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목 차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목 차"

Copied!
1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국․공립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 및 요구

-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 1 이미나․이병인

▪한국 장애학생 지원체제의 변화와 과제 ··· 43 신현기

▪요리도구사용이 지적장애 아동의 손 기능 및 운동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 59 김현주․송 브라이언 병

▪심리운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81 정순미․이숙정

(4)
(5)

국․공립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 및 요구

-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이 미 나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 이 병 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 요 약 >

본 연구는 국ㆍ공립 통합기관의 가족지원서비스의 교사와 가족의 공동역량강화모델 구 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 영․유아 담당 교사, 통합기관에 재원중인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 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인식과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경기도 시, 군, 구에 설립되어 있는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 담당 교사 84명과 재원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 가족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 집의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차이에서는 모든 영역에 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를 알아보고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모든 영역에 서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주제어>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 교사와 가족의 요구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족의 역할은 장애 영․유아의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인 동시에 아동의 첫 번 째 교사이며, 가족 구성원들은 자녀를 항상 격려하고 촉진하며, 칭찬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장애 영․유아에 대하여 가족만큼 잘 아는 사람은 없으며 가족은 영․유아가 많은 기술들을 배우는데 도움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에서 이러한 기본

(6)

적인 가족의 중요성을 깨닫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이병인, 2002). 영․유아 발달 에 대한 생태학적인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유아특수교육에서도 ‘아동중심 특수교육’에서 아동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강조하는 ‘가족중심의 유아특수교육’으로 패러다임이 변화 하게 되었다(이미선, 김경진, 2000). 서비스의 중심이 영․유아를 포함한 가족에게로 이 동함으로써 장애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족 문제임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최근의 특수교육 동향 중 하나는 장애 영․유아 교육에 있어서 가족 참여와 역할 및 가족 기능이 강조 되고 있는 것이다. 가족은 하루 일과 중 아동과 가장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아동을 지도하고, 아동의 발달을 촉진하며, 아동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아동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전문가와의 팀 협력을 통하여 아동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병인, 2004, 2006). 그러므로 가족의 심리ㆍ정서적인 불안감은 장애 영ㆍ유아들의 양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해소하지 못 할 때에는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더욱 커다란 지장을 초래한다. 그렇다고 대부분의 가족들이 자녀의 장애 진단에 같은 방식으로 반응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가족들이 자녀의 장애 진단에 따른 수용에 있어서 공통적인 과정 및 단계를 경험한다는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본다면 이러한 가족의 심리ㆍ정서적 불안감 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박지연 외, 2006). 이런 면에서 볼 때 가 족지원의 프로그램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우리나라에서의 가족지원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 되는 법적 근거를 살펴보면, 2007 년에 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조 2항과 동법 28조에 규정되어 있다.

동법 제2조 2항에서의 “특수교육관련 서비스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 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상담지원, 가족지원, 치 료지원, 보조 인력지원, 보조 공학기기지원, 학습 보조기 지원, 통학지원 및 정보접근지 원 등 말한다.”고 정의 하고 있다. 그리고 제28조(특수교육관련서비스) 1항에서는 “교육 감은 특수교육대상자와 그 가족에 대하여 가족상담 등 가족지원을 제공하여야 한다.”로 명시하고 있다. 가족지원이 특수교육관련 서비스에 포함되면서 가족지원의 중요성, 지원 방법 등이 법제화 되면서 더욱더 중요하게 되었다(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법률 제 11690호 2013. 3. 23).

Tumbull과 Tumbull은 전문가와 가족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전문가를 촉진 자와 협력자로 인식하는 내용을 제시하여 가족의 역량강화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가족 은 자녀 또는 가족의 성과를 달성하는 역량이 부족하며 전문가는 이러한 가족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생각에서 기인하였으나, 정작 전문가들은 자신이 가족

(7)

에게 필요로 하는 자원을 취할 능력이 없으며 가족의 역량을 강화시킬 능력이 부족하다 고 생각하고 있다. 이에 등장한 모델이 공동 역량강화 모델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미래 지향적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전문가와 가족 모두에게 바람직한 성과를 내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전문가와 가족 모두의 만족도가 높다(노진아 등, 2011). 현재 특수교육에서는 전문가가 장애 영․유아 가족의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아니 라 전문가와 가족의 협력을 통해 장애 영․유아 개인의 관심에서 더 나아가 장애 영․

유아의 환경과 가족전체의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방향으로 강조점이 이동하고 있다(노 진아 등, 2011)라고 말한다.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많은 유아특수교육 기관들은 장애 영․유아 부모나 그 가족의 요구를 반영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시행하기 위해 나름 대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서비스를 지원하 는 사람들은 오히려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이 나 서비스 대상자 모두 가족지원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체계적인 제도가 부족하기 때문 이다(이병인, 2004, 2006 재인용). 이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있어서 공동역량강화 모델 을 실현하기 위한 준비의 필요성도 말한다.

가족지원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유아특수교육기관이나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일반교사와 장애 영․유아 부모에 대 한 가족지원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도 많으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전문 가와 가족 모두에게 바람직한 성과를 내고 전문가와 가족 모두의 만족도가 높은 공동역 량강화모델로 가족지원을 제공하려면 교사나 가족이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가족지원 프 로그램의 요구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교육기관에서 필요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또는 가 족의 자원과 능력, 가족이 필요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또는 자원, 능력이 같이 지원이 이 루어 져야 이상적이 공동역량강화모델로써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며 그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동역량강화모델 구현을 위해서는 장 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의 일치도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위의 논의를 전제로, 본 연구는 국ㆍ공립 통합기관의 가족지원서비스의 공동역량강 화 모델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 영․유아 담당 교사, 통합기관에 재원중인 가족을 대상으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관의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인식과 요구의 차 이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8)

