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포츠담 회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포츠담 회담"

Copied!
6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포츠담 회담

(2)

■ 포츠담 회담(1945년 7월17일-8월 2일)

• 독일 베를린 교외 포츠담에서 열린 제2차 세계대전 연합국 회담(1945. 7.

17~8. 2).

• 주요참석자는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또는 회담 도중 총리가 된 클레멘트 애틀리), 요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장.

• 주요관심사는 패전국 독일의 즉각 통치, 폴란드 서부 국경, 오스트리아 점령, 동유럽에서의 러시아 역할, 배상금, 일본과의 전쟁 등이었다. 이 회담에서는 대체로 옛날 전시 회담에서 볼 수 있었던 우호와 친선은 찾아볼 수 없었다.

각 나라는 오로지 자국의 이익에만 관심이 있었다. 특히 처칠은 스탈린의 속 셈과 완강한 태도를 의심함.

(3)

■ 포츠담 회담(1945년 7월17일-8월 2일)

• 무장해제(demilitarization)·비(非)나치화(denazification)·민주화 (democratization)·비중앙집권화(decentralization)· 비공업화 (deindustrialization) 등 '5D'를 지향.

• 배상금은 각국 점령지에서 걷기로 되어 있었으나, 러시아는 점령지에서 나는 농산물과 그밖의 천연자원 대신 서부 지구에 있는 공업설비 중

10~15%를 가져도 된다고 허용.

• 폴란드의 서쪽 국경은 오데르 강과 나이세 강으로 결정되었으며 이전의 동프로이센 일부가 폴란드로 귀속되었다. 이때문에 그 지역에 살던 독일인 수백만 명이 독일로 옮겨가야 했음.

• 루마니아·헝가리·불가리아 정부는 이미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으며, 스탈린은 연합국이 발칸 제국에 간섭하는 것을 단호하게 반대

(4)

■ 포츠담 회담(1945년 7월17일-8월 2일)

(5)

■ 포츠담 회담(1945년 7월17일-8월 2일)

(6)

■ 포츠담 회담(1945년 7월17일-8월 2일)

(7)

2차 대전

■ 추축국의 패배

-

(8)
(9)
(10)
(11)

2차 대전

-

(12)

마샬 플랜

(13)

■ 마샬 플랜

• 정식 명칭은 유럽 부흥계획(European Recovery Program;ERP).

• 미국의 후원으로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서·남 유럽의 경제를 재건하여, 민 주주의 국가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안정된 조건을 만들고자 세운 계획

(1948~52).

• 미국의 국무장관 조지 C. 마샬은 1947년 6월 5일 하버드대학교에서 행한 연 설을 통해 유럽의 자립계획에 미국이 재정지원을 할 의사가 있음을 밝힘.

• 마셜 플랜을 위해 특별히 설립된 '경제협력국'(ECA)은 폴 G. 호프만의 지휘 아래 이후 4년간 약 120억 달러에 달하는 경제원조를 제공.

• 동구권 국가들도 마샬 플랜에 의한 원조를 받고 싶었으나 소련의 개입으로 성사되지 못함.

(14)

전후 독일의 모습

1945년 3월 점령 직 후 폐허가 된 본(Bonn) 시내

(15)

전후 독일의 모습

1945년 폐허가 된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 주변

(16)

전 후 1945-1946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전범 재판

(17)

화폐 개혁 단행 1948년 6월 20일

(18)

마샬플랜의 일환으로 도로를 건설 중인 모습

(19)

마샬플랜의 홍보용 포스터

(20)

제헌의회에서 기본법 공표하였다. 나중에 통일 의회

가 헌법을 다시 만들것을 대비 헌법이라 부르지 않고

기본법(Grundgesetz)이라고 함.

(21)

기독교 민주당(Christlich Demokratische Union;CDU) : 현재 SPD와 함께 독일 내 가장 강력 한 국민 정당이다. 1945년 6월 베를린과 퀼른 에서 기독교 민주당의 창립총회가 개최되 었다. CDU는 비사회주의 계열로써 기독교 원칙을 바탕으로 하고 민주주의와 자유를 존 중하는 대규모의 국민 정당이다. 공공의 문제에 있어서 기독교 원리와 윤리관에 입각한 대정당만이 나치즘과 공산주의 무신론적 독재에 대항하고 독일인의 교육과 재흥의 길 을 열어준다는 문제의식하에 창당하였다. 기독교적 세계관만이 법, 질서, 절도등에 있어 서 개인의 존엄성과 자유를 보장하며 나아가 진정한 민주주의를 보장하고 기독교 윤리 관을 통해 개인의 권리와 의무, 국가 재건, 국가 권력 제한등의 규정을 추구하고자 한다.

