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서울 코엑스몰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서울 코엑스몰을 중심으로"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국문요약

본연구는지하보행환경을개선하기위한합리적인계획기준을도출하려는목적을갖고서울의삼 성동코엑스몰이용자에대한 설문조사 결과를이용하여지하보행환경에영향을미치는 계획요소를 실증적으로분석하였다. 먼저요인분석의결과, 지하공간의보행만족도에영향을미치는요인은방향 성, 환경성, 편리성, 공간의 크기, 다양성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방향성은 길찾기의 용이성에 관한것으로지하공간의 구성을명료하게구조화할필요성을제시한다. 환경성은쾌적감, 공기의탁 도, 안전감, 개방감과같은환경심리적요소를포괄하는요인이며, 이에비해공간의크기는구체적인 물리적요소로서보도의폭과높이로구성된다. 편리성은기둥및벤치등과같은구조물・시설물과 관련된요인으로보행동선을세심하게고려한시설배치계획의필요성을제시한다. 다양성은흥미로 움과조명의밝기와관련된요인으로, 특히지하공간에서조명이공간환경을다양하게변화시키는계 획요소로서적극적으로활용될필요성이있음을시사한다. 또한순위형로짓분석의결과, 이상의5개 요인가운데보행만족도에가장큰영향을미치는요인은환경성과공간의크기로나타났다. 다음으 로방향성이보행만족도에유의한영향을미치는요인으로작용하고있고, 다양성과편리성의영향력 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하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보행공간을 넓고 쾌적하게조성할 수있도록 절대적 규모를 확보하는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 여, 최소한보도의폭과높이를비롯하여공기의탁도등과같이정량화가가능한계획요소에대해서 는제도적기준이마련되어야할필요성이있음을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effects of underground space design elements on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based upon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underground pedestrian mall (COEX mall) in Seoul. Factor analysis classifies various design elements into five factors; sense of direction, environmental quality, convenience, spaciousness, and diversity. Sense of direction represents wayfinding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way space is structurally organized. Environmental quality covers a wide range of e n v i r o n m e n t a l / psychological elements including amenity, safety, and openness as well as air quality.

Convenience is related to specific installments such as columns and street furniture which may disturb pedestrian circulation. Spaciousness indicates space size determined by street width and height. Diversity constitutes interesting things and luminosity, indicating that light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space variety. Furthermore, ordered logit analysis demonstrates that environmental quality and spaciousness have the greatest influences on pedestrian satisfaction, while sense of direction also plays an important part in improving pedestrian environment.

Based up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some design criteria be institutionally provided regarding at least street width and height as well as air quality in order to promote public health and safety in underground pedestrian malls.

주제어 : 지하공간, 보행환경, 계획요소, 요인분석, 순위형 로짓분석

Keywords : Underground Space, Pedestrian Environment, Design Elements, Factor Analysis, Ordered Logit Model

- 서울 코엑스몰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f Underground Space Design Elements Affecting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 The Case of COEX Mall in Seoul 임윤환*・최막중*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과정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Yim, Yoon Hwan*・Choi, Mack Joong**

(2)

1. 서 론

도시의 인구가 증가하고 경제활동이 집적됨에 따라 도시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하공간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대중교통과 보 행 위주의 집약적 도시개발(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의 필요성이 대두되 면서 역세권을 중심으로 지하철과 지하상가 등을 연계하여 입체적, 복합적 토지이용을 도 모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공간 개발에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공간은 지 상공간에 비해 폐쇄성이 강하고, 또한 한 번 개발되면 구조적으로 변형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특성을지니고있기때문에지하공간계획에는각별한신중함이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는 지하공공보도 등 다중이 이용하는 지하공간의 계 획 및개발에관한 통합된 제도적 기준이 존재하지않으며, 이를 공공계획의 대상으로다루 고자하는 노력도 부족하다. 그동안 유일하게 지하공간의 계획기준을 제공하였던 지하도로 시설기준에 관한규칙이 2 0 0 0년에 폐지된이후 지하공간은 건축법, 소방법등에 의해개별 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또한 각종 공공계획의 근거가 되는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에 는 지하공간 관련 규정조차 없고, 이에 따른 지구단위계획도 지하공간을 계획의 주요 대상 으로다루고있지않다. 마찬가지로지하공간계획에관한연구또한매우부족한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하공공보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지하공간을 계획할 때 보행자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중점적으로고려되어야할계획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 추출함으로 써 지하공간 계획의합리적인기준 설정과 지하보행환경 개선을 위한시사점을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하공공보도는 지하공간 가운데 공공적 성격이 중요시되는 가장 대표적인 공간으로서, 지하도로시설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하면 지하공공보도는 지하에 보행인의 통 행・휴식 등의 편의를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로 규정된다(지하도로시설기준에관한규칙제2 조). 따라서본 연구도 공공 편익의 관점에서 보행자의 만족도를 제고하기위한계획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지하도상가1 )의 경우와 같이 대부분 지하공간이 상업기능 위주로 이용 되고 있다는 점에서 보행과 상업활동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지하상업공간의 공공보도를 분 석의대상으로삼는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서울의 삼성동 코엑스몰을 대상으로 이용자에 대한설문조사를 통 해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계획요소를 실증분석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차원에서 관련 제도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고(제2장), 이를 토대로 설문설계를 비롯한 실증분석의 틀 을 설정한다(제3장). 그리고 설문조사 결과를 요인분석과 순위형 로짓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추출하고, 각 요인의 중요도를평가한다 (제4장) .