2. 연구 문제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 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가족지원 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셋째,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 구에는 차이가 있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장애 영․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의 차이를 알아 보고 위하여 경기도 시, 군, 구에 설립되어 있는 국ㆍ공립 완전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 담당 교사와 재원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 다. 연구자는 아이사랑보육포털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국ㆍ공립 어린이집 목록을 토 대로 경기도 내 184개의 국ㆍ공립 완전통합어린이집 중 통합반이 운영되고 있지 않은 20곳을 제외한 164개의 국ㆍ공립 완전통합어린이집에 전화를 하여 연구의 목적을 설명 하고,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57개의 기관 내 120명의 교사와 120명의 가족을 대상으 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이중 교사는 90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가족은 113명의 설문지가 회수 되었으나 중복표기를 하거나 불성실하게 표기된 설문지 교사용 6부와 가족용 11부를 제외하고 총 186부(교사용 84부, 가족용 10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 영․유아 가족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가족의 관계에 서는 아버지가 3(2.9%)명 이였고, 어머니가 95(93.1%), 기타(장애 영․유아의 조부모나, 형제) 4(3.9%)로 어머니가 가장 비율이 높았다. 가족의 장애 영․유아가 가진 장애 영역 은 시각장애는 0명이였으며, 청각장애 8(7.8%) 지적장애 24(23.5%), 지체장애 3(2.9%), 뇌병변장애 14(13.7%), 언어장애 14(13.7%), 자폐성장애 12(11.8%), 발달지체 10(9.8%),

(9)

발달장애 13(12.7%), 기타 4(3.9%)로 지적장애를 가진 영․유아가 가장 많이 참여하였 다. 장애 영․유아의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에서의 교육기간은 1년 미만이 48(47.1%), 1년 이상∼2년 미만이 39(38.2%), 2년 이상∼3년 미만 9(8.8%), 3년 이상은 6(5.9%)로 1년 미만의 교육기간을 가진 장애 영․유아가 가장 많이 참여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1년 이상 2년 미만의 장애 영․유아가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가족(102명)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장애 영․유아 가족의 일반적 특성

구분 빈도 퍼센트 합계

가족

관계

아버지 3 2.9%

102(100%)

어머니 95 93.1%

기타 4 3.9%

장애 영역

시각장애 0 0%

102(100%)

청각장애 8 7.8%

지적장애 24 23.5%

지체장애 3 2.9%

뇌병변장애 14 13.7%

언어장애 14 13.7%

자폐성 장애 12 11.8%

발달지체 10 9.8%

발달장애 13 12.7%

기타 4 3.9%

교육 기간

1년 미만 48 47.1%

102(100%)

1년이상∼2년미만 39 38.2%

2년이상∼3년미만 9 8.8%

3년 이상 6 5.9%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 영․유아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교사의 성별은 남자가 3(3.6%)명이었고, 여자가 81(96.4%)였다. 교사의 연령은 21∼30세가 54(64.3%)명 으로 가장 많았으며, 31∼40세 26(28.6%)명, 41세 이상은 6(7.1%)명 이였다. 교사의 경력 은 1년 이상∼3년 미만 30(35.7%)명으로 가장 높게 나왔다. 교사의 자격은 중복으로 자

(10)

격을 소지로 케이스 백분율을 적용하여 특수교사(특수학교 정교사 2급 이상)가 41명 43.6 (48.8)%, 유아특수재활학과를 졸업한 보육교사 13명 13.8(15.5)%, 보육교사로 한국보육진 흥원에서 장애 영․유아 직무교육을 이수한 교사가 23명 24.5(27.4)%, 보육교사로 한국 보육진흥원에서 장애 영․유아 직무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교사가 9명 9.6(10.7)%, 기타 자격을 소지한 교사는 8명 8.5(9.5)%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84명)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2>와 같다.

<표 2> 장애 영․유아 교사의 일반적 특성

구분 빈도 퍼센트

(케이스 백분율) 합계

교사

성별 남 3 3.6%

84(100%)

여 81 96.4%

연령

21∼30세 54 64.3%

84(100%)

31∼40세 26 28.6%

41세 이상 6 7.1%

경력

1년 미만 16 19.0%

84(100%)

1년 이상∼3년 미만 30 35.7%

3년 이상∼5년 미만 22 26.2%

5년 이상 16 19.0%

자격*

특수교사 41 43.6(48.8)%

84(111.9%)

보육교사(관련학과) 13 13.8(15.5)%

보육교사(연수이수) 23 24.5(27.4)%

보육교사(연수미이수) 9 9.6(10.7)%

기타 8 8.5(9.5)%

*는 케이스 백분율을 적용함.

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는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우리나 라 선행연구 “발달지체 영ㆍ유아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와 유아특수교 사의 인식(함기주, 2009)” 중심으로 통합기관(국ㆍ공립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서비스에

(11)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고, “특수교육과 관련된 가족 지원 및 상담지원에 대한 요구 분석연구(이병인, 2012)”, “발달지체 영ㆍ유아 가족의 요 구에 따른 가족지원 프로그램 내용구성 및 활용(이병인, 조현근, 2010)”의 내용 구성과

“발달지체 영ㆍ유아의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의 요구조사 - 울산, 경남 지역의 장애전담 보육시설을 중심으로(윤명희, 2008),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공ㆍ사 립 유치원 교사의 요구(한기선, 2009), 공립유치원 내 유아특수학급의 가족지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요구(전혜영, 2010)”의 설문 문항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 의 연구 주제에 맞도록 설문지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고 교사용과 학부모용 2가지 유형 으로 나누어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유아특수교사 2인, 장애통합어린이집 원장 2인, 유아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박사과정 대학원생 2인, 본 연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통합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는 장애 영․유아 가족 2인에게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의 적절성 을 검토 받았다.

확정된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을 붇는 질문 기초사항 3문항과 인식 8문 항, 요구 8문항 총 19문항으로 구성 되어있다.

장애 영․유아 학부모와 교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 문항은 Liker식 5점 척도로

‘매우 그렇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매우 그렇지 않다’ 1 점으로 구성하고 각 문항에 대해 필요하다고 느끼는 정도가 클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 여 제시하였다. 장애 영․유아 학부모와 교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 문항은 우선순위 한 가지 선택형으로 8문항을 제시하였다.

