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섬유산업의 전후방산업연관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섬유산업의 전후방산업연관분석"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박 훈 (연구위원·주력산업실)

hoon@kiet.re.kr

섬유산업의 전후방산업연관분석

국내 섬유산업은 섬유산업 내 스트림 간 연관관계가 매우 높은 가운데 최 근 들어 전후방산업과의 연관관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섬유산업은 스트림 간·전후방산업과의 협업 부족 등으로 고기 능성·고성능 섬유소재 및 제품에 대한 국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써 수입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자동차, 환경, 의료 등 전방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도 제대로 못함으로써 전방산업의 중간재 로 사용되는 섬유소재 및 제품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글로벌 수요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스트림 간 협력 등을 통한 신제품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세계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섬유산업은 앞으로 국내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 수요에 능동 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스트림 간·전후방산업과의 협력을 통해 고부가가 치·차별화제품 생산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전방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신시장 개척을 추진해야 한다.

〈요 약〉

1. 문제 제기

섬유산업은 업스트림(원료, 섬유 사) - 미들스트림(직물, 염색·가공) - 다운스트림(의류, 기타 섬유제품)에 이르기까지 세분화되어 있는 다단계 의 생산공정(스트림)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스트림 간 유기적인 연

관관계를 통해 생산 활동을 하고 있 다. 즉, 섬유원료는 대부분 섬유사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고, 섬유사는 섬유 직물 및 의류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 며, 섬유직물은 의류 및 기타 섬유제 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산업의 복합화·융합화가 빠르 게 진전되면서 섬유산업과 자동차, 환

(2)

경, 의료, 디지털, 토목·건축 등 분야 의 기술융합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로 인해 이들 연관산업과의 협력도 중요 성을 더해가고 있다. 섬유소재의 경우 자동차용(캐빈필터, 연료필터, 내장재, 안전벨트 등), 환경용(에어필터, 액체 필터 등), 에너지 저장용(세퍼레이 터), 의료용(수술용 봉합사, 생체 상 처치료제, 인공신장 등), 우주·항공용, 건축·토목용 등으로의 사용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고, 의류분야의 경우도 일 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디지털 장치와 기능을 의복 내에 통합시킨 디지털 스마트 의류(Smart Wear)의 실용화 를 앞두고 있다.

이처럼 다단계의 스트림으로 구성 된 섬유산업은 스트림 간 협업을 통 한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환경, 의료, 디지 털 등 전후방산업과의 협업을 통한 신시장 개척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섬유산업은 스트림

간·전후방산업과의 협력 미흡 등으로 신제품 개발이나 신시장 개척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산업 내 스트림 간·전후방산업과의 연관관계 및 대외 의존도 분석을 통해 스트림 간·전후방 산업과의 협력 정도를 판단하고 섬유 산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섬유산업의 전후방연관분석 (1) 연관산업에 대한 효과

국내 섬유산업은 전후방산업 연관 효과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우 선 후방산업에 미치는 효과는 제조업 평균을 능가하고 있지만, 효과 정도는 제조업 평균보다 빠른 속도로 약화되 고 있다. 전방산업에 미치는 효과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을 뿐만 아니 라 제조업 평균을 하회하는 낮은 수 준에 머물고 있다.

<그림 1> 섬유산업의 가치사슬

주 : 수치는 2006년 기준.

(3)

우선 후방산업에 미치는 효과를 나 타내는 영향력계수1)의 경우 2003년 현재 1.077로 제조업 평균보다 0.031 포인트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지만, 1990년보다 10.4%나 하락하였다. 이 는 섬유산업에서의 최종수요 증가가 연관산업의 생산 증가에 미치는 효과 는 제조업 평균보다 크지만, 효과 정 도가 하락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방산업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 는 감응도계수2)의 경우 1 이하로 철 강, 석유화학, 제지 등 여타 소재산업 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주요 소재산업들의 감응도계수를 살 펴보면 유기화학기초제품(2.194), 철

