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중 기 벽을 이용 한 도 자 제품 디 자 인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이중 기 벽을 이용 한 도 자 제품 디 자 인 연구"

Copied!
4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이중 기 벽을 이용 한 도 자 제품 디 자 인 연구

국 민 대 학 교 디 자 인 대 학 원

도 자 공 예 전 공 김 희 정

19 9 9

(2)

이 중 기 벽 을 이 용 한 도 자 제 품 디 자 인 연 구

지 도 교 수 박 경 순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 0 0 0년

국 민 대 학 교 디 자 인 대 학 원 도 자 공 예 전 공

김 희 정

1999

(3)

김 희 정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 0 0 0 년

심 사 위 원 장 (인 )

심 사 위 원 (인 )

심 사 위 원 (인 )

국 민 대 학 교 디 자 인 대 학 원

(4)

논 문 개 요

현대는 급성장 하는 경제 발전으로 생활 양식의 변화를 가속시키고 있으 며, 생활이 윤택해진 현대인은 모든 생활 도구를 그 기능뿐만 아니라 생활 하고있는 공간에 적합한 미적 가치 즉, 디자인에 많은 비중을 두고 선택하 고있다.

모든 공예품의 형태는 시각적이고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욕구 세 가지가 충족되어져한다. 디자인에 있어서 형태미는 단순한 형태미가 아니고 기능에 적합하거나 거기서 유래된 형태라야 할 것이며 생활 용기로의 디자인은 실 용적인 기능과 미적 기능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우리의 전통 이중 기벽 용기에서 보여지는 구조적 특징과 조형적 아름다움을 재해석하여 담는 개념을 갖는 용기 디자인의 가 능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중 기벽 용기의 구조적 특징은 두개 이상의 기벽이 노출되어 형태를 이 루는 형식과 기벽이 위에서 둥글게 마주 붙으며 또아리를 이루는 형식 그 리고, 두개의 기벽이 마주 붙어 하나의 기벽으로 완성되는 형식 등 그 변 화가 다양하다.

즉, 이중 기벽 용기는 외형과 내형이 각각 다른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윗 면에서 보여지는 실용적인 측면과 장식적인 측면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로운 제작의도를 가지고 보다 다양한 형태와 기벽의 복합으로 이중 혹은 그 이상의 다중적

(5)

기벽구조로 전개하고자 한다.

또한, 외형과 내형이 존재하는 이중기벽의 형태를 바탕으로 자연과의 교감 시간이 점점 짧아져가는 도시인들에게 마음의 평온함과 공간에서 보여지는 여유로움을 줄 수 있도록 자연의 근원적인 속성을 작업에 부여하여 표현방 법의 디자인 요소로 채택하였다.

그렇게 제작되어진 형태가 제2의 자연이 되기를 원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 자는 본인이 소망하는 느낌을 실내로 끌어들여 마음의 휴식을 추구하는 것 을 가장 큰 목적으로 삼았다.

이런 점들을 감안하여 보다 편리하고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이중 기벽을 갖는 제품 디자인 개발에 역점을 두고 그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6)

목 차

논문 개요

1.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2. 이중 기벽 용기의 일반적 고찰 3

1) 이중 기벽 용기의 특성 3

2) 우리 나라의 전통 이중기벽 용기 3

3) 현대 도예의 이중기벽 용기 8

3. 작품 제작 과정 및 해설 12

1) 작품 제작 의도 12

2) 작품 제작 과정 및 방법 12

3) 작품 해설 15

4. 결론 36

참고 도판 38

참고 문헌 40

ab str act 41

(7)

1 . 서 론

1) 연 구 목 적

도자는 인류의 기원과 함께 그 발생부터 현재까지 어느 시대, 어느 지역 에 있어서나 용기라는 지속성을 지녀왔다.

흙의 역사가 예술의 한 장르로 구축되어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하기까지 도자는 실용적 도구로서든 시각적 대상으로서든 용기와 가장 밀접한 관계 를 가지고 있다.

