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패션산업 활성화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패션산업 활성화 방안"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패션산업 활성화 방안 -4년제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홍성애·이진희*

한성대학교의류패션산업전공, *원광대학교패션디자인산업전공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y's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or Activating Fashion Business

Sung-Ae Hong·Jinhee Lee*

Dept. of Apparel & Fashion Business, Hansung University

*Dept. of Fashion Design & Appare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접수일(2011년 9월 19일), 수정일(2011년 10월 23일), 게재확정일(2011년 10월 27일)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a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to provide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more appropriate educational courses and to activate the fashion business. A total of 82 different departments related to fashion and apparel were selected from four-year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curricula recently posted on their internet website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More than half (53.7%) of the 82 departments were offering classe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for 3 credits and 4 class hours. College affiliation of the departments that offered curricula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was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the arts (34), human ecology (22), natural sciences (14), humanities/culture (9), and others (3). Human ecology category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the average class hours (3.9), the number of classe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7.6), and the percentage of the classe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out of all major classes offered by the clothing department (19.9%). All 82 departments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of: fashion design (32), clothing (28), and fashion business (22). The clothing category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the average credits (2.8), class hours (3.8), the number of classes offered by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7.6), and the percentage of the classes that offer clothing construction education out of all major classes offered by the clothing department (19.9%).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lothing construction area were classified into 8 different categories of: basic theory and sewing, clothing construction, flat pattern, draping, tailoring and advanced clothing construction, pattern CAD, sewing science and apparel manufacturing process, and clothing construction for special needs. Among these categories, the draping category constituted 21.7% as the largest part.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classes offered by 4 academic years were analyzed into 8 different categories.

Key words: Clothing construction, Curriculum, 4-year domestic university, Apparel, Fashion; 의복구성, 교 육과정, 4년제국내대학, 의류, 패션

Corresponding author E-mail: jinhlee@wku.ac.kr

본연구는한성대학교교내연구비지원과제임.

(2)

I. 서 론

의류산업을통해생산되는의류제품은다양한공정 을거쳐서생산되며그러한공정은의류산업에서필요 로하는다양한전문인력을요구하게된다. 따라서이 러한전문인력양성을위한의류학의학문분야는패 션디자인, 패션마케팅, 의복구성, 의류소재, 복식사등 다양한세부분야들의학문영역을포괄하는복합학문 으로지속적인발전을거듭하여왔다. 그중에서도특 히의복구성분야는최근에급격히발전되고있는 3D

디지털패션테크놀로지접목, CAD/CAM/CIM 등으로 의류제품개발공정첨단화가 이루어지고있으며, 그 중요성이더욱대두되고있어관련학문의성격이가

장많이바뀌고있는의류학의세부분야중하나이다.

또한글로벌패션비즈니스의중요성이더욱부각되면

서 Vendor영업부가외국패션업체의 B바이어로부

터주문을받으면그해당의류제품의가장좋은 fit

창출하기위한테크니컬디자이너역할의전문성도더 욱중요하게대두되고있다. 따라서대학에서의의복 구성교육과정도패션산업의활성화를위하여더욱많 은변화가요구되고있으며국내에서도이미많은대 학들이직·간접적으로이를반영하여기존의교과목 내용에 포함하거나신설과목 개발필요성이대두되고 있다.

특히의복구성분야는 Kim(2000)의연구에서학부,

석사, 박사과정모두중요하게인식한교과목이며, Ju et

al.(2011)의연구에서는전국대학의교과목구성비율

조사에서의복구성분야가포함된제품생산관련과목

(한복포함)이디자인(36.2%) 다음으로 20.4%를나타 내어높은편성비율을보여주고있다. 따라서교육대

상자및대학교육 모두에서중요한 분야로인지하고 있고큰비중을차지하고있으나, 지금까지이에대한

종합적인연구가미비하였다. 따라서현재의빠른

션산업에서의변화에대응할수있는패션전문인력 양성을위해대학에서의의복구성분야교육과정에대 한연구필요성및중요한변화가다각도로 요구되는 교과목분야이다.

