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섬유산업의 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섬유산업의 한·"

Copied!
5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정책연구 15-19

2015. 10.

섬유산업의 한·중·일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과 정책제언

양금승, 송용주

(3)

양금승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에서 규제분야를 전공하여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9년부터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근무하면서, 기업정책팀장(2004~2006)과 규제개혁팀장(2008~2010)을 지냈으며, 주로 토지규제, 공장설립, 법정부담금, 출자총액규제, 경영권방어 등 기업활동 규제개혁과제가 정부정책에 채택되는 데 기여했 다. 대표적으로 행정조사기본법, 부담금관리기본법 등을 제안하여 입법화하였으며, 이명박 정부의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 산업단지 관련규제 개혁방안, 수도권규제 개선방안이 반영되는 성과가 있었다. 2011년부터 2015년 2월까지 4년여 동안 전 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상무)을 맡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의 기본틀을 다지고, 중소기업의 자생력 제고를 위한 정책대 안을 제시하였다. 2015년 2월말부터 한국경제연구원 산업연구실장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규제개혁과 산업정책분야가 주된 관심분야이며, 주요 논문 및 저서로는 󰡔‘10.30 수도권규제 완화조치’ 이후 공장입지 투자계획 변동분석󰡕(2015), 󰡔기업활동 관련 중복규제 현황분석과 정책과제󰡕(2015) 가 있다.

송용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 학사, 국제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삼성전자 기획팀과 Euromonitor International에서 산업 분석을 담당 했으며, 현재 한국경제연구원 기획조정실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업 관련 규제와 기업가정신 등이며 주요 논문 및 저서로는 󰡔경제자유 관점에서 본 경제성장과 제도개혁󰡕(2014), 󰡔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 조사 보고서󰡕(2013), 󰡔새로운 시장 창조를 위한 의료서비스산업 규제개선의 경제적 효과 추정󰡕(2013) 등이 있다.

섬유산업의 한·중·일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과 정책제언

1판1쇄 인쇄 󰠐 2015년 10월 1일 1판1쇄 발행 󰠐 2015년 10월 5일 발행처 󰠐 한국경제연구원 발행인 󰠐 권태신 편집인 󰠐 권태신

등록번호 󰠐 제318-1982-000003호

(150-75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전경련회관 45층

전화 02-3771-0001(대표), 02-3771-0060(직통) 󰠐 팩스 02-785-0270∼3 www.keri.org

ⓒ 한국경제연구원, 2015 ISBN 978-89-8031-741-7 5,000원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CIP제어번호: CIP2015026969)

(4)

CONTENTS

본 문 목 차

요 약 5

I.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10

2. 연구의 목적 11

II. 한·중·일 섬유산업의 가치사슬구조 비교 분석 12

1. 생산구조 비교 분석 12

2. 수출입구조 비교 분석 16

3. 시사점 20

III. 한·중·일 섬유산업의 교역구조 및 수출입 특화 분석 22

1. 한·중·일간 교역구조 분석 22

2. 우리나라의 대중국 및 대일 수출입 특화구조 분석 28

3. 시사점 31

IV. 한·중·일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 및 산업정책 분석 33

1.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 33

2. 중국과 일본의 산업정책 분석 38

3. 시사점 41

V.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정책과제 43

1.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SWOT 분석 43

2. 정책 과제 46

21

(5)

표 목 차

[표 1] 한·중·일 섬유산업의 생산 현황 14

[표 2] 한·중·일 섬유패션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비교(2012) 15

[표 3] 한·중·일 섬유산업의 수출구조 비교 17

[표 4] 한·중·일 섬유산업의 수입구조 비교 18

[표 5]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입 현황 24

[표 6] 국내 섬유산업의 대일 수출입 현황 26

[표 7]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입특화 현황 28

[표 8] 국내 섬유산업의 대일 수출입특화 현황 30

[표 9] 한국의 대중 및 대일 수출입 확대분야 31 [표 10] 한·중·일의 세계섬유시장 점유율 현황 34

[표 11] 국내 섬유산업의 연구개발투자 현황 36

[표 12] 섬유산업의 한·중·일 기술수준 비교 37

[표 13]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SWOT 분석 43

[표 14] 산업용 섬유의 높은 수요증가 및 수입대체 필요 분야 47

[표 15] 한국의 수출유망품목 현황 47

그 림 목 차

[그림 1] 섬유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12

[그림 2] 산업용섬유의 활용사례 13

[그림 3] 한·중·일 3국간 교역구조 22

[그림 4] 국내 지역별 혁신 클러스터 구축 현황 44

(6)

요 약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중국과 일본은 우리나라 섬유산업 전체 교역의 34%(2014년)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국가

- 한국은 기능성 섬유소재 및 염색직물, 일본은 고기능성·고성능 섬유소재, 그리고 중국은 중저가 섬유제품, 천연섬유사 및 생지 직물에 비교우위를 나타내며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음.

▶ 한·중·일 3개국은 세계 섬유시장점유율이 40%(2013년)로 절대적인 수준을 나타 내는 등 세계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매우 높은 국가

▶ 한·중·일 3개국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품목이 경쟁관계보다는 보완관 계의 성격이 강하였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경쟁관계를 나타내고 있음.

▶ 이에 한·중·일간 품목별 국제경쟁력을 비교 분석한 다음, 우리나라 섬유산업 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2. 한·중·일 섬유산업의 가치사슬구조 비교 분석

▶ 한·중·일간 생산구조의 특징은

- 한국은 업스트림 - 미들스트림 - 다운스트림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이 균형있게 발전한 것으로 평가

▪ 하지만 최근 직물과 화학섬유분야에서 중국의 추격이 심화

- 중국은 다운스트림과 방적사가 강한 반면, 미들스트림의 생산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

(7)

- 일본은 산업용 섬유소재 및 제품이 매우 강한 반면, 의류 생산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

▶ 따라서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균형있는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음으로, 스 트림간 연계를 통해 산업경쟁력을 높일 필요

- 또한 직물과 화학섬유의 경쟁력이 현재는 높지만 일본이 차별화 제품을 중심으로 높은 경쟁을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 비 필요

3. 한·중·일 섬유산업의 교역구조 및 수출입 특화 분석

▶ 한·일간에는 자국 내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제품이 보완관계의 성격이 강하지 만, 우리나라가 고기능성·고성능 섬유소재 개발을 통해 주력산업화 하면서 경쟁 관계에 있는 품목이 늘어나고 있음.

▶ 한·중간에는 현재 대부분의 분야에서 경쟁관계를 나타내고 있음.