강 1차 제품(1.723), 제지(1.682), 선 철 및 강반성품(1.485), 플라스틱제품 (1.325),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1.120), 비철금속(1.107) 등이 1을 넘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연관산업 의 최종수요 증가에 따른 섬유산업에 의 영향력이 낮음을 의미한다. 단지, 산업용 및 생활·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기타 섬유제품은 감응도계수가 지속 적으로 상승하는 등 전방산업과의 연 관관계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섬유산업이 후방산업에 미치 는 효과를 생산유발계수3)와 부가가치 유발계수4)를 활용해 살펴보면 두 계 수 모두 제조업 평균을 상회하는 높

<표 1>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전후방연쇄효과 추이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

1990 1995 2000 2003 1990 1995 2000 2003 방적사 1.112 0.910 1.016 0.927 1.153 0.711 0.754 0.728 섬유직물 1.198 1.106 1.023 1.064 1.065 1.023 1.008 0.961 의류 1.203 1.035 1.154 1.061 0.577 0.662 0.596 0.633 기타 섬유제품 1.240 1.158 1.191 1.129 0.700 0.672 0.725 0.739 화학섬유 0.983 0.987 1.069 1.072 1.104 0.868 0.894 0.774

섬유산업 1.202 1.064 1.119 1.077 - - - -

제조업 1.113 1.083 1.055 1.046 - - - -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중분류)」, 각 연도.

1) 영향력계수는 특정 산업의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연관산업에 미치는 영향(후방연 쇄효과)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2) 감응도계수는 연관산업들의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특정산업에 미치는 영향(전방연 쇄효과)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3) 생산유발효과는 특정 부문에서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해당산업 및 연관산업에 미 치는 직·간접 생산파급효과를 의미한다.

4)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어떤 특정부문에서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국민경제 전체에 직·간접으로 미치는 부가가치파급효과를 의미한다.

(4)

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섬유 산업에서의 최종수요 증가가 다른 산 업에서의 최종수요 증가보다 전체 산 업의 생산 및 부가가치 증가에 미치 는 효과가 더 큼을 의미한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제조업의 생산유발계 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가 모두 상승 한 것과는 달리, 섬유산업은 하락세를 나타내는 등 후방산업에 미치는 영향 력 정도가 약화되었다.

섬유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2003년 현재 2.024로 제조업 평균인 1.972보 다 0.052포인트 높은 수준이지만, 2000년보다는 4.2% 하락하였고, 부가 가치유발계수도 2003년 현재 0.676으 로 제조업 평균인 0.643보다 0.033포 인트 높은 수준이지만, 2000년보다는 소폭 하락하였다.

(2) 중간재 투입구조 변화

섬유산업은 중간 투입물의 상당부

분을 섬유산업 내에서 조달하고 있지 만, 최근 들어 섬유산업 내에서의 조 달 비율은 낮아진 반면, 후방산업으로 부터의 조달 비율은 높아졌다.

섬유산업의 중간재 투입비율을 살펴 보면 연관산업 제품의 투입비율이 2000년 24.9%에서 2003년 28.3%로 3.4%포인트 높아졌다. 섬유산업의 중 간재로 가장 많이 투입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입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분 야는 석유화학(14.4%), 정밀화학 (3.2), 플라스틱(3.2%) 등이다. 이는 섬유산업이 후방산업과의 연관관계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석유화학, 정밀화학, 플라스틱산업과의 연관관계 가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섬유산업 내에서의 중간재 조 달 비율도 염색·가공이 크게 높아졌 다. 염색·가공 투입 비율은 2000년 5.6%에서 2003년 16.2%로 세 배 가 까이 높아졌다. 이는 섬유산업 내에서 염색·가공분야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

<표 2>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계수 추이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1990 1995 2000 2003 1990 1995 2000 2003 방적사 2.128 1.674 1.929 1.747 0.518 0.438 0.579 0.526 섬유직물 2.291 2.035 1.943 2.005 0.630 0.642 0.661 0.663 의 류 2.301 1.906 2.191 1.999 0.636 0.678 0.696 0.690 기타 섬유제품 2.372 2.130 2.262 2.127 0.696 0.731 0.716 0.742 화학섬유 1.880 1.816 2.030 2.021 0.483 0.496 0.493 0.503 섬유산업 2.299 1.966 2.113 2.024 0.637 0.659 0.680 0.676 제조업 2.056 1.946 1.959 1.972 0.670 0.686 0.627 0.643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중분류)」를 이용하여 작성.