새로운 정당의 핵심은 중앙당의 구교도로 형성되었지만 상당수의 개신교도들이 당내 주류로 편입되었다. 경제적으로 자유경쟁에 대한 규제를 인정하고 정강정책 속에 사회 적 시장경제를 독일의 경제정책으로서 적극적으로 실행하였다. 1947년 기독교 사회당 (CSU)와의 연정을 하고 1948년 8월에 실시된 연방 의회 선거에서 승리를 거둠으로써 국 민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1950년대에 사회적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 을 꾀하며 국가 재건에 이바지함으로써 총선 때마다 과반에 가까운 지지를 얻었다.

1966년 FDP와의 공조가 깨지고 경쟁당인 좌파 정당 사회민주당(SPD)과 연정을 하였으나 1969년 선거에서 FDP와의 연정에 실패하여 과반 의석에 도달하지 못하며 SPD-FDP에게

■ 전후 독일 연방공화국의 3대 정당

(22)

• 사회민주당(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SPD): 1879년 창당된 바이마르 사회민주당이 전신이며 이 당시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를 채택 하므로써 공산당과는 차별되는 사회주의 계열 정당이다. 전형적인 노동 자들을 위한 좌파 정당이며 1945년 슈마허(Kurt Schumacher)가 재창당 하 였다. 1950년대까지 재무장정책과 EDC안에 대해 반대하였으나 1959년 고 데스베르그 강령을 통해 노동자들만의 정당이 아닌 대중 정당으로서 기 존의 노선을 버리고 우선회 하였다. 사회민주주의, 자유와 재분배를 통한 사회 정의실현, 대기업 이윤의 균등 분배 등을 지지하며 1969년 FDP와의 연정에 성공하여 집권하였고 이 후 적극적인 동방정책을 펴게 된다.

■ 전후 독일 연방공화국의 3대 정당

(23)

• 자유민주당(Freie Demokratische Partei; FDP ) : 1947년 데오도르 호이쓰 (Theodor Heuss) 총재를 중심으로 창당되었다. 자유와 최소한의 국가 권 력을 추구하는 자유주의자들이 주를 이루며 비스마르크 시대 이후 분열 된 좌익 자유정당(Deutsche Demokratische Partei) 및 우익 자유정당

(Deutsche Volkspartei)이 결합하여 형성된 정당이다. 19세기부터 뿌리를 내려온 자유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1966년에서 1969년 사이 CDU/CSU와 SPD의 연정 당시 유일한 야당이었다. 당세는 미약하지만 CDU/CSU와 SPD가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지 못할 때 연립정부 구성시 캐 스팅보트를 행사하고 있다. 전형적인 우파정당이며 경제적 자유주의를 선호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CDU/CSU보다 정강정책에 있어서 더 욱 우파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다만 연립정권 수립시 좌우에 관계없이 탄력적으로 연정함으로써 당의 지지도와 쇄신을 기하고 있다. FDP 지지 계층은 보편적으로 중소기업가, 자영업자, 변호사, 의사 등이며 경제전문

■ 전후 독일 연방공화국의 3대 정당

(24)

■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 1951년 4월 루르 지방의 석탄과 철강의 생산량이 늘어나자 프랑

스가 독일을 견제하고 유럽의 질서를 주도하기 위해 추진한 경제

협력 기구이다. 독일 역시 산업화를 추진하고 재건하기 위해 이에

동조하였다. 유럽 공동체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이탈리아, 독일연

방공화국, 베네룩스 3국이 참여하였다. 공동 시장을 통해 무관세

와 각종 무역 장벽을 철폐하여 유럽내 경제 개발과 새로운 유럽질

서를 형성하였다.

(25)

베를린 위기와 쿠바사태

(26)

■ 1차 베를린 위기(베를린 봉쇄;1948.6.24-1949.5.12)

• 1차 베를린 위기는 연합국 관할의 서베를린의 육로를 소련이 막아버 린 상황임.

