2006).임종 간호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개발한 이연옥(2004)은 임종간호스트레스를 환자 및 보호 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임종환자에 대한 시간할애의 어려움,임종환자 간 호에 대한 부담감,업무량 과중,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으로 7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업 무량 과중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보고하였다.간호사의 임 종간호스트레스를 연구한 정상이(2013)는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이 가장 높았으며 다

(19)

음으로 업무량 과중,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임종환자에 대한 시간 할애의 어 려움,임종환자와의 인간적인 갈등,전문지식과 기술부족,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 담감 순으로 스트레스를 높게 경험한다고 하였다.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에 관한 연구(우영화, 2012)에서 임종간호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한 결과 업무량 과중이 가장 높았으며 의 료한계에 대한 갈등,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 태도,임종환자와의 인 간적 갈등,임종환자에 대한 시간 할애의 어려움,전문지식과 기술부족,임종환자 간 호에 대한 부담감 순이었다.암 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연구한 김정희 (2009)는 간호사들은 과중한 업무 속에서 임종간호를 해야 할 때,임종환자가 간호 사에게 업무과다를 가져올 때,밤 근무 시 임종환자를 간호해야 할 때,임종환자를 자주 경험할 때.임종 후 행정적인 업무 절차가 지연될 때 스트레스를 높게 경험한 다고 하였다. 내과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김혜림 (2014)은 업무량 과중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의료한계 에 대한 갈등,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 태도,임종환자에 대한 시간 할애의 어려움 마지막으로 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부담감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선행연구를 통해 간호사들은 임종간호 시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신체 적,정신적,영적 간호를 제공하면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노인요양병원 간호사는 복합적인 만성질환을 가지고 장기간 입원해 있는 노인 을 대상으로 임종간호를 제공해야 하므로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므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효율적이고 전인 적인 임종간호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임종간호 수행은 임종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간호를 의미 하며 인간은 임종시 신체뿐 아니라 정신,사회,영혼 등 인간 전체의 삶에 영향을 받게 되고,여러 가지 심리 정서를 느끼게 된다(최원자와 최희강,1998).조경미 (2005)의 연구에서도 실제로 간호를 받는 가족 및 환자에게서 정신적 ·영적인 부분 에 대한 요구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그러므로 임종간호 수행은 환자가 마지막 까지

(20)

자신을 포기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인정받으며 가족 또는 친구에게 의미 있는 사람 으로 이해되고 간호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Kagawa- Singer, 1998).체계적인 임종간호를 수행할 경우,임종 환자와 가족의 죽음에 대한 스트레 스,불안,우울감 감소와 환자의 남은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Karen,Andrew, Michael& William,2010).

임간호수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가 죽음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신체적 영역의 임종간호수행이 증가한다(김성은,2011)고 하였고,우영화(2012)는 죽 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를 낮추면 임종간호수행이 증가할 것 이라고 하였다.중 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정상이(2013)는 임종간호수행 영역 중 신체적 영 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심리적 영역,영적 영역 순이며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으면 임종간호 수행이 낮아지며 특히 신체적 영역의 임종간호 수행이 낮아진다고 보고하였다.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신체적 ·심리적 ·영적 영역인 3가지 하 부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볼 때 신체적 영역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김성은, 2011;신희진,2011;안순남,2004;우영화,2012;정지수,2014; 정상이,2013).

한편,Hansen,Goodell,Dehaven,& Smith(2009)는 현장에서 간호사들이 신체적 영역의 간호에 치중하고 있지만 통증조절과 관련된 지식이 부족하여 임종간호수행 에 걸림돌이 된다고 하였다.임종간호 수행 도구를 개발한 박순주(1996)는 말기 환 자가 극심한 신체적 고통에 시달리게 되면 사회 ·심리적 및 영적 간호를 효과적으 로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체적 간호는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안위를 높여주는 중재로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한다고 하였다.또한 임종간호수행에 있어 신체적 영역 못지않게 임종을 맞이하는 환자에게 발생하는 심리적 ·영적 문제를 관리함과 동시 에 죽음을 준비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최대한 증가시키는 전인적인 간호가 중요 하다고 하였다 (김강미자,전시자와 김희경,2009;최애신,2003).이렇듯 어떤 측면 의 요구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할 수는 없지만 대상자가 필요로 하는 전인적 임종 간호 수행을 위해서 실무 현장에서 간호사들이 제공하고 있는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Mularsaki등(2009)은 임종간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환자 중심의 돌봄과 임종환자의 가족과 간호제공자의 스트레