용기는 흙이라는 재료와 소성이라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획득되고 담는 다는 목적에 따라 빚어지는 형태에 의해 겉과 안, 즉 외부공간과 내부공간 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간의 관계를 작업의 틀로 삼고 실용적인 면과 장 식적인 면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단층 기벽을 갖는 용기들의 구조가 단조롭다는 데에 주목하여, 장식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이중 기벽 용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현대인의 욕구를 이중기벽 용기 디자인에 반영시켜, 단층기벽에서는 생각 하기 어려운 다양성을 제시하여 실용적인 기능을 충족시키면서도, 예술적 감각이 가미된 디자인을 시도하고자 하며, 용기 디자인의 영역을 넓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8)

2 ) 연 구 내 용 및 방 법

이중 기벽 용기의 고찰을 통해 구조적 특징과 표면 장식 기법을 살펴보 고, 현대 작품에 이중 기벽 용기가 어떠한 방법으로 응용되어 표현되었는 가 하는 점을 관찰하여 작품 제작의 이론적인 배경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자연의 모체인 점토를 재료로 한 도자 형태를 실내로 끌어들여 자 연의 평온함과 여유로움을 담은 이중기벽 용기를 제작하고자 하였으며, 이 중 기벽 용기에서 보여지는 구조적 특징과 조형적 아름다움을 작품에 응용 하여 시도함에 있어 현대인의 생활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이중 기벽 용기 제작 과정에서 보여지는 물레 성형의 대칭 형태에 서 탈피하고 내형과 외형을 따로 성형하여 접합하는 과정에서 수축률 문제 로 보여지는 균열 등의 단점을 최소한 줄이기 위해,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 주입 방법을 채택하여 섬세한 마무리와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기물 외부의 장식 기법으로 다음의 기법을 이용하였다. 첫째, 투각 기법의 응용 둘째, 전사 기법 셋째, 부분적으로 페이퍼 클레이(paper clay )1)를 사 용하여 인위적이지 않고 흙 자체의 대비로 은은한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물 제작에 사용된 소지는 고려 도토와 백자 슬립, 실크소 지2)가 사용되었으며, 페이퍼 클레이의 소지로는 청토가 사용되었다.

내벽과 외벽의 기면을 달리할 수 있는 이중 기벽 용기의 특성을 활용하여 실용적 기능과 심미적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독창적인 용기 디자인을 통해 산업 도자의 영역을 넓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1) 페이퍼 클레이(paper clay ) :일반 점토 소지에 용해된 펄프가 첨가된 소지를 일컫 는다.

2) 실크 소지 : 환원용 고급 소지로서 소성 범위가 넓으며, 소성시 가장 탁월한 백색 도 및 투광성을 갖는 고품질의 우수한 자기를 얻을 수 있는 소지

(9)

2 . 이 중 기 벽 용 기 의 일 반 적 고 찰

1) 이 중 기 벽 용 기 의 특 성

도자는 기본적으로 내부 형태와 외부 형태의 상호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 태표현이 가능하다. 즉, 도자물은 평면적인 형태를 제외하고는 그것이 놓 여있는 외부 공간을 차지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 자체 안에 내부공간을 본질적으로 지니게 된다.

이중기벽 용기에서 보여지는 구조적인 특징은 크게 네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두 개 이상의 기벽이 노출되어 형태를 이루는 형식과 둘째, 두 개의 기벽이 만나 하나의 기벽으로 마무리되는 형식으로 중간 공간이 사라지고 양감으로만 나타나는데 이 경우에는 투각 장식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기벽이 위에서 둥글게 마주 붙으며 또아리형을 이루는 형식으로 내 부 공간이 사라지고 바닥에 놓거나 벽에 걸거나 매달 수 있는 자유로움이 특징이다.

넷째, 두 벽을 제 삼의 면으로 연결하여 두꺼운 전을 형성하는 현대 이중 기벽을 가진 조형 도자에 많이 나타나는 유형이다.3 )

2 ) 우 리 나 라 의 전 통 이 중 기 벽 용 기

우리 나라 역사에서 보여지는 전통 이중기벽 용기는 삼국시대부터 그 예 를 찾을 수 있다.