2. 이론적 고찰

2.1 우리나라 지하공간 개발과 관련 제도

우리나라에서 지하공공보도와 연계된 지하상업공간 개발은 1 9 6 7년 1 2월에 개설된 서울

1) 지하도로시설기준에관한규칙에의하면지하도상가는지하공공보도에면하여설치된점포・사무실등과이에부대되는시설로규정됨(지하도로시설기준에관한규칙제2조) .

(3)

시청앞 새서울 지하상가를 효시로 하여 초기에는 주로 서울시 등 공공 주도로 이루어졌다.

특히1 9 7 4년부터 지하철이 개통되면서지하상가 개발이 본격화되기시작하여 9 0년대중반 까지서울의 3 0개소를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5 9개소에 달하는 지하상가가 개발되었다(심우 갑외 2인, 1997). 이후 지하상업공간 개발은 민간이 주도하기 시작하면서 대형화・복합화 되는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80년대후반에개발된 잠실롯데월드쇼핑몰을 비롯하여 9 0년 대 말의 태평로 삼성플라자와 2 0 0 0년대 초의 삼성동 코엑스몰, 반포 고속터미널 센트럴시 티영플라자 등이그대표적인예이다.

그동안 지하공간의 계획과 개발에 관한 제도적 기준은 1 9 8 7년 1 2월 건설부령으로 제정 된 지하도로시설기준에관한규칙에 규정되어 왔다. 이 규칙은 도시계획시설에관한규칙에 규정된 지하도로의 설치 및 구조 등에 관한 세부적인 기준을 정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지하공공보도, 지하도상가 등의 개념 정의, 설치지역 기준, 지하도상가의 시설용도 기준, 지하공공보도의 폭과 높이 기준, 지하도상가의 면적 및 점포 설치기준, 지하도출입시설의 폭과구조 기준, 지하층연결로의 설치기준, 광고물 및 안내도의 설치기준 등의규정을 포괄 하고 있다. 특히 이 규칙에 의하면 지하공공보도의 폭과 높이는 각각 최소 6 m와 3m 이상 이되어야 하는기준을 충족해야한다(표 1 참조) .

지하도로시설기준에관한규칙은규제완화의 차원에서 2 0 0 0년 8월에 폐지되었으며, 이후 지하시설물은 건축법, 소방법 등의 개별법에 의해 관리되고있다. 또한 도시철도법에 따라 지하공간의 사용・수용에 따른 보상기준은 각 시・도의 지하부분 토지사용에 따른 보상기 준에대한 조례를 통해 별도로 규정되고있다. 한편 서울시의 경우지하공간의관리를 위해 지하보행자도로의운영관리지침과 지하상가관리운영지침을 조례로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지하상가의업종과임대및지하보행자도로의시설용도에관한규정외에주로 건축법과 소방법 에의거한 소방시설, 방화및 피난시설, 공조및 위생시설등의 기준을규정하고 있다.

이렇듯 그동안 지하공간에 관한 제도적 기준은 주로 화재 등 재난예방을 위한 안전기준 에 초점을 맞추어 설정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건축법, 소방법 등 개별법에 의한 최소 기준 을충족시키는방향으로 분산, 축소되어 왔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관점에서보행자의 편 리성, 쾌적성 등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공공적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하고 종 합적인계획기준을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특히 최근 대형화・복합화되는 지하공간개 발의추세를 고려할때 더욱그러하다.