(21)

스 관리가 중요하다고 하였다.신희진(2011)의 연구에서는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종학력,직위,임종간호 경험부서,임종관련 교육여부 등을 보고 하였으며 정지수(2014)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상경력이라고 하였으며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수행도 가 높았으므로 경력 등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인력배치와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상 임종간호수행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 해 본 결과 실무 현장에서 간호사는 임 종상황에 자주 노출되고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적극적이고 전인적인 임종간호 를 제대로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따라서 요양병원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노인 인구 가 증가하는 시대에 질적으로 향상된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인요양병원 간 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임종간호 수행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22)

Ⅲ.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2.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8개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 사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노인요양병원에서 임종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2)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서면동의를 한 간호사 대상자수는 G-power3.1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검정력 .95상관관계 분석을 위 해 효과크기 .30일때 134명으로 산출되나 탈락율 고려하여 16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 하여 160부를 수거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미흡한 2부를 제외하고 최종 자료 분석에 이용된 대상은 총 158명이었다.

3.연구도구

1)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스트레스 측정은 이연옥(2004)이 개발한 임종간호스트레스 도구를 본 연 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총 37문항으로 간호사의 전문지식과 기술부 족,의료한계에 대한 갈등,간호사의 업무량 과중,임종환자에 대한 간호시간 할애의

(23)

어려움,임종환자 간호에 대한 어려움,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그리고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로써 7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각 문항 은 5점 Likert척도로 ‘매우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 으로 점수가 높을수 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연옥(2004)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α=.9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α=.92이었다 2)임종간호 수행 임종간호 수행 측정은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총 20문항으로 신체적 영역,심리적 영역,영적 영 역으로써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각 문항은 4점 Likert척도로 ‘전혀 그렇 지 않다’1점에서 ‘항상 그렇다’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종간호 수행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박순주(1996)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α=.96이었으며 본 연구 에서는 Cronbach’sα=.94이었다

4.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자료수집은 2014년 8월 4일부터 8월 29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자기기입식 형식으 로 조사하였다.연구자가 각 해당병원에 직접 방문하여 간호부의 동의와 협조를 얻 어 연구대상자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를 허락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 하였다.작성된 설문지는 개별적으로 밀봉하여 연구자가 해당병원을 재방문하여 직 접 회수하였다.설문지는 총 160부를 배부하였으며 160부 모두를 회수하여 응답율 100%였으며,그 중 응답이 미흡한 2부를 제외하고 158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 다.

5.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통계분석

(24)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평균,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2)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술통 계로 분석하였다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 분석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사후검정은 scheffetest로 분 석하였다. 4)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6.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수원시 A병원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InstitutionalReview Board, IRB)의 승인(승인번호:AJIRB-MED-SUR-14-170)을 받은 후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연구의 목적과 응답 소요시간,자료의 비밀보장 등에 대한 설명이 있는 동의서를 읽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서면 동의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지 작성을 중단하더라도 불이익이 없으며 연구대상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철회가 가능함을 알렸고 설문을 작성한 대상자에게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회수한 설문지는 개인적인 비밀을 철저히 보장하였으며 연구 목적으로 만 사용함으로써 연구대상자의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였다.

(25)

Ⅳ.연구결과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연령분포를 살펴보면 40~49 세군이 44.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30~39세군 25.9%,50세 이상 군 19.6%, 20~29세군 9.4% 순으로 나타났다.결혼 상태는 기혼자 군이 75.3%,미혼자 군 22.7%,사별자 군 1.8%순이었으며,종교는 ‘있다’라고 답한 경우가 55.7%로 ‘없다’라 고 답한 경우인 44.3%보다 많았다.최종학력은 전문학사 졸업자가 65.8% 로 가장 많았으며,학사 졸업한자 26.5%,대학원이상이 7.5% 로 나타났다.임상경력은 평균 이 10년 6개월 이였고 10년 이상이 65.1% 로 가장 많았으며,5년 이상이 18.9%,5년 미만이 15.8% 순으로 나타났다.직위에서는 일반간호사가 80.3%,책임급 이상 간호 사가 19.6% 이었으며,임종간호 교육경험은 ‘있다’라고 답한 경우가 49.3%로 ‘없 다’라고 답한 경우인 50.6%보다 적었다.월 임종간호 경험횟수는 2~3회가 44.3% 로 가장 많았으며 1회 36.7%,3~4회 12.6%,6회이상 6.3% 순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가족 임종간호경험은 ‘있다’라고 답한 경우가 48.1%,‘없다’라고 답한 경우는 51.8% 로 나타났다.