- 중국은 규모의 경제를 통한 대량생산 및 생산성이 높은 최신설비로의 무장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높임으로써 우리 산업을 빠르게 추격

▶ 따라서 앞으로 한·중·일 3개국간 비교우위구조를 바탕으로 우리의 수출유망분 야에 대한 정책지원과 함께 경쟁력 약화분야에 대한 구조조정 및 경쟁력 강화전 략 마련 필요

4. 한·중·일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 및 산업정책 분석

▶ 우리나라는 세계시장에서 대부분의 품목들이 중국제품과 경쟁관계에 있는데, 중 국이 생산설비 확충, 기술 및 품질수준 향상과 함께 수출확대를 꾀하면서 중저가 품을 중심으로 세계시장을 잠식

- 반면, 일본제품과는 기술 및 품질 경차로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글로벌 고부가가치 제품시장 개척에 한계

▶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중저가품을 중심으로 세계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

(8)

-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기능성 섬유소재, 염색직물, 스판덱스제품 등을 중심으 로 세계 6위(5.6%)의 섬유소재 시장점유율 기록

▶ 우리나라는 앞으로 일본과의 기술격차 축소보다 중국으로부터의 기술추격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

-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기술수준은 2020년에 일본과 15% 수준의 격차를 유지하는 가 운데 중국과는 10% 수준으로 격차가 크게 축소될 것으로 우려

<섬유산업의 한·중·일 기술수준 비교>

(단위 : 일본 =100)

한 국 중 국

2010 2015 2020 2010 2015 2020

산업용 섬유 60 65 75 45 52 64

의류용 원사 75 80 85 59 68 77

제 직 82 85 88 62 70 81

염색·가공 70 75 80 46 56 66

봉 제 87 90 95 65 79 88

섬유산업 75 79 85 55 65 75

자료 : 산업연구원

▶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산업구조조정, 첨단 산업용섬유 산업화 등을 통한 중국 의 산업구조고도화 정책은 우리 섬유산업에 커다란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 필요

- 일본은 산업경쟁력 강화정책 추진과 함께 고성능·고기능성 섬유소재 개발을 더욱 강화하고 있어, 앞으로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고부가가치시장 개척에도 많은 어려 움이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 필요

5.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정책과제

(9)

▶ 우리 섬유산업은 일본 등과의 기술격차를 좁히지 못한 채 중국과의 기술 및 품질 격차가 크게 축소되면서 샌드위치 상황이 더욱 악화

- 기술혁신 및 제품 차별화 미흡으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히지 못함으로써 선진 국이 점유하고 있는 고부가가치시장 개척에 한계

- 중국이 선진국으로부터의 생산기술 습득, 생산설비 확충과 함께 수출확대를 꾀하면 서 중저가품을 중심으로 세계시장을 잠식

▶ 따라서 우리나라가 앞으로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중국의 추격을 극복하고 일본 등 이 점유하고 있는 고부가가치시장 개척이 가능한 고기능성·차별화 섬유소재 및 패션의류 중심의 산업구조 재편 필요

□ 첨단 산업용 섬유 육성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화

▶ 국내외 높은 수요증가 및 고부가가치 창출산업인 첨단 산업용 섬유산업 육성을 통해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화 필요

- 중국과 대만은 고성능 산업용 섬유 개발 및 생산능력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고 일본 은 고성능 산업용 섬유소재의 높은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 해 대규모 투자를 계획

- 이에 우리나라는 글로벌 산업용 섬유시장에서 중국 및 대만과의 경쟁우위를 점할 뿐만 아니라 일본과의 기술 격차를 축소할 수 있도록 고성능 산업용 섬유 개발 및 상업화를 적극 추진할 필요

□ 글로벌 마케팅력 강화

▶ 한·미 및 한·EU FTA에 이어 한·중 FTA 체결로 수출여건이 개선되었음으로, 이를 활용하여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수출마케팅 강화 필요

- 특히, 한·중 FTA를 활용해 중국 거대시장을 내수시장화 할 수 있도록 공격적 글로 벌 마케팅 강화 기반 구축

▶ 또한 우리나라가 중국은 물론 세계시장에서 경쟁우위에 있는 유망제품들에 대한 수출확대 방안도 함께 마련

(10)

<한국의 수출유망품목 현황>

수출유망분야

수출확대 분야

대일본

남성셔츠, 스웨터·가디건, 티셔츠, POY, 합섬장섬유 연신 가공사, 스판덱스사, 폴리에스터·폴리프로필렌 단섬유, 염색한 면 환편직물, 날염 합섬 환편직물, 염색한 합섬 환편직물

대중국 표면처리직물, 강력사 직물, 염색한 혼방직물, 파일·셔일직물, 탄성편직물, 아라 미드사, 기능성 직물, 염색·날염직물

세계시장 10% 이상 점유 분야

폴리에스터 강력사, 스판덱스사, 폴리에스터 및 폴리프로필렌 장섬유연신사, 염색한 나일론 직물, 비텍스처드 폴리에스터직물, 염색한 합섬직물, 염색한 재생·반합섬 직물, 탄성편직물, 염색한 화섬 경편직물, 면 환편직물, 염색·날염 합섬 환편직물 자료: 산업연구원

(11)

I. 서론

1. 연구의 배경

▶ 중국과 일본은 2014년 현재 우리나라 섬유산업 전체 교역의 34%(중국 29.8%

(1위), 일본 4.2%(5위))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국가

- 한국은 기능성 섬유소재 및 염색직물, 일본은 고기능성·고성능 섬유소재, 그리고 중국은 중저가 의류 및 생활용 섬유제품, 천연섬유사 및 생지 직물에 비교우위를 나 타내며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음.

▶ 한편, 한국과 일본은 중국의 중요한 파트너 국가

- 한국과 일본은 2014년 현재 중국 섬유수입시장 점유율이 각각 8.9% 및 11.7%로 3위와 1위를 기록

▶ 한·중·일 3개국은 세계 섬유시장점유율이 2013년 현재 40%로 절대적인 수준 을 나타내는 등 세계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매우 높은 수준

- 중국이 중저가 의류 및 생활용 섬유제품과 범용 소재를 중심으로 한 수출확대에 힘 입어 세계시장의 37.1%를 점유

- 한국은 가공기술을 바탕으로 한 기능성 소재를 중심으로 세계 8위, 특히, 섬유소재 는 6위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 있고, 일본은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기능성·

차별화 화섬소재시장을 주도

▶ 한·중·일 3개국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품목이 경쟁관계보다는 보완 관계의 성격이 강하였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경쟁관계를 나타내고 있음.

- 특히, 중국은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 습득, 지속적인 섬유소재 육성정책에 힘입어 업스트림인 섬유소재와 다운스트림인 섬유제품(의류 등)이 균형 성장하면서 우리 산업을 빠르게 추격

(12)

▪ 더욱이 중국의 12.5계획 기간에 신기술 및 신섬유 개발, 고성능 산업용섬유 육성, 자 가 브랜드 개발능력 강화 등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로 인해, 앞으로 우리나라와의 기술 및 품질 격차가 크게 좁혀질 것으로 예상

- 한·일 관계에 있어서도 우리나라가 고기능성·고성능 섬유소재 개발을 통해 주력 산업화 하면서 경쟁관계가 높아지고 있음.

