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8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9년 8월

교육학석사(한문교육전공)학위논문

고 등 학 교 한 문 Ⅰ 교 과 서

‘한 문 의 활 용 ’ 영 역 비 교 연 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 교육전공

허 훈

(3)

고 등 학 교 한 문 Ⅰ 교 과 서

‘한 문 의 활 용 ’ 영 역 비 교 연 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a pplication of classical Chinese chracters ' area in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textbooks Ⅰ: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019년 8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 교육전공

허 훈

(4)

고 등 학 교 한 문 Ⅰ 교 과 서

‘한 문 의 활 용 ’ 영 역 비 교 연 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지도교수 정길수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한문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9년 4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 교육전공

허 훈

(5)

허훈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2019년 6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목 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선행연구 ··· 3

3. 연구방법 ··· 7

Ⅱ. 2015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비교 분석 ·· 8

1.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Ⅰ 교육과정 ··· 8

2.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 11

3. ‘한문의 활용’ 영역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 14

Ⅲ. 2015 개정 한문Ⅰ교과서 비교 분석 ··· 25

1. 교과서의 체제와 구성 ··· 26

2. ‘한문의 활용’ 영역 핵심 개념 비교 ··· 29

Ⅳ.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실태 분석 ··· 35

1. ‘ 한문의 활용’ 영역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 35

2. 교수·학습 방법과 학습내용 적정성 ··· 55

Ⅴ. 결 론 ··· 64

(7)

표 목 차

<표 1> 핵심역량 ··· 9

<표 2>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1 교과목표 13 <표 3>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 ··· 14

<표 4> 2009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 ··· 15

<표 5> 한문Ⅰ의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 18

<표 6> 한문Ⅰ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 19

<표 7> 영역별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 ··· 19

<표 8> 단원 전개방식 형태분석 ··· 26

<표 9> 교과서별 학습 목표 제시 현황 ··· 28

<표 10>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내용요소 교과서 반영횟수 ··· 29

<표 11> ‘한문과 인성’ 내용요소 교과서 반영 횟수 ··· 30

<표 12> ‘한문과 문화’ 내용요소 교과서 반영 횟수 ··· 30

<표 13>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구성 비교 ··· 31

<표 14> ‘한자문화권의 언어와 문화’ 구성 비교 ··· 33

<표 15> ‘한문의 활용’ 영역 종합 분석 ··· 34

<표 16> 금성 교과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반영실태 ··· 37

<표 17> 대명사 교과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반영실태 ··· 38

<표 18> 미래엔 교과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반영실태 ··· 38

<표 19> 씨마스 교과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반영실태 ··· 40

<표 20> 지학사 교과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반영 실태 ··· 43

<표 21> 5종 교과서 ‘성어’ 기술 내용 상세 비교 ··· 45

<표 22> 금성 교과서 ‘한문과 인성’ 반영 실태 ··· 46

<표 23> 대명사 교과서 ‘한문과 인성’ 반영 실태 ··· 47

<표 24> 미래엔 교과서 ‘한문과 인성’ 반영 실태 ··· 48

(8)

<표 25> 씨마스 교과서 ‘한문과 인성’ 반영 실태 ··· 49

<표 26> 지학사 교과서 ‘한문과 인성’ 반영 실태 ··· 49

<표 27> 금성 교과서 ‘한문과 문화’ 반영 실태 ··· 50

<표 28> 대명사 교과서 ‘한문과 문화’ 반영 실태 ··· 51

<표 29> 미래엔 교과서 ‘한문과 문화’ 반영 실태 ··· 52

<표 30> 씨마스 교과서 ‘한문과 문화’ 반영 실태 ··· 52

<표 31> 지학사 교과서 ‘한문과 문화’ 반영 실태 ··· 53

<표 32> ‘한문의 활용’ 영역 내용요소 및 성취기준 종합분석 ··· 54

<표 33>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교수·학습방법 반영 실태 ··· 55

<표 34>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교수·학습방법 반영 내용 ··· 56

<표 35> ‘한문과 인성’ 교수·학습방법 반영 실태 ··· 58

<표 36> ‘한문과 인성’ 교수·학습방법 반영 내용 ··· 59

<표 37> ‘한문과 문화’ 교수·학습방법 반영 실태 ··· 60

<표 38> ‘한문과 문화’ 교수·학습방법 반영 내용 ··· 61

<표 39> 교과서 단원, 부록 및 전체 분량 비교 ··· 63

(9)

국문 초록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 ‘한문의 활용’ 영역 비교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한문1 교과서의 ‘한문의 활용’ 영역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교과서 5종을 선택하 여 이들 교과서간 비교를 통해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방향이

‘한문의 활용’ 영역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내용 체계의 일관성 제고를 위해 한문지식과 독해의 기능을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한문과 문화, 인성 및 한자 어휘 활 용과 같은 핵심개념을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학년별 학습시간과 학습발 달상황을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감축하고,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내용을 강화 하였다.

2015 개정 한문Ⅰ교과서의 내용을 5종 교과서를 통해 비교 분석해보았다. 먼 저 교과서의 체제와 구성은 단원 전개방식에서 대체적으로 도입 - 본문 - 익 힘과 활용 - 평가 - 인성, 문화 - 평가로 이루어졌다. 성취기준과 학습목표를 제시한 후 본문이 나오고, 한자와 어휘, 한문의 독해, 한자어휘와 언어생활, 한 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 순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는 2015 교육과정이 개정 된 내용을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한문의 활용’ 영역 내용체계의 내용요소 반영실태를 살펴 보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핵심개념은 씨마스 교과서가 가장 많이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지학사, 미래엔, 금성, 대명사 교과서 순으로 나타났다.