(26)

변수 분류 n % 연령 20~29세 15 9.4 30~39세 41 25.9 40~49세 71 44.9 50세이상 31 19.6 결혼상태 기혼 119 75.3 미혼 36 22.7 사별 3 1.8 종교 있다 88 55.7 없다 70 44.3 최종학력 전문학사졸 104 65.8 학사졸 42 26.5 대학원이상 12 7.5 임상경력 5년 미만 25 15.8 5년 이상 30 18.9 10년 이상 103 65.1 직위 일반간호사 127 80.3 책임급 이상 간호사 31 19.6 임종간호 교육경험 있다 78 49.3 없다 80 50.6 임종간호경험 횟수/월 1회 58 36.7 2~3회 70 44.3 3~4회 20 12.6 6회이상 10 6.3 가족임종 간호경험 있다 76 48.1 없다 82 51.8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58)

(27)

2.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는 <표 2>와 같다. 임종간호스트레스 수준의 평균평점은 3.82점(±0.44)으로,영역별 평균평점을 살펴보 면 업무량 과중에 대한 스트레스 수준이 4.07점(±0.60)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 로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3.97점(±0.64),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 도 3.96점(±0.56),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 3.91점(±0.61),간호시간 할애의 어려움 3.86점(±0.59),간호사의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3.69점(±0.81),간호 부담감 3.27점 (±0.78)순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평균평점은 2.52점(±0.41)으로,각 영역별 평균평점을 살펴보 면 신체적 영역이 2.98점(±0.48)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심리적 영역이 2.77점 (±0.45),영적 영역은 1.80점(±0.63)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8)

변수 하부영역 M±SD Max Min 임종간호 스트레스 3.82±0.44 4.86 2.59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3.69±0.81 5.00 1.00 의료한계 갈등 3.97±0.64 5.00 2.00 업무량 과중 4.07±0.60 5.00 2.25 간호시간 할애 어려움 3.86±0.59 5.00 2.20 간호 부담감 3.27±0.78 5.00 1.14 인간적 갈등 3.91±0.61 5.00 1.33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3.96±0.56 5.00 2.38 임종간호 수행 2.52±0.41 3.94 1.59 신체적 영역 2.98±0.48 4.00 1.71 심리적 영역 2.77±0.45 4.00 1.67 영적 영역 1.80±0.63 4.00 1.00 <표 2>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 (N=158)

(29)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대상자의 연령,결혼상태,종교,최종학력,임상경력,직위,임종간호 교육경험,월 임종간호 경험횟수,가족 임종간호 경험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 스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대상자의 임상경력,직위,임종간호 교육경험에 따라 서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임상경력(F=4.87, p=.009)에서 집단 간 세부적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cheffe분석을 통한 사후검 증을 실시한 결과,임상경력은 10년 이상 집단군의 스트레스 수준이 5년 미만 집단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직위(t=2.297,p=.023)에서는 책임급 이상 간호사가 일반간호사에 비해,임종간호 교육경험(t=0.007,p=.006)에서는 임종간호교육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간호사가 ‘있다’고 응답한 간호사에 비해 임종 간호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에,연령,결 혼상태,종교,최종학력,월 임종간호 경험횟수,가족 임종간호 경험에 따라서 대상 자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0)

