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Effective Measures to Meet the Demand for Construction Manpower i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Effective Measures to Meet the Demand for Construction Manpower i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Copied!
7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Effective Measures to Meet the Demand for Construction

Manpower i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2)

국토연 2006-55 ․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지은이․김성일 / 펴낸이․최병선 / 펴낸곳․국토연구원 출판등록․제2-22호 / 인쇄․2006년 4월 20일 / 발행․2006년 4월 30일

주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591-6 (431-712) 전화․031-380-0114(대표), 031-380-0426(배포) / 팩스․031-380-0470

ISBN․89-8182-465-7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B171400 http://www.krihs.re.kr

Ⓒ2006, 국토연구원

*이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국토연구원의 자체 연구물로서 정부의 정책이나 견해와는 상관없습니다.

(3)

국토연 2006―55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Effective Measures to Meet the Demand for Construction Manpower i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 김성일

(4)

연 구 진

연구책임 김성일 연구위원

연구협의(자문)위원 권용복 건교부 해외건설팀장 이원규 건교부 해외건설팀 사무관 이상호 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종현 해외건설협회 실장

송하청 GS건설 부장 등 민간업체 부장 10인 등 해외건설포럼 회원

(5)

P ․ R ․ E ․ F ․ A ․ C ․ E

발 간 사

해외건설수주는 1997년 140억 달러를 수주한 이래 지속적인 하락을 거듭하였 다. 하지만 2004년 이후 고유가와 세계경제의 회복세 및 해외건설업체 및 정부의 해외건설지원이 뒷받침되어 특히 중동 및 아프리카지역에서 플랜트를 중심으로 한 수주증가로 2005년도에는 109억 달러를 수주하는 등 올해 상반기에도 지속 적인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어 제2의 해외건설 활황에 접어들었다. 이와 같은 해 외건설의 활황은 건설생산요소의 안정적 공급이 뒷받침되지 않는 경우에는 지속 적인 해외건설업의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 해외건설수주의 증가에 대응하여 안 정적인 건설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관리기술인력의 안정적 수급 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외건설시장에서의 수주증가에 따라 관리기술인력의 확보가 중요한 현안과 제로 대두하였고, 이에 따른 정부의 인력수급 대책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해외 건설시장의 경쟁력 확보차원에서도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안과제에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 해외건설업의 성장과 경쟁력 확 보를 위해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해외발주시장의 규모를 감안한 우리의 해외건설수주 규모를

(6)

추정하고, 이에 따른 해외건설인력 소요 규모를 전망 하고 있으며, 향후 2010년 까지 추가로 2,809명의 인력이 추가로 소요되고, 이 중 관리기술직 인력의 소요 가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공종(工種)별로는 토목, 건축분야보다는 플랜트 분 야의 인력이 향후 5년에 걸쳐 2,336여 명이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이 중 관리기술직 인력의 추가 소요 규모가 1,458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급전망에 따른 해외건설인력의 수급방안으로 단기적으로 해외건 설유경험자 풀의 구축 및 활용, 중장기적으로 해외건설인력의 양성과 재교육 및 계속계육을 강화하고 인력관리 및 교육기능을 통합 수행할 가칭 「해외건설인력 센터」의 설립도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수행된 본 연구가 정책결정자 및 실무자, 관련 해외 건설업계 및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를 성실히 수행한 김성일 연구위원의 노고를 치하하고 정부, 업계, 연구계 등을 중심으로 한 해외건설포럼 회원들과 해외건설협회의 관계자 등에게 진심으로 고 마움을 표한다.

2006년 4월 국토연구원장 최 병 선

(7)

F ․ O ․ R ․ E ․ W ․ O ․ R ․ D

서 문

2000년 이후 지속적인 침체를 거듭하던 해외건설이 2005년에는 해외시장의 여 건 호전 등에 따라 100억 불 이상의 수주를 하였고, 올 해 들어서도 이러한 수주 추세는 지속되어 제2의 해외건설 활황을 맞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주의 확대 이면에는 높은 수익성의 추구, 해외건설의 질적 성장 등과 선진 건설업체와의 경 쟁력 확보 등 여러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급격한 수주증가에 따른 후속적인 건설활동이 본격화되는 경우 현장관리 기술인력의 소요증가는 매우 클 것으로 보이며, 이미 작년부터는 해외관리기술 인력의 부족문제가 현안과제로 등장하였다. 향후 해외건설시장의 전망 및 국내 업체의 해외건설 수주증가 추세로 볼 때 해외건설인력의 수급문제는 매우 중요 한 과제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해외건설시장의 활황에 따른 대응방안의 일환으로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향 후 우리나라 해외건설업의 수주기반을 공고히 하고, 선진업체와의 경쟁력 확보 를 위해 고급 건설관리기술인력의 확보와 외국기술인력의 원활한 활용을 위한 다각도의 대책과 더불어, 관리기술인력의 양성 및 재교육 등이 체계적으로 마련 될 필요가 있다.

(8)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해외건설인력의 직군별, 공종별로 2010년까지의 소요규모를 전망하고, 이에 따라 국내적 수급가능성 검토를 거쳐, 인력 수급방안 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인력소요 전망결과, 향후 관리기술직 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특히 플랜 트 분야의 관리기술인력의 소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력 소요에 대응 하기 위해서는 인력풀의 구축과 활용 및 신규인력의 구조적 양성, 재교육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합운영관리하기 위한 해외건설인력 센터의 설립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아무쪼록 본 연구의 결과가 이 분야의 정책 실무자 및 업계, 연구계 등에 필요 한 자료가 되길 감히 기대한다. 아울러,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러모로 도 움을 주신 건설교통부 해외건설팀과 해외건설협회 등 관계자 여러분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06년 4월 김성일 연구위원

(9)

S ․ U ․ M ․ M ․ A ․ R ․ Y

요 약

해외건설수주는 1997년 140억 달러를 수주한 이래 지속적인 하락을 거듭하였 지만 2004년 이후 고유가에 힘입은, 중동 및 아프리카지역의 플랜트 수주증가로 2005년도에는 109억 달러를 수주하였으며, 올해 상반기에도 지속적인 성장추세 를 보이고 있다. 이에 해외건설 수주확대에 따른 해외건설 인력수급이 현안 과제 로 부각되고 있다.

