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향가 어석의 방법론과 유의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향가 어석의 방법론과 유의점"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향 가 어 석 의 방 법 론 과 유 의 점

1. 향가 어석의 기초

※ 의·차자용법(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965에 따름)

1) 義字 : 실질형태소

① 音讀 : 善花公主主隱, 法界毛叱所只.

② 訓讀 : 去[가]隱春[봄], 心[]未筆[붇]留 ③ 義訓讀 : 今日[오]此矣, 何如[엇다]爲理古.

2) 借字 : 형식형태소

① 音借 : 薯童房乙[을], 君隱[은]父也[여].

② 訓借 : 民是[이].

③ 義訓借 : 遊行如[다]可.

3) 활용

① 正借 : 원래 음·훈을 그대로 빌린 것.

② 轉借 : 원래 음·훈을 비슷하게 빌린 것.

③ 通借 : 원래 음·훈의 通音을 빌린 것.

④ 畧借 : 원래 음·훈의 일부를 빌린 것.

⑤ 反切 : 두 글자의 음·훈을 반절한 것.

⑥ 戱借 : 원래 음·훈을 짓궂게 빌린 것.

4) 義字末音添記法

: 체·용언의 한 단어를 먼저 의자로 표기하고 다음 그 말의 말음 또는 말음절을 주로 음차자로 표기함.

예)心音[], 慕理[그리], 栢史[], 持以[디니], 風未[매], 待是[기드리].

※ 향가 해독의 어학적 기준(김완진, 향가해독법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0)

1) 一字一音의 원리

- 같은 자는 한결같은 음으로 읽어야 한다(이숭녕:1955) → 적어도 같은 텍스트 안에서라도.

참고) 皆理米 vs. 慕理尸心未(<모죽지랑가>).

- 형태음소론적 표기로서 ‘通音’은 인정함 : 肹[목적격 조사: 흘, /을, /를], 良[라/아].

- 그 역으로서 ‘일음일자’는 성립하지 않음 : [리]→里/理/利/呂.

(2)

2) 訓主音從의 기준

- 川理[나리], 心音[], 慕理[그리], 月羅理[라리]

: 뜻글자를 머리에 놓고 다음 글자로 그 형태의 끝 부분을 표시(말음첨기).

- 음독 또는 훈독이 연속하는 경우 개연성이 떨어지는 위험한 어석이 됨.

3) 맥락일치의 기준 : 맥락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전에 오탈자가 있을 가능성을 검토함 (훗날 일부 어석자는 이 가능성을 남발하는 경우가 있음).

4) 律調的 기준 : 운율 또는 시행 구분 등의 시학적 요소를 어석에서 고려함.

→ <안민가>를 통해 향가에 enjambment(다리걸침, 엇걸침)가 있었음을 발견함.

cf. ‘攴’ 지정문자설 : 음가는 없이 문법적 기능을 표기하는 향찰 문자.

2. 논자에 따른 방법론의 차이

1) 양주동(1942)

: 시인으로서 직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함. 어석의 성과가 일단 ‘詩’가 되는 거의 유일한 어석으로도 평가받으면서 여전히 폭넓은 지지를 얻고 있음. 그러나 지나치게 많은 義訓借 등의 문제점 탓에 어 학자들 사이에서 폐기해야 할 것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함. 어떤 의미에서 향가에서 ‘문학과 어학의 만남’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임.

2) 지헌영(1947), 정렬모(1947), 이탁(1956), 김선기(1967)

: 방언과 인접 언어에 남은 고대국어의 어휘와 그 어원을 활용함. 일부 음운이 유사한 경우 논리적 비약을 무릅쓰고 과감한 추론을 전개하기 때문에, 참신한 성과는 많지만 별로 지지를 받지 못함.

이들의 방법론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성과가 강길운(1995), 양희철(1997)이라 할 수 있음.

3) 홍기문(1956)

: 시대와 방언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지만, 방법론의 체계화를 시도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양주동과 크게 다르지 않음.

4) 서재극(1972)

: 경북 지역 방언으로 향가를 읽겠다는 시도였지만, 그 성과는 양주동(1942)과 몇몇 부분을 제외하 면 크게 다르지 않음.

5) 김완진(1980;2000)

: 향찰 표기의 ‘관습’을 규칙적인 것으로 판정, 체계화하려는 시도임. 小倉進平의 어학적 성과에 양 주동의 문학적 직관을 접목시킨 ‘문학과 언어의 만남’을 시도함. 그러나 한자어의 벽훈을 활용하거 나, 간혹 훈독만 연속되는 해독 등은 앞으로 해결할 과제임.

(3)

6) 강길운(1995)

: 비교언어학적 관점을 주로 취함. 중앙아시아 계통의 어원 또는 드라비다어(신라 지배층의 언어로 추정함)의 어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음. 설득력 있는 성과에 비하면 다소 박한 평가를 받았음.