• 미국 B-29 폭격기가 고립된 서베 를린에 물자를 공급하고 있는 장 면.

(27)

■ 2차 베를린 위기(1958년 11월)

• 두 번째 베를린 위기는 1958년 11월 후루시초프의 최후통첩으로 이

루어 졌으며 1944년 전후 처리에 관한 유럽 자문위원회(Europe

Advisory Committee; EAC)합의와 이에 준하는 합의가 더 이상 효력이

없으며 독일 문제 해결을 위해 마땅히 베를린은 독일민주공화국에

귀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방국에게 베를린 문제를 해

결하지 않을 경우 베를린의 동독화를 추진하겠다고 통보했다.

(28)

■ 2차 베를린 위기

• 이에 대해 서방국은 일단 최후 통첩을 거부하고 소련측이 최후통첩

을 철회한다면 다시 협상하겠다고 하였다. 서방국의 약한 모습에 아

데나워 수상은 크게 실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아데나워 식의 힘의

정치와 중부 유럽의 해방을 서방국이 수용하지 못하고 소련 측의 일

방적인 통첩이 현상 유지를 공고화하게 되는 역할을 하였다.

(29)

■ 2차 베를린 위기

• 1958년 11월 10일 후루시초프는 모스크바에서 서베를린을 자유도시로 전환시킬 것을 최후통첩

• 이후로 소련은 서베를린을 지배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시도하였으나 미 국과 영국, 프랑스의 서베를린 사수 의지가 확고하자 서베를린을 동독 에 편입시키려는 계획을 포기 .

• 케네디 행정부는 1961년 4월 쿠바의 카스트로 정권 전복시도가 실패하 고 6월에는 빈에서 미소 정상회담을 열었으나 베를린 문제에 대해 면밀 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소련의 입지를 강화시키는 결과를 야 기. 베를린 장벽 구축에 원인 제공.

(30)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1961년 8월 13일 새벽 동독은 바르 샤바 회원국의 동의 하에 베를린 장벽 건설.

더 이상의 동독 고급인력의 이탈 을 막기 위한 조치. 브란덴 부르크 대문에 접근하는 자에게 물대포 발사 장면

(31)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처음에는 관할구역 경계 가 길로 되어있던 곳에서 는 가옥의 창문을 빠져나 와 길만 건너면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다.

가옥의 현관은 벽돌로 폐쇄되었다.

(32)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한 동독 경찰이 경계가 소 홀한 틈을 타 자유의 세계 로 탈출하고 있다.

(33)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그 후로는 창문에 철조망이 쳐졌 다.

동베를린의 한 시민이

자유 세계를 내다보고 있다.

(34)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탈출이 계속되자 장벽에 접한 주택에 사는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키 고 폐쇄조치함. 모든 건물의 창문이 콘크리트로 봉해짐.

(35)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포츠담 광장에 초기의 장벽이 설치된 모습. 후에 베를린 장벽은 이

(36)

포츠담 질서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37)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38)

■ 베를린 장벽 건설(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설치이후 민주당 대통령인 케네디가 방문. 서베 를린은 지키겠다고 약속(1963년 독일 베를린 방문).

(39)

베를린 장벽

아데나워는 미 케네디 행정

부에 크게 실망하고 현상을

고착화하고 독일 문제에 대

해 유화정책으로 일관하는

케네디 정부를 신뢰하지 않

(40)

루드비히 에르하르트 (Ludwig Erhard)

1897년 2월 4일 바이에른 주의 퓌르트에 서 탄생. 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가 부상 1919년에 제대.

프랑크푸르트에서 경영학과 사회학을 공부하고 경제 연구소에 재직 경제학자로 서 명성을 쌓음. 미 점령군의 발탁으로 1945년 10월 바이에른 주의 경제장관 역 임. 그 자리에서 곧 물러나 뮌헨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1947년에 미영 경제통 합지역 Bi-Zone의 통화와 크레디트 분과 위원장으로 일하였다. 그는 화폐개혁의 준비에도 참여.

(41)

루드비히 에르하르트 (Ludwig Erhard)

1963-1966

• 재무부 장관인 에르하르트 장관이

수상으로 취임하였다.