3) 인자, 「도자제 이중기벽 용기의 조형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10)

고배의 중앙 부분에 작은 잔을 올려놓은 듯한 모양의 삼국 시대 토기가 이중 기벽 용기의 출발을 보인다.

이중기벽을 갖고 있는 도자기는 흔히 찾을 수 없는 형태로 이는 단층 구 조를 갖는 용기보다 어려운 제작 과정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신라 시대의 토기 등잔, 고려 시대의 청자 투조 동자 연당초문 수주, 조선 시대의 청화백자 투조 모란문호, 백자 화형 필세, 여러 형태의 연적 등은 이중 기벽 구조를 갖는 도자기들로서 외벽에 대부분 투각장식을 사용했다.

이는 서민층보다는 소수의 일부 계층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추측되며 기 능적인 면보다는 장식적인 면을 더 고려했음을 알 수 있다.

시대별로 형태를 살펴보면 신라 시대의 토기 등잔〔도판1〕은 무개 고배형 의 동부에 작은 잔 5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얹은 신라 특유의 복등잔이다.

각 잔의 바닥에 구멍을 뚫어 어느 한 잔에만 기름을 부으면 그 아래 속이 빈 튜브형 토관에 기름이 차서 모든 잔에 불을 켤 수 있도록 하였다.

모배 바닥에 뚫린 5개의 작은 구멍은 불꽃을 세우기 위한 통풍 시설로 만 든 것으로 보이며 작은 잔과 모잔의 접합부에 장식을 매달아 한층 호화스 럽다.4 )

고려 시대에는 주로 물레 성형을 이용하여 두개의 기벽이 주둥이 부분에 서 마주 붙어 하나의 기벽이 되는 형식의 주전자와 투각된 호 등을 찾아 볼 수 있다.

청자 투조 모란문 호〔도판2〕는 사방 연당초문을 정교하게 투각하여 전 체적으로 생동감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화려함과 정교함으로 보아 일 반인이 사용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도자기는 단순하고 간결함에 그 특징이 있는 데 비해 18세기

4) 김원룡, 한국의미술Ⅰ, 신라 토기. 열화당

(11)

전반으로 보이는 백자 투조 모란문 항아리〔도판3〕는 이례적으로 복잡한 투조 문양이 있는 희귀한 예로 우수한 상품의 유태로 보아 왕실에서 사용 하기 위해 특별히 만든 것으로 보인다.

신라 시대의 등잔에서 볼 수 있는 기벽을 둥글게 말아 올려 제작된 또아 리 형태는 조선시대 백자의 연적에서도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19세기 백자 환형 수적〔도판4〕은 또아리 형태에 굽을 따로 붙이고 연적 으로 사용하였다. 실용품이라기보다는 서재의 문갑이나 탁자 위에 장식하 는 완상용 연적으로 이외에 청화 투조 운룡문 수적〔도판5〕, 백자 투조 운 초 엽문 수적〔도판6〕, 백자 투각 엽문 연적〔도판7〕이 있다.

청화 투조 운룡문 수적은 비교적 대형으로 기신부와 그것을 에워싼 외장 부의 이중 구조로 만들었는데, 외장부에는 운룡 무늬가 투조되어 있다.

투각한 구름 무늬에는 청화를 입혔고 용을 흰색으로 나타냈는데 두 눈에 만 청화로 점을 찍었다.

외부 형태만으로는 이중 기벽임을 알 수 없게 만든 형식인 조선 시대의 백자 화형 필세는5 )〔도판8〕 8각 화형의 접시 외벽에 네개의 곡선 칸을 만 들고 가운데 4각의 합으로 복층 기벽을 갖는 접시로 도자사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우리 나라 전통 이중 기벽 용기는 실용성과 장식성을 가진 복 합적인 의미를 가지며 용과 미의 조화를 잘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5) 필세: 사용한 붓에 묻은 채색을 물에 빨아 깨끗하게 하는 물그릇을 말한다.

