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학년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학년도 "

Copied!
6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학년도

석사학위 청구논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 정 과 교 육 전 공

유 호 용

2 0 0 1

(2)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01年 6月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가 정 교 육 전 공

유 호 용

(3)

柳 浩 用의 碩士學位 論文을 認准함.

指導敎授 도 현 심 審査委員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4)

목 차

논 문 개 요

··· ⅳ

Ⅰ. 서 론

··· 1

Ⅱ. 관련 연구의 이론적 고찰

··· 5

1. 양육스트레스의 개념 ··· 5

2.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 8

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 11

4.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 14

5. 연구문제 및 모형 ··· 21

Ⅲ. 연구방법

··· 23

1. 연구대상 ··· 23

2. 조사도구 ··· 25

3. 조사절차 ··· 27

4. 자료분석 ··· 27

Ⅳ. 연구 결과

··· 29

1. 예비분석 ··· 29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 31

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 33

(5)

4.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 35

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 ··· 37

Ⅴ. 결론 및 제언

··· 40

참 고 문 헌

··· 45

질 문 지

··· 50

ABSTRACT

··· 57

(6)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징 ··· 24

<표 2> 자녀의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사회적 지지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 29

<표 3> 전체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분석표 ··· 30

<표 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 ··· 31

<표 5>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 33

<표 6>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의 일반적인 경향 ··· 34

<표 7>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 34

<표 8> 사회적 지지의 일반적인 경향 ··· 35

<표 9>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 36

<표 10> 독립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표 ··· 37

<표 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의 자녀양 육참여,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중다회귀분석 ··· 38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 22

(7)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어 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3∼6세의 자녀를 둔 총 220명의 어머니 들이다.

본 연구는 질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척도 (Abidin, 1990;신숙재, 1997;김명회, 1999),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척도(강희경, 1998;홍성례, 1995), 그리고 사회적 지지 척도(황영주, 1997)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구성하고 있는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 스와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는 자녀의 성별, 자녀의 연령, 어머니의 교 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여부, 그리고 가정의 경제적 수입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 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가 높을수록 자녀와 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는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의한 수준의 상 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및 자녀의 기질에 관련 된 스트레스와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 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및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8)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변인들과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 육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고, 그 다음 으로는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자녀의 연령 순이었으며, 이들 세 변인 모두 어 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 변인이 어머니의 양육스트 레스 수준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러한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 스 감소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한다.

(9)

Ⅰ. 서 론

가정은 아동이 출생하면서 접하게 되는 최초의 환경이며, 부모는 자녀가 올 바르게 성장, 발달하도록 도움을 주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부모 가 지니고 있는 자녀양육에 대한 태도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부모로서 자녀들과 온화하고 다정한 관계를 유지하여 좋은 가정을 형성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의 가족은 서구문화의 영향으 로 인하여 외형적으로는 핵가족이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의 가족가치관은 아직 전통적인 경향을 많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부모들은 자기 중심적이기보다는 자녀의 성장을 통한 즐거움이나 가족을 위해 서 자녀를 갖기 때문에 자녀양육으로 인해서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개념에는 친 숙하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부모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과 거에는 거의 관심 밖의 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김기현, 2000).

그러나 핵가족의 증가로 인해 가족지지 체계가 축소됨에 따라 다른 가족원의 도움없이 부부 둘만의 힘으로 자녀양육을 수행함으로 인해 부담감이 가중되고, 자녀가 있는 어머니들의 취업증가로 인해, 가정내의 어머니들은 가정생활을 유 지하면서 어머니 역할, 아내 역할, 며느리 역할, 혹은 직업인 역할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어머니로서의 역할수행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과 함께,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

(10)

는 요인으로 인식됨에 따라 최근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오면서, 어머니 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Abidin(1990)은 양육스트레스 모델에서 부모 및 아동의 특성 이외에 부모의 건강, 배우자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 등의 변인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이 있음을 밝혔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국내의 양육스트레스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를 가족스 트레스의 하위요인으로 다루고 있거나(안지연, 1992;장병옥, 1986;전경아, 1991), 정상아와 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 비교를 중심(김영미, 1990;김태 련․박랑규․이경숙, 1992;김희조, 1994;배인숙, 1993;안지연, 1992;윤수영, 1992;

이귀원, 1996)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정상아동을 둔 어머니를 대 상으로 한 연구들(고성혜, 1994;송주미, 1992;강희경, 1998;김명회, 1999)이 최근 들어 발표되고는 있으나, 자녀의 연령이 학동기(성영혜, 1992;고성혜, 1994;신숙 재, 1997;김명회, 1999)에 해당하는 경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므로, 유아기 자 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분석이 부족한 편이다.

또한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국내외 연구들이 관련 변인으로 주로 어머니의 심 리적 특성, 예를 들면, 우울성향,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 전략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관심이 미흡했던 것도 중요한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양육스트레스를 단지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자녀와 어머니가 갖는 심리적 특성으로 설명하는 연구 결과만으로는 어머니를 위한 비공식적 지 지체계 뿐 아니라, 보다 공식적 지지체계를 마련하는데 매우 제한된 자료를 제 공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기 때문이다. 어머니가 겪는 역할상의 어려움에 대 한 연구가 개인적 차원에서만 논의된다는 것은 효율적인 시간관리, 가족원간의 적절한 가사책임의 분배 등의 자구적인 해결책만을 제시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결과적으로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의 책임을 개인 또는 가족차

(11)

원의 비공식적 차원에서 담당해야만 한다는 기존 논리를 강화시킬 가능성도 배 제할 수 없다. 그러나 개인 또는 가족 차원에서의 해결책만으로는 어머니가 겪 는 역할상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결국 어 머니 자신의 가족뿐 아니라 친구, 이웃, 관련 전문가 등 외부환경적 요인인 사 회적 지지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것이다(강희경, 1998).