최종 설문지의 질문 내용은 다음 <표 3>과 <표 4>의 내용과 같다.

<표 3>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문항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문항 문항 수

1.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 1

2.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가족에 주는 영향 인식 1

3.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1

4.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시간 1

5.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방법의 다양성 인식 1

6.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가족의 요구 반영에 대한 인식 1

7.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 장소의 다양성 인식 1

8.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가족의 참여 정도에 대한 인식 1

계 8

(12)

<표 4>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문항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문항 문항 수

1.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 1

2.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 1

3.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 1

4.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 1

5. 장애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 1

6.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 1

7.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 프로그램 1

8.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요구 1

계 8

3. 연구 절차

2014년 04월 01일부터 04월 26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기 지역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 영․유아 교사에게는 방문 및 우편, e-mail, 팩스를 이용 하였고, 재원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 가족에게는 대상 원에 방문 및 우편, e-mail, 팩스를 이용하여 보내어 가정통신문을 이용하여 배부 하였다. 응 답된 질문지는 재방문 및 우편, e-mail, 팩스로 회수 하였다.

<표 5> 연구 일정

연구 일정

2014.04.01. ∼ 2014.04.11. 설문 대상 선정(전화로 설문지 배포 의뢰) 설문지 배포(방문 및 우편, e-mail, 팩스) 2014.04.14. ∼ 2014.04.18. 의뢰된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에 설문지 배포

- 교사용, 가족용(방문 및 우편, e-mail, 팩스) 2014.04.18. ∼ 2014.04.26. 설문지 회수(재방문 및 우편, e-mail, 팩스) 2014.04.27. ∼ 2014.05.07. 수집된 자료 분석

(13)

4. 자료 분석

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는 SPSS 17.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의 특성에 따라 다음 과 같은 통계 처리를 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 출하였다.

둘째,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대상자간의 인식 정도와 요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연구 문제에 따라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 영․

유아 교사와 장애 영․유아 가족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 영․유아 교사와 장애 영․유아 가족의 가족지원에 대 한 요구는 어떠한지 알아보았으며,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장애 영․유아 가족의 요구에는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비교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을 하위 영역별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1)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장애 영․유아를 교육함에 있어서 가족지원 프로그램은 필요하다’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는 매우 그렇다가 49(58.3%), 그렇다가 27(32.1%)로 나타났다. 가족은 매우 그렇다 가 50(49.0%), 그렇다가 39(38.2%)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라 가족지원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1.968, 유 의확률은 0.742로 유의수준 .05에서 인식차이가 없었다.

(14)

<표 6>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매우 그렇지 않다 3(3.6%) 5(4.9%) 8(4.3%)

df = 4 x²= 1.968 p = 0.742

그렇지 않다 2(2.4%) 2(2.0%) 4(2.2%)

보통이다 3(3.65) 6(5.9%) 9(4.8%)

그렇다 27(32.1%) 39(38.2%) 66(35.5%) 매우 그렇다 49(58.35) 50(49.0%) 99(53.2%)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2)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가족에게 주는 영향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지원 프로그램은 장애 영․유아의 가족에게 직접적으로 도 움을 준다.’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는 매우 그렇다가 32(38.1%), 그렇다가 34(40.5%)로 나 타났다. 가족은 매우 그렇다가 44(43.1%)였고, 그렇다가 40(39.2%)로 나타났다. 연구 대 상에 따라 기족지원 프로그램이 가족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0.801, 유의확률은 0.938로 유의수준 .05에서 인식차이 가 없었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가족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 음 <표 7>과 같다.

<표 7>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가족에게 주는 영향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매우 그렇지 않다 4(4.8%) 5(4.9%) 9(4.8%)

df = 4 x²= 0.801 p = 0.938

그렇지 않다 2(2.4%) 2(2.0%) 4(2.2%)

보통이다 12(14.3%) 11(10.8%) 23(12.4%) 그렇다 34(40.5%) 40(39.2%) 74(39.8%) 매우 그렇다 32(38.1%) 44(43.1%) 76(40.9%)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15)

3)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인식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매우 그렇지 않다 4(4.8%) 5(4.9%) 9(4.8%)

df = 4 x²= 0.386 p = 0.984

그렇지 않다 1(1.2%) 2(2.0%) 3(1.6%)

보통이다 3(3.6%) 4(3.9%) 7(3.8%)

그렇다 35(41.7%) 45(44.1%) 80(43.0%) 매우 그렇다 41(48.8%) 46(45.1%) 87(46.8%)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는 매우 그렇다가 41(48.8%), 그렇다가 35(41.7%)로 나타났다. 가족은 매우 그렇다 가 46(45.1%)였고, 그렇다가 45(44.1%)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따라 가족지원 프로그램 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 한 결과, x² 통계값은 0.386, 유의확률은 0.984로 유의수준 .05에서 인식차이가 없었다.

4)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시간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가족의 참여 시간이 충분해야한다.’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는 매우 그렇다가 33(39.3%), 그렇다가 38(45.2%)로 나타났다. 가족은 매우 그렇다가 42(41.2%)였고, 그렇다가 43(42.2%)로 나타났다. 연구대 상에 따라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시간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 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0.451, 유의확률은 0.978로 유의수준 .05에서 인식 차이가 없었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시간에 대한 인식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9>와 같다.

(16)

<표 9>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시간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매우 그렇지 않다 5(6.0%) 5(4.9%) 10(5.4%)

df = 4 x²= 0.451 p = 0.978

그렇지 않다 2(2.4%) 3(2.9%) 5(2.7%)

보통이다 6(7.1%) 9(8.8%) 15(8.1%)

그렇다 38(45.2%) 43(42.2%) 81(43.5%) 매우 그렇다 33(39.3%) 42(41.2%) 75(40.3%)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5)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방법의 다양성 인식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시방법이 다양하게 운영되어야 한다’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는 매우 그렇다가 37(44.0%), 그렇다가 37(44.0%)로 나타났 다. 가족은 매우 그렇다가 47(46.1%)였고, 그렇다가 41(40.2%)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따라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방법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0.864, 유의확률은 0.930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인식에 차이가 없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방법의 다양성 인식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10>과 같다.

