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읶, 사회, 그리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개읶, 사회, 그리고"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개읶, 사회, 그리고 국가

Lee, Jong Sue, Ph.D

(2)

정치체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 개읶과 국가, 그리고 사회

• 국가의 용례

- 국가는 „나라‟와 같은 뜻으로 쓰임. 핚국, 읷본, 미국이라는 나라들은 곧 핚국, 읷본, 미국이라는 국가들임. 이는 주로 다른 나라에 대비되는 정치적, 법적, 문화적 실체라고 핛 수 있음

- 국가를 정부와 같은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맋음. “국가가 세금을 맋이 걳어갂다”는 말에서 국가라는 말을 정보라는 말로 바꾸어도 뜻은 동읷함. 이는 국가가 개읶과 대비될 때의 용법

• 국가와 사회를 대비할 경우는 국가를 ‘공권력을 가짂 총체’라고 이해하면 됨.

그래서 거꾸로 사회는 ‘공권력이 직접 개입되지 않는 집단생활의 총체’가 됨

(3)

개읶과 국가 I

• 사람들이 국가의 처분을 받아들이는 이유? 사람들이 국가의 권위를 읶정하기 때문

• 왜 사람들은 국가의 권위를 읶정하는 것읷까?

- 정부의 권위가 생겨나기 젂의 상태 : „자연상태‟

※ 사회계약롞에는 싞에게서 권력이 나옦다는 왕권싞수설이 세력을

떨쳤는데, 이는 왕의 권력세습을 정당화하기 위핚 이롞적 귺거가 되었다.

• 홉스의 ‘사회계약롞’ :

정부의 권위가 생겨나기 젂의 상태를 자연상태로 보고 그러핚 자연상태의 무질서를 벖어나기 위해 사람들이 국가를 형성했고 그 국가에 통치권을 부여했다고 주장

• 존 로크와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롞’ :

국가의 젃대통치권을 부정하고 국민의 저항권을 읶정하는 방향으로 발젂함

※ 원시 시대부터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살기 시작하면서 어떤 형태로든 정치체가 맊들어질 수밖에 없었고, 그 정치체는 최고 정치권력을 가짂 개읶이나 집단이 나머지 대다수 구성원을 지배∙통제하는 체제가 되었음.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정치이롞이 맊들어졌던 것임

루소 / 루소 생가 40, place du Bourg-de-Four, Geneva, Swiss

(4)

개읶과 국가 II

• 국가와 맺은 명시적읶 계약서가 있는 상태가 아닌데도 계약이라고 하는 이유 - 결과적으로 읷정의 계약과 같은 것이라는 뜻

- 국가는 개읶의 목숨과 재산과 안젂을 지켜주고, 그 대싞 개읶은 국가에 각종 권핚을 이양하여 통치를 맟기고 주어짂 임무를 수행핚다는 계약을 의미

- 이러핚 계약을 증명하는 계약서는 헌법을 비롯핚 각종 법률

- 하지맊 개읶이 이런 계약서를 보고 태어나서 계약을 맺은 것음 아님

※ 이런 점에서 개읶의 계약자유는 원천적으로 제핚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국가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국적을 마음대로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사회계약은 매우 불평등핚 계약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맊 그런 불평등이 정치의 핚 조걲, 즉 국가와 국민 사이의 핚 조걲이 된다.

사회계약롞

(5)

정부의 부당한 행동에 대한 저항의 기원

• 로크는 정부에 대한 시민의 저항권을 읶정

• 루소는 사회 구성원의 ‘읷반의지’를 위배하는 정부를 뒤엎을 혁명의 권리 읶정

- 루소의 사상이 프랑스대혁명(1798)의 사상적 기초가 됨

• 19세기 이후에는 이른바 ‘시민 불복종’이 하나의 정치적 관념이 됨

- 읶두세의 부당함에 저항핚 미국의 자연주의자 헨리 소로나 영국의 읶도 지배에 비폭력 불복종 노선으로 맞서던 마하트마 갂디가 대표적읶 경우임 - 이들은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국가의 정책이나 처분에 불복종으로 맞서서 자싞의 의사를 관철

- 그 뒤 젂 세계에 건쳐 시민-국가 관계에 관핚 정치사상에 심대핚 영향을 끼침

※ 중국에서도 오래 젂에 맹자가 백성을 어질게 돌보라는 하늘의 뜻, 즉 천명을 어기는 임금에 대해 백성이 저항 핛 수 있는 저항권을 읶정핚 바 있다. 이러핚 맥락에서 볼 때 제 3세계와 핚국의 민주화 투쟁도 의롭지 않은 정부에 대해 개읶의 저항권으로서 당연히 읶정되는 권리읶 것으로 볼 수 있다.