2. 연구의 목적

▶ 이에 한·중·일간 품목별 국제경쟁력을 비교 분석한 다음,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 또한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경쟁력 실태를 바탕으로 한·중 FTA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도 함께 제시

(13)

Ⅱ. 한·중·일 섬유산업의 가치사슬구조 비교 분석

1. 생산구조 비교 분석 가. 섬유산업의 범위

▶ 섬유산업은 업스트림(원료, 섬유사) - 미들스트림(직물, 염색가공) - 다운스트림 (의류, 기타 섬유제품)에 이르기까지 세분화되어 있는 다단계의 생산공정(스트림) 으로 구성

- 이러한 업스트림 - 미들스트림 - 다운스트림으로 이어지는 모든 가치사슬이 균형 있게 발전하면서 시너지효과 극대화

- 가치사슬별로 살펴보면 업스트림은 대기업 위주로 구성된 반면, 다운스트림은 중소 기업 위주로 구성

▪ 업스트림에서 기술수준을 결정하고 미들스트림인 염색가공에서 품질 수준을 결정

[그림 1] 섬유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14)

[그림 2] 산업용섬유의 활용사례

우주/항공 수송기기 에너지 전자/기계 건축/토목 스포츠/레저 의료/기타

동체, 부품, 내장재

차체, 내장재, 연료탱크,

타이어

블레이드, 시추용 파이프,

연료전지

전자제품, 로봇, 광케이블

보강재

구조재, 내장재, 필터,

지반보강재

골프채, 라켓, 낚시, 요트,

자전거

의료용품·기기, 방호·방탄용품

▶ 의류를 제외한 섬유소재 및 제품은 용도에 따라 크게 ① 옷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의류용 섬유, ② 침구류, 인테리어제품, 청소용품 등 가정·생활용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생활용 섬유, ③ 자동차, 항공기, 요트, 골프채 등 연관산업의 원 료·중간재로 사용되는 산업용 섬유로 분류

- 선진국들은 산업용으로의 사용 비중이 높은 반면, 개도국은 의류용으로의 사용 비 중이 높음.

- 산업용 섬유 수요비중의 경우 한국은 40%, 중국은 25% 그리고 일본은 65% 수준

나. 생산구조 비교

▶ 한·중·일간 섬유생산액을 비교해 보면 2013년 현재 중국은 우리나라의 26배에 달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4.4% 적은 규모

- 2007∼2013년 기간 동안 자국통화 기준 연평균 생산증가율은 중국이 13.9%로 가장 높고 한국이 5.1%의 견실한 수준을 기록한 반면, 일본은 3.9% 감소

(15)

[표 1] 한·중·일 섬유산업의 생산 현황

(단위: 억 달러, 10억 원, 억 위안, 억 엔, %)

2007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증가율

(2007∼2013)

달러화 기준

한 국 360 370 425 402 412 2.3

일 본 416 448 504 501 394 -0.9

중 국 4,002 6,764 7,970 9,162 10,810 18.0

자국 통화 기준

한 국 33,481 42,753 47,129 45,254 45,163 5.1 일 본 48,939 39,296 40,154 40,010 38,430 -3.9 중 국 30,454 45,793 51,485 57,810 66,481 13.9 주: 1) 일본은 출하액 기준, 2) 2013년 중국과 일본 통계는 추정치

자료: 한국은행, 중국국가통계국, 일본경제산업성

- 하지만 달러화 기준으로는 중국이 통화 강세의 영향으로 18.0%로 더욱 높아진 반면, 한국은 통화 약세로 2.3%에 그쳤음.

▪ 일본은 2013년에 큰 폭의 통화 약세를 보였지만 2007년에 비해서는 강세를 나타냄으 로써 0.9% 감소

▶ 한·중·일 섬유산업의 가치사슬별 생산구조를 비교해 보면 한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운스트림인 의류가 높은 비중을 차지고하고 있는 반면, 중국 은 업스트림인 방적사가 높은 비중을 차지

- 일본은 다운스트림인 기타 섬유제품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

▶ 한국은 금액기준 생산 비중은 의류가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만 경쟁력 측면에서는 직물이 가장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

- 우리나라는 대규모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한 중고가 의류 중심의 생산이 주로 이루 어지면서 국내 섬유산업 생산에서 차지하는 금액기준 생산비중이 높은 수준을 나타 내고 있음.

▪ 의류 내수시장 규모의 경우 중국이 203조 원(2013년)인데 비해, 한국은 52조 원(2014년) 으로 경제규모에 비해 한국 내수시장이 매우 큼

(16)

[표 2] 한·중·일 섬유패션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비교(2012)

(단위: 명, 10억 원, 억 위안, 십억 엔, %)

한 국 중 국 일 본

사업체 수 생산액 사업체수 생산액 사업체 수 출하액

Up- stream

화학섬유 1.2 14.5 4.9 12.2 0.8 10.4

방적사 5.9 6.2 18.6 24.3 5.4 4.4

소 계 7.0 20.7 23.4 36.4 6.2 14.8

Middle- stream

직 물 21.2 21.6 22.6 19.7 25.1 21.1

(직조직물) 11.3 10.4 14.7 13.1 16.6 8.1

(편조원단) 2.2 2.4 5.1 3.7 2.9 2.9

(기타 직물) 7.6 8.8 2.8 2.8 5.6 10.2

염색가공 15.2 9.8 6.5 7.1 7.2 9.0

소 계 36.4 31.4 29.1 26.8 32.3 30.1

Down- stream

의 류 43.0 39.1 39.5 30.5 39.4 28.3

기타섬유제품 13.6 8.7 7.9 6.2 22.1 26.7

소 계 56.5 47.8 47.4 36.7 61.4 55.1

섬유산업 100.0

(45,156)

100.0 (44,903)

100.0 (36,667)

100.0 (56,685)

100.0 (42,363)

100.0 (4,001) 주: ( )안은 각국의 사업체 수 및 생산액

자료: 한국 통계청, 중국 국가통계국, 일본 섬유헨드북

▪ 특히, 국내 생산 의류의 경우 수출용 의류는 중저가인 반면, 내수용 의류는 중고가 제품인데, 한국은 의류 생산액의 85%를 중고가 내수시장에 공급

▶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로 생산되고 있는 자체 천연섬유원료를 사용해 방적사를 생산함으로써 높은 경쟁력과 함께 세계 최대 생산국의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생산 비중이 가장 높은 것임.