특성 분류 n M±SD F/t(p) Scheffe 연령 20~29세 15 3.57±0.46 2.037 (.111) 30~39세 41 3.86±0.42 40~49세 71 3.89±0.42 50세이상 31 3.80±0.47 결혼 상태 기혼 119 3.84±0.43 0.554 (.576) 미혼 36 3.79±0.45 사별 3 3.60±0.70 종교 있다 88 3.81±0.45 0.345 (.731) 없다 70 3.83±0.43 최종 학력 전문학사졸 104 3.79±0.43 1.243 (.291) 학사졸 42 3.88±0.46 대학원이상 12 3.96±0.40 임상 경력 5년 미만a 25 3.62±0.43 4.877 (.009) a<c 5년 이상b 30 3.79±0.42 10년 이상c 103 3.83±0.46 직위 일반간호사 127 3.77±0.43 2.297 (.023) 책임급 이상 간호사 31 3.95±0.44 임종간호 교육경험 있다 78 3.72±0.44 0.007 (.006) 없다 80 4.02±0.45 임종간호 횟수/월 1회 58 3.75±0.49 1.269 (.287) 2~3회 70 3.88±0.40 3~4회 20 3.86±0.40 6회이상 10 3.71±0.46 가족임종 간호경험 있다 76 3.84±0.44 0.487 (.627) 없다 82 3.80±0.44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 차이 (N=158)

(31)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결혼상태,종교,직위,임종간호 교육경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결혼상태(F=3.390,p=.036)에서 집단 간 세부적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cheffe분석을 통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사별을 경험 한 대상자가 기혼인 대상자와 미혼인 대상자보다 각각 임종간호 수행정도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종교(t=2.017,p=.046)에서는 종교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에 비해,직위(t=3.666,p=.014)에서는 책임급 이상 간호사가 일반간호사에 비해,그리고 임종간호 교육경험(t=2.163,p=.032)에서는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에 비해 임종간호 수행정도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에,연령,최종학력,임상경력,월 임종 간호 경험 횟수,가족 임종간호경험 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32)

특성 분류 n M±SD F/t(p) Scheffe 연령 20~29세 15 2.30±0.46 1.784 (.153) 30~39세 41 2.50±0.37 40~49세 71 2.55±0.42 50세이상 31 2.57±0.39 결혼 상태 기혼a 119 2.52±0.39 3.390 (.036) a,b<c 미혼b 36 2.45±0.42 사별c 3 3.07±0.52 종교 있다 88 2.58±0.36 2.017 (.046) 없다 70 2.44±0.45 최종 학력 전문학사졸 104 2.51±0.41 0.481 (.619) 학사졸 42 2.51±0.44 대학원이상 12 2.64±0.26 임상 경력 5년 미만 25 2.50±0.39 0.846 (.431) 5년 이상 30 2.54±0.41 10년 이상 103 2.65±0.42 직위 일반간호사 127 2.38±0.39 3.666 (.014) 책임급 이상 간호사 31 2.79±0.34 임종간호 교육경험 있다 78 2.69±0.39 2.163 (.032) 없다 80 2.45±0.42 임종간호 횟수/월 1회 58 2.55±0.46 1.545 (.205) 2~3회 70 2.47±0.37 3~4회 20 2.65±0.37 6회이상 10 2.40±0.39 가족임종 간호경험 있다 76 2.57±0.41 1.703 (.091) 없다 82 2.46±0.40 <표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 (N=158)

(33)

4.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 간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r=.099,p=.218)으로 나타났으나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영역(r=.167,p=.036)과,환자 및 보 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영역(r=.168,p=.035)에서만 임종간호 수행과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즉,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스트 레스가 높을수록 그리고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임종간호 수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임종간호 수행의 하부 영역별 분 석을 한 결과,신체적 간호는,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영역(r=-.160,p=.044)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환자 및 보호자의 임 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영역(r=.227,p=.004)에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임종간호 수행의 심리적 간호는,임종간호스트레스 하부영역 중 시간 할애의 어려움 영역(r=.172,p=.030)과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 영역(r=.179,p=.024) 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임종간호수행의 영적 간호는,임종간호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의료한계의 갈등영역(r=.178,p=.025)과 유의 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4)

임종간호 수행정도 구분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영적 영역 소계 임 종 간 호 스 트 레 스 수 준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160 -.146 .066 -.082 (.044)* (.067) (.412) (.303) 의료한계갈등 .075 .127 .178 .167 (.348) (.113) (.025)* (.036)* 업무량과중 .011 -.004 -.026 -.011 (.891) (.959) (.746) (.896) 시간할애어려움 (p)r .132 .172 .021 .125 (.099) (.030)* (.793) (.116) 임종간호 부담감 -.016 -.021 .082 .028 (.842) (.794) (.305) (.725) 임종환자와의 인간적갈등 .118 .179 .035 .130 (.141) (.024)* (.664) (.105)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태도 .227 .148 .049 .168 (.004)** (.063) (.541) (.035)* (소계) .062 .078 .090 .099 (.442) (.333) (.261) (.218) <표 5>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 *p<.05 , **p<.01

