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학술지 논문 검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학술지 논문 검색"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제목: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2. 전체저자:

1) 김부숙 (전주기전대학 강사),

Kim Bu SooK, Instructor, Jeonju Kijeon college 2) 김수진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Kim Soo Jin,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Chonnam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3. 교신저자:

김수진,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전남대학교간호과학연구소 광주광역시동구 학동 5번지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501-746)

전화: 062-220-4351, 팩스: 062-227-4009 pinehill@chonnam.ac.kr

Kim, Soo Jin,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Chonnam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5 Hak 1-Dong, Dong-gu, Gwangju, Korea. 501-746.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Tel: 062) 220-4351, Fax: 062) 220-4544, E-mail:

pinehill@chonnam.ac.kr.)

(2)

The Effects of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Kim Bu Sook

1)

, Kim Soo Jin

2)

1) Instructor, Jeonju Kijeon college

2)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Chonnam Rese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velop school based mental health program.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The subjects were 129,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Kolmogorov-Smirnov test,

-test, ANCOVA, paired t-test, and t-test.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n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s. Conclusion: We find that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subjects.

Key words: Adolescent, Social behavior, Communication program, Problem solving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im, Soo, Jin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5 Hakdong Dongku, Gwangju 501-746, Korea

Tel: +82-62-220-4351 Fax: +82-62-227-4009) E-mail: pinehill@chonnam.ac.kr

(3)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청소년기는 개인의 성장발달과 인격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미래 사회의 주인공으 로서 앞으로 사회와 국가를 이끌어가야 하기 때문에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Kim, 2001). 또한 청소년기는 인간관계를 확대하고 심화하며 부모의 보호로부터 독 립하려는 강한 욕구와 함께 사회적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행동양식과 습관을 형성해가는 중요한 시기이다(Lim, 2004). 이와 같은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청소년의 다양한 문제를 해 결하고 전인적 발달을 위한 교육적 활동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학습능력 위주의 교육환 경은 전인교육을 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지식전달이나 교과 중심, 지식 편중의 교육을 강조함으로 써, 인간관계와 인간이해, 감정표현과 정서 등을 소홀히 다루고 있어 청소년들의 억압된 감정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Kim, 2005).

청소년들은 또래집단과의 관계를 통해서 사회화가 이루어지며, 건전하게 이루어진 사회화를 통 하여 건강한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다양한 사회기술을 습득해간다(Kwak, 2001). 사회기술은 다양 하고 변화하는 물리적, 심리적 사회 환경에서 건강하게 적응하면서 능동적인 태도와 효율적인 의 사소통을 바탕으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이며(Choi, 2005), 사회적 상호작용을 시도하고 유지하고 갈등이나 대립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이고 특정한 행동들 이다(Han, Ahn & Lee, 2001). Birrell과 Henderson(1986)은 청소년이 사회기술이 부족한 이유는 불안, 우울, 혼란 등의 정신적 요인들이 사회기술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사회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하였으며(Lee, 2000 인용), Kupermincr과 Allen(2001)은 청소년의 사 회기술결핍은 사회 부적응과 연관되고 비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사회기술훈련은 한 개인이 사회적으로 수용되며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대인관계를 발전시키고, 상황에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 을 보이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주는 훈련이다(Lee, 2003). 사회기술훈련을 통하여 긍정적이고 합 리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학교에서 친구들과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관계를 맺게 되며 자신감을 가지고 친구들을 대할 수 있게 된다(Kim & Kim, 2003).

외국에서 청소년의 사회기술훈련을 적용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Webb, Miller, Pierce, Strawser 와 Jones(2004)의 연구에서 자폐증이 있는 청소년들은 사회기술 성과가 유의하게 나아졌고, Kavale 와 Mostert(2004)의 연구에서 특수 학습 불능 학생들은 사회 기능성이 높아졌다고 하였다.

또한 Smith와 Gilles(2003)는 사회적 능력개발에 실패한 학생들에게 친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

키기 위해서 사회기술훈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4)

한편 국내에서는 1980년대부터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Hong과 Kim(1997)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가족관계에서 사회성이 향 상되었다는 연구를 처음으로 발표하였다. 그 후 사회기술훈련은 다양한 대상자들에게 적용되었는 데, Kim(2007)의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이 협동과 자기 통제력이 증가하고 문제행동과 주의집중이 감소하였으며, Seo(2006)의 연구에서는 만성정신분열병환자의 대화기술과 주장행동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회기술훈련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집단을 대상 으로 재활이나 치료, 심리사회적 적응향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나, 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게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을 학교현장에서 정규교과시간에 실시 하여 중학생들의 사회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학교정신보건프로그램의 계획 및 실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2)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연구가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제1가설: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기술 점수가 높을 것이다.