6) 양희철(1997)

: 重義와 復義 등 다의성을 향찰 문자의 본질로 보아, 여러 가능성 가운데 어느 한편을 단정짓지 않 는 것이 그 특징임. 이를 ‘향찰문자학’ 또는 ‘향찰시학’ 등으로 부름. 궁극적으로 모든 어석상의 쟁 점은 향가에서 본래 의도한 것으로 전제함.

7) 신재홍(2000)·박재민(?)

: 문학적으로 자연스러운 어석을 만들기 위해 삼국유사 원전에 많은 오·탈자가 있을 것을 전제하 고, 문맥상 어색해지는 부분은 모두 원전의 오류로 단정함. 왜 하필 향가를 적은 부분에만 오·탈자 가 몰려 있는지 해명해야 하는데, 그렇게 해독한 성과가 양주동의 성과만큼 詩性을 갖추었는지도 의문임.

3. 어석의 실제 사례

1) 무난한 사례 : <처용가> ← 속요 <처용가>의 존재.

64 東京 明期 月良 夜入伊 遊行如可 <13음절>

1. 소창진평 ; 東京  애 밤들어 노니다가 0 2. 양주동 ;  긔 래 밤드리 노니다가 0 3. 지헌영 ; 셔블 기 래 밤드리 노니다가 0 4. 이 탁 ; 東京  애 밤들이 노니다가 0 5. 김선기 ; 사라뿔 빨간 딸애 밤들이 노니다가 + 1 6. 김준영 ; 東京 기 애 밤들이 노니다가 0 7. 서재극 ; 東京 기 라 밤드리 노니다가 0 8. 홍기문 ; 동 기 래 밤드리 노니다가 0 9. 김완진 ; 東京 기 라라 밤드리 노니다가 + 1 0. 전규태 ; 블 기  밤드리 노니다가 0 11.정렬모 ; 서울 밝은 달애 밤드리 노니다가 0 12.황패강 ;  기 래 밤드리 노니다가 0 13.신재홍 ; 東京 기 아 밤들이 놀니다가 0 14.유창균 ; 東京 기 이라 밤 들이 놀니다가 + 1 15.금기창 ; 東京 기 래 밤 드리 노니다가 0 16.강길운 ; 살벌 가라긔 돌아 밤드리 노니다가 + 1 17.아유가이 ; 동경 긔 다라 밤드러 놀앗다가 0 18.신채호 ; 東京 밝은 다래 밤들이 노니다가 0 19.마에마 ; 동경  애 밤들이 노니다가 0

(4)

20.유창선 ; 東京  애 밤들리 노녀다가 0

21.신태현 ; 東京  애 밤드러 노니다가 0

22.방종현 ; 東京  애 밤드리 노니다가 0

23.김형규 ; 셔 기 래 밤드리 노니다가 0

24.남광우 ; 셔블 긔 애 밤드리 노니다가 0

25.이기문 ; 東京 기 놀니다가 - 9

26.김상억 ; 새벌 발기 다래 밤드리 노니다가 0

27.김근수 ; 동경  래 밤드리 노니다가 0

28.최학선 ; 東京 긔 래 밤 드리 노니다가 0

29.박창원 ; 서라벌 기  밤드듸 놀니다가 + 1

30.고정의 ; 東京 긔 라 밤드리 노니다가 0

31.양희철 ; 東京 긔 아 밤들이 노니다가 0

32.최남희 ; 東京 기 라 밤드리 노니다가 0

33.권덕규 ; 東京 밝은 달에 새도록 노니다가 0

00.정창일 ; 東京 긘 럴 밤드이 노니여겨 0

65 入良沙 寢矣 見昆 脚烏伊 四是良羅 <14음절> 1. 소창진평 ; 들어사 자리에 보곤 가이 네히러라 + 1

2. 양주동 ; 드러 자리 보곤 가로리 네히어라 0

3. 지헌영 ; 드러 자리 보곤 가리 네히러라 + 1

4. 이 탁 ; 들어 잘 보 허틔 맛이어라 - 1

5. 김선기 ; 돌아사 자리 보곤 가롤이 낙이리라 0

6. 김준영 ; 돌아사 자릐 보곤 가로이 네이아라 0

7. 서재극 ; 드러사 자 보곤 갈의 너히아라 0

8. 홍기문 ; 드러 자리 보곤 가로리 너히어라 0

9. 김완진 ; 드러 자리 보곤 가로리 네히러라 0

0. 전규태 ; 들어사 자리 보곤 가히 네히어라 0

11.정렬모 ; 드러사 자릐 보곤 다리가 네시러라 0

12.황패강 ; 드러 자리 보곤 가리 네히어라 0

13.신재홍 ; 들어사 자 보곤 가로오이 네ㅎㅣ어라 + 1

14.유창균 ; 들아사 잘 보곤 갈오이 넉이라라 0

15.금기창 ; 드러사 자 보곤 가뢰 네히어라 - 1

16.강길운 ; 드라사 자레 보곤 허토이 덝이아라 0

17.아유가이 ; 드러 자는 보곤 달이 넷이러라 - 1

18.신채호 ; 드러서 자리에 보니 가라이 너이러라 + 1

19.마에마 ; 들어 자 보곤 가로ㅣ 네히어라 - 1

20.유창선 ; 들어셔 자리를 보곤 가이 네히러라 + 1

21.신태현 ; 드러사 몸채 보곤 허튀 네히러라 - 1

(5)