향후 해외발주시장의 규모를 감안한 우리의 해외건설수주 규모를 추정하고, 이에 따른 해외건설인력 소요 규모를 전망한 결과, 향후 2010년까지 추가로 2,809명의 인력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이 중 관리기술직 인력소요가 1,840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공종(工種)별로는 볼 때 토목, 건축분야보다는 플랜트 분야의 인력이 향후 5년 에 걸쳐 2,336여 명이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이중 관리기술직 인력의 추가 소요 규모가 1,458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향후 수주에 대응한 해외인력수급대책으로 단기적으로 해외건설유 경험자 풀의 구축 및 활용, 중장기적으로 해외건설인력의 양성과 재교육 및 계속 교육을 강화하고 인력관리 및 교육기능을 통합 수행할 가칭 「해외건설인력센터」

의 설립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10)

1 4 ,0 3 2 ( 1 7 6 )

4 ,0 5 5 ( 1 1 4 )

9 ,1 8 9 ( 1 3 4 )

5 ,4 3 3 ( 1 2 4 ) 4 ,3 5 5

( 7 7 ) 6 ,1 2 6 ( 1 4 0 )

3 ,6 6 8 ( 1 5 3 )

7 ,4 9 8 ( 1 9 3 )

1 0 ,8 5 9 ( 2 8 1 )

0 2 ,0 0 0 4 ,0 0 0 6 ,0 0 0 8 ,0 0 0 1 0 ,0 0 0 1 2 ,0 0 0 1 4 ,0 0 0 1 6 ,0 0 0

9 7 9 8 9 9 0 0 0 1 0 2 0 3 0 4 0 5

제1장 서 론

해외수주의 호조는 국제유가상승에 따른 중동 산유국의 플랜트 발주확대, 아 시아 지역의 부분적인 경기회복 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향후에 도 지속적인 수주증가세가 예상된다. 하지만, 해외건설업체들은 기능 인력의 경 우 대부분 외국 인력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부 기술인력의 경우에도 외국 기술인 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자체적인 인력수급에 대응하고 있지만, 현재 수주 계약물량과 향후 수주 예상규모 등을 감안할 때 이에 소요되는 건설인력의 확보 가 중요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해외건설수주기반을 형성하는 양질의 해외건설인력의 확보 및 원활한 수급 등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건설의 활황에 따른 해외건설인 력의 동향 및 인력 현황 및 수급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수주규모에 따른 건 설인력 소요 규모와 이에 따른 국내적 수급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대응한 해외 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 해외건설 수주 동향

중소건설업체의 해외진출 활성화와 중동 및 아프리카지역의 산유국을 중심으 로 한 플랜트 발주의 증가에 힘입어, 2005년에는 1997년 이후 처음으로 109억 불 을 수주하였으며, 올해 들어서도 해외건설 수주는 가파르게 상승하는 추세이다.

<그림 1> 해외건설 수주추이

(단위: 백만 불, 건수)

(11)

구 분 아국 인력 현지인 제3국인 총계

4,666(8.9) 35,202(67.0) 12,661(24.1) 52,529(100)

구 분 플랜트 토목 건축 기타

3,419(73.3) 354(7.6) 390(8.4) 503(10.8) 4,666(100) 2006년 7월말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하여 68%가 증가한 105억 불의 수주규 모를 보이고 있어, 올해 수주액은 130억 달러는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공종별로는 2000년 이후, 플랜트 분야의 수주비중이 여전히 크지만 그 동안 열 세를 면치 못했던 전통적인 주 수주공종인 토목, 건축 분야의 수주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제3장 해외 건설 인력 동향 및 실태

2006년 2월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의 해외 진출 건설인력은 총 4,666명이 며, 현지인 및 제3국인을 포함하면 총 5만 2,529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해외진출 국내인력은 8.9%에 불과하며 주로 현지인 및 제3국인을 활용하고 있다.

<표 1> 해외건설 인력 현황(총괄)

자료 : 해외건설협회 조사 결과, 2006. 2

공종 기준으로 해외건설 수주 규모의 비중을 반영하여 플랜트 분야의 해외인 력의 비중이 전체의 73.3%를 차지하고 있다.

<표 2> 공종별 해외인력 현황

(단위: 인, %)

자료 : 상동

해외건설 인력의 직군별(관리기술직, 기능직) 동향을 보면, 2000년도에는 54억 달러 수주에 해외진출 인력이 8,568명이었으나 2005년에는 109억 달러 수주에 4,113명(4/4분기 기준)수준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건설 인력이 관리기술직의 핵심인력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을 감

(12)

7 ,8 0 7

7 ,2 3 7 7 ,6 1 5 6 ,3 9 6

8 ,0 7 1

6 ,4 4 1

4 ,2 9 3 4 ,2 2 8 4 ,0 2 4 4 ,1 1 3 8 ,5 6 8

3 ,5 3 8

3 ,7 9 1 4 ,3 4 0 3 ,4 3 8

3 ,6 4 3 4 ,3 9 9

3 ,9 6 5

2 ,7 6 2 2 ,7 9 3 2 ,5 0 4 2 ,6 8 9 4 ,2 6 9

3 ,4 4 6 3 ,2 7 5 2 ,9 5 8 4 ,4 2 8

4 ,1 6 9

2 ,4 7 6

1 ,5 3 1 1 ,4 3 5 1 ,5 2 0 1 ,4 2 4 0

1 0 0 0 2 0 0 0 3 0 0 0 4 0 0 0 5 0 0 0 6 0 0 0 7 0 0 0 8 0 0 0 9 0 0 0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총 인 력 관 리 기 술 직 기 능 직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세계시장(추정) 43,800 45,950 48,373 50,599 52,927 55,361 대외시장(추정) 3,066 3,217 3,386 3,542 3,705 3,876 플랜트시장(추정) 1,209 1,281 1,358 1,440 1,526 1,642 한국수주(전망) 108.6 130 138.8 148.8 159.3 170.5

대외시장 점유율(%) 3.5 4 4.1 4.2 4.3 4.4

안할 때 향후 수주증가에 따라 관리기술 인력의 수요가 더욱 요구될 것으로 보인 다.

<그림 2> 연도별 해외건설 직군별 인력 추이

제4장 해외건설인력의 소요 전망 및 수급가능성 검토

세계시장의 규모는 2005년도에 4조 3억 달러로 추정되며, 국제입찰의 대상이 되는 발주시장의 규모는 이 중 3천억 달러 정도로 추정된다. 이는 향후 연평균 성장률을 4~5%수준으로 볼 때, 2008년의 대외시장 규모는 3,500억 달러, 2010년 에는 3,800억 달러로 추정된다.