지금까지의의류분야교육과정에대한연구는복합 학문으로서의의류학분야전체(Kim, 1996; Ku et al., 1999; Rah et al., 2008) 또는마케팅(Lee & Park, 2007;

Lee, 2002; Lee, 2003a, 2003b; Lee & Lee, 2007), 패션 머천다이저교육(Chun, 2000; Shin, 2001), 패션비즈니 스교육(Han et al., 2011), 패션소매경영과정(Jung, 2009)

및디자인(Cho, 2010; Choo, 1997; Kim, 1999; Park, 2005),

패션드로잉(Chang, 1997), 일러스트레이션(Joung & Park, 1997; Kim, 2008), 의류소재교과목분석(Ju et al., 2011)

등의류학의다양한세부분야에대한교육과정연구 가주로많이수행되어왔다.

그러나선행연구(Ju et al., 2011; Kim, 2000)를통해 중요한세부분야로나타난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과 관련된연구로는 CAD(Choi et al., 2004; Choi, 1993;

Kim & Lee, 1999; Lee, 2004; Lee, 2005) 및패턴(Lee &

Han, 1999), 의류생산자동화(Jo, 1992) 등에대한연구 가수행된바있으나, 이는의복구성분야의극히일부 분에불과하며, 의복구성분야의전체적인교육과정에 대한연구는지금까지찾아보기힘들다. 의복구성분야 는다양한의류제품개발을위한각단계별전체생산 공정과관련된분야로서착의기체인인체의체형분석 및다양한소비자치수체계에대한이해, 평면/입체패

턴, 다양한의류제품의복잡한단계별제작기법, 패턴 CAD/대량생산공정등다양한교과과정이요구되는분 야로서, 이러한의복구성분야의전체교육과정에대한 통합연구가수행된경우를찾아보기 힘들므로 이에 대한필요성이절실히요구된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의복구성분야의교과목이개 설되어있는전국 4년제대학을중심으로의복구성분 야의다양한교과목들을다각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패션산업의활성화에도움을주고각대학에서의복구 성분야의교육과정을개발할때참고할수있는기초 자료를제공하고자한다.

II. 연구방법

1.자료수집

본연구대상은일차적으로의상, 의류, 패션관련

과및전공이개설되어있는전국의 4년제 81대학

의 86학과·전공들로하였으나, 연구목적이의복

구성분야교육과정에대한분석연구이므로, 조사대상 학과들중에의복구성관련과목이개설되어있지않 은 4개학과를제외한총 82개학과·전공자료를최종 자료로연구분석하였다. 자료수집시기는 2011년 6월

12일부터 7월 25일까지조사하였으며자료의내용분 석을위하여각대학의홈페이지를통해공식적으로 게시된교과과정, 대학정보공시를통한대학편람등을 분석자료로사용하였다. 그러나 공시된 자료가 없는

(3)

대학이나내용이충분하지않은경우는해당학과사무 실에자료를확인하고보완하여최종분석자료로사용 하였다.

의복구성분야교과목선정에있어서보편적인의복 구성분야교과목들외에의복을제작하기위한인체분 석과관련된교과목들(인체와의복, 피복인간공학등)

을포함하였으며, 기성복생산과관련된의류생산공정 및봉제와관련된이론과목인봉제과학관련교과목도 포함하여분석대상으로하였다. 그러나각대학및학 과에서해당과목을그학과의교과목연계도등에서 의복구성분야가아닌다른분야로분류한경우에는해 당학과의분류에따라본연구대상에서제외하였다.

또한패션디자인과의복구성의복합적성격을지닌교 과목들로보이는경우에는해당학과들의교과목설명 및개요를통해확인한결과, 대학마다내용이 상이하고 일관된의복구성요소를 갖고있지않아본 연구에서는제외하였다.

2.자료분류및분석방법

본연구대상의소속지역분류는행정구역을기준으 로서울, 인천, 대전, 광주, 울산, 대구, 부산, 경기, 충청 남북도,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 강원도, 제주도로구 분하였다. 이때, 대학자체의명칭보다는현재의소재 지를중심으로 하였으므로, 대구대, 대구가톨릭대등 은대학명에대구란명칭이포함되어있으나현소재지

가경상북도경산시로되어있어서대구가아닌경상 도지역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대구지역에위치한 대학으로는경북대와계명대 2개대학만있었고, 그외 대부분의대학들은경상북도경산시에위치하고있어 소재지에따라경상도지역으로분류되었다. 또한본 캠퍼스는서울에있지만해당학과가다른지역에있 는경우는그학과가소속되어있는지역을기준으로 하여분류하였으므로명지대의 경우는경기지역으로 분류하였다.