22.방종현 ; 드러사 자리 보곤 가리 네히러라 0 23.김형규 ; 도러사 자리에 보곤 가리 네시러라 + 1 24.남광우 ; 드러사 자 보곤 허토이 너이어라 0 25.이기문 ; 사 가리

26.김상억 ; 드러사 자리 보곤 가로리 네히어라 0 27.김근수 ; 드러셔 자리 보곤 가로리 네히여라 0 28.최학선 ; 드러 자 보곤 가리 네히러라 0 29.박창원 ; 들어 자 보곤 허튀 네히아라 - 2 30.고정의 ; 드러 자 보곤 허튀 네이아라 - 1 31.양희철 ; 돌아사 잘 보곤 허토이 넷이아라 0 32.최남희 ; 드러사 자리 보곤 가리 너이어라 0 33.권덕규 ; 들어 내자라를 보니 가랄이 네이로새라 + 1 00.정창일 ; 드러사 자릐 보곤 가롯이 넷 이어라 0

66 二肹隱 吾下於叱古 二肹隱 誰支下焉古 <16음절>

1. 소창진평 ; 둘은 나이엇고 둘은 누이언고 - 4 2. 양주동 ; 둘흔 내해엇고 둘흔 뉘해언고 - 4 3. 지헌영 ; 둘흔 내해엇고 둘흔 뉘ㅅ해언고 - 4 4. 이 탁 ; 두블은 내해엇고 두블은 누의해언고 - 1 5. 김선기 ; 두불깐 우리까옫고 두불깐 누기까안고 0 6. 김준영 ; 두블흔 내알엇고 두블흔 뉘ㅈ알언고 - 2 7. 서재극 ; 두블흔 나하엇고 드블흔 누히하언고 - 1 8. 홍기문 ; 두후른 내하엇고 두후른 누기하언고 - 1 9. 김완진 ; 두른 내해엇고 두른 누기핸고 - 2 0. 전규태 ; 두블흔 내하엇고 두블흔 뉘하언고 - 2 11.정렬모 ; 둘은 내해엿고 둘은 뉘기핸고 - 4 12.황패강 ; 둘흔 내해엇고 둘흔 뉘해언고 - 4 13.신재홍 ; 두흘ㄴ내 해어ㅅ고 두흔 눅ㄱ 해언고 - 2 14.유창균 ; 두블흔 내해엇고 두블흔 누기해언고 - 1 15.금기창 ; 두흘은 내해엇고 두흘은 뉘해언고 - 2 16.강길운 ; 버글흔 내게엇고 버글흔 누게언고 - 2 17.아유가이 ; 두흘은 나아엇고 두흘은 누기아언고 + 2 18.신채호 ; 둘흔 내해엇고 둘흔 누치해언고 - 1 19.마에마 ; 둘흔 내이엇고 둘흔 뉫이언고 - 4 20.유창선 ; 두흘은 내엇고 두흘은 뉘언고 - 2 21.신태현 ; 둘은 내해엇고 둘은 뉘해언고 - 4 22.방종현 ; 둘흔 내해엇고 둘흔 뉘기해언고 - 3 23.김형규 ; 둘흔 내해엇고 둘흔 뉘해언고 - 4

(6)

24.남광우 ; 두흘은 나하엇고 두흘은 뉘하언고 - 2 25.이기문 ; 두블은 두블은 뉘해언고 26.김상억 ; 둘흔 내해엇고 둘흔 뉘해언고 - 4 27.김근수 ; 두블흔 내해엇고 두블흔 뉘해언고 - 2 28.최학선 ; 둘흔 내해엇고 둘흔 뉘해언고 - 4 29.박창원 ; 두은 내해어시나 두은 누디해언고 0 30.고정의 ; 두른 내해엇고 두른 누기핸고 - 2 31.양희철 ; 두흘은 내하엇고 두흘은 누기하언고 - 1 32.최남희 ; 두블흔 나하엇고 두블흔 누기하언고 - 1 33.권덕규 ; 아으 둘흔 내해어니와 둘흔 뉘해어니오 0 00.정창일 ; 두흐른 내 아러싀고 두흐른 누디 아런고 0