어머니 취업의 증가로 인해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기 시작하여, 종래의 아버지 역할과는 달리 현대의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아버지 상으로서 자녀양육의 책임인식 공유, 자녀들과의 많은 시간 공유 등 보다 적극 적인 자녀양육에의 참여가 요구되면서, 아버지역할에 대한 문화적 관심이 증대 되고 아버지의 양육적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가 족 내부적 환경요인에 있어서,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는 가족내 부모역할수행 과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한 비공식적 지지체계로써, 어머니의 양육스 트레스를 경감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변인을 논의함에 있어 중요한 외부환경적 요인으로 언급되는 것이 사회적 지지이다. 인간이 사회적 환경 안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면서 살아간다는 측면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 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인자가 될 수 있다. 양육스트레스와 사회 적 지지의 관계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들은 주로 관계망의 크기나 빈도를 중심 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어느 정도의 긍정적 효과를 갖는지에 대한 고려는 매우 부족하다.

비교적 최근 들어 사회적 지지의 기능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 있기는 하지 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일반적인 스트레스 연구에 비해 역 사가 짧으며, 수적으로 많지 않다. 따라서 어머니가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연구는 어머니 역

(12)

할의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외부 환경적 개입의 실제적 방안마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3∼6세 아동의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떠한 양상을 띠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가족내의 비공식적 지 지로써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외부적인 지지로써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13)

Ⅱ. 관련 연구의 이론적 고찰

1. 양육스트레스의 개념

본 절에서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를 중심 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떠한 요인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인간의 정상적 발달과정과 가족생활은 필연적으로 변화(change)와 스트레스 를 유발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분리될 수 없는 일부분이 다(Laster, 1981). 가족은 인생주기를 통해 성장하고 발달하면서 유사한 변화를 경험하고 이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볼 수 있다(Berkey & Hanson, 1991). 가족생활에 있어 중요한 변화는 자녀의 출산, 학교입학 및 독립과 같은 전환기적 생활사건으로, 가족구조의 변화를 가져오는 이러한 전환은 결과적으 로 가족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Menaghan, 1983, 재인 용).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관심분야가 다양한 만큼 여러 관점에서 정의가 내려 져 왔다. 그러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수가 적을 뿐더러 주 로 장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보 편적인 일반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개념화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를 통해 볼 때 양육스트레스란 가족생활의 발달적 맥락에서 구체적 상황하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가족체계가 직면하 는 발달과정 속에서 어느 정도 예상되는 스트레스이며(고성혜, 1994), 자녀의 출생으로 인해 어머니가 수행하는 부모역할수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

(14)

레스,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와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김기 현․강희경, 1997)이라 할 수 있다.

양육스트레스를 개념화하는데 있어 일상적 스트레스(daily hassles)는 무엇보 다도 중요한 구성요인이다(Crnic & Greenberg, 1990). 많은 스트레스 연구들(김 희조, 1994;송주미, 1992;Abidin, 1990a;Berkey & Hanson, 1991;Laster, 1981)은 이혼, 가족원의 죽음, 질병, 사고 등과 같은 중요한 생활사건이 스트레스와 밀 접한 관련이 있음을 가정하였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중요한 생활사건을 가족이 일반적으로 빈번하게 경 험하는 것이 아니므로 오히려 매일의 생활에서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의 축 적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상적 스트레스란 개인과 환경과의 일상적 교류의 결과로 경험하게 되는 성급함, 당황, 좌절감 등으로, 이는 성인의 보살 핌을 필요로 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이해하는데 특히 중요한 개념이다(Crnic & Greenberg, 1990). 즉 “일상적 스트레스”의 개념은 가 족, 특히 부모역할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자녀를 돌보는 일이 부모로 하여금 대 단치 않은 일상적인 따분함, 신경질, 당황 같은 감정을 유발할 수 있는 수많은 상황을 일상생활 중에 초래함으로 양육스트레스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Crnic & Booth, 1991).

Lazarus와 Launier(1978)도 역시 중요한 생활사건 뿐만이 아니라 일상적 스 트레스의 축적이 어머니와 자녀간 역기능적인 상호작용과 관계가 있다고 보았 다(Webster-Stratton, 1990, 재인용). Kanner 등의 연구에서도 일상적 스트레스 몇 개가 동시발생적으로 나타나 복합적인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하 나의 생활사건보다도 더욱 위협적인 영향을 갖는다고 보고하였다(한미현․유안 진, 1995, 재인용).

한편, 자녀양육 스트레스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특성에 의해 발생될 뿐만

(15)

아니라 대상 자녀의 특성으로 인해 유발 될 수 있는 부모-자녀관계의 산물이 다. 기질에 관한 구성요소나 정의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의해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Buss나 Plomin는 기질을 여러 성격 특질들 가운데 생의 초기에 나타나서 생의 후반까지 지속되며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성격 특성, 즉 활동성, 정서성 및 사회성으로 정의하였으며(Buss & Plomin, 1975), Goldsmith와 Campos는 기질을 일차적인 정서나 각성을 경험하고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인차라고 정 의하고 있다(Goldsmith & Campos, 1982).

