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 교환이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5. 교환이론"

Copied!
3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 교환이론

 교환이론

 행태주의

 합리적 선택 이론

 게임 이론

 사회 네트워크 분석

(2)

교환이론

 교환이론은 개인의 사회적 관계에 초점을 둔다.

 교환이론은 광범위한 사회적 관계에 경제적 분석을 적용한다. 행 동주의 심리학(behavioral psychology)과 행동경제학

(behavioral economics) 의 가정을 사용한다.

 최근 교환이론은 사회적 관계의 연결망(network)에 관심을 가진 다.

(3)

레비스트로스의 교환

 프랑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Lévi-Strauss)는 『친족의 기본 적 구조』(1947)에서 교환을 이미 형성된 사회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 그는 교환을 관계의 형성을 이끄는 것으로 보는 대신, 사회적 관 계가 교환에 의해 표현되고 접합되는 것으로 보았다.

 그는 일부 부족사회에서 신부로 여성의 교환이 발생한다고 보았 다.

(4)

행태주의

 2차 세계대전 이후 행태주의(behavioralism)는 인간의 경험적 행 동을 체계적 관찰을 통해 측정하는데 관심을 가졌다.

 행태주의 심리학처럼 사회학적 행태주의는 ‘특정 행위자의 행동 이 그 환경에 미친 결과’와 ‘그 결과가 그 행위자의 추후 행동에 행사할 영향’에 관심을 가진다.

 행태주의자는 보상과 비용, 또는 강화와 처벌에 관심을 가진다.

보상이 행동을 강화시키는 능력이라면, 비용은 반대로 행동이 일 어날 가능성을 줄인다.

(5)

합리적 선택

합리적 선택(rational choice) 이론은 행위자의 목적과 의도에 초점을 맞춘다. 행위자들은 선호(preference), 가치(value), 효용(utility)을 가 진다. 이 이론은 개인의 선호의 출처에 관심이 없다. 행위자는 선호의 우선순위에 따라 목표를 수행한다고 본다. 하나를 선택하기 때문에 포 기하는 것의 가치를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이라고 한다.

행위에 대한 2가지 제약이 존재한다. 첫째, 자원의 희소성이다. 행위 자는 상이한 자원을 보유하며, 자원에 접근할 역량의 차이가 있다. 많 은 자원을 가지는 행위자는 목표를 달성하기 쉽고, 자원이 없는 행위 자는 목표 달성이 어렵다. 기회비용은 자원의 희소성과 관련이 있다.

개인의 행위에 대한 두 번째 제약은 사회제도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개인에게 가능한 행위자의 방향을 제한하여 강제할 수 있는 게임의 규 칙 – 규범, 법, 의제, 투표 규칙-은 체계적으로 사회적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Friedman and Hechter, 1988: 202).

(6)

신고전파 경제학

 합리적 선택 이론은 주로 신고전파 경제학의 가정에서 비롯되었 다. 신고전파 경제학은 개인의 합리적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

 주로 시장이 균형(equilibrium) 상태를 유지한다면 인간은 합리적 으로 행동한다고 가정했다. 완전 고용과 효용 극대화의 원리가 제대로 작동한다면 인간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maximizing) 하기 위해 행동할 것이라고 보았다.

 개인적 차원에서 종종 비합리적 선택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개 별적· 확률적 예외는 있어도 전체적·지속적 예외는 불가능하다.

 불합리한 선택은 좀 더 큰 이익을 주는 합리적 대안에 의해 시장 에서 도태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두가 합리적 행 동을 한다면 인간 행동의 예측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7)

호만스의 교환이론

호만스(George Homans)는 사회교환을 두 사람 이상이 유형, 무형의 보 상과 비용을 주고 받는 행위의 교환으로 정의했다 (Homans, 1961,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개인은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이고, 상호작용을 한다.

사회적 사실의 대표적 사례는 사회 규범이다. 집단 규범은 개인의 행동 을 순응하도록 제약한다. 그러나 규범은 자동적으로 제약하지 않는다.

개인이 순응하는 이유는 그것이 유리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며, 이런 인지 된 이점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심리학이다(Homans, 1967: 60).

개인의 발현적 특징(emergent properties)은 심리학적 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은 사회학 영역에서 인간을 다시 불러들이는 계획이다.

