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가 경험하는 입원 환자와의 관계: 현상학적 접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가 경험하는 입원 환자와의 관계: 현상학적 접근"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https://doi.org/10.11111/jkana.2021.27.3.149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가 경험하는 입원 환자와의 관계: 현상학적 접근

강 푸 름

1

· 강 지 원

2

우석대학교 간호대학 조교수1,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연구교수2

Nurses' Experience with In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A Phenomenological Approach

Kang, Purum

1

· Kang, Jiwon

2

1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2Research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orea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working o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the inpatients on those wards. Method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ven wom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December, 2018 to January, 2019 Results: Five theme clusters were extracted that described nurses’ patient experiences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ey are “Expansion of relationship formation”, “Transition of place to provide nursing care”, “Expansion of communication”, “Maintaining professional boundaries” and “Realization of professional nurs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deep understanding and insight in to the nature for nurses o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patients' relationships. It is thought that activ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support positive relationships will enhance the quality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help improve patient care outcomes.

Key Words: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Patients; Hospitalization; Qualitative research

주요어: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환자, 입원, 현상학 Corresponding author: Kang, Jiwon

College of Nursing,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

Tel: +82-2-3290-4902, Fax: +82-2-928-9107, E-mail: sniky@korea.ac.kr Received: Aug 12, 2020 | Revised: Mar 1, 2021 | Accepted: Apr 22, 202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연구의 필요성

한국사회의 고령화는 가속화되는 반면 여성의 사회진출 증 가와 핵가족화가 되면서 입원 환자를 돌보는 일을 가족이 부담 하기 어려워지고 있다[1]. 여기에 지난 2015년에 메르스 확산 으로 병원 내 비의료인의 상주 및 문병과 관련된 감염관리의 경 각심이 높아지면서[2] 양질의 간병서비스 요구가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2007년부터 입원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간호 와 간병을 통합적으로 전달하는 서비스 모형인 ‘보호자 없는 병원’ 시범사업을 시행하였고, 2016년부터 300개 이상의 병원 에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를 확대 제공하도록 하였다[2,3].

이러한 새로운 입원 모형은 일반병동에서 환자를 위한 간병 서 비스가 환자와 가족의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 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환자의 만족도도 일반 병동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난다[4]. 현재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정책이 정착 하고 있는 단계로 간호 업무 성과를 높이기 위한 간호 인력의

(2)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1,5], 병원환경의 변화를 효율 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간호사의 환자간호경험에 대한 깊이 있 는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한 병동에서는 보호자나 간병 인이 없이 간호사가 주로 환자를 돌보며, 간호사 1명의 담당 환 자 수가 8~12명 정도로 간호사가 담당하는 환자 수가 줄어들 었다. 특히, 간호사와 환자는 간호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끊임 없이 상호작용하며 대인관계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데[6], 간호 ․ 간 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의 간호사와 환자의 상호작용이 많아 짐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이 변화하였으며 환자 와 간호사의 관계에도 변화가 생기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변 화된 의료환경에서 간호사의 직무능력을 향상하고 간호업무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대인관계 갈등은 주요 감정노동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소진이나 이직의도를 높인다. 실제로 중소병원 간호사 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환자와 보호자로부터 언어폭력이나 위협을 받는 등의 갈등 경험이 많은 간호사는 이직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7], 대인관계에서 비롯된 갈등은 간호사의 불안과 역할갈등을 야기하였다[8]. 이러한 간호사의 환자간호경험은 객관적인 지표 이외에도 환자와의 관계형성을 통한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간호 ․ 간병통합 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간호경험에 대한 질 적인 접근으로 이루어지는 연구가 필요하다[9].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의 핵심 인력인 간호사가 환자와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총체적으로 환자간호경험을 파악 하는 것은 양적연구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주관적 경험을 통해 간호사의 업무 수행과 관련된 요인을 심도 있게 파악할 수 있도 록 할 것이다. 특히, 의료진과 환자가 좋은 관계를 수립하고 유 지하는 것은 간호사에 대한 개별적인 만족도를 넘어 의료서비 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과 충성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10], 의료서비스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에도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 하는 간호사들의 환자간호경험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고 그 과 정을 심도 있게 고찰하기 위해 현상학적 접근을 토대로 포괄적 경험의 본질적인 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확대 적용 되고 있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가 새로운 근무환 경에서 환자간호를 경험하며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여 간호 및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 자간호에 대한 포괄적 경험을 고찰함으로써 간호 ․ 간병통합서 비스 병동 간호사의 양질의 간호제공을 위한 전략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간호경 험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본질적 구조를 밝히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선정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의 환자간호경험을 잘 보여줄 수 있다고 여겨지는 종합병원의 간호사로 총 임상 경력 1년 이상이면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6개월 이상 근무 경력이 있는 자를 모집하였다. 모집 을 위해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이 있는 병원의 게시판에 모집공고문을 게시하였으며, 필요 시 연구목적을 이해하며 연 구참여에 동의한 자를 추천받아 편의 표집하였다. 대상자는 최 종적으로 7명으로 모두 여성이었으며 나이는 24세에서 52세 였다. 7명 중 2명은 기혼이었으며 5명은 미혼이었고 모두 4년 제 대학을 졸업하였다.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 경험 은 최소 6개월에서 최대 3년 6개월이었다(Table 1).