의복구성분야교과목이개설된학과·전공의전국 지역별분포및소속대학별의복구성교과목의편성 비율및의복구성교과목군의분포등의비교를위하 여의복구성분야교수 2인이해당자료들을분류하였

으며, 자료분석은빈도백분율의기술통계치를

용하여분석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의복구성분야 교과목이 개설된 학과 전공의 전국지역별분포

의복구성분야교과목이개설된학과·전공들의전 국지역별분포<Fig. 1>를볼때 Seoul(서울)지역이가 장높은분포율을보여전국의 22%를차지하고있었으 며, 특히 Seoul(서울)·Gyeonggi-do(경기도)·Incheon(인

천)의수도권에 37.8%로나타나수도권에집중되어있

Fig. 1. Regional distribution of departments offering clothing construction courses.

(4)

는현상을알수있다. 대도시중심으로볼때는서울과

Busan(부산) 2개도시에 33%나편중되어있어전국의

1/3을차지하였다. 또한부산, Daegu(대구) 등을포함한 경상남북도전체의비율을보면서울을포함한수도권 다음으로높은비율인 28%를나타내어섬유산업이집 중적으로발달한지역적특성이나타나는것을알수있 다. 전국 10개의각도별분포를살펴보면 Gyeongsang- do(경상도), Chungcheong-do(충청도), Gyeonggi-do(경 기도) 가각각 13.4%를차지한반면, Jeolla-do(전라도) 8.5%, Gangwon-do(강원도) 1.2%로상대적인낮은분포 를나타내고있어지역적분포의차이를알수있다.

2. 의복구성분야 교과목의 학점평균/시수평균별

분포

본연구의조사대상인전국 82학과·전공들의

복구성분야교과목들에대한학점평균/시수평균분포를

<Fig. 2>에제시하였다. 대부분의학과·전공들이 2학 점/3시간또는 3학점/4시간과같이시수가학점보다 1시 간더많게운영되는경우로나타나전국의의류관련 학과·전공들의 72%에달하였다. 그중에 53.7%에달 하는많은학과·전공들이 3학점/4시간의형태로교과 목을운영하고있었으며, 이는의복구성분야의교과목 특성상이론과실기를병행하는수업형태가많은것에 따라나타난결과로보인다. 또한 2학점/4시간의형태 나 3학점/6시간의 형태와 같이시수가학점의 2배로 운영되는학과·전공들은전국의 9.7%로아주소수운 영이되고있어서, 보다강도높은실기수업을위한것 으로예측되나학생들의수업집중도및학점이수등 을고려하여효율적인학점대비시수의조화가필요할 것으로판단된다.

3. 의복구성분야개설교과목수의분포

의복구성분야로개설된교과목의개수분포를나타 낸 <Fig. 3>을살펴보면 1과목만개설한학과·전공부 터 13과목을개설한학과·전공까지매우다양하게나 타났다. 그중에 7과목을개설한학과·전공들이 22곳

으로제일많은것으로나타나전국의 26.8%를차지하

였고, 6과목을개설한곳은 15개학과(18.3%), 5과목

을개설한곳은 11개학과(13.4%)의순으로나타났다.

5~7과목을개설한학과들을모두합하면전국총 48개

학과로전국의 1/2 이상인 58.5%를차지하였다.

또한 4개이하의교과목을개설한학과들은모두 10개

학과들로 12.1%보였으며, 8~13과목을개설한학과

들을합하면모두 24학과들로 29.2%분포를

였다. 1~3과목, 11~13과목을개설한학과·전공들은 1

또는 2곳으로전국적으로극히소수에불과하

였다.

