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 분석"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8, Vol. 34, No. 2, pp.1-24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 분석

박 재 범(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시간강사)

<요 약>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소속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분석하여 통합 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은 어떤 선생님인가?’라는 보고서(Report)를 연구 제공자에게 작성하 도록 하였다. 연구방법: 최종 수집된 자료는 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18명의 예비교사와 통합교육 현장에 참관 경험이 있는 2명의 예비교사의 보고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는 주제 분석 및 유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 학급 교사상의 결과는 첫째,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 둘째,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 셋째,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 넷째,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 다섯째,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 여섯째,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으로 밝혀졌다. 결론: 종합적으로 볼 때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지성, 감성, 인성 등 의 역량과 자질을 갖추고 통합교육에 헌신하며 실천하는 선생님으로 귀결되었다. 본 연구는 몇 가지의 연구의 한계 및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주제어> 통합교육, 교육대학원, 예비교사, 바람직한 특수교사상

(2)

Ⅰ. 서 론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교육적․법적인 근거에 의하여 교육현장에 정착되고 변화됐다. 통합 교육은 1993년「특수교육진흥법」과 2007년「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명시되었다(김남 순, 2010). 통합교육은「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2조 6항에서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 학교에서 장애유형․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 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이다.’고 정의하고 있다(김남순 등, 2015). 이런 규정에 따라 2009년 도의 경우 전체 특수교육 대상 학생 중 68.3%이고, 이후 2017년은 70.7%가 일반학교의 특수학 급 혹은 일반학급에 배치되어 통합교육을 받고 있다(교육부, 2009, 2017a).

통합교육의 기본 단위로 활용되는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은「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 2조 11항에서 ‘특수교육대상자의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설치된 학급’이라고 명시하고 있다(김남순 등, 2015). 구체적인 특수학급 현황을 살펴보면, 2011년도는 8,415학급, 학 생 수는 43,183명에서 2017년도는 10,325학급, 학생 수는 47,564명이 증가하였다(교육부, 2011, 2017b). 이러한 점은 일반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 형태의 통합교육에 대한 선호 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합교육의 성공 여부는 교사의 인식과 긍정적 태도가 결정한다(Scruggs & Maestropieri, 1996).

무엇보다도 일반교사는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특수교사의 역할과 수 행을 존중해야 한다. 이러한 교사의 자질을 높은 수준으로 체득하여 효율적으로 학생을 교육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사상이 요구된다(이윤식 등, 2007; 황기우, 2001). 따라서 교육대학원의 예비 교사부터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을 인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한 특수교사의 노력과 일반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 성과 책무성이 필요함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일반교사의 양성과정에서는 2009년 이 후 입학한 예비교사는 교직 소양 과목인 ‘특수교육학개론’을 이수해야 교원자격증이 취득됨을 명시하였다(교육부, 2017c). 즉, 예비 특수교사뿐만 아니라 교사가 되기 위한 과정에서 모든 예 비교사는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이 실천되기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와의 공감, 소통 및 협력적인 관계가 중요하다(Pugach & Johnson, 1995). 이러한 점은 교육현장에서도 일반교사가 통합교육의 역량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목적으로 직무연수와 동아리 활동이 확대되고 있다(교육부, 2016; 서 울특별시교육청, 2017). 이런 과정을 통해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을 내면화된다는 것은 미래의 교 육현장에서 일반교사로서 특수교사와 협업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근간이 된다는 점이다.

국내의 교사상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학교 구성원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사상 연구(김성숙, 2010; 박선기, 2010; 오경종, 2012; 정춘미, 2011; 황찬영, 2008), 시기․사상․이념에 적합한 바람직한 교사상 연구(김병찬, 2005; 조수재, 2006; 한덕희, 2006), 교직 이수자가 인식하

(3)

는 바람직한 교사상 연구(이윤식, 김인정, 2008), 보육교육․다문화교육․영재교육에 필요한 바 람직한 교사상 연구(이서현, 홍순옥, 안영혜, 2014; 이지민, 2009; 이현지, 김재훈, 2012) 등이 주 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일반교육 중심의 교사상 혹은 특정 교육에 적합한 교사 상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외의 연구로는 특수교사상을 분석한 연구(김소원, 2014; 이현정, 2004; 이덕미, 2006; 정명 옥, 강영심, 2009)와 통합학급 교사상을 탐색한 연구(박재범, 2015) 등이 있다. 이와 유사한 연구 로는 특수교육교사의 이미지 분석(전민정, 오유정, 김삼섭, 2013), 중등 특수교사의 이미지 연구 (안종혁, 2012), 특수교사의 직업이미지 분석(김정규, 2017), 통합학급 이미지 연구(김자경 등, 2012)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몇 편의 특수교육 교사상의 질적 연구를 제외하고는 특수 교육 교사상의 인식을 조사한 양적 연구가 더 많았다. 그렇지만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 교사상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의 교사상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교직의 특수성, 교직의 유형, 교육 적․시대적 필요한 교사상 등에 특성과 요인을 밝히는데 상당한 일조를 하였다. 하지만 일반교 육 중심의 교사상 위주로 연구되어 통합교육 환경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분석하여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은 어떤 선생님인 가?’로 설정하였다.

Ⅱ. 연구방법 및 과정

1. 연구자와 연구 제공자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제공자는 수도권에 소재하는 행복대학교 교육대학원1) 특수교육학개 론을 수강하는 교육대학원생이다. 이 연구 제공자는 미래의 유치원 교사를 포함하여 일반학교 의 교과 그리고 비교과를 담당하는 예비교사들이다.

연구자는 약 7년 넘는(2009학년도 2학기부터 2016학년도 2학기, 총 15학기) 동안 행복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겸임교수와 시간강사로 위촉되어 강의를 담당하였다. 여기에서 주로 연구자가 담당한 강의는 교원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직과목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연구자는 특수교 1) 본 연구의 연구 대상학교와 연구 제공자의 이름은 모두 가명이다.