(12)

< 도판1> 토기등잔 신라시대 < 도판2> 청자투조 연풍도문 수주 고려시대

< 도판4> 백자 환영 수직 조선시대

< 도판3> 백자 투문 모란문 항아리 조선시대

< 도판3> 백자 투문 모란문 항아리 조선시대

< 도판5> 청화투조 용문수적 조선시대

(13)

< 도판6> 백자투문 운초 엽문 수적 조선시대

< 도판6> 백자투문 운초 엽문 수적 조선시대

< 도판8> 백자 화형필세 조선시대

< 도판7> 백자 투문 엽문 연적 조선시대

< 도판7> 백자 투문 엽문 연적 조선시대

< 도판9> 청화 류화탁 고려시데

(14)

3 ) 현 대 도 예 의 이 중 기 벽 용 기

“어떠한 현상이든 두가지 방법으로 체험되고 있다. 이 두가지 방법이 임 의의 것이 아니라 현상과는 불가분한 관계에 있는 현상의 본질적 외면성과 내면성의 두 가지 특질에서 유래하는 것이다.”6 )

공간에 대한 개념은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의 이중적인 현상으로 형성되 며 이러한 공간의 이중성은 하나의 형태적 특성을 갖고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겉공간과 비어있는 안공간과의 상호 관계에 따라 도자는 다양 한 형태 표현이 가능하다.

도자 재료의 내재적인 특성과 성형에서 소성까지의 제작 과정에서 일어나 는 변화 속에서 이차원적인 요소와 삼차원적인 형태의 개성적인 표현의 자 유를 구가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현대 도예의 이중 기벽 용기는 사용하기에 다소 부적합한 형태를 띠고 있 지만 개성적인 양상과 더불어 심미적 기능을 중시하는 오브제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현대의 도예가들은 이중 구조에서 보여지던 도자기를 배경으로 폭넓은 조 형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자체의 구조적 특징을 응용하여 외부와 내부 공 간에서의 새로운 조형 형태를 창출하고 있다.

현대 도예에서 보여지는 이중 구조의 작업들은 전체적으로 형태에서의 안 정감과 운동감을 의도로 하나의 형태에서 파생되는 다른 이미지가 율동미 와 균형을 이룸으로서 그 조형미를 표출한다.

그리고, 용기의 형태를 표현 수단으로 조형적인 면을 부각시켜 담을 수 있는 공간의 확장으로 다양한 형태들을 볼 수 있다. 제품 개발로 나타나는

6) 칸딘스키, 점.선.면, 차봉희 역, 서울:열화당

(15)

이중 기벽 용기의 형식은 기하형이 주로 많으며 표면 장식은 호화롭게 전 사를 이용한 장식이 많이 쓰였다.

현대의 이중 기벽 용기는 기능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도예에서부터 본래의 흙을 만지는 행위와 체험을 중시하는 조형적 도예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

(16)

< 도판10> Graham < 도판11>

< 도판11> Jinny Har grav e < 도판13> Spilit F orm

< 도판14> Kazvm asa Ohara

< 도판14> Gr aham Marks

(17)

< 도판16> Kazvm asa Ohara

< 도판16> Kazvm asa Ohara

< 도판17> Nan ako Kaji

< 도판17> Nanako Kaji

< 도판18> 비 박석우

< 도판19> w hit e & black Bow l

< 도판21> 주전자와 비 박석우 < 도판21> 주전자와 비 박석우

(18)

3 . 작 품 제 작 과 정 및 해 설

1) 작 품 제 작 의 도

과거로부터 용기는 계속 만들어져 왔으며,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 기 때문에 현대 도예가들은 실용과 장식적 기능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용 기 또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루고 있다.