3. 자료수집

자료는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 사이에 심층면담으로 수집하였다. 면담 전 연구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자료수집 방법과 녹음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참여자가 이해하고 동의 함을 확인한 후 연구동의서를 서면으로 받고 진행하였다. 면담 장소는 참여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조용한 장소에서 시행하였 다. 본 연구의 주요 질문은 ‘근무하는 중 환자와 마주하면서 겪 은 경험, 일화들을 말씀해 주세요.’이며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환자와의 관계에서 어떤 점이 중요하게 작용할까

(3)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o. Gender

(M/F)

Age

(yr) Marital status Education Clinical career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career

1 F 52 Married University graduation 5 years 1 months 3 years 6 months

2 F 24 Single University graduation 2 years 8 months 2 years 6 months

3 F 25 Single University graduation 1 year 6 months 6 months

4 F 26 Single University graduation 3 years 4 months 10 months

5 F 25 Single University graduation 3 years 2 years 6 months

6 F 24 Single University graduation 1 year 10 months 8 months

7 F 46 Married University graduation 5 years 1 years 5 months

No.=number; M=male; F=female.

요?’라는 질문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의 대답에 따라 후 속 질문을 하면서 심층적으로 접근하였다. 면담하는 동안 진술 내용 이외에도 몸짓이나 표정, 억양 등도 함께 관찰하며 기록하 였다. 자료수집 시 1인당 심층면담은 약 1시간 1회였으며, 면담 후 필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총 7명 중 2명에게 모호한 부분을 질문하며 추가 면담하였다. 참여자들의 면담은 질문에 대한 답 변내용이 반복되어 새로운 내용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아 자료 가 포화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종료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자료수집 및 분석에서 현상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기 위해 Colaizzi가 제시한 방법론[11]을 사용하였다. 먼 저 1단계로 녹음했던 심층 면담 자료를 면담 시 작성했던 노트 를 참고하며 들으면서 필사하여 전체적인 느낌과 대략적인 의 미를 확인했다. 면담을 직접 하지 않은 연구자가 필사할 때는 해당 자료를 면담을 시행했던 연구자가 한 번 더 검토하는 과정 을 거쳤다. 2단계로, 연구자들은 필사한 내용을 주의 깊게 읽으 면서 반복되는 문장이나 표현을 확인하며 의미 있는 진술을 추 출하였다. 2단계에서 추출한 의미 있는 진술들은 3단계를 거치 며 일반적인 형대로 다시 진술되었다. 4단계는 연구자의 언어 로 표현된 진술들로부터 의미를 이끌어내고 원래의 자료와 함 께 보며 맥락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5단계는 구성된 의미 에서 주제와 주제모음으로 분류하며 범주화 하였다. 마지막 단 계에서는 주제를 현상과 연관시켜 최종적인 기술을 하였다.

5. 연구 타당성 확보

본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자료수집 과정과 분석과정에

서 연구자들은 지속적 모임을 갖고 질적연구의 평가항목[12]

에 따라 질적연구의 엄격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사실적 가치 (truth value)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들은 먼저 간호 ․ 간병통합 서비스 병동에 6개월 이상 근무하여 환자간호경험에 대해 자 연스럽게 표현해줄 수 있는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편안한 분위 기의 면담 환경을 조성하였다. 면담 종료 후에는 해당 참여자와 면담 내용을 다시 확인하면서 참여자의 경험과 일치하는지 확 인하였다. 연구의 적용성(applicability)을 위해 본 연구에 참 여하지 않은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 간호사 2명에게 결과를 제시하고 그들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연구결과의 내용 에 공감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의 일관성(consistency)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의 전체 과정을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또 한, 자료를 분석하는 동안 질적연구경험이 풍부한 간호학 교수 1인에게 자문을 구하였고, 공동연구자들은 연구 전과정에 걸 쳐 정기적인 연구모임을 통해 연구 과정을 점검하며 합의된 결 과를 도출하여 자료분석의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중립 성(neutrality)을 유지하기 위해서 자료수집 과정인 면담 시 질 문을 구조화하여 진행하며 연구자 개인의 판단이 개입하지 않 도록 노력하였고, 연구결과의 분석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내용에 대한 비평을 하지 않으며 진행하였다. 질적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1인 및 간호학 박사 1인의 피드백을 받으며 연구자의 주관적 생각이 해석 과정에 작용하는지 확인하였다.