제2가설: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용어 정의

(1)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사회기술훈련은 한 개인이 사회적으로 수용되며 가치 있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다 른 사람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개인의 대인관계를 발전시키고 사회적인 상황에서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을 형성하여 당면한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주는 훈련이다(Lee, 2003).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훈련프로그램(Chung, 2002)과 학급활동으로 이어가는 집단상담(Bae,

2004) 및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Sul, 2006)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구성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5)

(2) 의사소통기술

의사소통기술은 개인과 개인 또는 개인과 집단 간의 언어적, 비언어적 수단을 사용하여 정보나 메시지를 교환하고 이해하여 상호작용하는 능력이다(Cho, Yoon, Kim, Park & Lee , 2003).

본 연구에서는 Olson과 Bames(1982)가 제작하고 한종혜(1998)가 수정, 보완한 의사소통기술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3) 문제해결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주어진 상황을 탐색하고 이해한 후 체계적 단계에 따라 문제를 처리할 수 있 는 능력으로 여기에는 많은 수의 대안들을 파생할 수 있는 능력과 이들 대안들이 가져올 결과를 예측하여 긍정적 결과를 최대화하고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는 해결책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Heppner, 1982).

본 연구에서는 Heppner와 Peterson(1982)이 개발한 문제해결도구를 임현우, 이동귀, 박현주 (2002)가 번안한 한국판 문제해결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연구의 제한점

(1) 본 연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교육 및 거주환경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프로그램의 효과 등 연구결과를 확대해석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2) 4개의 모둠이 한 교실 안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모둠별로 자리는 떨어져 앉았지만 독립된 공 간이 없어서 모둠끼리 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연구방법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N정신보건센터 정신건강시범학교인 D중학교 2학년 전체 학생

59명을 실험군으로, K중학교 2학년 2개 반 학생 70명을 대조군으로 구성하였다.

(6)

연구도구

․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은 대인관계훈련프로그램(Chung, 2002)과 학급활동으로 이어가는 집단상 담(Bae, 2004) 및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Sul, 2006)을 참고하여, 도입단계, 의사소통기술단계, 문제 해결단계, 마무리단게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주 1회 총 8주 실시하였으며 1회기 당 소요 시간은 45분이었다. 프로그램 진 행방법은 한 반의 30명을 4모둠으로 나누어 7-8명을 1모둠으로 하였고 모둠장들은 모둠원(대상자) 들이 집중하여 프로그램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의사소통기술

의사소통기술 측정도구는 Olson과 Bames(1982)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측정도구를 기초로 하여 한종혜(1998)가 수정 보완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개방적 의사소통 10문항, 역기능적인 의사 소통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기술이 높음을 의미한 다. 도구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75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사전검사에서 .87이 었고 사후검사에서 .75이었다.

․ 문제해결능력

본 연구에서는 Heppner와 Peterson(1982)이 개발한 문제해결도구를 임현우, 이동귀와 박현주 (2002)가 번안한 한국판 문제해결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문제해결도구는 총 35문항으로 구 성된 6점 척도의 도구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실생활에서 문제해결 행동과 태도가 성공적임을 의미 한다. 도구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8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사전검사에서 .78 이었고 사후검사에서 .81이었다.

자료 수집 방법

연구기간은 2007년 5월 4일부터 7월 13일까지이었으며, G광역시에 소재한 N정신보건센터 정신 건강 시범학교인 D중학교의 2학년 전체 학생 59명을 실험군으로, K중학교 2학년 학생 70명을 대 조군으로 하여 총 12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검사지 중 사전검사나 사후검사를 한쪽만 참여한 검사지와 부실한 답변을 한 검사지를 제외시켜, 실험군은 59부중 48부, 대조군은 70부중 63부로 총 111부를 사용하였다.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전, 학생들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일반적

(7)

특성, 의사소통기술 및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였다.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은 창의력재량 활동시간 을 이용하여 주 1회 총 8주 실시하였으며 1회기 당 소요 시간은 45분이었다. 프로그램 진행은 7-8 명을 한 모둠으로 하여 4개의 모둠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자가 주진행자로, 정신보건센터요원 1 명이 부진행자로, 청소년 상담교육을 수료한 자원봉사자 4명이 모둠장으로 모둠을 이끌었다. 사회 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의사소통기술과 문 제해결능력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2.0 for Windows Program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Kolmogorov-Smirnov test를 통해 정규검정을 한 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실험군과 대조군의 의사소통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test, t-test로 분석 하였다.