특히 올해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는 최소한 130억 달러는 무난히 달성될 것 으로 보이며, 향후에도 해외건설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과 건설업체의 노력이 병행되어 부단히 수주능력을 향상시킨다면 해외시장 점유율은 2005년의 3%대에 서 향후 5년간에 걸쳐 4%이상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세계 건설시장의 규모 및 우리나라의 해외수주 전망

(단위: 억 불)

주: 세계 및 대외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을 4~5% 수준으로 예상

(13)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관리기술직 2,689 3,691(1,002) 3,880(1,191) 4,086(1,397) 4,302(1,613) 4,529(1,840) 기능직 1,424 1,951(527) 2,051(627) 2,159(735) 2,273(849) 2,393(969)

 

토목(전체) 1,278 1,464(186) 1,478(200) 1,494(216) 1,510(232) 1,526(248) (관리기술직) 727 958(231) 967(240) 977(250) 988(261) 998(271)

건축(전체) 205 341(136) 363(158) 386(181) 410(205) 436(231) (관리기술직) 155 223(68) 237(82) 252(97) 268(113) 285(130) 플랜트(전체) 2,235 3,377(1,142) 3,728(1,493) 4,043(1,808) 4,299(2,064) 4,571(2,336) (관리기술직) 1,533 2,209(676) 2,439(906) 2,645(1,112) 2,813(1,280) 2,991(1,458)

기타 395 460 362 322 346 389

(관리기술직) 274 299 237 211 233 254

총 인력 4,113 5,642 5,931 6,245 6,575 6,922

추가인력소요 - 1,529 1,818 2,132 2,462 2,809

2006년~2010년까지의 해외인력소요 추정은 수주액 전망, 전년도 시공잔액 추 정, 시공 대상액(당해 연도 수주액 + 전년도 시공잔액)과 시공대상액 중 기성액 전망과 2005년까지 1인당 기성액의 추이를 감안하여, 향후 해외인력의 추가 소요 규모를 전망하였다.

이상의 해외건설 인력소요 전망에 기술직 1인당 기성액의 추이를 반영하여 관 리기술직 및 기능직의 추가소요 인력을 전망하였다.

전망 결과, 2006년에 총 해외건설 추가 소요인력은 1,529명으로 이 중 관리기 술직이 1,002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까지 해외건설인력의 추 가 소요규모는 2005년 말 기준에서 볼 때 2,809명이며 이 중 관리기술직이 1,840 명이며 공종별로는 2010년까지 플랜트 분야의 추가 소요인력의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전체 소요인력 2,809명 중 2,336명을 차지하고 있다.

<표 4> 직군별, 공종별 해외건설인력 추가소요 전망

(단위: 인)

주: 1. ( )안의 수치는 2005년 대비 추가인력 소요를 의미 2. 2006년 4월 기준에서 수주규모를 전망한 결과임

(14)

이상의 해외건설인력의 소요추정을 토대로 국내의 공급 잠재력을 보면, 2004 년 12월말 현재, 국내 건설 기술자는 총 52만 3천여 명으로 파악되고, 이중 특급 및 고급기술자는 12만 7천여 명이다. 하지만 토목 및 건축분야 특급기술자가 전 체 특급기술자의 대부분(80%)을 차지하는 등 전문분야별로 인력공급의 편중도 가 심한 실정이다.

향후 토목 및 건축분야의 경우 국내 배출인력의 규모를 감안할 때, 양적 측면 에서의 수급은 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지 않지만 플랜트 분야의 지속적인 수주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이 분야의 관리기술인력의 공급능력은 미흡하여 향후 해 외건설 수행능력을 제고하는 차원에서도 이 분야의 인력 확보가 시급히 요구된 다. 특히 플랜트 분야는 복합공정기술을 요구하는 분야로 시스템 기술 및 공정관 리능력을 보유한 전문기술인력이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제5장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단기적으로 해외 인력의 공급 부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외유경험자의 풀을 구축, 활용하고 중장기적으로 신규인력의 양성과 기존 인력의 재교육을 강화하 여 국제경쟁력이 있는 글로벌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것이다.

1997년 IMF 여파로 퇴직한 해외건설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등록을 받아 공종, 전문분야, 기술등급, 경력별로 인력의 풀을 구축하여 신규 해외진출 중소건설업

해외건설경험자 풀 구축 (DB구축)

해외건설인력의 재교육 강화 해외건설인력의

구조적 양성 (신규인력)

통합적 운영

(15)

ⅺ 체 및 기존 해외건설업체가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미 해 외건설협회에서 중소해외건설업체의 지원차원에서 해외건설 유경험자 풀을 구 축하고 있으며, 2006년 8월 현재, 약 800여명이 등록되어 있다.

향후 해외 거주 건설 분야 기술인력 풀의 구축과 더불어 국내 기술자 경력 DB 자료의 활용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건설기술인협회 등 경력관리기관 이 구축하고 있는 해외경력자료의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러한 경력정보 를 전산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활용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해외경력”에 대한 경력 가점부여를 통해 해외경력자 파악을 위한 DB구축을 유도하는 것과 진출 지역별로 인력풀을 구축 특히, 제3국 및 현지인력 활용이후 인력의 직무능력평가를 통해 이를 DB로 구축하여 공동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사업기획, 기본설계, 금융재무, 사업관리, 계약협상 능력을 가진 글로벌 전문인 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글로벌 전문인력의 양성은 대학 등 교육기관의 경우 적합한 교과과정의 개편과 이에 적합한 교수인력의 확보가 요구되며, 업계 의 수요에 대응하는 산학연계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을 위해서 업계와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공종별로는 특히 플랜트 분야의 수주증가로 인한 인력 수요에 대응하여 사업 관리 및 전문기술능력을 가진 플랜트 엔지니어의 양성이 시급하며, 이를 위해 플 랜트 분야의 기술자격 신설 등을 통해 기술자격자의 지속적 배출 및 대학 등에 플랜트관련 학과의 개설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미국의 경우 플랜트 엔 지니어(Certified Plant Engineer: CPE)의 양성을 위한 자격제도를 1976년에 도입하 여 2005년 10월 기준으로 5,300여명 정도를 배출하였고 우리의 경우 2007년부터 는 민간교육기관에서도 ‘플랜트 엔지니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해외건설인력의 수급문제는 양적인 문제도 중요하지만 능력있고 해외현장의 경험이 있는 질적으로 우수한 관리기술인력의 확보가 더욱 더 중요하다. 이를 위 해 산업의 수요와 향후 기술변화에 맞는 다양한 재교육 및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해외건설전문인력의 경력발전 프로그램(CDP: Career Development

