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여성의 생식기 구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여성의 생식기 구조"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여성의 생식기 구조

여성생식기는 난자(ovum)를 만들어내는 것 외에도 정자와 난자가 온전하게 만 나 수정할 수 있도록 장 소를 제공해 준다.

(2)

또한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되면 임신 전 체 기간을 통해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 주고 자라나는 태아를 보 호해서 원활한 임신이 이루어지도록 잘 유지시켜 주 는 역할을 담당한다.

(3)

출생 후 신생아에게 수유를 통한 영양 공급도 여성 의 역할이다.

여성 생식기는 기능별로 다음과 같이 분류 할 수 있다.

(4)
(5)

성선은 난소(ovary)로서 복강벽 좌우 골반 근처에 하나씩 위치 한다. 난소는 크기가 약 3.5㎝×2㎝이고 무게는 3~5g 정도이 다.

난소

(6)

 자궁관과 자궁

생식관은 배란된 난자를 보호하고 운반하며 정자와 의 수정을 돕는 곳이다.

여성의 생식관은 난관(oviducts) 또는 자궁관

(uterine tube)이라 부르는 관과 자궁 (uterus), 그리 고 질(vagina)로 구성되어 있다.

(7)

난관은 4개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데 가장 끝부분이 난관채

(fimbria)로서 혈관분포가 잘 되어 있고 총채모양이라서 배란된

난자를 즉시 받아들이는 구조이다. 난관채는 수시로 난소 표면 을 훑고 있다가 난자가 배란되면 이를 즉각 흡입하듯이 난관 안으로 빨아들인다.

(8)

난관채의 활발한 움직임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 겐(estrogen)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억제하는 여성의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임신 을 방해하는 요인 이 될 수가 있다.

(9)

난관의 조금 안쪽을 팽대부(ampulla)라 부른다. 이 곳은 정자와 난자의 수정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팽대부 이외의 장소에서 수정이 일어나면 자궁 외 임 신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협부(isthmus)는 그보다 더 안쪽으로 직경이 작고 팽 대부보다 근육질의 벽이 두꺼운 부분이다.

(10)

자궁부(pars interstitialis)는 난관이 자 궁과 이어지 는 부분으로서 실제로 자궁의 한 부분이다.

난관은 연동운동에 의해 난자를 자궁쪽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11)
(12)
(13)

자궁(uterus)은 서양배 모양으로 생겼으며 가장 넓 은 부위가 약 10㎝ 정도이다.

수정란이 착상하는 자궁저(fundus)와, 자궁의 몸체 인 자궁체(body), 그리고 점액 이 있어서 정자를 저 장하는 자궁의 입구, 즉 자궁경(cervix)으로 이루어 져 있다.

(14)

실제로 수정란이 착상하는 부위는 자궁저의 후벽 정중앙이다.

자궁의 벽은 자궁내막(endometrium), 자궁근층

(myometrium), 외막(perimetrium)의 3개 층으로 되 어 있다.

자궁내막은 수정된 접합자가 착상하는 곳이다.

(15)

이곳에는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는데 월경주 기(menstrual cycle)에 의해 주기적으로 두껍게 증 식 했다가 매 28일 주기로 떨어져 나가는 부분이다.

이렇게 내막이 혈액과 함께 떨어져 나가는 것이 월 경혈(menstrual blood)이다.

(16)

월경혈은 단백질의 작용 때문에 응고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보통 한번의 분비량은 50~60cc 정도이다.

월경주기 역시 90% 이상의 여성에서 23~35일 정 도이지만, 환경적 요인 등 여러 이유로 아예 월경이 없을 수도 있다.

(17)

자궁내막은 나중에 태반(placenta)의 일부가 된다.

자궁내막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가장 바깥쪽(자 궁강쪽)을 얇은 상피층이 덮고 있고 그 아래에 기능 층(functional layer)과 기저층(basal layer)의 두 개 층이 자리잡고 있다.