본 연구자는 모든 용기의 구조는 겉과 안으로 이루어진다고 보고, 이중 기벽 용기를 제작하여, 외벽은 장식적인 효과를 표현하고 내벽은 기물이 가져야하는 실용적인 면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모든 조형의 기본이 되는 자연의 일부 요소들을 도입하여 실내 공 간에서 마음의 휴식을 줄 수 있고 안식처가 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일반적으로 물레 성형이나 조형 작업에서 보여지는 크기와 무게가 커지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 주입 성형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형태상의 깔끔한 마무리와 내벽과 외벽을 따로 접합시키지 않고 한번에 완성형이 나오기 때문에 형태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었다.

2 ) 작 품 제 작 과 정 및 방 법

본 논문에서의 기본 취지는 직선과 곡선을 이용한 단순한 형태를 제작하 여 실내 환경이나 현대인의 생활 구조에 맞게 작업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 다.

작품 전개는 크게 2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단계에서는 접시로서 외벽과 내벽이 갖는 면들을 활용하고, 나아가 내부

(19)

공간의 개념이 확대되어 실용적인 면의 비중을 크게 두었다.

접시 제작에 있어서의 기본 형태는 원, 사각, 타원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이중 기벽을 갖는 용기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내벽은 실용의 개념으로 단 조로우면서도 깔끔한 형태로 하였다.

2단계 작업에서는 자연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개념을 크게 확대시켜 실 내 공간과 어울릴 수 있는 수반과 화기를 제작하였다.

전체적인 디자인 관점에서 볼 때, 이중 기벽 용기는 부피감이 커지고 형 태에 따라 둔탁하게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가급적 큰 굴곡은 피하고, 부 드러운 느낌을 주면서 선의 율동감을 살리고자 하였다.

작품의 제작 방법은 내외 벽을 따로 접합하지 않고 한번에 완성형이 나오 게 하기 위해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 주입 성형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는 용기의 무게도 줄일 수 있고 내벽과 외벽의 형태를 자유롭게 표현함 으로서 형태의 단순미를 극복하고 시각적 중량감을 크게 확대시킬 수 있었 다.

석고 이장 주입의 성형과정은 ⑴ 원형 제작 ⑵ 사용형 제작7 ) ⑶성형 ⑷ 건조의 과정을 거친다.

석고 원형은 약 17%의 수축률8 )을 계산하여 제작에 임하였으며, 사용형에 서 형성된 소지의 두께는 작은 기물은 3~4㎜, 큰 기물은 7~8㎜정도가 소 성에서의 뒤틀림도 적고 무게도 알맞다.

또한, 다른 기물과 달리 이중 기벽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기물의 상단부

7) 사용형의 크기 = 완성품의 크기

100- 도토의 수축율 × 100 8) 수축률 (%) = 도토 최초의 길이- 소성후의 길이

도토 최초의 길이 × 100

(20)

에서 하단부로 가해지는 하중이 높아 건조 시에는 기물을 뒤집어 굽부분이 위로 향하게 하여 천천히 건조시킨 다음 뒤집어서 완전 건조를 시켜주었 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 도토와 백자 슬립을 사용하여 수축률을 줄이고, 백색 도를 높이기 위해 실크 소지를 사용하였다.

페이퍼 클레이는 일반 점토 소지에 용해된 펄프가 첨가된 소지를 일컬으 며, 실험을 통하여 펄프의 첨가량이 용량비 15%~30% 정도가 적절하였다.

접시에 주로 사용된 페이퍼 클레이는 청자토가 담긴 주사기로 석고틀 안 에 원하는 문양을 그린 후 이장 주입을 하여 확대된 내부 공간 안에 흙 자 체의 색으로 인위적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그 외에도 형태 자체를 크게 살리면서 그와 어울리는 투각 기법과 전사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소성은 전기 가마에서 850도 내외로 소성 하였고, 1250내외로 산화 소성 을 1260도 내외로 환원 소성을 하였다.

시유 방법은 담금법과 스프레이 시유를 겸용하였고, 소지의 색을 충분히 살리고자 투명유를 기본유로 정하고, 코발트, 철, 유리등을 장식요소 표현 에 적절하게 사용하였다.