예를 들어, 산업혁명과 기계의 발명으로 사람들은 자신에게 주어질 보상 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행동하게 된다.

호만스는 파슨스 이론은 많은 효능을 가지나 아무것도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기능주의는 개념 틀이지 이론이 아니다.

(8)

사회적 행동

호만스는 <사회적 행동: 그 원초적 형태>(1961)에서 행태주의 심리학과 경제학에 기반하고 있다고 인정했다.

성공(success) 명제: 사람들의 행동은 더 자주 보상이 주어질수록 그 행 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자극(stimulus) 명제: 과거의 자극이 원인이 되어 개인이 보상을 받으며 유사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커진다.

가치(value) 명제: 특정인의 행위 결과가 자신에게 큰 가치를 가지면 그 행동을 할 가능성이 커진다.

박탈-포만(deprivation-satiation) 명제: 특정인인 과거에 특정한 보상을 더 자주 받을수록 그 이상의 어떤 단위의 보상도 점차 덜 가치 있는 것이 된다.

공격-승인 명제: 한 사람이 기대했던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처벌을 받 으면 화를 내게 될 것이다. 공격적 행동을 할 가능성이 커지고 그런 행동 의 결과는 더 큰 가치를 가진다.

(9)

합리성 명제

 합리성 명제: 특정인이 대안적 행동 중 특정 행동을 선택할 때 그 시점에서 파악하는 그 결과의 가치(v)에 그 결과를 얻을 확률(p) 을 곱한 값이 더 큰 행동을 선택할 것이다(Homans, 1974: 43).

 호만스는 합리적 이익 추구자로서 행위자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 였다.

(10)

블라우의 교환이론

 블라우(Peter Blau)의 질문: 사회적 삶이 어떻게 점차 개인들의 연결관계(association)의 복합구조로 조직화되는가(1964: 1).

 블라우는 개인들의 교환에서 사회구조, 사회변동에 이르는 4개의 단계 -개인들의 교환, 지위와 권력의 분화, 정당화와 조직, 저항 과 변화- 로 구분하였다.

 개인의 수준에서 블라우는 호만스와 유사한 가정을 전제한다. 개 인은 보상 반응에 따라 행동하며, 기대했던 행동이 없으면 행위 를 중단한다.

 복잡한 사회구조를 매개하는 기제는 사회에 존재하는 규범과 가 치이다.

 블라우는 교환이론을 사회적 수준으로 확대했다고 주장하지만, 사회적 수준과 개인적 수준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충분히 설명하 지 못한다.

(11)

초기 교환이론 비판

 교환이론은 인간의 상호작용을 경제학 이론이 제안한 합리적 과 정으로 환원한다.

 교환이론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과 개방성을 전제하지만, 인간 의 관계에서 반드시 선택과 개방성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인 간의 행동은 공통의 규범, 가치, 문화, 제도적 제약을 받는다.

 교환이론은 관계의 궁극적 목표가 단선적(linear) 구조라고 보지 만, 일부 관계는 친밀성에 따라 중간 단계가 생략되기도 하고, 몇 단계 건너뛰기도 한다.

 교환 규칙은 이타주의, 집단이익, 지위 일치와 경쟁에 의해 영향 을 받는다(Meeker, B. F., 1971. Decisions and exchan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6:485-495).

(12)

에머슨의 교환이론

 에머슨(Richard Emerson)은 호만스가 빠진 심리학적 환원주의에 서 벗어나기 위해 거시적 현상을 설명하는 교환이론을 제시한다.

 블라우가 규범적 현상에 의존한 반면, 에머슨은 사회적 관계와 사 회적 연결망(social network)을 다양한 수준에서 분석한다.

 에머슨의 교환이론은 3가지 핵심적 가정을 제시한다: (1) 행동의 결과가 자신에 유익할 경우 사람들은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경향 이 있다; (2) 사람들의 행동에 결과에 몰리기 때문에 그 결과의 효 용가치는 줄어든다; (3) 사회적 과정을 통해 사람들이 획득하는 혜 택 교환은 제공할 수 있는 혜택에 달려있다.

 이에 따라 교환이론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혜택의 흐름’에 초 점을 맞춘다.

(13)

교환 연결망

 에머슨의 거시적 교환 이론에서 행위자는 개인일수도 있고, 더 큰 거대한 집단일수도 있다. 그는 행위자들 사이의 교환 관계에 관심을 가진다.