(4)

순번 이름 성별 전공 입학년도 중등학교 시절의 통합교육 경험

1 정시흥 여 사서교육 2014

2 정안양 일반사회교육 2015

3 금광명 수학교육 2015

4 조수원 여 사서교육 2015

5 오구리 종교교육 2015

6 소고양 여 일반사회교육 2015

7 이과천 여 일반사회교육 2015

8 이성남 여 영어교육 2015

9 윤광주 여 영양교육 2015

10 최하남 역사교육 2015

11 이김포 여 일반사회교육 2015

12 전포천 수학교육 2015

13 김양주 여 영어교육 2015

14 안군포 여 음악교육 2016

15 이안성 여 음악교육 2016

16 최안산 여 유아교육 2016

17 문오산 여 일반사회교육 2016

18 이여주 여 영어교육 2016

19 김화성 여 상담교육 2016 무(통합교육 현장 참관)

20 김파주 여 상담교육 2016 무(통합교육 현장 참관)

<표 1> 연구 제공자의 배경

육학개론을 강의하는 담당 교수로서 2016학년도 2학기에 연구 제공자와 만나게 되었다. 본 강 의의 정원은 40명이었지만 교직 소양으로 꼭 이수해야 하는 특수성 때문에 정원이 훨씬 초과한 교육대학원생 총 87명이 수강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보고서는 다음에 논문 작성 시 자료로 활용됨을 강의 인터넷 사이트 공 지사항에 안내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연구자는 강의 시간을 통해서 연구 제공자에게 동의를 구 하였다. 연구 제공자는 과거에 경험했던 중등학교 시절의 통합교육에 대해 회상한 교육대학원 의 예비교사와 중등학교 시절의 통합교육 경험은 없지만, 통합교육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특수 교사와 교류한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보고 서를 제출한 교육대학원 예비교사 총 2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5)

연구 제공자의 성별은 남학생이 5명, 여학생이 15명이었다. 교육대학원의 입학연도는 2014년 1명, 2015년 12명, 2016년 7명으로 구성되었다. 전공은 유아 교육전공 1명, 일반사회교육전공 5 명, 수학교육전공 2명, 역사교육전공 1명, 영어교육전공 3명, 종교교육전공 1명, 음악교육전공 2 명, 사서 교육전공 2명, 영양교육전공 1명, 상담교육전공 2명이었다. 따라서 연구 제공자의 배경 은 <표 1>과 같다.

연구자는 연구 제공자가 중등학교 시절의 통합교육 경험과 미래의 일반학교 교사가 희망하 는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상을 새롭게 정립하는데 다음과 같은 도움을 주었다.

첫째, 연구자는 특수교육학개론을 강의하는 교수로서 기초적인 이론중심으로 강의를 재구성 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고등학교에 설치된 특수학급 담당 특수교사로서 교육현장의 구체적인 사례를 활용하여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를 이해시켰다. 셋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 가 다음에 일반교사로서 필요한 교직관이 확립되도록 노력하였다. 예컨대, 연구자는 특수교육 이해, 통합교육의 개념, 통합교육에서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관계, 장애영역별 통합교육 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등에 설명하였다. 넷째, 연구자는 특수교육 관련 동영상 및 사진, 통합교 육 관련 동영상 및 사진, 장애이해인식 자료, 교육현장 논문 및 학회지 논문 등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통합교육 현장의 방문을 통해 통합교육을 직접 체 험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연구자는 자신의 특수학급 수업 동영상을 강의 전에 보여줌으로써 훗날 일반교사로서 통합 교육 한 측면을 담당할 교사로서의 동기를 유발했다. 연구자는 개인차에 맞는 수업 활동, 다양 한 인간관계, 담당 업무 등의 교직 생활을 언급하면서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에 대한 삶과 의미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점은 교육대학원 예비교사가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에 대한 역할 과 자질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을 인식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다.

2.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17일에 관련 사이트에 안내하고 2016년 11월 10일까지 제출하도록 공지하였다. 혹시라도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당일에 제출하지 못하면 연구자의 이메일(E-mail)로 보내도록 안내하였다.

보고서(Report) 주제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3가지를 제시 하고, 그렇게 생각한 이유와 의견을 쓰시오.’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주제로 선정한 이유는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상을 내면화되었는지 알고 싶었다. 그리고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 사상에 드러난 특성을 분석하고 싶었다.

이에 제출된 보고서는 5명의 미제출자 제외한 총 82명의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의 보고서가

(6)

수집되었다. 수집된 보고서 중에서 총 20명의 보고서를 최종 수집하였다. 먼저 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 18명은 장애학생과의 교류하고 특수교사를 접할 기회가 있었다. 나머지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 2명은 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이 경험은 없지 만 2016년 10월 수도권 소재의 교육축제 한마당에 방문하여 통합교육 현장을 참관하였다. 따라 서 최종 수집된 보고서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드러내는데 A4 기준으로 20편 총 60여 장이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제출한 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주제 분석 및 유 목 분석을 실시하였다(Spradley, 1980).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내용 중에서 어 떠한 공통적인 특성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자료 중에서 의미 관계를 지닌 것들을 추 출하여 상호 관련이 있는 소주제를 파악하여 특수학급 교사상을 설정하였다.

3. 타당도 확보 노력

1차 보고서가 완성한 후 연구자는 연구 제공자 확인법(member check)을 사용하여 연구 제공자 2명에게 보고서의 이유와 의견이 정확하게 제시되었는지 살펴보게 하였다(유기웅 등, 2012). 아 울러 연구자는 동료 검토방법(peer examination)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일반교사이면서 교육학 박 사 1명에게 자료의 분석과정과 범주화하는 과정에 대한 조언과 지적을 받았다(한유리, 2017).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중학교 특수학급 경력을 가진 특수교사 1명과 고등학교 특수학급 경력이 있는 특수교사 1명에게 각각의 전문가 조언을 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보고서에 제시된 연구결과의 타당도를 확보하고 해석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Lincoln & Guba, 1985).

Ⅲ. 연구결과 및 논의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교육 대학원의 예비교사가 작성한 보고서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빈도가 높은 6가지 특성 을 도출하였고, 내용은 <표 2>와 같다.