<표 10>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방법의 다양성 인식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매우 그렇지 않다 4(4.8%) 5(4.9%) 9(4.8%)

df = 4 x²= 0.864 p = 0.930

그렇지 않다 1(1.2%) 3(2.9%) 4(2.2%)

보통이다 5(6.0%) 6(5.9%) 11(5.9%)

그렇다 37(44.0%) 41(40.2%) 78(41.9%) 매우 그렇다 37(44.0%) 47(46.1%) 84(45.2%)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17)

6)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가족 요구 반영에 대한 인식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가족 요구 반영에 대한 인식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11>과 같다.

<표 11>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가족 요구 반영에 대한 인식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매우 그렇지 않다 4(4.8%) 5(4.9%) 9(4.8%)

df = 4 x²= 1.272 p = 0.866

그렇지 않다 1(1.2%) 3(2.9%) 4(2.2%)

보통이다 3(3.6%) 6(5.9%) 9(4.8%)

그렇다 33(39.3%) 39(38.2%) 72(38.7%) 매우 그렇다 43(51.2%) 49(48.0%) 92(49.5%)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의 요구가 충분히 고려되어 가족지원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야 한다.’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는 매우 그렇다가 43(51.2%), 그렇다가 33(39.3%)로 나타 났다. 가족은 매우 그렇다가 49(48.0%)였고, 그렇다가 39(38.2%)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따라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가족 요구 반영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1.272, 유의확률은 0.866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인식에 차이가 없다.

7)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 장소의 다양성 인식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 또는 장소가 다양하게 제 공되어야 한다.’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는 매우 그렇다가 33(39.3%), 그렇다가 37(44.0%) 로 나타났다. 가족은 매우 그렇다가 47(46.1%)였고, 그렇다가 41(40.2%)로 나타났다. 연 구대상에 따라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 장소의 다양성 인식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1.112, 유의확률은 0.892로 유 의수준 .05에서 인식에 차이가 없다.

(18)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 장소의 다양성 인식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 과는 다음 <표 12>와 같다.

<표 12>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 장소의 다양성 인식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매우 그렇지 않다 4(4.8%) 5(4.9%) 9(4.8%)

df = 4 x²= 1.112 p = 0.892

그렇지 않다 3(3.6%) 3(2.9%) 6(3.2%)

보통이다 7(8.3%) 6(5.9%) 13(7.0%)

그렇다 37(44.0%) 41(40.2%) 78(41.9%) 매우 그렇다 33(39.3%) 47(46.1%) 80(43.0%)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8)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가족의 참여 정도에 대한 인식

국ㆍ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은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야 한다.’

에 대한 인식으로 교사는 매우 그렇다가 43(51.2%), 그렇다가 33(39.3%)로 나타났다. 가 족은 매우 그렇다가 46(45.1%), 그렇다가 42(41.2%)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따라 가족 지원 프로그램에 가족의 참여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1.565, 유의확률은 0.815로 유의수준 .05에서 인식에 차이가 없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가족의 참여에 대한 인식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13>과 같다.

<표 13>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가족의 참여 정도에 대한 인식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매우 그렇지 않다 4(4.8%) 5(4.9%) 9(4.8%)

df = 4 x²= 1.565 p = 0.815

그렇지 않다 1(1.2%) 3(2.9%) 4(2.2%)

보통이다 3(3.6%) 6(5.9%) 9(4.8%)

그렇다 33(39.3%) 42(41.2%) 75(40.3%) 매우 그렇다 43(51.2%) 46(45.1%) 89(47.8%)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19)

2.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

1)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의 요구 (1)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에 대한 교사의 요구

IEP와 교육활동 참여가 46명(54.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가족 상 담이 12명(14.3%)나타났으며, 세 번째로는 개별상담이 10명(11.9%) 순으로 나타났다. 토 론회, 가정통신문, 인터넷 모임, 관련 서적 및 자료 대여 하위 영역은 나타나지 않았다.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실시 방법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조사 한 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IEP와 교육활동 참여 46 54.8%

84 (100%)

② 강연회 1 1.2%

③ 토론회 0 0.0%

④ 개별상담 10 11.9%

⑤ 어머니 - 아버지 소모임 7 8.3%

⑥ 가정방문 2 2.4%

⑦ 가정통신문 0 0.0%

⑧ 참관 및 참여 수업 2 2.4%

⑨ 인터넷 모임 0 0.0%

⑩ 관련 서적 및 자료 대여 0 0.0%

⑪ 가족 캠프 3 3.6%

⑫ 현장 체험 활동 1 1.2%

⑬ 가족 상담 12 14.3%

(2)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교사의 요구

장애 영․유아의 통합교육이 22명(2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심 리적․정서적 지원 18명(21.4%)과 부모(가족)교육 및 상담 18명(21.4%)이 공동으로 나타 났고, 세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이 16명 (19.0%)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탁아 지원과 교통수단 지원에 대한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20)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 15>와 같다.

<표 15>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 16 19.0%

84 (100%)

② 장애 영․유아의 장애 원인과 선별, 진단 및 예방 방법 3 3.6%

③ 장애 영․유아의 통합교육 22 26.2%

④ 장애 영․유아의 초등학교 연계 교육에 관련한 정보-진학 3 3.6%

⑤ 장애 영․유아의 치료지원에 관한 정보 2 2.4%

⑥ 심리 정서적 지원 18 21.4%

⑦ 여가 활동 지원 1 1.2%

⑧ 영․유아 탁아 지원 0 0.0%

⑨ 교통 수단 지원 0 0.0%

⑩ 부모(가족) 교육 및 상담 18 21.4%

⑪ 전문가 확대 1 1.2%

(3)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교사의 요구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교사의 요구 결과는 다음 <표 16>과 같다.

