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 0 12 년

2 월 석 사 학 위 논 문 의 료 기 관 종 사 자의 보 완 대 체의 학 에 대 한 인 식 도 조 사

이 진 호

2012년 2월 석사학위논문

의료기관 종사자의 보완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 조사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이 진 호

(3)
(4)

의료기관 종사자의 보완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 조사

Perceptions of Health Professionals toward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2012년 2월 24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이 진 호

(5)

의료기관 종사자의 보완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 조사

Perceptions of Health Professionals toward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지도교수 서 재 홍

이 논문을 대체의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10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대 체 의 학 과

이 진 호

(6)

이진호의 대체의학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문 경 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 상 학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서 재 홍 (인)

2011년 11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7)

목 차

표목차 ···ⅲ ABSTRACT ···ⅳ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3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용어의 정의 ···4

제2절 대체의학의 분류 ···4

제3절 보완 대체의학의 현황 ···15

제4절 대체의학의 문제점 및 비전 ···17

제3장 연구조사 ···18 제1절 연구설계 ···18

제2절 연구대상 ···18

제3절 조사도구 및 자료수집 ···19

제4절 연구의 제한점 ···20

제5절 연구 분석 방법 ···20

제4장 연구 결과 및 분석 ···21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제2절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23

제3절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경험 및 태도 ···33

(8)

제5장 결론 ···49

참고문헌 ···52

부록 (설문지) ···54

(9)

표 목 차

<표 3-1> 설문지 구성 ···19

<표 4-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표 4-2> 보완 대체요법 인지도 ···24

<표 4-3> 보완 대체요법 인지경로 ···25

<표 4-4> 보완 대체요법의 의미 ···26

<표 4-5> 보완 대체요법의 사용 동기 ···27

<표 4-6> 보완 대체요법이 질병 치료에서의 역할 ···29

<표 4-7> 보완 대체요법을 적용가능한 질환 ···30

<표 4-8> 보완 대체요법의 문제점 ···31

<표 4-9> 올바른 질병치료 방향 ···32

<표 4-10> 보완 대체요법의 이용 경험 ···34

<표 4-11> 이용한 보완 대체요법의 종류 ···35

<표 4-12> 이용 결과 ···36

<표 4-13>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관심도 ···38

<표 4-14> 보완 대체요법 이용 권유 ···39

<표 4-15> 보완 대체요법의 임상 적용 ···40

<표 4-16> 임상 적용에 가능한 이유 ···41

<표 4-17> 임상 적용에 가능하지 않은 이유 ···42

<표 4-18> 보완 대체요법 적용 의향 ···43

<표 4-19> 주위에서 보완 대체요법 사용에 대한 태도 ···45

<표 4-20> 보완 대체요법 치료행위 주체 ···46

<표 4-21> 보완 대체요법의 활성화 방안 ···48

(10)

Abstract

Perceptions of Health Professionals toward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Lee, Jin-Ho

Advisor: Prof. Suh, Chae-Hong, M.D., Ph.D.

Department of Alternative Medicine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Due to recent economic improvements as well as an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care, alternative medicine has been used to support good health and treat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alternative medicine has to be more systematic, scientific, and stable than it currently is. I collected this data from the medical staff at a university hospital, general hospitals, and pharmacies, all of which are located in Gwangju.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taff. This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of alternative medicine among the doctors, nurses, and pharmacist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study, 88.1% of the test subjects had an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medicine. Fifty one point nine percent of them came to know about alternative medicine through different forms of media, such as newspaper, television, and magazines.

(11)

Fifty six point eight percent of the subjects felt that alternative medicines, when accompanied by pharmaceutical medicines or treatments would have a positive outcome, stating that pharmaceutical medicines is the superior form. The reason the subjects used alternative medicine was the belief that alternative medicine used in conjunction with pharmaceutical medicine would shorten the recovery time.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 = 0.001. Fifty five point 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felt that alternative medicine was not a primary treatment but a supplementary treatment instead.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

= 0.024. Forty two point 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believed that alternative medicine could be applied to treating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 = 0.003.

Sixty two point two percent of the subjects felt that the problems regarding the wide use of alternative medicine are stability, reliability, and overall effectiveness which are yet to be proven. Eighty six point five percent of the subjects felt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visiting a hospital, but combining alternative medicine with hospital care could be arranged if necessary.

Forty percent of the subjects claimed to have experience with alternative medicine.

The occupation most familiar with alternative medicine was physical therapy, of which 52.9% of the medical staff had experience with alternative medicine. Amongst them, 12.8% claimed to use health food supplements, the next most common alternative therapies were yoga and therapeutic massage. Sixty six point two percent of the physical therapists a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from the use of alternative medicine. When asked about their interest in alternative medicine, 48.1% showed general interest, while 34.1% showed slight interest.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0.004.

(12)

When asked if they would recommend alternative medicine to others, 76.8%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y would, 21.3% of doctors said that they would not recommend alternative medicines. 83.3% of the test subjects felt that alternative medicine could be applied in conjunction with clinical treatments.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0.004.

Amongst these subjects, 40.3% believe that alternative medicine could be applied to clinical environments because alternative medicine could be a complementary treatment and an aid in reducing symptoms.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0.001.

Eighty point six percent of the subjects did not feel that alternative medicine could be applied to clinical treatments. They felt this way because they believed that scientific evidence was insufficient. When asked if they would apply alternative medicine with pharmaceutical medicine, 85.1% said they would if the treatment was proven to be effective.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0.000.

When asked how they would recommend alternative therapies to others, 57.3% said that the recommendation would be dependent on the alternative therapy in question. Eighteen point four percent said if the method is used correctly, they would highly recommend using alternative therapy.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0.0004. When asked who should administer the alternative therapy to patients, 77.8% suggested an expert who had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field.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0.001.

To encourage the use of alternative medicine, 58.4% of the subjects felt the government and other health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increase the amount of scientific research directly related to alternative medicines.

We notic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p=0.001.

Nowadays, alternative therapy is indiscriminately affecting our daily

(13)

lives through the use of mass media, that misrepresents the benefits of alternative therapies. In order to eliminate this misrepresentation, health professionals should perform clinical studies to help their patients understand the actual benefits of alternative therapy. It is time for medical professionals to abandon the idea that alternative therapy is not a part of contemporary medicine. They should research and develop different methods of alternative therapies and then promote these methods.

