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5-SNS 시대의 정치와 정치사회화.pdf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15-SNS 시대의 정치와 정치사회화.pdf"

Copied!
4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NS 환경의 정치참여

정치 사회화

(2)

SNS와 선거 캠페인

출처: 이소영,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SNS 선거캠페인”

한국언론학회 (편) <정치적 소통과 SNS> 나남, 2012.

(3)

• 인터넷

 SNS로 선거 캠페인 수단 이동

• 2002년 대선은 인터넷 시대:

– 노무현 후보 당선에 결정적 역할 – 노사모 홈페이지 접속자수 30만+  막판 뒤집기 – 17대(2004), 18대 총선(2008): 웹 2.0환경 수용 못해 효과 미미

• SNS 선거 시대 시작

– 2010년 지방선거: SNS 활용 시작 • 후보가 트위터로 메시지 교환, 공유 캠페인 형태 – 2011 보궐선거: SNS 영향력 커짐

(4)

• SNS 캠페인의 특징

– 캠페인 주체는 후보자만이 아니다

(5)

SNS 캠페인의 새 특징

• 유권자와 관계맺기, 관여, 연대, 동원

• 인터넷 발달로 캠페인 형태 변화:

– 소통과 정서적 교감 가능 – 장소와 시간 제한 없다 – 다양하고 저렴한 방식의 캠페인 가능

• 온라인 캠페인의 4단계 전략적 목표

– 정보 제공 – 관여: 유권자를 캠페인 조직과 상호작용 – 연대: 유권자와 다른 집단, 개인 연결

(6)

• 웹 1.0인 초기 인터넷 캠페인은 정보제공 위주

• 웹 2.0 시대의 SNS 미디어:

– 개인이 소비 + 정보 생산 – 확산, 공유 – ‘관계맺기’ 기반으로 진행 – 정보전달 과정 = 정보 재생산 + 자발적 참여과정

• 특히 트위터가 매력적 수단

(7)

• SNS는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가?

• 진보 인사 편중

– 2011 보궐선거: 파워 트위터리언은 진보 성향 위주 – 2012 트위터 영향력 순위 10위권 중 8명이 야권인사

• 왜 이념적 편중 현상?

– SNS는 대중매체의 대안 역할: 보수언론 위주에 대항 대안적 의견 – 이용자가 젊은 층

(8)

SNS 선거 활용사례

• 2008 오바마 대선: SNS 중심 캠페인

• 오바마는 효과적으로 SNS 활용. 효과 극대화 vs. 공화당 활용 미미

• FB와 유사한 MyBo 개설; 유권자

 다른 커뮤니티와 연결  소그

룹 조직화

 오프라인 연결 조직화 (대규모 자원봉사자) : 마이크

로 타깃팅

• 20대 이하 유권자 66%가 오바마 선택

• 소액기부자로 엄청난 액수의 선거자금 + 기부자 수 기록

(9)

• 2010년 영국 총선: 미디어와 연계

• 최초의 SNS 선거캠 + 최초의 TV토론

• SNS가 기존 미디어 역할을 보완

• 투표율이 크게 상승: SNS의 효과?

• TV토론의 유권자 동원에 크게 기여

• TV토론을 페북, 유튜브와 연계. 사전 질문 홍수.

• SNS를 잘 활용한 자유민주당 닉 크레그의 부각

• 선거결과: 다수당 없이 보수당 집권. 3당인 자유민주당 부상

(10)

• 2011 서울시장 보궐선거

• 캠페인 방법의 전환 측면에서 의미

• 트위터가 기록 갱신. 캠페인 핵심 기제로

• 소셜미디어 사용자 시민이 주도한 캠페인

• 효과

– 국민참여경선 성공 (투표율 60%) – 시민후보 박원순이 단일후보로 선출 – 실제 선거에서도 젊은층이 대거 박원순 투표 – 트위터 의제가 박원순에게 유리(긍정), 나경원에게 불리하게(부정적) 작용 – 파워 트위터리언이 진보성향 대다수. 박후보에 유리 – 트윗이 젊은 세대 투표참여에 큰 영향

(11)

• 서울시장 선거 캠페인의 특징

– 후보자 정책, 공약 정보 홈페이지 관심 끌지 못함 – 후보자 트웟도 관심 적음

(12)

• 2011 선거캠페인의 환경/맥락

• SNS 선거 캠페인 규제 위헌판결

• SNS 활용 사용 현황

– SNS 사용 않던 후보자에게 긴장감 조성 – 트위터 이용자가 수도권 편중. 젊은 층 편중 – 후보자에게 전략 수립 시간 부족

(13)