(10)

‘한문과 인성’ 핵심개념에 대해서는 대명사, 지학사, 미래엔, 금성, 씨마스 교과 서 순으로 나타났다. ‘한문과 문화’ 핵심개념은 대명사, 씨마스, 금성, 미래엔과 지학사 교과서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문과 문화’ 내용요소인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한자문화권의 언어 와 문화 내용은 한자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등 다른 내용 요소에 비해 교과서 반영 비중이 절반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문과 교육과 정 개정시마다 지속적으로 문화 영역이 강조되고 있음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 교과서마다 더 비중을 늘려 다루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교수·학습 방법 반 영실태는 2015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이를 강화하였음에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일부 교과서가 있어 이에 대한 개 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학습량의 적정화를 위한 학습내용 감축 실태를 분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2009 개정전보다 분량이 감소하여 학습 내용의 감축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가 잘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한문의 활용’ 영역 3가지 핵심개념중 에서 ‘한자 어휘와 언어 생활‘ 내용요소인 일상용어, 학습용어, 성어등 한자어 휘 활용 교육을 보다 강조하는 특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새로 추가된 ’한문과 인성‘이라는 핵심 개념 과 2009 교육과정에 이어 계속 강조되고 있는 ’한문과 문화‘ 핵심 개념에 대한 5종 교과서에서의 반영 비중은 다른 내용요소와 비교해서 아주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인성, 전통문화, 한자문화권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내용은 더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내용요소별 성취기준의 효과적인 달성 을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점적으로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실태를 ’한문의 활용‘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아직은 많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목표가 잘 드러나고 학생들의 흥미와 수 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으며 교과 핵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앞선 부족 한 점들을 보완 개선하여 이후 교과서 편찬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1)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a pplication of classical Chinese chracters ' area in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textbooks Ⅰ

-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Heo hoon

Advisor : Prof. Chung Kil-Soo Ph.D.

Major in Sino-Korean Literatur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09 curriculum, focusing on the application areas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high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book Ⅰ. Also, this study examined how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primary direction of revising the curriculum were reflected on the application areas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comparison of selected 5 textbooks.

In order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contents,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reading were integrated into one field in the 2015 revised Chinese character and curriculum. On top of that, core concepts such as Chinese character and culture, personality, and the application of vocabularies of the Chinese character were incorporated into one field.

(12)

Learning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were decreased and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were reinforced through considering learning time and the development in learning, depending on a school year.

5 high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booksⅠwhich were revised in 2015 were compared and analyzed. At first, the textbook was mostly composed of 'introduction,' 'the body,' 'learning and drill,' 'assessment,' 'personality and culture,' and 'assessment. After criteria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objective of the lesson were suggested, 'the main body,' 'vocabulary,' 'reading,' 'Chinese character and language life,' 'Chinese character and personality,' and 'Chinese character and culture' were introduced in order. It implies that changes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Chinese character textbookⅠ.

Next, concerning to what extent contents which were one of the system of the content in the application area of Chinese characters were reflected, it was found that Cmass most reflected the core concept of 'Chinese character and language life.' Jihaksa Publishing, MiraeN, Kumsung Publishing, and Deamyungsa most reflected it in order. In terms of 'Chinese character and personality,' its core concept was most covered in Deamyungsa, Jihaksa Publishing, MiraeN, Kumsung Publishing in sequence. The core concept of 'Chinese character and culture,' was most reflected in Deamyungsa, Cmass, Kumsung Publishing, MiraeN, and Jihaksa Publishing in order.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unlike other content factors such as 'Chinese character and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 and personality,' only less than a half of 'the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language and culture in countries using the Chinese character' which were the content factors of 'Chinese character and culture,

(13)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 When taking the consistent emphasis on culture into account whenever the Chinese character textbook is revised, it suggests that culture should be more reflected in the textbook.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strengthened by proposing a wide range of methods in the high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booksⅠrevised in 2015.

Nevertheless, these suggested methods were not enough reflected in some textbooks. Therefore, improvement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necessary. Plus, the analysis on the decrease in the contents to offer appropriate time to learn the Chinese character showed that there was more decrease in the contents of 5 textbooks revised in 2015 than those in 2009. It turned out that the goal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t is, decrease in the contents to learn was achieved.

Taken together, it was identified that 'Chinese character and language life' among 3 core concepts of 'the application area of Chinese characters was more highlighted. In other words, education as for using Chinese characters such as 'daily terminology,' 'learning terminology,' and 'idiom' which were content factors of Chinese character and language life' was more covered in revised textbook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Chinese character and personality' which was newly add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hinese character and culture' which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9 were rarely reflected in 5 textbooks. It seems that 'personality,' 'traditional culture,' and 'language and culture in Chinese character using countries' are necessary to be more covered in the Chinese character textbook.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ach the criteria depending on content factors, when reversely examining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14)

metho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application areas of Chinese characters, it was found that more improvements were necessary.

Accordingly, it suggests that the textbook should be created by being complemented and improving so as to obviously state the purpose that the revised curriculum has, promot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enhance textbook core competence.