4.소속단과대학군별의복구성분야교과목편성 분포

본연구조사대상인의류패션관련학과·전공들에 대해소속단과대학군별교과목편성분포를분석하기 위하여선행연구(Ju et al., 2011; Rah et al., 2008)에서분 류한단과대학군을참고로하여, 유사한단과대학명들 을 Art(예술), Human ecology(생활과학), Natural science (자연과학), Humanities/Culture(인문/문화), Miscellaneous (기타)와같이 5개의군으로분류하였다. 예술군에는예 술대학, 디자인대학, 미술대학, 패션대학등이포함되 었고, 생활과학군은생활과학대학, 생활환경대학등으 로구성되었으며, 자연과학군에는자연과학대학, 이과

대학, 이공대학등이포함되었다. 또한인문/문화군에

는인문예술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화관광대학

Fig. 2. Distribution of the average credits/class hours. Fig. 3.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classes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5)

이포함되었다. 이렇게분류된각단과대학군의소속 학과구성수를파악해보면예술군에 34개, 생활과학 군에 22개, 자연과학군에 14개, 인문/문화군에 9개의 학과·전공들이소속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각소속대학군별의복구성분야교과목의학점, 시수,

개설교과목수와같은 3항목들각각에대한평균치를

<Fig. 4>에나타내었다. 각소속단과대학군별로분석 한결과, 생활과학군에서시수평균이 3.9, 의복구성분 야개설교과목수는 7.6개로다른단과대학군에비하 여가장높게나타났다. 개설과목들의학점평균은인 문/문화군에서 2.9로가장높게나타났는데, 이는다른 단과대학군에비하여이론과목개설비율이실습과목 에비하여상대적으로높은때문으로보인다.

또한전공전체교과목에대한의복구성분야 개설 교과목들의편성비율(%)파악하기위하여소속

단과대학군별평균으로분석해본결과 <Fig. 5>

이나타났다. 가장높은편성비율을나타낸곳은생활

과학군으로의복구성분야교과목편성비율의학과·

전공전체개설교과목들의 19.9%를차지하고있었으 며, 다음으로자연과학군이 17.9%, 인문/문화군 17.7%

순으로나타났고, 예술군이 16.2%로상대적으로가장

낮은편성비율을나타냈다. 결과적으로예술군에속 한학과·전공수는 34개로다른단과대학군에비하여 전국적으로가장많았으나 평균학점, 평균시수, 의복 구성분야교과목개설수, 전공전체개설과목수에대 한의복구성분야과목편성비율 4가지항목모두다 른단과대학군에비하여가장낮은것으로나타났다.

반면에생활과학군은예술군에비하여소속학과·전

공수는 22개로상대적으로적었으나평균시수, 의복 구성분야교과목개설수, 전공전체개설과목수에대 한의복구성분야과목편성비율 3가지항목에서다른

단과대학들에비하여높은평균치를나타내었다.

5. 학과·전공군별의복구성분야교과목편성분포 의복구성분야교과목이개설된전국대학들에대하 여서로유사한학과(전공)명별의복구성분야개설교 과목들에대한시수평균, 학점평균, 의복구성분야교 과목개설수분포의차이를알아보기위하여 <Fig. 6>

과같이 3개의군으로분류하였으며, Fashion Design (패션디자인)군에는 32개학과가포함되었고, Clothing (의류)군에 28개학과, Fashion Business(패션비지니스)

군에 22개학과가포함되었다. 3개의각군으로분류 된학과(전공)들명칭을살펴보면, 패션디자인군에패 션디자인, 의상디자인등이포함되었고, 의류군에 의

Fig. 4. Characteristics of the classe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according to college affiliation.

Fig. 5. Clothing construction field class percentage of clothing department classes offered.

(6)

류학과, 의상학과, 의류환경학과등이포함되었다.

한패션비지니스군에는패션산업, 의류상품, 의류패션

산업등이포함되었다. 이는 Rah et al.(2008)의선행연 구에서 62개대학 65개전공을선정하여패션관련학 과전공전체교과과정을의류·섬유과학, 의복구성및 설계,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패션마케팅, 복식문화 사와같이세부분야로분류한후, 각세부분야별교 과목을 의류학과군, 패션디자인학과군, 패션산업학과 군의 3군으로분류하여분석한것을참고로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점평균및시수평균에서는각군별차이 가별로없었으나, 패션비지니스군에서의복구성분야 개설교과목수가 5.4로가장낮게나타났으며, 반면에

의류군은평균학점 2.8, 평균시수 3.8, 의복구성분야교

과목수 7.6로다른군들에비하여각항목별로가장높 은경향을보였다.