(5)

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국내 섬유 산업이 고부가가치·차별화 제품 생산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염색·가공 분야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차별화 섬유소재의 경우 염색·가공 공정을 통해 부가가치를 3~10배 정 도 높일 수 있다.

주요 분야별 중간재 투입비율을 살

섬유산업 연관산업(후방산업)

전체 분야별 전체 분야별

2000 0.9 - 91.1 석유화학(89.3), 정밀화학(3.5),

화학 제지·인쇄(2.2), 플라스틱(1.9)

섬유 2003 0.1 - 99.9 석유화학(91.2), 정밀화학(2.9),

제지·인쇄(2.5), 플라스틱(1.5) 2000 89.9 화학섬유(67.7), 방적사(16.9), 10.1 제지·인쇄(2.9), 정밀화학(2.1),

방적사 염색·가공(4.2) 기계(1.5)

2003 88.5 화학섬유(68.5), 방적사(13.8), 제지·인쇄(3.3), 정밀화학(1.6), 염색·가공(5.2) 11.5

기계(1.6) 2000 90.3 화학섬유(39.2), 방적사(32.9),

직 물 염색·가공(12.1) 9.7 정밀화학(4.7), 석유화학(1.7)

2003 93.0 방적사(34.1), 염색·가공(32.5),

화학섬유(22.9) 7.0 정밀화학(3.0), 석유화학(1.3) 염색·가공(19.3), 정밀화학(48.8), 석유화학(9.7), 2000 21.7

기타 섬유제품(2.3) 78.3 제지·인쇄(4.5), 플라스틱(3.5), 기계(2.2)

염색·가공

기타 섬유제품(2.4), 정밀화학(61.6), 석유화학(12.5), 2003 3.1

염색·가공(0.6) 96.9 제지·인쇄(5.7), 기계(4.2), 플라스틱(3.3) 2000 85.6 직물(69.3), 방적사(7.8), 가죽·모피(4.0), 제지·인쇄(3.2),

염색·가공(3.9) 14.4

플라스틱(2.7) 의 류

2003 83.5 직물(51.8), 염색·가공(13.9), 가죽·모피(4.6), 제지·인쇄(3.6),

방적사(10.7) 16.5 플라스틱(3.3)

2000 68.3 직물(37.2), 기타 섬유제품(12.1),

31.7 석유화학(15.6), 플라스틱(7.0),

기타 화학섬유(10.2), 방적사(7.3) 정밀화학(2.7), 제지·인쇄(2.2)

섬유제품 2003 62.0 직물(26.8), 기타 섬유제품(13.3), 석유화학(18.0), 플라스틱(9.2), 화학섬유(10.8), 염색·가공(6.3) 38.0 제지·인쇄(2.9), 정밀화학(2.6) 직물(30.5), 화학섬유(19.7), 석유화학(12.7), 정밀화학(3.0), 2000 75.1 방적사(15.2), 염색·가공(5.6), 24.9 플라스틱(2.6), 제지·인쇄(2.2),

섬유산업 기타 섬유제품(3.8) 가죽모피(1.3), 기계(0.7)

전체 직물(22.4), 염색·가공(16.2), 석유화학(14.4), 정밀화학(3.2), 2003 71.7 방적사(15.7), 화학섬유(12.6), 28.3 플라스틱(3.2), 제지·인쇄(2.5),

기타 섬유제품(4.1) 가죽모피(1.6), 기계(0.8)

<표 3>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중간재 투입구조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소분류)」, 각 연도.

주 : 수치는 각 산업의 전체 중간재 투입액(서비스, 연료 제외)에서 차지하는 각 분야별 중간재 투 입 비율임.