6. 연구자의 준비

연구자들은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질적연구 방법론 교과목 을 6학점 이수하였으며, 질적연구를 위한 워크숍에 참여하여 면담방법 및 질적 자료분석방법을 훈련받았다. 또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넓히기 위해 현상학 관련 서

(4)

Table 2. Category and Theme Cluster, and Themes of Nurse's Patient Experience through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Themes Themes clusters Categories

․Increased contact and practical opportunities for meeting with patient

Increased opportunities for relationship formation

Expansion of relationship formation

․Naturally become intimate with patients and develop deep relationships by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 relationship that gets deeper

․Active nursing due to face-to-face contact in the ward Rediscovering patient-centered space Transition of place to provide nursing care

․Large room space can be used due to the disappearance of guardians in the ward

Actual space expansion of hospital room

․Getting closer to the patient psychologically and distanceally The closeness of communication Expansion of communication

․Repeated explanations feel tired due to lack of a guardian

․To be wary of getting close to each other inappropriately, even when facing with each other frequently

Keeping public distance Maintaining professional boundaries

․The fair distribution of care to all patients Maintain a fair distance

․Understanding the patient's situation and expressing emotional empathy

The realization of human nursing The realization of professional nursing

․As patient contact increases, accurate understanding of patient conditions is required for proper care

Increased responsibility as a professional

적 및 질적연구 논문을 숙독하여 현상의 본질 파악을 위한 시각 과 학문적 성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다.

7.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를 위해 보건복지부 지 정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승인을 받은 후 연 구를 시작하였다(승인번호 P01-201812-21-005). 참여자의 자 율성 보장을 위해 면담에 앞서 연구목적, 연구방법 등을 설명 후 서면 동의서를 받았고 참여 중에도 원하지 않으면 거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면담 시 독립적인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분 석 과정에서 익명성 보장을 위해 이름 대신 번호로 표기하여 개 인정보노출을 방지하였다.

연 구 결 과

간호사의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 경험 및 해당 병 동 환자와의 관계 경험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면담 자료를 분석 한 결과 9개의 주제와 보다 포괄적 의미를 지니는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가 경험한 환자와의 관계는 ‘관계형성의 확장’, ‘간호 제

공 공간의 전이’, ‘의사소통의 확장’, ‘전문적 경계의 유지’, ‘전 문간호의 실현’으로 분석되었다(Table 2).

범주 1. 관계 형성의 확장

이 범주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해당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처음으로 대면하면서 서로를 탐색 하고 입원 생활에 적응해 나가면서 겪게 되는 경험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면 서 일반 병동과는 다른 차이를 인정하고 환자와의 관계를 어떻 게 꾸려 나갈 것 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 환자들은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처음 경험하면서 어떤 부분에 대한 도 움을 간호사에게 요청해야 할지에 대해 어려워하기에 간호사 는 환자의 성향에 따라 접근하는 방법을 조금씩 달리하며 환자 와의 관계를 좁히려는 노력을 한다고 진술하였다. 이 범주에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면서 환자와의 처음 대면 이후 적응해나가는 긍정적 정서가 드러나 있으며 ‘관계 형성의 기회 증가’, ‘점차 깊어지는 관계’의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1) 관계 형성의 기회 증가

연구참여자들은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면서

(5)

“일반 병동에서는 보호자들이 해 줄 수 있는 기본적인 일도 환 자에 따라서 자주 call bell을 눌러 부르기도 하고 그로 인해 간 호사들이 환자들과 자주 접촉하는 일이 발생하게 되어 보호자 가 있는 일반 병동과는 차이가 있다”고 표현하였다. 특히 활동 간호사들이 책임간호사들 보다 환자와의 접촉이 훨씬 많은 상 태이며 업무의 과중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진술하였다. 그 러나 보호자를 통한 의사소통 없이 환자와 직접 의사소통과 접 근을 하게 되면서 오히려 환자에게 하는 행위를 편안하게 생각 하고 자주 오고 가면서 자연스럽게 친밀해지는 경험을 진술하 였다.

여기는 환자가 혼자 있으니까 관계 맺는 게(보호자가 있을 때보다) 원활하고 환자를 자주 보게 돼요. 보호자가 없으니 무슨 일이 없나 한번 더 확인해야 하고...[기웃거리 는 포즈로].(참여자 5)

2) 점차 깊어지는 관계

연구참여자들은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면서 다양한 환자들을 접하게 되고 똑같은 간호 처치를 하더라도 환 자마다 다른 반응이 오는 경험에 대해 진술하였는데, 이러한 점 이 간호 업무를 할 때 부담으로 작용되기도 한다고 표현하였다.

따라서 같은 처치를 하더라도 환자의 성격이나 특징에 따라 말 투나 행동에 변화를 주어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하려고 노력하 였다.