2.2 선행 연구

보행자를 위해 고려해야할 지하공간의 계획요소는 먼저선행연구를통해도출해볼 수 있 다. 그러나 지상공간에 비해 지하공간의 계획・설계에관한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그동안

계획요소 기준

직선형또는직각교차형(이용의편리성과긴급시피난의용이성) 형태

<표1> 지하공공보도의구조및설치기준

단층구조, 막다른길불허 구조

최소6m 이상또는시간당최대보행자수/1600 + 여유치 여유치: 지하도상가가있는경우2m, 없는경우1 m

천장높이3m 이상 높이

층계및경사로불허, 단지형여건상부득이한경우경사1 / 8이내 바닥

출입시설간간격1 0 0미터이내, 단, 불가피한경우1 2 0 m내에서조정 출입구

*출처: 지하도로소시설기준에관한규칙, 제7조

(4)

관련 연구로서는 지하공간 설계의 심리적 요인(김치환, 1994), 지하상업공간의 건축설계 (고인석, 1996; 이강주, 1996), 지하공간의 이미지(조경덕외 2인, 2002), 지하공간의 길찾 기(이강주, 2003; 김성준 2005)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국외문헌으로서는 Carmody and Sterling(1993)이 대표적이다. 한편 관련 연구의 부족함을 고려할 때 특별 히 지하공간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았지만 보행환경요소를 분석한 이인성・김현옥( 1 9 9 8 )과 전통적으로 다양한 연구자들이 제시한 도시환경설계 요소를 집성한 Rapopport(1977) 등 의연구를 참고할수 있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바 있는 물리적인 계획요소는 <표 2 >에 종합, 재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환경심리적인개념적 요소와 실체적인 물리적 요소가혼재 되어 있는데, 이 로부터 지하공간의 특수성을 고려한계획요소를추출해 보면 무엇보다 지하공간이 갖는 폐 쇄성이란 특성으로 인해 지상공간에 비해 더욱 유의해야할 계획요소들이 발견된다. 우선 시지각적 인지도가 떨어지는 폐쇄공간의 특성상 방향감, 명료성, 공간적 정위 (orientation), 출입구, 안내표지체계(게시판), 랜드마크 등과 같이 길찾기( w a y f i n d i n g )와 관련된 요소들이 발견된다. 또한 폐쇄공간의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한 측면에서 공간의 크 기, 공간감, 개방감, 차폐, 광장등과 같은요소들을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앞서 지 하도로시설기준에관한규칙에제시된 지하공공보도의 폭과 높이는 공간의 크기를결정하는 기본요소로 볼수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재해에 취약한 지하공간의 특성을 고려하면 안전성, 위험도 역시 기본 적인 계획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나아가 폐쇄된 지하공간은 환경의 질이 쉽게 악화될 수 있으므로 오염, 공기의 질, 청결도, 쓰레기, 소음, 진동을 비롯하여 자연적 요소 등은 환경 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 각별히 유념해야할 요소들이다. 또한 공간의 질, 다양성, 이미 지, 흥미도, 색채, 재질 등과 같은 요소들은 폐쇄공간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하공 간에서 더욱 신경을 써야할 계획요소로 볼 수 있다. 보행밀도와 시설물, 복잡도 등은 보행 환경의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등과 모두 밀접하게 관련된 요소이다. 특히 시설물 가운데 선행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적시되지는 않았지만 지하공간의 구조적 특성상 불가피하게 설 치되어야 하는 기둥은 벤치, 상품진열대 등과 함께 보행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 소가 될 수있다. 그리고 무엇보다공간의밝기를 결정하는 조명은 지하공간의 특성상어두 움을극복하기위한필수적인환경요소로서선행연구에서도 광범위하게제시되고 있다.