(15)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교육부는 2015년 9월 23일 창조경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융통성(flexibility) 과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추고, 서로 다른 지식과의 통섭(統攝)으로 이를 융합·

활용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고자「2015 개정 교육과정」을 교육 부 고시 제2015-74호로 확정 발표하였다.1)

2015 개정 교육과정 발표 이후, 2017년 4월부터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교육과 정의 개정이 진행되어 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밑바탕은 미래 사회가 요구 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설정’과 학습 경험의 질 개선을 통해 행복한 학습의 구현을 위한 ‘학생 중심 교육’에 있다.2)

총론에서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란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추고 바른 인성을 겸비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람’ 이라고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 밝히고 있다.3)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한문과 개정 방향은 인문학적 상상력과 바른 인 성을 겸비하고 옛것을 익히며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온고지신 (溫故知新)의 교수·학습 실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3월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Ⅰ 교과 수업이 진행되고 있 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발은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학생 들의 학습 흥미도를 제고하고, 창의 융합적 사고와 바른 인성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이란 총론의 요구 사항에

1) 강미향,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및 실재 -고등학교 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쪽 참조.

2) 홍자현, 「중학교 한문 교과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영역 비교 연구-한문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쪽 참조.

3) 교육부, 「보도자료-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교육부, 2015, 3쪽 참조.

(16)

따라 이루어졌다.4)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Ⅰ’ 과목의 주요 목표는 교육부 고시에 따르면, 한 자 어휘를 익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 한문에 대한 기초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에 활용하는 능력,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 직한 인성 함양,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 한자문 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등이다5). 또한 학 년별 학습시간과 학습발달상황을 고려하여 학습내용을 감축하고,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내용을 강화하였다.6) 이를 위하여 교과서 인정기준의 심사 영역 및 항목에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추가 제시하였다.7)

2015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은 개정전에 비해 한문 교과의 학습 필요 성 및 한문 교과의 역할에 대해서 명확히 밝히고자 했다. 특징으로는 한자 어 휘의 ‘학습용어’에 대한 학습 필요성과 ‘한문과 인성’을 새롭게 부각 하였고

‘한문과 문화’ 내용의 함양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교육 과정의 방향으로 인해, 2009 한문 교과에서는 대영역이 ‘독해’, ‘문화’, ‘한문지식’

세 개의 영역이었던 것에 반해 2015 개정 교과에서는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 용’ 두 가지 큰 틀로 통합 조정되었다. 이는 한문의 이해를 통한 한문의 활용이 라는 내용 체계를 정립한 것으로, 2009 교육과정에서 모호하게 설정되었던 한 문지식 영역의 개념을 확실히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문의 이해’

영역은 ‘한자와 어휘’, ‘한문의 독해’로 하위 개념이 나뉘고, ‘한문의 활용’ 영역 은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로 하위 개념이 제시되 었다.8)

기존의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의 활용’ 영역에 대한 포괄적인

4)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고등학교 한문Ⅰ」, 교육부, 2018, 6쪽 참조.

5)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5쪽 참조.

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고등학교 한문Ⅰ」, 교육부, 2018, 6쪽 참조.

7)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5쪽; 윤재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漢文科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한문교육연구』 47, 한 문교육학회, 2016, 12쪽 참조.

8)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6쪽 참조.

(17)

고찰은 없었고, 그 하위 개념인 ‘한자 어휘와 언어 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 에 대해 각각 다룬 선행연구들이 있다. 주로 중학교 한문 교과서를 분석 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세가지 개 념을 포괄한 ‘한문의 활용’ 영역 내용요소를 2009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 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2015 개정 교과서 간 비교를 통해 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목표대로 ‘한문의 활용’ 영역이 잘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선행연구

그동안 한문과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변화된 내용에 대한 선행 연구가 늘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정 2015 한문Ⅰ교육과정의 ‘한문의 활용’ 영역에 대한 앞선 연구를 살펴 보고자 하였으나, 이에 대한 연구 사례가 아직은 없었다. 따라서 ‘한문의 활용’ 영역내 하위 개념인 ‘한자 어휘와 언어생 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 3가지 내용 요소를 각각 다룬 선행연구를 살펴 보았다.9)

먼저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핵심개념에 대한 연구 사례는 다음과 같다.

홍자현(2018)은 2015 개정 한문과 교과서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한자 어휘’와 관련된 작은 단원 활동이 제시된 점을 특징으로 보았다. ‘한자 어휘와 언어생 활’은 다른 과목과 연계시켜 공부할 수 있으며, 실용적인 언어생활을 강조하였 고, 교과서 본문 내용은 줄고 많은 어휘들이 수록된 만큼 한문교과가 앞으로

‘일상용어’와 ‘학습용어’, ‘성어’의 한자 어휘 구성과 난이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10)

김우정(2016)은 한자 어휘교육이 과거와 같이 다루어져서는 안되며, 무엇보다 어휘교육의 질적수준이 향상되어야 함을 지적했다. 교수자가 한문에 대한 폭넓 은 지식을 갖추어 어휘 교육의 수준과 내용을 높여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교

9)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6쪽 참조.

10) 홍자현, 앞의 논문, 46-49쪽 참조.

(18)

과 교육용 한자 어휘 선정에서는 학습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내용을 개념 이해 에 도움이 되는 것 위주로 교육해야 하며 빈도, 조어력, 의미 투명도 등도 고려 해야 함을 주장하였다.11)

이미흔(2013)은 비교반과 연구반 실험을 통해 한자 어휘를 익히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배울 수 있고 현재 언어생활에도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또한 한 문과목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수준에 맞는 동기유발과 다양한 수업기법으로 유발된 동기를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12)

위와 같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에 관한 연구에서, 김우정(2016)과 이미흔 (2013)은 공통적으로 교수자의 역량이 중요하며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한자 어 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했다. 홍자현(2018)의 경우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바뀐점과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과서의 양은 감 소했지만 실용적인 언어생활이 강조되며, 이들의 어휘 구성과 난이도에 연구는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어서, ‘한문과 인성’ 핵심개념에 대한 연구사례를 살펴보았다.