환자들도 다 캐릭터가 다른데 요구를 더 많이 하는 분 들도 있고(제가 하는 말에) 잘 수긍하고 이해하시는 분들 도 계세요. 잘 이해해주시는 분들과(제가) 더 대화가 잘 되 고 친해지는 걸 보면 옆에서 고집 세고 ‘내 일을 먼저 해줘’

라는 태도였던 분들도 저렇게 해야 더 소통이 잘 되는구나 느끼시는 것 같아요. 그러면서(병원에) 적응하고 성격도 수그러들어요.(참여자 2)

범주 2. 간호 제공 공간의 전이

이 범주는 보호자의 부재로 인해 일반 병동에서보다 call bell이 많이 사용되어 연구참여자들이 자주 병실로 찾아가 환 자와 대면하는 등 환자와 접촉하여 간호를 행하는 공간이 전반 적으로 이동하는 경험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환자와의 대면이 이전보다 환자의 병실에서 자주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 한 보호자가 사라진 병실 환경이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서 특징적이며, 이 또한 간호사가 환자에게 접근하는 것에 영향 을 준다고 이야기하고있다. 이 범주에는 ‘환자 중심의 공간 재 발견’, ‘실질적 병실 공간의 확장’의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1) 환자 중심의 공간 재발견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하면서 환자가 머무르는 병동 에서의 대면이 잦아졌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주 환자의 병실에 방문하여 환자의 사소한 부분까지 직접적으로 케어를 해야 하 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일반 병동이라면 보호자들이 환자 옆 에서 도와주던 부분도 간호 서비스를 받기 위해 call bell을 누 르고 간호사를 호출하는 업무적인 부담을 경험하였다.

또 달라진 게 예전에는(일반병동에 근무할 당시) 간단 한 문의는 보호자가 간호사실로 나와서 직접 물어보셔서 보호자한테만 설명하면 됐는데 지금은 아주 간단한 설명 이라도 제가 직접 환자한테 가서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요.(참여자 7)

2) 실질적 병실 공간의 확장

연구참여자들은 병실 내에 환자의 보호자가 없어 쾌적한 환 경을 느끼게 된다. 보호자가 거주하던 영역이 사실상 없어짐으 로 공간적으로 더 넓고 소음이 없는 병실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 로 인해 환자와의 정서적인 거리가 줄어듦을 간접적으로 표현 하였다.

환경이 좀 쾌적 해요. 보호자가 없으니까 일단 보호자 침대가 없어요. 그리고 보호자 짐이 없잖아요.(통합서비 스 병동이 아닌 곳으로)전실 갈 때 환자와 함께 가보면 답 답해요. 만약 6인실이면 보호자까지(한 병실에) 12명이 있어요. 그러면 짐도 12개가 있어요. 예전에는 몰랐는데 더 답답한 느낌이 들고 우리 병동으로 돌아오면 훨씬 쾌적 한 느낌이 들어요.(참여자 7)

범주 3. 의사소통의 확장

이 범주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보호자가 없음으 로 인해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환자에게만 하면서 나타나는 경 험을 포함하고 있다. 환자와의 접촉이 잦아짐과 동시에 보호자 가 없을 때가 오히려 대화하기도 편하고 친근하게 대할 수 있다 고 표현하고있다. 환자의 성향에 따라 간호 처치가 필요할 때 요구를 표현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환자와의 관계

(6)

는 일반 병동보다 더 가까워짐을 느끼며 관계가 두터워짐을 나 타낸다. 보호자의 역할을 참여자들이 하기도 하는데 보호자의 부재로 의사소통이 어려울 때도 있지만 수술 및 처치 시에 설명 을 충분히 해주고, 옆에서 격려하며 처치에 대한 용기를 주려 는 노력도 한다. 이 범주에는 ‘의사소통의 긴밀성’의 주제가 포 함되어 있다.

1) 의사소통의 긴밀성

연구참여자들은 환자와의 관계에서 심리적이나 거리적으 로 환자와 더 가까워짐을 느끼고 어느 순간부터 보호자가 환자 에게 해주던 심리적 지지와 소통하는 사람으로써의 역할을 하 고있다고 표현하였다. 중간에 환자의 간호 처치에 대해 전달해 주던 사람이 없어져 직접적인 소통을 하면서 연구참여자들이 반복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대해 피로함을 토로하기도 하였지 만 중간 판단자가 없기 때문에 오히려 더 좋은 점도 있다고 표 현한다.

보호자나 간병인이 있으면(환자 옆에) 계속 붙어서 저 희가 하지 못하는 부분을 더 자세하게 보살펴 줄 수도 있 겠지만 환자가 원하는 게 아니라 본인이 원하는 걸 이야기 하기도 해요. 환자와 보호자 의견이 다를 때도 있어요. 환 자는 가만히 있는데 보호자가 환자는 원하지도 않는 걸 이 야기하기도 하구요.[한숨을 쉬며]보호자 나름의 힘듦을 호소하면 들어드려야 하고...(통합서비스 병동이 되면서) 이런 문제는 없어졌어요. 딱 환자가 요구하는 것과 환자 에게 필요한 것 위주로 일할 수 있게 되었어요. 환자만을 위해서 일할 수 있게 되었어요.(참여자 5)

범주 4. 전문적 경계의 유지

이 범주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연구참여자가 환 자와 자주 접하게 되면서 너무 가까워지는 것에 대해 약간의 거 리낌이 생기는 것이 포함되어있다. 환자와의 좋은 관계를 위해 서는 자주 대면하게 되지만 적절치 않게 가까워지는 것에 대해 서는 경계해야 함을 표현하였다. 또한 간호를 어느 환자에게 편중되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간호 요구도에 따라 공평하게 배분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인식을 보이며 이를 모 든 환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실행하려는 의지를 보인다. 이 범 주에는 ‘공적인 거리 유지’, ‘공평한 거리 유지’의 주제가 포함 되어 있다.