선행연구 계획요소

방향감, 출입구, 광장, 조명, 색상, 자재의질감, 창문의활용, 자연적요소 김치환( 1 9 9 4 )

<표2> 선행연구의계획요소

명료성, 공간적정위, 개방감, 공간감, 다양성, 이미지・의미 이강주( 1 9 9 6 )

랜드마크, 안내게시판, 조명, 안전성, 청결도, 자연적요소 조경덕외2인( 2 0 0 2 )

랜드마크, 색채및바닥패턴, 외부형상, 안내표지체계, 간판 Carmody & Sterling(1993)

안전(교통사고위험, 횡단보도수, 보행밀도), 보행편의(보도폭, 포장상태, 계단・경사) , 시설(길꺽임, 가로시설물, 조명), 주변환경(상가, 녹지, 경관, 가로형태)

이인성・김현옥( 1 9 9 8 )

공간의크기와특성, 차폐정도와차폐요소의특성, 녹지요소( W i g g i n s )

공간감, 통행위험도, 복잡도, 프라이버시, 소음, 진동, 쓰레기, 오염, 공기의질, 미기후, 녹지, 지형및조망, 다양성, 관리상태(Appleyard & Lintell)

공간적질, 형태의본질적흥미도, 특수한빌딩들, 통행(교통) 및주자(Lynch & Rivkin) 공간감, 개방감, 밀도, 오염, 소음, 녹지요소, 구릉성과조망등(Van der Ryn & Alexander) 공간감, 지형, 조망, 물과의접근성(Young & Wimott)

R a p o p p o r t ( 1 9 7 7 )

(5)

3. 분석의 틀

3.1 설문설계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지하공간의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소를 실증 적으로분석하기위해 설문조사에 포함되어야할 계획요소들을 구체화하였다. 이를위해 가 능한중복되는요소들은 통합, 단순화하고 추상적인요소들은구체화, 세분화하는한편, 후 술하는 설문대상지에대한 사전 현장조사를 통해 일반인이 이해하기쉽도록현실감을 주었 다. 이를 통해 안전감, 개방감, 쾌적감, 흥미로움과 같은 환경심리적인 요소, 현재의 위치, 출입구, 목적지 및 길찾기 경로에 대한 인지도, 보도의 폭, 천장의 높이, 조명의 밝기, 공기 의탁도, 소음과 같은구조・설비관련 요소, 기둥, 벤치등 장치물, 상품진열대, 안내표지체 계와같은시설관련요소, 그리고보행밀도의총 1 8개개별요소에대한만족도설문을구성 하였다. 또한이와함께보행환경에대한전반적인만족도를평가하는설문을추가하였다.

이러한 개별 요소들은 앞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폐쇄공간의 특성상 지 하공간의 취약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방향감, 답답함(공간감), 복잡함, 안전 문제, 환경 의 질, 단조로움 등의 특성 요인과 관련지어 도출된 것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관련성의 정 도는 선험적으로 판단할 수 없으므로 요인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나아 가 요인분석에 의해 추출된 각 요인이 전반적인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순위형 로짓 분석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개별 요소의 중요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요인분석과 순위형 로 짓분석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만족도는 모두 5단계 리커트(Likert) 척도로 측정되도록 설 계하였다.

3.2 사례대상지 및 설문조사

실증분석의 대상지로는 우리나라 지하공간 개발의 추세를 고려하여 서울의 삼성동 코엑 스몰(COEX Mall)을 선정하였다. 제Ⅱ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우리나라에서 지하공 공보도와 연계된 지하상업공간은 민간 주도의 개발을 통해 대형화・복합화되는 특징을 보 이고있다. 이러한점에서 코엑스몰은2 0 0 0년대에들어 가장큰 규모로개발된지하상업공 간으로서민간이 개발, 운영하는대형・복합공간의대표적인 사례로볼 수있다.

코엑스몰은 총 시설면적 3 6 , 0 0 0평(임대면적 2 1 , 0 0 0평, 공용면적 1 5 , 0 0 0평)의 상업・문 화복합공간으로 2 0 0 0년 5월에 개장되었다. 복합영화관과수족관을 중심으로 대형서점, 음 반, 게임센터, 푸드코트(food court) 등 1 3개 점포를 주요 임차시설(anchor tenant)로 하 여 1 1 9개의 판매시설과 8 0개의 식음료시설이입지하고있다. 이곳에는 계곡길, 수풀길, 호 수길의3개보도가 곡선형으로설치되어있다(그림1 참조) .