The government should also research and develop different methods of alternative therapies and suggest these safer methods to the public, which in turn would enhance consumer confidence in alternative therapies. The government can also show the public how alternative therapi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14)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오늘날 인간의 수명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고령화되어 가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생활의 편리성으로 인해 자연히 활동이 부족해지고 영양과잉으로 인한 성인병등 각종 만성 질환을 앓고 있으나 현대 의학의 치료법이 일부 질환에서 치료의 정체성과 한계가 나타나 거기에 따른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이여진, 1999).

과학적 원리에 기초를 둔 현대 의학이 질병 치료의 주류로서 발전을 거듭 해 오고 있지만 최근 국내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보완 대체의학이 급속히 성 장 발전하고 있다(이성재, 2010). 보완 대체 요법이란 정통의학(conventional orthodox medicine)의 범주에 들지 않지만 전통의학, 민간 요법등의 명칭으로 행해지고 있는 치료법으로 정의하고 있다. 미국 국립보완대체의학센터는 ‘현행 정통의학에 포함되지 못한 채 유행중인 일련의 건강 의료 체계, 시술 및 그 산 물’로 정의하고 있으며, 코크란(The Cochrane collaboration)에서는 ‘정통의학 의 범주 밖에서 시행되는 질병치료와 예방, 건강증진 및 웰빙 관련 의료행위’

로 정의하였고, 한 나라의 정통의학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 그 내용은 다를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보완대체의학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이 표준용어로 사용되고 있다(정유석, 2009).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한의학과 침술 등이 제도권 의학체계로 확립되어 서양 의학과 동양 의학이 공존하는 이원화된 상태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래 보완 대체의학이 추구하는 건강과 질병치유의 기본 원리는 인간의 온갖 질병과 고통을 자연의 치유능력에 맞추어 조율해주고 복원시켜주는데 있다. 그 러기 위해서는 인체의 면역기능과 회복 능력을 증강시켜주는 여러 가지 자연적 인 접근방식을 동원하게 되며, 환자를 전체성을 가진 인간으로 보고 그 신체적

(15)

인 병변부위에서만 치중하는 치료가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환경, 영적인 부분 까지 관찰하여 조화를 이루게 하는 치료를 행한다(오홍근, 1998).

현대 의학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보완 대체의학에 대한 수요는 최근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미국의 경우 전체 성인의 36% 이상이 보완 대체의학을 경험하였고(Eisenberg, 1993), 유럽 각 국가들은 20~49%(Fisher & Ward, 1994), 호주의 경우도 49%가(Maclean & Taylor, 1996) 보완대체의학을 이용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의 보고에 의하면 한해 보완의학에 사용된 비용이 약 40조 원이나 되며 해마다 15~20%정도 성장하고 있다고 한다(이성재, 2010).

국내에서는 고혈압 환자의 40.6%가 대체의학을 이용하였다고 보고하였고(정 유석, 1998), 2002년엔 김예리 등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34.4%가 보완대 체의학을 이용하였다고 보고 하였다(김예리등, 2002).

이와 같이 보완 대체의학은 동 서양을 막론하고 큰 관심을 갖고 있지만 정통 의학을 하는 의료인들은 이러한 요법에 대해 여전히 과학적인 근거의 결여를 들어 무관심하게 여기고 있으며 관여할 영역이 아닌 것으로 여겨왔으며, 또한 관심이 있어도 보완 대체의학에 대한 올바른 지침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이를 간과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정통의학이 아닌 비주류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 는 보완 대체의학이 각종 매체를 통해 무분별하게 우리의 건강생활에 직간접적 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때에 제도권내의 의료인은 무조건적인 거부반응을 보이는 것보다 관심을 갖고 체계적인 임상연구를 통해 그 효능을 검증하여 올 바르게 사실을 알려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의 보완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그들이 갖고 있는 생각과, 이용 양상 및 환자의 치료에 도입 여부 등을 알아봄 으로써 향후 보완 대체의학이 의료인들에 의해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안정적인 치료법으로 확립되어 보완 대체의학이 더 널리 활성화 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게 하고자 시도되었다.

(16)

제2절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완 대체의학이 갈수록 발전함으로 인해 무분별한 시술이 행해지는 현실에서 제도권내로의 진입을 위한 방법으로 의료인들이 관심을 가 져야만 올바른 치료 방향이 확립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의료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 환자의 치료에 도 입, 대체의학 이용에 대한 지식, 효능과 만족 정도등을 파악하여 향후 대체의학 의 발전과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1) 연구대상자의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한다.

2) 연구대상자의 대체의학에 대한 경험 및 태도를 파악한다.

3) 연구대상자의 대체의학에 대한 유용성을 파악한다.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17)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용어의 정의

보완 대체의학의 정의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어 한 마디 로 정의하기가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보완 대체의학의 정의 는, 서양에서 발달한 전통의학(conventional medicine)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비 전통의학(unconventional medicine) 을 칭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외국에서 는 서양의 전통의학을 제외한 한의학을 포함한 모든 의학을 보완 대체의학이라 말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전통의학뿐만 아니라 한의학을 제외한 모든 의학을 보완 대체의학이라 정의하고 있다. 왜냐하면 한의학은 국내나 중국에서는 전통 의학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소 의견이 있더라도 치료 효과나 안정성에 있어서 현대 정통의학을 대체할 수 있는 의학은 없다. 그래서 일부 의사들은 서양의 현대 정통의학 이 외의 모든 의학을 표현 하는데 그 기능면에 중점을 두어 대체의학이라는 표현 대신에 ‘보완(補完)의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며, ‘보완 대체의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즉 현대 정통의학이 치료할 수 없는 일부 질환 치료 에서 현대 정통의학을 보완 하거나 대체 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현대 정통의 학을 제외한 모든 의학을 보완 대체의학이라 할 수 있다.

제2절 대체의학의 분류

원래 보완 대체의학이 추구하는 건강과 질병치유의 기본 원리는 인간의 온갖 질병과 고통을 자연의 치유능력에 맞추어 조율해주고 복원시켜주는데 있다. 그

(18)

러기 위해서는 인체의 면역 기능과 회복능력을 증강시켜주는 여러 가지 자연적 인 접근방식을 동원하게 되며, 환자를 전체성을 가진 인간으로 보고 그 신체적 인 병변부위에만 치중하는 치료가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환경, 영적인 부분까 지 관찰하여 조화를 이루게 하는 치료를 행한다. 따라서 질병에 대한 접근방식 에 있어서도 질병에 대한 부분적 처치에 집중하기 보다는 개개인의 생활패턴과 주위환경 또는 성격적, 정서적 상황과 같은 인간의 전인적 상태를 참고하고 치료와 예방에 이용하고 있다.