• 성과와 한계

• 후보자의 SNS 선거 캠페인

• 정치인의 트위터 이용이 미미, 급조

• 트윗 횟수 상위는 야당 후보

• 트윗횟수와 노출도(영향력)는 일치 않음

• 정보제공식 소통은 유권자 관여, 연대 형성에 미흡

• 캠페인 성공여부는 후보자의 소통기술, 진정성

 새로운 선거 캠페

인 필요성 부각

(14)

• SNS 캠페인의 효과

• 이용자 편중

 캠페인 효과는 주로 수도권에서 효과: 높은 당선율

• 유권자 동원 역할 증대: 젊은층의 투표율 증가

(15)

• SNS캠페인의 한계

• 캠페인 전략 부재

• 후보자들이 SNS에서 주요 이슈 의제화 실패

• SNS에 대한 인식 부족: 정보제공, 소통 장일 뿐 네트워크 조직화 시

도 않음

• 기존 미디어를 배제한 채 진행

 양자 간 괴리 커짐. 깊이있는 소통

불가능

(16)

빅데이터와 정치

출처: 이호은 외 “정치와 빅데이터,” <커뮤니케이션으로 정

치하라> 시간의 물레, 2014, 159-179.

(17)

• ‘빅데이터’란?

– 데이터의 생성, 양, 형식이 방대해 기존 방식으로 수집, 저장, 검색, 분석이 어려 운 데이터

(18)

활용사례 1: 오바마 대통령 캠페인

• 2008년 SNS 활용

 2012년 빅데이터 활용

– 숫자를 토대로 한 계량적 분석의 중요성

• 분석의 목표

– 숨어있는 유권자 투표 유도 – 부동층을 오바마로 끌어들임

• 데이터 수집

– 유권자 정보의 데이터화 –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와 조합할 때 더 강력해지며 자유롭게 키우고 늘릴 수 있 다.’ (로라 퀸)

(19)

• 시스템 구축

– ‘나왈 프로젝트‘ (Nawal Project) – 분석과 활용 위한 기술적 지원 시스템 구축

• 타깃 설정 (마이크로 타깃팅)

– 종래에는 일반적, 포괄적 타깃팅 전략 – 티깃팅 세분화 전략으로 전환 – 가능성 없는 층은 우편 홍보물 발송 – 우편번호 단위로 지역 정치성향 파악 후 매칭되는 사회적 이슈 메시지 발송

(20)

• 테스트 과정

– 변화된 상황에 따라 미세조정, 모의선거 시뮬레이션 66,000회 실시 – 결과 근거해 비용과 리소스 투입 분야 결정 – ‘분석’과 ‘실험'이 캠페인의 특징 – 유권자별 점수 부여: ‘오바마 지지예상 점수,’ ‘투표예상 점수’, ‘설득 가능성 점 수’ – 분류된 그룹별로 최적화된 메시지 작성

• 반복과 공유

– 예측 모델의 점수를 매주 갱신 – 새로운 상황 발생시마다 영향 예상, 대응 수립

(21)

• 효과/적용 사례 1: 후원금 모금

– 후원가능성 집단, 단위 금액, 지지자 선호 유명인사 조합을 상관분석 – 서부지역: 49대 여성, 3달러, 조지 클루니 – 새 전략은 전통적 여론조사와 유사, 차이 – 여론조사는 표본 vs. 새전략은 모집단 전체 분석

• 적용사례2: TV 광고

– 예상 타깃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선택 – 어떤 프로그램에 설득가능한 유권자가 많은가? – 케이블TV 셋톱박스 이용: 기존의 유권자 데이터와 상관분석

(22)

• 적용사례3: ‘드림캐처 프로젝트‘(dream catcher project)

– 자연어 처리기술 활용 민심 동향 파악 (마이크로 리스닝) – 공개된 글 수집해 정서, 의미 분석 (텍스트 마이닝)

– 특정 사안에 대한 유권자의 반응, 연관어 분석 – 나아가 개개인의 정치성향까지 분석

(23)

‘초이스 2014‘

한국형 선거 빅데이터 분석

• ‘초이스2014’란?