- 중국은 천연섬유원료인 면사, 양모 및 실크 세계 생산량의 각각 24%(2014년), 19%(2012년) 및 86%(2011년)를 차지하는 세계 1위의 생산국

- 경쟁력 측면에서는 방적사와 함께 의류가 높은 경쟁력을 유지

(17)

▪ 의류는 높은 임금 상승 등으로 가격경쟁력이 다소 낮아졌지만, 자국 내에서 낮은 가 격으로 원부자재를 조달함으로써 높은 경쟁력을 유지

▪ 단지, 원부자재보다 인건비 의존도가 높은 저가 의류의 경우는 아세안 국가들보다 경 쟁력이 낮고 이로 인해 이들 분야의 오더가 아세안 국가로 넘어가는 추세

- 한편, 예상과는 달리 의류 생산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중국에서 생산되는 의 류는 부가가치가 낮은 중저가 의류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물량에 비해 금 액이 낮기 때문

▶ 일본은 의류용 섬유 중심에서 벗어나 산업용 섬유 중심으로 생산구조를 전환하면서 산업용 섬유제품을 중심으로 한 기타 섬유제품과 부직포 등 기타 산업용직물 생 산 비중이 높은 수준

- 즉, 캔버스 제품, 위생재품, 공업용 제품 등과 같이 기타 산업용 및 생활용 섬유제품 비중이 26.7%로, 한국과 중국보다 각각 18.0% 포인트 및 20.5% 포인트 높은 수준

▪ 또한 부직포, 펠트 등 산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직물을 포함하는 기타 직물 생산비 중이 10.2%로 높은 수준

- 경쟁력 측면에서는 화학섬유가 가장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며 일본 섬유산업을 이끌 고 있음.

▪ 일본은 경쟁력이 높은 고기능성·고성능 원사를 사용하여 직물 및 산업용 섬유제품을 생산함으로써 높은 품질경쟁력을 유지

▪ 또한 유니클로도 도레이의 차별화 원사를 기반으로 한 고품질의 의류를 생산하여 높 은 경쟁력 유지

2. 수출입구조 비교 분석 가. 수출구조 비교

▶ 한국과 일본은 직물 중심의 수출구조를 나태내고 있는 가운데 화학섬유 수출비중 도 높은 반면, 중국은 의류 중심의 수출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직물 수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

▶ 한국은 직물과 화학섬유가 주력 수출품목인데,

(18)

[표 3] 한·중·일 섬유산업의 수출구조 비교

(단위: %)

한 국 중 국 일 본 연평균증가율

(2007~2014) 2007 2014 2007 2014 2007 2014 한 국 중 국 일 본

섬유 소재

화섬원료 7.8 9.0 0.6 0.7 13.9 18.3 4.5 10.9 2.5

천연섬유사 1.1 2.0 1.9 1.3 0.8 0.5 11.5 2.1 -7.9

화섬장섬유사 8.7 7.5 1.5 1.8 9.7 12.1 0.3 10.7 1.6

화섬방적사 1.0 0.9 1.0 0.8 0.4 0.4 0.6 6.2 1.3

섬유사 11.0 10.5 4.7 4.2 11.9 13.6 1.8 6.4 0.4 천연직물 5.8 3.6 5.6 5.9 15.7 10.4 -4.3 9.0 -7.2 화섬장섬유직물 13.1 14.7 3.2 4.1 16.0 13.7 4.2 12.2 -3.6 화섬단섬유직물 2.4 2.5 2.3 3.0 5.0 4.7 3.4 12.0 -2.4 편직물 23.9 25.1 3.5 4.9 7.8 7.1 3.2 13.8 -2.8 기타 직물 15.0 13.2 4.6 4.8 16.7 16.5 0.6 8.8 -1.7 직 물 60.1 59.2 19.2 22.7 61.2 52.4 2.2 10.8 -3.7 섬유소재 78.9 78.8 24.5 27.6 87.0 84.3 2.4 10.0 -1.9

섬유 제품

의 류 13.1 13.0 65.8 60.6 4.3 4.3 2.3 6.9 -1.5 기타섬유제품 8.0 8.2 9.7 11.8 8.7 11.3 2.9 11.2 2.3

섬유제품 21.1 21.2 75.5 72.4 13.0 15.7 2.5 7.5 1.1 섬유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4 8.2 -1.5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 중국 및 일본 무역통계

- 편직물이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중국은 물론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후발 국가로의 수출증가에 힘입어 수출 비중이 2014년 현재 25.1%로 높아졌음.

- 화섬장섬유직물도 염색 직물과 기능성 직물을 중심으로 한 꾸준한 수출증가로 수출 비중도 14.7%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 화학섬유는 스판덱스, 고강력사 및 아라미드섬유 등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수출 증가로 수출 비중이 16.5%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19)

한 국 중 국 일 본 연평균증가율 (2005~2014) 2005 2014 2005 2014 2005 2014 한 국 중 국 일 본

섬유 소재

화섬원료 2.8 1.7 10.2 7.5 0.4 0.5 2.6 0.9 5.8

천연섬유사 9.1 4.6 10.5 23.8 1.9 1.5 0.6 14.4 0.3

화섬장섬유사 7.4 7.5 8.8 6.0 1.3 1.6 8.7 0.2 5.8

화섬방적사 6.2 3.4 2.5 1.5 0.5 0.5 1.7 -1.3 2.8

섬유사 23.5 15.8 22.1 31.5 4.0 3.7 3.9 8.7 2.7

▶ 중국은 의류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직물수출 비중이 상승 - 의류는 2008년부터 높은 인건비 상승과 위안화 절상 등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경쟁국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수출증가세가 둔화됨과 함께 수출비중이 2007년 65.8%에서 2014년 현재 60.6%로 5.2% 포인트 하락

- 반면, 직물은 외자 유치 및 설비투자 확대 등에 따른 생산능력 증가로 가공처리를 하지 않은 중·저가 생지를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되면서 수출 비중이 같은 기간에 19.2%에서 22.7%로 상승

▶ 일본도 한국과 비슷하게 직물과 화학섬유가 주력 수출품목인데,

- 직물은 최근 이탈리아 등 유럽 직물과의 경쟁심화로 수출이 감소하고 있지만 고기 능성·고부가가치 직물 및 고성능 산업용 직물을 중심으로 수출비중이 2014년 현재 52.4%의 높은 수준 기록

- 화학섬유는 고성능 산업용 섬유와 극세섬유 등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수출증가에 힘입어 수출비중이 2007년 23.6%에서 2014년 현재 30.4%로 6.8% 포인트 높아졌음.

나. 수입구조 비교

▶ 한국과 일본은 섬유제품 중심으로 수입하는 반면, 중국은 수출용 섬유제품 생산 을 위한 섬유소재 중심으로 수입

- 한국과 일본은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섬유제품 비중이 2014년 현재 각각 68.7%

및 89.5%에 달하는 반면, 중국은 섬유소재 비중이 73.6%에 달하고 있음.