보완 대체 의학은 다음과 같이 분류(5종류)할 수가 있다.

1. 대체의학 체계

1) 자연의학

자연의학은 인체의 자연치유력과 이와 관련된 치료방법들을 사용하여 질병의 예방, 치료 및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일차 진료의 영역이다. 치료 자들은 질병과 건강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면밀히 관찰하여 전통적 혹은 현대적 인 방법과 과학적 혹은 경험적인 방법을 개개인에 맞게 사용한다.

2) 아유르베다 의학

인도에서 수십 세기 동안 시행되어 온 삶의 지침들 중에는 요가와 탄트라와 아유르베다가 있는데 요가가 신성 즉 진리와의 결합을 가르친다면 탄트라는 진 리와의 궁극적인 결합을 가능케 하는 에너지 조절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방법 을 제시하는 것이고 아유르베다는 생활의 과학이라고 볼 수 있다. 아유르베다 의학은 한의학과 마찬가지로 나름대로의 의학적 이론과 치료술이 비교적 잘 정 립되어 있다. 아유르베다 의학은 신체, 정신, 영혼을 모두 동등한 입장에서 의 미를 부여하여 이들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하여 노력함으로써 생명력을 얻을 수 있고 이들의 조화를 통하여 질병을 치유한다. 우주는 서로 합쳐져 있으며 모든

(19)

생명체는 바람과 물과 불의 3개 요소가 조화를 이루며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균형과 조화를 통해서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균형이 깨질 때 질병이 발생한다고 생각하고 있다(이성재, 2004).

3) 동종 요법

동종요법은 영어로 homeopathy라고 하는데 어원은 그리스어 homoios(like;

비슷한)와 pathos(suffering;괴로움)에서 나온 말로 환자의 괴로운 상태와 비슷 한 괴로움 ‘즉 동종의 고’ 를 인위적으로 유발하여 우리 몸이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자극하는 치료법을 의미한다. 환자가 자신에 맞는 동종요법약을 복용하면 자신의 괴로움과 비슷한 괴로움을 매우 약하게 일시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동시에 치유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이를 동종요법에서는 ‘유사의 법칙’이라고 한다.

2. 심신의학

1) 심신의학

심신의학이란 질병의 원인으로서 현대의학의 기계론적인 이해가 아니라 신체 적 질환과 마음의 상태의 상호관계를 중요시하는 의학으로 급속히 대두되고 있 으며, 마음의 상태가 신체의 병리나 생리에 직접적이고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다는 심신 상호작용에 의거한 의학으로서, 사람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 어떻 게 사용하는가를 연구하고 임상 적용시키려는 의학체계이다(이성재, 2010).

2) 명상

고대 인도에서 3000년 전에 시작되었다고 한다. 가장 흔한 심신 치료의 하 나로 마음을 지배하는 생각을 극복하고 정신적 평온과 신체적 이완을 얻게 된 다. 이를 위해서는 지정된 대상에 온 정신을 집중하는 주의력을 통해 자신을

(20)

통제한다. 명상을 통해서 육체적, 정신적, 감정적 상태의 균형을 맞추어 줌으로 써 치료 효과를 노리는 방법이다. 집중명상과 통찰명상, 초월명상 등이 있다(이 성재, 2010).

3) 요가

인도에서 수 십 세기 동안 시행되어 온 삶의 지침 중에는 아유베르다, 탄트 라 요가가 있는데 요가는 신성, 즉 진리와의 결합을 가르치는 것이다. 요가라는 단어의 의미는 결합이라는 뜻으로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 에너지의 복합체를 의미한다. 이 요가 요법은 자세와 호흡 그리고 명상을 통하여 스트레스 및 혈 압 강하 효과, 심장 박동을 고르게 하는 효과, 노쇠를 막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 져 있다(이성재, 2010).

4) 음악치료

음악을 매개로 한 치료법으로서 현대의학의 발달과 함께 유용한 치료 수단으 로 등장한다. 근본개념은 음악을 통한 심리치료이다. 음악치료의 적용범위가 다 양한 만큼 치료기법도 다양하나 치료의 본질적 과정은 음악과 개인의 의미 연 결을 중심축으로 이루어진다. 감각운동기능 손상, 심리적 장애, 의사 전달 장 애, 정신지체, 학습장애, 노화, 스트레스의 감소와 이완, 고통 경감, 출산보조, 의학적 질환, 심리적 외상, 신체결함등 다양한 질환이 치료 대상이다. 음악치료 의 대표적 방법론은 창조적 음악치료 방법인 Nord of Robbins 모델로 치료사 와 환자가 피아나 연주를 서로 도와주고 환자의 피아나 연주를 통해 내부적으 로 자유로운 상태에서 발현되는 표현에 따른 반응을 도와줌으로써 환자를 치유 할 수 있는 방법론이며 Priestly 모델은 환자의 내면 세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징적인 즉흥 연주를 시도케 함으로써 프로이드와 융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치료한다. Riordan Bruscia 모델은 즉흥적인 연주치료법으로 개인의 음악적 경 험과 표현을 그룹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가도록 하는 그룹 즉흥연주 모델로 치

(21)

료사는 그룹의 일원이 되거나 아니면 그룹 밖에서 도움을 주게 되는데 치료사 가 제시하는 주제가 형성될 때까지 즉흥연주를 하게 하고 경험을 얘기하게 하 여 반응하게 하는 방법이다(이성재, 2010).

5) 예술치료

심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아, 아동, 소년, 성인,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미술활동- 회화, 조소, 공예, 디자인 기법 등을 통해 그들의 심리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이다. 현대 의학적 치료와 병행하면 치료의 상 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이성재, 2010).

6) 유도 영상법(Guided imagery)

상상에 의한 정신적 영상을 이용하는 일종의 이완요법으로 질병을 이겨내고 정신적 장애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 질병 자체보다는 이완과 스트레스 감소를 통하여 불안, 출산 후 우울증, 수면장애, 금연이나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된다.

7) 이완 반응(Relaxation Response)

하버드 대학의 허버트 밴슨 박사가 개발한 것으로 초월 명상의 한 종류이다.