(16)

Program)을 통해 해외인력의 개별 경력 경로를 계획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해외건설인력 정보망의 관리 및 운영, 해외건설 전문 인력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리, 국내 유휴 인력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지원 등이 통합적으로 수행되도록 (가칭)『해외건설인력센터』의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색인어 _ 해외건설수주, 해외건설인력 동향, 인력수급방안

(17)

C ․ O ․ N ․ T ․ E ․ N ․ T ․ S

차 례

발간사 ···ⅰ 서 문 ···ⅲ 요 약 ···ⅴ

제 1 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2

3. 연구방법 ··· 3

4.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 4

제 2 장 해외건설 수주 동향 1. 연도별 해외건설 수주 동향 ··· 7

2. 지역별 해외건설 수주 동향 ··· 8

3. 공종별 해외건설 수주 동향 ··· 10

4. 업체별 해외건설 수주 ··· 14

제 3 장 해외 건설 인력 동향 및 실태 1. 해외 건설 인력 동향 ··· 15

(18)

1) 「건설업 통계조사보고서」상의 해외건설 인력 동향 ··· 15

2) 시공상황 보고 자료상의 해외진출인력 추이 ··· 16

2. 해외건설 인력 현황 및 실태 ··· 26

1) 해외건설 진출 아국인력 현황 ··· 26

2) 공종별 해외진출 아국인력 현황 ··· 27

3) 직군별 해외진출 아국인력 현황 ··· 28

제 4 장 해외건설인력의 소요 전망 및 수급가능성 검토 1. 설문조사에 의한 향후 인력소요 및 부족 전망 ··· 31

1) 실제 업체 조사결과에 의한 인력소요 전망 ··· 31

2) 아국인력 부족 현황 조사 결과 ··· 33

2. 실적 자료에 의한 해외건설 인력 소요 전망 ··· 34

3. 건설기술 인력 소요에 따른 수급 가능성 검토 ··· 37

제 5 장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1. 기본방향 ··· 41

2. 수급대책 ··· 42

1) 해외건설 유경험자 인력 풀(DB)의 구축 및 활용 ··· 42

2) 해외건설 인력의 구조적 양성 ··· 44

3) 해외건설 인력의 재교육 강화 등 ··· 45

4) 인력양성, 재교육, 인력 풀 구축 및 활용 등의 통합적 운영 ··· 46

참고문헌 ··· 49

SUMMARY ··· 51

(19)

T ․ A ․ B ․ L ․ E ․ C ․ O ․ N ․ T ․ E ․ N ․ T ․ S

표 차 례

<표 1-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4

<표 2-1> 지역별 수주추이 ··· 10

<표 2-2> 공종별 수주추이 ··· 12

<표 2-3> 공종별 해외건설 수주액 추이 ··· 13

<표 2-4> 업체별 수주추이 ··· 14

<표 3-1> 해외건설 토목공종 수주액 및 기성액, 인력 추이 ··· 18

<표 3-2> 해외건설 건축공종 수주액 및 기성액, 인력 추이 ··· 19

<표 3-3> 해외건설 산업설비공종 수주액 및 기성액, 인력 추이 ··· 20

<표 3-4> 직군별 해외건설인력의 비중 추이 ··· 21

<표 3-5> 토목공종의 직군별 해외인력 비중 추이 ··· 22

<표 3-6> 건축공종의 직군별 해외인력 비중 추이 ··· 23

<표 3-7> 산업설비 공종의 직군별 해외인력 비중 추이 ··· 25

<표 3-8> 공종별 해외인력 비중 추이 ··· 25

<표 3-9> 해외건설 인력 현황(총괄) ··· 26

<표 3-10> 인력별 지역별 비율 ··· 27

<표 3-11> 지역별, 공종별 해외인력 현황('06년 2월 기준) ··· 27

<표 3-12> 지역별, 공종별 해외인력 현황('05년 6월 기준) ··· 28

<표 3-13> 지역별, 직군별 인력 현황('06년 2월 기준) ··· 28

<표 3-14> 지역별, 직군별 인력 현황('05년 6월 기준) ··· 29

(20)

<표 4-1> 지역별 해외건설인력 소요 전망 ··· 32

<표 4-2> 공종별 아국인력 추가 소요 전망 ··· 32

<표 4-3> 직군별 해외인력 소요 ··· 32

<표 4-4> 기업규모별 해외건설인력 소요 전망 ··· 33

<표 4-5> 공종별, 직군별 인력 부족 ··· 33

<표 4-6> 세계 건설시장의 규모 및 우리나라의 해외수주 전망 ··· 34

<표 4-7> 해외진출 인력 전망(2006~2010년) ··· 35

<표 4-8> 직군별 추가소요 인력 전망(전체) ··· 35

<표 4-9> 공종별 추가소요 인력 전망(전체) ··· 36

<표 4-10> 공종별 관리․기술인력 소요 전망 ··· 36

<표 4-11> 기술 분야별 등급별 건설기술자의 공급 현황 ··· 37

<표 4-12> 건설 기능계 국가기술자격 취득 현황 ··· 39

<표 5-1> 기술경력 기재 사항 예시 ··· 43

(21)

F ․ I ․ G ․ U ․ R ․ E ․ C ․ O ․ N ․ T ․ E ․ N ․ T ․ S

그 림 차 례

<그림 2-1> 해외건설 수주추이 ··· 8

<그림 2-2> 중동지역의 수주 동향 ··· 9

<그림 2-3> 중동지역의 플랜트 수주 동향 ··· 12

<그림 2-4> 공종별 해외건설 수주액 추이 ··· 13

<그림 3-1> 해외건설 수주와 종사자수 추이 ··· 16

<그림 3-2> 해외건설 수주액, 시공액, 인력 추이 ··· 16

<그림 3-3> 해외건설 토목공종 수주액 및 기성액, 인력 추이 ··· 17

<그림 3-4> 해외건설 건축공종 수주액 및 기성액, 인력 추이 ··· 18

<그림 3-5> 해외건설 산업설비공종 수주액 및 기성액, 인력 추이 ··· 19

<그림 3-6> 직군별 해외건설 인력 추이 ··· 21

<그림 3-7> 토목공종의 직군별 해외인력 추이 ··· 22

<그림 3-8> 건축공종의 직군별 해외인력 추이 ··· 23

<그림 3-9> 산업설비 공정의 직군별 해외건설인력 추이 ··· 24

(22)