․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가설검증은 ANCOVA, paired t-test, t-test를 사용하여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 일반적 특성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성별, 부모의 직장생활, 경제력, 부모와의 대화정도, 양육태도, 가정 분위기, 학교생활, 교우관계에 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성적(

= 11.055, p = .011), 학교선생님과 의 관계(

= 13.964, p = .003), 취미 및 여가생활(

= 15.232, p = .00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전, 의사소통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의사소통기술 점수(t = -14.706, p = .001)와 문제해결능력 점수(t = -2.535, p = .013)는 실험군과

(8)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두 집단이 동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가설 검증

․ 제1가설

실험군의 사전, 사후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t = -10.749, p = .001)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t = -.786, p = .435),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의사소통기술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able 3>.

그러나 의사소통기술의 사전측정값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사전 값의 효과를 통제한 결과, 실 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F = 1.806, p = .182), 제1가설인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기술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Table 4>.

․ 제2가설

실험군의 사전, 사후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t = -2.705, p = .011) 대조군의 사 전, 사후 검사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t = 0.301, p = 0.765),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able 3>.

그러나 문제해결능력의 사전측정값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사전 값의 효과를 통제한 결과, 실 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F = 1.717, p = .194), 제 2가설인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Table 4>.

논의

일반적 특성 중 사회기술에 영향을 주는 학교성적, 학교선생님과의 관계, 취미 및 여가생활에 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두 집단이 동질하게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군 학교는 G시 외곽의 도농혼합지역에 있는 소규모의 학교로 주변 환경이 열악하였고 학생들의 가정형편은 대체로 어려웠으나, 대조군학교는 G시 외곽에 있지만 학교규모도 컸으며 개발중심의 상업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실험군 학교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학교성적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신의 성적이 ‘중상’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이는 실험군의

학교가 2개 반이고 대조군의 학교는 9개 반으로 대조군의 학교가 실험군의 학교보다 규모가 크기

(9)

때문에 학교성적에 있어서 대조군의 학생들이 실험군의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높아 자 신을 더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선생님과의 관계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친밀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m (2003)의 연구에서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이 상대적으로 도시지역의 청소년들보다 심리적 으로 위축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실험군이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자신감이 적고 수줍음이 많아 친밀감을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험군 학교에서 느낄 수 있는 생동감이 적고 조용한 분위기는 취약한 환경으로 인하여 지적 호기심은 물론 사물에 대 한 지적 관심조차도 없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한 Kim(2003)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취미 및 여가생활에서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더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군과 대조군의 취미나 여가생활에 대한 질적인 내용면에서나 욕구의 정도는 비교되지 못하였다. Kim(2003)은 거 의 모든 문화 및 공공시설 투자가 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대부분의 농촌지역 청소년들 은 학교생활 이외의 대부분을 컴퓨터와 TV 앞에서 보낸다고 하였다. 따라서 농촌지역 청소년들이 누릴 수 있는 문화공간이 필요하며, 컴퓨터 게임이나 인터넷 외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오락이 나 모여서 즐길 수 있는 공공장소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두 집단 모두가 대체적으로 부모와 많은 대화를 하고 있었으며 특히 어머니와 대화를 많이 하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ong, Lee와 Lee(2005)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부모의 양육에서 두 집 단 모두 ‘허용’이 많았는데, Kim(1998)이 농촌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행동을 조사한 연구에서 온정, 수용적이거나 허용, 방임적인 양육행동을 가지고 있는 부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 비슷하였다.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후 실험군의 의사소통기술 점수가 16.36점 높아져, 사회기술 훈련프로그램이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의사소통훈련은 개방적 의사소통을 장려하고 문제형(역기능적) 의사소통은 감소 시키기 위하여, ‘협동화 그리기’ ‘의사소통의 일방통행․쌍방통행’ ‘듣기 싫은 이야기․듣고 싶은 이야기’ ‘당당하게 말하기’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은 프로그램 모둠활동 중 자신이 부정적으로 의사표현을 할 때 상대방이 오해하거나

공격당한다고 느껴 친구와 갈등상황을 만들 수 있으나, 자신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표현한다면 친

구와의 갈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본 연구와 유사하게 Kim(2005)의 연구에서 의

사소통훈련은 대인갈등의 부정적인 대응방식인 강요와 회피양식은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대응방식

인 협력양식은 증가하여 고등학생의 대인갈등의 대처방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e(2002)의 연구에서도 의사소통훈련은 중학생들의 대인갈등해소양식

(10)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갈등상황에 대한 언어반응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Cho(2005)는 의사소통훈련이 초등학생의 대인간 갈등해결방식 및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였다.