다른 명상에서 얻은 효과인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도록 초월명상을 수정하여 배우기 쉽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불면증, 월경증후군, 다른 질병 시 동반되는 정신 증세에 도움을 준다.

8) 자가 신경 훈련(Autogenic training)

이완요법의 하나로 간단한 단어들을 이용하여 생리적 반응을 유도하는 훈련 이다. 정신면역학에 기초를 두고 있는 보조적 치료방법으로서 심호흡과 단어를 반복한다.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기인된 질환이나 긴장환화가 중요한 질환, 편두 통에 많은 도움이 된다.

(22)

3. 영양, 생약 생물학적 치료법

1) 서양의 생약요법

유럽의 대부분의 의사들(80%)이 치료하고 있는 phytotherapy(생약요법)는 진단은 서양 의학적 방법에 의하여 진단이 이루어지면 단지 치료에 사용하는 약을 화학적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서양의 생약을 치료에 사용하고 있으며 사 용되는 약제의 성분과 작용기전이 현대 의학적 방법에 따라 과학화되어 있고 혼합되지 않고 단일 성분이며 표준화 되어 동양의 한약재와 다르다(이성재, 2010).

2) 임상 영양요법

현대는 만성 퇴행성, 대사성 질환들이 임상 영양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대상 들이다. 이러한 질병변화는 환경적 요소, 영양적 요소, 유전학적 요소 등 다양 한 인자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현대 사회의 다양한 요인에 의한 불균형한 영양 섭취가 만성질환에 중요한 요인으로 보이며 영양적인 조절이 만성 퇴행성, 대사성 질환의 치료와 예방이 더욱 중요한 방법 으로 고려되며 식사요법, 절식, 단식요법, 주스요법, 건강보조제, 해독요법, 정 형분자 교정학 등이 있다(이성재, 2010).

3) 식이요법(Diet Therapy)

음식을 약처럼 먹으면서 치료 효과를 얻은 것이다. “내가 먹은 것이 바로 나 다” 이란 말이 있다. 내 몸의 구성은 바로 내가 먹은 것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나의 몸이 지니고 있는 성분들은 몇 달 또는 늦어도 일년 안에 다 체외 로 빠져 나가고 새로운 성분들로 대체가 된다. 따라서 내가 먹은 것으로 나의 새 몸이 구성된다는 뜻이다. 무엇을 먹을 것인가? 어떻게 먹을 것인가? 언제 먹 을 것인가? 하는 것을 제대로 시행함으로써 건강유지와 치료 효과를 노린다.

(23)

4) 절식 요법

절식 요법이란 일정 기간 먹지 않는 절식으로 치료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정수나 주스 등을 이용하는 절식 요법이 있는데 절식 요법 시행자들은 고혈압, 두통, 알레르기 등에 치료 효과가 있으며 전반적인 건강 상태의 향상에도 도움 이 되고 면역 체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성재, 2004).

5) 주스 요법

과일 및 채소로부터 얻은 신선하고 생생한 주스를 이용하여 신체를 자양시키 고 충전 시키는 방법이다. 스트레스나 질병이 있는 상태에 영양 물질 공급의 차원에서 주스 요법은 건강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주스 치료 시행자들은 면역 체계를 자극시키고 혈압을 낮추고 독소를 제거하며 환경 적 요인에 의한 질병이나 음식 알레르기나 소화기 장애를 치료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이성재, 2004).

6) 영양 요법

이론적 배경은 “영양실조가 자주 일어나는 현대인들의 식생활 습관을 볼 때 식이요법만으로는 신체 전반에 걸친 영양 물질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다는 견 지에서 비타민이아 광물질 등을 함유한 영양 공급을 해야 여러 가지 질병, 외 상, 수명 연장 등에 영향을 줄 수가 있고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 또 만성 질환 예방에도 기여한다”는 것이다.

7) 해독요법(Detoxification)

말 그대로 인체 내에서부터 몸에 해로운 독소를 제거하는 치료법이다. 인간 들은 대기권, 물, 음식, 토양 등으로부터 수많은 오염 물질이아 화학적 독소들 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면역 기능 저하, 신경 질환, 호르몬 기능 저하, 정신 질환, 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식 요법, 식이 요법, 장 요

(24)

법, 비타민 C 요법, 발열 요법 등을 사용하여 체내의 독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해독 요법이라고 말한다(이성재, 2004).

8) 효소(Enzyme) 요법

효소를 이용하여 주로 소화와 관련된 질환들을 돕는 치료법이다. 필수 영양 분의 소화 흡수를 개선하고 보완하는 방법이다. 모든 화학적 반응이 신체에서 일어나며 이러한 자극에 관여하는 것들이 효소인데 이러한 효서가 부족할 때 여러 가지 질환들을 유발시킬 수 있다.

4. 수기물리치료의학

1) 카리로프랙틱

1895년 팔 머(Palmer)에 의해서 알려졌으며 그리스어에서 파생한 “손”을 뜻 하는 ‘카리로’와 치료를 뜻하는 practicem라는 말의 합성어로 주로 의사의 손 으로 여러 가지 질환을 치료한다는 의미이다. 자연적인 접근법으로 인체를 한 부분이 아닌 전체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며 치료한다. 특히 예방과 유지적인 측 면에 역점을 두어 영양과 운동을 겸한 신경, 근육, 골격을 복합적으로 다루는 치료이다. 신체의 운동 역학적, 기능적 장애에 대한 병리, 진단, 치료를 통해 조직의 기능적 장애, 생화학적 변화, 신경 생리학적 변화 및 통증의 발생을 예 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학문이다(이성재, 2010).

2) 아로마치료

향기를 품어내는 허브로부터 추출한 100% 천연 향유를 생활속에서 건강에 활용하기도 하고 의학에서 전문적으로 질병에 사용하는 치료법을 말한다. 아로 마테라피는 허브(건강에 도움이 되는 향이 나는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등 에서 추출한 휘발성 정유로 심신을 건강하게 하는 요법이며 정신적, 신체적, 감

(25)

정적, 영적인 차원에서 치유, 개선의 효과가 있는 치료적 요법이며 특히 스트레 스 해소나 심신의 불균형 상태를 해소하는 효과가 널리 알려져 왔다. 현대 의 학적 치료와 병행하면 만성중이염, 만성 부비동염, 진정, 이완, 스트레스등의 치료에서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이성재, 2010).