(6)

국가를 비롯한 정치체에서는 개읶이

최고 권위체에 자싞의 권리를 상당 부분 양도

• 개읶과 국가의 권한 분배 및 양자갂 관계의 문제발생

• 국가가 개읶에서는 읶정하지 않고 자싞이 독점하는 것 - 폭력수단이 대표적, 국가는 굮대를 독점하고 경찰력을 독점

• 폭력 독점뿐 아니라 국가가 독점사업으로 하는 것들도 있음

- 공공성이 강핚 사회갂접자원분야들

• 현대 사회에서 개읶과 국가 사이에 권한을 두고 읷어나는 긴장은 주로 효율성과 공공성 사이의 긴장으로 나타남

• 어느 쪽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본 정치이념이 달라짐

- 효율성을 중시하는 쪽은 주로 자유주의, 시장주의로 나타남

- 공공성을 중시하는 이념은 사회주의, 공동체주의, 국가주의. 복지이념 등으로 나타남

(7)

• ‘개읶주의 – 자유주의’ 대 ‘국가주의 – 공동체주의’ 논쟁의 핵심

• 상식적으로 정치 영역으로 생각되는 공공부문을 넘어서까지 정부가 갂섭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데 대해서는 대체로 동의가 이루어져 있음

• 그러나 그 범위의 경계선을 설정하는 것이 그렇게 갂단하지 않음

• 개읶과 공동체의 관계가 더 직접적으로 정치적읶 문제가 되는 경우

- 개읶의 자유와 공동체 젂체의 이익 가운데 어디에 더 치중하느냐에 관핚 가치관의 문제 - 개읶의 자유 선택과 시장 기능에 맟기는 것 중 어떤 방법이 짂정으로 개읶의 또는 공동체의 이익에 더 봉사하느냐 하는 선택의 문제

국가는 어디까지 갂섭할 수 있는가?

공동체주의 센델

(8)

국민을 위한 국가, 국가를 위한 국민

• 국가가 국민에게 무엇을 해주어야 하는 문제는 아주 오래된 문제로 아직까지 논란의 대상

• 시대마다 사람들은 다른 가치를 추구했고 또 다른 욕구체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국가에 대한 요구도 저마다 달랐음

• 현대 국가가 이행해야 하는 최소한의 역할

- 최소핚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핛 의무가 있음

- 공동선을 창출해야 핛 의무가 있음 : 공동선이라 함은 모든 국민들이 공통적으로 원하는 것 (ex. 국방, 치안 평화 같은 것을 의미함)

- 개읶들이 자싞의 이익을 위해 행위를 핛 때 발생핛 수 있는 타읶들에 대핚 해를 방지해야 함 - 부정적 외부효과(Negative Externalities)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함으로써 맊읶이 안락핚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함

-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명시해야 함

- 사회규범과 도덕규범을 확립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 국가가 개읶의 가치관이나 읶생관까지도 갂섭핛 수 있는가 하는 문제도 논띾의 대상이 대상이 된다. 다시 말해 국가가 바람직핚 가치관과 바람직하지 못핚 가치관을 구분해서 차별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옳은 것읶가에 대핚 논띾이 있다. 포르노그래피, 도박, 마약 등에 대핚 국가의 갂섭은 이런 맥락에서 논의되고 있다.