Chung(2006)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체험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에 대한 배려와 공감에 대해 깊 이 이해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게 되어 교우관계가 향상된다고 하였 다. Sul(2006)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절하게 말로 표현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여중생들 과 자신의 생각을 너무 공격적으로 표현하여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여중생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한 결과, 여중생들이 타인을 존중하면서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 연스럽게 전하여 대인관계가 좋아졌으며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은 나 전달법(자기표현)훈련을 통해 자신이 장난이나 재미로 던지는 말(욕이나 상대방을 비하하는 말 등)들이 상대방에게 언어적 폭력으로 상처를 주었고 이로 인하여 친구관계가 소원해 질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는 Lee와 Lee(2003)의 연구에서 초등학생들이 자기표현훈련을 수행한 후 자신의 언어적 공격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이 되어 언어적 공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통하여 자기표현훈련이 교우관계를 향상시킨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초반에는 대상자들이 어떻게 토의를 하고 발표를 해야 하는지 어려워 모둠장의 역할이 컸으며 서로에게 발표를 미루었으나 프로그램 후반에는 모둠장의 도움 없이 토 론이 이루어졌으며 조장이 정하는 순서로 머뭇거리지 않고 발표하는 모습이 보였다. 이는 Lee(2007)의 연구에서 대상아동 모두 훈련초반보다 중, 후반으로 갈수록 다른 아동과 잘 어울리는 행동과 자신의 의사를 보다 분명하게 표현하는 행동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 는 행동은 연구대상 아동 모두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난 것과 일치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을 통하여 대상자의 의사소통이 원 활해지고 사회기술이 향상되어 대인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대인관계에서 자신감을 높여줌으 로써 대인갈등이나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후 실험군의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7.32점 높아 져,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문제해결능력훈련은 ‘생각을 바꾸면’과 ‘문제해결의 길잡이’로 구성되어, 현실생 활에서 다양한 문제들을 접하는 청소년들에게 훈련을 통하여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일 상생활에서 자신에게 일어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적절한 대처능력을 갖추어 대인관계를 촉진시키고 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Hyun(2005)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화시킬 수 있는 것과 변화시킬 수 없는 것에

(11)

대해서 직접 수행해보고 자신의 비합리적인 사고를 변화시켜 합리적으로 문제를 접근하도록 하였 다. Kim(2004)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인지적 특성에 관심을 갖고 인 지적 특성을 파악한 후 비합리적 신념은 합리적 신념으로 대체시키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합 리적 사고로 대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하고 합리적인 문제해결기술을 습득 할 수 있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은 대상자의 비합리적인 사고를 합 리적인 사고로 변환시키고 합리적인 사고로 문제에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 시켜 청소년의 정신건강증진에 많은 도움을 될 수 잇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의사소통기술과 문 제해결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을 보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감이 증가하였으며 문제해결과 대인관계를 맺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사료된다.

사회기술은 건강한 자아를 형성하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행동양식과 습관을 형성하는데 필 요한 기본적인 기술들이므로 사회기술훈련은 모든 청소년들에게 필요하다. 특히 농촌이나 도농혼 합지역의 청소년들은 학습 환경이나 주변 환경이 열악하고, 가정이나 주변으로부터 지원을 많이 받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기술을 습득함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가정, 학교 및 지 역사회가 관심을 가지고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사회기술훈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청소년의 행동변화가 개인, 가정 및 사회생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에서 학생들의 건강을 담당하는 보건교사는 이제까지는 주로 신체적 건강을 책임 지고 있었으나 앞으로는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과 같은 정신보건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학생들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정신보건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및 제언

결론

본 연구는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7년 5월부터 7월까지 G광역시의 2개 중학교 2학년 재학 중인 학생 129명(실험군 59명, 대조군 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사회 기술훈련프로그램은 창의력재량활동시간을 이용하여 매주 1회 45분씩 총 8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검사지 중 사전검사나 사후검사를 한쪽만 참여한 검사지와 부실한 답변을 한 검사지를 제외시켜 총 111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제 1가설인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기술 점수가 높을

(12)

것이다.”는 사전측정값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사전 값의 효과를 통제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 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F = 1.806, p = .182). 그러나 실험군의 사전, 사후 점수의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 = -10.749, p = .001)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 았으며(t = -.786, p = .435),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의사소통기술 점수가 유의하 게 향상되었다.