설문조사는 2 0 0 5년 4월~5월 코엑스몰의 계곡길, 수풀길, 호수길보행자를 대상으로 무 작위 일대일 면접설문조사의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정확 히 1 0 0부의 유효 설문자료가 수집되었다. 요인분석을위해서는 표본수가 변수( 1 8개)보다 5 배 이상 되어야 한다는점을고려할때(Gorsuch, 1983), 표본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의미있 는 분석을수행하기에충분한것으로 판단된다. 설문대상자는남성 38%, 여성 6 2 %로 구성 되어 있고 연령별로는 2 0대가 8 2 %를 차지하여 주로 2 0대 여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2 ). 또

2) 구체적으로유효설문대상자는계곡길3 2명(남1 4명, 여1 8명, 10대1명, 20대2 8명, 30대2명, 40대1명), 수풀길3 4명(남1 3명, 여2 1명, 20대2 6명, 30대8명), 호수길3 4명(남1 1명, 여 2 3명, 10대4명, 20대2 8명, 30대2명)의분포로이루어졌음.

(6)

한 설문대상자의 7 2 %가 적어도 한달에 한 번, 그리고 9 8 %가 최소한 한 번 이상 코엑스몰 을방문한 경험이있어 사례대상지에대한 숙지도는높은 편이다.

4. 실증분석 결과 및 해석

4.1 보행만족도 구성요인

설문설계를 통해 구체화된 총 1 8개의개별 계획요소에 대한 보행만족도 조사결과를이용 하여 먼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수행함으로써 계획요소들간의 상호관계에 기초한 보행만족도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요인분석의 방법으로는 주성분 분석( p r i n c i p a 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고유값(eigenvalue) 1을기준으로 모두 5개의 요 인( f a c t o r )이 추출되었다(표3 참조). 이들 5개의 요인은 전체 분산의 7 3 . 4 %를 설명하고 있 다. 요인구조의 회전은 직각회전( v a r i m a x )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회전된 성분행렬인 요인 적재량(factor loading)은<표4 >에 정리되어있다.

요인분석의 결과, 현재의 위치, 목적지, 출입구 및 길찾기 경로에 대한 인지도가 한 개의 독립된 요인(요인 1 )을 구성하여 이를 공통적으로 방향성이라 명명하였다. 이는 현재의 위 치, 목적지, 출입구 및 길찾기 경로 파악의 용이성에 대한 보행만족도가 상호 독립적이지 않으며, 다른 계획요소들과도 공통적으로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선험적으로 방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던 안내표지체계는 이들 계획요 소와 관련성이 없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요소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방향성에 대 한 시지각적 인지도가안내표지와같은 시설・장치물 요소보다 공간 구성의 명료성을결정 짓는구조적요소에큰 영향을받는 것으로해석해 볼수 있다.

요인 2는 쾌적감, 공기의 탁도, 안전감, 개방감으로구성되어 이를 포괄적 의미의 환경성 으로 명명하였다. 쾌적감, 공기의탁도와 같이환경의 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소와함께 안전감, 개방감이동일한요인을 형성하고 있는 점이특징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보도의 폭 과 높이가 제4의 요인을 구성하고 있어 이를 공간의 크기로 명명하였다. 이론적으로 볼 때 보도의 폭과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공간의 크기는 개방감을 비롯하여 안전감, 쾌적감과도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 이들 요소는 별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보행환경의 만족도를 가름함에 있어 공간의 크기와 관련된 공간감 그 자체가 개방감, 안전 감, 쾌적감과는 독립된 특성을 지니고 있거나, 또는 보도의 폭과 높이와 같은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물리적 요소가 개방감, 안전감, 쾌적감과같은 환경심리적 요소와 다르게 인지될

<그림1> 코엑스몰보행공간

(7)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개방감이 물리적인 공간의 크기와 구분되는 환경 적 특성으로 분류된 점이 주목된다. 한편 실체적인 환경적 요소인 소음은 공기의 탁도와는 달리통계적으로 유의미한요인으로 구성되지않았다.

세 번째 요인은 기둥과 벤치등의 시설물로 구성되었는데, 무엇보다 기둥이 보행에 방해 가 되는 요소라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 편리성으로 명명하였다. 벤치등의 시설물은 보행의 편리성을 제고할 수도 또는 저하할 수도 있는 요소이다. 이에 비해 이들 요소와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상품진열대와 보행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으로 분류되 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특히 보행밀도는 너무 가변적일 수 있거나 또는 편리 성뿐만 아니라 환경성, 공간의 크기 등 다른 요인과 모두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어 특정 요인을구성하기 어려운요소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흥미로움과 조명의 밝기가 다섯번째요인을 구성하여 이를 다양성으로 명명 하였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론적 차원에서 공간의 밝기는 보행환경의 안전감, 개방감, 쾌 적감 등 지하공간의 환경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었으나, 실증적차원에서는흥미로움과관련성이 더욱 높았다는 사실이다. 이는 이미 지하공간에서 조명의 역할이 단순히 어두움을 밝히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초적인 환경여건을 조성하는데 그치지 않고, 공간 변화의 다양성을 제고하여 흥미로움을 유발하는 요소로 이용되고 있음 을시사한다.