 교환 연결망(exchange network)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가 진다: 개인과 집합적 행위자의 집합; 가치 있는 자원의 분배; 연 결망 내부의 행위자들의 교환 기회;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교환 관계 또는 교환 기회; 단일한 연결망 구조 내부에서 서로 연 결된 교환 관계.

(14)

권력-의존 관계

 에머슨은 권력을 ‘한 행위자가 다른 행위자로 하여금 참을 수 있 게 만드는 잠재적 비용의 수준’이라고 정의한다. 의존은 ‘한 행위 자가 특정 관계 내에서 참을 수 있는 잠재적 비용의 수준’이라고 정의한다(1972: 64).

 행위자 A와 B의 의존 정도가 같을 때 그 관계는 균형이 있는 것 이다. 의존성의 불균형이 있을 때 덜 의존하는 행위자가 더 많은 권력을 가진다. 따라서 권력은 A와 B 사이의 관계의 구조에 잠재 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또한 권력은 그 관계에서 보상을 얻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균형 있는 관계에서도 비록 균형 상태이지만, 권 력은 존재한다. (예; 노동시장, 결혼시장)

 쿡과 에머슨은 2차적 접근에서 벗어나 구조 내 위치에 기반한 권 력을 이해하기 위해 전체 구조가 그 위치에 얼마나 의존하는지에 따라 ‘구조적 위치에 의한 권력’이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Cook et. al., 1983). (예: 중앙성 centrality)

(15)

합리적 행위 이론

 제임스 콜만(James Coleman)은 합리적 선택 이론을 발전시켰다 . 그는 <Rationality and Society> 저널을 창간하고, <사회이론의 기초>(Foundation of Social Theory, 1980)을 출간하였다.

 콜만은 방법론적 개인주의에 기초를 두고 있고, 거시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미시적 기초로서 합리적 선택 이론을 사용한다.

 사회학이 사회체계를 연구해야 하지만, 거시적 현상은 그 안에 내재된 요인들, 기본적으로 개인들에 의해서 설명되어야 한다.

 개인은 의도적으로 목표를 위하여 행동하는데, 이 목표는 가치나 선호에 의해 형성된다.

 무질서하고 불안정한 집합행동(collective behavior)은 교환이 아 니라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제를 일방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이 전하는 것이다.

(16)

규범과 행위자

 대부분 합리적 선택 이론은 규범을 이미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지 만, 콜만은 합리적 행위자들의 집단에서 규범이 어떻게 나타나고 유지되는지에 관심을 가진다.

 규범은 규범을 준수함으로써 생기는 이익과 위반함으로써 생기 는 손해를 인식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시작되고 유지된다.

 그러나 규범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유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불리한 경우가 있다.

 그는 규범의 내면화를 내적인 규제 체계가 확립되는 것으로 본다 . 사람들은 규범을 위반할 때 스스로 제재한다. 한 행위자나 행위 자 집단은 규범의 내면화를 통해 다른 사람을 통제한다.

(17)

콜만에 대한 비판

 찰스 틸리는 콜만이 인과적 메커니즘을 제시하지 않으며, 불완전 한 심리학적 환원주의, 개인주의적 환원주의를 지지한다고 비판 한다(Tilly, 1997: 83).

 니코스 무젤리스는 콜만이 사회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무시한다 고 비판한다. 콜만 이론이 가진 지나친 엄격성과 보편성은 역사 적으로 특수화된 제도적 맥락을 설명하지 않는다(Mouzelis, 1995, Ch. 2).

 베버는 인간행동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전통적, 감정적, 목 적합리적, 가치합리적 행위. 이 가운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 절한 수단을 선택하는 목적합리적 행위, 주관적 가치에 따라 행 위가 이루어지는 가치합리적 행위를 합리적 행위로 분류했다. 이 에 비해 합리적 선택은 인간의 행동을 목적합리적 행위, 특히 경 제적 합리성의 차원으로 제한했다.

(18)

수인의 딜레마

인간의 합리적 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 사례로 ‘수인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를 들 수 있다. (이 개념은 1950년 미국 수학 자 플러드와 드레셔가 처음 만들고, 캐나다 수학자 알버트 터커가 정 식화한 개념이다)

공범 A와 B가 경찰에 체포되어 격리된 방에서 심문을 받는다. 만약 두 사람이 자백하지 않으면 모두 무죄로 풀려난다.