․ 제 2가설인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사전측정값을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사전 값의 효과를 통제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간 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F = 1.717, p = .194). 그러나 실험군의 사전, 사후점수의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 = -2.705, p = .011),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 았으며(t = 0.301, p = 0.765),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유의 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 킨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는 건강한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다양한 사회기술을 습득하여 환경 에 적응할 수 있는 행동양식과 습관을 형성해가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중학생들의 학교정규교육과 정에 사회기술훈련과 같은 정신보건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구조화된 평가지를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제약을 받았다고 사료 되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주관적인 평가도 함께 사용하여 효과를 검증해 볼 것을 제언한다.

․ 학교에서 특별활동이나 재량활동시간 등을 이용해 학교현장에 있는 보건교사와 상담교사가 이를 활용함으로써 인성교육이 필요한 중학생의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고, 지속적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장기 연구도 의의가 클 것으로 본다.

․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은 학습 환경이나 주위환경이 열악한 농촌지역이나 저소득층 가정과 같

은 소외된 계층의 학생들에게 더욱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학생의 행동변화가 집단상담교육에서 개

인의 가정 및 사회생활까지도 이어질 수 있도록 교사,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된 지도와 프로

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3)

References

Baek, K. S., Kwon, Y. S. (2004).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ypes on the adaptation of adolescent school life, J Adol Welf, 6(2), 87-99.

Cho, E. J. (2005).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the interpersonal conflict coping and self-expression of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Cho, S. D., Yoon, B. S., Kim, J. D., Park, E. M. and Lee, H. J. (2003). Human relations in information society. Seoul: Pakyoungsa.

Han, E. S., Ahn, D. H., Lee, Y. H. (2001). The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 Korean J of child & Adol Psychiatr , 12(1), 79-93.

Hur, C. S., Yang, M. C. (2006).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types and their ego-state, J stud guid , 27(1), 15-36.

Kavale, K. A. & Mostert, M. P. (2004).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earn Dis Quart , 27, 31-43.

Kim, G. Y., Kim, C. G. (2003). The effect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for th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 J Korean soc of child welf) , 16, 7-36.

Kim, H. J. (2003). Effecting influenc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rom the low-income fami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im, H. J. (2003).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slef-esteem of the youth in a rural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im, I. H. (2007).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16(4), 420-428.

Kim, J. O. (2005).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program on the coping styl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of interpersonal conflict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im, S. J. (1998). Parental behaviors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school-aged children in

(14)

rur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ungbuk .

Kim, S. J. (2001). Adolescence counseling and stress management, 2001 Lectures for teachers of adolescence sex education, Gwangju Women's Hot Line, 87-104.

Kim, Y. O. (2005).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on victimized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kill, interpersonal anxiety and friend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ng, I. S., Lee, E. J. & Lee, J. L. (2005). Adolescents' conflict,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heir self-concept. J Korean Living Scie, 14(6) , 925-936.

Kuperminc, G. P. & Allen, J. P. (2001). Social orientation problem behavior and motivations towar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mong high risk adolescents. J Youth and Adol , 30(5), 597-622.

Kwak, K. L. (2001). The effect of social skill improvement group counselling on the empathy, self-disclos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the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Lee, C. S., Kweon, Y. R. & Kim, S. J. (2007). The impact of school bullying victim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16(1), 32-40.

Lee, G. J. (2003).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self esteem,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skill of children in social welf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Lee, H. S. (2002). The effect of the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upon middle school students' solution ways of interpersonal troble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Lee, J. H. (2000).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unaway youth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Lee, K. S., Lee, D. S. (2003). The effects of self-assertion program on children's friendship and aggressive behaviors, Chosun Univ. St Life Guid St, 22, 59-75.

Lee, M. J. (2007). The effect of play-based communication enhancement program on isolated children's social skill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Lim, B. C. (2004). The effect of the social-skills training program on students' friendship and

(15)

participation in cla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Seo, J. M. (2006).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on conversational skills and assertiveness i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15(1), 22-30.

Smith, S. W. & Gilles, D. L. (2003). Using key instructional elements to systematically promote social skill generation for students with challenging behavior. Interven in School and Clinic , 39(1), 30-37.

