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정치 커뮤니케이션이란.pdf

26  Download (0)

Full text
(1)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행위자

(2)

출처

• ‘미디어 시대의 정치’, 브라이언 맥네어,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이해

> 한울, 김무곤 외 역, 30-43.

• Robert E. Denton & Gary Woodward, ‘Political communication

defined.' in

Political Communication in America

(3rd ed.), 1998,

pp.1-6.

(3)

• 커뮤니케이션과 정치는 인간사회의 기본 현상.

• 정치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이해 노력은 오랜 역사: 플라톤, 유학

• 현대 정치는 미디어 정치

(4)

 정치 커뮤니케이션이란

•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정의:

‘정치에 관한 합목적적 커뮤니케이션’

(purposeful communication about politics)

– 구체적 목적 달성 위해 정치 행위자가 행하는 모든 형태의 커뮤니케이 션 – 유권자, 신문칼럼니스트 등 비정치인에 의해 위 행위자에게 제시되는 커뮤니케이션 – 뉴스보도. 사설, 정치에 관한 다른 형태의 미디어 논의를 포함, 정치행 위자와 그들의 행동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 모든 정치적 담론 포함: 구어적, 문어적 담론; 이미지 구성하는 시각

요소(옷차림, 헤어스타일, 디자인)

(5)
(6)

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일반적 특징

• 단기적 성과 지향(Short-Term Orientation)

– 일시적 이슈와 한정된 시간의 틀 – 메시지는 즉각적 결과 위해 계획, 준비, 전달 – 효과는 여론의 가변성, 언론의 한정된 주목이란 현실 적응에 의존.

• 목적(objectives)에 근거한 커뮤니케이션

– 정치 행위는 예측 가능한 의례(ritual)일 경우도 구체적 목적 지향. – ‘무의미해’ 보이는 정치 발언은 정치인의 신뢰성, 권위 제고 효과.

(7)

• 매스 미디어의 중요성

– 정치 커뮤니케이션 = ‘매개된 커뮤니케이션’(mediated

communication): 정치 행위와 발언-언론보도-대상 수용자로 구성 – 정치 보도는 ‘감시견’(watchdog) 기능; ‘제4부’(fourth estate)

– 미디어는 정치를 ‘보도’(report), 주도(lead). 통제.

• 미디어는 공적 이슈와 캠페인에서 유권자의 정보, 지식, 여론의 원천 • 온라인 환경에서 여론 주도권이 점차 이용자에게 (인터넷 댓글, SNS)

– 미디어 정치의 딜레마: 공적 기능 수행 + 이익 추구(상업화)-> 재미있 고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 선호

(8)

• 수용자 중심의 정치(Politics as Audience-Centered)

– 유권자 지지 획득 목표. 정치적 메시지는 타깃 수용자 고려해 구성. – 조작, 인기 영합, 상업화 등 불구, 수용자 중심 ‘열린’ 정치 체제가 최선

• 즉, 정치커뮤니케이션은 실제적, 과정 중심적. 결정 지향적 행동. 메

시지는 광범위 (스피치. 연설, 비정치적 메시지, 사건 보도 등). 메시

지의

출처

가 아니라

내용과 목적

이 커뮤니케이션에 ‘정치성’ 부여.

(9)

 정치커뮤니케이션의 행위자

• 정치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주요 요소(행위자)와 관계

– 정치 조직: • 정부 • 정당 • 공공조직 • 압력단체 • 테러리스트 조직 – 수용자 – 미디어 – 국제무대 – 지역정부

(10)
(11)

• 정치조직1: 정당

– 공동의 목적, 가치체계 공유 • 영국 보수당(개인의 자유, 시장자유주의) vs. 노동당(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 주의, 사회 정의와 평등) • 미국 공화당(정부 시장개입 반대) vs. 민주당(상대적 자유주의, 경제개입주 의) • 포퓰리즘, 팰린/트럼프 신드럼 – 공동의 입헌적 수단 사용 – 정당 유지는 유권자와 커뮤니케이션 의존 (특히 보통선거 도입 이후) – 정당 전술은 ‘마케팅’과 유사 정치광고, 정치홍보; 정치 컨설턴트, 스 핀 닥터(spin doctor)

(12)

• 정치조직2: 공공조직

– 제도권 정치 바깥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영향 미치는 비정당조직 – 소비자연합, 노동조합(TUC, 민노총), 로비단체, 전문가연합 – 이데올로기보다 구성원의 공통적 상황, 특징으로 결합 – 공적 이슈 측면 부각 위해 캠페인: 로비, 광고 공적 시위 미디어 보도

• 정치조직3: 압력단체

– 덜 공적이며 좀 더 명백하게 정치적인 목적 추구 조직 – 환경보호, 동물 실험 사용 반대, 반핵운동 – 정당과 달리 다양한 지지층. 정치의제 설정에 영향. 유럽 일부는 정치세