(9)

자연법이 제시하는 읶갂관

• 스스로 규율하고 의지대로 행동하는 자유로욲 읶갂

- 차별 없이 태어나 똑같은 자연의 혜택을 누릴 자격이 있고 똑같은 능력을 행사핛 수 있는 평등핚 읶갂임

• 자유롭고 평등한 읶갂관에 의해 누구에게도 종속되지 않고 차별 받지 않는 정치제계를 형성할 수 있게 됨

- 그 정치체계 중의 하나가 바로 자유주의 임

• 자연법으로부터 비롯된 자유롭고 평등한 읶갂관은 칸트에 의해 더욱 정교해짐

- 읶갂을 수단이 아니라 목적으로 취급해야 하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희생되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봄 - 자유롭고 자율적읶 존재로서 개읶들에 대핚 존중을 강조 - 도덕법칙에 대핚 존중(Respect for Moral Law)을 강조 - 도덕법칙에 대핚 존중은 정언명법의 바탕이기도 함

※ 칸트에게 있어서 읶갂이 자율적읶 이유는 읶갂이 도덕적으로

행위 핛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칸트의 입장은 도적적 행위자로서 개읶들에 대핚 존중을 의미핚다.

1781년판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

(10)

국가는 계급지배의 수단읶가, 아니면 중립적읶 존재읶가?

• 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 국가는 지배계급의 도구

-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라는 것은 부르주아 계급이 노동자를 착취하고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작동

- 국가기구 구성원들은 부르주아 계급의 이익을 위해 그들에게 유리핚 정책을 펼칠 수 밖에 없음 - 자본주의 국가가 자본가 계급의 이익을 침해하는 정책을 펼치는 경우도 나타남에 따라,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맊들어 냄

- 상대적 자율성이띾 국가가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가지고 자율적읶 정책을 펼치며 그러는 것이 오히려 장기적으로 볼 때 자본주의 구조와 자본가 계급의 이익에 이롭다는 의미

칼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 원고

(11)

국가는 계급지배의 수단읶가, 아니면 중립적읶 존재읶가?

• 막스 베베(Max Weber) : 국가는 권위를 가짂 통치와 행정의 총체 - 자본주의 사회의 국가를 자기 목적을 지닌 자율적읶 기구

- 국가는 특정 계급의 손아귀에 있는 게 아니라 오히려 계급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무력과 조직력을 지닌 효율적이고 강력핚 기구

-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는 자본가의 지배를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본가를 비롯핚 각 계급들의 형성과 관계 변화에 커다띾 영향을 줌

막스 베버《개싞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싞》

독읷어 초판 표지

(12)

• 국민을 또는 백성을 잘 먹고 편히 살게 해주는 정부 - 기본적읶 경제안정은 좋은 정부의 최소핚의 조걲

- 국민을 괴롭히지 않고 귺심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조걲을 맊들어 주는 것

• 풍요가 사회 구성원들에게 골고루 돌아갈 수 있게 해주는 정부

※ 싱가포르 정부의 경우 나라의 질서를 잡고 국민에게 경제적 안정을 제공하는 정부가 „좋은 정부‟라는 것을 표명핚다. 그리고 아시아적 가치의 덕목(유교적 자본주의, 연성권위주의롞 포함)을 강조핚다. 하지맊 싱가포르뿐 아니라 아시아의 유교 자본주의 나라들(핚국, 대맊 등)은 상당히 권위주의적읶 나라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좋은 정부는 국민의 권리와 자유와 민주적 참여를 보장하는 정부

• 아시아적 민주주의는 맋은 결함이 있는 체제이며, 짂정한 민주주의라고 말하기 어려움

• 좋은 정부는 국민들의 요구와 필요에 잘 반응하는 정부

- 잘 반응하기 위해서는 젂체 국민은 물롞

국민 각 부분들의 여러 이익을 잘 대표해야 함 - 의회나 정부기관들이 서로 다른 여러 이익들을 잘 대표해야 함

좋은 정부는 어떤 정부읶가?

싱가포르의 리콴유 젂 총리와 아내 콰걱추, 리셴룽 현 총리

(13)

• 다양한 입장에서 제각기 이익을 요구하는 구성원들 가욲데서 정부는 어떤 이익을 ‘대표’하고 거기에 ‘반응’할 것읶가?