(18)

기능층은 월경 시 떨어져 나오는 부분이고 기저층 은 월경 시에도 그 대로 보존되는 부분이다.

기능층이 주기적으로 떨어져 나가면 기저층에서 다 시 세포분열이 일어나 기능층을 재생시켜 준다.

(19)

자궁내막은 가장 얇아질 때 약 0.5㎜ 정 도이고, 기 능층이 회복되면 2~3배 정도(약 1㎜ 정도)까지 두꺼 워진다.

기능층은 다시 치밀층(compact layer)과 해면층 (spongy layer)으로 나눌 수 있다.

(20)

내막에는 동맥(artery)과 정맥(vein)이 들어 있는데 이들 역시 주기적으로 함께 떨어져 나갔다가 재생되 곤 한다.

특히 동맥은 표면적을 넓혀 더 많은 영양분을 공급 하기 위해 나선모양으로 휘어져 있는데 이를 나선동 맥(spiral artery)이라고 한다.

(21)
(22)

내막에는 또한 분비선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여 기에서 분비되는 액체를 자궁유상액(uterine milk)이 라고 한다.

자궁유상액은 글리코겐(glycogen)이 풍부하여 착 상되기 전 수정란에 영양물질을 공급하는 동시에 자 궁 안쪽을 촉촉히 젖게 해준다.

(23)

자궁근층(myometrium)은 두꺼운 평활근으로서 출 산 시 강하게 수축하여 아기가 빠져 나오는 것을 돕 는 근육층이다.

자궁근층의 두께는 15㎜ 정도이다. 가장 바깥쪽에 있는 자궁외막(perimetrium)은 얇은 장막층으로 가 장 바깥에서 자궁 전체를 보호하고 있다.

(24)

 부생식선과 외생식기

질(vagina)은 교접기관인 동시에 아기가 출생할 때 산도로 작용한다.

남성과 달리 여성의 부생식선은 그다지 뚜렷하지 않지만 대전정선(greater vestibula gland) 과 소전정 선(lesser vestibula gland) 등이 있다.

(25)

외부생식기에는 대음순(labia majora)과 소음순 (labia minora), 그리고 음핵(clitoris) 등이 있다.

이밖에도 남성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수기관인 태반(placenta)과 유선(mammary gland)이 여성에 게 있다.

(26)

태반은 임신 중에만 발생했다가 출산과 동시에 사 라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람의 발생을 단기간에 지 켜보기에 아주 좋은 실험재료이다.

여성은 남성과 달리 출생 후에도 아기를 보호하고 영 양을 공급하기 위해서 수유기관인 유선이 필요하다.

참조

관련 문서

이 기간 중 난포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심하게 받기 때문에 세포분열이 왕성해지고 그 결과 자궁내막의 두께가 거의 2~3배까지 증가한다..

교대로 편도함수는 차분몫을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벡터 와 에 의해 결정된 평행사변형을 이용하여 를 근사할

그러나 (중략) 어느 시대에 있어서나 여성의 문화적 생산을 설명하려고 한다면, 널리 퍼져 있는 성별 이데올로기, 여성의 활동, 사 회적ㆍ정치적ㆍ경제적ㆍ문화적

비정규직 노동자 중에서 여성의 비중이 높고 여성 임금근로자 중에서 비정규직 의 비율이 매우 높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노동력에 대한

출산에 대한 개인의 결정권의 침해를 우려하는 시 각은 과거의 출산정책 산아제한정책 이 여성의 성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침 ( ) 해하는 방식으로

의 통찰력은 여성의 침묵을 강요하는 가부장 사회에서는 표현할 수가 없었다.미친 후에야 그녀의 노래 속에서 드러난다.오필리어는

85%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집단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사후검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 경기규칙이 변화함에 따라 전에는 완벽한 기술과 창작격파 에 관심을 가졌지만 현재는 기술의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기술적인측면을 강 화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