전공전체교과목에대한의복구성교과목편성비 율에 대한 본연구대상 82 전국학과들의 평균은

17.5%나타났던반면에, 의류군은 19.9%전국

균보다 2.4% 정도많은편성비율을나타내었으며,

패션비지니스군은 13.2%전국평균보다 4.3%

은편성비율을나타내어의복구성분야의실기과목보 다는마케팅위주의이론과목이상대적으로많이분포 하는것으로판단된다.

6. 의복구성분야의교과목그룹별분석

의복구성분야의매우다양한교과목들을교육내용이

유사한과목들끼리분류하여크게 Fundamental Apparel Production, Pattern Development, Advanced Apparel Production 3대그룹으로분류, 8개의세부그룹

으로 분류하여 각 세부 그룹별 대표적 과목명들을

<Table 1>에제시하였다. Fundamental Apparel Production

대그룹에는 Theory & Sewing(기초이론및기초봉제), Apparel production(의복구성)의 2개세부그룹이포함 되었다. 또한 Pattern Development 대그룹에는 Flat pattern(평면패턴), Draping(입체패턴), Pattern CAD(패

턴 CAD)와같이 3개의세부그룹이포함되었다. 마지

막으로 Advanced Apparel Production 대그룹에는 Tailo- ring(테일러링 및 고급의복구성), Apparel production process(봉제과학및의류생산공정), Clothing for special

needs(특수의복구성)의 3개세부그룹들이포함되었다.

3개의 대그룹별 분포를 보면 Pattern develo-pment가

48.5%차지하여가장높은분포를나타내고있음을

알수있으며, 다음이 Fundamental apparel production, Advanced apparel production 순으로나타났다.

또한의복구성분야교과목에대한 3개의대분류

각에대한세부그룹 8각각의내용이차지하는

포를보면입체패턴군이 21.7%가장높은분포율을

보였고, 의복구성군(18.1%), 평면패턴군(17%), 기초이 론및기초봉제군(12.6%), 테일러링및고급의복구성 군(11.9%), 패턴 CAD군(9.9%), 특수의복구성군(4%), 봉 제과학및의류생산공정군(4%)의순으로나타났다. 따 라서컴퓨터를이용한패턴 CAD나의류생산공정등 의앞으로빠른패션산업의발전에대응할수있는업

Fig. 6. Class characteristics in clothing construction fields for department classification.

(7)

그레이드된교과목을 개발할수있는과목의비중이 낮은것으로나타나보다적극적인교과목개발을위 한노력이필요할것으로보인다. 특히아직은학부교 과과정에서 3D 디지털패션테크놀로지를독립된교과 목으로신설한대학은없는것으로보이며, 기존의패턴

CAD 과목에서일부가르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의복구성분야 교과목들을 3개의 대그룹 및 8개의 세부그룹별학년편성분포를 <Table 2>제시하였 다. 학년별분포를살펴보면, 548교과목들

에서 3학년이 209(38.1%) 가장높은 편성 분포를

보였고, 2학년에서 197(36%), 4학년 75(13.7%), 1학년

67(12.2%) 순으로나타났다. 또한세부그룹별분류에

따른학년별 편성비율을 살펴볼때 1학년중에서는

Theory & Sewing(기초이론및기초봉제)이 43(64.2%)

으로가장많이개설되었고, 2학년중에서는 Apparel production(의복구성)이 76(38.6%)으로가장 많이개설

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또한 3학년중에서는 Dra-

ping(1, 2로분리된경우두과목으로합산)이 89(42.6%)

로절대적으로많이개설되어있으며, 4학년중에서는

Pattern CAD가 27(36%)로가장많이개설되어있는것 으로나타나같은과목이어도학년별개설분포는매 우다양한것으로나타났다.

또한전국의복구성분야개설교과목전체에대한 소속단과대학군별개설비율을 <Fig. 7>에제시하였 다. 그결과, 예술군에서 38.5%로가장높은분포를나타 내고있으며생활과학군에서 31%, 자연과학군 17.5%,

인문/문화군 10.6%순으로나타났다. 이는전국적으

로볼때소속학과·전공수가많은단과대학군순서 와일치하는것으로보인다.