(21)

3 ) 작 품 해 설

【작품1】

1. 소지: 고려 도토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5. 작품 해설: 대형 접시의 형태로 내벽과 외벽을 형성하는 공간에 두꺼 운전을 형성하였고, 물결 이미지로 부드러운 율동감을 표 시하였다.

고요한 분위기의 표현으로 형태를 단순화시키고, 단순화 된 내부 공간을 조각도로 깍아내려가 시각적인 깊이감을 줄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작품2】

1. 소지: 백자 슬립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 주입 3. 시유: 투명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1000도 상회

5. 작품 해설: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이중 기벽 용기에 자연의 요소 인 꽃의 문양을 전사하여 기하학 형태의 특징적 요소인 정리됨과 꽃의 유기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

(22)

【작품3】

1. 소지: 고려 도토, paper clay 청토 첨가

2. 성형: paper clay 바른 후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 주입 3. 시유: 투명유

4. 소성: 1250도 전기 가마 산화 소성, 1260도 가스 가마 환원 소성 5. 작품 해설: 백색과 청자토를 사용하여 대비효과를 보고자 하였으며,

소성 상에서 접시의 양옆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 여 받쳐지는 면을 따로 제작하여 끼워 소성하여, 보여지 는 선을 최대한 살리고자 하였다. 도심속의 현대인들에 게 여유로움과 시원함을 주고자 길다란 접시 형태로 디 자인하였으며, 현대적인 단순함과 자연의 풍경을 조화롭 게 표현하였다.

【작품4】

1. 소지: 실크 소지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 소성

5. 작품 해설: 작품3의 연작으로 크기가 작아졌으며, 나뭇잎이 물위에 떠있는 형상을 소재로 하였으며, 정제되고 세련된 선으 로 자신만의 개성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을 위한 접시로 서의 기능을 포함시켰다. 식탁 위에서의 신선함과 조형 적 역할도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23)

【작품5, 6】

1. 소지: 고려 도토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장석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5. 작품 해설: 딱딱하고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질감을 표현하고 자 하였다.

【작품7】

1. 소지: 고려도토, 실크 소지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반매트유, 장석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1260도 가스가마 환원소성 5. 작품 해설: 겹쳐진 산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작업이다.

외면과 내면 사이에 꺽여지는 면을 두어 형태상의 단조 로움을 피하고자 하였다.

(24)

【작품8】

1. 소지: 실크 소지, 고려 도토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노랑유, 투명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805도 상회

5. 작품 해설: 고려 시대의 이중 기벽 용기의 응용으로 꽃의 형태를 단 순화시켜 재구성하였으며, 접시 위에 작은 종지 개념의 접시가 올려져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식생활과 어울린다는 생각으로 제작하였다.

【작품9】

1. 소지: 실크 소지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805도 상회

5. 작품 해설: 전통 이중 기벽 용기에서 보여지는 투각 방법을 응용하 였고, 회전하는 착시 효과와 반복의 구성적인 요소를 표 현하여 율동미를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내형과 외형이 분리되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25)

【작품10】

1. 소지: 고려 도토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5. 작품 해설: 도심에서 건조함을 느끼는 현대인들에게 자연의 일부 요 소인 물과 나뭇잎을 담아 실내 공간에 놓여졌을 때 작 은 여유로움이 느껴질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작품11】

1. 소지: 실크 소지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유리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5. 작품 해설: 이중 기벽 용기의 장점인 부피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 록 하였고, 자연의 일부분인 호수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나무와 유리등 상징화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호수에서 느껴지는 고요함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26)

【작품12】

1. 소지: 실크 소지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유리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5. 작품 해설: 불안정해 보이는 형태로 긴장감을 주고자 하였고, 그와 는 대조적으로 내부 공간은 투명한 유리를 이용하여 물 이 고여있는 듯한 평온한 느낌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13】

1. 소지: 실크 소지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투명유, 유리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5. 작품 해설: 호수와 호수에 비친 나무를 상징화한 수반 작업이다.