단위 : %

(6)

펴보면 우선 우리나라의 주력 생산분 야인 직물의 경우 섬유소재인 방적사 와 화학섬유의 투입 비율이 높은 수 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염색·가 공분야의 투입비율이 2000년 12.1%

에서 2003년 32.5%로 크게 상승하였 는데, 이는 업체들이 염색·가공을 통 해 제품 고부가가치·고기능화를 추구 한 데 기인한다. 의류의 경우도 섬유 소재인 직물과 방적사의 투입 비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염색·가공분야의 투입 비율이 2000년 3.9%에서 2003년 13.9%로 3.5배 높 아졌다. 산업용·생활·가정용으로 주 로 사용되는 기타 섬유제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연관산업의 생산제품을 중간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비중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연관산업 제품의 중간 투입 비 율 은 2000년 31.7%에 서 2003년 38.0%로 6.3%포인트나 높아졌다.

(3) 중간재 수요구조 변화

국내에서 생산된 섬유제품은 절대 규모가 섬유산업에서 소비되고 있지 만, 최근 들어 연관산업과의 융합화가 빠르게 진전되면서 자동차 등 전방산 업에서의 수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표 4> 섬유산업의 중간재 수요구조

화학섬유 방적사 직 물 기타 섬유제품 섬유 전체

2000 2003 2000 2003 2000 2003 2000 2003 2000 2003 섬유산업 96.0 92.5 94.5 94.5 90.0 89.3 27.9 23.7 78.7 72.9 방적사 28.2 21.6 9.0 3.6 0.0 0.0 0.7 0.2 8.1 3.9 직 물 57.5 53.6 61.4 65.3 4.8 3.7 1.3 0.8 28.4 30.1 의 류 0.3 2.1 14.9 20.2 63.3 65.1 7.5 7.7 27.7 26.8 기타 섬유제품 9.9 15.2 9.1 5.3 22.0 20.4 17.8 14.7 14.3 12.1 연관산업(전방산업) 4.0 7.5 5.5 5.5 10.0 10.7 72.1 76.3 21.3 27.1 자동차·선박 0.0 0.0 0.0 0.1 0.2 0.3 30.1 30.1 4.5 5.6 가계외소비지출 0.0 0.0 0.0 0.0 0.0 0.0 10.4 11.6 2.4 3.5 가죽·피혁 0.1 0.3 0.6 0.7 4.4 3.1 3.4 2.6 2.2 1.5 플라스틱제품 2.6 5.0 0.1 0.1 0.8 0.6 0.7 1.6 1.0 1.2

완 구 1.1 1.7 2.0 1.5 1.9 2.0 1.1 0.8 1.4 1.2

국방·공공행정 0.0 0.0 0.0 0.1 0.0 0.0 0.9 0.9 1.1 1.2 토목·건축 0.0 0.0 0.0 0.0 0.0 0.0 1.9 2.2 0.5 0.9

가 구 0.0 0.0 0.1 0.3 0.5 1.0 0.7 1.7 0.3 0.7

수산업 0.0 0.0 0.0 0.0 0.0 0.0 3.7 3.6 0.5 0.6

중간수요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기본분류)」, 각 연도.

주 : 수치는 섬유산업 전체 중간수요액 중에서 연관산업의 중간재로 사용된 비중.

단위 : %

(7)

이는 국내 섬유업체들이 부가가치 가 높을 뿐만 아니라 수요가 크게 늘 어나고 있는 산업용 섬유에 대한 투 자를 확대함과 아울러 생산을 늘리면 서 전방산업의 높은 수요증가에 대처 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생산된 섬유산업 제품이 자 동차, 건설 등 전방산업에서 소비되는 비중은 2000년 21.3%에서 2003년 27.1%로 높아졌다.

분야별 전방산업에서의 수요 비중 을 살펴보면 우선 타이어코드직물, 부 직포, 차량용 커버, 와이퍼 등 기타 섬유제품이 2000년 72.1%에서 2003 년 76.3%로 4.2%포인트 상승하였다.