Sul, H. D. (2006).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on the stress easing of middle school girl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Webb, B. J., Miller, S. P., Pierce, T. B., Strawser, S & Jones, W. P. (2004). Effects of social

skill instruction for high-functioning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c

Aut Oth Develop Disabil, 19(1), 53-62.

(16)

<Table 1> Homogeneity Te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Exp.(N = 48) n(%) Con.(N = 63) n(%)

p

Gender Male 20(41.7) 31(49.2) .624 .430

Female 28(58.3) 32(50.8)

Economic Low 1(2.1) 1(1.6) 3.443 .328

status Low middle 13(27.1) 28(44.4)

High middle 29(60.4) 31(49.2)

High 4(8.3) 3(4.8)

Upbringing Very strict 1(2.1) 3(4.8) 3.952 .556

attitude Strict 4(8.3) 10(15.9)

Moderate 21(43.8) 24(38.1)

Flexible 14(29.2) 20(31.7)

Very flexible 7(14.6) 6(9.5)

No parents 1(2.1) 0(0.0)

Home Very bad 0 0(0.0) .703 .872

atmosphere Bad 1(2.1) 1(1.6)

Moderate 14(29.2) 15(23.8)

Good 20(41.7) 31(49.2)

Very good 13(27.1) 16(25.4)

Academic Low 5(10.4) 8(12.7) 11.055 .011

performance Low middle 11(22.9) 28(44.4)

High middle 30(62.5) 20(31.7)

High 2(4.2) 7(11.1)

Relations with Very bad 0(0.0) 0(0.0) 13.964 .003

teachers Bad 1(2.1) 1(1.6)

Moderate 32(66.7) 20(31.7)

Good 12(25.0) 31(49.2)

Very good 3(6.3) 11(17.5)

Relations with Very bad 0(0.0) 0(0.0) 2.847 .416

school friends Bad 1(2.1) 1(1.6)

(17)

*Exp.: Experimental group, *Con.: Control group

<Table 2>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 Exp.(n = 48) Con.(n = 63)

t p

M ± SD M ± SD

Communication skill 51.60 ± 6.81 71.32 ± 6.94 -14.706 .001 Problem solving ability 119.29 ± 14.16 126.91 ± 13.84 -2.535 .013

*Exp.: Experimental group, *Con.: Control group

Moderate 11(22.9) 8(12.7)

Good 20(41.7) 35(55.6)

Very good 16(33.3) 19(30.2)

School life Very dissatisfied 0(0.0) 1(1.6) 7.529 .110

Dissatisfied 1(2.1) 0(0.0)

Moderate 23(47.9) 17(27.0)

Satisfied 20(41.7) 39(61.9)

Very satisfied 4(8.3) 6(9.5)

Hobby & leisure Very insufficient 3(6.3) 1(1.6) 15.232 .004

Insufficient 8(16.7) 17(27.0)

Moderate 23(47.9) 15(23.8)

Sufficient 10(20.8) 29(46.0)

Very sufficient 4(8.3) 1(1.6)

(18)

<Table 3> Comparisons of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ithin Two Groups on Program

Dependent variable M ± SD Pre-test Post-test M ± SD t p Communication Exp. (n = 48) 51.60 ± 6.81 67.96 ± 8.36 -10.749 .001

skill Con. (n = 63) 71.36 ± 6.99 71.97 ± 6.59 -.786 .435 Problem Exp. ( n = 48) 119.21 ± 14.36 126.53 ± 15.08 -2.705 .011 solving ability Con. ( n = 63) 126.48 ± 14.10 125.90 ± 11.96 .301 .765

*Exp.: Experimental group, *Con.: Control group

(19)

<Table 4> ANCOVA on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y Group Dependent

variable Source SS df MS F p

Communication Covariate: pretest 665.563 1 665.563 13.521 .001 skill Main Effect 88.892 1 88.892 1.806 .182

Error 5070.284 103 49.226 Corrected Total 6156.226 105

Problem Covariate: pretest 2803.632 1 2803.632 19.396 .001 Solving ability Main Effect 248.174 1 248.174 1.717 .194

Error 11997.358 83 144.546

Corrected Total 14809.035 85

(20)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rriage Encounter program(ME program) on marital problem solving behavior.. The overall goal of

The influence of normalized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after school sports club on personality. Kim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dance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hildren's experience of life sdtress: The role of family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s protective factors.. “Social competence: An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an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mentoring on the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Effects of Mother's Types of Language Control and Rearing Attitudes on Young Children's Social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