제 1 장∙서론 1

1

C ․ H ․ A ․ P ․ T ․ E ․ R ․ 1

서론

본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을 부각하였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 및 선 행연구와의 차별성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해외건설수주의 급격한 증가와 향후 수주의 증가추세에 부응하여 해외건설인력의 확보 및 대응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어, 이에 따른 적시성 있는 대응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연구의 범위를 향후 해외건설 인력의 수요전망과 국내인력의 공급가능성을 검토하고 원활한 수급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한정하였다.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의 해외건설은 그간 외화가득 및 수출산업으로서 국민경제에 많은 역 할을 하여 왔다. 하지만, IMF 외환위기 이후, 국가신인도의 하락 등에 따라 해외 건설업은 침체를 면치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해외건설에 대한 관심도 자연히 줄 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2000년 이후 조금씩 해외건설수주가 증가하다가, 중동 유 가의 급등 및 세계발주시장의 여건 향상과 국내적 상황에서 탈피한 적극적인 건 설업체의 해외진출의 모색, 이에 따른 정부의 정책지원에 힘입어 2005년도의 해 외건설수주는 109억 불을 기록하여, 해외건설시장의 호황을 예견하는 신호탄이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양적 수주규모의 증가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수주 이후 시공 및 설계 등의 전문관리기술인력의 소요는 크게 증가하여, 해외건설업체의 수주

(23)

2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를 뒷받침하기 위한 해외건설인력의 부족문제가 현안의 과제로 등장하기 시작하 였다. 이에 따른 외환위기 이후 업체의 인력 구조조정에 따른 퇴직인력이 재고용 되고, 고급관리기술인력의 확보를 위해 업체 간 스카웃 경쟁이 발생하는 등 인력 수급이 문제로 불거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인력의 수급 부족 문제는 인력의 채용시스템상의 절차상의 문제보 다는 특정 직군의 부족한 인력의 양성 등 구조적 문제에 기인한다.

이미 해외건설업계의 현실은 플랜트를 포함하여 해외 건설인력의 부족에 따른 애로가 발생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의 자체 조사결과, 향후 3년간 1,400명1)의 인력이 추가적으로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특히 플랜트분야의 건설인 력의 소요가 큰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해외건설업체들은 기능 인력의 경우 대부분 외국 인력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 부 기술인력의 경우에도 외국 기술인력(필리핀, 인도, 이집트: 영어권 국가)을 적 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자체적인 인력수급에 대응하고 있지만, 현재 수주물량과 향후 수주 예상규모 등을 감안할 때 이에 소요되는 건설인력의 확보가 중요 관심 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해외건설수주기반을 형성하는 양질의 해외건설인력의 확보 및 원활한 수급 등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2. 연구목적

이에 본 연구는 해외건설의 활황에 따른 해외건설인력의 동향 및 인력 현황 과 수급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해외수주규모에 따른 건설인력 소요 규모와 이에 따른 국내적 수급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대응한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해외건설협회가 30여개의 해외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추정한 소요인력의 규모는 해외건설업 분야별로 플랜트 900명, 토목 100명, 건축 100명, 기타 200명이며, 기능별로 볼 때 기능공 100명, 기술자 1,100명, 관리직 200명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24)

제 1 장∙서론 3

특히 공종별 해외건설수주 구조가 전통적인 토목, 건축 중심에서 중동을 중심 으로 한 플랜트 분야가 절대적인 우위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해외수주 구조를 반영한 해외건설인력의 공종별 소요전망과 더불어 해외건설인력의 고부 가가치화로 인력의 생산성이 높은 전문관리기술인력의 소요가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황에서, 직군별 해외건설기술인력 소요전망도 동시에 이루어 질 필요가 있으므로 공종별(건축, 토목, 플랜트 등 공종), 직군별(관리기술직, 기 능직) 해외건설인력소요전망과 수급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며, 이에 대응하는 인력수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연구방법

해외건설 수주 동향의 분석에서는 해외건설협회의 해외건설정보망의 자료와 기존의 동향자료 등을 활용하였으며, 해외건설인력 동향분석을 위해서는 통계청 의 「건설업 통계조사보고서」등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아울러 해외건설협 회가 관리하는 해외건설업체가 분기별로 제출하는 「시공상황보고」자료상의 해외진출 국내 인력현황자료를 통해 해외건설인력 추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해외건설인력 현황 및 실태파악을 위해서, 해외건설업체가 2005년 및 2006년 초에 실시한 해외건설업체 대상 해외건설인력 실태조사(설문조사)내용을 참고로 하는 등 동향 및 현황파악에는 주로 통계자료 및 설문조사결과, 해외건설 협회 내부 자료에 의존하였다.

해외건설인력 소요전망의 경우, 관련 문헌조사와 해외건설협회의 수주액 자료 및 직군별 해외진출인력 자료를 활용하고, 해외건설수주전망 및 이에 따른 시공 가능액과 기술 및 기능인력의 해외진출 규모, 기존의 인력소요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등을 참조하여 직종별, 직군별 해외건설인력 소요전망을 하였다. 이어 국내 건설인력의 공급현황 자료를 토대로 수급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해외건설포 럼」 등 해외건설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였고, 해외건설협회 및 해외건설업

(25)

4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체 관계자등과의 면담도 일부 이루어졌다.

4.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외건설인력 수급전망 및 대책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중소건설업체의 해외건설시장 진출실태 분석(건설산 업연구원, 2005)이 해외건설 분야에 있어서 최근의 연구로 국내 건설경기의 하락 에 따른 중소건설업체의 해외진출에 따른 애로요인 및 문제점 도출을 통해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이 주요 골자로 본 연구에서와 같이 해외건설인력에 초점 을 둔 정책대응방안의 제시와는 거리가 있다.