(35)

Ⅴ. 논의

본 연구는 임종간호 표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노인요 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정도와 임종간호 수행도를 파악하 고 두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40세 이상 군이 64.5%이고,기혼자가 75.3%로서 급성기 병원 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에 비해(김혜림,2014;우영화,2012;정상이,2013)평균 연 령이 높고,기혼자가 많았다.뿐만 아니라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상경력기간의 경우는 10년 이상이 65.1%로 경력자가 많음을 알 수 있다.이는 간호사들이 20 대~30대에 급성기병원에서 근무하다가 가사 및 육아문제 등으로 사직한 후 재취업 시 요양병원을 선택하여 근무하게 되는 결과로 해석된다.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대상 자가 50.6%로서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정상이(2013)의 연구결과 50.3%와 내과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김혜림(2014)의 연구결과 51.4%와 비교할 때 커다 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이 가정에서보다 병원에서의 사망이 증가하고 있는 양상에 비추어 볼 때(통계청,2011),노인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과반수 이상이 임종간호와 관련된 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요양병원에서의 간호사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수준은 3.82점(최고 5점에)으로 내과병 동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인 3.86점(김혜림,2014)과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인 3.85점(정상이,2013),그리고 일반병동 임상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인 3.84점(우영화,2012)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 나 노인요양병원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이 급성기 병원의 간 호사들이 경험하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인요양병원에서는 대상자들의 임종이 예견되어 있고 입원기간이 길어 환자와 간호사들이 라포형성이 잘 되어 있으므로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상의 결과와 같이 급성기 병원의 간호사들과 유사하게

(36)

높은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대상자들이 호소하는 임종간호스트레스의 하부 영역별 수준을 살펴보면,간 호사의 업무량 과중영역의 스트레스 수준이 4.0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이는 선행연구에서 내과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김혜림(2014),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우영화(2012)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정상이(2013)의 결과와 일치하였다.임종간호는 신체적,정신적,영적인 측면의 전인간호를 해야 하 는 상황이며 환자만이 아니라 그 가족도 간호대상에 포함해야 하므로 임종간호는 간호사에게 업무를 과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며 이는 결과적으로 스트레스로 이어 진다.이와 같은 해석은 업무가 가중될 때 임상간호사들은 높은 업무스트레스를 받 는다는 한명자(2007)의 연구결과가 뒷받침해 주고 있다. 한편 두 번째로 높았던 스트레스 수준의 하위 영역은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영 역(3.97점)으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수준 을 분석한,정상이(2013)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이는 임상에서 환자를 간 호하면서 겪게 되는 의료한계에 대한 회의감과 전문직 간호사로서 역할을 자율적으 로 수행하지 못한 것에 대한 무력감과 죄책감이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으로 판단하 는데 이는 환자와 의사 사이에서 아무것도 해줄 수 없을 때 무력감을 경험한다고 한 Vachon(1998)의 연구결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던 영역은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 인 태도영역(3.96점)이었는데 본 연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이연옥.2004; 정상이,2013)에서도 전체 7개 영역중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가 세 번째로 높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일반적으 로 간호사들은 임종을 부정하는 환자나 보호자에게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그러므로 임종이 예견된 대상자들이 있는 노인요양병원에 서는 간호사 외에도 일반직원 및 환자나 보호자에게 죽음 관련 교육을 실시하여 죽 음도 삶의 한 일부분임을 인식하고 수용하게 함으로써 환자가 편안한 죽음을 준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해 주어야 한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은 임상경력이 10년 이상

(37)