[표 4] 한·중·일 섬유산업의 수입구조 비교

(단위: %)

(20)

한 국 중 국 일 본 연평균증가율 (2005~2014) 2005 2014 2005 2014 2005 2014 한 국 중 국 일 본 천연직물 10.6 4.6 16.0 7.4 2.5 1.6 -0.9 -4.1 -1.6 화섬장섬유직물 2.4 1.6 11.6 6.8 0.5 0.8 4.1 -1.5 8.4

화섬단섬유직물 3.1 1.5 4.8 2.2 0.6 0.6 0.4 -4.3 3.3

편직물 1.2 1.0 10.1 7.4 0.4 0.4 7.0 0.9 4.0

기타 직물 5.8 5.1 12.9 10.7 2.0 2.9 7.0 2.4 7.6 직 물 23.1 13.9 55.5 34.6 6.0 6.3 2.7 -0.9 3.9 섬유소재 49.3 31.3 87.8 73.6 10.4 10.5 3.3 2.5 3.5

섬유 제품

의 류 42.7 59.9 8.2 20.4 78.2 76.6 12.8 15.7 3.2 기타섬유제품 8.0 8.8 4.1 6.0 11.4 12.9 9.8 9.1 4.8 섬유제품 50.7 68.7 12.2 26.4 89.6 89.5 12.4 13.8 3.4 섬유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8.6 4.5 3.4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 중국 및 일본 무역통계

▶ 한국은 80년대 후반부터 인도네시아, 중국 등 저임금 국가에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 한 업체 생산 제품의 높은 역수입 증가로 인해 섬유제품 수입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

- 화섬장섬유사 수입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데, 고기능성·고성능 섬유는 일 본 등지에서, 그리고 범용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사는 중국 등지에서 수입을 늘릴 데 기인

- 또한 천연섬유사/직물은 국내에 천연섬유원료가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천연섬유 생 산국인 중국, 인도 등지에서 수입하면서 높은 비중 차지

▶ 중국은 의류생산에 필요한 고품질 섬유소재를 수입에 의존하면서 섬유소재 수입 비중이 높은 수준

- 천연섬유사는 중국이 세계 최대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직물생산능력 향상과 함께 차별화 원사를 중심으로 높은 수입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수입비중이 지속적으로

(21)

- 반면, 그 동안 높은 수입의존도를 나타내었던 화섬직물과 화섬장섬유사는 외자유치 및 국내 설비투자 확대에 힘입은 생산능력 확대와 함께 수입을 대체하면서 수입비 중이 지속적으로 하락

▶ 일본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저임금 국가에 섬유제품 생산 네트워크 구축과 함 께 역수입이 증가하면서 섬유제품 수입 비중이 높은 수준

- 섬유소재는 대부분 자국 내에서 조달함으로써 수입 비중이 낮은 수준

- 단지, 중저가 섬유소재는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로 이전한 생산 업체 제품의 역수입으로 충당

3. 시사점

▶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한·중·일간 생산구조에서 얻을 수 있는 의미는 다음과 같음.

- 한국은 업스트림 - 미들스트림 - 다운스트림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이 균형있게 발전한 것으로 평가

▪ 한국의 공급가치사슬은 다운스트림으로 갈수록 부가가치가 추가되며 규모가 커지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음.

- 중국은 미들스트림이 업스트림에 비해 생산비중이 낮다는 것은 미들스트림의 생산 기반이 그만큼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

- 일본은 의류 생산비중이 낮다는 것은 의류산업의 생산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는 것을 의미

▪ 또한 방적사 생산기반도 매우 취약하여 대부분 수입에 의존

▪ 한편, 화학섬유 비중이 낮은 것은 한국, 대만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중저가 범용품 에 대한 생산기지를 태국, 인도네시아로 이전했기 때문이며, 일본 생산제품은 기술 및 품질 면에서 세계 최고의 수준임.

▶ 한·중·일 수출입구조 및 수출입증가율을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의미는 다음과 같음.

- 한국은 편직물과 화섬장섬유직물의 경쟁력이 높은 반면, 천연섬유직물과 화섬방적

(22)

사는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화섬장섬유사는 일본의 높은 장벽 속에 중 국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

▪ 편직물과 화섬장섬유직물은 수출비중이 높은 가운데 수출증가율도 평균 이상인 반면, 수입비중은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

- 중국은 섬유제품분야의 수출경쟁력이 높지만, 최근 경쟁력 정도는 약화되고 있음.

▪ 반면, 직물은 점차 수출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

- 일본은 화학섬유와 산업용 제품을 중심으로 한 기타 섬유제품의 경쟁력이 높은 수준

▪ 직물도 높은 경쟁력을 나타내고 있지만, 경쟁력 정도는 약화되고 있음.

▶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균형있는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음으로, 스트림간 협력사업 등 스트림간 연계를 통해 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 또한 직물과 화학섬유의 경쟁력이 현재는 높지만 일본이 차별화 제품을 중심으로 높은 경쟁을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 비 필요

- 특히, 화섬장섬유사는 수출부진 속에 수입증가에 대한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고 특 히 일본의 높은 경쟁력 속에 중국이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생산규모를 확대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비 필요

(23)

Ⅲ. 한·중·일 섬유산업의

교역구조 및 수출입 특화 분석

1. 한·중·일간 교역구조 분석 가. 개 요

▶ 한·중·일 3국간 비교우위구조를 살펴보면

- 일본은 고기능성·고성능 섬유소재, 한국은 기능성 섬유소재 및 염색직물, 그리고 중국은 중저가 의류 및 생활용 제품, 천연섬유사 및 가공하지 않은 생지 직물에 비 교우위를 나타내며 무역이 형성

▶ 우리나라는 일본에 대해 의류 및 생활용 섬유제품, 편직물, 타이어코드직물 및 기능 성·고강력 소재를 수출하는 반면, 고성능 산업용 섬유, 고기능성 화섬소재, 고급 모 직물과 면직물 수입

▶ 우리나라는 중국에 대해 편직물, 염색·나염 화섬장섬유직물, 화학섬유 및 산업용 직물을 수출하는 반면, 중저가 섬유제품, 천연섬유소재, 범용 화섬소재를 수입

[그림 3] 한·중·일 3국간 교역구조

(24)

▶ 중국은 일본에 대해 중저가 섬유제품, 천연섬유소재, 방적사를 수출하는 반면, 고성능 산업용 섬유, 고기능성 화섬소재, 고급·고품질의 천연섬유직물을 수입

나. 한·중간 교역구조 현황

□ 대중국 수출

▶ 우리나라의 대중국 섬유수출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으로 이전한 의류업 체들이 한국에서 섬유소재를 조달하면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나, 중국의 섬 유소재 생산능력 증가에 따른 자급도 향상 등으로 2000년대 중반 이후 감소세로 반전

- 대중국 섬유수출은 2007년 28억 달러에서 2014년 현재 25억 달러로 3억 달러 감소 - 특히, 2014년에는 중국의 의류생산 둔화에 따른 섬유소재 수입수요 급감의 영향으

로 7.9%나 감소

▶ 우리나라의 대중국 주력 수출 분야는 직물인데, 2007∼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2.5% 감소