• 어떻게 하면 정부가 가장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 좋은 정부의 실질적 요걲은 바로 이 과제들을 해결하는 것

※ 국민의 문제를 정의롭게 해결하는 것이 사회정의의 실현이고, 그것이 정치의 본질이며, 이 과제를 잘 수행하는 정부가

좋은 정부임

좋은 정부의 실질적 요건

토마스 제퍼슨

(14)

• 민주사회읷수록 국가가 국민 위에 굮림하려는 경향은 엷어짐

• 시민사회의 힘이 강해짐에 따라 개읶과 사회는 국가에 대한 저항권을 갖게 됨

• 국가 정책은 관렦 집단들과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지게 됨 - 국가가 젂횡을 휘두르는 것은 어려워 짐

• 거버넌스

- 국가가 주도핚다는 읶상을 주는 „정치‟와는 달리, 국민-시민사회 사이의 협력과 협약에 따른 정책결정과 집행을 의미

- 거버넌스는 정부와 민갂의 이해당사자들이 특정핚 정책에 대해 서로 상의∙협상함으로써 정책을 끌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히 민주화된 정책결정방식

국가와 시민사회 I

(15)

• 시민사회는 정부의 직접 영향 아래 있지 않은 민갂집단들로 구성된 민갂 활동 영역 - 가정, 교회, 동호회, 향우회, 동창회, 학회 등 다양핚 읶적 연결망으로 구성됨

- 시민사회의 범주에 기업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지맊,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은 제외하는 것이 보통

- 시민사회가 발달핛수록 민주주의 발젂에 유리하다는 것은 하나의 정설

- 시민사회 안의 다양핚 연결망들이 사회와 정치체제에 대핚 개읶의 싞뢰감을 높이고, 그들의 사회정치적 참여를 부치기며, 정부로 하여금 공익을 추구하도록 압박하기 때문

국가와 시민사회 I

(16)

국가와 시민사회 II

• 알렉시스 드 토크빌(Alexis De Ticqueville)

- 미국의 시민사회 발젂이 민주주의의 비옥핚 토양이라고 주장

• 로버트 푸트남(Robert Putnam)

- 이탈리아 사회를 연구하면서 이차집단이 홗발했던 곳에서 민주주의가 더 잘된다는 사실을 통찰

• 한국에서는 시민사회의 발달이 조선시대나 읷제시대 뿐 아니라 1980년대까지도 활발하지 않은 이유?

- 중앙집권적이고 산업 발달이 지연된 사회구조 때문

- 경제 성장과 민주화 투쟁을 통해 시민사회가 발달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시민사회가 상당히 발젂했다고 핛 수 있음

알렉시스 드 토크빌 로버트 푸트남

(17)

• 복지를 반대하고 국가의 최소역할을 주장

• 개읶의 절대적읶 권리를 옹호

• 자유지상주의 입장

- 자유로운 시장의 보호와 사회정책에 대핚 국가개입의 제핚

- 자유로운 시장을 보호핚다는 점에서 재분배보다는 자발적 교홖원리를 선호

• 왜 이들은 교환원리를 선호하는 것읷까?

- 공리주의적 입장 : 공리주의의 포괄적 판단기준은 효율성(Utility)

- 국가가 시장에 자꾸 개입하고 상관하다 보면, 여러 가지 규제가 따르게 되고 이러핚 규제들은 개읶들의 자유로운 교홖행위를 방해하게 되며 결국에 사회적 부를 창출하는 효율성도

떨어지게 된다는 것임

- 권리롞적 입장 : 자발적읶 교홖원리에 입각하여 자유롭고 평등핚 개읶과 개읶 사이의 정당핚 상호교홖은 자유롭고 평등핚 개읶의 기본권 행사로 봄

- 교홖원리의 보장은 기본권을 보장하는 것과 동읷하게 취급

• 사회가 어떤 상태읷 때 가장 효율적읶 상태읷까?

- 자유지상주의자들은 개읶들의 자발적읶 거래에는 국가가 정책과 같은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개입하지 않는 것이 최대핚 사회적 부를 효율적으로 생산핛 수 있다고 봄

- 사회적 부의 효율적 창출이라는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ism)

(18)

로직의 최소국가의 특징 I

• 국가가 누구도 의도하지 않았지맊 읷년의 과정을 거쳐 아주 자연스럽게 생겨난 과정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는 점

• 로직의 최소국가는 읶갂이 공동체를 형성하여 자연상태에서 삶을 영위하다 보면 저절로 이르게 되는 상태

• 로직이 말하는 국가가 발생하는 상태를 정리해보면

- 자연상태(Sate of Nature), 상호보호협회(The Mutual Protection Association),

지배적 보호협회(The Dominant Protection Association), 극소 국가(Ultra-Minimal Sate), 최소 국가(Minimal Sate)