인 대상자 군이 가장 높았고,책임급간호사 이상이 일반간호사보다,그리고 임종간 호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교육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높았는데,이는 임상경력이 증가할수록 임종간호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아졌 다는 선행연구(김혜림,2014;우영화 2012; 윤연애,2009;이향련 등.2007;지순일, 2012)와 일치하였다.이러한 결과는,임종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임상경력 이 길어 임종간호를 많이 경험한 간호사는 임종간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을 잘 알고 있어 업무량 과중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임종간호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사료된다. 임종간호 수행도는 평균 2.52점(최고 4점)으로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임종간호수행도인 2.76점(김성은,2012)과 2.96점(정상이,2013)의 연구결과보다는 다 소 낮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급성기 병원에 비해 요양병원에서는 간호조무사나 요양보호사,간병사가 임종간호의 많은 부분에 보조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한다. 임종간호 수행도를 하부 영역별로 보면,신체적 영역이 2.9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심리적 영역(2.77점),영적 영역(1.80점)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간호사 가 수행하는 임종간호가 신체적 영역과 심리적 영역에 치중하고 있는 반면에 영적 영역의 임종간호가 소홀하다는 기존 선행연구(김성은,2011;우영화,2012;정상이, 2013;정지수,2014)결과와도 일치하였다.그런데 임종간호를 받는 환자와 그 가족 은 전인적,영적인 부분에 대한 요구도가 높다고 한 연구결과(조경미,2006)에 비추 어 볼 때,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임종간호과정에서 영적 간호에 대한 비중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본다.이를 위해서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체계적인 영적 간호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는데,이는 영적 간호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대 상자의 영적 요구에 대한 인식과 간호수행이 높아졌다고 한 정순화(1990)의 연구결 과를 고려할 때 적절한 교육의 제공이 중요하다고 본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도는 사별을 경험한 대상자가 기혼 혹은 미혼인 대상자보다,종교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그리고 임종관련 교육경 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

(38)

구(김성은,2011;우영화,2012;정상이,2013)결과에서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우자의 임종을 경험했던 것이 환자의 임종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잘 이루어 져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또한 종교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와 (노선숙,2010;이현구,2012;정상이,2013;),임종관련 교육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에서도 임종간호수행도가 높았다는 선행연구(신희진,2011;우영화,2012;정 상이,2013)결과와도 동일하였다.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들이 임종간호 를 월 2.41회로 빈번하게 수행하여야 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임종간호 관련교육 을 받지 못한 간호사가 과반수이상으로 나타났다.호스피스병동의 경우 호스피스와 관련된 교육을 의무화 하고 있는 반면,임종간호를 빈번하게 수행하는 노인요양병원 에서는 임종간호와 관련된 교육에 대한 의무조항이 없어 체계화된 임종관련 간호교 육을 받고 있지 못한 상황에 주목해야 한다.임종관련 교육을 8시간 이상 실시하면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아진다고 한 노선숙(2010)의 연구결과와,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임종간호 교육요구도가 증가된다고 한 김정희(2009)의 연구결과가 임종관 련 간호교육의 필요성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따라서 임종간호의 질과 수행도를 향 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에게 임종간호 교육을 의무 적으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도와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의료한계의 갈등 영역과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영역에서 임종간호 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영화(2012)의 연구에서 임종간호 스트레스 하부 영역중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영역이 임종간호 수행도와 양 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본 연구결과를 일부 뒷받침하였으며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준 정상이(2013)의 연구와는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들이 임상현장에서 임종환자에게 어떤 처치를 해도 환자 상태가 점점 나빠지고 간호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의료한계를 느끼며, 또한 환자와 보호자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정립되지 않아 죽음을 거부하고 의료진 을 원망하는 행동을 보일 때,환자를 이해하고 공감하여 신체적 및 심적 편안함을

(39)

지지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임종간호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 다.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개발한 박순주(1996)의 연구에서 임종간호수행 점수의 차이 는 임종간호수행 경험과 관계가 있는 것인지,아니면 죽음에 대한 불안이나 불편감 등으로 인해 간호를 회피한 결과인지 등의 원인을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임종간호수행 경험과 심리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연구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40)

Ⅵ.결론 및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빈번하게 대상자의 죽음을 접하고 간호하게 되는 노인요양병원에 근 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수행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종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 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하는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중 임종경험이 있는 16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8월 4일부 터 8월 29일까지 시행되었다.총1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158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으며 기술통계,t-test와 Oneway ANOVA 및 scheffetest,Pearson’s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면 40~49세군이 71명(44.9%)으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119명(75.3%),종교는 있다가 88명(55.7%),최종학력에서 는 전문학사졸이 104명(65.8%),임상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이 103명(65.1%),직위에 서는 일반 간호사가 127명(80.3%),임종간호와 관련된 교육경험은 없다가 80명 (50.6%),월 임종간호 경험횟수는 2~3회가 70명(44.3%),가족 임종간호경험은 없다 가 82명 (51.8%)으로 나타났다. 2.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수준은 최대5점에서 평균평점 3.82±0.44점으로 나 타났으며 영역별로 보면 업무량 과중이 4.07±0.60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3.97±0.64,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41)