- 이는 2007년 이후 중국의 의류수출 둔화에 따른 직물 수요 둔화 및 중국의 자급도 향상으로 중저가품을 중심으로 한 직물 수입 수요가 둔화된 데 기인

- 또한 중국에 진출한 우리 의류 업체들의 경영부진으로 한국으로부터 직물 조달을 줄인 것도 주 요인으로 작용

- 여기에다 중국에 진출한 의류 업체들이 인건비가 낮은 베트남 등 아세안 지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것도 한 원인으로 작용

(25)

[표 5]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대중국 수출 대중국 수입 연평균증가율

(2007~2014) 2007 2010 2014 2007 2010 2014 수 출 수 입

화섬원료 189 198 209 18 17 25 1.4 4.7

섬유사 275 315 266 698 837 864 -0.5 3.1

천연섬유사 34 76 95 220 297 202 15.7 -1.2

화섬유장섬유사 212 199 152 229 308 465 -4.7 10.6

화섬방적사 29 41 19 248 232 197 -5.7 -3.2

직 물 1,819 1,787 1,521 911 965 1,028 -2.5 1.7

천연섬유직물 211 150 112 432 425 296 -8.7 -5.3

화섬장섬유직물 414 463 397 109 85 152 -0.6 4.9

화섬단섬유직물 127 125 127 142 138 141 0.0 -0.1

편직물 565 617 459 32 41 56 -2.9 8.5

기타직물 503 432 426 196 276 383 -2.3 10.1

의 류 359 308 369 3,284 2,797 3,518 0.4 1.0

기타섬유제품 142 137 151 728 761 1,159 0.9 6.9

섬유소재 2,284 2,300 1,996 1,626 1,820 1,917 -1.9 2.4 섬유의류 2,784 2,745 2,515 5,638 5,378 6,593 -1.4 2.3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 하지만 직물 중에서 표면처리직물, 강력사 직물, 염색한 혼방직물 및 파일·셔일직 물이 22~8%의 높은 증가

▪ 편직물 중에서도 탄성편직물은 중국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며 5%의 견실한 증가

- 또한 염색·날염직물 및 기능성직물은 최근 대중국 수출이 둔화되고 있지만 아직도 중국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

(26)

▶ 화섬장섬유사는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인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강력사 수출 감소 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4.7% 감소

- 하지만 고성능 섬유인 아라미드섬유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33.3%의 매우 높은 증가 율 기록하였고 스판덱스는 중국시장에서 높은 경쟁력 유지

□ 대중국 수입

▶ 대중국 섬유수입은 한·중 수교 이후 중국으로 이전한 의류업체 제품의 역수입 증가로 두자리 수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다가, 2007년 이후 중국의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

- 대중국 섬유수입은 2007년 56억 달러에서 2014년 현재 66억 달러로 연평균 2.3% 증 가에 그쳤음.

▶ 우선 의류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가격경쟁력 열 세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1.0%의 매우 낮은 증가에 그쳤음.

- 반면, 같은 기간에 의류 전체 수입증가율은 아세안 국가들을 중심의 연평균 10.1%의 높은 증가

▶ 반면, 화섬장섬유사는 DTY(폴리에스터 장섬유 연신가공사), 나일론 및 폴리에스 터 강력사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10.6%의 높은 증가

▶ 텐트, 컨베이어벨트 및 공업용 섬유제품도 32~18%의 높은 증가

▶ 부직포도 범용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20.7%의 높은 증가

▶ 화섬장섬유직물은 가공처리하지 않은 중저가 생지를 중심으로 같은 기간에 연평 균 4.9% 증가

(27)

대일 수출 대일 수입 연평균증가율 (2007~2014) 2007 2010 2014 2007 2010 2014 수 출 수 입

화섬원료 22.7 28.5 58.5 41.3 35.1 33.2 14.5 -3.1

섬유사 49.0 74.8 79.0 67.3 63.8 106.8 7.0 6.8

천연섬유사 7.5 10.7 13.7 8.1 8.2 7.5 8.9 -1.1

화섬유장섬유사 33.0 57.0 58.1 55.8 52.1 95.4 8.4 8.0

화섬방적사 8.5 7.1 7.1 3.4 3.5 3.9 -2.5 2.3

다. 한·일간 교역구조 현황

□ 대일 수출

▶ 우리나라의 대일 섬유수출은 일본의 경기회복에 따른 수입수요 증가 속에 중국의 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의 반사이익으로 견실한 증가

- 우리나라의 대일 섬유수출은 화학섬유, 화섬직물, 편직물 및 의류를 중심으로 2007~2014년 기간 동안 연평균 4.4%의 견실한 증가

▶ 우선 의류 수출 규모가 가장 많은데, 고부가가치 분야인 편직제 의류 중심으로 수 출

- 편직제 의류 수출은 같은 기간에 연평균 8.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직물제 의류는 0.1% 감소

- 품목별로는 남성셔츠, 스웨터·가디건 및 티셔츠가 16~10%의 높은 증가

▶ 화학섬유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데,

- 화섬장섬유사 중에서는 POY(폴리에스터 장섬유 부분 연신사), 합섬장섬유(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폴리프로필렌) 연신 가공사, 탄성사(스판덱스)가 10~20%대의 높은 증가

- 화섬원료 중에서는 폴리에스터 및 폴리프로필렌 단섬유가 두자리수의 높은 증가

▶ 편직물과 화섬장섬유직물도 각각 7.3% 및 6.6%의 견실한 증가율을 기록하였는데,

[표 6] 국내 섬유산업의 대일 수출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28)

대일 수출 대일 수입 연평균증가율 (2007~2014) 2007 2010 2014 2007 2010 2014 수 출 수 입 직 물 192.9 212.2 214.0 210.2 160.9 152.3 1.5 -4.5

천연섬유직물 13.3 6.5 8.7 40.6 18.9 18.7 -6.0 -10.5

화섬장섬유직물 26.0 34.6 40.6 53.6 38.8 23.0 6.6 -11.4

화섬단섬유직물 2.8 4.7 5.6 22.0 12.7 9.3 10.4 -11.5

편직물 22.9 28.7 37.6 19.0 16.5 22.3 7.3 2.3

기타직물 127.9 137.7 121.6 75.1 74.0 79.0 -0.7 0.7 의 류 296.3 338.8 422.8 56.4 58.1 53.8 5.2 -0.7

기타섬유제품 81.6 86.3 92.4 65.6 92.4 79.7 1.8 2.8

섬유소재 377.9 425.0 515.2 122.0 150.5 133.5 4.5 1.3 섬유의류 642.6 740.5 866.6 440.7 410.3 425.6 4.4 -0.5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 편직물 중에서는 환편직물이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는데 염색한 면 환편직물, 날 염 합섬 환편직물 및 염색한 합섬 환편직물이 10~20%대의 높은 증가