3) 수 치료(Hydrotherapy)

수 치료라고 하는 것은 물리 치료실에서 사용하는 수 치료 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로든 체내에 투여하거나 체 표면에 적용하는 등 외부에서 질환의 치료 목 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통틀어서 일컫는 광범위한 의미에서의 수 치료를 말한다. 물 뿐만 아니라 얼음, 수증기 등으로 뜨겁거나 차가운 온도를 유지케 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4) 정골 의학

정상적인 신체 기구와 구조상의 결함을 발견하고 교정하는 조작법의 중요성 을 특별히 강조한다. 1874년에 Andrew T. Still(1828~1917)에 의해서 창시된 치료 체계로서 “신체가 정상 구조적 관계에 있으며 호적한 환경 조건과 적당한 영양을 취한다면 신체는 질환 및 다른 중독상태에 대해서 스스로 치유될 수 있 다‘는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주로 척추 및 관절 질환, 관절염, 소화기 장애, 만성 통증 치료에 많이 사용된다. 치료에 사용하는 기술로는 정골 의학적 수기 법을 강조한다.

5) 족부 의학

우리나라에는 의학적 접근이 부족한 분야이며 의료인들에게조차 생소한 전문 분야이다. 족부의학 전문의는 정형외과 의사가 하는 절단 수술과 같은 큰 수술 은 시술하지 않으나 살 속을 파고드는 발톱을 제거한다든가 발바닥의 굳은 살 과 티눈을 제거한다던가 하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을 비롯해서 발의 통증이나

(26)

근육의 강직을 제거하기 위한 보조기를 사용하는 등 발의 질병이나 불편한 증 상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모든 방법을 사용한다. 족부 의학이란 한마디로 “ 불 편한 발을 편안하게 만들어 주는 의학‘이라고 할 수 있다.

6) 반사요법(Reflexology)

발이나 때로는 손 그리고 귀, 코, 목에 이르기까지 특정 부위에 마사지나 지 압술 또는 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신체의 다른 부위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고 동 시에 건강을 증진시킨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 요법이다.

7) 응용 운동학(Applied Kinesiology)

의학적 진단과 처방치료의 지속적인 결정을 위한 근육강화 훈련을 통해 약화 된 근육을 자극하거나 이완시켜 신체의 이상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포괄 적인 근육검사를 통하여 다양한 건강 문제를 진단하고 이 잘못된 근 골격 계통 의 관리를 해줌으로써 결과적으로 환자의 관절 운동 범위, 면역이나 소화기능, 신경기능, 호르몬의 분비, 또는 다른 내장의 기능을 호전시켜 주는 치료 방법이 응용 운동학이라고 할 수 있다.

8) 봉침 요법

히포크라테스는 봉침을 사용하였으며 신비한 약이라 하였다. 문자 그대로 벌 에다 쏘임으로서 치료 효과를 얻는 치료법이다. 많은 경우에 경혈의 자리를 택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고 몇 군데 피부 부위를 선택하여 인위적으로 벌 침을 꽂아 줌으로써 통증의 감소, 관절염의 호전, 전신 건강의 증진 효과를 얻 은 치료법이다(이성재, 2004).

9) 고열 요법

고열요법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 몸은 감염이나 염증에 대항하기 위해 자연적

(27)

으로 열이 생기게 되어 있는데 열이 생기지 않을 때 인위적으로 발열시켜 국소 질환이나 전신 질환을 치료하려는 모든 방법을 일컫는다. 열은 질병에 대해 가 장 힘있게 대항할 수 있는 것 중에 하나이다.

10) 두개천골 자극요법

두개골이나 천골을 조작함으로써 두통이나 강직상태의 호전 그리고 일반적인 신체 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치료법으로 자율 신경 중에 부교감 신경은 뇌신경 과 천골 신경에서 나옴으로 이 부위에 자극을 주어 부교감신경의 기능을 향상 시켜 결과적으로 자율신경 전반의 균형을 잡아 준다는 이론이다.

11) 홍채 진료법

사람 눈의 검은 자위는 그 구조나 짜임새, 색채, 밀도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데 이것이 아무렇게나 변하는 것이 아니고 내장이나 인체 다른 부위의 변화가 홍채에 반영되는 형식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어떤 장기나 조직에 문제가 있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이 그 이론적인 배경이다.

5. 에너지 의학

1) 생체자기제어요법(Biofeedback)

기본원리는 일부 질환의 원인은 인체의 심신 상호작용에서 시작하는 이론에 두고 있다. 환자들은 비정상적이 아닌 생리기능을 기기를 통하여 인식하고 정 상적인 생리기능을 찾기 위하여 심신-생리 자가조절을 기기를 통하여 배우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실제 생활에 응용하는 치료법이다.(심신의 반응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정보를 소리나 광선이나 그래프의 형태로 되먹여 알려줌으로 자신의 이완이나 긴장 상태를 스스로 조절)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기기는 근전도, 뇌 파기기, 심전도, 전기피부반응기이다.

(28)

2) 기공치료

수 십 세기 동안 동양 문명권에서 주로 사용해 오던 건강법인데 호흡 조절과 정신 집중과 육체 운동을 어떤 형식에 따라 반복함으로써 기혈을 고르게 하고 몸을 튼튼하게 하고 병도 낫게 하는 방법이다. 혈액순환을 향상시키고 면역 기 능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훌륭한 건강 유지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양자 의학

분자생물학 차원을 넘어서 원자 차원으로 접근하는 치료법인데 원자에서 방 사하는 양자 에너지를 전자 군에서 나오는 에너지와 그 주위의 소립자 군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구별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 몸의 정상적인 상태와 비정상적 인 상태를 가려내고 병적인 에너지의 발원지를 미세 전자파로 자극함으로써 정 상적인 상태로 되돌려 놓는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치료법이 양자의학이다.

미국에서는 자기 공명 분석기로 불리고 일본에서는 양자 공명 측정기로 불리는 기기를 이용하여 연구와 시술을 병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최근에 도입이 되어 사용 중에 있다.

제3절 보완 대체의학의 현황

1. 미국 및 유럽의 현황

미국은 국립보건원 내에 대체의학 연구원(1992)과 국립보완대체의학센터 (1999)를 설립하였다. 설립 목적은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보완 대체의학을 연구하고 연구자를 교육하며 연구를 통하여 알려진 권위 있는 정보를 일반인과 의료인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의학교육에서도 UCLA, Havard, New York, Johns Hopkins 등 여러 의과대

(29)

학의 66%가 보완 대체의학에 대한 강의를 개설하였고 보완 대체의료의 치료방 법들에 대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Wetzel, M. S., Eisenberg, D. M., &

Kaptchuk, T. J., 1998).