<표 16>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 부모의 부부 관계 프로그램 8 9.5%

84 (100%)

② 가족 상담 프로그램 42 50.0%

③ 부모와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18 21.4%

④ 비 장애 형제 자매 프로그램 - 상담 및 교육 4 4.8%

⑤ 비 장애 형제와 장애 형제와의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3 3.6%

⑥ 부모 외에 자녀를 돌보는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3 3.6%

⑦ 가족의 친인척을 위한 프로그램 0 0.0%

⑧ 맞벌이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1 1.2%

⑨ 다른 가정과의 결연 지원 0 0.0%

⑩ 어머니를 위한 프로그램 2 2.4%

⑪ 아버지를 위한 프로그램 3 3.6%

(21)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가족상담 프로그램이 42명(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는 부모와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18명(21.4%)로,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 부모의 부부 관 계 프로그램이 8명(9.5%)로 나타났다. 가족의 친인척을 위한 프로그램, 다른 강정과의 결연 지원에 대한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다음 <표 17>

과 같다.

<표 17>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신변 자립 및 건강 안전 42 50.0%

84 (100%)

② 장애 영․유아의 학습지도 방법 0 0.0%

③ 장애 영․유아의 놀이지도 방법 5 6.0%

④ 장애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방법 23 27.4%

⑤ 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 수정 방법 13 15.5%

⑥ 장애 영․유아의 성교육 1 1.2%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의 신변자립 및 건강 안전 영역이 42명(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 번째는 장애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지 도 방법이 23명(27.4%),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 문제행동 수정 방법이 13명(15.5%)로 나타났다.

장애 영․유아 학습지도에 대한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장애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장애 영․유아 발달을 도모하기 위 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의 신변 자립 및 건강 문 제가 41명(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 특성에 대한 적 절한 교육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이 26명(31.0%),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의 사회성 증

(22)

진 교육이 10명(11.9%)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의사소통과 관련 언어정보 교육, 인지․학습과 관련된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다음 <표 18>과 같다.

<표 18> 장애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신변자립 및 건강 문제 41 48.8%

84 (100%)

② 장애 영․유아 특성에 대한 적절한 교육정보 및 교육 프로

그램 26 31.0%

③ 의사소통과 관련된 언어정보 교육 6 7.1%

④ 인지․학습과 관련된 교육 1 1.2%

⑤ 장애 영․유아의 사회성 증진 교육 10 11.9%

(6)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

가족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다음 <표 19>와 같다.

<표 19>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이 겪는 심리적 변화 37 44.0%

84 (100%)

②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의 생활환경 변화 6 7.1%

③ 장애 영․유아의 지원을 위한 경제적인 어려움의 대처 방안 4 4.8%

④ 장애 영․유아의 양육방법의 어려움에 대한 도움 24 28.6%

⑤ 장애 영․유아와 의사소통 하는 방법 12 14.3%

⑥ 장애 영․유아 형제 자매와 장애 영․유아와의 관계 개선에

대한 도움 0 0.0%

⑦ 장애 영․유아의 상태를 주변 인물(친척, 친구, 이웃 등)에게

설명하기 위한 도움 1 1.2%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가족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한 가족지원의 교사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이 겪는

(23)

심리적변화가 37명(44.0%)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양육방법의 어 려움에 대한 도움이 24명(28.6%),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와 의사소통 하는 방법이 12 명(14.3%)으로 나타났다. 장애 영․유아 형제 자매와 장애 영․유아와의 관계 개선에 대한 도움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7)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교사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관 정보 설명이 35명(41.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 교육 및 치 료비와 관련된 정책(바우처사업) 설명이 25명(29.8%),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의 법적 지위와 부모의 권리 설명이 15명(17.9%)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보호시설 설명과 관련된 교사의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다음 <표 20>

과 같다.

<표 20>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법적지위와 부모의 권리 설명 15 17.9%

84 (100%)

② 장애 영․유아의 교육 및 치료비와 관련된 정책

(바우처 사업) 설명 25 29.8%

③ 장애인 보호시설 설명 0 0.0%

④ 장애인 복지제도 설명 9 10.7%

⑤ 장애 영․유아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관

정보 설명 35 41.7%

(8)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교사의 요구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다음 <표 21>과 같다.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특수교사 - 담임 교사가 26명(3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두 번 째로는 전문 가족 상담사 24명(28.6%), 각 분양의 치료 및 의료 전문가 24명(28.6%)로

(24)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IEP와 교육활동 참여 38 37.3%

102 (100%)

② 강연회 2 2.0%

③ 토론회 0 0%

④ 개별상담 25 24.5%

⑤ 어머니 - 아버지 소모임 8 7.8%

⑥ 가정방문 2 2.0%

공동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를 둔 부모가 나타났다. 전문가에 대한 요구 중 통합학급 일반 교사와 종교에 대한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21>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교사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전문 가족 상담사 24 28.6%

84 (100%)

② 각 분야의 치료 및 의료 전문가 24 28.6%

③ 특수교사 - 담임교사 26 31.0%

④ 통합학급 일반교사 0 0.0%

⑤ 장애 영․유아를 둔 부모 4 4.8%

⑥ 사회 복지사 1 1.2%

⑦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 원장 2 2.4%

⑧ 육아 종합지원 특수교사 3 3.6%

⑨ 종교 0 0.0%

2)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가족의 요구 (1)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실시 방법에 대한 가족의 요구를 조사 한 결과 IEP와 교육활동 참여가 38명(37.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개 별상담이 25명(24.5%), 세 번째는 현장 체험 활동으로 11명(10.8%)로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 중 토론회와 가정통신문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다음 <표 22>와 같다.

<표 22> 가족지원 프로그램 실시 방법에 대한 가족의 요구

(25)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⑦ 가정통신문 0 0%

⑧ 참관 및 참여 수업 6 5.9%

⑨ 인터넷 모임 1 1.0%

⑩ 관련 서적 및 자료 대여 1 1.0%

⑪ 가족 캠프 2 2.0%

⑫ 현장 체험 활동 11 10.8%

⑬ 가족 상담 6 5.9%

(2)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가족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이 34명(3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는 장애 영․유아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이 21명(20.6%)으로 나타났고, 세 번 째로는 장애․영유아의 치료지원에 관한 정보 11명(10.8%)와 심리적 정서 지원 11명 (10.8%)가 공동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다음 <표 23>과 같다.