67 本矣 吾下是如馬於隱 奪叱良乙 何如爲理古 <18음절>

1. 소창진평 ; 믿이 내이다마 빼앗어늘 엇디릿고 - 2 2. 양주동 ; 본 내해다마 아 엇디릿고 - 3 3. 지헌영 ; 본 내해다마 아늘 엇디리고 - 3 4. 이 탁 ; 본의 내해아말은 앗안을 얻리고 - 3 5. 김선기 ; 모토이 우리까이다말은 앗을랑을 아다까리고 + 1 6. 김준영 ; 본 내알이다마언 앗아을 엇다리고 - 2 7. 서재극 ; 아 나하이다마는 아사 엇다리고 - 2 8. 홍기문 ; 아세 내하이다마 바 엇뎨리고 - 2 9. 김완진 ; 본 내다마 아 엇디릿고 - 2 0. 전규태 ; 본 내하이다마언 앗아늘 엇디릿고 - 2 11.정렬모 ; 본의 내해이엿마는 앗아늘 어이할고 - 3 12.황패강 ; 본 내해다마 아 엇디릿고 - 3 13.신재홍 ; 아 내 해ㅣ다 마ㄴ 앗ㅅ아ㄹ 엇뎌다 리고 - 2 14.유창균 ; 본 내해이다마 아슬랑을 엇뎨 릿고 0 15.금기창 ; 본 내해다마 아사 엇디리고 - 2 16.강길운 ; 본듸 내게이다모런 아 엇다 허리고 - 3 17.아유가이 ; 본 나아이다마어은 을랑을 엇치리고 + 1 18.신채호 ; 本듸 내해언만 빼앗긴 것을 엇지할고 - 3 19.마에마 ; 본 내이다마 아 엇디고 - 4 20.유창선 ; 본 내다마는 아어늘 엇더리고 - 2 21.신태현 ; 본 내해이다마 아늘 엇디 하리 - 2 22.방종현 ; 본 내해이다마 어 엇디릿고 - 2 23.김형규 ; 본 내해다마 아사 엇디릿고 - 3 24.남광우 ; 미틔 나하이다마 아사 엇더리고 - 2 25.이기문 ; 미틔 아살 엇다

(7)

26.김상억 ; 본대 내해다마런 아사늘 엇디하릿고 - 3 27.김근수 ; 본 내해이다마 아사 엇디릿고 - 2 28.최학선 ; 믿이 내해다마 아 엇다릿고 - 3 29.박창원 ; 미 내해다마 일을 엇뎌리고 - 2 30.고정의 ; 미 내해이다마 아 엇더 리고 - 1 31.양희철 ; 本 내하이다말언 앗알 엇다 리고 - 3 32.최남희 ; 미듸 나하이다마 아살 엇다리고 - 4 33.권덕규 ; 본대 내해이다마르는 아인들 어떠하리오 - 1 00.정창일 ; 本의 내 아리엿마러는 아싄을 어여 理고 0

2) 주제의 이해에 지장이 없는 정도의 쟁점이 발생하는 사례 : <모죽지랑가>

68 去隱 春 皆理米 毛冬 居叱沙 哭屋尸以 優音(阿) <17음절>

1. 소창진평 ; 가 봄이 다 다리몌 모든 것이사 울오어 설음 + 2 2. 양주동 ; 간봄 그리매 모 것 우리 시름 - 4 3. 지헌영 ; 간봄 그리매  잇사 울을 이 시름 - 4 4. 이 탁 ; 니언 봄 임 몯  울어 시름 - 4 5. 김선기 ; 깐 밤(봄)가리매 모든 곧사 울을 이 시름 - 3 6. 김준영 ; 간봄 긔리몌 모 잇사 울올이 시름 - 3 7. 서재극 ; 간봄 리매 모 앗사 우롤이 시름 - 3 8. 홍기문 ; 간봄 다리 모 사 우리 시름 - 3 9. 김완진 ; 간봄 모ㄷ오리매 모 기샤 우을 이 시름 - 1 0. 전규태 ; 간 봄 긔리매 몯 것사 울이 시름 - 4 11.정렬모 ; 가는 봄 다리매 모든 것사구로 시름 - 3 12.황패강 ; 간 봄 그리 몯 사 울이 시름 - 3 13.신재홍 ; 가ㄴ 봄 리 모다 잇/머뭇ㅅ사 울오ㄹ이 시름ㅁ - 2 14.유창균 ; 간 봄 그리며 모 거슬사 울올로 시름 - 2 15.금기창 ; 간 봄 기리매 모 겨시샤 울올 이 시름 - 2 16.강길운 ; 간 발 물리메 몯들 거즈사 울올이 시름 - 2 17.정연찬 ; 간 봄 리매 몯 거스사 우올이 시름 - 2 18.김상억 ; 간 봄 그리매 모든 것사 우리 시름 - 4 19.이임수 ; 가 봄 다이매 모 것 우롤 이 시름 - 2 20.최학선 ; 간봄 다 다리메 모 곳사 우러시름 - 2 21.신석환 ; 가 봄 모 다리매 모 앗사 울올로 시름 + 1 22.엄국현 ; 간 봄 리매 모 잇사 울올이 시름 - 3 23.김형춘 ; 간 봄 그리매 모 것사 우롤이 시름 - 3 24.양희철 ; 간 봄 다리매 모 깃사 올올로 시름 - 2 25.최남희 ; 간 봄 리 모 거시사 우롤 이 시름 - 2