두 사람이 모두 자백하면 각 3년형을 선고 받는다. 두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 자백하고 다른 사람이 자백하지 않으면, 한 사람은 무죄로 풀려나고, 다른 사람은 10년형을 받는다.

가장 좋은 결과는 서로 자백하지 않는 것이다. 한 사람은 자백하고 다른 사람은 자백하지 않으면 최악의 결과가 생긴다. 이것이 수인의 딜레마이다.

결국 공범 A와 B는 최악의 결과를 피하기 위해 차선책으로 자백하고 각각 3년 형을 받게 될 것이다.

(19)

내시 균형

 게임이론(game theory)은 죄수는 상대방의 결과는 헤아리지 않 고 자신의 이익을 최대로 추구한다는 가정을 전제한다.

 죄수는 협력보다 배신을 통해 더 이익을 얻기 때문에 서로 배신 을 선택하는 ‘내시 균형 (Nash equilibrium)’이 이루어진다.

 내시 균형은 게임이론에서 두 사람이 경쟁자의 선택에 맞춰 최선 의 선택을 하면 서로 자신의 선택을 바꾸지 않는 균형 상태를 가 리킨다. 상대방이 현재 전략을 유지한다는 전제 아래 나 자신도 현재 전략을 바꿀 원인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 1950년 프린스턴대학 대학원생이었던 수학자 존 내쉬(John F.

Nash)가 최초로 제시한 개념이다. 199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 한 그는 영화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 2001)’의 주인공 이다.

(20)

게임 이론의 적용

 게임 이론은 주로 경제학에서 활용하지만, 사회학자도 관심을 갖 는다.

 사회 속의 개인이 자기 이익만 추구하여 행동할 때 사회에 손실 을 주는 행동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공공물의 공짜 이용이 그렇 다.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사람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면 사람들 은 공공물의 비용을 부담하는 것보다 공짜 이용을 선택한다. 그 러나 모든 사람이 그렇게 행동한다면 결국 비용 조달이 불가능해 져 공공물의 제공이 중단될 것이다.

 국제정치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볼 수 있다. 개별 국가가 세계의 환경을 해치고, 자원을 남획하며, 분쟁 지역에 무기를 판매하는 행동을 설명할 수 있다. 국가 협력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개 별 국가는 각자 이익을 추구하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다고 보는 것이다.

(21)

합리적 선택과 차선책

 인간의 합리적 행동을 이해하려는 합리적 선택 이론은 사회과학 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 노르웨이 정치학자 엘스터(Jon Elster)는 “세상에는 사회란 존재 하지 않는다. 단지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개인만 존재할 뿐”이라 고 주장했다 (The Cement of Society: A study of social order, 1989). 사회를 구조로 보는 생각을 무시하는 것이다.

 현대 정치학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합리적 선택 이론은 시장의 합리적 최적화 모델을 가정하고, 거래와 협상을 통해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22)

사회민주주의와 계급타협

 미국의 정치학자 애덤 셰보르스키가 《자본주의와 사회민주주의

》(1985)에서 지적했듯이 서유럽의 노동조합은 사유재산 철폐와 사회주의 혁명을 요구하지 않고, 기업가의 사유재산을 인정하는 대신 임금 인상과 복지 확대를 받아들였다.

 이는 노동조합과 기업가가 서로 타협하여 차선책을 합리적으로 선택한 결과이다. 특히 1938년 살트셰바덴 협약을 통해 노사 타 협을 이루고 사회 안정을 이룩한 스웨덴이 대표적 사례이다.

(23)

협력의 진화

 미국 경제학자 로버트 액설로드(Robert Axelrod)는 수인의 딜레 마를 분석하면서 호혜주의(reciprocity)의 규범에 따르는 협력 (cooperation)의 가능성을 설명한다(<협력의 진화>,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1984).

 협력이 기초가 되는 것은 우정이 아니라 ‘관계의 지속성’이다.

 처음에는 협력하고, 그 다음부터는 받은 대로 돌려주는 ‘팃포탯 (tit for tat)’ 전략을 선택한다.

 결코 먼저 배반하지 않는다.