이에 따른 특수학급 교사상의 빈도가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첫 번째로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은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

이다. 즉,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은 ‘특수교육의 전문성을 가진 선생님’, ‘다양한 직업교육에

(7)

교사상 세부사례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

- 학생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선생님 - 폭넓은 지식과 세심함이 있는 선생님 - 특수교육의 전문성을 가진 선생님 - 다양한 직업교육에 대한 지식이 있는 선생님 - 특수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는 선생님

- 이론과 지식보다 실용성을 가진 선생님 - 학생의 재능을 발굴하는 선생님 - 특수교육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운 선생님 - 특수교육의 전문성을 가진 선생님 - 장애학생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 - 특수교육 교육을 받은 선생님 - 특수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진 선생님 - 특수교육의 경험이 있는 선생님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

- 소통하는 선생님 - 다른 교사들과 잘 소통하는 선생님

- 사교성이 좋은 선생님 - 삶에서의 고민과 문제 등을 전달하는 선생님 -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선생님 - 학부모와의 소통 능력이 있는 선생님 - 학생과 학부모와 소통하는 선생님 - 정보를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선생님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

- 장애학생을 진정 이해하는 선생님 - 인품이 뛰어나고 책임감이 있는 선생님 - 인격적으로 검증된 선생님 - 장애학생에 대한 따뜻한 인성을 가진 선생님 - 장애학생의 능력과 장점을 찾아주는 선생님 - 다양성을 인정하는 선생님 - 인성과 자질을 갖춘 선생님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

- 장애학생에 대한 애정이 있는 선생님 - 장애학생에게 집중하는 선생님 - 장애학생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는 선생님 - 사랑하는 선생님

- 애정과 열정이 있는 선생님 - 장애학생에 대한 애정과 소명의식을 가진 선생님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

- 융통성을 가진 선생님 - 대처능력이 뛰어난 선생님 - 포용력을 가진 선생님 - 문제해결능력, 자기통제 능력 등이 뛰어난 선생님

- 융통성이 있어 유연하고 창의적인 선생님 - 사회에 융합과 적극성을 가진 선생님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 - 기다려주는 선생님 - 끈기와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 - 인내심이 있는 선생님

<표 2> 특수학급 교사상

대한 지식이 있는 선생님’, ‘학생의 재능을 발굴하는 선생님’, ‘실용성과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 는 선생님’ 등이다. 최하남 예비교사, 이성남 예비교사, 이여주 예비교사, 최안산 예비교사가 희 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교육의 전문성을 가진 선생님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통합교육에서 의 특수교사는 장애 유형별 특성과 교육방법 그리고 특수학급 운영 등의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 어야 한다. 그리고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기본적 특성을 이해하고 적합한 교 육을 해야 한다.

… 특수교사는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전문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장애 유형별로 학 생을 가르치는 방법도 차별을 두어야 하므로, 유형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반드시 습득하

(8)

고 있어야 한다. … 특수학급을 운영하는 전문성도 반드시 필요하다. …

(최하남, 역사교육)

…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특수학급을 운영함에 있어서 담당자는 특수교사이지만 일반교사도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를 충분 히 하고 있어야 학교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 (이성남, 영어교육)

… 장애 아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모래성 쌓기나 다름이 없다. 특수학급 에 배치되기 전에 교사는 특수교육전공이 받는 교육을 따로 받아야 할 정도로 전문 지식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이여주, 영어교육)

… 특수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 … 특수교사의 경우 상대해야 하는 대상 즉 일반 아동이 아닌 장애 아동을 대하기 때문에 더욱 전문성이 필요… 장 애 아동들을 대하기 위해서는 장애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 특성 … 장애 아동은 교사가 먼저 그 아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고 그에 따른 정확한 교육 방법, 정보 등에 대해 알고 있어야 그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 … (최안산, 유아교육)

정시홍 예비교사, 오구리 예비교사, 이김포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다양한 직 업교육에 대한 지식이 있는 선생님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 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교육과 훈련을 해야 한다. 아울러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에게 평생교 육원 내 직업능력개발프로그램 관련 정보도 안내해야 한다(김영준, 2017). 이러한 점은 특수교사 의 직업이미지를 제시한 김정규(2017) 등의 선행연구에서도 교사의 전문성 자질과 역할을 강조 하였다.

… 다양한 특성을 가진 특수교육대상자 학생들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깊은 지식 과 그에 따라 신체적 특징, 개인적인 욕구, 가족환경을 파악하여 아이들에게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지식과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 장애학생도 통합교육에서 개인에 따라 참여 가능한 수업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른 흥미를 교사가 알고 직업에 대 한 교육을 시행할 수 있다. … 바리스타, 비누공예부터 예체능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 는 방법들도 고려해야 한다. (정시흥, 사서교육)

특수교사를 맡기 위해서는 폭넓은 지식이 필요하다. 장애에 대한 이해는 필수조건이 며, 장애학생이 세상에 적응할 수 있는 적응훈련을 할 수 있는 교사여야 한다. … 직

(9)

업교육의 준비자가 되어 있어야 한다. … 교사는 모든 지식에 해박해야 하지만, 특수 교사는 지식뿐만 아니라, 삶의 지혜까지도 소유하고 있어야 … (오구리, 종교교육)

… 특수교사는 특수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갖춰야 할 특별한 소양과 지식을 갖춰야 하고 장애학생들에게 교과교육뿐만 아니라 … 직업교육까지 실시하여 … 특수교사는 모든 교사가 갖춰야 할 일반적인 능력을 갖춘 후에 장애영역에 따른 특수한 능력도 모두 갖춰야 하기 때문에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다. … (이김포, 일반사회교육)

이과천 예비교사와 윤광주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학생의 재능을 발굴하는 선생님이라고 파악한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학생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적응 정도를 파악하여 학생의 흥미와 재능을 계발해야 한다.

장애학생들은 학생 개인별로 장애의 정도가 다른 만큼 가지고 있는 재능 역시 차이 가 큽니다. … 특수교사라면 자신이 맡은 학생들이 가진 재능을 발굴할 수 있는 눈을 가지는 것 … 특수교사라면 적어도 3년 동안 학생의 일거수일투족을 관찰하면서 이 학생이 어떤 공부 또는 활동을 활 때 즐거움을 느끼는지, 효율이 나타나는지를 파악하 고 그런 쪽으로 흥미를 살려서 진로를 정할 수 있도록 … (이과천, 일반사회교육)

…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장애에 따라 혹은 정도에 따라 나타내는 행동이나 수업 적응 정도가 다를 것이다. 이렇게 개인차가 특히 큰 학생들 모두에 대해 관찰과 관심 이 필수적 … 특수학급 학생들의 경우 끊임없이 세밀한 관찰을 해야 그들이 적응 정 도를 파악할 수 있고, 생활하고 수업을 받는 데 있어 문제나 어려움을 알고 해결할 수 있도록 … 장점과 재능도 함께 관찰하여 인정해주고, 더 끌어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 어야 한다. (윤광주, 영양교육)

안군포 예비교사와 김양주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실용성과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는 선생님이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학생에게 생활중심의 교육과 실제적 기능에 적 합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더불어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특수교육의 지속적인 관심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흐름을 알고 있어야 한다.