기질을 행동의 유형적 요소(stylistic component)로 정의하고 발달에 있어서 의 기능적인 중요성을 가지는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 Chess에 따르면, 활 동수준, 규칙성, 접근 또는 회피, 순응성, 반응역, 반응강도, 기분, 주의분산성, 주의집중폭과 지구력의 9개 범주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질적인 범주 등에 기초하여 순한 기질(easy temperament), 더딘 기질(slow-to-warm up temperament), 까다로운 또는 어려운 기질(difficult temperament)의 세 유 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세 가지 유형의 기질 중에서 매우 일관되게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들이 그들의 부모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 들이 보고되어 있다(김기현, 2000).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과 비슷한 행동 유형을 보이는 주의력 결핍-과잉 활동 장애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Mash와 Johnston(1990)의 연구에서, 계속되는 아동들의 불순응성과 반항으로 인하여 양육과정에서 형성된 아동의 행동에 대 한 부정적인 귀인 양식 및 이와 관련된 무력감, 무반응 및 위축으로 특징지워 지는 낮은 부모효능감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Webster-Stratton과 Eyberg(1982)는 쉽게 주의분산이 되며 높은 활동수준을 보이는 아동은 많은 행 동문제를 야기하며,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적대감, 비난, 짜증 등과 같은 부정적인 요인들로 특징지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고성혜(1994)는 아동

(16)

의 활동이 지나쳐 소란스런 행동을 자주 하거나 공격적인 경우 어머니가 양육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한다고 지적하였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자녀의 기질은 양 육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다고 본 연구들이 많이 있다(Marcovitch, Goldberg, Lojkasek & MacGregor, 1987;Noh, Dumas, Wolf & Fisman, 198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Abidin, 1990;신숙재, 1997;김명회, 1999)을 토대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와 자녀 의 기질에 의한 스트레스의 두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2.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본 연구 고찰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 자녀의 성별, 연령, 어머니의 교 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정의 경제적 수입이 포함되며, 이러한 변인들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반적인 아동관련 변인으로 는 자녀의 성별과 연령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양육스트레스 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자녀의 연령이 어린 영유아기일 때 남아의 경우 여아보다 신체적 활동력과 행동반경이 크기 때문에 돌봐주는 성인의 더 많은 주의를 요구할 수 있다. 3세 이하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 로 한 강희경(1998)의 연구에서는 남아일 경우에 양육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남아가 여아에 비해 신체적 활동량이 많아서 어머니의 끊임없는 보살핌과 주의를 더욱 필요로 하기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 다.

그러나 학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한 고성혜(1994)의 연구에서는 자녀의 성별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17)

김기현(2000)의 연구에서도 자녀의 성별에 따라 자녀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 트레스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집단은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자녀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결과가 일관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부모-자녀 관계에서는 어떤 특정한 생활사건보다는 일상적 스트레스사건이 부모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Crnic & Greenberg, 1990).

부모가 일상적 스트레스 사건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는 특히 아동의 연령에 따라 그 강도가 다른데, 영아가 9∼12개월일 때보다 30-36개월일 때 부모들이 일상적인 스트레스 사건을 더 강하게 지각한다고 한다(Crnic & Booth, 1991).

이것은 영아기에서 아동초기로의 전환기에는 아동의 자율성이 증대되고 자아개 념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부모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오히려 도전적인 행동이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자녀의 연령에 따라 자녀양육으로 인 한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김기현(2000)의 연구에서는 아버지 집단 과 어머니 집단 모두에서 자녀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 부모 모두 5세아나 6세아보다는 4세아의 양육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 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연구결과 들(고성혜, 1994;Neal et al., 1993)도 보고되고 있다. 즉 Neal 등(1993)의 연구에 서는 막내자녀의 연령이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고성혜(1994)의 연구에서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한편,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자녀양육에 대한 지식, 자녀양육방법에 따른 자신 감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능력과 관련되는 변수이므로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

(18)

은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을 설명하는 유의 한 예측변인으로 부모의 교육수준이라고 본 선미정(1994)의 연구에서는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교육수준이 높은 부모일수록 자녀에 대한 적절한 기대수준을 지니고 있으 며, 양육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경제적 능력을 가지며 나아가 부모 자신이 스 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고학력 일수록 스트레스의 양과 심리적 손상이 적으며, 어머니로서의 역할수행에 따른 부담을 덜 겪으며 자신감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남유리, 1989;유희정, 1992;진미 정, 1993)는 학력이 높을수록 가정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스스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풍부해지고 스트레스의 원인파악이 용이하며 긴장감의 해소방 법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역할에 따르는 스트레스와 역 할갈등이 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들(Barnett & Baruch, 1985;White & Edward, 1990)도 있다. 또한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양육스트레스 와 관련있는 변수가 아니라고 보고한 고성혜(1994)의 연구도 있으며, 그 이외의 연구들(김윤주, 1977;정민자, 1992;Jalowiec & Powers, 1981;김기현, 2000)에서 도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수준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 았다. 이처럼 여러 연구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 어머 니의 교육수준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여 겨진다.

어머니의 취업과 관련하여, 취업여부나 시간제 또는 전일제 근무 같은 직업 특성과 관계없이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자녀양육 책임의 대부분을 수행한다는 결과들(Darling-Fisher & Tiedje, 1990;Thomson & Walker, 1989)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있다. 이것은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관계없이 어머니들이 자녀양육에

(19)

있어서는 주된 책임이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머니 취업이 증가하 고 있는 현 시점에서 어머니역할 수행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을 것이 다.

또한 Bell(1982)은 저소득층 어머니에게서 이웃과의 교류가 스트레스적인 생 활조건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심리적 복지를 향상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스트레 스를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Goldsteen & Ross, 1989, 재인용)을 발견하였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에 있어 가정의 경제적 수입같은 변인과의 상호작용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즉 빈곤 과 같은 스트레스적 생활조건은 어떠한 심리적․환경적 변인보다 대상자의 스 트레스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트레스 관련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서 는 무엇보다도 가정의 경제적 수입의 통제가 중요한 것이다.