유럽 연합의 현황은 역사가 길고 대부분 관용적이며 여러 국가에서 생활 유형 의 변화 등으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고 공공의 인식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1997년 비전통의학관련 법률에 의한 유럽회의에서 환자와 의료인을 위 한 의료 보장 자유지침과 인력양성, 법률 제정, 허가 등에 대한 단일화가 추진 되었고 1999년 보완 대체의학의 안전성과 공공의 안전성을 기본으로 보완대체 의학의 안정성과 효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조직 창설, 다른 구제법규와 비교 평가,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기초와 임상적인 조사를 요청하였다.

2. 우리나라의 현황

최근에 각 보완 대체 요법에 대한 전문 교육과 실습이 의료인들 사이에 활발 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요법별로 전문화된 학술 단체(대한 복원 의학회, 한 국 정신과학 학회등)들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간호학, 약학, 치의학, 행정학, 경영학분야에서도 보완 대체 요법에 대한 연구 논문과 전문단체를 만들고 있으 며 한의학계에서는 보완 대체의학의 분야를 자체의 영역에 포함 시키거나 공 존, 합병시키는 경향을 띠고 있다. 한편으로는 일부 의과대학에서도 보완대체의 학 과목이 개설되고 있으며 직접 학점을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적극적인 연구와 교육, 법적제도의 결여로 연구와 임상 경험이 극히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오홍근, 1998).

(30)

제4절 대체의학의 문제점 및 비전

대체의학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생각과 이론에 치중되어 있고 체계적이지 못 한 점과 테크닉에 의존하고 있으며 치료에 있어서 확실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단정하기가 어렵고 일부 과장된 치료 결과와 신뢰감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다. 또한 전문 의료인이 아닌 비의료인들이 대체의학이라는 틀 안에서 무책임 하게 비과학적이고 비의학적인 시술을 행하고 있는 점과 한국적 사회풍토가 그 것을 옹호하거나 눈감아주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오히려 전문 의료인들이 적극적으로 대체의학을 연구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고 본다.

앞으로 대체의학에 대한 정책적인 후원과 학문적 관심을 가지면 진보적이고 앞선 선도적인 의학을 창출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왜냐하면 제도권 밖 에서 임상적으로 가치가 있는 대체의학적 치료법들을 많이 발견할 수가 있고 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와 임상적 검증을 거치면 확실한 과학적 의학으로 정립 할 수 있기 때문이다.

(31)

제3장 연구 조사

제1절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보완 대체 의학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제2절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의료기관(대학병원, 종합병원급)에 종사하는 사람을 대 상으로 하였으며 약사직종은 약국을 경영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구성은 의사 60명, 간호사 60명, 약사 40명, 물리치료사 40명, 의료기사(임상병리사, 방사선사) 40명으로 총 240명이었다. 물리치료사와 의료 기사를 나눈 것은 물리치료사는 직접 환자와 접촉을 하면서 치료에 직접적 관 여를 하기 때문에 별도로 분리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1년 8월1일부 터 8월21일까지 였으며 총 240부를 배부하여 240부를 모두 회수하였고, 회수 기간은 약 20일간이었다. 조사는 본 연구자가 설문지를 해당 종사자에게 직접 배부, 회수하였다. 설문지를 불성실하게 응답한 30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응답 자 총 210명 중 185명(의사 47명, 간호사 51명, 약 29명, 물리치료사 34명, 의료기사 24명)이 보완 대체의학을 들어본 것으로 나타나 분석에는 185명을 사용하였다.

(32)

제3절 조사도구 및 자료 수집

본 연구의 조사도구로 사용된 설문지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연구 대상자의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의 종합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 으로 8문항, 보완 대체요법의 경험 및 태도에 대한 것으로 4문항, 보완 대체요 법의 유용성에 대한 것으로 5문항, 일반적 특성에 해당하는 6문항등 총 24문 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이종문(2004), 김영호(2006)의 설문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내용 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표3-1>과 같다. 자료 수집 은 논문, 학술지, 인터넷자료를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3-1> 설문지 구성

측정 변수 측정 항목 문항수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의 종합적 특성

보완 대체의학에 대한 인지, 인지 경로, 의미, 사용동기, 질병치료의 역할, 적용가능질환, 문제점, 질병치료 방법

8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경험 및 태도

이용경험, 이용한 요법 종류, 이용 후 결과,

관심도, 이용 권유 5

보완 대체요법의 유용성

임상 적용 가능여부, 환자 치료에 적용할 의향 유무, 주위에서 보완 대체요법을 이용할 때 취할 태도, 보완 대체요법으로 치료할 때 치료 행위의 주체, 보완 대체요법의 활성화 방안

5

일반적 사항 연령, 성별, 근무기간, 직종, 결혼 유무,

종교 6

합계 24

(33)

제4절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종합병원과 약국에서 종사하는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결과가 전체 의료인들의 생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 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특정 요법을 지정하여 조사한 것이 아니므로 전반적인 대체요법에 대 한 생각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제5절 연구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인식의 종합적 특 성 및 경험 그리고 태도에 관한 유의성 검정을 위해 ²(Chi-square)검증하였 다.

(34)

제4장 연구 결과 및 분석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4-1>과 같다. 연령별로는 29세 이하가 37.6%, 30~30세가 37.1%, 40세 이상이 25.2%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자 47.1%, 여자가 52.9%였다.

근무기간은 5년 이하가 51.4%로 가장 많았으며 6~10년 17.6%, 11~15년 11.4%, 16~20년 7.1%, 21년 이상이 12.4%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의사 25.7%, 간호사 25.2%로 의사와 간호사가 절반을 차지했으 며 약사 14.8%, 물리치료사 19.0%, 의료기사 15.2%였다. 결혼 상태는 미혼 47.6%, 기혼 52.4%였으며, 종교는 기독교 37.1%, 천주교 15.7%, 불교 4.8%, 무교 42.4%로 나타났다.