요인1 (방향성)

. 9 0 9 . 8 8 6 . 8 3 9 . 6 5 6

쾌적감 . 0 3 7 . 8 4 8 . 1 7 6 . 1 7 4 - . 0 4 0

공기의탁도 - . 0 1 4 . 8 1 1 . 0 5 7 . 2 3 6 . 0 7 1

안전감 - . 0 2 2 . 6 8 3 . 2 5 6 . 0 3 5 . 1 8 5

개방감 . 1 7 5 . 6 3 5 . 1 5 2 . 3 8 5 . 0 8 6

기둥 . 1 6 0 . 2 1 8 . 8 6 7 . 1 2 2 - . 0 1 7

벤치등시설물 . 1 2 1 . 3 7 9 . 7 8 9 . 1 3 3 - . 0 4 0

천장의높이 . 0 4 4 . 2 0 8 . 0 3 3 . 8 1 8 . 0 4 9

보도의폭 . 1 3 3 . 2 2 9 . 1 8 2 . 7 6 2 - . 0 1 3

흥미로움 . 0 5 6 . 0 7 5 - . 1 0 7 . 1 0 5 . 9 2 8

조명의밝기 . 2 6 6 . 4 0 0 . 2 6 2 - . 1 7 8 . 5 0 6

계획요소 (변수)

요인4 (공간크기) 요인3

(편리성) 요인2

(환경성)

요인5 (다양성) 현재위치인지

<표4> 요인적재량

- . 0 0 3 . 0 0 8

. 0 6 5 . 1 5 3

목적지인지 . 0 0 8 . 1 5 5 . 1 5 6 . 0 7 3

출입구인지 . 0 5 5 - . 0 2 5 . 0 3 8 . 0 3 5

길찾기경로 - . 1 3 6 . 4 1 2 . 0 9 0 . 1 9 4

요 인 선행연구고유값 분산비율( % ) 누적분산비율( % )

1

<표3> 요인분석결과

2 3 4 5

2 . 9 1 3 2 0 . 8 2 0 . 8

2 . 7 4 1 1 9 . 6 4 0 . 4

1 . 8 1 0 1 2 . 9 5 3 . 3

1 . 5 9 3 1 1 . 4 6 4 . 7

1 . 2 1 5 8 . 7 7 3 . 4

(8)

4.2 보행만족도 결정요인

두 번째 실증분석의 단계로서 이상의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방향성, 환경성, 편리성, 공간의 크기, 다양성의 5개 요인이 보행환경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정, 비교하기 위해 5개 요인의 요인점수(factor score)를 독립변수로 하고 전반적인 보행만족 도를 종속변수로하는관계식을설정하였다. 전반적인 보행만족도는 개별 계획요소에대한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5단계 리커트 척도의 범주형 변수로 측정되었으므로, 구체적으로 분 석의 방법으로서는 순위형 로짓모형(ordered logit model)을 사용하였다. 순위형 로짓모 형은 종속변수가여러 범주로 순서화( o r d e r e d )된 이산척도로 구성되었을때 유용한분석모 형으로, 이항(binary) 로짓모형이연장, 발전된 형태이다(이성우외, 2005). 추정결과는<표 5 >에 제시되어 있으며, 우도비(Likelihood Ratio)를비롯한Score 및 Wild 검정 결과추정 모형은유의한것으로나타난다.

순위형 로짓분석의 결과, 환경성과 공간의 크기 요인은 p<0.01 수준에서, 그리고방향성 과 요인은 p<0.05 수준에서 각각 전반적인 보행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正)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다양성과 편리성 요인은 이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전반적인 보행만족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p<0.1 수준에 미치 지못하고 있다.

한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 5단계 리커트의 순위형 척도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추정 계수의 크기를 통해요인간영향력을 상대적으로 비교해 볼 수있다. 이러한점에서환경성 과 공간의 크기는방향성에비해 전반적인 보행만족도에 더 큰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경성과 공간의 크기는 요인적재량이 1단위 증가할때 전반적인 보행만 족도가각각3배와 2배 반정도 증가하는한계효과( e x p (β) )를갖고있다.