… 교사는 장애학생에게 생활 중심의 교육을 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생활 중심 의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장애학생이 성인 되었을 때, 사회 안에서 살아가는데 실제적인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안군포, 음악교육)

(10)

특수교육의 학문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진 교사가 필요하다. … 특수학생에 대한 관 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특수교육의 중요성과 흐름의 변화를 알고 있다고 보아도 될 것이다. 그러한 교사라면 그만큼 지금의 특수교육 대상에 해당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지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김양주, 영어교육)

이와 같이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이다. 즉,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에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선생님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합교육에서의 바람 직한 교사는 전문성이 있는 선생님으로 판단하고, 이병진(2003), 조수재(2006), 김양은, 하지영 (2015), 이서현, 홍순옥, 안영혜(2014) 등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위해 직전 교육에서는 예비교사가 특수교육의 이론을 습득하고 교육현장과 연계된 참관수업 및 교육실습 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현직 교육에서는 일반학교에 배치된 특수교사의 역량강화와 재교 육을 위한 다양한 직무연수에 참여도 필요하다. 따라서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의 전문성 신 장은 교사의 교육적 능력을 제고하는 계기가 된다.

2.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두 번째로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

이다. 즉,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은 ‘동료 교사 또는 학생과 소통하는 선생님’, ‘학부모와 소 통하는 선생님’, ‘정보를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선생님’ 등이다.

금광명 예비교사, 조수원 예비교사, 오구리 예비교사, 소고양 예비교사들이 희망하는 특수학 급 교사는 동료 교사 또는 학생과 소통하는 선생님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동료 교사와 협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일반교사와 특수교 사의 협업이 형성되면 실질적인 교육혜택과 통합교육의 긍정적인 결과가 드러날 수 있다(강대 옥 등, 2016).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소통은 장애학생의 학급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 어서 장애학생의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학급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학 생관리 문제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협력이 필수적이다. 또한 특수교사와 비장애학생의 소통은 장애학생을 바라보는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비장애학생과 장애학 생 간의 소통은 또래관계 증진과 더불어 상호작용 방법을 익힐 수도 있다.

특수교사는 일반교사와 … 소통하며 특수학급의 학생들을 함께 잘 이끌어 나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특수학급의 학생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통합교 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위해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 간 소통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11)

생각합니다. (금광명, 수학교육)

학생들과 잘 지내는 것뿐만 아니라 동료 교사들과 잘 지내는 것도 중요하다. 어려움 이 있을 때 동료 교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하고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해 교사로 부터 듣는 것도 중요하다. (조수원, 사서교육)

… 특수교사는 장애학생들의 권리와 존재에 대하여 주위 교사와 사람들에게 소식을 전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이 특수학급 학생들과 무슨 활동을 하는지, 학생들의 상황 과 필요를 주위에 전달하는 전달자의 역할 … (오구리, 종교교육)

특수교사는 특수학급 학생들은 물론 동료 교사들 또한 특수학급이 아닌 학생들과도 원활한 소통이 가능 … 특수학급의 학생들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야 학생 개개인의 개별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이 가능 … 동료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활발한 협동학 습을 가능케 할 것이고, 또한 동료 교사들이 특수학급 학생들을 더욱 잘 이해하고, 그 들의 교육현장에서도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 … 일반학생과의 소통을 통해 장애학생들 의 이해를 돕고,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소고양, 일반사회교육)

이과천 예비교사, 안군포 예비교사, 최안산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학부모와 소통하는 선생님이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와 학부모와의 소통을 통해 교육에 대한 신뢰가 형성된다. 아울러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와 학부모와의 간의 대화를 통해 장애학생에 대한 다양한 정보도 교환한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학부모의 소통을 통해 장애학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장애학생의 생활지도에 수월하며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장점이 있다. 이는 김양은, 하지영(2015)의 결과에서도 보육교사와 부모는 서로 협력하고 원활히 소통하는 관계로 기술하 고 있다. 그리고 이현지, 김재훈(2012)의 연구에서는 부모와 소통하고 상담 잘하는 교사가 다문 화 교육에 필요한 교사라고 제시하고 있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가 장애학생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교수․학습 활동에도 도움이 된다. 학부모의 소통을 통해 특수교사가 장애학생의 요구에 적절한 지원이 가능하고 가정과의 연결고리가 강화되어 교육효과도 높아진다.

… 학부모들은 장애를 가진 자녀가 학교에서 어떠한 교육을 받고 있는지, 선생님들 은 어떻게 아이들을 대하고 있는지 … 선생님들은 학부모와 적절하게 소통을 하면 학 부모들의 걱정을 덜고 선생님은 학생이 특성을 파악해서 좀 더 수월하게 학교생활에

(12)

적응하게 할 수 있는 … 특수교사라면 학부모와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과천, 일반사회교육)

… 교사와 학생도 마찬가지로 상호작용을 통해 신뢰와 이해관계를 가져야 한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소통이라고 … 특수학급의 경우 교사와 학생의 관계 또한 중요하지 만 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가 특히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 학부모님들을 이해하고 오해 없이 소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저는 소통을 가장 중요하다 … 학생을 이 해할 수 있고 그들의 상황, 환경, 행동 등을 이해하면서 추후 더 긍정적인 미래를 맞 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믿음 … (안군포, 음악교육)

… 다양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노력 역시 필요하다. … 장애 아동들 의 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나 교사가 할 수 있는 범주 내에서 할 수 있는 것

… 장애 아동들이 있으면 …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교사가 적극적으로 찾 아보고, 지원방안에 대해 부모님과 함께 상의를 하며 … 가정과 연계하여 도움을 지원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최안산, 유아교육)