(8)

00.정창일 ; 가 봄 다 理메 맛겨 사싈사 웃브힐 시름(아) 0

69 阿冬音 乃叱好支賜烏隱 皃史 年數 就音 墮支 行齊 <20음절>

1. 소창진평 ; 어듸메 나 됴화샨 짓 年數 닐움에 러뎌 녀제 0 2. 양주동 ; 아 나토샤온 즈 살쯈 디니져 - 7 3. 지헌영 ; 아 토(ㅅ)샤온  살음 디ㅅ니져 - 8 4. 이 탁 ; 어들음 날도은 지ㅅ 잦옴 디어 녀 - 4 5. 김선기 ; 아돔 낟고리 주온 즛이 나수 마촘 디니녀재 - 3 6. 김준영 ; 아 낫호ㅈ샤온 즈시  두시 디ㅈ니져 - 5 7. 서재극 ;  나토히시온 즛 年數 나삼 헐히니져 - 3 8. 홍기문 ; 어두름 나토디샤온  여줌 디 녀져 - 3 9. 김완진 ; 곳 기시온 즈  혜나 헐니져 - 4 0. 전규태 ; 아 나토샤온 즈시 살쯈 디닛져 - 7 11.정렬모 ; 아쉼냇 즐기샤감은 즈시 나이 쥼 디기녀져 - 3 12.황패강 ; 아음 낫호샤온 즈 年數 주음 디니져 - 4 13.신재홍 ; 아ㅁ ㅅ 둏기시오ㄴ 시 年數  디기녈져 - 3 14.유창균 ; 아낫 고비기시온 즈시 나히 마 디기니져 - 1 15.금기창 ; 아룸 나토치샤온 즈시 年數 나사감 디치 니져 - 1 16.강길운 ; 아드름 나토손 즈시 나스 들음 러니져 - 4 17.정연찬 ; 아 낟호시온 즈시 나히 마츔 디니져 - 5 18.김상억 ; 아름 나토샤온 즈지 살쭘 디니져 - 7 19.이임수 ; 아  됴시온 즛 數 나삼 헐니져 - 4 20.최학선 ; 아 낫됴샤온 즈 살쭘 디니져 - 7 21.신석환 ; 아 나토히시온 즈시 年數 나 헐히니져 - 2 22.엄국현 ; 아 나토히시온 즈 數 나 헐니져 - 3 23.김형춘 ; 아돔 낫호시온 즈시 年數 마촘 디니져 - 5 24.양희철 ; 두음 곳 둏기 주시온 즈시  헤나삼 딥니져 - 2 25.최남희 ; 아삿 됴히시온 즈시 年數 나 디히니져 - 2 00.정창일 ; 겨슴내 싀됴럿드오 즈시  헤아룜 러, 녀제 0

70 目煙 廻於尸七 史伊衣 逢烏支 惡知 作乎下是 <18음절>

01.소창진평 ; 目煙 멀 에 맛나오어 지오이리 - 3 02.양주동 ; 눈 돌칠 이예 맛보디 지리 - 5 03.지헌영 ; 눈(연)돌얼ㅅ(칠)사이에 맛보옷 엇지 지호리 - 3 04.이 탁 ; 눈에 돌알 즛 맞오아 디을이 - 5 05.김선기 ; 눈깔 둘을칠 이의 맞오리 굳디 짓고까이 - 1

(9)

06.김준영 ; 눈 돌얼칠 이의 맞보오ㅈ구디 지오이 - 2 07.서재극 ; 눈 돌을 츠시의 맛보히 엇디 짓와리 - 4 08.홍기문 ; 눈 도칠 의 맛보디 아디 지아리 - 2 09.김완진 ; 누늬 도랄업시 뎌옷 맛보기 엇디 일오아리 - 1 10.전규태 ; 눈 돌칠 이예 맞보지 짓오리 - 5 11.정렬모 ; 눈애 도릴치리 이의 마주감기오지 다오아리 0 12.황패강 ; 눈 돌칠 이의 맛보디 엇디 지아리 - 3 13.신재홍 ; 눈 돌오ㄹ 없시 이 맛보오기 엇디디 짓오알이 + 1 14.유창균 ; 누 돌을 스시 마조기 엇뎨 일오아리 - 3 15.금기창 ; 눈 내돌칠 시애 맛보기 엇디 짓오아리 - 2 16.강길운 ; 눈의 돌을 업시 이에 맞보악 지리 - 4 17.정연찬 ; 눈 돌올칠 이의 맞보악디 짓오하이 - 3 18.김상억 ; 눈돌칠 사이에 맞보압디 지조리 - 5 19.이임수 ; 눈 도랄치ㅅ 뎨 맛보기 엇디 일오아리 - 4 20.최학선 ; 눈돌칠 이 맛보디 지리 - 5 21.신석환 ; 눈 돌얼 스시예 맞보히 앗디 일오아리 - 3 22.엄국현 ; 눈 돌얼 스시예 맛보히 엇디 일오아리 - 2 23.김형춘 ; 눈 도올칠 이의 맛보악디 짓오하이 - 3 24.양희철 ; 눈 돌얼 칠 시이의 맛보기 엇디 짓온 하이 - 1 25.최남희 ; 눈 도롤 시 맛보기 앗디 지소아리 - 3 00.정창일 ; 눈 도럴히츨시 /i/옷 마초아 惡知 지호아리 0