 배반에 대한 응징은 빠를수록 좋다.

 자기단속적 전략은 도발을 응징해야 하지만, 메아리 효과를 유발 하지 않도록 반응이 너무 커서는 안 된다(제한적 응징).

(24)

사회 네트워크

 네트워크는 개인 또는 조직 사이의 일련의 관계, 또는 연계로 구 성된다(Powell and Smith-Doerr, 1994: 377; Davis and

Powell, 1992; Galaskiewicz, 1993).

 미국 사회학자 마크 그라노베터(Mark Granovetter, 1985: 490) 는 “행위자들이 사회적 맥락 외부에서 원자같이 행동하거나 결정 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들의 목적의식적 행동은 사회관계의 구 체적 체계 속에서 배태(胚胎: embed)된다”고 주장했다.

(25)

6단계의 분리

1967년 하버드 대학 심리학 교수였던 스탠리 밀그램(Stanly Milgram)은 인간의 상호연결성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그는 미국에 살고 있는 두 사람의 ‘거리(distance)’를 알아내려고 했다.

무작위로 선택된 두 개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얼마나 많 은 지인이 필요한가 하는지 실험했다.

위치타, 오마하, 네브래스카 등에 살고 있는 주민들 가운데 무작위로 선 정된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내 목표인물에게 우편물이 도착하도록 전해 달라고 부탁했다. 편지에는 목표 인물의 사진, 이름, 주소, 기타 정보가 포함되었다.

놀랍게도 전체적으로 총 160개 중 42개의 편지가 목표인물에 성공적으 로 도착했다. 편지가 전달되는 중간 단계의 사람의 수를 계산하니 평균 5.5명이었다.

여기에서 사람이 6단계면 건너면 서로 연결이 된다는 유명한 ‘여섯 단계 의 분리’가 나온다.

(26)

약한 연결

 그래노베터의 연구는 보통 사람들에게도 직장을 구할 때 연줄망 (tie)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 1969년 그는 <약한 연결(weak ties)의 힘>이라는 논문을 통해 사람들이 직업을 구할 때 강한 친분 관계보다 약한 사회적 연결 이 더 유용하다고 주장했다.Mark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1973): 1360- 1380.

 친구들은 대개 상호간에도 친구 사이다. 이렇게 친구들의 사회 네트워크는 덩어리와 같은 클러스터(cluster)로 이루어져 있고, 강하게 연결된 작은 서클로 이루어져 있다.

 친구로 이루어진 서클은 약한 연결을 통해 다른 지인과 연결되는 데, 그는 다시 자기 친구들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27)

일자리 구하기

 실제로 가장 친한 친구들은 직업을 구하는 데 정작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 그들은 나와 같은 서클에 있기 때문에 대개 동일한 정보를 가지 고 있을 경우가 많다.

 새로운 정보를 얻고 싶으면 우리는 약한 연결을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냥 아는 사람은 우리의 가장 밀접한 친구들과는 다른 곳에 있으므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색다른 정보를 얻기 때문이다.

 이와 같은 인간의 연결망을 분석하는 경험적 연구는 인간의 사회 적 관계에 대해 더 정확하고 생생한 정보를 줄 수 있다.

 네트워크 분석가들은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직업을 구하거나, 집 단행동의 동원과 정보를 교환할 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 장한다.

(28)

네트워크 분석

 네트워크 분석가는 생산 네트워크가 새로운 제조업 과정과 제품 의 상업화의 발전과정에서 공간적으로 탈중심화되면서도 협동적 인 생산의 역할을 강조한다(Sabel. 1989).

 네트워크 분석가들은 기업집단과 대규모 정치집단에서 개인을 충원하고, 집단적 정체감과 의무를 유지하는 사회 네트워크의 역 할을 강조한다.

 이러한 관점은 시민사회에 대한 국가의 억압에 저항하는 기반을 제공하고, 민주적 타협의 메커니즘을 만드는 자발적, 조직적 행 동을 형성하는 네트워크를 강조하는 학자들의 주장과 비슷하다.

(29)

네트워크 분석 비판

 사회 네트워크 분석은 종종 국가의 행동이 자발적 조직의 형성 자체를 막기도 하고, 코포라티즘(corporatism)과 사회적 타협을 통해 국가가 사회조직의 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는 사실을 간과한다.

