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편. 역학 및 질병관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2편. 역학 및 질병관리"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2편. 역학 및 질병관리

제5장. 기생충 질환 관리

Gachon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Hwi-young Cho, PT, PhD

(2)

Contents

1. 기생충질환 종류 2. 선충류

3. 흡충류 4. 조충류 5. 원충류

(3)

1. 기생충질환 종류

-2001년 우리나라 기생충 감염률

① 간흡충 1.4%

② 회충 0.6%

③ 구충 0.07%

④ 편충 0.04%

⑤ 요충 0.06%

⑥ 유무구조충 0.02%

(4)

1. 기생충질환 종류

-기생충 감염률

: 농촌지역> 도시지역

Why?

①환경위생 불량

②비위생적인 식습관

③분변의 비료화

④조리방법의 낙후

(5)

1. 기생충질환 종류

-기생충 감염경로

① 혈액 - 말라리아, 사상충, 트리파노조마

② 피부 - 구충, 주혈흡충의 셀카니아, 분선 충, 아메리카 구충

③ 모체감염 - 말라리아, 톡소플라즈마

④ 입 – 회충, 요충, 편충

⑤ 입&피부 – 동양모양선충, 선모충, 듀비니 구충, 아메리카 구충

(6)

1. 기생충질환 종류

-구충증 감염에 의한 증상

① 소화장애

② 빈혈증

③ 토식증, 다식증

④ 경피침입부위의 가려움증

(7)

1. 기생충질환 종류

① 선충류:

 회충, 구충, 편충 등

② 흡충류:

 간흡충, 폐흡충 등

③ 조충류:

 유구조충, 무구조충 등

④ 원충류:

 말라리아, 트리코모나스 등

(8)

2. 선충류

- 회충햑 투약 후 구제확인 검사 ☞ 2주 후 시행

- 회충란 사멸법

☞ 고온(70℃이상에서 10초이상)

(9)

2. 선충류

1) 회충증

(1) 전파:

 위-심장-폐포-기관지-식도-소장

(2) 예방

-인분의 위생적 처리 -분변관리 철저

-청정채소 섭취 -정기적 구충 -보건교육 강화

(10)

2. 선충류

2) 구충증

– = 십이지장충증

(1) 전파: 폐, 인후, 식도-소장 (2) 증상: 빈혈이 주 증상

(3) 예방: 회충과 비슷. 구충약

(11)

2. 선충류

3) 요충증

(1) 전파: 맹장에 기생 (2) 처치(사멸법)

-의류: 열처리 세탁 -침구류: 일광 소독

(12)

2. 선충류

4) 편충증

– 경구감염

– 소장에 기생 – 직장탈출증

(13)

2. 선충류

5) 사상충증

= 상피병 = 말레이사상충 (1) 전파: 중간숙주인 모기

(2) 증상: 림프선과 림프관 부종, 상피증 (하지상 피, 음남상피)

(14)

2. 선충류

6) 아나사키스

(1) 전파:

 유충: 고등어, 전갱이, 청어, 오징어 등의 내장, 복 강 근육에 기생

 성충: 해산포유류(고래, 돌고래)의 소화관에 기생

7) 선모충증

– 장점막 (소장)

– 돼지고기를 통하여 경구 침입

(15)

3. 흡충류

1) 간흡충증(간디스토마): 자웅동체

– 제1중간숙주: 왜우렁

– 제2중간숙주: 담수어(민물고기, 잉어과(참붕어, 피래미))

– 전파: 충란 -> 제1중간숙주 -> 제2중간숙주 ->

장관을 통해 간에 기생

(16)

3. 흡충류

2) 폐흡충증(폐디스토마): 자웅동체

– 제1중간숙주: 다슬기

– 제2중간숙주: 게 및 가재

– 전파: 충란 -> 제1중간숙주 -> 제2중간숙주 ->

장관을 통해 간에 기생

(17)

3. 흡충류

3) 요꼬가와흡충(횡천흡충): 자웅동체

– 제1중간숙주: 다슬기

– 제2중간숙주: 담수어(은어)

(18)

4. 조충류

1) 무구조충

– 민촌충

– 성충만 인체에 기생 – 자웅동체

– 전파: 사람의 소장에서 기생 -> 분변통해 체외 배출 -> 사료 오염 -> 소 섭취 -> 소의 장에서 부화 -> 육구조충 -> 조직에서 무구낭미충이 된 후 사람이 섭취 -> 2~3개월 성충이 됨

– 관리대책: 쇠고기 섭취 시 익혀서 섭취

(19)

4. 조충류

2) 유구조충

– 갈고기촌충

– 돼지고기 생식으로 낭미충의 경구침입 – 자웅동체

– 전파: 사람의 소장에서 기생 -> 분변통해 체외 배출 -> 돼지 섭취 -> 돼지의 장에서 충난이 부화 -> 육구조충 -> 약 8~10주 후 유구낭미 충 -> 사람섭취 후 2~3개월 성충이 됨

– 성충은 인체장에서 20년간 생존

– 관리대책: 돼지고기 섭취 시 익혀서 섭취

(20)

4. 조충류

3) 광절열두조충

– 긴촌충

– 전파: 사람, 개, 고양이, 여우의 소장 상부 -> 생 식동을 통해 산출 -> 수중에 부화 -> 육구조충 -> 물벼룩(제1중간숙주) -> 담수어(연어,은어, 농어; 제2중간숙주) 근육조직에서 발육 -> 사 람섭취 -> 1개월 후 성충 1일 1,000,000개알 산란 20년 생존

(21)

5. 원충류

1) 이질아메바 2) 람플편모충

3) 말라리아 원충 4) 트리코모나스

(22)

5. 원충류

-기생충 질환의 발생감소 요인

① 기생충 박멸사업-범국가적

② 경제수준의 향상과 환경개선

③ 주택 및 화장실 개량

④ 영농 방법의 개선

⑤ 보건 수준의 향상

(23)

5. 원충류

-기생충 질환의 예방

①감염원 처리- 환자, 보충자, 보유숙주 시체

②전파인자에 대한 처리- 매개자, 전파관리자

③숙주의 건강관리

참조

관련 문서

화재예방을 위한 운영절차와 관련하여 화재감시인제도, 임시 가연성 물질 취급 및 관리 절차 개선, 점화원 및 점화원 유발 작업 관리, 작업현장의 화재예방 및 임시설비

(Impermeable wall) In-situ 불투수성 재료 (흙, 시멘트 등)를 이용하여 오염지하수가 주변으로 이동 및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염지하수

• 위양성: 급성 폐렴, 감염, 백신 투여 및 바이러스 발진 질환 등. • 만성 위양성: 말라리아, 만성 감염, 나병, 약물중독, 교원

 감염병 취약계층 및 지역에 대한 예방 및 관리 강화.. 배경 및 필요성

 물리적 모델링 : Target DBMS의 스키마로 변환 Reporting 및 모델 통합/버전 관리 등 지원.  Reporting 및 모델 통합/버전

지정 전염병 : 제1군 내지 제4군 전염병 외에 유행여부의 조사를 위하여 감 시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장관이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Hwi-young

인구 집단에서의 질병의 발생과 관계되는 모든 현상을 기술하여, 질병 발생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얻기 위하여 시행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