고려진(2012)은 한문교육을 위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해 한문교과서를 인성덕목에 맞게 분석했으며, 그결과 한문교과서는 인성교육적 요소를 70%정 도 포함하고 있으나 교과서 구성만으로는 학생들의 도덕적 실천을 이끌어 낼 수 없다는 한계점을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문교과와 도덕교과를 통 합하여 수업했지만, 활동에 대한 효과성이 크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한 문교과와 도덕교과의 연계학습에 관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며, 교사의 태도 가 변화해야 할 것을 주장했다.13)

11) 김우정,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분석」

『한문교육연구』46,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123-146쪽 참조.

12) 이미흔, 「한자어 교육과 한자 문화 교육의 상보적 교수학습 방법 연구-개정 한문 과 교육과정 중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4-65쪽 참조.

13) 고려진, 「인성교육을 위한 한문-도덕 연계수업 지도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8-80쪽 참조.

(19)

정찬문(2006)은 한문 교과의 습득을 통해 인성교육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인성교육의 목표가 다른 영역에 비해 설명이 상대적으로 추상적이며,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설명 또한 빈약한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 한 실질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여 인성교육의 내면화를 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담겨야 함을 주장하였다.14)

허연구(2013)는 인성교육 자료가 전통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현대에 필요 한 자율, 협동, 생명존중, 평등, 인류애 등 좀 더 확대된 가치가 포함된 제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또한 성어를 활용한 인성교육 수업 방법의 개발과 한문 교육용 인성교재의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타 교과와 연계된 교육 의 실시, 한문과에서만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 학생지도와의 연계, 한문과 인성교육 재제에 대한 정의적 영역 평가 활동의 병행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15)

한문과 인성에 대해 연구한 선행연구에서는 공통적으로 교육방법에서 타 교 과와의 연계 및 실질적으로 내면화 할 수 있는 교육 내용과 교사의 자질이 중 요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찬문(2006)은 인성교육 목표가 추상적이 고 구체적이지 못한 점에 주시하였고, 허연구(2013)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성교육의 현대적 가치에도 초점을 맞출 것을 지적하고 있다. 세 연구자 모두 전반적으로 한문과 인성교육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 좀 더 보강되고 개발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다음으로 ’한문과 문화‘ 핵심개념에 대한 연구사례를 살펴보았다.

장영신(2010)은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한문과 한문지식으로 나뉘어져 문화 내용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어휘 중심이었던 교육이 한문 중심으로 바뀌었으며, 전통문화의 재구성, 재해석, 활용을 통해 전 통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통해 한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14) 정찬문, 「한문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한문교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3-35쪽 참조.

15) 허연구, 「한문교과서의 인성 덕목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고찰」, 『한문고전연구』 26, 한국한문고전학회, 2013, 315-351쪽 참조.

(20)

함을 주장했다.16)

류준경(2015)은 한문과 문화 영역에서 이에 대한 세부적 내용 및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 뚜렷한 합의점이 도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한 막연한 전통문화가 아닌 전통시대 언어 문화에서 한문의 위상과 역할 등이 주요한 교 육내용이어야 하며, 현재의 언어생활이 한글 중심 위주로 인식되는 독선적인 국어문화가 아니라 그동안 한문과 한글을 함께 사용하여 온 숙명적 ‘우리글 문 화’라는 점을 제대로 인식하고 한문도 병행해서 배워야 할 필요성을 주장했다.17)

정효영(2016)은 한문의 활용·한문과 문화 영역은 한문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 여 타 교과와 차별성을 확보해야 하며, 문화 관련 텍스트를 본문으로 제시해야 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평가 방법에서도 한문과 고유의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야 함을 제시했다.18)

이처럼, 한문과 문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 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연구한 장영신(2010)은 문화 부분이 포함되어 다행이라고 밝혔지만, 류준 경(2015)은 문화 영역의 구체적 내용 및 방향성에 대한 합의점이 없는 점을 지 적하여 이에 대한 시각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류준경과 정효영은 문화에서의 한문의 위상과 역할, 차별성을 강조하였다.

위와같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본 ‘한자어휘와 언어생활’ 영역은 교수자의 역량 과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개발을, ‘한문과 인성’ 연구에서는 타 교과와의 연 계 및 교수자의 자질의 중요성, 전반적인 인성 부분에 대한 교과내용에서의 보 강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한문과 문화’에서는 한문과 고유성을 토대로 한 내용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중학교 한문교과를 다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

16) 장영신,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문화 영역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85-88쪽 참조.

17) 류준경, 「한문과 문화 영역의 성격과 교육 방향」, 『한문교육연구』 45,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159-191쪽 참조.

18) 정효영,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과 문화’ 영역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 분석」, 『한 문교육연구』 46,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275-304쪽 참조.

(21)

며, 연구주제는 대부분 비교 분석보다는 영역 내용 분석, 교육 방안, 교수·학습 방법, 내용 연계성 분석 등 이었음을 알 수 있다.