71 郞也 慕理尸 心未 行乎尸 道尸 蓬次叱 巷中 宿尸 夜音 有叱下是<25음절>

1. 소창진평 ; 郞也 그릴 의 녀올 길이 질 굴헝에 잘 밤이 잇이리(오) - 3 2. 양주동 ; 郞이야 그릴  녀올 길 다봊ㅅ 구러 잘 밤 이시리 - 4 3. 지헌영 ; 郞여 그  녀올 길 띠ㅅ 굴허 잘 밤 잇호리 - 7 4. 이 탁 ; 여 그릴  녀올 길 바봇ㅅ 골애 잘 밤 잇이 - 7 5. 김선기 ; 님이야 가릴 마삼애 녀올 길 부짇 골애 잘 밤 앋까이 - 8 6. 김준영 ; 郞여 그릴 매 녀올 길 다봊 굴허히 잘 밤 잇이 - 5 7. 서재극 ; 郞이야 그릴  녀롤 길 다봊ㅅ 굴 잘 밤 이사리 - 4 8. 홍기문 ; 랑야 그릴  녀훌 길아야 다봊짓 골안 잘 밤 이시아리 - 3 9. 김완진 ; 郞이여 그릴  즛녀올 길 다보짓 굴헝 잘 밤 이샤리 - 4 0. 전규태 ; 郞이야 그릴 믜 녀올 길 다봊 굴 잘 밤 잇시리 - 4 11.정렬모 ; 랑이라 그릴 맘이 녀올 길 거칫 거리해 잘 밤 잇아리 - 5 12.황패강 ; 郞이여 그릴  녀올 길 다봊  잘 밤 이사리 - 4 13 신재홍 ; 郞야 그리리ㄹ  녀오ㄹ 길ㄹ 다봊ㅅ굴 잘ㄹ 밤ㅁ 잇ㅅ알이 - 3 14.유창균 ; 郞이야 그릴  니올 길 달집 골 잘 밤 이사리 - 5 15.금기창 ; 郞이여 그릴  니올 길 다봊 굴 잘 밤 이시아리 - 2

(10)

16.강길운 ; 마루여 그릴 마에 녀롤 길 다봊 굴헝의게 잘 밤 이리 - 3

17.정연찬 ; 郞야 그릴 마미 녀올 길 다봊 굴헝에 잘 밤 이시하이 - 5 18.김상억 ; 낭여 그릴 마자매 녀올 길 다봊 굴허헤 잘 밤 이시리 - 5

19.이임수 ; 郞여 그릴  녀올 길 다봊ㅅ 굴헝 잘 밤 이샤리 - 5

20.최학선 ; 郞이여 그릴  녀을 길 다봊  잘밤 이시라 - 4

21.신석환 ; 마리여 그릴  녀올 길 다보 굴 잘밤 이사리 - 3

22.엄국현 ; 郞이야 그릴  녀올 길 다봊  잘밤 이사리 - 4

23.김형춘 ; 郞야 그릴 미 녀올 길 다봊 굴에 잘 밤 이시하이 - 4

24.양희철 ; 郞야 그릴  니올 길 다보짓 골 잘 밤 이싯 하이 - 4 25.최남희 ; 郞야 그릴  녀올 길 다봊ᅙ 굴 잘 밤 이시아리 - 4

00.정창일 ; 郞야 그릴히 心긋 行홀히 길히 蓬次싀 港中 묵힐 어둠 이싀아리 0

3) 난해한 사례 : <원가> 72 物叱好支 栢史 秋察尸 不冬 爾屋攴 墮米 <16음절> 1. 소창진평 ; 것쳐 잣(이)  안들 갓가오어 러디몌 - 1