<표 23>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장애에 대한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 21 20.6%

102 (100%)

② 장애 영․유아의 장애 원인과선별, 진단 및 예방 방법 1 1.0%

③ 장애 영․유아의 통합 교육 34 33.3%

④ 장애 영․유아의 초등학교 연계 교육에 관련한 정보-진학 8 7.8%

⑤ 장애 영․유아의 치료지원에 관한 정보 11 10.8%

⑥ 심리 정서적 지원 11 10.8%

⑦ 여가 활동 지원 2 2.0%

⑧ 영․유아 탁아 지원 3 2.9%

⑨ 교통 수단 지원 1 1.0%

⑩ 부모(가족) 교육 및 상담 5 4.9%

⑪ 전문가 확대 5 4.9%

(26)

(3)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가족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부모와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33명(3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가족 상담 프로그램이 22명(21.6%)로 나타났고, 세 번째는 비 장애 형제와 장애형제와의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14명(13.7%)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친인 척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다음 <표 24>와 같다.

<표 24>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 부모의 부부 관계 프로그램 11 10.8%

102 (100%)

② 가족 상담 프로그램 22 21.6%

③ 부모와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33 32.4%

④ 비 장애 형제 자매 프로그램 - 상담 및 교육 6 5.9%

⑤ 비 장애 형제와 장애 형제와의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14 13.7%

⑥ 부모 외에 자녀를 돌보는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2 2.0%

⑦ 가족의 친인척을 위한 프로그램 0 0.0%

⑧ 맞벌이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5 4.9%

⑨ 다른 가정과의 결연 지원 0 0.0%

⑩ 어머니를 위한 프로그램 6 5.9%

⑪ 아버지를 위한 프로그램 3 2.9%

(4)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의 신변 자립 및 건강 안전 이 36명(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는 장애 영․유아 문제행동 수정 방법 이 27명(26.5%)로 나타났고,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지도 방법이 21명 (20.6%)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다음 <표 25>와 같다.

(27)

<표 25>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신변 자립 및 건강 안전 36 35.3%

102 (100%)

② 장애 영․유아의 학습지도 방법 6 5.9%

③ 장애 영․유아의 놀이지도 방법 11 10.8%

④ 장애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지도방법 21 20.6%

⑤ 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 수정 방법 27 26.5%

⑥ 장애 영․유아의 성교육 1 1.0%

(5) 장애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

장애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다음 <표 26>과 같다.

<표 26> 장애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신변자립 및 건강 문제 31 30.4%

102 (100%)

② 장애 영․유아 특성에 대한 적절한 교육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 37 36.3%

③ 의사소통과 관련된 언어정보 교육 13 12.7%

④ 인지․학습과 관련된 교육 6 5.9%

⑤ 장애 영․유아의 사회성 증진 교육 15 14.7%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장애 영․유아 발달을 도모하기 위 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 특성에 대한 적절한 교 육 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이 37명(3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신변자립 및 건강문제 31명(30.4%)로 나타났고, 세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 의 사회성 증진 교육이 15명(14.7%)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과 관련된 언어정보교육, 인지․학습과 관련된 교육이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6)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가족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

(28)

한 가족지원의 가족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이 겪는 심리적 변화가 32명(3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양육 방법의 어려움에 대한 도움이 22명(21.6%)로 타나났고, 세 번째로 장애 영․유아와 의사 소통하는 방법이 16명(15.7%)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의 상태를 주변인물(친척 영․유아, 친구, 이웃 등)에게 설명하기 위한 도움에 대한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다음 <표 27>과 같다.

<표 27>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이 겪는 심리적 변화 32 31.4%

102 (100%)

②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의 생활환경 변화 10 9.8%

③ 장애 영․유아의 지원을 위한 경제적인 어려움의 대처 방안 13 12.7%

④ 장애 영․유아의 양육방법의 어려움에 대한 도움 22 21.6%

⑤ 장애 영․유아와 의사소통 하는 방법 16 15.7%

⑥ 장애 영․유아 형제 자매와 장애 영․유아와의 관계 개선에

대한 도움 9 8.8%

⑦ 장애 영 유아의 상태를 주변 인물(친척, 친구, 이웃 등)에게

설명하기 위한 도움 0 0.0%

(7)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장애 영․유아의 교육 및 치료비와 관련된 정책(바우처사 업) 설명이 42명(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법적 지 위와 부모의 권리 설명이 22명(21.6%)로 나타났고, 세 번째로 장애인 복지 제도 설명이 19명(18.6%), 장애 영․유아 가족들이 활용 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관 정보 설명이 19명 (18.6%)로 공동 순위로 나타났다. 장애인 보호시설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나타나지 않 았다.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다음

<표 28>과 같다.

(29)

<표 28>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장애 영․유아의 법적지위와 부모의 권리 설명 22 21.6%

102 (100%)

② 장애 영․유아의 교육 및 치료비와 관련된 정책

(바우처 사업) 설명 42 41.2%

③ 장애인 보호시설 설명 0 0.0%

④ 장애인 복지제도 설명 19 18.6%

⑤ 장애 영․유아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관 정보

설명 19 18.6%

(8)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가족의 요구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가족의 요구는 다음 <표 29>와 같다.

<표 29>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가족의 요구

구분 빈도 백분율 합계

① 전문 가족 상담사 28 27.5%

102 (100%)

② 각 분야의 치료 및 의료 전문가 36 35.3%

③ 특수교사 - 담임교사 21 20.6%

④ 통합학급 일반교사 2 2.0%

⑤ 장애 영․유아를 둔 부모 4 3.9%

⑥ 사회 복지사 1 1.0%

⑦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 원장 1 1.0%

⑧ 육아 종합지원 특수교사 9 8.8%

⑨ 종교 0 0.0%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필요한 전문가에 대한 가족의 요구를 조사한 결과 각 분야의 치료 및 의료 전문가가 36명(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두 번째로 전문 가족 상담사가 28명(27.5%)로 나타났고, 세 번째로 특수교사 - 담 임교사가 21명(20.6%) 순으로 나타났다. 종교 전문가에게 대한 요구는 나타나지 않았다.