– 빅데이터 전문기업 와이즈넛이 운영한 선거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 – 2014 전국 지방선거 후보자의 온라인 영향력, SNS 여론 파악 목적 – 주요 후보자의 SNS 빅데이터 분석, 시민 관심사 선거 현황 파악

• 정보 수집과 분석

– 시장, 도지사, 교육감 등 12개 선거구 후보자 대상 – 정치인 관심도 지수, 신뢰지수, 매체 총노출지수 제공 – 트위터, 블로그, 카페 글 수집, 실시간 분석 – 민심 향방 파악에 유용

(24)

• 성과와 한계

– SNS 데이터만으로는 표심 파악 한계 – 이용자층의 연령 편향 두드러짐

– 대다수 선거구에서 선거결과 적중 – 일부 지역은 결과 오류

(25)
(26)

• 2011 서울시장 보궐선거 장면

– 정치적 무명인사 안철수, 박원순의 부상에 트위터가 역할 – 조직 열세. 네트워크 기반 시민의 조직화

• SNS이용으로 전통적 매개집단(정당 등) 우회. 개인의 참여가능

• 정당의 역할 변화

– 과거 다양한 이익 정책 반영 기능 – 사회와 국가 연결 기능 – SNS는 시민의 비제도적 정치참여 증가. 생활 기반 담론 증가, 정치적 결정 방식 변화  정당 약화

(27)

소셜 네트워크와 시민의 변화

• 비제도적 정치참여 증가

• 기존정당이 시민관심과 이해관계 반영 못함

 정당 신뢰도 하락

• 사회 추세 변화: 집단 정체성보다 개인 다양성 존중

 독립 유권자,

무당파 증가

• 시민상 변화: 공중에서 다중으로

– 공중: 연고주의적 가치관에 기반, 공동의 목표 – 다중(multitudes): 다양성이 기반, 우발적 비조직적 행동

(28)

• 거대 이념담론에서 생활정치로

• 관심 이슈 발생시 적극적 참여

• 기존 정치에서 배제된 정치 이슈(생활 이슈)로

– 민주화, 민족주의  급식, 등록금, 생활 환경 등

• ‘생활정치'의 시대:

– 정당이나 국가 대상 정치행동이 아니라 특정 이슈 중심 활동 – 조직이 아니라 개인이 네트워크 통해 결집

• 기존 정당정치는 이러한 이슈에 적절 대응 어렵다

(29)

• 선거와 정치결정 방식 변화

• 대중정당의 선거운동은 자본집약적, 군소정당 진입 곤란

• SNS는 소수당, 정치신인의 열세 극복에 효과적

• 정당보다 후보자 개인의 인기도, 역량이 중요

• 지지자의 자발적 선거운동 전개 유도

– 오바마 캠페인이 좋은 예 (“시민 선거운동“)

• 선거전략 핵심은 지지자 연결 네트워크 형성 –유권자의 조직적 참여

• 권한이 자원봉사자 네트워크에 분산 –풀뿌리 선거운동의 가능성

(30)

• ‘스마트보트’(스위스) 사례

– 시민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31)

소셜네트워크와 정당의 변화

• 정당 정체성 약화

• 전통적 한국 정당 특성

– 포괄정당: 유연한 정책목표, 포괄적 목표, 선거 승리 강조 – 정당은 선거 활용 위한 사조직 – 대의제 정당 특성인 정당 경쟁, 계급 투표 미발달

• SNS 발달로 기존 정당 정체성 한계 가속화

– 계급 중심 정당경쟁  이슈 경쟁으로 전환 – 정치 의제는 광범위, 가변성 크다

(32)

• 이슈정당 출현

• 정당 역시 이슈 중심으로 형성 –이슈정당

• 스웨덴 해적당의 사례

– 네트워크 정당 + 단일이슈 정당 – 인터넷 이용자 권리 개선; 지적재산권 – 미디어 대신 온라인/SNS 매체 이용 캠페인 – 3번째 정당 부상 + 이웃국가 확산 + EU의회 진출

• 이슈정당 출현으로 유권자 지지정당도 다양화

(33)

• 당원조직 약화

• 당원유지와 유지방식에서 변화

• 개인의 정당 일체감 약화

– 한국 정당은 지지자 당선 중심, 당비 납부 비율 낮다 – 의사결정에서 소외

• 재정에서 당비보다 기부, 후원금 의존 가속화

– 2011 서울시장 선거 박원순 후보의 투자성격 모금방식 성공 – 오바마는 인터넷에서 기록적 기부 액수 달성

• 의사결정에서 ‘오픈 프라이머리‘ –유권자 지지율, 참여 기반

– 개인 인지도 높은 후보 참여시켜 선거관심 유도 장점

(34)

대의 민주주의의 미래

• 참여의 불균형과 정치 편향성

• 전통적인 비합리적, 감성적 행태 악화 우려

• 시민 참여 제도화 위한 조건 미흡. 대안적 조직 정착 실패

• 다양한 시각을 반영 못함 (진보편향 가설)

• 이미지 정치와 맞물려 정치 판단 왜곡 가능성

• 인물정치 선거운동 강화

(35)