2. 양주동 ;  자시  안 이울이디매 - 3

3. 지헌영 ; 믈흣   안리옷디몌 - 4

4. 이 탁 ; 돋 잣  안 을이디매 - 3

5. 김선기 ; 갇고디 잣이 가살 안들 니오디매 - 2

6. 김준영 ; 뭀홎 자시  안들 이오ㅈ 디몌 - 4

7. 서재극 ; 물ㅅ됴히 잣  안 글오히디매 - 3

8. 홍기문 ; 갓 됴히 자  안 이리 디매 - 2

9. 김완진 ; 갓 됴히 자시  안곰  디매 - 3

0. 전규태 ; 믈흿 자시  안 이우리 디매 - 3

11.정렬모 ; 묻 즐기 자시 가슬 아니되움 기디매 - 2

12.황패강 ; 갓 됴히 자시  안 글오히 디매 - 2

13.신재홍 ; 갓ㅅ둏히 자시시 ㄹ안 니르기 디 0

14.유창균 ; 빗 고비기 자시  모 이오기 디며 - 1

15.금기창 ; 갓 됴히 자시  안 니위 디매 - 3

16.강길운 ; 뭀 됴흔 자스 고 안들 갓가 디메 - 2

17.신재홍 ; 갓 됴히 자시  안 니르기 디 - 2

18.김상억 ; 맏희 자지 가잘 안달 이울이리디매 - 2

19.최학선 ; 갓 됴히 자  안 이우리 디매 - 2

20.양희철 ; 믌 둏기 자시  안들 니옵 디매 - 3

21.최남희 ; 갓 됴히 자시  안 너오히 디 - 2

00.정창일 ; 가싀 됴턴 비 히 아겨 이브러 메 0

*物은 ‘갓’ 혹은 ‘것’. *아니다+겨다->아겨. *이블다는 시들다,병들다.

(11)

73 汝 於多攴 行齊敎因隱 仰頓隱 面矣 改衣賜乎隱 冬矣也 <23음절>

1. 소창진평 ; 너 어듸 녀제이신 울워조을은 애 고티샤온 들로 - 2 2. 양주동 ; 너 엇디 니져이신 울월던 치 겨샤온 - 6 3. 지헌영 ; 너 어 니져이신 울월던 츼 고티샤온 겨을여 - 3 4. 이 탁 ; 너 얻 닏어잇은 울올 날아 가온 듸여 - 4 5. 김선기 ; 나오다기 니져이신 울올돈 낯이 고띠샤온 겨월이라 - 1 6. 김준영 ; 너 어ㅈ 니져이신 울월 의 고티샤온 겨슬이여 - 1 7. 서재극 ; 너다히 녀져신 울월돈  가시온 야 - 3 8. 홍기문 ; 너 엇더히 니저 친 울월던 나치 고티샤온 디야 0 9. 김완진 ; 너를 하니져 시론 울월던  가시온 겨레여 0 0. 전규태 ; 너 엇뎨 니져 이신 우럴던 이 고티샤온 겨이여 - 2 11.정렬모 ; 너 어다 기녀져 이신은 처든 나츼 개의샤온 뒤라 - 4 12.황패강 ; 너 엇뎨 니저 치신 울월던  샤온 여 - 5 13.신재홍 ; 너어 다히 녈져 시인ㄴ 울월ㄴ  가시오ㄴ야 - 7 14.유창균 ; 너 어다기 니져 시 울월이 낯 가시온 라 - 8 15.금기창 ; 너다 니져 신 울월던  가샤온 리여 - 4 16.강길운 ; 너 엇다 녈 이스므론 울던 너츼 가싀손듸여 - 4 17.신재홍 ; ‘너어 다히 녈져’ 하신 울월  가시온 야 - 4 18.김상억 ; 너 엇디 니져이신 우뤌던 나치 계샤온대 - 7 19.최학선 ; 너 엇뎨 니저이신 울월던 치 온여 - 6 20.양희철 ; 너어답 니져 이시인 울월돈 의 가싀의시온 드의라 - 2 21.최남희 ; 너다히 니져 울월돈 시 가시온 야 - 6 00.정창일 ; 너 어더러 녀제 敎因은 우러른 츼 바롯드호 겨싀야 0

74 月羅理 影攴 古理因 淵之叱 行尸浪阿叱 沙矣以 攴如攴 <22음절>

1. 소창진평 ; 의 그림자 고인 못 녈금 모래애 머물러 - 4 2. 양주동 ;  그림제 녯 모샛 녈 믌결 애와티 - 8 3. 지헌영 ; 달빛 고이(옌)소애ㅅ 녀믌결 사이 잇 - 8 4. 이 탁 ;  그리 그린 못 닐 믓결 갓아디듯 - 7 5. 김선기 ; 딸이 오디고딘 못앧 녈 묻걀앋 사이 이디다니 - 4 6. 김준영 ; 리 그리멪 녜리인 못 닐 믈결앳 사이 지ㅈ - 4 7. 서재극 ; 리 얼히고 다 모 녈믈 ㅅ사 히다히 - 4 8. 홍기문 ;  그르메 딘 네 모지ㅅ 녈 믈결로 몰애의 이기다히 0 9. 김완진 ; 라리그르메 린 못 녈 믌겨랏 몰애로다 - 4 0. 전규태 ;  그리메 녜린 못앳 닐 믌결앳 새이 - 7

(12)