또한 건설기술인력 수급현황 및 전망(김성일, 1988)연구는 국내 건설기술인력 의 향후 수급전망을 주로 다루고 있어, 해외시장에서의 인력에 초점을 둔 연구와 는 차이가 있으며, 건설기술자 인정제도 개선방안 연구(김성일, 2003)도 국내 건 설기술자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해외건설인력에 초점을 두고 있지 않다. 이외에 해외건설협회 등을 중심으로 한 지역별, 국가별 해외건설시장 진출 전략 등의 보고서가 있지만, 종합적인 해외건설수주 증가에 따른 중장기 해외인 력소요전망과 대책에 관한 내용과는 거리가 있다. 이처럼 국내의 연구들은 주로 국내 건설기술인력 등 국내 인력의 수급전망과 대책 중심이고, 해외건설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최근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장기 해외건설인력의 소요전망을 통해 국내적 수급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수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는 점과 공종별(토목, 건축, 플 랜트 등), 직군별(관리기술직, 기능직)로 해외건설수주의 증가에 따른 인력의 추 가소요 규모를 전망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주요 선 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6)

제 1 장∙서론 5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1

<과제명: 중소건설업체의 해 외시장진출실태분석 및 활 성화 방안(2005)>

-중소건설업체의 해 외진출 사례분석 -관련 제도 분석

-문제의 제기

-중소건설업체의 해외시장진 출 실태 및 문제점

-중견중소 주택업체의 해외 시장진출 사례 및 문제점 -중소건설업체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제도 현황 및 문제 점

-중소건설업체의 해외시장진 출활성화를 위한 제언

2

<과제명: 건설기술인력 수급 현황 및 전망(1988)>

본 연구는 건설기술인력의 세부기술종목에 대한 수급 전망 및 대책을 제시하고자 함

-문헌조사, 각종 통계자료 분석 -설문조사 -수요전망을 위한

계량분석

-건설기술인력 정의 및 범위 -건설기술인력의 현황 및

취업실태분석

-건설기술인력 수요전망 -건설기술인력 공급규모전망 -건설기술인력 수급전망

및 대책

3

<과제명:건설기술자 인정제 도 개선방안(2003)>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인정 제도의 개선을 위해 건설기 술자격자 및 학경력자의 활 용구조 및 외국의 기술자 활 용구조 파악과 등급별 기술 자 소요구조 파악 등을 통해 현행 건설기술자 인정제도 의 개선방안을 제시

-문헌조사 및 관련 협회 내부자료 분 석, 각종 통계자료 -연구협의회 -수요 전망분석 -외국의 기술자 제도

운용사례 분석 -설문조사 등

-건설기술자 인정제도 개요 -건설기술자 제도의 운용

현황 및 문제점 -건설기술자 수급전망 -외국의 건설기술자 제도 및

건설기술자 환경의 변화 -건설기술자 인정제도의

개선방안

본 연구

본 연구는 해외건설수주의 확대에 대응하여 분야별 기 능별 건설인력의 수급실태 를 파악하고 단기적, 중장기 적 인력 수급대응방안을 제 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관련 협회 등의 내 부자료 및 통계자 료 분석

-해외건설업체 대상 면담조사

-해외건설 전문가회 의

-해외건설수주 동향 및 전망 -해외건설인력 수급 현황 및

실태

-해외건설인력 소요 전망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표 1-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7)

제 2 장∙해외건설 수주 동향 7

2

C ․ H ․ A ․ P ․ T ․ E ․ R ․ 2

해외건설 수주 동향

본 장에서는 해외건설 수주동향을 비교적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연도별로 전반적인 해외건설 수주동향을 살펴보고, 공종별 지역별 수주동향과 해외건설업체의 수주동향 까지도 파악하여 전체적으로 현 해외건설수주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 지를 조 망하고 있다. 특히 제2의 해외건설 시장 활황 속에서 중동건설시장에서 우리 해외건설 업체의 수주동향을 보다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1. 연도별 해외건설 수주 동향

해외건설수주 동향은 1997년의 140억 불을 정점으로 하여, 대폭적으로 줄어들 었다가, 2004년 이후 중동의 플랜트 수주의 급증에 힘입어 2005년의 경우 2000년 대 이후 최초로 100억 이상의 수주를 기록하였다.

2005년의 수주실적을 보면 <그림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36개사가 49개국 에서 281건, 10,859백만 불을 수주하여 전년 동기(74.9억불)대비 45% 증가하는 등 제2 중동 특수로 8년 만에 100억불 초과 달성을 이루었고 공종별로는 플랜트가 76%(82.6억불) 차지하고 있다.

수주 증가요인으로는 고유가 현상 지속으로 인한 중동지역 발주물량 증가와 우리 기업간 대형 플랜트공사 중심의 전략적 제휴의 증가, 그리고 태국, 중국, 인 도 등을 중심으로 아시아 건설경기가 다소 회복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중소 및 중견 건설업체 수주 활발 등으로 카자흐 등 중앙아시아 지역이 신흥시장으로 부상 중이다.

(28)

8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 쿠웨이트: 원유집유소 및 가압장 시설 개보수공사(SK건설, 12.2억불) - UAE: 제벨알리 발전담수 ‘L'-2단계공사 (현대건설, 6.8억불)

- 카타르: 라스라판 산업단지내 콘덴세이트 처리공장(GS건설+대우건설, 6.6억불) - 이란 : 올레핀 11차-에틸렌 생산공장 건설공사(현대건설, 5.7억불) - 사우디 : APPC 탈수소 / 폴리프로필렌 프로젝트(삼성ENG, 4.9억불)

14,032 (176)

4,055 (114)

9,189 (134)

5,433 (124) 4,355

(77) 6,126 (140)

3,668 (153)

7,498 (193)

10,859 (281)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97 98 99 00 01 02 03 04 05

<그림 2-1> 해외건설 수주추이

(단위: 백만 불, 건수)

2. 지역별 해외건설 수주 동향

지역별 해외건설 수주 동향은 중동지역에서 플랜트 건설부문 위주로 73건, 6,445백만 불 수주하여 전년대비 81%증가하였다. 이는 국제유가가 고공 행진함 으로서 산유국을 중심으로 한 플랜트건설 부문 발주 확대가 지속되어 전체 수주 의 59%를 점유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나라별로 해외건설 수주동향을 보면 쿠웨 이트(23.3억불), 카타르(13.4억불), 사우디(12.4억불), UAE(8.0억불), 이란(6.2억불) 을 중심으로 수주하여 이들 5개국이 중동지역 수주의 약 98%를 점유하고 있다.