<Fig. 8>제시된바와같이소속단과대학군별로 유사교과목군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단과대학군에서입체패턴군이가장높은분포율을보 였으며특히예술군에서는입체패턴군이 25.1%를나 타내어상대적으로매우높은분포율을나타냈다. 생 활과학군에서는예외적으로 의복구성군이 가장 높은

분포율(20%)을나타내었다. 단과대학군별의복구성분

Table 1. Class classification in clothing construction fields (N=548)

Classification of classes Name of Classes N (%)

Fundamental Apparel Production

Theory & sewing

Basic sewing, human factors & clothing, fashion sewing, human body & clothing, human ergonomics, introduction to sewing methods, principles of clothing construction, basic sewing technology, interesting basic sewing, apparel sewing, body measurement for clothing, et al.

69 (12.6)

168 (30.7) Apparel production Apparel construction, clothing construction, formation of western

clothing, western clothing construction practice, construction of clothing, practice of clothing, planning of clothing construction,

apparel making practice, et al. 99 (18.1)

Pattern Development

Flat pattern

Basic pattern making, pattern drafting, pattern making, flat pattern design, trend pattern making, pattern development, pattern development of sportswear, flat pattern for fashion design, construction of clothing pattern, flat pattern making, the technique of pattern making, pattern development, et al.

93 (16.9)

266 (48.5) Draping Fashion draping, draping for fashion design, basic draping, creative

draping, draping practice, draping for apparel design. et al. 119 (21.7) Pattern CAD Cad pattern design, pattern cad, computer-aided flat pattern design,

apparel pattern cad, et al. 54 (09.9)

Advanced Apparel Production

Tailoring Tailoring, advanced clothing construction, advanced assembly techniques, advanced apparel construction, tailoring technique,

men's wear, et al. 65 (11.9)

114 (20.8) Apparel production

processing Apparel industry, apparel product manufacturing & management, scientific sewing, fashion product processing, apparel production, apparel manufacturing & cad, et al. 22 (04.0) Clothing for special

needs

Functional clothing, constructions for special costume, study of sportswear, practice in clothing sensibility ergonomics, apparel engineering & pattern development, apparel production & internship,

apparel technology, et al. 27 (04.9)

(8)

야에서의유사과목들분포를보면대체적으로입체패 턴군이나의복구성군이주된교육내용이되고있음을 알수있다.

IV. 결론 및 제언

의복구성분야는 대학에서의교육대상자및대학교 육편성비율상 중요한비중을차지하는 교과목으로 인지되고있다는선행연구결과들이있었음에도불구 하고그동안의복구성분야전체교육과정에대한종합

적인비교분석연구가수행된것을찾아보기어려웠다.

또한패션산업의빠른변화에대응하고학생들의새로 운직업군등장에따른교육의변화를위하여본연구 에서는 4년제국내대학을중심으로의복구성분야교 과목이개설된전국 82개학과및전공에대하여의복 구성분야교육과정을다각도로 비교분석하여패션산 업의활성화에도움을주고, 각대학의관련교과과정 개편에참고로활용할수있도록기초자료를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연구한결과는다음과같다.

Table 2. Class distribution offered each academic year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N=548, Unit: N (%))

Class classification Academic Year

Freshman Sophomore Junior Senior

Fundamental apparel

production Theory & sewing 43 (64.2) 21 (10.7) 4 (01.9) 1 (01.4)

Apparel production 15 (22.4) 76 (38.6) 8 (03.8) -

Pattern development

Flat pattern 6 (09.0) 58 (29.4) 23 (11.0) 6 (08.0)

Draping 1 (01.5) 26 (13.2) 89 (42.6) 3 (04.0)

Pattern CAD - 3 (01.5) 24 (11.5) 27 (36.0)

Advanced apparel production

Tailoring 1 (01.5) 6 (03.1) 48 (23.0) 10 (13.3)

Apparel production process - 5 (02.5) 5 (02.5) 12 (16.0)

Clothing for special needs 1 (01.5) 2 (01.0) 8 (03.8) 16 (21.3)

Sub total 67 (.100) 197 (.100) 209 (.100) 75 (.100)

Total 67 (12.2) 197 (36.0) 209 (38.1) 75 (13.7)

Fig. 8. Similar class distribution offered by college classifications.