(13)

• 정치조직 4: 테러리스트 조직

–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단체. – 합법과 테러의 구분은 논란: IRA(아일랜드 공화군) vs. 테러리스트  점차 국가와 유사화(IS) – 입헌적, 합법적 수단 보다 폭력을 설득 수단으로. 자신의 존재와 목적을 ‘타깃 공중’에게 홍보. – 테러는 미디어 의식한 이벤트 성격. 주류 정치의 미디어 기술도 활용 (보도자료, 기자회견 등. 알 카에다의 ‘알 자지라’ 활용)

(14)
(15)

• 수용자:

–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은 수용자 설득

– 수용자는 상황에 따라 달라짐: 정치단체/정부, 국민

– 수용자의 크기와 특성에 무관하게, 모든 정치커뮤니케이션은 수신자에 게 효과 목적. 효과의 문제

(16)

• 미디어

– 미디어는 정치 행위자의 메시지 전달자 + 송신자 역할-> 미디어는 단순 한 중계자가 아님. – 관점에 따라 현실은 다양: • 객관적 현실- 주관적 현실(행위자/시민)- 구성된 현실(미디어) – 정치 커뮤니케이터는 합법적 채널 (공평성의 원칙fairness doctrine, 동 등시간 원칙equal time access rule; 선거방송토론) 활용

(17)

– 미디어의 특성과 관행을 잘 이해해야. • 뉴스가치에 따른 선택 • 메시지 형태에 따른 차이(보도, 오락, 논평, 토크쇼) • 매체 특성에 따른 차이(방송과 신문; 대중지와 권위지) • 대중적 통념(이데올로기)에 따른 편향: – 성, 도덕, 국가

(18)

• 국제무대

– 오늘날에는 국제 여론이 매우 중요 – 국가/ 테러 조직 모두 국제 여론 동향에 주목 – 부시/부시 2세의 이라크전 사례 비교 • 미디어 보도의 독점/통제 여부 (CNN vs. 알 자지라) • 유럽/다른 국가들의 지지 여부

• 지역 정부

– 지역 단위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19)
(20)
(21)
(22)

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영역과 접근방식

•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흐름

– 정치컴 용어의 불명확성: 개념, 연구영역, 범위는 아직 논란. – 학문배경과 이론적 관점에 따라 연구대상과 접근방법 다양. – 연구대상을 좁게 보는 입장과 넓게 잡는 입장이 공존 • 미국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좁게 보는 입장이 주류: 정치 캠페인, 경 험적 연구가 많다

(23)

전통적 연구(협의의 정치컴)의 특성

• 미국의 사회과학적 연구에서 탄생. 선거, 투표 행위 연구가 압도적

– Lazarsfeld 그룹의 투표연구

– Peoples Choice (1944), Voting (1954) 등

• 연구의 특성:

–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정치에 관해 대량으로 매개되는 메시지’. 이 과정 에 작용하는 변인, 효과 연구 – 투표 행위= 소비자(개인) 결정 행위 – 미디어 중심으로 파악 (미디어-> 사람에 미치는 효과). – 정치커뮤니케이션 과정은 커뮤니케이션-> 정치라는 일방적 과정

(24)

• 전통적 연구의 문제점

– 기존의 미디어-정치 관계 구조를 당연시 • 미디어가 기존 정치의 세력 균형, 의제를 얼마나 잘 반영하는지, 투표 행위 에 어떤 영향 미치는지에만 관심. – 미디어제도와 과정 자체가 정치구조, 과정의 핵심 부분이라는 점 간과 – 정치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영향 받으면서 주기도 한다-> 정치-커뮤니케 이션의 쌍방적 관계 파악해야

(25)

광의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 정치제도와 과정에서 작용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연구 + 커뮤니케 이션 과정 결정에 정치가 수행하는 역할 모두 탐구 (Meadow의 정의)

•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크게 세 관점 포괄 (Chaffee &

Hernandez-Ramos)

– 비교연구: 미디어-정부 간 관계에 관한 규범적 연구 – 정치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역할 연구 (정치의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 제도에 대한 정치적 비판 (커뮤니케이션의 정치)

• 이 두 관점은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영역을 크게 확대

(26)

다양한 접근방식들

•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주요 연구경향/접근방법

– 정치 수사(political rhetoric) 연구: 정치 언어, 연설문 분석  스피치 커 뮤니케이션 영역 – 규범적 연구: 언론자유, 역할, 철학적, 법적, 제도적, 윤리적 문제  저 널리즘 연구 영역 – 사회과학적/실증적 연구: 정치과정에서 미디어의 역할과 기능, 효과 연 구. 주로 선거 캠페인과 투표 행위 연구.

Figure

Updating...

References

Related subjec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