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내용에는 자녀에게 필요한 물품제공, 자녀의 생활습 관에 대한 관심과 지도, 자녀에게 음식을 먹이거나 목욕시키기, 자녀와 함께 놀 아주거나 이야기 상대가 되어주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어머니 취업의 증가로 인해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기 시작하여, 종래의 아버지 역할과는 달리 현대의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아버지상 으로서 자녀양육의 책임인식 공유, 자녀들과의 많은 시간 공유 등 보다 적극적 인 자녀양육에의 참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허경옥, 1994). La Rossa(1988) 역 시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아버지역할에 대한 문화적 관심이 증대되고 아버지의 양육적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게 된 것

(20)

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아버지가 자 녀양육에 참여하는 시간은 크게 증가하지 않은 것(Hiller & Philliber, 1986;Hochschild, 1989;Model, 1981)으로 나타나고 있다(허경옥, 1994;강희경, 1998).

이러한 상황에서 핵가족 증가로 인한 가정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가족지지체계 가 축소됨으로써 자녀양육의 문제는 부부 공동의 관심사가 되지 않을 수 없는 현실로 볼 때,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에는 반드시 아버지의 태도와 참여가 하나의 변인으로 첨가되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스트레스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개인이 가진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루 어져 왔으나 연구결과들이 축적되면서 개인이 가진 심리적 변수만으로 스트레 스를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인숙, 1994). Monat와 Lazarus(1977)는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성격특성과 같은 심리적․개인적 자원 외에 사회적 지지체계와 같은 사회적 자원과 경제적 자원 등의 환경적 자원이 충분해야 한다고 보았다. 결국 이들은 스트레스 유발 및 대처에 있어 심리적 특성 외에 사회적 지지나 가정환경적 요인, 그리고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같은 환경적 특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을 탐색함에 있어서, 어머 니가 가진 심리적 특성 변인 외에 다양한 가족환경적 변인이 반드시 고려되어 야 함을 시사한다. 어머니가 자녀양육에의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은 가족원 및 친척 등의 가족내부와 친구, 이웃, 전문가 등 가족 외부에 존재하는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제도를 들 수 있다. 이 때 자녀의 아버지나 다른 성인의 지원 이 없을 때 어머니는 매우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 놓인다.

아버지들의 근로시간이 과거에 비해 유의하게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1965년에 서 1975년까지 10년간을 비교해 본 결과에서, Coverman과 Sheley(1987)는 자

(21)

녀들 아버지의 가사 및 자녀양육 참여시간의 변화가 없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아버지들이 어린 자녀를 도와주는 것은 부인이 설거지를 하는 이른 아침이나 저녁시간이고, 부인이 다시 자녀를 보살필 수 있는 상황이 되면 더 이상 남편 은 자녀를 돌보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결국 어머니들의 취업여부나 시간제 또 는 전일제 근무같은 직업특성과 관계없이 자녀양육 책임의 대부분을 어머니들 이 수행하는 것이다(Darling-Fisher & Tiedje, 1990;Thomson & Walker, 1989).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취업간의 관계를 조사한 국내연구에서는 일관된 연구결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양상을 보여준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 여도와 어머니의 취업유무는 유의한 관계가 없거나(박문학, 1989;양득주, 1988;

윤종희․이인숙, 1993;이행옥, 1988), 어머니가 취업한 경우 아버지의 부모역할 수행정도가 높다는 연구(홍성례, 1995), 그리고 오히려 어머니가 취업하지 않은 경우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가 높다(강란혜, 1989)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 어, 상반된 연구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반적으로 아버지의 자녀양육 및 가사분담에의 참여가 낮음에도 불구 하고, 이 변인은 취업모의 심리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Ross &

Mirowsky, 1988)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의 개념적 모델을 정립한 Abidin(1990a)의 연구에서도 아버지의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구성하 는 중요한 하위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들을 토대로 하여 살펴볼 때,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중요한 지원으로써 양육스트레스의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22)

4.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최근 들어 부모역할지원체계로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사 회적 지지에 대한 관심은 1970년대 이후 Cassel(1976), Cobb(1976), Caplan과 Killilea(1976)가 논문제목으로 저술하면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Cochran과 Brassard(1979)의 <Child Development and Personnal Social Network>논문이 발표되면서 그 관심의 초점이 모아졌다(황영주, 1997).

사회적 지지의 개념은 사회적 지지망,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지지체계와 같 은 의미로 쓰이고 있으며, 학자들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사회적 지지가 개인간 또는 개인간 집단간에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집합체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문제에 대한 지 침을 제공하며, 행위에 대한 피드백 기전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고 본 Caplan(1974)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는 의미있는 타자가 위기시에 심리적 자원 을 동원하고 정서적 부담을 경감하도록 돕고, 과업을 분담해주며, 나아가서 금 전, 물질, 도구, 기술 및 인식적 지도를 제공하여 개인의 적응 능력을 증진시키 는 개체 사이 또는 개체와 집단 사이의 애착으로 정의하고 있다.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Cobb(1976)의 정의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란 수혜 자로 하여금 보살펴지고 있으며, 사랑받고, 존중되어지고, 의사소통망에 소속되 어 있으며 서로 의지하고 필요되어지는 상호의무감이 존재한다고 믿는 관계를 의미한다(Turner & Avison, 1985). 이 정의는 사회적 지지의 개념에 대한 정 의, 기능 및 효과가 보다 분명하게 규정되었으며, 즉 돌봄과 사랑을 받고 있다 고 믿게 하는 정보인 정서적 지지, 존경을 받고 가치있다고 믿게 하는 정보인