3.96±0.56순으로 임종간호 스트레스수준이 높았다. 3.임종간호 수행도는 최대 4점에서 평균평점 2.52±0.41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역 별로 보면 신체적 영역이 2.98±0.4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심리적 영역 2.77±0.45,영적영역 1.80±0.63순으로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았다. 4.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은 임상경력 (F=4.877, p=.009),직위 (t=2.297,p=.023),임종간호교육 경험(t=0.007,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수행은 결혼상태 (F=3.390p=.036),종 교 (t=2.017,p=.046),직위 (t=3.666,p=.014),임종간호 교육경험 (t=2.163,p=.032)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도 간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r=0.099, p=0.218)으로 나타났으나 스트레스 수준에서 하부영역 중 의료한계의 갈등 영역과 (r=0.167,p=0.036)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영역(r=0.168, p=0.035)에서 임종간호 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임종환자들에게 신체적 영역 이외의 영적 영역 간호가 소홀하지 않도록 노인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에게 지속적인 임종간호교육 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임종간호 표준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42)

2.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노인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임종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2.노인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 교육 후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 호 수행의 변화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3.노인요양병원의 모든 직원과 환자 및 보호자에게도 각 특성에 맞는 임종 관 련 교육을 주기적으로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43)

참고 문헌

가톨릭대학교 호스피스교육연구소(2006).호스피스 완화 간호.군자출판사. 강성례(2000).임상간호사의 임종환자 간호체험.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강성례,이병숙(2001).임상 간호사의 임종환자 간호체험.간호행정학회지, (2),237-249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4). 일반병원 요양병원 간호사 수, 2014년 7월말 기준 현황 신고인력 산출자료. 권순정(2009).가정간호사의 호스피스 간호수행 및 교육실태 연구.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서울. 권은진(2013).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부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부산. 김강미자,전시자,김희경(2009).성인간호학.서울:현문사. 김성은(2011).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아 주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수원. 김정희(2009).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연세대학 교 간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서울. 김혜림(2014).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부 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부산. 김현주(2009).노인 환자를 돌보는 내과중환자실 간호사의 경험.한양대학교 임상 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서울. 김명진(2007).중환자실 근무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경 희대학교 행정대학원 노인복지 전공 석사학위논문,서울. 김기섭 역(2010).죽음:인생의 마지막 춤.(LynneAnnDespelder엮은이).창지사. 김 향(2013).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죽음과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서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서울.

(44)

노선숙(2010).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에 관한 연구.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서울. 노준희,엄지연,양경순, 박효선(2009). 신규간호사의 임종경험. 질적연구, 10(1), 51~62 노유자,한성숙,안성희,김춘길(1995).호스피스와 죽음.서울:현문사. 대한불안의학회(2005).스트레스가 내몸을 살린다.서울:가림출판사. 박순주(1996).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성향과 임종간호수행 정도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광주. 배영란(2000).호스피스간호역할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지각 및 수행과 호스피스 환 자의 기대 및 만족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서울.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2011년도 노인실태조사(정책 보고서 2012-04).서울:저자. 서영숙,성기원(2012).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영성이 호스피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14(1),12-20 서혜경(2009).「노인죽음학개론」.경춘사 성미혜,윤현옥,이현정(2007).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소진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관 한 연구.산업간호학회지,16(2),147-157. 신희진(2012).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수행 에 미치는 영향.충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충주. 안순남(2004).말기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고통 경험 정도,죽음에 대한 성향 및 임종 간호 수행 정도와의 관련성.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대구. 어단연(2010).간호사의 죽음 불안과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부산. 우영화,김경희,김기숙 (2013).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 수행.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6(1), 33-41.  유래경(2004).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경북대학교 대학원

(45)