자동차·선박용으로 30.1%, 특히 자동 차용으로 28.0%가 사용되었고, 부직 포를 중심으로 토목·건축용으로의 사 용비중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화학섬유, 방적사, 직물 등 섬유소재 는 대부분 섬유제품을 생산하는 기초 소재로 사용되며, 연관산업의 중간재

로의 사용 비중은 낮은 수준에 머물 고 있다.

3. 섬유산업의 대외의존도 분석 (1) 수입의존도

2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섬유산 업은 스트림 간의 유기적인 연관관계 는 물론 전후방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생산 활동을 하고 있는데, 국내 섬유 업계는 스트림 간·전후방산업과의 협 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제품 생산에 필요한 중간재의 해외조 달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우선 국내 섬유산업은 2003년 현재 제품 생산에 필요한 섬유 소재 및 제 품의 73.9%를 국내에서 조달했는데, 이는 2000년보다 4.8%포인트나 낮은 수준이다. 국내 패션의류업체는 고부 가가치·차별화 제품 생산을 위해 필 요한 원단을 국내 제직·염색·가공업

<표 5> 우리나라 섬유산업 제품의 국산화율 현황

섬유산업 전방산업 제조업

2000 2003 2000 2003 2000 2003

화학섬유 94.9 81.3 80.9 59.3 94.3 79.1

방적사 60.1 64.2 76.1 86.0 60.8 65.0

섬유직물 82.2 83.1 81.9 78.1 82.1 82.7

의 류 30.1 11.3 96.2 96.7 57.2 29.7

기타 섬유제품 90.6 87.2 76.1 74.5 81.0 78.3

섬유 전체 78.7 73.9 79.1 76.3 78.8 74.3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중분류)」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주 : 1) 수치는 제조업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 섬유소재·제품 중에서의 국산품 사용 비중.

2) 전방산업이란 제조업 중에서 섬유 소재·제품을 중간재로 사용하는 산업을 의미.

단위 : %

(8)

체와의 협업을 통한 기술 및 제품 개 발로 조달하기보다는 이탈리아, 일본, 영국 등 선진국 업체로부터의 수입 확대를 통해 조달하는 경향이 있다.

전방산업들도 2003년 현재 제품 생 산에 필요한 섬유 소재 및 제품의 76.3%를 국내에서 조달했는데, 2000 년보다 2.8%포인트 낮아졌다. 빌딩 공조 및 공기 청정기 생산업체들의 경 우 제품 고급화를 위해 필요한 고급 필터인 해파(HAPA)급 이상 필터의 경우 국내 필터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기보다는 미국, 일본 등 지에서의 조달을 선호하고 있다.

이처럼 섬유산업은 물론 전방산업 들이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필요한 중간재(섬유소재 및 제품)의 해외 조 달을 늘리면서 해외의존도가 높아지 고 있다.

섬유 한 단위 생산에 투입되는 수 입중간재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입침

투율은 2000년대 들어 섬유산업 전반 적으로 높아지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 다. 국내 섬유산업은 국산화율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만, 최근 제품 고부가가치화 과정에서 필요한 고기 능성·고성능 섬유소재 및 제품을 국 내에서 조달하기보다 일본, 미국, 이 탈리아 등 선진국으로부터의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섬유산업의 수입 침투율은 2000년 14.8%에서 2003년 현재 15.9%로 1.1%포인트 높아졌다.

주요 분야별 수입침투율을 살펴보 면 의류산업의 경우 의류 생산에 필 요한 고기능성·고급 섬유소재에 대한 해외조달을 늘리면서 크게 상승하였 고, 방적사의 경우는 국내에서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천연섬유 원료를 수 입에 의존함으로써 수입침투율이 2003년 현재 33.0%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섬유 총공급액에서 차지하는 섬유

<표 6>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수입의존도 추이

수입침투율 수입계수

1990 1995 2000 2003 1990 1995 2000 2003

방적사 22.9 43.3 23.0 33.0 14.1 35.3 29.6 31.7

섬유직물 12.4 14.3 15.2 13.8 11.1 11.4 9.1 9.3 의 류 20.9 17.3 11.8 16.1 3.0 8.7 15.4 21.3 기타 섬유제품 5.9 7.9 6.6 6.9 5.3 14.2 8.4 10.3 화학섬유 33.2 35.2 26.5 24.9 6.2 5.9 4.7 11.9

섬유산업 16.8 19.2 14.8 15.9 8.6 13.0 13.0 16.0

제조업 18.0 18.0 21.8 19.6 17.3 19.4 19.9 22.0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작성.