 사회 네트워크 분석가는 네트워크가 국가와 사회집단의 의사소 통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면, 의사결정과정에서 어떤 사회집단들이 실질적인 영향력과 권력을 행사하는지를 구 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30)

기업 네트워크

 사회계급 이론가는 네트워크 분석법을 사용하여 상층계급의 이 해와 지배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업과 정책결정기구, 엘리트 사회 집단들의 네트워크를 자세히 분석한다.

 미국사회 내 대규모 은행들이 보유하는 불균등하게 강력한 역할 과 가족의 주식 소유의 효과, 계급을 기반으로 한 기업 행위에서 생기는 권력에 관한 자세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한다(Useem, 1984; Mintz and Schwartz, 1985; Scott, 1997).

(31)

내부 서클

 마이클 우심(Useem, 1984)은 미국과 영국의 주요 기업들의 상 위 이사 직위에 존재하는 ‘내부서클(inner circle)’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 그는 자본가들이 기업체와 함께 사회의 공적, 사적 의사결정 기 구의 참여를 통해 불균등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 우심(1978: 3)은 주요 기업에 존재하는 정치화된 기업인들이 미 국과 영국의 산업 경제에서 대기업의 공통적 이해관계를 설정하 고 추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본다.

(32)

구조적 등위성

 미즈루치(Mizruchi, 1992) 역시 네트워크와 경제적 상호의존이 기업인들의 협소한 이해를 초월하는 정치행동의 통일성을 형성 한다고 논쟁한다.

 그는 행위자들이 유사한 행동을 하는 것은 결속 때문만이 아니라

‘구조적 등위성(structural equivalence)’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 업들 사이의 의사소통이 없어도 그들은 구조적으로 등위적일 수 있다.

(33)

한국의 엘리트 네트워크

 기업과 국가 부문의 공식적, 제도적 분리는 다양한 수준에서 국 가 엘리트와 기업 엘리트 사이의 상호 결합의 관계에 영향을 미 친다.

 사회 조직의 상호 네트워크는 공식, 비공식, 유기적(가족, 결혼, 지연) 관계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첫째, 많은 이익집단은 최 고 상위 차원에서 지배적 조직을 갖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중앙집 권적이고 위계적인 조직질서를 발전시킨다. 둘째, 자문적 조직들 은 조직들 사이의 다양한 층위 속에서 분할되어 있다. 셋째, 일부 조직들은 매우 비공식적인 제도 속에서 탈조직적이고 또는 분산 적이기도 하다.

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직 구조들은 사회조직들 사이의 의사 소통적 기회와 개별 조직들의 권력과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34)

요약

 교환이론은 개인적 행동의 사회적 교환에 관심을 가진다.

 교환이론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보상, 비용 등 개념을 활용하며 경제적 분석을 적용한다.

 교환이론은 결혼, 취업, 친구 관계, 기업 관계, 온라인 소통 등 다 양한 사회적 행동에 대한 분석에 적용된다.

 사회 네트워크 분석은 유행병, 정보관리, 기술 전파, 기업 간 관 계, 비공식적 인간관계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특징을 조사하 는데 유용하다.

참조

관련 문서

학습경험의 평가.. 직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 대안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젃차. Walker의 실제적

만약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충동적으 로 물건을 산다면 어떤 것을 선택함으로써 포기하게 되는 가치, 즉 기회비용이 커 질 가능성이 크다...

è 전통적인 게임이론에서 기본가정 역시 인간은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을 갖는 동시에 자신의 이익을 합리적 으로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봄. è

○ 미국이나 일본도 농가의 경영·소득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일정 부분 을 고정급으로 지원하고 , 가격 급락에 대비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변동급으로

On the other hand, Diba-Grossman and Yuhn theorems postulate that stock prices are cointegrated with market fundamentals in a nonlinear fashion if there is

자료를 분석 하여 불확실 한 사실에 대하여 과학적 , 합리적 판단 을 내린다?. 추론 ( 추측

- 합리적, 과학적 사고방식을 지닌 르네상스 예술가들은 수학적 비례체계가 우주의 질서를 표현한다고 여김 - 주관적, 임의적, 감상적 양식이 아닌 규범과 법칙에

 경제적 유인이란 처벌 가능성이나 경제적 보상과 같이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그 무엇을 의미한다..  합리적 사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