시원함을 줄 수 있도록 길다란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물 을 표현하기 위해 내부 공간에 유리를 사용하였다.

(27)

【작품14】

1. 소지: 고려 도토

2. 성형: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3. 시유: 무유

4. 소성: 1250도 전기가마 산화소성

5. 작품 해설: 자연스럽게 늘어난 흙의 질감을 나타내고자 하였고, 이 중 기벽 용기의 구조적 특징인 또아리 형태를 응용하여 벽에 걸 수 있는 조명을 제작하였다.

(28)

[작 품 1] 접 시 310X310X65m m 1999

(29)

[작 품 2 ] 접 시 270X 150X65m m 1999

(30)

[작 품 3 ] 접 시 650X 150X70m m 1998

(31)

[작 품 4 ] 접 시 260X 100X40m m 1998

(32)

[작 품 5 ] 접 시 350X 250X80m m 2000

(33)

[작 품 6 ] 접 시

245X 165X70, 175X 155X90, 135X 105X55m m 2000

(34)

[작 품 7 ] 접 시 455X200X50m m 2000

(35)

[작 품 8 ] 접 시

(大)250X 250X45, (小)100X 100X 27m m 2000

(36)

[작 품 9 ] 이 중 화 기

160X260X230, 95X95X 230m m 2000

(37)

[작 품 10 ] 수 반 155X 167X90m m 1998

(38)

[작 품 1 1] 수 반 220X 210X 110m m 1998

(39)

[작 품 12 ] 과 반 560X 210X 200m m 1999

(40)

[작 품 13 ] 수 반 580X200X90m m 2000

(41)

[작 품 14 ] 벽 걸 이 조 명 350X250X80m m 1999

(42)

5 . 결 론

이중 기벽 용기는 내벽과 외벽이 따로 있으므로 장식과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이 분리되며, 새롭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해 부피감, 중량감, 볼륨감 을 형성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다양한 형태 변화를 모색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석고틀을 이용한 이중 기벽 용기는 내벽과 외벽을 따로 접합하지 않고 한번에 완성형이 나오므로 일반적으로 보이는 이중 기벽 용 기의 무게가 커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고, 보다 자유롭고 다양한 형태 제작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내벽과 외벽이 연결되어 있어 전에서 형성되는 두께가 외부 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잡아줌으로써 휘고 처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러한 결과물들을 종합하여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접시의 경우 단층 기벽 용기는 실용성을 위주로 제작되어지기 때문 에 대부분 평면적 형태를 이루고있는 반면 이중 기벽 용기는 외부의 조형 표현이 가능하고, 내부의 담겨질 수 있는 공간 표현 또한 가능하므로 다 양해지고 개성적인 현대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부피가 커짐으로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시와 비교할 때, 수납되어 지는 공간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수반과 화기의 경우 실내 공간에 놓여졌을 때, 이중 기벽 용기의 부피 감과 거기서 느껴지는 안정감은 자연과 접하고자 제작되어지는 수반 이나 화기의 개념과 동일한 개념을 갖는다.

(43)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장단점을 보완하여 앞으로도 장식적인 요소와 기능적인 요소를 표현하는 데에 한계를 갖지 않는 이장주입 성형방법을 이 용한 이중기벽 용기를 제작하여 공예의 본질적 요소인 용과 미의 조화를 이루고자 노력할 것이다.

(44)

< 도판22> Lar ge Bow l < 도판23> Vess el of Eart h

< 도판24> 겨율 풍경 박석우 < 도판25> F orminifer a

< 도판26> 신철순

(45)

< 도판27> 숲 박석우

< 도판28> Beergott e tray

< 도판29> Beergott e tray

< 도판30> Niek Zw artjes

< 도판31>

(46)

참 고 문 헌

〈 단 행 본 〉

강 경숙, 한국 도자사, 서울:일지사, 1989 국립 중앙 박물관, 국보 도감 , 서울:문교부 김 원룡, 한국의 미술 Ⅰ, 서울: 열화당, 1985 디자인 하우스, N OUVEL OBJET Ⅰ.Ⅳ, 1999 디자인 하우스, 미술 공예, 1993