(30)

3.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비교

1)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에 대한 요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30>과 같다.

<표 30>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IEP와 교육활동의 참여 46(54.8%) 38(37.3%) 84(45.2%)

df = 10 x²= 20.575 p = 0.024

강연회 1(1.2%) 2(2.0%) 3(1.6%)

토론회 0(0.0%) 0(0.0%) 0(0.0%)

개별 상담 10(11.9%) 25(24.5%) 35(18.8%) 어머니 - 아버지 소모임 7(8.3%) 8(7.8%) 15(8.1%)

가정방문 2(2.4%) 2(2.0%) 4(2.2%)

가정통신문 0(0.0%) 0(0.0%) 0(0.0%)

참관 및 참여수업 2(2.4%) 6(5.9%) 8(4.3%) 인터넷 소모임 0(0.0%) 1(1.0%) 1(0.5%) 관련 서적 및 자료 대여 0(0.0%) 1(1.0%) 1(0.5%)

가족 캠프 3(3.6%) 2(2.0%) 5(2.7%)

현장 체험 활동 1(1.2%) 11(10.8%) 12(6.5%) 가족 상담 12(14.3%) 6(5.9%) 18(9.7%)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지원 프로그램 실시 방법’에 대한 요구로 교사는 IEP와 교 육활동 참여가 46명(54.8%)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가족 상담이 12명 (14.3%)나타났으며, 세 번째로는 개별상담이 10명(11.9%) 순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는 IEP와 교육활동 참여가 38명(37.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개별상담이 25명(24.5%), 세 번째는 현장 체험 활동으로 11명(10.8%)로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31)

에 따라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방법에 대한 요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20.575, 유의확률은 0.024로 유의수준 .05에서 요구차이가 있다 고 할 수 있다.

2)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 족의 요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31>과 같다.

<표 31>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장애 영․유아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 16(19.0%) 21(20.6%) 37(19.9%)

df = 10 x²= 27.302 p = 0.002 장애 영․유아의 장애 원인과

선별, 진단 및 예방 방법 3(3.6%) 1(1.0%) 4(2.2%) 장애 영․유아의 통합교육 22(26.2%) 34(33.3%) 56(30.1%) 장애 영․유아의 초등학교 연계

교육에 관한 정보 - 진학 3(3.6%) 8(7.8%) 11(5.9%) 장애 영․유아의 치료지원에

관한 정보 2(2.4%) 11(10.8%) 13(7.0%) 심리, 정서적 지원 18(21.4%) 11(10.8%) 29(15.6%)

여가 활동 지원 1(1.2%) 2(2.0%) 3(1.6%) 영․유아 탁아 지원 0(0.0%) 3(2.9%) 3(1.6%) 교통 수단 지원 0(0.0%) 1(1.0%) 1(0.5%) 부모(가족)교육 및 상담 18(21.4%) 5(4.9%) 23(12.4%)

5(4.9%) 6(3.2%) 1(1.2%)

전문가 확대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요구로 교사는 장애 영․유아의 통합교육이 22 명(2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심리적․정서적 지원 18명(21.4%)과 부 모(가족)교육 및 상담 18명(21.4%)이 공동으로 나타났고, 세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32)

장애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이 16명(19.0%)으로 나타났다. 가족은 장애 영․

유아 통합교육이 34명(3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는 장애 영․유아의 장 애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이 21명(20.6%)으로 나타났고, 세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치료지원에 관한 정보 11명(10.8%)와 심리적 정서 지원 11명(10.8%)가 공동으 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라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내용에 대한 요구 차이를 알 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27.302, 유의확률은 0.002로 유의수준 .05 에서 요구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요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32>와 같다.

<표 32>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장애 영․유아 부모의 부부관계

프로그램 8(9.5%) 11(10.8%) 19(10.2%)

df = 8 x²= 21.984 p = 0.005 가족 상담 프로그램 42(50.0%) 22(21.6%) 64(34.4%)

부모와 자녀 관계 향상 프로그램 18(21.4%) 33(32.4%) 51(27.4%) 비 장애 형제 자매

프로그램 - 상담 및 교육 4(4.8%) 6(5.9%) 10(5.4%) 비 장애 형제와 장애 형제와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3(3.6%) 14(13.7%) 17(9.1%) 부모 외에 자녀를 돌보는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 3(3.6%) 2(2.0%) 5(2.7%) 가족의 친인척을 위한 프로그램 0(0.0%) 0(0.0%) 0(0.0%) 맞벌이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 1(1.2%) 5(4.9%) 6(3.2%) 다른 가정과의 결연 지원 0(0.0%) 0(0.0%) 0(0.0%) 어머니를 위한 프로그램 2(2.4%) 6(5.9%) 8(4.3%) 아버지를 위한 프로그램 3(3.6%) 3(2.9%) 6(3.2%)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33)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요구로 교사는 가족상담 프 로그램이 42명(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는 부모와 자녀 관계 향상을 위 한 프로그램이 18명(21.4%)로,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 부모의 부부 관계 프로그램이 8 명(9.5%)로 나타났다. 가족은 부모와 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33명(3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가족 상담 프로그램이 22명(21.6%)로 나타났고, 세 번째는 비장애 형제와 장애형제의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14명(13.7%) 순으로 나 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라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실시 종류에 대한 요구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21.984, 유의확률은 0.005로 유의수준 .05에서 요구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4)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33>과 같다.