11.정렬모 ; 다리 그립기 나린 모짓 녈 물앳 모래로고여기 - 4 12.황패강 ; 리 그림제 녯 못앳 녈 믓결  몰앳이 - 8 13.신재홍 ; 랄라리 그르기 고리인 못ㅅ 녈ㄹ믌결아ㅅ이기 다히 0 14.유창균 ; 라리 그르머기 고린 못 녈 믈결앗 몰 머믈기다기 0 15.금기창 ; 리 그르메 치고 다린 모 닐 믈ㅅ 모애 이치다 0 16.강길운 ; 돌알이 그름 녀린 소엣 녈 믌결앳 몰게 이다 - 4 17.신재홍 ; 라리 그르기 고린 못 녈 믌겨랏 이기 다히 - 3 18.김상억 ; 달그림제 넷 모샛 녈 믌결 애와치닷 - 8 19.최학선 ;  그림제 녯 모샛 녈믌결 애와티 - 8 20.양희철 ; 라리 비쵭 녀리인 못 닐 믌결앗 몰긔의 입답 - 3 21.최남희 ; 라리 얼히고인 모ᅙ 녈 믌겨라ᅙ 몰 이히다히 - 2 00.정창일 ; 라 理影러고 理因 모질싀 녈히결아 싈사의 이러여런 0

75 皃史沙叱 望阿乃 世理都 之叱逸烏隱 第也 <17음절>

1. 소창진평 ; 짓을사 바라나 누리도 지즐온 제요 - 3 2. 양주동 ;  라나 누리도 아쳐론 뎨여 - 4 3. 지헌영 ; 못ㅅ 라나 누리셔블앳 일안뎨여 - 3 4. 이 탁 ; 즛아 믇 라나 누리도 이럿 을온듸여 - 3 5. 김선기 ; 짓이사 바라나 누리도 갓 일은 집이야 - 2 6. 김준영 ; 즈시삿 나 누리 모 이론뎨여 - 3 7. 서재극 ; 즛사ㅅ 라나 누리도 즛론뎨야 - 4 8. 홍기문 ; 지ㅅ 라나 누리도 지즈로 일온 뎨야 - 1 9. 김완진 ; 즈 라나 누리 모갓 여온 여 - 1 0. 전규태 ; 즛사 라나 누리도 애처론 뎨야 - 4 11.정렬모 ; 즈시삿 바라나 누리도 짓 일감은 녜라 - 2 12.황패강 ;  라나 누리모돗 일은 뎨여 - 4 13.신재홍 ; 시사ㅅ 라아나 누리리 아모ㅅ숨오ㄴ 뎨야 0 14.유창균 ; 즈시삿 라나 누리도 이저기 리온뎨라 + 1 15.금기창 ; 즈시삿 라나 누리 모도 이론 뎨여 - 2 16.강길운 ; 즈스삿 바라나 누리두 앳다론 데여 - 3 17.신재홍 ; 자삿 라나 누리 아모잊 숨온 뎨야 - 2 18.김상억 ; 즞사 바라나 누리도 앛쳐론뎨여 - 4 19.최학선 ;  라나 누리도 아쳐론 뎨여 - 4 20.양희철 ; 즈시삿 라아나 누리도 읫 리온뎨라 0 21.최남희 ; 즈시사ᅙ 라나 누리 모다ᅙ 일온 뎨야 - 2 00.정창일 ; 즈싈사싀 라내 世理 다지싈 逸오 第야 0

(13)

76 後句 亡

(후구는 잃었음)

4. 유의점

① 방정식에서처럼 ‘검산’의 절차가 필요함.

- 다단계의 추론을 거치지 않고, 더 쉽게 표기할 방법이 있지 않았는지?

- 반드시 원전처럼 표기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는가?

예) 皆理米 - 모도리(<모죽지랑가>), 次肹伊遣 - 머믓그리고[←흘이고](<제망매가>).

②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오자, 결자의 가능성을 남발하여 원전을 존중하지 않는 태도의 경계.

예) 세주·보주로 새겨진 작은 글자를 윗글자에 합쳐 오각한 경우 가정(신재홍:2000) : 㵛 → 洋古, 屋 → 尸至.

③ 한 작품 안에서 같은 문자를 여러 가지로 읽고 있지 않은가?

참조

관련 문서

그가 청력을 잃은 후, 많은 사람들은 그 가 너무 가망이 없어서 계속 음악을 창작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 하였습니다.. 그러나 베토벤은 그만의

바이트(드릴)가 정확한 구멍 위치에서 똑바로 진행하여 구멍을 정확하게 뚫을 수 있다면 이상 적인 일이나 실제로는 바이트를 유지하기가 어 려워 자세가 불안정해지면서 피어싱 위치가

그는 자 신의 생명을 위해 싸워야 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희망에 가득 차 있었고, 아름다운

일본의 사례 검토 결과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이나 신속 한 의사결정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본에서는 집행임원제와 감사위원회를

(委員長)神本 武征 (東海大学 教授). 飯田

도입 당시 이 주제는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벌어졌었다. 강행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도 있었고, 도입은 하되 임의적인 것으로 두자는 의견도 있었다.

歌而文之者爲詩, 詩而被之管絃者爲歌, 歌與詩固一道也.. 自三百篇變而爲古詩,

아주대학교병원 또한 병원 차원에서 학대받는 아동들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 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