이러한 추정결과에 따라 보행만족도의 결정요인을 순차적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둥과 벤치등의 시설물은 보행환경의 편리성을 가름하는 유의미한 요소이기는 하지 만, 이들 요소가 보행환경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마찬 가지로 조명의 밝기와흥미로움과같은 요소를 더해지하공간의 다양성을 제고하려는노력 도보행환경의만족도를 전반적으로향상시키는 데는상대적으로 한계를지닌다.

이에 비해 지하공간에서 현재의 위치, 목적지, 출입구 및 길찾기 경로에 대한 인식성을 높여 방향성을 제고하는 것은 보행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궁극적으로 보행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쾌적감, 공기의 탁도, 안전 감, 개방감과 같은 환경적 특성을 비롯하여 보도의 폭과 높이와 같은 공간의 크기를 가장 중요한 계획요소로 고려하여야 한다. 환경성과 공간의 크기는 방향성이나 다양성, 편리성

추정계수 (β) 0 . 5 1 0 0 1 . 1 0 5 0 0 . 3 2 5 0 0 . 9 1 6 1

다양성 0 . 3 4 4 9 2 . 3 7 3 0 1 0 . 1 2 3 4 1 . 4 4 1 2

Likelihood Ratio S c o r e W a l d

< . 0 0 0 1

< . 0 0 0 1

< . 0 0 0 1 5

5 5 4 0 . 1 0 3 1

3 0 . 8 3 1 4 3 2 . 9 7 0 0

독립변수 자유도 p 값

( D F ) W a l d통계량

2)

한계효과 (exp(β)) 방향성

<표5> 순위형로짓분석결과

1 . 6 6 5 2 0 . 0 2 6 1

1 4 . 9 5 2 1

환경성 1 9 . 1 4 5 3 1 < . 0 0 0 1 3 . 0 1 9 2

편리성 2 . 0 7 8 2 1 0 . 1 4 9 4 1 . 3 8 4 0

공간의크기 1 4 . 8 9 6 2 1 0 . 0 0 0 1 2 . 4 9 9 5

(9)

요인에 비해 지하보행공간의 기초적인 환경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건에 불과할 지모르지만, 기본적으로 보행공간을 넓고 쾌적하게만드는것이야말로 보행환경을 개선하 는데가장 효과적인것으로 나타났기때문이다.

5. 결 론

본 연구는 지하공간의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 써 지하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보행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계획요소들은 크게 방향성, 환경성, 편리성, 공간의 크기, 다 양성과 관련된 5개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방향성은 현재의 위치, 목적지, 출입구 및 길찾기 경로 파악의 용이성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요소들의 통합적 인식성을 고려하면 안 내표지체계의 개선과같은 사후적 조치보다 처음부터 공간구성 자체를구조적으로체계화, 명료화하는 공간기본계획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성은 쾌적감, 공기의 탁도 와함께 안전감, 개방감과 같은요소를 광범위하게 포괄하는 요인으로, 보도의폭과 높이로 구성되는 공간의 크기와 별개의 요인으로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개방감 등과 같 은환경심리적요소 또는 공간환경적 특성은 보도의폭과 높이와 같은 물리적 요소또는 공 간구조적특성과 각각독립적인 계획요소로고려될 필요가있다.

편리성은 기둥 및벤치등의시설물과같이 구체적인 구조물・장치물과관련된 요인으로, 이러한 요소들이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행 동선을 세밀하게 고려한 치밀한배치계획이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다양성은 흥미로움과조명의 밝기와관련된 요인 으로, 지하공간에서 이제 조명은 단순히 어두움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 공간환경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보행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계획요소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 가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방향성, 환경성, 편리성, 공간의 크기, 다양성의 5개 요인 가운데 보행만족도에 가 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성과 공간의 크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방향성이 보행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다양성과 편리성의 영향력은 상대 적으로유의미하지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지하공간의보행환경을개선하기 위해서 는 무엇보다 보행공간을 넓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절대적 규모를 확보하는 것이 중 요하다. 다음으로 공간 구성을 구조적 차원에서 명료하게 조직화하여 방향성을 제고한 다 음, 세부적 차원에서 공간 구성에변화를주어 다양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보행동선을 세심 하게 고려한 시설배치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는 공간 규모 → 공간 구조와 조직 → 세 부공간 구성과 시설 배치의 순으로이루어지는일반적인공간계획・설계 과정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적으로 지하보행환경이 다양한 질(質)적 계획요소들에 의해 영향 을받는다는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여전히 보도의 폭과 높이와같은 양 (量)적 요소가 보행환경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로부각되었다는점은, 역설적으로 우리나라지하보행공간의크기가보행자들이 만족하기에는 협소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에서 지하도로시설기준에관한규칙이규제완화의 차원에서 폐지되었지 만, 특히 환경성을 비롯하여 공간의 크기가 보행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는 점을 고려할 때 최소한 보도의 폭과 높이를 비롯하여 공기의 탁도 등과 같이 정량화가 가능한 계획요소에 대해서는 제도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환경성과 공간의 크기는 지하보행공간의 기초적인 환경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건으로, 보행자의