<표 33>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장애 영․유아의 신변 자립 및 건강 안전 42(50.0%) 36(35.3%) 78(41.9%)

df = 5 x²= 12.074 p = 0.034 장애 영․유아의 학습지도 방법 0(0.0%) 6(5.9%) 6(3.2%)

장애 영․유아의 놀이지도 방법 5(6.0%) 11(10.8%) 16(8.6%) 장애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방법 23(27.4%) 21(20.6%) 44(23.7%)

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 수정 방법 13(15.5%) 27(26.5%) 40(21.5%) 장애 영․유아 성교육 1(1.2%) 1(1.0%) 2(1.1%)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로 교사는 장애 영․유아의 신변자립 및 건강 안전 영역이 42명(50.0%)로 가장 높게 나타 났고, 두 번째는 장애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지도 방법이 23명(27.4%), 세 번째는 장 애 영․유아 문제행동 수정 방법이 13명(15.5%)로 나타났다. 가족은 장애 영․유아의

(34)

신변 자립 및 건강 안전이 36명(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는 장애 영․

유아 문제행동 수정 방법이 27명(26.5%)로 나타났고,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 기본생활 습관 지도 방법이 21명(20.6%)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라 장애 영․유아 생활 지도 시 필요한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 통계값은 12.074, 유의확률은 0.034로 유의수준 .05에서 요구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5) 장애 영․유아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장애 영․유아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로 교사는 장애 영․유아의 신변 자립 및 건강 문제가 41명(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 특성에 대한 적절한 교육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이 26명 (31.0%),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의 사회성 증진 교육이 10명(11.9%)으로 나타났다. 가 족은 장애 영․유아 특성에 대한 적절한 교육 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이 37명(3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신변자립 및 건강문제 31명(30.4%) 로 나타났고, 세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사회성 증진 교육이 15명(14.7%) 순으로 나 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라 장애 영․유아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8.800, 유의확률은 0.066로 유 의수준 .05에서 요구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장애 영․유아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34>와 같다.

<표 34> 장애 영․유아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지원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장애 영․유아의 신변 자립 및

건강 문제 41(48.8%) 31(30.4%) 72(38.7%)

df = 4 x²= 8.800 p = 0.066 장애 영․유아의 특성에 대한

적절한 교육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 26(31.0%) 37(36.3%) 63(33.9%) 의사소통 관련된 언어정보교육 6(7.1%) 13(12.7%) 19(10.2%) 인지․학습과 관련된 교육 1(1.2%) 6(5.9%) 7(3.8%) 장애 영․유아의 사회성증진 교육 10(11.9%) 15(14.7%) 25(13.4%)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35)

6)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검증한 결과 다음 <표 35>와 같다.

<표 35>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이 겪는 심리적 변화 37(44.0%) 32(31.4%) 69(37.1%)

df = 6 x²= 15.186 p = 0.019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의 생활환경 변화 6(7.1%) 10(9.8%) 16(8.6%) 장애 영․유아의 지원을 위한

경제적인 어려움의 대처 방안 4(4.8%) 13(12.7%) 17(9.1%) 장애 영․유아의 양육방법의

어려움에 대한 도움 24(28.6%) 22(21.6%) 46(24.7%) 장애 영․유아와 의사소통 하는 방법 12(14.3%) 16(15.7%) 28(15.1%)

장애 영․유아 형제 자매와 장애

영․유아와의 관계 개선에 대한 도움 0(0.0%) 9(8.8%) 9(4.8%) 장애 영 유아의 상태를 주변

인물(친척, 친구, 이웃 등)에게 설명하기 위한 도움

1(1.2%) 0(0.0%) 1(0.5%)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가족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로 교사는 장애 영․유아 의 장애로 인한 가족이 겪는 심리적변화가 37명(44.0%)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양육방법의 어려움에 대한 도움이 24명(28.6%),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와 의 사소통 하는 방법이 12명(14.3%)으로 나타났다. 가족은 장애 영․유아의 장애로 인한 가족 이 겪는 심리적 변화가 32명(3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의 양육방법의 어려움에 대한 도움이 22명(21.6%)로 타나났고, 세 번째로 장애 영․유아와 의 사소통하는 방법이 16명(15.7%)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라 가족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 값은 15.186, 유의확률은 0.019로 유의수준 .05에서 요구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6)

7)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 프로그램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검증한 결과 다음 <표 36>과 같다.

<표 36>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 프로그램

구분 대상자

교사 가족 전체 장애 영․유아의 법적 지위와

부모의 권리 설명 15(17.9%) 22(21.6%) 37(19.9%)

df = 3 x²= 12.323 p = 0.006 장애 영․유아의 교육 및 치료비와

관련된 정책(바우처사업)설명 25(29.8%) 42(41.2%) 67(36.0%) 장애인 보호시설 설명 0(0.0%) 0(0.0%) 0(0.0%) 장애인 복지제도 설명 9(10.7%) 19(18.6%) 28(15.1%) 장애 영․유아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관 정보 설명 35(41.7%) 19(18.6%) 54(29.0%) 전체 84(100%) 102(100%) 186(100%)

* p < .05

국ㆍ공립 통합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로 교사는 장애 영․유아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관 정보 설명이 35명 (41.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애 영․유아 교육 및 치료비와 관련 된 정책(바우처 사업) 설명이 25명(29.8%), 세 번째는 장애 영․유아의 법적지위와 부모 의 권리 설명이 15명(17.9%)으로 나타났다. 가족은 장애 영․유아의 교육 및 치료비와 관련된 정책(바우처 사업) 설명이 42명(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번째로는 장 애 영․유아의 법적 지위와 부모의 권리 설명이 22명(21.6%)로 나타났고, 세 번째로 장 애인 복지 제도 설명이 19명(18.6%), 장애 영․유아 가족들이 활용 할 수 있는 지역사 회 기관 정보 설명이 19명(18.6%)로 공동 순위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라 장애 영․유아 권리․복지와 관련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정을 실시한 결과, x²통계값은 12.323, 유의확률은 0.006로 유의수준 .05에서 요구차 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참조

관련 문서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y human resource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company cooperation method of IT SM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 activities using Motion-based games on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PAPS in obese elementa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had 14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 which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The result suggested that a taekwon aerobic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growth hormone in blood lipid in middle school girl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student health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wenty middle school

Based on the above results, participation in judo sports club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ody com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First, for the degre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st level was withdrawal/depression, follo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