주 : 수입침투율 = ×100, 수입계수 = ×100

총투입액 수입중간재투입액

총공급액 수입액

단위 : %

(9)

수입액의 비중인 수입계수도 2003년 현재 16.0%로 2000년보다 3.0%포인 트 높아졌다. 이는 우선 중국 등지에 서 중저가품의 수입이 늘어난 데 기인 한 것도 있지만, 전방산업들이 중간재 로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섬유소재 및 제품을 일본, 미국 등 선진국으로부터 조달한 데 기인한다. 특히, 화학섬유 의 수입계수가 2003년에 크게 상승한 것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화학섬유 에 대해 일본, 미국 등지에서의 수입 을 확대한 데 기인한다.

국내 섬유산업은 이처럼 수입의존도 상승과 함께 수입도 지속적으로 늘어 나고 있다. 국내 섬유수입은 2000년 48 억 달러에서 2003년 59억 달러로 늘어 난 데 이어 2007년 현재 90억 달러로

2000~2007년 기간 동안 연평균 9.3%

증가하였다. 이는 중국, 베트남 등지에 서 중저가품의 수입이 늘어났고, 일본, 이탈리아, 미국 등지에서 고가품 수입 이 크게 증가한 데 기인한다.

(2) 수출의존도

국내 섬유산업은 2000년대 들어 수 입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과는 달 리, 수출의존도는 국내 제품들의 수출 경쟁력 약화에 따른 수출 감소로 지 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국내 섬유산업의 수출은 국제경쟁 력 약화로 인해 2007년 현재 134억 달러로 2000~2007년 기간 동안 연평 균 4.7% 감소하였다.

<표 7>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주요 부문별 수출입 추이

수 출 수 입 연평균 증가율

(2000~2007)

2000 2007 2000 2007 수 출 수 입

화학섬유 2,017 2,186 731 788 1.2 1.1

화섬원료 859 1,036 161 198 2.7 3.0

화섬장섬유사 1,159 1,150 570 590 -0.1 0.5

방적사 376 305 955 1,146 -2.9 2.5

직 물 10,263 7,955 1,517 1,602 -3.6 0.8

천연섬유직물 927 750 515 634 -3.0 3.0

화섬장섬유직물 3,646 1,729 216 215 -10.1 -0.1

화섬단섬유직물 586 311 367 202 -8.6 -8.2

편직물 2,522 3,161 96 94 3.3 -0.2

기타 직물 2,583 2,004 322 456 -3.6 5.1

섬유제품 6,126 2,999 1,585 5,388 -9.7 19.1

의 류 4,652 1,705 1,241 4,181 -13.4 18.9

기타 섬유제품 1,475 1,294 344 1,207 -1.8 19.6

섬유 전체 18,783 13,446 4,788 8,909 -4.7 9.3

자료 : KITA Database를 이용해 산업연구원에서 작성.

단위 : 백만 달러, %

(10)

이에 따라 국내 섬유산업의 총산출 액에서 차지하는 수출액 비중인 수출 률이 2000년 45.6%에서 2003년 현 재 41.3%로 4.3%포인트 하락하였다.

4. 섬유산업에의 시사점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내 섬유산업은 섬유산업 내 스트림 간 연관관계가 매우 높은 가운데 최근 들어 전후방산업과의 연관관계가 점 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섬유산업은 스트림 간·전후방산업과의 협업 부족 등으로 제품 고부가가치화에 필요한 고기능 성·고성능 섬유소재 및 제품에 대한 국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써 수입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우선 다운스트림인 의류업체들은 제품 고부 가가치화에 필요한 차별화·고기능성 섬유소재를 업스트림인 국내 섬유소재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국산화하기보 다는 선진국으로부터의 수입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환경, 의료 등 산업의 융합화·복합화를 통한 제품 고부가가 치화 과정에서 섬유제품의 수요가 급 증하고 있으나, 국내 섬유업체들은 이 들 전방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한 신 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제대로 추진 하지 못함으로써 전방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글 로벌 수요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트림 간 협력 등을 통한 신제품 개발이 제대로 이 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세계시장 점유 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국내 섬유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000 년 5.0%에서 2006년 2.3%로 절반 이 하로 하락하였다.