정안양 예비교사는 장애학생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선생님을 바람직한 특수학급 교 사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들과 대화를 통한 협력관 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호 간의 소통과 협력은 장애학생의 잠재 능력을 개발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수교사는 장애학생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화가 필수라고 생각한다. … 이러한 의사소통은 후에 상호 협력관계에 큰 빛을 발휘하여 장 애학생들의 잠재 능력과 같은 긍정적인 요소를 꺼내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일반학 생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 의사소통하며 서로 협력하는 기능을 배운 다. (정안양, 일반사회교육)

이와 같이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으로 밝히고 있 다. 다시 말해서 학교 구성원들과 대화를 통해서 합리적인 의사가 결정된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이를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지대원, 한일조(2006), 서정화, 김지희(2001) 등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 어, 서로의 대화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갖춘 교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통합교육에 서의 특수교사는 동료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소통을 통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협력적 인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통합교육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의사소통을 통해서 효과적

(13)

인 해결방안도 마련될 수 있다.

3.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

교육대학원 예비교사가 세 번째로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이다.

즉,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은 ‘따뜻한 성품을 가진 선생님’, ‘다양성을 인정하고 능력과 장점을 찾아주는 선생님’, ‘인성과 자질을 갖춘 선생님’ 등이다. 최안산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따뜻한 성품을 가진 선생님이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특수교육에 관련된 전문성 뿐만 아니라 올바른 성품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자신 이 담당하는 장애학생의 인권을 존중하려는 자세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장애 아동을 따뜻하게 감싸 안을 수 있는 성품을 가진 교사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아 무리 전문성을 가진 교사라 하여도 인성이 바르지 않으면 교사부터 장애 아동을 차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인성이 바르지 못하다면 자신의 기분 변화에 따라 아동들을 대할 수 있고 … 특수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장애 아동을 따뜻하게 감싸 안을 수 있는 인성 … 유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입장에서 장 애 아동 역시 보호를 필요로 하고, 보호받아야 할 대상이기에 특수교사의 필수적인 필

요조건으로 교사의 인성 … (최안산, 유아교육)

소고양 예비교사와 윤광주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능력과 장점을 찾아주는 선생님이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학생의 장애를 개성으로 인식하고 장 애 특성을 존중하고 수용해야 한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특수학급 학생의 능력과 장점 을 찾아내어 그들을 교육하고 동시에 격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들은 자신을 존중하고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자립하려는 동기유발이 가능하다고 본다.

특수교사는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학생들을 만나고 교육해야 … 다양성을 인정하 고 수용하는 넓은 이해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다양성을 인정하고 자신의 스트 레스 조절이 원활히 가능한 긍정적인 자세를 가진 교사 … (소고양, 일반사회교육)

… 교사는 특수학급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그들의 능력과 장점을 찾아내어 인정 해주고 칭찬해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서로가 서로의 능력과 장점을 알고 인정하게 되면서 다 함께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 … (윤광주, 영양교육)

(14)

김양주 예비교사와 김파주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인성과 자질을 갖춘 선생 님이다. 무엇보다 교사의 기본적인 자질인 인성을 갖춘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를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한 인성에는 장애학생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 역시 긍정적인 관점도 내포하고 있다(전제련, 신현기, 2018). 이를 반영하여 교원양성기관에서는 2013 년 입학생부터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를 필수요건으로 교원 자격증 취득 요건에 포함하고 있다(교육부, 2017c). 이는 인격이 내면화된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를 선발하는데 예비교사의 인격과 자질 및 교직 전문성을 중요한 요인으로 보는 근거가 된다. 이는 이덕미(2006)와 김소연, 강영심, 이미아(2014)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 교사가 될 기본적인 자질인 인성을 갖추었는지 … 더 근본적인 해결책을 위해서 는 교사의 인격을 … 바람직한 교사상을 가진 교사를 뽑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김양주, 영어교육)

… 특수교사로서 장애에 대해 충분한 교육을 받고 … 교사의 인성과 자질 또한 중

요하다. … (김파주, 상담교육)

이처럼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이라고 인식한다. 이러한 인식에는 학생의 인격을 존중하는 선생님의 인성과 자질이 중요함을 드러낸 것이다. 이러한 결 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면, 김병찬(2005), 김성숙(2010), 송광용(2007)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이윤식, 김인정(2008)과 오경종(2012)의 학생의 인격을 존중해주는 선생님 등의 연구 결과와 맥 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인권을 존중하고 학생의 능력과 장점을 인정하는 것이다. 더불어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장애 특성 및 정도를 숙지하고 다양성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4.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네 번째로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은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이 다. 즉,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은 ‘사랑이 있는 선생님’, ‘애정과 열정이 있는 선생님’, ‘애정과 소명의식을 가진 선생님’ 등이다. 금광명 예비교사, 최하남 예비교사, 안군포 예비교사가 희망 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장애학생에 대한 사랑이 있는 선생님으로 드러났다. 예비교사들은 장애 학생을 담당하는 교사라는 직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장애학생에 대한 진솔한 사랑이 가장 우선 시 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특히, 금광명 예비교사는 특수교육현장에서 경험한 반복적 학습, 의사소통장애 등의 교육적

(15)

상황을 이해하는데 장애학생에 대한 사랑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가 추구하는 사랑의 가치는 교사가 제자에게 갖는 근본적인 요인이고 추후에 이들이 성인으로 성장했을 때 사회에서 비장애인과 생활하는데 밑거름이 된다.