1) 공적인 거리 유지

연구참여자는 환자의 성격과 특징에 따라 조금 더 편하게 대 하거나 친한 환자가 있다고 표현하고 있다. 조금 편한 환자와는 대화도 더 잘 통하고 간호 처치를 함에 있어서 거리낌이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너무 가까워지는 것은 주위 동료들이나 환자들 이 보기에도 차별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 피하려고 했다. 반 대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환자들은 너무 친해지는 것에 대해 경계를 하는 편이라 적절한 선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편이라고 진술하였다.

많이 아프면 계속 말을 걸면 오히려 짜증이 날 수 있어 요. 그래서 딱 필요한 말만 하고 사무적으로 해드리는게 나아요[단호한 표정으로]. 환자가 ‘(간호사가) 왜 이렇게 치근덕거려’ 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특히 아플 때는 예민 하니까요. 그래서 자리에 잘 있는지 케어가 필요하나 상 황인지 관찰하면서 적절한 선을 지키려고 해요. 간호사는 보호자와 다르니까요.(참여자 2)

2) 공평한 거리 유지

연구참여자는 각각의 환자와의 관계가 다 다르고 그에 따라 친밀도가 달라지긴 하지만 환자마다 제공하는 간호 처치는 대 상자의 필요에 따라 해주며 이것이 직업적으로 중요한 부분이 라고 진술하고 있다.

저도 사람이니까 온순하고(저에게) 좋은 말 해주시는 환자한테 마음이 가기도 해요. 특히 통합서비스 병동이다 보니까 제가 스테이션에서 컴퓨터로 일하면서 보호자에 게 간단히 설명해주는 게 아니라 계속 직접 만나잖아요.

그래도 누구에게만 더 잘해주지 않으려고 의식적으로 노 력해요. 어떤 환자 하고만 특별히 가까워지지 않도록 조 심해요. 이런 점이 가족인 보호자와 가장 다른 점 같아요.

(참여자 6)

범주 5. 전문간호의 실현

이 범주는 연구참여자가 환자와 가깝게 접촉하며 점점 환자 의 처지를 더 이해하고 그에 대한 공감을 표현하게 되면서 나타 나는 감정 경험을 표현하고 있다. 환자가 간호 ․ 간병통합서비 스 병동에서 필요로 하는 정서적 지지에 대해 이해하고 환자의 가족이라면 어떻게 행동할 지에 대해 생각하며 환자에게 정말 도움이 되는게 어떤 것인지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노력을 담

(7)

고 있다. 이 범주에는 ‘인간적 간호의 실현’,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감 증가’의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1) 인간적 간호의 실현

연구참여자들은 환자들이 아픈 상황에서 보호자도 없이 병 동에 입원해 있는 상황을 더 깊게 생각하게 되고 그 힘든 마음 을 헤아리고 이해하기 위해 공감하려는 노력에 대해 진술하였 다. 일부러라도 더 친밀하게 말하며 정서적 공감을 이루려고 하며 그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환자의 모습에서 진실된 관 계 형성에 대해 느낀다고 진술하고 있다.

예전병동보다 환자들과 말하는 시간도 늘어나고 친밀 해졌어요. 예쁘다 손주딸 같다 라는 이야기도 많이 해주 시구요. 어떤 연세 많으신 할머니는 수술하고 많이 아파 서 ‘내가 나이 먹고 이게 무슨 고생 이야. 그냥 죽어야 하는 데’ 이런 말 많이 하세요. 그러면 건강하게 살려고 수술받 았는데 조금 있으면 괜찮아 질 거라고 한 번 더 이야기하 면서 위로해 드리려고 노력해요. 보호자가 없으니까 제가 이렇게 더 하려고 노력해요.(참여자 4)

2)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감 증가

연구참여자들은 환자와의 접촉이 잦음과 동시에 옆에서 돌 봐주는 사람이 없음을 인지하고 더 세세하게 환자를 보려는 노 력을 한다고 진술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환자를 더 잘 파악하고 적절한 처치를 하는 것이 환자에게 필요하며 특히 이러한 부분 에는 간호사의 경험치가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다. 환자 상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환자 케어에 도움이 되며 적절한 처치가 또 환자와의 관계, 신뢰를 위해서 도움이 된다고 표현하고 있다.