(23)

존경 지지, 대화할 수 있고 상호 의무가 있는 관계망에 속한 구성원임을 믿게 하는 정보인 관계망 지지를 사회적 지지의 개념에 포함하였으며, 유형적 도움 과 자원은 배제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애정, 긍정, 도움의 요소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 대인 간 교류라고 정의한 Kahn과 Antonucci(1980)는 애정의 교류는 좋아함, 동정, 존경의 표현을 의미하며, 긍정의 교류는 어떤 행동의 정당성이나 발언의 적절 성에 대한 동의 또는 승인의 표현을 의미하고, 도움의 교류는 물건, 금전, 정보, 시간 등을 포함한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상호작용을 의미한다고 제시하였 다. 또한 이들은 사회적 지지를 역동적 개념으로 제시하여, 한 개인은 초기 아 동기부터 사회적 지지 제공자인 다양한 관계망 구성원으로 둘러 싸여 있고, 개 인이 성장함에 따라 관계망 구성원과의 성격이 변화하며(예: 부모와 자녀사이 의 관계), 구성원이 추가(예 : 새로운 친구의 사귐), 또는 상실(예: 배우자와의 사별)되기도 한다고 하였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초기 연구는 사회관계망의 크기에 초점을 둔 접근을 중 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인간관계의 양적 특성보다는 질적 특성이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는 경험적 연구결과에 의해, 사회적 지지의 기능에 따른 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방향이 전환하게 되었다(Jacobson, 1986). 사회적 지 지의 기능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지지의 기능을 단일차원으로 보고 그 효과 를 검증하였다. 그러나 보다 최근에 들어서는 그 기능을 단일차원이 아닌 다차 원으로 보아 기능의 유형과 스트레스 유형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가 많이 이루 어지고 있다(Jacobson, 1986).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접근방법에 근거를 둔 Cohen 등(1985)의 대인간 지지 평가목록(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 ISEL)은 사회적 지지의 기능 을 구체적으로 ① 물질적 도움과 같은 구체적 지지, ② 개인의 문제에 대해 서

(24)

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평가적 지지, ③ 개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해 주 는 자아존중감 지지, ④ 무엇인가 함께 할 수 있는 사람이 존재한다는 소속감 지지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Pierce, Sarason, & Sarason, 1990;강희경, 1998).

사회적 지원 척도를 개발한 박지원(1985)은 사회적 지원의 기능을 정서적 지 원, 정보적 지원, 물질적 지원, 평가적 지원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정서적 지원이란 존경, 애정, 신뢰, 관심, 경험의 행위를 포함하며, 정보적 지원은 개인 의 문제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고, 물질적 지원은 일을 대신 해 주거나, 돈, 물건을 제공하는 등의 직접적인 도움행동을 의미한다. 또한 평 가적 지원이란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 주거나 부정하는 등의 자기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부모역할수행에 있어서 특히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한 Belsky(1984)는 부모역할수행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기능을 ① 정서적 지지 ② 도구적 지지 ③ 사회적 기대(social expectation)의 제공에 있다고 보았다. 정서적 지지란 인간 관계에서 사랑과 수용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 및 행동이라 보았으며, 도구적 지지는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 충고 및 자녀양육 등의 일상과업에의 도움을 의 미한다. 사회적 기대란 어떤 것이 적절한 행동선인가에 대한 기준선을 제공하 는 것인데, 여기서 주지할 것은 자녀양육 역할에 대한 기대와 충고가 부모역할 을 언제나 촉진하거나 기능화하는 등의 긍정적 영향만을 주지는 않는다는 것이 다. 특히 그 기대가 비일관적이거나 지원수혜자의 성향과 위배될 때 부정적 영 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친구, 이웃, 친척 등 사회적 지지체계와의 빈번한 접 촉이 반드시 지원수혜자의 심리적 건강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 다. 정서적 지지는 자녀양육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 공감, 격려를 표현하는 것 이다. 그리고 도구적 지지는 부모로서 해야하는 일들의 양을 감소시키는 구체 적인 도움을 말하며, 정보적 지지는 자녀양육이나 양육행동에 관한 조언과 정

(25)

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지체계의 기능을 살펴본 Crockenberg(1988)는 정서적․도구적․정보적 지 지의 세 가지 기능으로 분류하였으며, 김영희(1996)도 빈곤층 편모의 부모역할 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원의 기능을 도구적․정서적․정보적 지원으로 분류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여기서 도구적 지원이란 일을 대신해 주거 나 돈이나 물건을 제공하는 등 필요한 경우 직접적으로 돕는 행위이며, 정서적 지원이란 친근한 관계로부터 받는 신뢰, 애정 및 친밀감을 의미하고, 정보적 지 원은 자녀양육에 대해 정보 및 충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황영주(1997)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척도는 어머니에 대한 정서적․정 보적․물질적․평가적 지지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요인분석결과, 1가 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황영주의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사회적 지지를 살펴봄에 있어 하위영역별로 구분하지 않고 통합하여 구성하였 다.

2)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사회적 지지가 가족스트레스에 중재적 역할을 함으로써 가족에 미치는 스트레스원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나아가서는 보호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즉 사회적 지지는 생활변화의 결과로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또는 위기로부터의 회복 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cCubbin, et al., 1980;강희경, 1998).