… 봉사활동을 가보면 선생님들께서 굉장히 힘들어하실 때가 많은 것을 보았습니다. 따라서 저는 특수교육은 그에 대한 특별한 애정이 없다면 절대 할 수 없다고 생각합 니다. … 또한 한 번의 교육으로 끝나지 않고 반복적으로 교육을 하거나 말이 제대로 통하지 않는 상태에서 교육을 해야 하는 상황 …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에 대한 애정

이 없다면, … (금광명, 수학교육)

… 특수교사는 특수학급 학생을 사랑하지 않으면 절대 감당할 수 없는 … 특수교사 에게 필요한 것이 사명감 이상의 사랑이라고 생각한다. … 특수교사가 특수학급 학생 을 사랑으로 대할 때 특수학급 학생들이 졸업 후 사회에 나가서도 일반인들과 잘 어 릴 수 있고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을 것이다. … (최하남, 역사교육)

… 일반학급 선생님도 마찬가지이지만 특수학급의 선생님만큼은 장애학생들을 진심 으로 사랑하고 배려하며, 인내하고 그들을 충분한 선생님의 사랑으로 또한 학생들 서

로서로 배려하며 사랑으로 … (안군포, 음악교육)

이성남 예비교사와 전포천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애정과 열정이 있는 교사 라고 생각한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교육하는 직업으로서 열정과 자부심이 있어야 한다. 아울러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자신이 맡고 있는 특수학급 운영과 장애학생 에 대한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

… 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직업을 사랑하거나 열정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그 모습이 결과적으로 학생들에게도 드러나기 마련이다. … 특수학급을 운영하는 것은 매우 힘들 고, … 특수교사들이 스스로 열정을 가지고 하는 것이 … 자부심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환경도 중요할 것이다. … (이성남, 영어교육)

… 특수학급은 그 이름에서도 말하듯이 … 더 많은 애정과 노력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특수학급을 맡을 교사에게는 책임감은 물론 학생들에 대한 진심이 더 요구

… (전포천, 수학교육)

(16)

문오산 예비교사와 이김포 예비교사는 장애학생에 대한 애정과 투철한 소명의식을 가진 특 수학급 교사를 원하고 있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자질뿐 만 아니라 특수교사에게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하려는 역할도 필요하다.

장애학생에 대한 애정과 특수교사로서의 투철한 소명의식이 바탕이 되지 않는다면,

… 특수학생을 교육하는 것에 대해 교사가 먼저 지치거나 매너리즘에 빠져 … 특수교 사의 상황에 대입해 본다면 그저 ‘교사’라는 직업을 위해 소명의식이나 내적 동기가 부여되지 않은 채 장애학생들을 가르쳐야 한다면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쉽게 포기하 거나 적극적인 해결을 도모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문오산, 일반사회교육)

… 나는 특수학급 교사는 사명감을 가지고 특수교육대상자들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선생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김포, 일반사회교육)

이와 같이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내포한다. 이를 선행연구와 비 교해 보면 김성숙(2010), 오경종(2012), 황기우(2001) 등의 결과와 일치하며, 이덕미(2006)는 장애 학생을 인정하고 사랑으로 교육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가르치는 열정을 가지고 교육해야 한다. 그리고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 생을 사랑하고 이해하려는 직업적 사명감도 있어야 한다.

5.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다섯 번째로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

이다. 즉,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은 ‘융통성을 가진 선생님’, ‘대처능력이 뛰어난 선생님’, ‘문 제해결능력과 자기통제 능력이 뛰어난 선생님’, ‘유연하고 창의적인 선생님’, ‘포용력을 가진 선 생님’ 등이다. 이과천 예비교사와 김화성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융통성을 가진 선생님이라고 생각한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개인차에 맞는 교육과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이 실시해야 한다.

특수교사는 융통성이 있는 교사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커피에 관심이 많은 학 생에게는 바리스타가 될 수 있는 교육을 가르치고 미술을 좋아하는 학생에게는 다른 학생들보다 조금 더 그림 그릴 수 있는 시간을 주는 등의 학생 개인의 특성에 맞게 교육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그런 융통성을 가진 … (이과천, 일반사회교육)

(17)

… 우리는 단순히 학교 안에서만 짜인 각본대로 장애학생들에게 배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진정 그들이 사회에 건강하게 통합되고 스스로 불편함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장애학생들을 위한 진짜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가 바람직한 특수교사라고 생각한다.

… (김화성, 상담교육)

이안성 예비교사, 전포천 예비교사, 이김포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대처능력 이 뛰어난 선생님이다. 이에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여러 가지 상황과 안전사고예방, 각종 직무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대처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 방법도 적용해야 한다(임혜원, 2015).

… 특수학급에는 그런 대처능력을 갖춘 그 상황이 닥쳐도… 경험이 많고 빠른 판단 을 내릴 수 있는 선생님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 특수교사에게 그러한 대 처성이 요구된다면 앞으로 더 많은 특수교사에게 끊임없는 노력이나 연구가 필요하다. (이안성, 음악교육)

… 학생들을 신체적으로 도와줄 일도 많을 것이며 작은 사고들에 대한 대처에도 체 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대화나 대처 등에 있어서 정신력은 필수라고 생각이 듭니 다. … 이해와 대처 방법을 알기 위해서는 특수교육법을 배운 선생님이어야 한다. … 선생님들 개개인의 경험이나 지식 등의 차이가 있지만 체계화된 교육과 실습을 받은 선생님들이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높을 것이기 생각되기 때문 …

(전포천, 수학교육)

… 특수학급을 담당하다 보면 일반적인 교사의 직무뿐만 아니라 당황스러운 일도 생길 수 있고 일반학급보다 해결해야 할 일이 많을 수 있다. … (이김포, 일반사회교육)

문오산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통제 능력이 뛰어난 선생 님이고, 이여주 예비교사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선생님이 바람직한 특수교사라고 보고 있다.

… 학생의 폭력적이고 이해가 가지 않는 행동들을 제지하고 통제하고 기다려줄 수 있는 단호함과 담대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생각을 하였다.

(문오산, 일반사회교육)

… 본인 학급의 장애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한 특별 레슨플랜과 프로그램, 학급 운영

(18)

규칙을 창의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 교사는 생각과 판단이 유연해야 한다.

(이여주, 영어교육)

이성남 예비교사가 희망한 특수학급 교사는 포용력을 가진 선생님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른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학생들이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 과정을 포용할 수 있 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학생들이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 지식도 있어야 한다. … 교사가 포용력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열린 자세로 대한다면, 교사가 학생들에 대한 감정도 좋아질 뿐 아 니라 학생들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그렇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포용 력을 가진 교사가 특수학급에 적합한 교사라고 할 수 있다. (이성남, 영어교육)

이와 같이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이다. 즉, 통합교육 에서의 특수교사는 학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선생님으로 볼 수 있 다. 이러한 점은 특수교사가 처한 교직생활을 분석하여 교직 적응 경험의 의미를 드러낸 선행 연구가 있다(이두휴, 2005; 이순자, 2013; 조정우, 임경원, 2017; 황순영, 2006).