※ 주요 수주공사

(29)

제 2 장∙해외건설 수주 동향 9 0

20 40 60 80 100 12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0 20 40 60 80

중동수주액(억불) 전세계 수주액(억불)

중동 수주건수 중동 진출기업수

<그림 2-2> 중동지역의 수주 동향

- 태 국: ATC 촉매 개질 및 방향족 제조시설공사(SK건설+GS건설, 6.5억불) - 카자흐: 하이빌 아스타나 주거 복합단지 A, B, C 블록(동일하이빌, 3.3억불) - 태 국: PTT 파이프라인 건설공사(현대중공업, 2.7억불)

- 중 국: 무석 하이닉스 반도체공장공사(현대건설, 1.5억불)

이 지역의 건설 수주액의 변화는 2000~2005년간 전체 수주액의 50.4%(2005 년: 59.4%)를 차지하며 진출기업(2000년: 21개사→2005년: 52개사)이 증가함에 따 라 수주건수(2000년: 26건→2005년: 73건)도 대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자료: 해외건설협회, 중동플랜트 건설시장 패턴과 전망, 2006. 3

아시아의 해외건설 수주는 태국, 중국 등 일부 국가의 건설경기 활황세에 힘입 어 전년대비 15%가 증가한 158건, 2,603백만 불 수주하였으며 그 점유율은 전체 수주의 24%로 전년도(30%)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지만 국가별로 태국(9.4억불), 중국(5.5억불)과 더불어 인도(1.9억불) 등을 중심으로 아시아 수주의 약 65% 점유 하고 있으며 또한 카자흐(3.2억불)가 신흥시장으로 부상되고 있다. 이는 과거 주 력시장이었던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는 발주물량 감소와 함께 수주경 쟁 심화로 부진이 지속되는 등 시장재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 주요 수주공사

(30)

10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 나이지리아: Afam Ⅵ 복합화력 발전소 프로젝트(대우건설, 4.8억불) - 나이지리아: 에스크라보스 가스 플랜트 3단계(대우건설, 4.5억불) - 앙 골 라: 오피스, 주거시설 공사(남광토건, 1.6억불)

아프리카지역의 해외건설수주는 15건, 1,275백만 불을 수주하여 전년대비 79%

증가하고 있고 국가별로는 나이지리아(9.9억불), 앙골라(2.5억불) 등에서 다수 수 주가 들어오고 있다.

※ 주요 수주공사

미주, 태평양 지역의 해외건설 수주는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수주금액은 전년 대비 161% 증가하였으나 전체 수주의 3.3% 수준에 불과하며 멕시코 미나티틀란 정유공장(1.5억불)을 제외하면 전체수주의 1.8%로 미미하다.

지역별 2003 2004 2005 대비

(B/A)

건수 금액 건수 금액(A) 건수 금액(B)

중 동 33 2,258 46 3,571 73 6,445(59.4) 181 아 시 아 100 1,169 138 2,275 158 2,611(24.0) 115

아프리카 4 49 15 712 15 1,275(11.7) 179

미주․태평양 13 82 19 135 27 353(3.3) 262

유 럽 3 110 6 805 8 175(1.6) 22

총 계 153 3,668 224 7,498 281 10,859(100.0) 145

<표 2-1> 지역별 수주추이

(단위: 백만 불, %)

주) ( )는 전체 수주액 비율

3. 공종별 해외건설 수주 동향

공종별 해외건설 수주동향은 토목공사는 36건, 835백만 불을 수주하여 전년 보다 약간 상승하였으며 2002년 5.4억불, 2003년에는 4.0억불, 2004년 8.1억불,

(31)

제 2 장∙해외건설 수주 동향 11 카자흐: 하이빌 아스타나 주거 복합단지(동일하이빌, 3.3억불)

앙골라: 오피스, 주거 및 공용시설 빌딩 신축공사 (남광토건, 1.6억불) 중국: 무석 하이닉스 반도체 공장공사(현대건설, 1.5억불)

쿠웨이트: 원유집유소 및 가압장 시설 개보수공사(SK건설, 12.2억불) UAE: 제벨알리 발전담수 ‘L'-2단계공사(현대건설, 6.8억불)

카타르: 라스라판 산업단지내 콘덴세이트 처리공장(GS건설+대우건설, 6.6억불) 태국: ATC 촉매 개질 및 방향족 제조 시설공사(SK건설+GS건설, 6.5억불)

2005년에는 8.4억불을 수주하여 전체 수주중 점유율은 ’04년 10.7%에서 7.7%로 감소하였다. 또한 1억불 이상의 대형 토목공사는 쿠웨이트, 미나 알아흐마디 정 유공장용 오일 피어 5,6호기 추가공사(현대건설, 1.4억불)의 1건에 불과하였다.

건축공사는 48건, 1,226백만 불을 수주하여 전년대비 40% 증가하였고 점유율 은 11.3%로 전년(11.6%)보다 다소 하락하였지만 전년도에 1건이었던 1억불 이상 대형 건축공사는 3건 수주하는 등 2001년에는 7.2억 불, 2002년 6.0억 불, 2003년 5.3억 불, 2004년 8.7억불 그리고 2005년에는 12.3억 불로 ’04년부터 상승세로 반 전하고 있다. 건축부문의 개발 사업은 4건, 434백만 불로 이 부분 수주의 35.5%

차지하고 있다.

※ 주요 수주공사

플랜트건설 부문에서의 해외건설 수주는 55건, 8,263백만 불로 전년대비 60%

증가하였고 중동지역 플랜트건설 부문의 수주(5,676백만 불)가 전체수주의 52%

를 차지하여 제2 중동특수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중동지역의 2000~2005년간 플 랜트공사수주액은 중동수주액의 80%(2005년: 88.1%)를 차지하며 대기업 위주로 수주가 이루어지고 있다.

※ 주요 수주공사

전체 수주중 점유율은 76.1%로 2002년에는 78.8%, 2003년 68.0%, 2004년과 2005년 각각 69.1%, 76.1%로 ’03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32)

12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공 종 2003 2004 2005

대비(B/A)

건수 금액 건수 금액(A) 건수 금액(B)

토 목 19 402 29 806 36 835(7.7) 100 건 축 28 532 33 874 48 1,226(11.3) 140 플랜트건설 19 2,491 59 5,182 55 8,263(76.1) 160 기 타 87 243 103 636 142 535(4.9) 84 총 계 153 3,668 224 7,498 281 10,859(100) 145

<표 2-2> 공종별 수주추이

(단위: 백만 불, %) 0

10 20 30 40 50 60 7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0 5 10 15 20 25 플 랜 트 부 문 수 주 액 (억 불 ) 중 동 전 공 종 수 주 액 (억 불 )

중 동 수 주 건 수 중 동 진 출 기 업 수

<그림 2-4> 중동지역의 플랜트 수주 동향

1억불 이상 대형 플랜트건설 프로젝트는 16건, 7,468백만 불로 전체 수주의 68.8%를 차지하고 있다.