(35)

<표4-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 분 빈도(명) 백분율(%)

연령

29세 이하 79 37.6

30~39세 78 37.1

40세 이상 53 25.2

성별 남자 99 47.1

여자 111 52.9

근무기간

5년 이하 108 51.4

6~10년 37 17.6

11년~15년 24 11.4

16년~20년 15 7.1

21년 이상 26 12.4

직종

의사 54 25.7

간호사 53 25.2

약사 31 14.8

물리치료사 40 19.0

의료기사 32 15.2

결혼 미혼 100 47.6

기혼 110 52.4

종교

기독교 78 37.1

천주교 33 15.7

불교 10 4.8

무교 89 42.4

계 210 100.0

(36)

제2절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1. 보완 대체요법의 인지

가.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인지도

조사 대상자들이 보완 대체요법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는 <표4-2>와 같다. 총 210명 중 보완 대체요법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응 답자는 185명(88.1%)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응답자가 25명(11.9%)으로 나타 났다. 의사의 87.0%가 들어본 적이 있으며 간호사 96.2%, 약사 93.5%, 물리 치료사 85.0%, 의료기사 75.0%가 들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와 약사가 다른 직종에 비해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 ²=11.62, P<0.003)과 직종( ²=9.87, P<0.043), 결혼 유무( ²=4.72, P<0.02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표4-2> 보완 대체요법 인지도 (계속)

구 분 아니오 합계 ²(df) p

연령

29세 이하 62 (78.5%)

17 (21.5%)

79 (37.6%)

11.62*

(2) 0.003

30~39세 72

(92.3%)

6 (7.7%)

78 (37.1%)

40세 이상 51 (96.2%)

2 (3.8%)

53 (25.2%)

성별

남성 85

(85.9%)

14 (14.1%)

99

(47.1%) 0.89

(1) 0.232

여성 100

(90.1%)

11 (9.9%)

111 (52.9%)

(37)

<표4-2> 보완 대체요법 인지도

구 분 아니오 합계 ²(df) p

근무기간

5년 이하 88(81.5%) 20(18.5%) 108(51.4%)

9.36

(4) 0.053 6~10년 35(94.6%) 2(5.4%) 37(17.6%)

11년~15년 23(95.8%) 1(4.2%) 24(11.4%)

16년~20년 14(93.3%) 1(6.7%) 15(7.1%)

직종

21년 이상 25(96.2%) 1(3.8%) 26(11.9%)

9.87*

(4) 0.043 의사 47(87.0%) 7(13.0%) 54(25.7%)

간호사 51(96.2%) 2(3.8%) 53(25.2%)

약사 29(93.5%) 2(6.5%) 31(14.8%)

물리치료사 34(85.0%) 6(15.0%) 40(19.0%)

의료기사 24(75.0%) 8(25.0%) 32(15.2%)

결혼

미혼 83(83.0%) 17(17.0%) 100(47.6%)

4.72*

(1) 0.025 기혼 102(92.7%) 8(3.8%) 110(52.4%)

종교

기독교 67(85.9%) 11(14.1%) 78(37.1%)

1.97

(3) 0.577 천주교 30(90.9%) 3(9.1%) 33(15.7%)

불교 10(100%) 0(0.0%) 10(4.8%)

무교 78(87.6%) 11(12.4%) 89(42.4%)

185(88.1%) 25(11.9%) 210(100%)

*p<.05

(38)

나. 인지 경로

보완 대체요법을 어떤 경로를 통해 알게 되었는지를 묻는 질문의 결과는

<표4-3>과 같다.

응답자의 51.9%가 '신문, TV, 잡지 등의 매체를 통해' 들어보았으며 '가족이나 주변사람으로부터' 들어본 사람은 21.6%, '교육의 기회를 통해' 들어본 사람은 19.5%, '본인 스스로' 5.4%, '대체요법 전문가' 1.6%순으로 나타났다.

<표4-3> 보완 대체요법 인지 경로

구 분 빈도(명) 백분율(%)

신문,TV, 잡지 등의 매체 96 51.9

교육의 기회 36 19.5

가족이나 주변사람 40 21.6

대체요법전문가 3 1.6

본인 스스로 10 5.4

계 185 100

2. 보완 대체요법의 의미

보완 대체요법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어본 결과는 <표4-4>와 같으며 보완 대체요법이 '병원치료의 보조적 수단으로 플러스 효과를 기대하며 사용한 다'고 한 응답한 사람이 56.8%로 가장 많았으며, '심리적 지지와 안위증진을 돕는 치료요법'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24.9%, '병원치료 이외의 치료법이다' 12.4%, '과학적 근거가 결여된 치료법이다' 5.9%로 나타났다.

직종별로 살펴 보면 ‘병원치료의 보조적 수단으로 플러스 효과를 기대하며 사

(39)

용 한다’는 응답을 보면 의사 42.6%, 간호사 58.8%, 약사 72.4%, 물리치료사 50.0%, 의료기사 70.8%로 약사와 의료기사가 다른 직종들 보다 ‘병원치료의 보조적 수단으로 플러스 효과를 기대하며 사용 한다’는 인식이 높았다.

<표4-4> 보완 대체요법의 의미

구 분 A B C D ²

(df)/p 의사 20(42.6%) 12(25.5%) 10(21.3%) 5(10.6%) 47(25.4%)

20.36 (12)/

0.060 간호사 30(58.8%) 17(33.3%) 1(2.0%) 3(5.9%) 51(27.6%)

약사 21(72.4%) 5(17.2%) 2(6.9%) 1(3.4%) 29(15.7%) 물리치료사 17(50.0%) 8(23.5%) 7(20.6%) 2(5.9%) 34(18.4%) 의료기사 17(70.8%) 4(16.7%) 3(12.5%) 0(0.0%) 24(13.0%)

105(56.8%) 46(24.9%) 23(12.4%) 11(5.9%) 185(100%)

* 문항설명

A. 병원치료의 보조적 수단으로 플러스 효과를 기대하며 사용한다.

B. 병원치료 이외 다른 치료법이다.

C. 심리적 지지와 안위증진을 돕는 치료법이다.

D. 과학적 근거가 결여된 치료법이다.

3. 보완 대체요법의 사용 동기

보완 대체 요법을 사용하는 동기에 대해 살펴보면<표4-5>, '현대 의학과 병 행하여 사용하면 치료시기가 더 짧아 질 수 있을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55.1%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심리적, 정신적 안정감을 얻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27.6%, '현대 의학으로는 더 이상 치료할 수 없어서'라는 응답이 5.7%, '경제적으로 부담이 덜 될 것 같아서' 0.5%, 기타 1.1%로 나타났다.