사회적 지지는 적절한 부모역할을 하도록 정서적으로 도움을 주며, 정보나 충고 및 양육을 위한 도구적인 원조를 해주고, 무엇이 적절한 행동인가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부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6)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기능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나 갈등, 손실 등을 야기하는 부정적 기능도 제공한다.

Wills와 Langner(1980)에 의하면,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과 관계없이 스트레스 가 발생된 상황에서는 친구, 부모, 배우자 또는 친지로부터 지지를 받는 대상들 이 그러한 지지가 부족한 사람들에 비해 스트레스 증후가 덜 나타난다고 한다.

개인의 친구,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생활조건을 수정 할 수 있는 대안 및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스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것 이다(Laster, 1981, 재인용). 가까운 친구는 중요한 지지자로써, 가까운 친구의 높은 지원이 취업모의 우울증, 디스트레스 등과 같은 심리적 증후군과 부적 상 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rand & Hirsch, 1990;강희경, 1998).

확대가족원의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정신적 건강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던 Dressler(1985)의 연구에서는 자녀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확 대가족원의 도움을 받는 빈도가 친구나 동거가족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대가족원에 의한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서 34세 이상 집단이 34세 미만 집단보다 그 지원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 증세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 다. 결국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적 조건이 부모역할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Belsky, 1984;Crittenden, 1985). Turner와 Avison(1985)의 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를 경 험하지 못한 어머니가 자녀양육상의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강희경, 1998).

개념상 양육스트레스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부담감의 관련 변인을 규명하고자 했던 Goldsteen과 Ross(1989)의 연구에 서는 가정내 부모 외의 다른 성인이 있을 때 자녀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 낮

(27)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외의 다른 성인이 가정에서 함께 생활할 경우, 자녀양육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부담감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까운 이웃에 거주하는 친척이나 친구의 존재는 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나서, 사회적 지지가 부모의 스트레스 수준 저하에 기여한다는 대부분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와 유사한 경향으로, French 등(1974)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원의 내용이 수혜자의 요구와 부합될 때만이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Belsky, 1984). 또한 Wellman(1981)은 사회적 유대가 다측면적이면서도 모 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사회적 관계망을 분석함에 있어 단순히 지원/비지원의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회 적 유대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스트레스, 손실 등을 감수하면서 지원을 제공받 는다고 하였다(김명회, 1999).

이렇듯 선행연구와 일치하지 않는 연구결과가 나타난 것은 도움을 받는 것 자체가 이후에 자신도 유사한 도움을 다시 주어야 한다는 의무감을 발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연구자들은 해석하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어머니의 취업이 자녀 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킨다는 사실로, 취업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을 높일 것이라는 일반적 기대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그 이유를 취업모의 경우 자녀양육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친구, 친척, 이 웃 등의 비공식적 체계에 덜 의존하고, 보육시설 같은 공식적 체계에 도움을 받아서 결과적으로 가까운 사람들에 대한 의무감이 적어지기 때문일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사회적 지지가 수혜자의 스트레스 를 포함한 심리적․신체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갖는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

(28)

(Belsky, 1984;강희경, 1998).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사회생활에 중요한 지지 변인이며, 개인의 스트레스, 부모역할, 부모-자녀의 상호작용, 유아의 신 체․정서적 발달까지도 영향을 주는 의미있는 변인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일련의 연구결과들을 두고 볼 때,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스 트레스에 매우 중요한 변인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녀가 유아 기에 있는 어머니들에게 이러한 사회적 지지가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 를 조사하는 것은 비공식적․공식적 지지체계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29)

5. 연구문제 및 모형

3∼6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사회인구학적 변인(자녀의 성별과 연령,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취 업여부, 가정의 경제적 수입)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 떠한가?

연구문제 2.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는 어 떠한가?

연구문제 3.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의 자 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30)

본 연구 실행을 위해 설정된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그림 1> 연구모형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녀의 성별 ▪자녀의 연령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정의 경제적 수입

사회적 지지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31)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3∼6세의 자녀 를 둔 총 220명의 어머니들이다. 연구대상인 어머니와 그 자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으로 자녀의 성별․연령, 부모의 연령과 교육수준, 그리고 직업, 가정의 월 평균소득, 아버지와의 동거여부, 자녀수, 가족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자녀의 성별에 있어서는 남아가 50.5%, 여아가 49.5%를 차자하였으며, 자녀 의 연령은 만6세가 39.0%로 가장 많았다. 어머니의 연령은 79.8%가 30-40세이 하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연령도 31세-40세 이하에 해당하는 비율이 84.4%로 가장 많았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69.8%

로 나타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에 있어서도 대졸 59.8%, 대학원졸 24.2%로 전체의 84.0%가 대졸이상의 학력을 지니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나, 본 연구대상자인 어머니들과 아버지들의 교육수준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직업을 살펴보면, 연구 대상 어머니의 55.5%가 전업주부 였으며, 취업모의 직업 중에서는 사무직이 20.0%로 가장 많았다. 아버지의 직 업은 사무직이 49.3%로 거의 과반수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난 것은 전문직으로 22.8%였다. 가정의 월평균소득은 300-400만원 이하가 31.9%

로 가장 높은 비율이며, 아버지와의 동거여부에 있어서 96.8%인 대부분의 경우 가 어머니, 아버지, 자녀가 함께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에 있 어, 1명인 경우가 가장 많아 56.2%를 차지하였다. 가족형태에 있어서는 핵가족 형태가 78.6%이며, 확대가족 형태는 21.4%로 나타났다.

