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음수 개념의 역사적 발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음수 개념의 역사적 발생"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수와

수와 연산 연산(2) (2) 수와

수와 연산 연산(2) (2)

(2)

3. 정수와 유리수

1) 음수 개념의 역사적 발생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수 개념을 크기, 개수, 길이, 넓이 등의 양 적인 관념과 관련지음

디오판토스(3C): 음수는 존재하지 않는 불가능한 것 디오판토스(3C): 음수는 존재하지 않는 불가능한 것

브라마굽타(7C): 양수와 음수의 계산 법칙. 음수를 해로 인정하지 않

카르다노(16C): 음수가 사용된 예. ax+b=0의 일반해 데카르트: 음의 근을 거짓 근

파스칼: 0보다 작은 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학생들도 음수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함 인식론적 장애(수를 크기와 연관 짓는 것)

(3)

•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수 개념을 크기, 개수, 길이, 넓이 등 의 양적인 관념과 관련지음

– 디오판토스(3C): 음수는 존재하지 않는 불가능한 것

– 브라마굽타(7C): 양수와 음수의 계산 법칙. 음수를 해로 인정하지 않음

않음

– 카르다노(16C): 음수가 사용된 예. Ax+b=0의 일반해 – 데카르트: 음의 근을 ‘거짓 근’

– 파스칼: 0보다 작은 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 학생들도 음수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함

– 인식론적 장애(수를 크기와 연관짓는 것)

(4)

• 음수를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 (인식론적 장애)

– 작은 수에서 큰 수를 빼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 작은 수의 제곱이 어떻게 큰 수의 제곱보다 클 수 있는가?

– (-4)(-5)=20이라면 1:-4=-5:20 – (-4)*3. 그렇다면 4*(-3)?

• 음수와 허수 개념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정립.

• 실용적인 유용성 문제

• Hankel(19C): 음수 체계 확립. 형식적인 구조로 이해. 양수 체계의 원리가 유지되도록 음수 체계 확장. 대수적으로 모순이 없음

(5)

음수 지도를 위한 모델

• 셈돌 모델(Gattegno): 두 가지 색의 돌을 이용하여 정수 를 나타내고 연산을 정의. 덧셈과 뺄셈이 자연스럽게 설 명되지만, 곱셈과 나눗셈 설명은 한계가 있음.

(6)

• 우체부 모델: 어음(받는 사람에게 소득)과 고지서(받는 사람 에게 부채) 가져오고(+) 가져가기(-)

– 덧셈과 뺄셈

음수 지도를 위한 모델

(7)

• 우체부 모델: 곱셈 설명 가능. 나눗셈은 자연스럽지 않음

음수 지도를 위한 모델

(8)

• 수직선 모델: 수를 방향과 크기를 갖는 것으로 봄. 순서 구조(대소 관계)를 유지한다는 장점

음수 지도를 위한 모델

(9)

• 수직선 모델

– 곱셈: 반복되는 덧셈으로 설명. 음수를 곱할 때는 방향 을 바꾸어

음수 지도를 위한 모델

(10)

• 나눗셈:반복되는 뺄셈을 통하여 피제수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원점으로 줄이는 과정. 줄이는 방향이 제수의 반대방향일 때 그 결과를 양으로 간주

음수 지도를 위한 모델

• 음의 부호가 다중적인 의미: 왼쪽, 반대방향(곱셈, 나눗셈), 뺄 셈

(11)

형식불역의 원리

• Freudenthal: 음수는 방정식의 해집합 구조를 완전하게 하 려는 요구에서 생겨났으므로 자연수 체계에서 확장된 순 수한 형식 체계로서의 음수를 지도하는 것이 필요

– x+a=0의 해로 음수 –a를 정의

• 대수적 또는 기하적 구조를 확장할 때 기존의 체계에서 인정된 성질이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 자연수에서의 법칙이 유지되도록 음수의 사칙연산 정의 – (-2)+2=0, (-3)+3=0으로 음수를 정의하면,

– {((-2)+(-3)}+(2+3)=0에서 (-2)+(-3)=-(2+3)

(12)

• 귀납적 외삽법

형식불역의 원리

• 음수 지도에서 기하적 형식 불역에 대한 경험도 중요한 의미

(13)

• 미국 캘리포니아의 음수 지도 (p.37)

– 음수 연산을 원리와 형식적 측면에 기반하여 설명 – 음수 도입 시 좌표평면 제시

형식불역의 원리

– 정수의 덧셈, 뺄셈  다음 학년에서 사칙계산

(14)

유리수 개념의 지도

• 유리수는 (기약) 분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

• 분수 개념은 매우 다양한 맥락을 가짐

• 구조적인 동치 관계: 외적 상황은 다르지만 본질적으로 같 은 구조를 갖는 상황으로 정리되어야. (-3)/4=3/(-4)?

• 유리수의 외연적 정의: 개념에 포괄되는 대상 전체로 정의.

• 유리수의 외연적 정의: 개념에 포괄되는 대상 전체로 정의.

엄밀성. 형식화의 결과. 현실적 맥락은 잃게 됨. 점진적인 형식화가 생략되게 됨

– S={(a, b) | a, b∈Z, b≠0}

– (a, b) ~ (c, d)  ad=bc

– a/b={(x, y) ∈S | (x, y)~(a, b)}

– ½=2/4

– 현대 수학의 경향

vs. 내포적 정의: 속성으로 정의

(15)

유리수 개념의 발생

• 등분할된 부분과 전체. 질적으로 동일한 두 양을 비교. 포 함제(division)

• 분배 결과의 몫. ax=b의 해. 질적으로 다른 양 사이의 관 계. 등분제(partition)

• 비율

– 5등분한 사과의 2조각 = 10등분한 사과의 4조각 = … – 변화하는 두 양 사이의 ‘동일한 관계’

– a:b=c:d는 a:c=b:d와 동치 – 내적 비 vs. 외적 비

• 곱셈 연산자

(16)

토론 과제

•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참조하여,

1) 음수의 도입 방법을 비교하시오.

2) 유리수의 정의가 무엇인지 알아보시오.

3) a/(-b)와 (-a)/b가 같은 유리수임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알아보시오.

알아보시오.

• 음수 이외에 형식불역의 원리로 이해될 수 있는 수 학적 개념을 조사하시오.

• i에 의해 실수 체계를 복소수 체계로 확장할 때

a+bi의 절댓값을 √a

2

+b

2

으로 정의하는 것이 좋은

이유를 생각해 보시오.

참조

관련 문서

나는 우리 집에 많은 로봇을 가지고 있어.. 나는 애완동물 두

개념원리 중학수학을 통해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를 통해 체험하므로 개념과 원리를 확실히 이해하게 됩 니다.. 그 다음 단계는 개념원리 익힘책인 RPM을 통해

두 학술회의는 자유주의 이념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될 수 있는 데, 학술회의에서 참석자들(소수파를 제외하고)이 확인한 것은 전통적인 자유주의

‹ 도체의 선상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톰슨효과로 나눌 수 있음. ‹ [1]

근대의 철학자인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는 죽음에 대한 자각으로 동물과 인간을 구분한다. 7) Arthur Schopenhauer, Die Welt als Wille und

[r]

제2장 한국경찰의 역사적 제도... 제2장

KURTO의 값이 음수 정규분포에 비하여 중앙에 상대적으로 많은 자료점이. 집중되고 꼬리 부분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