직종별로 살펴봤을 때 의사집단이 심리적, 정신적 안정감을 얻기 위해서 보완

(40)

대체요법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이 42.6%로 제일 높게 나왔다. 직종에 따라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² = 38.21, P<0.001)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생각하는 보완 대체요법의 사용하는 동기는 ‘현대 의학 과 병행하여 치료하면 치료시기가 더 짧아 질 것 있을 것 같아서’라고 생각하 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의사들은 심리적, 정신적 안정감을 얻기 위해서 보완 대체요법을 사용한다는 생각을 가장 많이 갖고 있었다.

<표4-5> 보완 대체요법에 대한 사용동기

구 분 A B C D 기타 ²

(df)/p

의사 10

(21.3%)

14 (29.8%)

20 (42.6%)

1 (2.1%)

2 (4.3%)

47 (25.4%)

38.21***

(16)/

0.001

간호사 1

(2.0%)

32 (62.7%)

18 (35.3%)

0 (0.0%)

0 (0.0%)

51 (27.6%)

약사 7

(24.1%)

18 (62.1%)

4 (13.8%)

0 (0.0%)

0 (0.0%)

29 (15.7%)

물리치료사 8

(23.5%)

19 (55.9%)

7 (20.6%)

0 (0.0%)

0 (0.0%)

34 (18.4%)

의료기사 3

(12.5%)

19 (79.2%)

2 (8.3%)

0 (0.0%)

0 (0.0%)

24 (13.0%)

29

(15.7%)

102 (55.1%)

51 (27.6%)

1 (0.5%)

2 (1.1%)

185 (100%)

***p<.001

* 문항설명

A. 현대 의학으로는 더이상 치료를 할 수 없어서

B. 현대의학과 병행하여 사용하면 치료시기가 더 짧아질 수 있을 것 같아서 C. 심리적, 정신적 안정감을 얻기 위해서

D. 경제적으로 덜 부담이 될 것 같아서

(41)

4. 보완 대체요법이 질병치료에서의 역할

보완 대체요법이 질병치료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결과는 '치 료의 보조요법'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55.7%로 가장 많았으며 '치료법중의 하나 '라고 응답한 사람이 20.5%, '심리, 정서적으로 안정을 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18.4% , '단순한 건강 보조 효과만 있을 뿐 치료법은 아니다'라 고 응답한 사람은 4.9%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4-6>

직종별로 살펴봤을 때 의사는 ‘치료의 보조요법이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53.2%였다. ‘심리, 정서적으로 안정을 줄 수 있는 방법이다’라는 응답은 29.8%

로 다른 직종들보다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며 ‘단순한 건강 보조 효과만 있을 뿐이며 치료법이 아니다’라는 응답이 8.5%로 또한 다른 직종들보다 높게 나왔 다. ‘치료법이다’라는 응답은 6.4%였다.

간호사는 ‘치료의 보조요법이다’ 60.8%, ‘심리적, 정신적 안정감을 얻기 위해 서’ 21.6%, ‘치료법이다’ 17.6%로 나타났다.

약사는 ‘치료의 보조 요법이다’ 65.5%, ‘치료법이다’ 24.1%, ‘단순한 건강 보 조 효과만 있을 뿐 치료법은 아니다’ 6.9%로 나타났다.

물리치료사는 41.2%가 ‘치료의 보조 요법이다’라고 응답했으며 ‘치료법 중의 하나이다’라는 응답이 32.4%로 다른 직종들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 정서적으로 안정을 줄 수 있는 방법이다’는 17.6%, ‘단순한 건강 보조 효과만 있을 뿐 치료법은 아니다’라는 응답은 8.8%로 나타났다.

의료기사는 ‘치료의 보조요법이다’ 58.3%, ‘치료법이다’ 33.3%, ‘심리, 정서 적으로 안정을 줄 수 있는 방법이다’ 8.3%로 나타났다. 직종별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다.( ² = 28.97, p<0.024)

(42)

<표4-6> 보완 대체요법이 질병치료에서의 역할

구 분 치료법 이다

치료의 보조 요법

심리,정서 적 안정을 주는 방법

단순한 건강 보조효과

기타 ²

(df)/p

의사 3

(6.4%)

25 (53.2%)

14 (29.8%)

4 (8.5%)

1 (2.1%)

47 (25.4%)

28.97* (16)/

0.024

간호사 9

(17.6%)

31 (60.8%)

11 (21.6%)

0 (0%)

0 (0%)

51 (27.6%)

약사 7

(24.1%)

19 (65.5%)

1 (3.4%)

2 (6.9%)

0 (0%)

29 (15.7%)

물리치료사 11

(32.4%)

14 (41.2%)

6 (17.6%)

3 (8.8%)

0 (0%)

34 (18.4%)

의료기사 8

(33.3%)

14 (58.3%)

2 (8.3%)

0 (0%)

0 (0%)

24 (13.0%)

38

(20.5%)

103 (55.7%)

34 (18.4%)

9 (4.9%)

1 (0.5%)

185 (100%)

*p<.05

5. 보완 대체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질환

보완 대체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질환은 어떤 것인가를 물었을 때 '만성 통 증 및 근골격계 질환자' 42.7%, '만성질환자' 37.3%, '암환자‘ 14.6%, '정신질 환자' 4.9%, '기타' 0.5%로 나타났다<표4-7>.

직종별로 살펴 볼 때 의사는 만성 통증 및 근골격계 질환이라고 응답한 사람 이 38.3%, 만성질환자 27.7%, 암환자 21.3%, 정신질환자 12.8%순으로 나타 났으며 간호사는 만성질환자와 만성 통증 및 근골격계라고 응답한 사람이 각각 41.2%로 동일하였으며, 암환자 15.7%, 기타 2.0% 순이었다.

약사는 만성질환자 62.1%, 만성 통증 및 근골격계 질환자 20.7%, 암환자

참조

관련 문서

Parents of the children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he prevalence and types of alternative medicine used in the children,

This study aims to lower turnover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ite of child-care, and improves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The method was analyzed in terms of appearance, music, and method of map, with six types of ultra-high quality textbooks published over the past five

In this paper,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edical institution might be mistaken as a specialized hospital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Secon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t was discovered that most of the subjects responded affirmatively, especially,

The emotion of the secure prayer was the most important and in the case of the adoption of the name of a warship, it acted with basic requirements. Preferential God of

When physical therapists are asked about appling complementary &amp; alternative medicine at medical treatment hospital as supplementary treatments f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eginning and the process of village community media of the research subjects, it was found that village community media star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