3. 연구방법

앞서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개정 2015 교육과정의 한문Ⅰ고등학교 교과서 를 다룬 연구와 비교 분석은 아주 드물었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로운 영역으로 설정된 ‘한문의 활용’ 영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학습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문의 활용’ 영역 내 용 요소에 ‘학습용어’가 새롭게 신설되었고, 바른 인성을 강조하는 총론의 요구사 항에 따라 ‘한문과 인성’ 내용 요소가 추가되었다. 또한 현장 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변화된 교육과정 내용이 2015 개정 교과서에서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살펴 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특성을 이 해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교육과정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후 개정 고 등학교 한문교과서의 ‘한문의 활용’ 영역의 내용요소, 성취기준과 교수·학습 방 법 및 학습 내용의 감축 적정성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교과서간의 ‘한문의 활용’ 영역 비교 분석을 위해 교 과서의 체제와 구성을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문 교과서 인정도서 목록에서 전국 고등학교 일반 선택과목으로 사용되는 한문Ⅰ교과서 13종 중 표 본으로 5종을 선택하였다. 2009 종전 교육과정에서도 인정되고 학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존 출판사에서 2종, 2015 개정교육과정 부터 새롭게 인정된 출판사에서 3종, 총 5종을 추려 이를 비교하려고 한다.

2009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자,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Ⅰ 교육과정, 성격과 목표 비교, 한문의 활용 영역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을 비교 분석한다. 이어서, 2015 개정 한문 교과서간 체제와 구성, 한문의 활용

(22)

영역 3가지 내용 요소를 각각 비교 하고,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간의 반영 실태를 알아본다.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과 학습내 용 적정성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인성과 문화 소양 함양, 교수·학습 방법 을 강조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에 비추어 이에 대한 반영 실태를 주의깊 게 살펴보고자 한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이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된 내용을 비교·분석하 고, 2015 개정 교과서에서는 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연구하려고 한다. 또 한, 선행연구 사례가 없는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Ⅰ교과서 ‘한문의 활용’ 영 역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므로써, 앞선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꾀하고자 했다.

Ⅱ. 2015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비교 분석

1.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Ⅰ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급속도로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 가도록 하기 위해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에 무엇보다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곧 앞으로 다가오는 사회가 요구 하는 ‘창의 융 합형 인재양성’과 받는 학습의 질을 높이기 위한 ‘행복한 학습의 실현’으로 개 정 2015 교육과정의 미래상(未來像)을 요약할 수 있다.19)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새로이 제시된 인재상에 적합한 교육과정 체제를 구축하였다. 동시에 행복한 학습을 구현하기 위하여 학습 경 험의 질을 개선함과 학교 현장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4가지 유형으로 자주적이며 창의적인 사람, 교양있고 더불어 사는 사람으로 구분하였다. 자주적 인 사람은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진로와 삶

19) 강미향, 앞의 논문, 11쪽 참조.

20) 강미향, 앞의 논문, 12쪽 참조.

(23)

가.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 추어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기관리 역량23)

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 할 수 있는 지식정보처리 역량 24)

다.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25)

라.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 하고 향유하는 심미적 감성 역량26)

마.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의사소통 역량27)

바. 지역․국가․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 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 역량28)

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이다. 창의적인 사람은 기초능력의 바탕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이다. 교양있는 사람은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 전시키는 교양 있는 사람이다. 더불어 사는 사람은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 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21) 이와 함께 교육 핵심역량으로 6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 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 량이다. 이러한 핵심역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22)

<표 1> 핵심역량

2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자료」, 교육부, 2016, 2쪽 참조.

22) 장호성,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주안점과 특징」, 『한문교육연구』 46, 한국한문교육학 회, 2016, 5쪽 참조.

23) 경기도 교육청,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경기도 교육청, 2016, 2쪽 참조.

24) 경기도 교육청, 앞의 자료, 2쪽 참조.

25) 경기도 교육청, 앞의 자료, 2쪽 참조.

26) 경기도 교육청, 앞의 자료, 2쪽 참조.

27) 경기도 교육청, 앞의 자료, 2쪽 참조.

28) 경기도 교육청, 앞의 자료, 2쪽 참조.

(24)

종합하면, 2015 교육과정에서는 여섯 가지의 핵심역량을 제시함으로써 학교 교육 전반에서 이러한 핵심역량이 키워질 수 있도록 전체 교육과정을 수정하여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소통하고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 는 학생이 되도록 자질을 함양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주안점을 둔 네 가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성숙한 자아의식과 바른 품성을 갖추어 진로에 맞는 지식과 기능을 익혀 평생학습의 기본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다음으로 다 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융합하여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고,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또한 인문, 사회, 과학기술 의 소양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능력을 기르며, 배려와 나눔을 실 천하며,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며, 소통하는 능력을 가진 민주시민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문과 교육과정의 경우, 개정 작업을 할 때 나라 수준에서 요구된 교육과정 교과 개정의 나아갈 목표 및 역점은 크게 학습경험의 질 제고, 융합인재 육성, 교과간 유기적 연계, 현장교원의 참여높이기 등으로 볼 수 있다. 한문과 교육과 정 개정에서 주요한 내용은 한문 교육을 어떻게 시킬것인가와 교육과정의 전체 에 대한 연구,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관련 연구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2009 한문과 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 방향과 목표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 수용 능 력과 발전 가능성을 고려하여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실제 적용 시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29) 이는 내용 체계가 한자, 어휘 와 문장을 익히는 한문지식 영역과 읽기, 이해를 익히는 한문독해 교육 영역을 중점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전통문화와 한자문화권 내용을 담은 문화 영역은 첨가된 형태로 구성되어 다양성보다는 지식위주 교육으로 편향되어 불균형한 점이 나타났다.30) 또한 독해, 문화, 한문 지식 영역 중 한문 지식의 개념이 명 확하지 않고,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과의 학습내용을 각 학년과 중·고

29) 장호성, 앞의 논문, 6~7쪽 참조.

30) 장호성, 앞의 논문, 7쪽 참조.