(42)

■ 쿠바 사태

• 미국은 소련의 지원하에 건설되고 있는 쿠바의 중장거리 핵미사일 기지를 포 착.

• 쿠바는 아메리카 대륙의 유일한 공산주의 체제 국가로써 미국의 입장에서 눈 에 가시 같은 존재였음.

• 미소간의 13일에 걸친 신경전이 계속됨(1962년 10월 22일- 11월 2일).

• 그로미코 장관과의 비밀 협상 끝에 미국으로부터 더이상 쿠바의 공산정권을 전복시키려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내고 쿠바의 미사일을 철수함.

(43)

68 운동

(44)

■ CDU와 SPD의 연정 시기(1966-1969)

독일민주 공화국 1967년 4월 22일 SED 공산당 대회

후루시초프 실각후 독일 민주 공화국 의 SED(통합사회당;동독내 유일 정당) 의회에 참가한 소련의 브레즈네프 서기장

왼쪽부터 호네커, 브레즈네프, 울브리히트, 하거, 슈토프

(45)

■ CDU와 SPD의 연정 시기(1966-1969)

프라하의 봄의 좌절(1968.8.20-21)

(46)

■ CDU와 SPD의 연정 시기(1966-1969)

(47)

■ 68 운동

• 혁명적 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커다란 차원의 사회운동.

• 미국, 서독, 이탈리아, 영국, 아일랜드외 서유럽지역에서 일어난 사회적 항 의.

• 인도, 멕시코, 브라질,등지에서 연쇄적으로 발생. 각국마다 대학에서 시작됨.

• 1953~60년대까지의 경제적 호황과 인구증가

• 물질적 안정속의 신세대들은 구세대들의 권위와 복종, 사회적 위계질서, 전 통적 문화에 비판

(48)

■ 68 운동

• 저항 : 여성의 부당함, 흑인의 차별인습 폐지 적극 호소, 당시 60년대 전반기 미국에서 시작.

• 사회적 약자들의 조건을 개선하려는 젊은이들의 운동은 60년대 중반에 국제 적 공감대 형성.

• 프라하에서의 자유의 외침.

• 체 게바라의 쿠바혁명은 패권세력에 대한 도전과 대안

• 이집트외 신생 아프리카의 반식민주의사상등의 지식인들 연대의식

• 베트남 전쟁과 미국개입 반대. 범유럽 행동회의, 프랑스 대학생 적극적 지원.

(49)

■ 68 운동

• 신 좌파 그룹

• 총 2000명 정도의 소수 성원. 그러나 막강한 영향력 행사.

• 공산주의 쇠퇴 -> 아나키즘과 맑시즘의 결합의 형태로 변환

• 아나키즘

• 권위를 거부. 이론뿐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이 갖고 있는 삶의 태도이자 방 식 .

• 미국의 비트닉, 히피운동 : 공동체 생활, 상호부조

• 68년 젊은이들은 사회의 변혁과 자신들의 변화를 갈망.

• 트로츠키 주의, 마오주의 : 부각되는급진주의

• 트로츠키주의 ; 스탈린주의 반대, 소그룹으로 재탄생.

(50)

■ 68 운동

• 경제와 교육, 문화를 일부에서 향유하는 특권자들의 사회, 그런 사회는 더 이상 우리에게 필요없고 좋은 사회가 아니라는 결론 도출.

• 연대의 감정과 연대의 조직을 넓혀감.

(51)

■ 68 운동

• 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젊은이들 즉 2차 대전을 겪어보지 못한 세대들 이 지성인이 되기 시작할 무렵에 탈 권위와 과거에 대한 역사의 반성을 요구 하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 유럽은 기존 정치 사회에 대해 심한 무력감, 좌절감과 위기를 느끼며 그동안에 만연되어 있던 근대화에 대해 정 면으로 도전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전 유럽에 탈 권위와 탈 근대화라는 새로 운 이념적 지평을 마련하였으며 좌파이념이 다양화되는 사회적 전기를 마련 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탈 권위와 다원화된 사회를 요구하는 베이비 붐 세대의 신사고의 반영은 기존의 전통과 권위에 대해 부정하여 다양한 요 구를 수렴하기 위함이었고 이들은 각자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

(52)

■ 68 운동

(53)
(54)

닉슨 독트린

(55)

■ 베트남 개입 중지

• 월남전의 장기화로 인한 소모전 양상, 중․소 분쟁의 극대화 , 쿠바 위기이후 미․소 의 표면적 갈등의 장기화

• 닉슨의 공약은 대외 정책에 변화가 있을 것임을 시사. 미국은 아시아 우방국 의 경제군사 원조를 제공하나 해외주둔 미군은 감축할 것.