(10)

건강( h e a l t h )과안전( s a f e t y )을도모하기 위한공익의 관점에서 정책적, 제도적으로관심을 기울여야 할부분이기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하공간의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소를 이론적・개념적 차원을 넘 어 실증적・통계적 차원에서 구체화하고검증하였다는점에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불구하 고 본연구는일정 한계를 지니고 있어이를극복하기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사례대상지가 2 0대 여성이 주류를 이루는 대형・복합 지하공간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가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다른 특성을 지닌 대상지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한 다. 또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추출한 계획요소들에는 여전히 환경심리적 측면의 포괄적인 개념적 요소들과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물리적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방법론적 측면에서 이러한 계획요소들간의 상호관계를 경로분석 등과 같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보다구조화하여분석하는 작업이필요할 것으로판단된다.

참고문헌

1. 고인석(1986), 지하상가의건축설계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2. 김성준 (2005), 지하공간길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교석사학위논문.

3. 김치환 (1994), 지하공간 설계에 있어서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암반역학회지 터널과지하공간, 4권. pp. 186~1 9 1 .

4. 심우갑・김창주・이강주(1997), 지하공간건축, 시공문화사.

5. 이강주 (1996), 환경지각-인지적차원을 고려한 상업용 지하공간의 건축설계에 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이강주 (2003), 길찾기 행태를 고려한 상업용 지하공간의 Sign System연구, 한국생활 환경학회지, 10권, 1호. pp. 1~7 .

7. 이성우외3인(2005), 로짓・프로빗모형응용, 박영사.

8. 이인성・김현옥 (1998), 도시주거지보행경로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3권, 5 호. pp. 117~1 2 9 .

9. 조경덕, 구민모, 이치하라 시게루 (2002), 지하공간에 대한 이미지 조사: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권, 1호. pp. 89~1 0 6 .

10. Carmody John and Raymond, Sterling (1993), Underground Space Design, Van Nostrand Reinhold.

11. Gorsuch, Richard (1983), Factor Analysis, 2nd ed., Erlbaum.

12. Rapoport, Amos (1977), Human Aspects of Urban Form, Pergamon Press.

투고2 0 0 5 . 1 2 . 2 7 1차심사완료 2 0 0 6 . 0 2 . 1 3 2차심사완료2 0 0 6 . 0 6 . 0 1 최종수정본접수2 0 0 6 . 0 6 . 0 6

참조

관련 문서

또한 세계경제가 급변 함에 따라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 필요한 한편 4차 산업혁명이 세계경제에 전면 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베트남이 뒤쳐지지 않기 위해 이에 적극적 으로

Figure 7에는 bimodal 현탁계에서 충전입자 중 작은 입자 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도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하였는 데, 충전율 60 v%까지는 unimodal 현탁계의 구성이 가능하 지만 65

and Kwon, H.-W., 2007, Car Interior and Exterior Multi-domain Noise Analysis using Power Flow Boundary Element Method,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Spring Conference,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엔화강세가 기업 실업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심뇌혈관질환의 지식, 태도 및 예방실천행위의 상관관계에 서는 심뇌혈관질환의 지식과 태도,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지식 과 예방실천행위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데, 이것은

이 를 위해 OECD/WTO의 글로벌 아웃소싱 통계를 활용 하여 한국 대기업의 글로벌 아웃소싱이 국내 지식기 반산업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lt;그림 9&gt; 경기 악화가 국내 석유화학기업에 영향을

국의 질적 성장전략이 추진된 2006 년 이후 , 전반적인 리스크 요인들이 경착륙의 가능성 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 다 지방부채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