(25)

학교별로 학습 배정 시간과 학습발달상황을 감안하여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31)

이와같이 노정(露呈)된 2009 한문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교 육부에서는 2015 한문과 교육과정을 아래와 같은 방향으로 개정하였다.

첫째, 내용 체계의 일관성 유지 및 대영역 설정의 타당성 제고를 위해 지식 과 기능을 합쳐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문화를 비롯한 인성 및 한 자 어휘 활용과 같은 내용 요소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한다.32)

둘째, 학년별·학교급별 학습 시간과 학습발달 상황을 고려하여 중학교 학습 내용을 감축한다.33)

셋째, 학교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내용 을 강화한다.34)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교과 ‘성격’의 명시와 함께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한자어를 교육을 강조하고 핵심역량을 제시하였 으며 내용체계를 재구조화 하고 교수 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2.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한문은 동북아와 동남아등 한자문화권에서 두루 쓰이는 국제 표기수단의 하 나로써, 우리 조상들이 면면(綿綿)히 한자를 사용하여 왔다. 이는 조상들의 의 식과 사상을 기록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소통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 러한 조상들의 발자취를 알기 위해서는 한문으로 된 고전들을 이해하는 기본적 인 능력을 갖춰야 한다. 더군다나, 고등학교 교과에 나오는 학습 용어가 대부분 한자 어휘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기본적인 한자와 한문을 익히도록 하여 타 교과 학습 용어를 쉽게 이해하여 학습 능력의 향상을 도모해야 된다. 또한, 교 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계승하며,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

31) 강미향, 앞의 논문, 18쪽 참조.

32) 장호성, 앞의 논문, 7쪽; 강미향, 앞의 논문, 18쪽 참조.

33) 장호성, 앞의 논문, 7쪽; 강미향, 앞의 논문, 18쪽 참조.

34) 장호성, 앞의 논문, 7쪽; 홍자현, 앞은 논문, 2쪽 참조.

(26)

호이해와 교류 증진을 위하여 한문 학습의 중요성은 그 어느때보다 강조되고 있다.35)

이러한 한문 학습의 필요성에 의해, 한문과는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 하고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하며, 조상들의 삶과 지혜, 사상을 이해하고 발전시켜 인성을 도야하고 자신의 삶에서 주체적으로 자아를 실현하 여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개정 2015 한문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2007 교육과정과 비슷하게 총괄목표, 학교급별 목표, 세부 목표로 구성되는 형식으로 제시되었으며, 총론에서의 내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는 교과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학생이 달성해야 할 학습 의 도달점을 나타내도록 진술한다.36)

둘째, 목표는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별 교육목표’와의 연계성을 고려하 여 진술하도록 한다.37)

셋째, 목표는 총괄목표, 학교급별 목표, 세부목표로 구성하되, 각 항을 구획하 는 제목을 삽입하지는 않는다.38)

넷째, 두 학교급 이상에 해당하는 교과 진술시, 교과의 총괄목표를 먼저 제시 한 후, 학교급별 목표를 별도로 제시한다. 한 학교급에 해당하는 교과의 경우 학교급별 목표를 제시한다.39)

다섯째, 목표 구분은 학교급에 따라 진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교과의 특 성에 따라 학년(군)별 목표를 제시할 수도 있다.40)

여섯째, 각 교과는 필요한 경우 및 가능한 경우 핵심역량을 반영한 목표를 진술할 수 있다.41)

일곱째, 세부목표의 진술은 학습자 행위를 드러낼 수 있는 행동 동사(수행)를 사용하여 진술한다.42)

여덟째, 세부목표 하위 항목의 수는 3~4개 정도로 하되, 교과의 특성에 따라 유연하 게 제시할 수 있다.43)

이처럼 8가지 개정 교육과정 목표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전 교육과정에서 요 구하는 인간상과 각급 학교별 목표가 이어지고, 핵심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하

35)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3~24쪽 참조.

36) 장호성, 앞의 논문, 14쪽 참조 37) 장호성, 앞의 논문, 14쪽 참조 38) 장호성, 앞의 논문, 14쪽 참조 39) 장호성, 앞의 논문, 14쪽 참조 40) 장호성, 앞의 논문, 14쪽 참조 41) 장호성, 앞의 논문, 14쪽 참조 42) 장호성, 앞의 논문, 14쪽 참조 43) 장호성, 앞의 논문, 14쪽 참조

(27)

여 교육 목표와 각 교과의 목표가 부합되어 학습 능력과 인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고등학교 한문Ⅰ의 목표는 한문을 활용하는 기본적인 능력 을 향상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44) 2009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개정 2015 고 등학교 한문Ⅰ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표 2>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Ⅰ교과목표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가.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른

나.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 다.

다.. 다양 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 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른다.

라.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 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 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마.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닌다.45)

가.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른

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로 이루어진 한자 어휘를 익혀 언어 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다.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라.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 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 을 기른다.

마.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 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 는 태도를 지닌다.

바.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 태도를 지닌다.46)

44)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4쪽 참조.

45)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19쪽 참조.

46)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5쪽 참조.

(28)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요소 기능

한문의 활용

한자 어 휘와 언 어생활

한자 어휘에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하는 말도 있고, 다른 교과에서 학습 용어로 사용하는 말도 있다.