약 하나를 줄 때도 내가 직접 환자를 보고 줘야지 하고 생각하게 되고... 치료과정에 대한 설명도 환자한테 직접 해야 하고... 사실 보호자가 있으면 보호자는 더 잘 알아들 으시니까 보호자에게만 간단히 설명할 수도 있는데... 투 약이나 교육 업무는 다른 직원한테 절대 부탁할 수 없잖아 요? 물론 보호자가 계셔도 투약은 전적으로 제 책임이지 만 그래도 마음으로 느끼는 책임감이 조금 더 늘어났다고 해야 되나... 환자한테 사소한 거 하나를 교육할 때(재활) 도 저 없을 때도 혼자 하실 수 있도록 라운딩 할 때마다 시 범도 보이구요. 옆에서 계속 봐주시는 분이 안계시니까 그런 부분에서 책임감이 더 늘었어요.(참여자 7)

본 연구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의 환자간호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 심도있는 이해를 도모하 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9개의 주제 와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는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관계 형성의 확장’ 범주에는 ‘관계 형성의 기회 증가’와 ‘점 차 깊어지는 관계’가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 범주에서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이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간호사와 입원 환자의 직접 대면 경험이 증가하여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주고 받으며 관계를 수정해 나가는 경험을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상호작용을 통해 환자와 간호사의 관계가 계속 재설정 된다는 결과는 응급실에서 간호사와 환자의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한 결과 간호사가 사용하는 의사소통을 포함한 상호작용의 특징 에 따라 환자의 반응이 달라진다는 연구와도 유사하다[13]. 이 러한 개인 간의 관계는 생각과 감정에 영향받으면서 각자의 경 험과 인식을 공유해 나가는 과정으로[14] 간호 ․ 간병통합서비 스로 인해 간호사와 환자의 대면이 증가하여 경험과 인식을 공 유하며 상호작용 할 기회도 증가했음을 반영하였다. 이처럼 간 호사와 환자가 대면하는 경험이 증가하면 신뢰관계가 구축될 가능성도 높아진다[15]. 하지만 간호사의 직업 스트레스에 대 한 단면조사연구결과 간호사와 환자의 대인관계가 직업 스트 레스와 유의한 연관이 있었으며[16], 직접간호 시간이 증가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주로 대 인관계 요인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전 연구결과와[17] 함께 생 각해 볼 때 해당 병동 간호사가 환자와의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지지해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 제공 공간의 전이’ 범주에서는 ‘환자 중심의 공간 재발 견’, ‘실질적 병실 공간의 확장’ 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범주에서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환자 중심으 로 공간과 환경이 변화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간호사와 환자가 대면하는 공간이 환자 병실 중심으로 옮겨갈 뿐만 아니 라, 환자 간호의 공간인 병실의 물리적 확장도 함께 나타난다고 진술하였다. 이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들이 일반 병동의 병실과 비교하여 방문객 감소와 소음 감소 등 으로 치유적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느끼는 연구결과와[18] 같 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치유 지향적인 환경 조성은 물리적 공 간의 변화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의료진과의 지속적인 치유 관 계를 형성하는 것을 지지해준다[19]. 이와 같은 변화는 환자에 게 개별화된 접근을 용이하게 만들어 환자 중심 간호를 구축하

(8)

는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범주인 ‘의사소통의 확장’에서는 ‘의사소통의 긴밀 성’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간호사들은 일관되게 간호 ․ 간 병통합서비스가 시행되면서 환자간호와 관련된 가장 큰 변화 로 환자와 직접 의사소통의 증가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병원 환 경에서 필수적인 간호사와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와의 상호 작용은 기관의 종류나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20,21], 보호자 없는 병동에서는 간호사가 환자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 울이고 직접 상호작용하여 환자가 받고 있는 고통에 대해 더 공 감할 수 있다[22]. 본 연구에서도 간호사들은 이와 같은 역할 변 화에 대해 자각하며 부담감을 표현하기도 했지만 새롭게 주어 진 역할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환자의 옹호자로 서 일반병동에서 보다 격려와 지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 이 있었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간호사들은 환자와의 친밀도가 높아지고 신뢰관계가 단단하게 구축되고 있음을 느끼고 있었 다. 환자와 간호사의 신뢰 형성은 환자로 하여금 더욱 능동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23] 치료적 관계의 기초가 되 어 환자가 간호사의 판단을 존중하고 따르도록 해 줄 수 있다 [24]. 따라서 간호 ․ 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의 특징을 살려 더욱 효과적으로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영이나 공감, 경청 등의 유효한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의 사생활 노출이나 소음 등 의사소통에 장애물이 될 수 있는 요인들을 제어하는 방안을 강 구해야 할 것이다[25].