Fig. 7 Total class distribution offered by college classi- fication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9)

1. 의복구성분야교과목이개설된학과·전공의전 국지역별분포를살펴본결과서울·경기·인천의수

도권에 37.8%, 부산과대구를포함한경상남북도전체

지역에 28%로높게분포하고있었으며, 강원도(1.2%),

전라남북도(8.5%)는 상대적으로낮은분포를 나타내 고있어지역적인분포의차이가있음을알수있다.

2. 의복구성분야교과목의 학점평균/시수평균별분

포를살펴본결과 53.7%에달하는많은대학들이 3학

점/4시간의형태로교과목을운영하고있었으며, 이는 의복구성분야의 특성상이론과목보다는 이론과 실기 를병행하는과목이위주로되어있어서나타난결과 로사료된다.

3. 의복구성분야교과목개설수는 1과목부터 13

목까지학과별로매우다양하였다. 그러나대부분은 5~

7과목을개설한것으로나타나 48학과가이에

당하였으며전국의 58.5%차지하였다.

4. 의복구성분야과목이개설된학과들의소속단과

대학들의명칭이다양하게나타나유사한대학명별로 분류한결과예술, 생활과학, 자연과학, 인문/문화, 기 타의 5개군으로분류하였다. 각소속대학군별의복구 성분야교과목편성분포를살펴본결과생활과학군에

서시수평균(3.9), 의복구성분야 개설교과목수(7.6),

전공전체교과목에대한의복구성분야교과목편성비

율(19.9%) 세항목이다른단과대학군에비하여가장

높게나타났다.

5. 학과·전공군별의복구성분야교과목편성분포는 유사한학과및전공명별로분류하여패션디자인군(32개 학과), 의류군(28개학과), 패션비지니스군(22개학과)

과같이 3개의그룹으로살펴본결과, 의류군은평균학 점 2.8, 평균시수 3.8, 의복구성분야교과목수 7.6, 전공

전체교과목에대한의복구성교과목편성비율 19.9%

로모든 4항목에서항목별로다른군에비해

장높은경향을보였다.

6. 의복구성분야의교과목들을 Fundamental Apparel Production, Pattern Development, Advanced Apparel Production의 3개대그룹으로분류한결과 Pattern De-

velopment에서 48%로가장높은분포를나타내었다.

또한이를기초이론및기초봉제, 의복구성, 평면패턴,

입체패턴, 테일리렁및고급의복구성, 패턴 CAD, 봉제 과학및의류생산공정, 특수의복구성등과같이모두

8개세부그룹으로분류하여살펴본결과입체패턴군이

21.7%로가장높은분포율을보였다. 유사교과목그

룹별학년편성분포를분석한결과, 같은교과목이어

도학년별개설분포는매우다양한것으로나타났다.

본연구를통해국내 4년제대학의의복구성교육과 정에대한종합적인비교분석연구를한결과, 이론과 실기가적절히조화를이룬학점대비시수로편성되 어있어서바람직한현상임을알수있었다. 다양한교 과목편성중입체재단과목군이많은비중을차지한 것으로나타난것은 디자인요소와 fit을함께검토할 수있는교과목이므로 Technical Designer 역할의전문 성을요구하는산업현장을고려할때바람직한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과같은 글로벌 패션산업시대를 고려할때스포츠·레저산업의활성화, 3D 디지털패 션테크놀로지의접목, 다양한기능성원부자재의개발 등에따른다양한고부가가치의의류제품 개발이전 세계적으로끊임없이요구되고있는시점이므로대학 에서의의복구성분야교육내용도보다다양하게개발 되어야할것으로보인다. 따라서패션산업의활성화

를위한보다적극적인교과목개편및개정을통해기 존의교과목의내용및과목명을적극적으로변화시킬 수있는노력이다각도로필요할것으로판단된다. 또 한본연구에서는우선대학을중심으로의복구성분야 의교육과정을조사한후비교분석하였으나향후실제 의류산업현장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의복구성분야의 대학교육실무활용도및증진방안에대한조사분석을 실시하여개선안을도출하는것이필요할것으로보인 다. 또한의복구성학분야가매우다양해지고있는반 면에아직학계및산업계모두공감할수있는학문명 이도출되지못하여본연구에서는관습적인표현대로

clothing construction이라고사용하게 된점을제한점

으로생각하며, 추후충분한논의를거쳐이러한변화 를반영하는학문명이도출되기를기대한다.