6.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여섯 번째로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은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

이다. 즉,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은 ‘기다려주는 선생님’, ‘끈기와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 등이다.

정안양 예비교사, 문오산 예비교사, 이안성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기다려주는 선생님이라고 생각한다.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교육을 진 행해야 한다. 이에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행동을 이해하고 기다려주는 마음가 짐도 필요하다. 그리고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학생의 말에 귀 기울이고 고민을 함께 나누 는 것도 중요하다.

특수교사라면 믿음과 끈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장애학생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해 일반적으로 모든 것들이 느리고 둔한 편이다. (정안양, 일반사회교육)

… 다소 느릴 수 있는 장애학생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소들 일 것이다. 장애학생이 가지고 있는 장애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 학생들의 행동을

(19)

이해하고 기다려줄 수 있는 태도가 필요하다. … 오랜 시간을 두고 장애학생들의 눈높 이에 맞추어서 느리더라도 차근차근 교육을 진행하려는 자세가 특수교사에게는 필요

하며 … (문오산, 일반사회교육)

… 나를 기다려주고 내 말에 귀 기울여주고, 내가 어려워하는 것에 같이 고민해 주 는 선생님이 있다면 그것은 특수학급이든 일반학급 학생들이든 누구든 느낄 수 있고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안성, 음악교육)

조수원 예비교사, 윤광주 예비교사, 이여주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는 끈기와 인 내심을 가진 선생님이라고 보고 있다. 이는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자세로 지도해야 한다. 아울러 통합교육에서의 특수교사는 자기성찰을 통해 장애학생 에게 맞는 교육과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수교사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미래에 더 큰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에 끈기와 인내 심을 가지고 자신의 신념에 맞게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수원, 사서교육)

… 사실 특수학급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남다른 끈기와 인내심, 강한 마음 없이는 정 신적으로 버티기가 힘들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자기 성찰을 통해 나 자신

을 되돌아보고 … (윤광주, 영양교육)

일반학교에서 장애 아동이 있는 특수학급을 맡는 교사 … 장애 아동에 대한 인내심 과 이해, 배려가 … 교사는 그 학급을 맡게 되면 모든 아이들을 포용하고 끝까지 이끌 어 나가야 하는 책임이 주어진다. … (이여주, 영어교육)

이와 같이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기다려주고 끈기 있게 이끌어 주는 선생님이다. 이를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면 박재범(2015) 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는 바람직한 통합학급 교사와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 는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으로 연구결과와 동일하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소속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분석하여 통

(20)

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연구 제공 자가 작성한 총 20편의 보고서를 주제 분석 및 유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교육대학원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의 결론은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 ‘적응력이 뛰어 난 선생님’,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이다. 이러한 예비교사가 갖는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 수교사의 이미지는 미래의 특수교사와의 협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통합교육에 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특수학급의 효율적 운영과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지성, 감성, 인성 등의 면면을 갖춘 통합교육에 헌신하고 실행하는 선생님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 다.

첫째,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이 곧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사의 교직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육대 학원 예비교사는 통합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특수교사가 학교 현장에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특수교사는 자신의 전문성을 함양을 위해 꾸준한 연구와 다양한 연 수에 참가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이 즉,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라고 분석하고 있 다. 이런 점은 학교 구성원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대학원 예비교사 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동료 교사, 학부모, 학생 등과의 서로 간의 소통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 다. 또한 특수교사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제와 어려움을 의사소통을 통해서 해결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셋째,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이 바로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라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교사는 인성과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교육대학원 예비교사는 특수교 사가 담당하는 장애학생의 인권을 존중하려는 자세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특수교사는 장 애학생의 인권 침해 예방과 장애학생의 인권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이 곧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사랑하고 이해하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교육대학원 예비 교사는 특수교사가 장애학생에 대한 애정과 열정이 있는 교사라고 생각하고 있다.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관심과 애정을 갖는 동시에 직업적 사명감도 있어야 한다.

다섯째,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이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라고 기술하고 있다.

물론 특수교사는 융통성과 대처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교육대학원 예비교사는 특수교사가 학교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교사라고 숙지하고 있다. 특수교사 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상황에 긍정적 행동으로 지원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

(21)

여섯째,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이 무릇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임을 드러내고 있 다.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특성과 정도에 따라 기다려주는 것도 필요하다. 교육대학원 예비교 사는 특수교사가 장애학생의 인내심을 가지고 책임을 다하는 교사라고 보고 있다.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기다려주고 끈기 있게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에 따라서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의 분석이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 제공자인 교육대 학원의 예비교사 대상을 제외한 사범대학, 교육대학, 교직 이수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통합 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통합교육의 교육현장에 정착을 위해 특수교사상의 비교 연구가 요구될 수 있을 것이다.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가 기대하는 특 수교사상을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보고서를 수집 후 분석한 연구로 제한하였다. 이점을 보완하는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의 향후 연구로는 설문지의 조사 연구와 면 담과 관찰의 질적 연구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대옥, 강병일, 김기주, 김남진, 김창평 (2016). 특수교육학개론 2판. 서울: 학지사.

교육부 (2009). 2009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교육부 (2011). 2011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교육부 (2016). 2017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 교육부.

교육부 (2017a). 2017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교육부 (2017b). 2017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교육부 (2017c). 2017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부.

김남순 (2010). 특수교육행정 이론과 실제. 경기: 교육과학사.

김남순, 박상희, 황정보, 김경신, 김양화, 김윤실, 강경희 (2015). 특수교육정책론. 경기: 교육과학 사.

김병찬 (2005). 현대 교사상 탐색을 위한 질적 분석 연구. 한국교육, 32(4), 57-90.

김성숙 (2010). 현직 교사의 학창 시절 경험을 통한 바람직한 교사상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

김소원 (2014). 암묵적 접근을 통한 장애학생 부모의 특수교사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 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산.

김소연, 강영심, 이미아 (2014). 암묵적 접근을 통한 정신지체학생 부모의 특수교사상 구성요인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4), 269-286.

(22)

김양은, 하지영 (2015). 예비보육교사의 다짐으로 본 보육교사상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5(11), 577-599.