- 화섬장섬유직물 중에서는 폴리에스터 가공사가 10% 이상의 높은 증가

□ 대일 수입

▶ 대일 섬유 수입은 우리 업체들의 품질수준 향상에 따른 수입대체 등으로 감소세 를 나타내고 있지만, 고성능·고기능성 합섬소재와 고부가가치 천연섬유소재는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며 국내 시장을 잠식

▶ 대일 수입 규모가 가장 많고 높은 수입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는 분야는 화섬장섬 유사로, 같은 기간에 연평균 8.0%의 높은 증가

- 나일론 강력사와 고기능성 합섬 연신사가 각각 57.4% 및 34.7%의 매우 높은 증가율 기록

(29)

대중국 무역수지 대중국 무역특화지수

2007 2010 2014 2007 2010 2014

화섬원료 171 181 184 0.827 0.843 0.789

섬유사 -422 -522 -598 -0.434 -0.453 -0.529

천연섬유사 -186 -221 -107 -0.730 -0.593 -0.359

화섬유장섬유사 -17 -109 -314 -0.039 -0.216 -0.509

화섬방적사 -219 -191 -178 -0.791 -0.702 -0.823

직 물 908 822 493 0.333 0.299 0.193

천연섬유직물 -221 -276 -184 -0.345 -0.479 -0.452

화섬장섬유직물 305 379 245 0.584 0.690 0.446

화섬단섬유직물 -15 -13 -14 -0.057 -0.049 -0.052

편직물 533 576 403 0.893 0.875 0.781

기타직물 307 156 43 0.439 0.220 0.053

의 류 -2,925 -2,489 -3,149 -0.803 -0.802 -0.810

기타섬유제품 -587 -624 -1,008 -0.674 -0.695 -0.770

섬유소재 657 481 79 0.168 0.117 0.020

섬유의류 -2,854 -2,632 -4,078 -0.339 -0.324 -0.448

2. 우리나라의 대중국 및 대일 수출입 특화구조 분석 가. 대중국 수출입 특화구조

▶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규모도 수출둔화 속에 높은 수입증가 로 인해 2007년 29억 달러에서 2014년 현재 41억 달러로 12억 달러 증가

- 무역특화지수도 같은 기간에 -0.34에서 -0.45로 하락, 수입특화 정도가 크게 높아졌음.

▶ 직물과 화섬원료가 우리의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수출증가에 힘입어 수출특 화와 함께 무역수지 흑자 기록

- 직물은 우리의 경쟁력이 높은 편직물과 화섬장섬유직물을 중심으로 한 수출 특화로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2014년 현재 4억 9,313만 달러 기록

- 화섬원료는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단섬유를 중심으로 한 수출특화로 2014년 현재 1 억 8,422만 달러의 흑자 기록

[표 7] 국내 섬유산업의 대중국 수출입특화 현황

(단위: 백만 달러)

(30)

▶ 반면, 의류, 기타 섬유제품 및 섬유사는 높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의 저가품 수입증가로 수입특화와 함께 무역수지 적자 확대

- 의류 및 기타 섬유제품은 낮은 인건비 및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높은 가격경 쟁력을 지닌 중국에 수입액의 각각 43.0% 및 50.4%를 의존하면서 2014년 현재 각각 31억 달러 및 11억 달러의 큰 폭 적자 기록

- 화섬장섬유사는 범용 나일론 및 폴리에스터사 등을 중심으로 한 수입특화 확대로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2007년 1,720만 달러에서 2014년 현재 3억 1,380만 달러로 18 배 증가

▪ 하지만 아라미드사, 폴리프로필렌사, 어망사 등 고성능·고강력사 등은 흑자 기록 - 천연섬유소재는 국내에 천연섬유원료가 생산되지 않아 천연섬유원료 생산국인 중국

에 진출한 우리 업체들이 천연섬유 소재를 생산하여 역수입함으로써 수입특화 및 큰 폭의 무역 적자 기록

▪ 하지만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혼방 모사, 순면 염색직물 및 혼방직물, 순면 날염직물 등은 흑자 기록

나. 대일 수출입 특화구조

▶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대일 무역수지는 수출 회복 속에 수입 감소로 인해 2007년 2억 188만 달러에서 2014년 현재 4억 4,100만 달러로 2.2배 증가

- 무역특화지수도 같은 기간에 0.19에서 0.34로 상승, 수출특화 정도가 크게 높아졌음.

▶ 우리나라는 기술개발 및 품질 향상을 통해 대일 수출확대 및 수입대체로 화섬장 섬유사, 천연섬유직물 및 화섬단섬유직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수출특화 및 무역수지 흑자 기록

▶ 의류는 일본의 수입수요 증가 속에 중국의 가격경쟁력 약화의 반사이익으로 수출 이 증가하면서 수출특화 정도가 크게 상승

- 무역수지 흑자규모도 2007년 2억 3,992만 달러에서 2014년 현재 3억 6,904만 달러로 1.5배나 증가

▶ 편직물은 우리의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수출증가에 힘입어 무역수지 흑자규 모가 지속적으로 증가

(31)

[표 8] 국내 섬유산업의 대일 수출입특화 현황

(단위: 백만 달러)

대일 무역수지 대일 무역특화지수

2007 2010 2014 2007 2010 2014

화섬원료 -18.65 -6.58 25.32 -0.292 -0.104 0.276

섬유사 -18.22 11.01 -27.76 -0.157 0.079 -0.149

천연섬유사 -0.57 2.52 6.25 -0.036 0.133 0.295

화섬유장섬유사 -22.85 4.89 -37.22 -0.257 0.045 -0.242

화섬방적사 5.19 3.60 3.21 0.437 0.340 0.289

직 물 -17.23 51.29 61.73 -0.043 0.137 0.169 천연섬유직물 -27.27 -12.42 -10.03 -0.505 -0.489 -0.367 화섬장섬유직물 -27.52 -4.21 17.60 -0.346 -0.057 0.277 화섬단섬유직물 -19.16 -7.94 -3.76 -0.775 -0.457 -0.252

편직물 3.92 12.18 15.29 0.094 0.269 0.255

기타직물 52.80 63.69 42.62 0.260 0.301 0.213

의 류 239.92 280.70 369.04 0.680 0.707 0.774

기타섬유제품 16.06 -6.18 12.67 0.109 -0.035 0.074

섬유소재 -54.10 55.72 59.29 -0.093 0.097 0.092

섬유의류 201.88 330.24 441.00 0.186 0.287 0.341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통계

▶ 화섬장섬유직물은 고기능성·고밀도 직물 생산 확대를 통한 수입대체 및 수출확대 를 통해 수입특화에서 수출특화로 전환

- 이에 따라 무역수지도 2010년 421만 달러 적자에서 3024년 현재 1억 7,600만 달러 흑자로 전환

▶ 반면, 화섬장섬유사는 산업용 섬유제품 수요증가와 함께 일본으로부터 산업용 화 섬사 수입증가로 무역수지가 다시 적자로 반전

▶ 천연섬유직물은 수입 감소로 수입특화 정도는 다소 완화되었지만, 수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가운데 고부가가치·고품질 직물의 지속적인 수입으로 인해 수 입특화 및 무역수지 적자 지속

(32)

3. 시사점

▶ 한·일간 2개국은 글로벌 생산제품에 있어서는 경쟁관계를 나타내고 있지만 자국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보완관계의 성격이 강함.

