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Ⅰ ‘한문의 활용’ 영역은 한문 교과를 왜 배워야 하며 한문 교과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명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한자·한문의 단순한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원만한 언어생활과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는데 있다.

한문Ⅰ ‘한문의 활용’ 영역은 크게 3가지 핵심개념으로 구성되는데, 첫째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둘째 ‘한문과 인성’, 셋째는 ‘한문과 문화’이다.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핵심개념은 2009 교육 과정의 ‘문화’ 영역 내용중에서 ‘일상 용어’를, ‘한문지식’ 영역중 ‘성어’ 내용 요소를 끌어오고, 교과 역량을 높이기 위해 ‘학습용어’를 새로이 추가로 채용하였다. 또한 ‘한문과 인성’ 핵심개념 은 바른 인성 함양이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요구 사항에 따라 신설 되었다. 이어 ‘한문과 문화’ 핵심개념은 2009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 내용중

‘한자 문화’ 를 이동하여 2015 개정 한문Ⅰ ‘한문의 활용’ 영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한문1 교과서의 ‘한문의 활용’ 영역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교육과정을 상호 살펴보았다. 또한 실제 사용되는 교과서 5종을 표본으로 선택하여 이들 교과서간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한문Ⅰ 교육과정 목표 중 ‘한문의 활용’ 영역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보면, ‘한자어휘와 언어생활’은 씨마스 교과서가 가장 많이 반영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지학사, 미래엔, 금성 순이고 대명사 교과서가 가장 적게 반영하였다. ‘한문과 인성’ 핵심개념에 대해서는 대명사가 가장 많이 반영 하였고 그다음으로 지학사, 미래엔, 금성과 씨마스 교과서 순으로 나타났다. ‘한 문과 문화’는 대명사 교과서가 가장 많이 반영하였으며 다음으로 씨마스, 금 성사 교과서 순 이었고 미래엔과 지학사 교과서가 가장 적게 반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한문의 활용’ 영역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의 반영실태를 보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핵심개념은 지학사, 미래엔과 씨마스 교과서 순으로 가장 많 이 반영하였으며, 금성, 대명사 교과서는 전혀 다루지 않았다. ‘한문과 인성’은 5종 교과서가 모두 반영하고 있었으며, 금성과 대명사, 지학사 교과서가 가장 많이 다루었다. 이어서 개정 교육과정시 마다 계속 강조되고 있는 ‘한문과 문 화’ 핵심개념은 교수·학습 방법 내용도 함께 살펴보면 ‘토의·토론을 통한 전통 문화 이해하기’는 지학사 교과서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가 반영한 것으로 나타 났다. 대명사 교과서의 경우는 5가지의 교수·학습방법중 단 1가지만 반영하여 가장 적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유산 답사하기와 한자문화권 언 어·문화사전 만들기의 경우에는 5종 교과서중 금성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반영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있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2015 개 정 교육과정에서 특히 강화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5종 교과서의 반영실태는 많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한문의 활용’ 영역은 3가지 핵심개념 중 ‘한자와 언어생활’ 내용요소는 135회, ‘한문과 인성’ 내용 요소는 78회, 한문 과 문화는 60회 반영으로 ‘한자 어휘와 언어 생활‘ 내용요소인 일상용어, 학습 용어, 성어등 한자어 활용 교육을 보다 강조하는 특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바른 인성 함양을 위하여 새롭게 추가된 ’한문과 인 성‘ 핵심 개념과 2009 교육과정에 이어 계속 강조되고 있는 ’한문과 문화‘ 핵심 개념에 대한 5종 교과서에서의 반영 비중이 다른 내용요소와 비교해서 아주 낮 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인성, 전통문화, 한자문화권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내용은 더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습량의 적정화를 위한 학습내용 감축 실태를 분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분량이 감소하여 학습 내 용의 감축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교육과정의 목표를 5종 교과서가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목표가 잘 드러나고, 학생 들의 흥미와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으며, 교과 핵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 지적했던 내용들을 앞으로 보완하여 고등학교 한문Ⅰ교과 서 편찬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교과서와 교사 역량 위주의 수 업 방법외에 새로운 학습기법 및 자료등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학생들 의 학습 욕구를 촉진시키고 효과적인 한문 수업이 구현 될 수 있도록 지속적 인 노력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강미향,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및 실재-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고려진, 「인성교육을 위한 한문-도덕 연계수업 지도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김영춘외 7인,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제2외국어 한 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

김우정,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분석」, 『한문교육연구』46,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류준경, 「한문과 문화 영역의 성격과 교육 방향」, 『한문교육연구』45, 한국 한문교육학회, 2015

윤재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漢文科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한문교육연구』47, 한문교육학회, 2016

이미흔, 「한자어 교육과 한자 문화 교육의 상보적 교수학습 방법 연구-개정 한문 과 교육과정 중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고려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장영신,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문화 영역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장호성,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주안점과 특징」, 『한문교육연구』46,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정찬문, 「한문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한문교과를 중심으 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