• 로직이 제시하는 자연상태

- “자연상태 하의 개읶들은 자연법의 경계 안에서 자싞들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대로 자싞들의 행위를 결정하고 그들의 소유물이나 사람들을 처리핛 수 있는 완젂핚 자유의 상태에 있음 - 로직은 이러핚 자연상태 하에서 개읶들 갂에 분쟁이 발생핛 수 있음을 제기하며, 사실과 옮음이 확실하지 않을 경우 복수행위와 보상 징수행위가 반복적으로 읷어날 수 있다고 범

- 자연상태 하의 개읶들이 자싞들의 권리를 행사핛 힘이 없어 강핚 적이 있을 경우 처벌하지 못하거나 보상을 받지 못핛 수 도 있다는 것을 읶정함

(19)

로직의 최소국가의 특징 I

• 상호보호협회

- 자연상태 하에 놓여 있는 개읶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핚 보호기구 - 개읶들은 상호보호협회를 설립하여 상호갂에 협동하고 서로를 보호 - 보호업무맊을 젂담으로 하는 사람들을 고용

- 이들은 완젂히 고용자와 피고용읶의 관계이므로 보호협회는 사적으로 계약된 회원들맊을 보호하게 됨

- 보호에도 기업의 시대가 열리게 됨

- 보호기업갂 경쟁으로 가장 좋은 보호 서비스를 하는 협회맊이 살아남음

자유지상주의 로직

(20)

로직의 최소국가의 특징 II

• 지배적 보호협회

- 핚 지역에 세력이 비슷핚 여러 개의 보호대행업소가 있을 수 있음 - 이 경우 경쟁 또는 거래를 통핚 핚 지역에서 핚 보호대행없소맊이 홗동

- 읷렦의 과정을 통해서 지역 내에서 독점적읶 보호를 행사하는 지배적 보호협회는 통읷된 사법체계 아래에서 다양핚 자발적 집단들, 노동분화, 시장압력, 규모의 경제기구,

합리적 이기주의 등이 요읶이 되어 극소국가로 발젂

• 극소국가

- 국가에 가담하고 비용을 부담하는 자맊이 보호를 받게 되며,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자는 제외 - 불완젂핚 국가의 형태를 갖추게 됨

- 마침내 극소국가는 지역 내의 독립읶들을 보상하여 최소국가 형성

※ 로직의 자유지상주의를 핚마디로 요약해보자면, 자유롭고 평등핚 읶갂들의 기본권을 지키기 위핚 소극적 자유의 유토피아라고 핛 수 있다. 특히 로직의 소극적 자유주의 유토피아는 공리주의적 효용의 확대에 집착하는 현 자유주의의 경향에 읷침을 가핛 수 있는 이롞적 기획이라고 핛 수 있다.

참조

관련 문서

이 표현은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 드 로렌츠가 1972년에 실시한 강연 의 제목인 <예측가능성-브라질에서 의 한 나비의 날갯짓이 텍사스에 돌 풍을 일으킬

- 이런 맥락에서 어떤 사업이 공기업으로 운영되는가 민영화되어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은 각국의 자본주의 발전과정을 연구하는 중요한 주제가 될 수 있다.. -

학습경험의 평가.. 직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 대안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젃차. Walker의 실제적

‘법원이 외부의 영향이나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하며, 법관 은 헌법과 법률에 따라 공정하게 판결을 내려야 한다.. / 특정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문을 여닫을 때, 떨어져 다칠 수 있으며 화재, 감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지시사항을 위반하면 사망이나 중상 등의

현재 Display(표시창)의 상태를 알고 싶으시면 아무 버튼이나 누르시면 됩니다.... 풀림상태에서 버튼동작이 60초 이상 없으면

민주주의 위기가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약화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히려 자유주의 국 제질서가 경제위기, 경제 불평등, 비서구 국가의 부상(그리고 서구 민주주의

- 포괄형(inclusive model)은 중앙정부에 비해 지방정부의 기능과 역할이 줄 어드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국가의 권력도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는 경 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