(32)

<표 1>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징

내 용 빈도(%) 내 용 빈도(%)

아동의 성 아동의 연령

남 아 여 아 계

111(50.5) 109(49.5) 220(100.0)

4 세 5 세 6 세 계

76(34.9) 57(26.1) 85(39.0) 218(100.0)

어머니의 연령 아버지의 연령

30세 이하 31세-40세 이하 41세-50세 이하 계

35(16.1) 174(79.8) 9( 4.1) 218(100.0)

30세 이하 31세-40세 이하 41세 이상 계

10( 4.6) 184(84.4) 24(11.0) 218(100.0)

어머니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교육수준

중졸이하 고 졸 전문대졸 대졸이상 계

1( 0.5) 39(17.8) 26(11.9) 153(69.8) 219(100.0)

고 졸 전문대졸 대 졸 대학원졸 계

21( 9.6) 14( 6.4) 131(59.8) 53(24.2) 219(100.0)

어머니의 직업 아버지의 직업

전업주부

단순노무직/서비스직 자영업

사무직 전문직 자본가 기 타 계

122(55.5) 8( 3.6) 14( 6.4) 44(20.0) 19( 8.6) 2( 0.9) 11( 5.0) 220(100.0)

무 직

단순노무직/서비스직 자영업

사무직 전문직 자본가 기 타 계

1( 0.5) 10( 4.6) 38(17.4) 108(49.3) 50(22.8) 6( 2.7) 6( 2.7) 219(100.0)

가정의 월평균소득 아버지와의동거여부

200만원 미만 200-300만원 미만 300-400만원 미만 400-5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 계

24(10.9) 63(29.5) 68(30.9) 29(13.1) 34(15.4) 220(100.0)

동 거

직장관계로 별거 별 거

이 혼 계

213(96.8) 5( 2.2) 1( 0.5) 1( 0.5) 220(100.0)

자녀수 가족형태

1 명 2 명 3 명 이상 계

123(56.2) 86(39.3) 10( 4.5) 219(100.0)

핵가족 확대가족 계

173(78.6)

47(21.4)

220(100.0)

주) 무응답에 따라 문항마다 사례수에 있어 차이가 있음.

(33)

2. 조사도구

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PSI: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를 수정한 신숙재(1997)의 도구 중 일부를 사용한 김명회(199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신숙재(1997)는 Abidin(1990) 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요인 분석하여 우리나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으로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 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있다고 밝혔다.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박성연 외, 1996;Crnic & Greenberg, 1990)을 참고로 할 때, 다른 하위 요인들에 비해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 는 문항수(3문항)가 작고 신뢰도 계수가 매우 낮아(α=.33) 분석에서 제외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세 하위요인 중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9문항),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8문항)에 대한 총 17문항을 사용하였 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와 ‘정말 그렇다(5점)’까지의 Likert식 5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재부호화한 문항(2번, 3번, 4번, 8번, 9번, 10번)이 포함되 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어머니가 자녀양육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지각함을 나타낸다. 양육스트레스 총점의 가능한 점수 범위는 17∼85점이며, 하위 요인별 점수의 가능한 점수 범위는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9∼45점이고, 자 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8-40점이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하위 요인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는 일상생활에서 어머니가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만족스럽

(34)

지 못하거나 자녀와의 사이가 가깝지 않다고 지각하는 등 자녀와의 일상적인 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는 어머니 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과 다루기 어려운 행동으로 인해 느끼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 계수를 살펴보면, 하위요인 별 Cronbach's α의 계수는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문항이 .70, 자녀 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문항이 .81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에 사용된 양육스트레스 척도는 신뢰할 만한 측정도구임을 알 수 있다.

2) 사회적 지지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척도는 황영주(1997)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사 회적 지지 척도는 어머니에 대한 정서적․정보적․물질적․평가적 지지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문항들의 예를 들면, ‘내가 사랑과 돌봄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준다’, ‘나를 인격적으로 존중해 준다’, ‘의논할 문제가 생길 때마다 나 를 위해 시간을 내주고 응해준다’ 등이 포함된다. 각 문항의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이 긍정적이고, 낮을수록 부정적임을 의미한 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이 문항들은 황영주(1997)의 연구에서 요인분석 결과 1 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지 않고 총 25문항을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모두에게서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1점)’와 ‘모두에게 그렇게 느낀 다(5점)’까지의 Likert식 5점 척도로 되어 있다. 사회적 지지 총점의 가능한 점 수 범위는 25∼125점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적 지지 척도의 Cronbach's α의 계수는 .96으로 나타나 매우 신뢰할 만한 측정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35)

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강희경(1998)과 홍성례(1995)의 연구에서 사용된 부 모역할 4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녀양육참여 척도의 내용에는 자녀에게 필요한 물품제공, 자녀의 생활습관에 대한 관심과 지도, 자녀에게 음식을 먹이거나 목 욕시키기, 자녀와 함께 놀아주거나 이야기 상대가 되어주기 등이 포함되어 있 다. 점수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총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의 Likert식 5점 척도이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총점의 가능 한 점수 범위는 4∼20점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척도 의 Cronbach's α의 계수는 .83으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

3. 조사절차

본 조사는 2001년 4월 10일부터 5월 4일까지 실시하였다. 유아교육 기관장의 허락을 받은 후 본 연구자가 교육기관을 방문하여 3∼6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 들에게 담임 교사를 통하여 질문지를 배부하도록 하였다. 총 35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질문지는 250부로 회수율이 71%였다. 응답이 부실한 것을 제 외하고 총 220부가 최종분석자료에 이용되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료분 석방법으로, 조사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 검사로

(36)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 계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기타분석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그리고 사회적 지지 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보기 위해, 전단계로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37)

Ⅳ. 연구 결과

1. 예비분석

연구문제에 관한 결과를 분석하기 전단계로, 자녀의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사회적 지지,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서의 차이를 살펴 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녀의 성별에 따라 아버지의 자녀양 육참여와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및 자녀의 기질 에 관련된 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표 2> 자녀의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사회적 지지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 인 남아(N=111) 여아(N=109)

t

M(SD) M(SD)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3.88(0.82) 3.91(0.80) -0.31 사회적 지지 3.69(0.64) 3.70(0.57) -0.11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2.21(0.52) 2.25(0.49) -0.54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 2.52(0.63) 2.50(0.72) 0.27

(38)

한편, 자녀의 성별, 연령, 어머니의 교육수준, 취업여부, 가정의 경제적 수입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1)과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사회적 지지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등 모든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3>).