석사학위논문,대구. 윤연애(2010).임상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경북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대구. 이강오,윤현정(2006).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영적 안녕,우울 및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조선의대논문집,31(2),85-99. 이연옥(2004).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서울. 이영숙(2007).종양병동간호사의 소진체험.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부산. 이명선(2003).임종환자를 돌보는 병원 간호사들의 경험 :감정에 충실하면서 자신 추스르기.대한간호학회지,33(5),553-561. 이윤희(2010).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한양대 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서울. 이이정(2011).죽음학 총론.서울:학지사. 이향련외(2008).성인간호학.서울:수문사. 이향련.이연옥.최은영.박영미(2007).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변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비교 연구.종양간호학회지,7(1),26-35. 이미영(2012).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대처 및 해소방안.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서울. 이원호 역(1995).죽음에의 대비교육.히구치 카트히코(역은이).문음사. 이향련,이연옥,최은영,박영미 (2007).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임종간 호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비교연구.대한종양간호학회지,7(1), 26-35. 이현구(2012).호스피스 간호수행과 관련요인(호스피스 병동 간호사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대구. 정순화(1990).간호사의 영적 간호교육이 환자의 영적 요구 인식과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간호학 종합학술대회 초록집.대한간호학회,63-64. 조경미(2006),말기 폐암환자 및 가족의 호스피스 요구도.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46)

학위 논문,서울. 조계화,한회자(2001).말기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고통 경험.대한간호학회지, 31(6),1055-1066. 조계화.김연자 (2013).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정도가 임종간 호수행에 미치는 영향.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16(4),223-231 전미희(2008).응급실&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서울 정상이(2013).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서울. 정지수(2014).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광주. 지경애(2004).간호사의 영적건강,정신건강,죽음의식이 호스피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대전. 지순일(2012).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광주. 최애신(2003).신규간호사의 임종간호 경험.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강릉. 통계청(2013),고령자 통계

통계청(2011).2011고령자 통계.http;//sgis.Lostat.go.kr/publicsmodel/

통계청 (2010a).2010사망원인통계자료(마이크로데이터).Retrieved April13,2012, from

http://mdss.kostat.go.kr/mdssext/DataProcessing/extraction/Extract.jsp. 한명자(2007).임상간호사의 업무스크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공주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공주.

함귀선(2008).임종환아를 돌보는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경험.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서울.

MiltonCL.Theethicsofhumandignity:anursingtheoreticalperspective. NursSciQ 2008;21:207-10

(47)

Karen,M,Andrew,D,Michael,C,William,S.(2010).Theimpactof

advancecareplanningonendoflifecareinelderypatient: randomisedcontrolledtrial.BNJ.2010Mar,23,340-345.doi:

10.1136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10).Deaths by place of death, age,race,and sex:United States:1999-2005.Retrieved July 3, 2012,from

http://www.cdc.gov/nchs/nvss/mortality/gm wk309.htm.

Thorson JA,PowellFC.(1988).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s of death.JClinPsychol.Sep;44(5):691-701.

Quenot, JP., Rigaud, JP., Prin, S., Barbar, S., Pavon, A., Hamet, M., et al.(2012).Suffering among carers working in criticalcare can be reduced by an intensive communication strategy on end-of-life practices.IntensiveCareMed.2012Jan,38(1),55-61.

Vachon,M.L.S.(1998).Caring for the caregiver in oncology and palliative care.SeminarsinOncologyNursing,14(2),152-157.

Kubler Ross, E.(1970). Five Stage a dying Patient goes through. Medical Economic,Sep.,272-292.

Sander,J.M.,& Valents,S.M.(1994).Nurses’grief.Cancer Nursing,17(4), 318-325.

Kagawa-Singer, M. (1998). The Cultural of Death Rituals and Mourning Practices.OncologyForum,25(10).1752-1756.

Oliveira, P. P. Amaral, J. G. Viegas, S. M. Rodrigues A. B (2013). The

perception of death and dying of professionals working in a long-term careinstitutionfortheelderly.Vol.18(9),2635-44. Hansen,L.,Goodell,TT.,Dehaven,J.,Smith,M.(2009).Nurses’perceptions

참조

관련 문서

At first, I arranged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nction of container terminal in the port of Busan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study on the function

Factors influencing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patients with COVID-19: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Therefore, nurse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lations to resolve the needs of care between nurses and patients 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s,

  Investigation of turnover comes from the job itself and in this study worked in a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Caregiver Stress, Burnout comes from

This study aims to lower turnover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ite of child-care, and improves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 Contrastive Study on the Proverbs of Family Relationship of Korean and Chines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 Gantt charts illustrate the start and finish dates of the terminal elements and summary elements of a project.. • Terminal elements and summary elements comprise the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