따라서 국내 섬유산업은 앞으로 국

<표 8>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수출률 및 대외의존도 추이

수출률 대외의존도

1990 1995 2000 2003 1990 1995 2000 2003

방적사 13.8 36.8 35.9 12.8 25.9 59.1 54.8 40.5

섬유직물 42.5 57.8 53.9 54.0 48.9 62.6 58.1 58.3 의 류 61.3 36.3 47.0 31.3 62.4 41.8 55.2 46.0 기타 섬유제품 48.4 47.7 47.5 42.7 51.1 55.1 52.0 48.6

화학섬유 9.5 23.3 20.4 51.9 15.1 27.8 24.1 57.6

섬유산업 37.8 43.9 45.6 41.3 43.1 51.2 52.7 50.7

제조업 20.4 22.9 29.8 28.2 34.2 37.8 43.7 44.1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각 연도.

주 : 수출률= ×100, 대외의존도= ×100

총공급액 (수출액+수입액) 총산출액

수출액

단위 : %

(11)

내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 수요에 능 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스트림 간·

전후방산업과의 협력을 통해 고부가가 치·차별화제품 생산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전방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신시장 개척을 추진해야 한다. 이 를 통해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내수시 장 점유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글로 벌 시장 수요변화에 적극 대처해야 할 것이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지난해부터 스 트림 간 협력을 통한 신기술 및 신제

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섬유산업 스트림 간 협력 기술개발사업’을 추 진하고 있다. 금년 섬유업계가 본 사 업을 통해 지원받기 위해 신청한 과 제는 95개로, 소요금액은 총 1,948억 원에 달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 규모는 지난해 83억 원에 이어 금년 200억 원에 그쳐 아쉬움이 컸다. 따라 서 정부는 섬유업체의 관심과 스트림 간 협력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내 년에 본 사업의 지원 규모를 대폭 확 대할 필요가 있다.

참조

관련 문서

푹 총리는 또한 베트남 정보통신부와 쿠바 통신부 간 “함께 걸어가고 함께 발전한다”는 정신을 바탕 으로 양국이 남미시장을 타깃으로 한 통신 산업 제품, 만물 인터넷 및 소프트

이소플라본 아글리콘 제니스테인을 함유하는 탈 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으로써 5알파-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제니스테 인의 함량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은

그 중에서도 생활가전 및 전자산업, 자동차 그리고 기타 산업재 분야에서는 낮은 비중을 가짐과 동시에 뛰어난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 장기 내구성 이 뛰어난 플라스틱 제품에

기존의 HTS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국내 고유의 고성능 촉매 개발은 수소 스테이션 국산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연구임에 틀림이 없다.. 그리하여 LPG Steam Reforming 이후의

- 일본은 산지 중소 섬유제조업자들의 자립화 등을 위한 산업경쟁력 강화정책 추진과 함께 고성능·고기능성 섬유, 나노섬유 등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 개발을 더욱

국내 감염 상황에 대해서는 조사가 없는 경우가 많고, 지역 이나 집단 간 차이를 알지 못하며, 비용-효과에 대한 조사가 없으며 설사 있다하더라고 국내 의료비 현실에서는 그다지

drwxrwxrwx 1 owner group -rwxrwxrwx 1 owner group -rwxrwxrwx 1 owner group -rwxrwxrwx 1 owner group -rwxrwxrwx 1 owner group -rwxrwxrwx 1 owner group -rwxrwxrwx 1 owner

특히 제품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이 제품 평가 시 브랜드인기도를 활용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Dean 1999), 해외 관광객의 경우 제품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