야나기무네요시, 공예문화, 서울:신구문화사, 1976 칸딘스키, 점.선.면, 서울:열화당, 1983

한국의 미 2 백자 , 서울:중앙 일보 계간 미술, 1978 한국의 미 4 청자, 서울:중앙 일보 계간 미술, 1981 한병삼, 국보 8 백자- 분청사기, 1984

INDU S T RIA L DE S IGN 10, 1992

〈 논 문 〉

김인곤 「이중기가 갖는 내부공간의 조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 국민대학교, 1992

김인자 「도자제 이중기벽 용기의 조형연구」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1998

복은경 「장식과 실용을 겸한 도자 접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1996

신철순 「도제 이중기벽 용기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 홍익대학교, 1992

(47)

ab s trac t

A s t u dy o n t h e D e s ig n o f D u a l - S t ru c t u re C e ram ic P ro du c t

K im , H e e - Ju n g D e pt . o f c e ra m i c A rt Gra du a t e S c h o o l o f D e s i g n K o o km in U n iv e r s it y D ire c t e d b y pro f . P a rk , K y o u n g - S o o n

Modern society accelerat es the changes of life st yle by a rapid growth of econom y . In this econom ic st andard, m odern s do not choose ev ery functional object it self but also they car e for the design , which is m ore visual and suit able for t heir living space.

Every craft w ork m ust suffice three condition s such as visual, aesthetic and functional. T he design of shape is proper for functional and has t o be function originat ed from it self. Also, cont ainer m ust have sufficient for u seful and aest het ic.

T hen I pur sue the pos sibilities of the re- int erpr et ed cont ainer design in the beauty of m oulding . T hr ee m ain st ructur al charact erist ics of the dual structure ceramic ar e connecting the opened w all a s duplex or triple or m ore, connect ing a circular shape face ont o it self (T o- a - ri),

(48)

and linking t w o w alls t o m ake one structure . Due t o exist ence of con struction , which ar e an indu st rial fact or and a decor ative charact er .

Based on the m erit s I try t o br eak a general not ion with a m ove liberal pr oduct int ention , and dev elop t he duplex , t riple or m or e w all structure by complex es of v ariou s form s and w alls .

Giv e urbanities tr anquil m ind and t o be r elax ed by the beauty of blank and Dual- struct ur e has int ernal and ext ernal shape I select generic char act er of nature as design elem ent s .

I hope that the w ork can be ideal natur e and it leads , as I wish , int o the indoor t o be relax ed. T ake int o these account s, I put emphasis on the developm ent of designing dual- st ructur e ceramic t o find m ore convenient and t ast eful for urbanit es .

참조

관련 문서

이러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은 1991년 에 양방향의 교육 프로그램(two-way bilingualeducation program)의 형태로까지 발전하였다... 교사의

넷째, 고객 유형별 세분화,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등을 통한 판로개척 및 소비 자 팸투어, 생산농가 방문 등 소비자와 생산자간 유대를 형성할 수

따라서 시중에 나와 있는 모든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보다는 교육과정 자 체를 분석하는 것이 좋다..

본 연구는 다문화 수학교사교육을 통해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고 자 연구 참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제안한 안테나는 PCB 기판의 윗면과 아랫면에 배치하여 쌍극의 극성을 갖는 다이폴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낮은 주파수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이중

슈링클스 종이는 열가소성과 형상기억의 과학적 원리를 가진 플라스틱 종이로, 학생들이 쉽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고, 오븐을 이용하여 창의적 슈링클스

지금까지 논의한 사실을 정리하자면,한국어 이중 부정문은 형식이 비교적 간 단하여,다수의 이중 부정은 어휘적 부정소로 구성된다.그런데 사실 이렇게 부 정을

슈링클스 종이는 열가소성과 형상기억의 과학적 원리를 가진 플라스틱 종이로, 학생들이 쉽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고, 오븐을 이용하여 창의적 슈링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