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연령분포를 살펴보면 40~49 세군이 44.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30~39세군 25.9%,50세 이상 군 19.6%, 20~29세군 9.4% 순으로 나타났다.결혼 상태는 기혼자 군이 75.3%,미혼자 군 22.7%,사별자 군 1.8%순이었으며,종교는 ‘있다’라고 답한 경우가 55.7%로 ‘없다’라 고 답한 경우인 44.3%보다 많았다.최종학력은 전문학사 졸업자가 65.8% 로 가장 많았으며,학사 졸업한자 26.5%,대학원이상이 7.5% 로 나타났다.임상경력은 평균 이 10년 6개월 이였고 10년 이상이 65.1% 로 가장 많았으며,5년 이상이 18.9%,5년 미만이 15.8% 순으로 나타났다.직위에서는 일반간호사가 80.3%,책임급 이상 간호 사가 19.6% 이었으며,임종간호 교육경험은 ‘있다’라고 답한 경우가 49.3%로 ‘없 다’라고 답한 경우인 50.6%보다 적었다.월 임종간호 경험횟수는 2~3회가 44.3% 로 가장 많았으며 1회 36.7%,3~4회 12.6%,6회이상 6.3% 순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가족 임종간호경험은 ‘있다’라고 답한 경우가 48.1%,‘없다’라고 답한 경우는 51.8%

로 나타났다.

변수 분류 n %

2.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는 <표 2>와 같다.

임종간호스트레스 수준의 평균평점은 3.82점(±0.44)으로,영역별 평균평점을 살펴보 면 업무량 과중에 대한 스트레스 수준이 4.07점(±0.60)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 로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3.97점(±0.64),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 도 3.96점(±0.56),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 3.91점(±0.61),간호시간 할애의 어려움 3.86점(±0.59),간호사의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3.69점(±0.81),간호 부담감 3.27점 (±0.78)순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평균평점은 2.52점(±0.41)으로,각 영역별 평균평점을 살펴보 면 신체적 영역이 2.98점(±0.48)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심리적 영역이 2.77점 (±0.45),영적 영역은 1.80점(±0.63)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 하부영역 M±SD Max Min 임종간호 스트레스 3.82±0.44 4.86 2.59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3.69±0.81 5.00 1.00 의료한계 갈등 3.97±0.64 5.00 2.00 업무량 과중 4.07±0.60 5.00 2.25 간호시간 할애 어려움 3.86±0.59 5.00 2.20 간호 부담감 3.27±0.78 5.00 1.14 인간적 갈등 3.91±0.61 5.00 1.33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3.96±0.56 5.00 2.38

임종간호 수행 2.52±0.41 3.94 1.59 신체적 영역 2.98±0.48 4.00 1.71 심리적 영역 2.77±0.45 4.00 1.67 영적 영역 1.80±0.63 4.00 1.00

<표 2>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

(N=158)

3.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대상자의 연령,결혼상태,종교,최종학력,임상경력,직위,임종간호 교육경험,월 임종간호 경험횟수,가족 임종간호 경험 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 스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대상자의 임상경력,직위,임종간호 교육경험에 따라 서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임상경력(F=4.87, p=.009)에서 집단 간 세부적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cheffe분석을 통한 사후검 증을 실시한 결과,임상경력은 10년 이상 집단군의 스트레스 수준이 5년 미만 집단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직위(t=2.297,p=.023)에서는 책임급 이상 간호사가 일반간호사에 비해,임종간호 교육경험(t=0.007,p=.006)에서는 임종간호교육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간호사가 ‘있다’고 응답한 간호사에 비해 임종 간호 스트레스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에,연령,결 혼상태,종교,최종학력,월 임종간호 경험횟수,가족 임종간호 경험에 따라서 대상 자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 분류 n M±SD F/t(

p)

Scheffe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결혼상태,종교,직위,임종간호 교육경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결혼상태(F=3.390,p=.036)에서 집단 간 세부적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cheffe분석을 통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사별을 경험 한 대상자가 기혼인 대상자와 미혼인 대상자보다 각각 임종간호 수행정도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종교(t=2.017,p=.046)에서는 종교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에 비해,직위(t=3.666,p=.014)에서는 책임급 이상 간호사가 일반간호사에 비해,그리고 임종간호 교육경험(t=2.163,p=.032)에서는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에 비해 임종간호 수행정도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에,연령,최종학력,임상경력,월 임종 간호 경험 횟수,가족 임종간호경험 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특성 분류 n M±SD F/t(

p)

Scheffe

4.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 임종간호 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 간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r=.099,p=.218)으로 나타났으나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영역(r=.167,p=.036)과,환자 및 보 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영역(r=.168,p=.035)에서만 임종간호 수행과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즉,의료한계에 대한 갈등 스트 레스가 높을수록 그리고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임종간호 수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임종간호 수행의 하부 영역별 분 석을 한 결과,신체적 간호는,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전문지식과 기술부족 영역(r=-.160,p=.044)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환자 및 보호자의 임 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영역(r=.227,p=.004)에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임종간호 수행의 심리적 간호는,임종간호스트레스 하부영역 중 시간 할애의 어려움 영역(r=.172,p=.030)과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 영역(r=.179,p=.024) 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임종간호수행의 영적 간호는,임종간호스트레스의 하부영역 중 의료한계의 갈등영역(r=.178,p=.025)과 유의 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 수행정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