<표 3> 전체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분석표

(N=220)

변 인 1 2 3 4 5 6 7 8 9

1. 자녀의 성별(남아=0) 2. 자녀의 연령 3. 어머니의 교육수준 4. 어머니의 취업여부(전업주부=0) 5. 가정의 경제적 수입

6.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7. 사회적 지지

8.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9.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

-

0.08 - 0.16* 0.02 -

0.06 -0.06 0.06 - 0.18** 0.04 0.28*** 0.23*** - 0.02 -0.08 -0.01 -0.01 0.09 -

0.01 -0.11 0.10 0.11 0.01 0.35*** -

0.04 -0.10 0.03 0.00 -0.03 -0.29*** -0.31*** - -0.02 -0.12 -0.06 -0.12 -0.06 -0.10 -0.16 0.48*** -

* p< .05 ** p< .01 *** p< .001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는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r=-.29, p< .001) 및 사회적 지지(r=-.31, p< .001)와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

1)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에서 자녀의 성별과 어머니의 취업여부 변인은 dummy 변수 처리 하였음.

(39)

수록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기 질에 관련된 스트레스는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와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사 회적 지지와 정적인 상관(r=.35, p< .001)을 보여,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가 높 을수록 사회적 지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평균 2.23)와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 (평균 2.51)의 평균점수는 5점척도의 중간점수인 3점보다 낮은 점수를 보여, 3

∼6세의 어머니들이 지각하고 있는 양육스트레스 정도가 보통수준 이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머니들이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 평균점수가 자녀와 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평균점수보다 좀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4>).

<표 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

(N=220)

변 인 평균(표준편차) 범 위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2.23(0.50) 10∼31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 2.51(0.68) 8∼37

(40)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인구학적 변인(자녀의 성별, 연령, 어머니의 교육수준, 취업여부, 가정의 경제적 수입)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 기 위해 t 검증 혹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표 5>). 가정의 경제적 수입 은 가정의 월평균소득의 중간값인 300만원을 기준으로 300만원 이상의 집단을 가정의 경제적 수입이 높은 집단으로, 300만원 미만의 집단을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와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는 자녀의 성별, 자녀의 연령,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여부, 그리고 가정의 경제 적 수입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1)

<표 5>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 인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 M(SD) t/F M(SD) t/F 자녀의 성별

남아(N=111) 여아(N=109)

2.21(0.52)

2.25(0.49) -0.54 2.52(0.63)

2.50(0.72) 0.27 자녀의 연령

4세(N=78) 5세(N=57) 6세(N=85)

2.32(0.48) 2.12(0.54) 2.22(0.49)

2.56

2.61(0.60) 2.44(0.67) 2.47(0.74)

1.27 어머니의 교육수준

고졸이하(N=40) 전문대졸이상(N=179)

2.11(0.49)

2.26(0.51) -1.72 2.42(0.66)

2.52(0.67) -0.90 어머니의 취업여부

전업주부(N=122) 취업(N=98)

2.23(0.48)

2.23(0.54) -0.03 2.58(0.66)

2.42(0.69) 1.72 가정의 경제적 수입

낮은 집단(N=89) 높은 집단(N=131)

2.25(0.50)

2.22(0.51) 0.53 2.59(0.70)

2.46(0.66) 1.41

3.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먼저, 3∼6세의 자녀를 둔 아버지들이 자녀양육에 어느 정도의 참여를 보이 는가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에 대한 평균점수는 3.90(5점 척도)로 나타나 비교적 아버지의 참여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표 6>).

(42)

<표 6>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의 일반적인 경향

(N=220)

변 인 평균(표준편차) 범 위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3.90(0.81) 4∼20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표 7>). 그 결과,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와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상관관계(r=-.29, p< .001)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자녀와의 관계에 의한 스트레스가 낮아졌다. 그러나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나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표 7>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N=220)

변 인 자녀와의 관계의 의한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에 관련된 스트레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0.29*** -0.10

*** p< .001

참조

관련 문서

 Given a minimum support s, then sets of items that appear in at least s baskets are called frequent itemsets.

Income security, health and medical care, welfare measures through long-term care and assisted living facilities, social participation by working are the key elements and all

Fourth, self-development factor of participation motiv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ll variables of leisure satisfaction including psychology,

In other words, the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 and positive reward in leadership type, the higher level of social approval among the sub-variables

In this paper, the tensile testing of TRIP steel sheet for auto-body have been carried out to obtain flow stress-strain curves at the strain rate of 10 -2 /s to 4 × 10 2

preschool social competence, mother's education enthusiasm, mother child interaction, teacher child relationship are variables predicting sub factors of

This study aims to lower turnover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ite of child-care, and improves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 The main power of the thermodynamic method stems from its provision of criteria for equilibrium in materials systems.. • S and V are an inconvenient choice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