일상용어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표현하기 탐구하기 조사하기 분석하기 학습용어

성어

한문Ⅰ에서 2009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차이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가 기존 900 자에서 1,800자로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교육 용 기초한자수의 증가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리나라 어휘의 70% 이 상이 한자로 되었으며, 고교생은 사회에 나가기 전 정규교육과정에서 이를 학 습할 수 있는 마지막 교육과정이므로 이를 습득하고 활용하는 능력의 배양은 곧 언어의 경쟁력 뿐만 아니라 한자문화권의 이해와 어휘력의 향상, 선조들의 고유한 문화와 그 정신을 계승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2009 교육과정과 달리 성격을 분리하여 서술하였고, 고등학교 한문Ⅰ에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별도의 세부목표 로 추가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이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목표’

의 주된 특징이라 볼 수 있다.47)

3. ‘한문의 활용’ 영역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1) 내용 체계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2009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는 다르게 교과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내용체계를 영역,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요소, 기능으로 하였다. 한문과 내용체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3>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48)

47) 장호성, 앞의 논문, 15쪽 참조.

48)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5-26쪽 참조.

(29)

활용하기

한 문 과 인성

한문기록에는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이 담겨 있다.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

읽기 풀이하기 이해와 하기 조사하기 토 의 · 토 론 하기 적용하기

한 문 과 문화

우리의 전통문화는 한자를 주된 기 록 수단으로 하여 보존, 전승되고 있 다.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조사하기 토의토론하

적용하기 한자문화권에 속한 여러 나라들의

언어와 문화에는 공통적 요소가 있 다.

한자문화권의 언어 와 문화

영 역

문화 한자문화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언어 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활용하기

<표 4> 2009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49)

한문지식 어휘

단어의 짜임 단어의 갈래 성어의 의미

4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 쪽 참조.

(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보고에 의하면, 먼 저 내용 체계표에서 ‘영역’은 교과의 성격을 명확히 나타내면서도 교과 학습 내 용을 통합화 범주화 하는 최상위의 목표 체계이다. ‘핵심개념’은 영역보다는 낮 은 바로 아래 단계의 개념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교과 내용들 간의 관 계를 구조화하여 개별 내용들을 묶어서 나타내주는 개념을 의미한다. 내용중

‘일반화된 지식’은 학생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학습 내용을 요약한 것으로서 중·고등학교간 공통적인 핵심 개념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곧, 학생들 이 교과 학습에서 영역별로 해당 학년이나 학년 전체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 용을 일반화된 형태로 제시한 것이 ‘일반화된 지식’이다. ‘기능’은 수행과 탐구 과정, 전략, 사고 과정, 태도, 핵심역량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개념으로서 학 생들이 지식을 갖추고 학습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다. 또한 개정 2015 한문 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앞선 교육과정과 많이 다른 점을 확인할 있다. 앞 선 2009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는 없었던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기능이 새로이 들어갔으며, 영역도 종전 독해, 문화, 한문 지식에서 한문의 이 해, 한문의 활용으로 크게 두가지로 바뀌었다. 변화된 영역을 핵심 개념 중심으 로 알아보면 한문의 이해 영역은 한문의 기능적 요소를 ‘한자와 어휘’와 ‘한문 의 독해’ 내용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었으며, 한문의 활용 영역에는 총론에서 요 구하는 지식과 바른 인성을 겸비한 인재상 실현을 반영코자, 한자 어휘와 언어 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라는 3가지 핵심개념으로 구성하였다. 기능의 경우는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표현하기, 탐구하기, 조사하기, 분석하기, 활 용하기 등을 기본으로, 각 핵심 개념별 특징적인 내용을 감안하여 ‘표현하기’,

‘분석하기’, ‘토의․토론하기’ 등의 기능요소가 가감되었다.50)

‘핵심 개념’, ‘내용(일반화된 지식)’, ‘기능’ 이 추가된 내용체계는 학생들이 전체 학습에서 기본이 되는 개념을 더욱 쉽게 이해하고, 이를 심화하여 학습의

5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5-25-15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한문과 교육과정」, 2015, 39-42쪽 참조.

(31)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체계로 이어지게 되었다. 영역에서는 ‘독해’, ‘문화’,

‘한문 지식’에서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으로 변화하여, 기존의 체계가 국어 과 혹은 사회과와 겹치는 느낌이 들고 다소 딱딱한 느낌이었다면, 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한문 자체에 대한 이해와 습득에 중심을 두고 이를 실생활에서 활용 하게 하는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쪽으로 개정되었다.

구체적으로 한문의 활용 영역의 하위 개념을 살펴보면, 핵심개념에 ‘한자 어 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로 구성되어져 있다.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내용요소는 일상용어, 학습용어, 성어로 구성되는 변화가 있었다. 이는 2009 교육과정 개정에 없던 학습용어 내용이 추가된 것으 로, 교육과정 전체에서 새로이 요구하는 타 교과와의 융합·연계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문과 인성’의 내용은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으로 구성되었다. 한문과 인성 의 내용 요소는 2015 교육과정에서 새로 도입된 내용으로서, 수업은 학생 참여 를 최대한 유도하여 학습 흥미를 높이는 한편, 창의융합형 창조력을 갖추고 바 른 인성을 겸비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란 총론의 요구에 맞춰 도입된 내용이라 볼 수 있다.

‘한문과 문화’의 내용요소에서는 특히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한자문화권이 언어와 문화가 변화되었다. 2009 교육과정에서 2015 교육과정 개정의 변화양태 를 살펴보면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은 문화-한자문화-전통문화의 이해와 계 승이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한자문화권의 언어와 문화 의 경우 문화-한자문화-한자문화권의 상호이해와 교류로 바뀌었다.