네번째 범주인 ‘전문적 경계의 유지’에서는 주제로 ‘공적인 거리 유지’, ‘공평한 거리 유지’가 도출되었다. 간호사가 환자 와의 치료적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계의 경계 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유지해야 하며 특정 환자와 특별한 관계 를 맺거나 특권을 요구하는 것을 들어주는 것이 오히려 치료적 관계에 해가 될 수 있다[26]. 본 연구참여자들도 이점을 명확하 게 인지하고 있었다. 간호사는 보호자가 없는 병동에서 환자에 게 간호를 제공하면서 가족이 담당했던 정서적 지지에 대한 역 할을 일부 기꺼이 수용하지만 실제 가족과의 차이점을 구별하 고자 하였다. 실제로 이는 전문적인 간호사와 환자 관계가 제한 된 시간 안에서 특정한 목표를 기반으로 하며 일관성 있는 상호 작용을 해야 한다는 내용과 맥락을 함께 한다[26]. 따라서 간호 사가 환자와 맺는 치료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대상자와 공적인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더욱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전문간호의 실현’ 범주에서는 ‘인간적 간호의 실현’과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감 증가’가 주제로 도출되었다.

보호자가 상주하지 않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는 환 자들이 간호인력 및 보조 인력 중에서도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 진 간호사에게 전문적인 보살핌을 기대한다[18]. 보호자의 중 개가 거의 없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특징을 생각해본 다면 간호사가 제공하는 정신 ․ 사회적 간호중재는 환자가 느끼 는 고통뿐 아니라 질병이나 외로움으로 환자가 경험하는 정서 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특히 유효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 된다[27]. 따라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전인간호를 실 현하기에 더욱 적합한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되며, 이를 실 현하기 위해 정신 ․ 사회적 간호중재의 활용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업전 문성 인식이 단순히 간호 표준 지식을 업무에 사용하는 것 이외 에도 환자와 관계 형성과 연관이 있음을 생각해 볼 때 전인간호 실현을 통한 환자와 관계형성이 긍정적인 간호전문성 인식 형 성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28].

본 연구에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는 환자간호 를 경험하며 상주 보호자가 없는 환자와 관계를 맺기 위해 상호 탐색하면서 간호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해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원 환경에서 환자와의 상호작 용을 통한 관계 형성은 필수적이지만 많은 간호사들이 어려움 을 겪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와 환자가 관계를 맺는 과정을 파 악하여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긍정 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이 다. 이를 위해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변화하는 의료환경에서 환자에 대한 공감을 높이고 효율 적으로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 안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의사소통 교육을 받은 종양 병동 간호사들이 자기효능감과 환자와의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되 었다[29]. 간호사와 환자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신체 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고 환자가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고려해보면[30] 본 연구결과를 이용 하여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적극적인 전 략 개발이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의 간호의 질을 높이 며 환자 치료 결과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간호사는 환자 간호를 경험하며 환자와의 상호작용 및 대면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만 달라진 병원 상황을 받아들이고 간호 전문직으 로서의 역할을 해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9)

다. 특히,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간호 경험을 기초로 해당 병동 간호사와 환자가 관계를 맺는 과정을 파악하여 추후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긍정적인 관계를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제언한다. 다만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서울 지역 일 종합 병원의 간호사로 추후 다양한 지역과 병원 형태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Lee SJ. The survey of perception, performance and importance in nursing practice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4):247-253.

https://doi.org/10.15207/jkcs.2017.8.4.247

2. Kim J, Kim S, Park E, Jeong S, Lee E. Policy issues and new direction for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 ministration. 2017;23(3):312-322.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3.312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ternet]. Gangwon-do:

Standard guideline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cited 2017 September 29].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a01000m01.do

?mode=view&articleNo=124586&article.offset=580&articleLi mit=10

4. Park KO, Yu M, Kim JK. Experience of nurses participat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1):76-89.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1.76

5. Christmas K.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 ing Economics. 2008;26(5):316-318.

6. Ahn YH, Kim DR, Seo BN, Lee KE, Lee EH, Yim ES. Clinical nurses' lived experi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ward setting of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 ing. 2002;32(3):295-304.

https://doi.org/10.4040/jkan.2002.32.3.295

7. Heo HJ, Lee SK. Effects of verbal abuse experience and burn- out on turnover intentions of hospital nurses at small and me- 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 mation Science Society. 2018;29(3):665-678.

https://doi.org/10.7465/jkdi.2018.29.3.665

8. Choi J, Kweon Y. Comparison of nurses's fatigue, sleep qu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betwee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Journal of Ko- 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8;32(3):438-450.

https://doi.org/10.5932/JKPHN.2018.32.3.438

9. Choi HJ. The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nursing research o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

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9;25(5):510-525.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1.76

10. Kim NS, Choe HG.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quality to health care servic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commitment.

Industry Promotion Research. 2018;3(2):21-31.

https://doi.org/10.21186/IPR.2018.3.2.021

11.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phenomeno- 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 sity Press; 1978. p. 48-71.

12.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 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 istic approaches. San Francissco, USA: Jossey-Bass Publishers;

1981.