• 세계 외교 다변화와 월남전의 조기 종식, 미국의 대 우방국 지원 강화

(56)

■ 미소간의 데탕트 합의

• 닉슨과 키신저는 1960년대 이후로 양극 체제가 와해되고 중국, 프랑스, 일본 을 비롯한 새로운 세력과 국제 역학 구조가 전개됨에 따라 기존의 냉전 구 조가 변했음을 인식하고 케네디 시대에 전 세계 적인 봉쇄로 이어진 구조를 개선하고자 전략적 후퇴를 하려함.

• 키신저 보좌관은 소련과 중국 등의 사회주의 블록을 인정하고 이를 적대적 으로 대처하지 말고 세력균형게임을 하는 선에서 머물러야 한다고 제시

• 닉슨독트린은 하나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는 안정적 구조를 지향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극 체제의 방식을 열전과 냉전의 구조가 아닌 외교의 효 과를 극대화 하여 안정적인 양극의 구도를 심화시키는 것.

• 따라서 기존의 냉전의 대립구도에서 초강대국 사이의 세력을 안정적으로 관리및 현상유지(status quo).

(57)

■ 중국과의 접근

• 중국과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된 시점을 이용하여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

• 중국의 모택동은 문화 혁명을 추진하면서 소련의 후루시초프 수정주의(탈 스탈린 주의및 평화공존정책)를 맹비난함. 모택동은 소련이 진정한 사회주 의를 포기했다고 보았음. 중소간의 국경 충돌도 있으면서 양국의 대립이 격 화됨.

• 미국은 중소 관계가 균열된 것을 이용하여 소련을 견제하고 미․중 양국 간 의 공통된 외교적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아시아내의 힘의 균형을 맞추려 함.

• 월남전의 패배를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만회함.

• 미국은 1972년 중국과의 대사급의 국교를 수립하면서 핑퐁외교를 통해 이를 과시함.

(58)

■ 빌리브란트의 동방정책(Ostpolitik)과 소련

브레즈네프와 빌리브란트가 데탕트협의를 위해 모스크바 조약 직후인 1971년 9월 만남.

(59)

■ 빌리브란트의 동방정책과 소련

브레즈네프와 빌리브란트가 지속적인 데탕트협의를 위해 모스크바 조약 직후인 1973년 만남.

(60)

■ 빌리브란트의 동방정책

1970년 12월 7일 바르샤바 방 문시 나치에 희생된 유태인 추념비 앞에 무릎을 꿇어 사 죄하는 모습.

참조

관련 문서

[r]

에너지 효율이 차세대 제품경쟁력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EU를 비롯한 수출시장에서 에너지 효율 규제가 강화되는 것에 대비하여 에너지 고효율 제품을 개발, 생산할 수

공학교육인증제는 기업과 사회의 요구를 교과과정에 지속적으로 반영시킴으로써, 졸업 후 공학실무를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장하며 나아가 국제적

부가가치세법 제8조제6항은 사업자등록 사항의 변경 시에는 변경등록 신청하도록 정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에서 변경등록 사항으로 11가지를 열거하면서 개인의

기본원리 3: 합리적인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개인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4가지 기본원리.. 개인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4가지 기본원리.. TEN PRINCIPLES OF

- 경력은 자립을 정신적 지주로 하는 개인주 의의 전통을 배경으로 개인의 선택과 책임 을 기반으로 자신을 나타내는 방법.. 개인의

• 전통적으로 여성의 영역인 돌봄 노동의 가치가 사회맥락 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는 현실 à 기존의 시장중심적, 남 성중심적 노동 개념을 확장.. • 여성의 노동 시장에서의

알다시피 플라톤의 저술들은 모두 대화의 형식을 취하 고 있다.. by)John Burnet, Oxford Univ.. 인용은 한국어 판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