2) 성취기준 비교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학교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학습 내 용들을 전부 반영하고자 했다. 곧, 2009 교육과정 시 중학교의 내용이 상위 고

(32)

영역 성 취 기 준52)

문화

한자 문화

선인들의 지혜를 내면화하고, 전통문화의 가치를 파악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 를 지닐 수 있다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언어생활과 한 자문화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 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한문

지식 어휘 성어의 유래를 알 수 있다

<표 5> 한문Ⅰ의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등학교급에 포함된다는 전제하에 중학교의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을 고등학교 에서 제시하지 않았었는데, 개정 2015 교육과정에서는 비록 중학교의 내용과 중복된다고 하더라도 상위 고등학교에서 실질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그 내용을 고등학교에서도 제시하기로 한 것이다. 한자의 부수와 자전 찾기에 관 한 성취기준이 종전 2009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한문에만 국한되었다면, 개정 2015 교육 과정에서는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한문Ⅰ에서 모두 제시하였다.

또한, 개정 2015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현실적으로 학교에서 가르치기 힘든 성취기준을 제외하거나 통합하여 적정한 학습량을 부여하고자 하였다.51)

다음 <표 5, 6>은 한문Ⅰ의 2009와 개정 2015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나타 낸 것이다.

51) 장호성, 앞의 논문, 26쪽 참조

52)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32쪽 참조.

(33)

영역 핵심개념 성 취 기 준53)

한문의 활용

한자어휘와 언 어생활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한자로 이루어진 다른 교과 학습 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한문과 인성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 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 을 함양한다.

한문과 문화

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미래 지향적 인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형성한다.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통해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려는 태도를 형성한다.

<표 6> 한문Ⅰ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구 분

영역별 성취기준 수

영역 내용 / 핵심개념 성취기준수

2009 개정 문 화 한자 문화 2

위와 같이 종전 2009년 교육과정에서는 한문 문체의 특징과 서술방법에 대하 여 성취기준을 자세하게 제시했다면, 개정 2015 교육과정에서는 문체에 대한 내용은 빼고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기존의 구체적인 교육방식은 개별 목표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지만, 교과 및 전체 교육과정에서 유기적이고 융합적인 사고 를 하는 창의적인 인재상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통합적 인 목표 제시는 사고의 영역을 확장하고 거시적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 게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한문의 활용 영역별 성취기준을 비교한 표는 다음과 같다.

<표 7> 영역별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

53)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25~40쪽 참조

(34)

<2009 개정>

• 문화 영역의 ‘한자 문화’는 토론 학습법, 비교 학습법, 웹기반 중심 학습법, 문제 중심 학습법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및 한자 문화권의 상호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 한다.

• 문화 영역의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는 조어(造語) 분석법, 비교 학습법 등 다양 한 수업방법을 적용하여 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를 잘 이해하도록 하며, 언어 활용법, 색출(索出)법 등의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언어생활에서 그 뜻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문 지식 영역의 ‘어휘’는 조어 분석법 등의 수업 방법을 통하여 단어의 짜임 을 지도하며, 언어 활용법, 색출법, 비교 학습법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 여 단어의 갈래, 성어의 의미 등을 지도한다.

해지도법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지도한다.54)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1

한문지식 어휘(성어) 1

2015 개정 한문의 활용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3

한문과 인성 1

한문과 문화 2

3) 교수학습 및 평가

2009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54)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14쪽 참조.

(35)

<2015 개정>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일상용어’, ‘학습용어’를 학습할 때에는 나만의 학습노트 만들기, 짧은 글 짓기, 의 미망 만들기, 신문이나 방송 영상 활용하기 등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성어’를 학습할 때에는 나만의 학습 노트 만들기, 짧은 글 짓기, 의미망 만들기, 신문이나 방송 영상 활용하기, 성어의 유래 조사하여 발표하기 등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한문과 인성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을 학습할 때에는 명언 명구 속에서 핵심 사상 찾기, 영상 매체를 활용한 토의 토론하기, 명언 명구 암송하기, 자경문 만들기, 성찰 일지 쓰 기 등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한문과 문화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을 통한 전통문화 이해하 기, 전통문화 그림으로 표현하기, 문화유산 답사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을 활용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을 통한 한자문화권 이해하기, 한자문화권 언어․문화 사전 만들기,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 사례 찾 아보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5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은 2009 교육과정에 비하여 좀더 구체적 이고, 학교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활동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각 영역 속의 하위 ‘핵심 개념’ 별로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과 ‘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유의사항’을 제시하므로써 교수·학습과 평가를 실질적 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체화 하였다. 이는 이전 교육과정과는 차별 화되고 보다 개선된 점이라고 볼 수 있다. 교수․학습마다 ‘∼할 수 있도록 한

55)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35-39쪽 참조.

참조

관련 문서

Metz, “Unsupervised representation learning with deep convolu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CLR(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마지막으로 대중교통 차내 감염 예방을 위하여 대중교통 이용 원칙을 시행하였다.. 첫째, 강력한 대중교통 혼잡률

이후 개시하는 과세연도에 상시근로자 수가 증가하는 경우부터 적용... 이후 개시하는

이와 반대 로 SBS는 작년 하반기에는 ‘배가본드’를, 올해 상반기에는 ‘더킹:영원의 군주’(예정) 등 텐트 폴 작품을 소싱하면서 차별화된 컨텐츠 경쟁력을 위해 투자하고

이후

또한 1990년대 이후 음식 문화의 퓨전화가 유행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한국 상차 림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 상차림의 정체성을 지키는 일은 중요한 과

최첨단 건축, 예술적 작품으로서의 건축, 초고층 건 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건축물은 모두 동일하게 해결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것은 바로 자연의 힘

인천관광공사는 마이스(MICE) 산업, 의료관광 활성화, 고부가가치 관광객 유치 등 인천 관광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한다..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