• 온라인의 배타주의와 양극화

• 기존 정당의 이념적 거리 갈수록 벌어짐

• SNS의 거짓정보 전파력

 토론 다양성 조성은 회의적

• SNS 교류는 유사한 성향에 국한—’고립된 숙의‘ ‘선택적 노출'

• 배타주의와 양극화 조장 가능성

• 직접 민주주의 실현에 한계

(36)
(37)

출처

• Robert Denton & Gary Woodward (1998). Political

(38)

• 레이건의 두 이미지: 배우와 정치인

– 영화속의 레이건: 개인적 용기와 희생 (영웅주의)

– 정치인 레이건: 정치적 보수주의의 전제 (개인은 자신의 환경에 책임)

(39)

이야기구조 속의 정치적 주제

• 대중문화는 정치적 가치와 주제를 다룸

• 초기에는 메시지가 노골적

– <국가의 탄생>

 KKK에 우호적

– 1차대전 시 영화를 애국심 조성에 활용

• 점차 메시지의 세련화 (2차대전)

– <의지의 승리>

– <Why We Fight> (F. Capra)

– 오락과 정치적 메시지의 융합

(40)

• 드라마는 대중 대상으로 정치 메시지 전달에 적합한 매체

– 매력적인 환경(오락)에서 메시지 전달

– 설득에 무방비 상태에서 설득

– 외관상 비정치적 내용도 정치적 함축

• 멜로드라마와 코미디는 기존 체제의 위선, 문제 폭로에 적합

– <시민 케인>, <분노의 포도>, <월 스트리트>

 부의 세계

– <크래머 대 크래머>, <Cry Freedom>

 정치 쟁점

• 기존의 정치, 사회 위계를 효과적으로 정당화, 옹호

– <그린 베레>, <사관과 신사>, <톱건>

 군부 지원

• 비정치적 목적의 미디어 형태도 정치적 subtext 포함

– 권력과 권위에 관한 메시지 (다루어지 않음으로써 여론 형성에 큰 영향)

(41)

대중문화의 정치적 의미: 세 가지 관점

• 개량주의적 영향이론(Theory of liberalizing influence)

– 미디어는 세상을 보는 창. 경험 범위, 체험 기회 확대

– 이 체험은 2차적, 간접적이며 관료적 상업적 통제의 산물

– 하지만 다큐멘터리 등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 부각 (인종주의, 핵전쟁,

환경): <뿌리>, <The Day After>

(42)

• 기득권 옹호이론 (Theory of Defense of the

Establishment)

– 대중문화는 정치 기득권 체제 옹호, 지지 기능

– TV는 상반된 두 고객 만족시켜야 (광고주, 수용자)

 광고주는 사회비판

좋아하지 않는다

– 정치는 논쟁 포함, 논쟁은 불안과 희망 증폭

 가장 안정적인 TV 오락

은 apolitical 한 것

 그러나 apolitical과 non-political은 다르다

– 비정치적인 것도 정치적 함의 포함

• 경제, 사회적 부문 소재의 드라마 내용:

• 질서> 분열, 갈등, 제도는 잘 작동 (경찰, 법, 학교)  문제는 해결, 해피 엔 딩, 문제는 있으나 구조적인 것은 아님

(43)

• 헤게모니 이론(Theory of Hegemony)

– 심각, 고질적 정치적 문제점에 대해 가상적 치유책(fantasied remedies)

을 강제

– 사회 문제와 갈등 부각하지만 해결책 제시방식이 다르다 (강제 + 동의)

– 사례

• 시위 보도하지만 주장에 정당성을 부여하지는 않는다. • 문제는 있으나 항상 해결된다 구조적 해결이 아니라 주인공의 개인적 영웅주의에 의 해 해결

참조

관련 문서

상징의

그러나 이는 어디까 지나 분량이 짧다는 것이지 작품이 간직한 세계의 깊이가 결코 작거나 적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단형의 분량에

율격과 운율의 문제...

물리적 모순 분리의 원리.. 물리적 모순 해결책: 창과 방패의 모순.. 물리적 모순 해결책: 창과 방패의 모순.. 물리적 모순 해결책: 창과 방패의 모순.. 물리적 모순

마음이론(theory of Mind: ToM),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중앙응집 이론(central coherence) 등이 제시됨.. 눈길과 신체접촉 거부. 사람을 물건취급하고

참고 ) 문화상징을 효과적으로 구사한 시인은 종교적인 상징을 개성적 으로 창출한 한용운 , 서정주 , 김현수

내인성 통증 조절 이론 (endogenous pain

 처음 이론에서 ecological theory 소홀했던 생물학적 환경 강조 위해 최근 생물생태학적 이론 bioecological theory 으로 개명.  5가지 환경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