References

Chang, D. R. (1997). A study on the basic education pro- gram of fashion drawing. Fashion Business, 1(1), 8498.

Cho, J. M. (2010). Development of contents in fundamental design education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2651276.

Choi, M. S., Cho, H. J., & Ahn, H. J. (2004). Investigation on the education effect and recognition of apparel pat- tern CAD system on the apparel majority stud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1), 110.

Choi, H. J. (1993).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S.A. colleges and uni- 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10)

Textiles, 17(4), 638647.

Choo, T. G. (1997). A study of fashion and textile design educa- tion in the U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3, 5571.

Chun, H. J. (2000). The direction for fashion merchandising education. Fashion Business, 4(1), 8796.

Han, Y. H., Jung, J. E., & Lee, C. W. (2011). Curriculum development for fashion busines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Fashion Business, 15(1), 119.

Jo, J. S. (1992). Teaching about automation in the clothing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 7581.

Joung, H. O., & Park, S. H. (1997). A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fashion illustr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6(1), 6577.

Ju, J. A., Ryu, H. S., & Kim, H. A. (201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o indus- trial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3), 325335.

Jung, H. J. (2009). Study of fashion retail management cur- riculum: 4-year colleges in Korea and the USA. Fashion Business, 13(1), 3450.

Kim, H. E. (1999). A study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for the dept. of fashion design in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 89107.

Kim, H. Y. (2000).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 rriculum in clothing and textile studies: Based on the sample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Jour- 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2), 8195.

Kim, M. H. (2008). Fashion illustration curriculum an analysis in pursuit of better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6), 115122.

Kim, S. H. (1996). A report on the fashion education in Ita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7, 147162.

Kim, S. H., & Lee, S. J. (1999).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apparel cad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in domes- tic colle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1), 2633.

Ku, Y. S., Kim, J. W., Park, K. G., Park, K. H., &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 leges: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g Ko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 nomics Association, 37(11), 1932.

Lee, J. S., & Han, G. H. (1999). A study to improve the rink- age between apparel industry and a university education on clothing cunstruction: Focus on process of pattern mak- 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7(6), 972984.

Lee, S. H., & Park, S. K. (2007). A globalization-focu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in fashion market- ing area: Comparison of Korean and U.S. graduate school's fashion marketing curric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 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420432.

Lee, Y. J. (2002).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5), 727

Lee, Y. J. (2003a).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736.

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2), 169176.

Lee, Y. J. (2003b).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market- ing edu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 725734.

Lee, Y. J. (2004). A comparative analysis of cad education and key success factors in Korea, Japan, Germany and USA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1), 14481457.

Lee, Y. J. (2005). A comparative analysis of cad education and key success factors in Korea, Japan, Germany and USA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4657.

Lee. Y. R., & Lee, M. Y. (2007). A comparison between the fashion marketing field in university curricula and in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5), 123139.

Park, T. Y. (2005). A study on the situation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5), 585594.

Rah, S. I., Kwon, H. S., & Lee, J. S.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related courses. Fashion Business, 12(5), 5466.

Shin, K. H. (2001). Job analysis for fashion merchandise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2), 191205.

참조

관련 문서

Current Tokyo is rich in green compared to other metro cities. In some parts, the greenery has been contributed by the many inherited gardens from the Edo era to today which

The surface layer of the ground is occupied by soft soil, thus the foundation of this tower is an SRC continuous underground wall pile, designed and developed to

웰드라인의 위치를 위치를 옮기는 옮기는 방안 방안 - 게이트 위치 변경. - 제품 두께분포 변경 -

In this stage, the commercial potential of R&amp;D results in basic science or engineering from research centered HEIs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the Science Park:

The learning contents of a nursing management application include theoretical contents related to courses on nursing management and quiz contents

• 대부분의 치료법은 환자의 이명 청력 및 소리의 편안함에 대한 보 고를 토대로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12) Maestu I, Gómez-Aldaraví L, Torregrosa MD, Camps C, Llorca C, Bosch C, Gómez J, Giner V, Oltra A, Albert A. Gemcitabine and low dose carboplatin in the treatment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