김영준 (2017). 고용주 초빙에 의한 대학 평생교육원 내 직업능력개발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 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논총, 33(1), 25-50.

김자경, 강영심, 안성우, 박재국, 황순영, 서주영, 김주영 (2012). 중등학교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통합학급 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4), 1-17.

김정규 (2017). 예비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사의 직업이미지. 특수교육연구, 24(1), 217-237.

박선기 (2010). 학부모가 바라는 교사상에 대한 유형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진주.

박재범 (2015).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통합학급 교사상 탐색. 특수․영재교육저널, 2(2), 1-20.

서울특별시교육청 (2017). 2017 서울 특수교육 운영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정화, 김지희 (2001). 교원임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교육연구논총, 18, 123-140.

송광용 (2007). 교직과 교사: 교사의 역할과 자질. 서울: 학지사.

안종혁 (2012). 초등․중등 특수교사가 생각하는 중등 특수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질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창원.

오경종 (2012).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직생활 회고를 통한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고찰.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이덕미 (2006). 정신지체아동 학부모가 지각한 교사상과 기대하는 교사상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용인.

이두휴 (2005).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교육사회학 연구, 15(3), 205-237.

이병진 (2003). 21세기의 한국의 교사상. 초등교육학연구, 10(2), 1-22.

이서현, 홍순옥, 안영혜 (2014). 어린이집 원장이 인식하는 바람직한 보육 교사상. 아동교육, 23(3), 385-408.

이순자 (2013).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직문화에 관한 사례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8(1), 277-313.

이윤식, 김병찬, 김정휘, 박남기, 박영숙, 송광용, 이성은, 전제상, 정영수, 정일환, 조동섭, 최상 근, 허병기 (2007). 교직과 교사. 서울: 학지사.

이윤식, 김인정 (2008). 교직과정 이수중인 대학생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사상의 탐색. 한국교 원교육연구, 25(3), 303-323.

이지민 (2009). 암묵적 접근에 따른 바람직한 영재교사상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과학고등학교 학생

(23)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이현정 (2004).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의 전문성과 인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주.

이현지, 김재훈 (2012).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 다문화교육 연구, 12(5), 1-25.

임혜원 (2015). 일반유치원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특수교육논 총, 31(1), 77-99.

전민정, 오유정, 김삼섭 (2013).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특수교육교사의 이미지 분석. 한국교원교육 연구, 30(1), 133-153.

전제련, 신현기 (2018). 동계 패럴림픽 자료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교 비장애학생의 장 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34(1), 109-128.

정명옥, 강영심 (2009). 암묵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사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1(1), 243-261.

정춘미 (2011).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경험을 통한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고찰.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

조수재 (2006). 21세기 초등학교 교사상 탐색. 초등교육학연구, 12(2), 169-185.

조정우, 임경원 (2017). 초등학교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생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총론, 21, 23-47.

지대원, 한일조 (2006). 중학생이 기대하는 학급담임 교사상. 금오공과대학교 논문집, 27, 131-146.

한덕희 (2006). 포스트모던 시대가 요구하는 이상적인 교사상 탐구. 한국뷰티아트학회지, 4(1), 141-157.

한유리 (2017).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서울: 박영스토리.

황기우 (2001). 서양의 교육애에 나타난 교사상의 탐구. 교육문제연구, 14, 153-165.

황순영 (2006).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0(4), 185-210.

황찬영 (2008).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초등학교 4,5,6학년을 중심 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산.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gach, M, J., & Johnson, L. J. (1995). Collaborative practitioners, Collaborative schools. Denver: Love Publishing Company.

Scruggs, T. E., & Maestropieri, M. A. (1996). Teacher perceptions of mainstreaming/inclusion, 1958-1995:

A research synthesis. Exceptional Children, 63, 59-74.

Spradle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 Y.: Rinehart and Winston.

(24)

* 교신저자(sepjb14@hanmail.net) Abstract

A Study on the Image Analysis of

Special Teachers Desired for Inclusive Education

Park, Jae Beo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a special teacher who is pre-service teacher of a graduate school and present basic data on the image of a desirable special teacher in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er asked the preliminary teacher to write the report. Method: The report was selected by 20 pre-service teacher who take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subject analysis and nomina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he is a teacher with expertise. Second, communication is a smooth teacher. Third, the character is a teacher who is formed. Fourth, a loving teacher. Fifth, the teacher is highly adaptable. Sixth, I am a patient teach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desirable special teacher in integrated education ended up being a teacher who was dedicated to and practice inclusive education with the ability and qualifications of intelligence, emotion, and personality. And These studies identified limitations and limitations of several studies and suggested follow-up studies.

Key words : Inclusiv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Desirable special class teacher image

게재 신청일 : 2018. 10. 29 수정 제출일 : 2018. 12. 19 게재 확정일 : 2018. 12. 20

참조

관련 문서

첫째, 새로운 서베이 연구방법(설문지-자기 기입식)과 자료 분석 기법이 개발되어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의 필요, 동기 충족요인을 탐색할 수 있었기 때문이며,.

이 연구는 웹스크레이핑 방법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떤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어디까지 분석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웹스크레

따라서 현재 연구 결과로는 석굴암에 바로 적용하기가 힘들지만 물리적 제거방법을 연구하여 물리적으로 최대한 석굴암에 손상이 가지 않는 방법으로 제거 한

이에 최적의 정유 추출조건을 산출하여 산업계에 제안하기 위하여 연구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 ‘경찰순찰활동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 : 대구지역 조사 를 중심으로’ 라는 논문에서 미국 캔사스시에서 실시된 연구에서 순찰이 범죄발생률에

※ 풍력과 태양에너지의 발전비중이 매우 높은 전력시스템에서는 에너지 저장, 송전망 설치 , 수요관리를 병행한다고 하더라도 상당한 양의 부하차단이 필요

본 보고서는 On-Demand Service &amp; Tech Platform* 관련 5대 영역에서의 최근 동향 및 주요 비즈니스 모델 등을 살펴 봄으로써 온디멘드 영역에 대한 관심 고취 및

- 보고서는 수집된 자료를 통해 도출한 결과들을 종합하면서 어떤 구체적인 질문이나 가설을 제시하고 있는가. - 만약 어떤 양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다면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