13. Kim EJ. Nurse-patient interaction patterns and patient satisfac- 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Acad- emy of Nursing. 2010;40(1):99-109.

https://doi.org/10.4040/jkan.2010.40.1.99

14. Peplau HE. Interpersonal relation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pplication in nursing practice. Nursing Science Quarterly.

1992;5(1):13-18.

https://doi.org/10.1177/089431849200500106

15. Leslie JL, Lonneman W. Promoting trust in the registered nurse -patient relationship. Home Healthcare Now. 2016;34(1):38-42.

https://doi.org/10.1097/NHH.0000000000000322

16. Wu H, Chi TS, Chen L, Wang L, Jin YP.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nurses: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Ad- vanced Nursing. 2010;66(3):627-634.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203.x

17. Kwak SH, Hyun S. Explori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 vic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19;5(2):23-30. https://doi.org/10.17703/JCCT.2019.5.2.23 18. Choi HJ, Han AL, Park YM, Lee J, Tae YS. Hospitalization ex-

perience of patients admitted to nursing care integrated serv- ice wards in small and medium-size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5):

396-409.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5.396 19. Mahoney JS, Palyo N, Napier G, Giordano J. The therapeutic

milieu reconceptualized for the 21st century. Archives of Psy- chiatric Nursing. 2009;23(6):423-429.

https://doi.org/10.1016/j.apnu.2009.03.002

20. Fleischer S, Berg A, Zimmermann M, Wüste K, Behrens J. Nurse -patien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 systematic litera- ture review. Journal of Public Health. 2009;17(5):339-353.

https://doi.org/10.1007/s10389-008-0238-1

21. Mayor E, Bietti L. Ethnomethodological studies of nurse-pa- tient and nurse-relative interactions: A scoping review. Inter- 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7;70(1):46-57.

(10)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7.01.015

22. Lee EL, Chang SS.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nurse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Korean Jour- 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4):340-351.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40

23. Buelow J, Miller W, Fishman J. Development of an epilepsy nursing communication tool: improving the quality of inter- action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with seizures. The Jour- nal of Neuroscience Nursing. 2018;50(2):74-80.

https://doi.org/10.1097/JNN.0000000000000353

24. Dinç L, Gastmans C. Trust in nurse-patient relationships: A lit- erature review. Nursing Ethics. 2013;20(5):501-516.

https://doi.org/10.1177/0969733012468463

25. Bramhall E.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practice.

Nursing Standard (Royal College of Nursing(Great Britain):

1987). 2014;29(14):53-59.

https://doi.org/10.7748/ns.29.14.53.e9355

26. Valente SM. Managing professional and nurse-patient relation- ship boundaries in mental health. Journal of Psychosocial Nurs-

ing Mental Health Services. 2017;55(1):45-51.

https://doi.org/10.3928/02793695-20170119-09

27. Tuominen L, Stolt M, Meretoja R, Leino-Kilpi H. Effectiveness of nursing interventions among patients with cancer: An over- view of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9;

28(13-14):2401-2419. https://doi.org/10.1111/jocn.14762 28. Kang J, Lee YN, Kang P. Nurses' perceptions of the profession-

alism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019;45 (1):45-66. https://doi.org/10.18346/KSSSS.45.3

29. Banerjee SC, Manna R, Coyle N, Penn S, Gallegos TE, Zaider T, et al.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program for oncology nurses. Translational Be- havioral Medicine. 2017;7(3):615-623.

https://doi.org/10.1007/s13142-017-0473-5

30. Strandås M, Bondas T. The nurse-patient relationship as a story of health enhancement in community care: A meta-eth- nograph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8;74(1):11-22.

https://doi.org/10.1111/jan.13389

수치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able 2. Category and Theme Cluster, and Themes of Nurse's Patient Experience through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참조

관련 문서

• 역전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치료자 자신에 대한 자기인식이 충분히 이루어져 치료자 자신의 문제인지, 환자의 문제인지를 명확히 함으로써

▣ 신경계 짂단과 검사.. 1) 컴퓨터 단층 촬영술(Computed Tomography Scan, CT scan) - 조 영젗를 주사하거나 조영젗 투여 없이 뇌의 3차원적읶 영상을 얻는

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 Substance-related & Addictive Disorders..  알코올 관련 장애

(benzodiazepines) 약물로 처음에는 의사의 처방으로 불안, 불 면 해소의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차츰 진정용 으로, 또는 다행 감을 체험하거나 다른 물질의 효과를 지속시키기

 우성상염색체로 유전되지만 발현되는 것은 다양하기 때문에 가족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  악성고열을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하지

원인: 구토, 설사, 부신호르몬 과다, 이뇨제 과다, 다량의 sodium bicarbonate나 제산제 복용, 다량의. bicarbonate 수액 투여,

OCW 7.. 염증성 심질환의 주요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류마티스성 심질환, 세균성 심내막염, 심근염, 심낭염 및 심근증의 원인을 기술할 수 있다. 류마티스성

세계의 간호역사 고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