- 일본은 1990년대부터 한국과 대만의 추격이 거세지자 경쟁관계에 있는 제품들을 인 도네시아, 태국 등 아세안국가로 이전하는 대신, 자국 내에는 한국과 대만이 따라올 수 없는 초극세사, 고기능성·차별화 소재 및 고성능 산업용 섬유 중심으로 산업구 조를 전환

▪ 단지, 우리나라가 최근 고기능성·고성능 섬유소재 개발을 통해 주력산업화 하면서 경쟁관계에 있는 품목이 늘어나고 있음.

- 대일 수출 확대분야는 남성셔츠, 스웨터·가디건, 티셔츠, POY, 합섬장섬유 연신 가공사, 스판덱스사, 폴리에스터·폴리프로필렌 단섬유, 염색한 면·합섬 환편직물, 날염 합섬 환편직물 등

- 대일 수입 확대분야는 나일론 고강력사, 고기능성 합섬 연신사, 경편직물, 고급 양 모·합섬 환편직물, 고성능 부직포, 고성능 공업용 섬유제품, 초극세섬유소재, 기타 고기능성·고성능 섬유소재 등

[표 9] 한국의 대중 및 대일 수출입 확대분야

대일본 대중국

수출확대분야

남성셔츠, 스웨터·가디건, 티셔츠, POY, 합섬장섬유 연신 가공사, 스판덱스사, 폴리 에스터·폴리프로필렌 단섬유, 염색한 면 환편직물, 날염 합섬 환편직물, 염색한 합섬 환편직물

표면처리직물, 강력사 직물, 염색한 혼방직물, 파일·셔일직물, 탄성편직물, 아라미드사, 기능성 직물, 염색·날염직물

수입확대 분야

나일론 고강력사, 고기능성 합섬 연신사, 경편직물, 고급 양모·합섬 환편직물, 고성능 부직포, 공업용 섬유제품, 고기능성·고성능 섬유소재, 초극세섬유소재

DTY, 나일론·폴리에스터 강력사, 텐트, 컨 베 이 어 벨 트 · 공 업 용 섬 유 제 품 , 범 용 나일론·폴리에스터 부직포, 생지직물

(33)

▶ 한·중간에는 현재 대부분의 분야에서 경쟁관계를 나타내고 있음.

- 중국은 선진국으로부터의 생산기술 습득, 외자유치 및 국내 설비투자 확대 등을 통 한 섬유소재 육성에 힘입어 생산능력이 크게 향상

▪ 특히, 중국은 규모의 경제를 통한 대량생산 및 생산성이 높은 최신설비로의 무장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함께 가격경쟁력을 높임으로써 우리 산업을 빠르게 추격

- 더욱이 중국의 12.5계획 기간에 신기술 및 신섬유 개발, 고성능 산업용섬유 육성, 자가 브랜드 개발능력 강화 등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로 인해, 앞으로 우리나라와 의 기술 및 품질 격차가 더욱 좁혀질 것으로 예상

- 대중 수출 확대분야는 표면처리직물, 강력사 직물, 염색한 혼방직물, 파일·셔일직 물, 탄성편직물, 아라미드사, 기능성 직물, 염색·날염직물 등

- 대중 수입 확대분야는 DTY, 나일론·폴리에스터 강력사, 텐트, 컨베이어벨트·공업 용 섬유제품, 범용 나일론·폴리에스터 부직포, 생지직물 등

▶ 따라서 앞으로 한·중·일 3개국간 비교우위구조를 바탕으로 도출된 수출유망분 야에 대한 정책지원과 함께 경쟁력 약화분야에 대한 구조조정 및 경쟁력 강화전 략 마련 필요

(34)

Ⅳ. 한·중·일 섬유산업의

국제경쟁력 및 산업정책 분석

1. 국제경쟁력 비교 분석 가. 세계시장점유율 비교

▶ 세계시장에서 우리 제품과 일본 제품은 가격격차가 커서 경쟁관계보다는 보완관 계를 나타내고 있음.

- 일본은 1990년대 들어 한국 및 대만과의 가격경쟁력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경쟁관 계에 있는 분야를 태국, 인도네시아 등지로 생산기지를 이전함으로써 현 일본에서 생산되는 제품과 우리 제품과는 경쟁관계를 나타내지 않고 있음.

- 하지만 우리나라가 화섬소재, 편직물에 대한 기술개발 및 품질수준 향상으로 중고 가대에서 일부 경쟁관계를 나타내고 있음.

▪ 특히,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초극세사 등 고성능·고기능성 산업용 섬유를 육성하 면서 이들 분야를 중심으로 경쟁관계 형성

▶ 우리제품과 중국제품은 대부분의 품목들이 경쟁관계에 있는데, 중국이 외국인 투 자 유치 및 국내 설비투자 확대를 통한 생산설비 확충과 함께 수출확대를 꾀하면 서 우리의 세계시장 잠식을 가속화

- 편직물, 화섬장섬유직물을 비롯한 직물은 그동안 중국에서 가공하지 않은 생지–국 내에서 염색가공을 통한 가공직물을 생산하여 교역하는 차별화 분업구조를 취했으 나, 최근 중국이 염색가공 기술 습득을 통해 가공직물을 생산하면서 경쟁관계가 일 부 형성

- 의류분야는 중국의 기술수준이 향상되면서 중가 대의 의류까지 잠식하고 있음.

참조

관련 문서

비고 2 CRC(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보드는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를

* (우리나라 시장점유율) Eng.. 전문가 양성) 금융, 계약, 사업관리 등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영역에 대한 학위 과정 등을 통해

그리고 내가 직접 내가 원하는 제품을 설계하고 제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기뻤다.. 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를 이어

전자교재 개발을 통한 학습의 흥미유발 지식습득의 효율성 증대. ƒ대학

ㅇ (민간 작은 생활문화공간 지원) 인천시의 브랜드 사업인 ‘천 개의 문화오 아시스 사업 ’ 등 민간의 작은 생활문화공간 지속 발굴 및 활동 지원

SFP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금융보험 지식을 바탕으로 고객의 생애에 최적의 재무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며, 2030세대 고객의 재산 증식 및 안정적인 자산 운용에 도움을

유연한 섬유 단단한 섬유 가벼운 무게 무거운 무게 가늘고 부드러운 텍스처 거친 텍스처. 작고 약하며 미묘한 대비 아주 강하고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섬유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