자료: 해외건설협회, 중동플랜트 건설시장 패턴과 전망, 2006. 3

1995년~2005년 사이의 공종별 해외건설 비중(금액)추이를 보면, 특히 2001년 이후에는 산업설비(플랜트) 수주규모가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2005년에는 우리 해외수주의 76%를 점유하고 있다. 반면에 전통적인 토목 및 건축 공종의

(33)

제 2 장∙해외건설 수주 동향 13 구분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토목 2,201 1,990 2,613 535 1,642 2,768 867 539 402 806 836

(25.9) (18.5) (18.6) (13.2) (17.9) (50.9) (19.9) (8.8) (11.0) (10.7) (7.7) 건축 3,597 4,288 6,124 1,381 1,944 732 721 605 532 874 1,226

(42.3) (39.8) (43.6) (34.1) (21.2) (13.5) (16.6) (9.9) (14.5) (11.7) (11.3) 산업설비 2,405 4,285 4,957 1,954 5,360 1,703 2,662 4,826 2,491 5,182 8,263 (28.3) (39.8) (35.3) (48.2) (58.3) (31.3) (61.1) (78.8) (67.9) (69.1) (76.1)

전기 256 130 232 60 242 212 58 128 192 545 374

(3.0) (1.2) (1.7) (1.5) (2.6) (3.9) (1.3) (2.1) (5.2) (7.3) (3.4)

통신 30 49 98 86 0 8 45 8 8 2 13

(0.4) (0.5) (0.7) (2.1) (0.0) (0.1) (1.0) (0.1) (0.2) (0.0) (0.1)

용역 19 37 8 39 1 10 2 20 43 89 147

(0.2) (0.3) (0.1) (1.0) (0.0) (0.2) (0.0) (0.3) (1.2) (1.2) (1.4) 전체 8,508 10,779 14,032 4,055 9,189 5,433 4,355 6,126 3,668 7,498 10,859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표 2-3> 공종별 해외건설 수주액 추이

2 5 .9

1 8 .5 1 8 .6

1 3 .2 1 7 .9

5 0 .9

1 9 .9

8 .8 1 1 .0 1 0 .7

7 .7 4 2 .3

3 9 .8 4 3 .6

3 4 .1

2 1 .2

1 3 .5 1 6 .6

9 .9 1 4 .5

1 1 .7 1 1 .3

2 8 .3 3 9 .8

3 5 .3 4 8 .2

5 8 .3

3 1 .3 6 1 .1

7 8 .8

6 7 .9 6 9 .1

7 6 .1

0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6 0 .0 7 0 .0 8 0 .0 9 0 .0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토 목 건 축 산 업 설 비 전 기 통 신 용 역

<그림 2-6> 공종별 해외건설 수주액 추이

수주비중은 급감하고 있는 추세이며 전통적인 토목, 건축 분야의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자료: 해외건설협회 분기별 현황자료를 토대로 작성

(34)

14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4. 업체별 해외건설 수주

2005년도 업체별 해외건설 수주는 현대건설이 2,525백만 불을 수주하여 2004 년 3위에서 정상을 재탈환하였으며 2위는 SK건설(1,690백만 불), 3위는 대우건설 (1,261백만 불) 순이다.

해외건설 진출업체의 상위 10개사 점유율은 ’01년 93.3%, ’02년에는 91.8%, ’03 년, ’04년 각각 85.6%, 88.0%이었으며 2005년에는 89%로 전년도에 비하여 소폭 상승하였다. 이는 실적이 있는 업체 수(’02년 70개사, ’03년 86개사, ’04년, ’05년 각각 113개사, 136개사 임)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중소기업의 활발한 해 외영업활동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동일하이빌, 남광토건, 엠코 등 중견기업이 10대 기업군에 새로 진입하 였다.

순위 '03 '04 '05

업체명 수주실적 업체명 수주실적 업체명 수주실적

1 현대건설 826 현대중공업 1,444 현대건설 2,525

2 대림산업 488 LG건설 1,351 SK건설 1,690

3 두산중공업 391 현대건설 931 대우건설 1,261

4 대우건설 377 두산중공업 869 삼성ENG 1,011

5 삼성ENG 244 삼성물산 609 GS건설 994

6 LG건설 221 대우건설 547 현대중공업 812

7 롯데건설 177 SK건설 393 두산중공업 555

8 현대중공업 165 풍림산업 168 동일하이빌 328

9 삼성물산 164 삼성ENG 145 남광토건 243

10 한진중공업 87 대림산업 144 엠 코 224

소 계 10개사 3,140 10개사 6,601 10개사 9,643

상위10개사비중 10개사 85.6 10개사 88.0 10개사 88.8

기 타 76개사 528 103개사 897 126개사 1,216

총 계 86개사 3,668 113개사 7,498 136개사 10,859

<표 2-4> 업체별 수주추이

(단위: 백만 불, %)

자료: 해외건설협회

(35)

제 3 장∙해외 건설 인력 동향 및 실태 15

3

C ․ H ․ A ․ P ․ T ․ E ․ R ․ 3

해외 건설 인력 동향 및 실태

본 장에서는 해외건설인력 동향 및 실태를 분석하고 있다. 해외인력동향과 관련하여 두 가지의 자료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있다. 즉 건설업통계조사보고서에 의한 동향분 석과 해외시공실적 신고 자료를 토대로 한 분석이 그것이다. 이 두 가지 자료상의 통 계적 불일치는 있지만, 전반적 동향 파악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또한, 해외건설인력 고용현황 및 실태는 설문조사결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해외건설인력의 고용동향 및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해외인력의 소요전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1. 해외 건설 인력 동향

해외 건설 인력 동향을 조사하기 위해 통계청의 건설업 통계조사보고서와 해 외건설협회의 시공상황보고 자료를 이용하였다.

1) 「건설업 통계조사보고서」상의 해외건설 인력 동향

건설통계청의 건설업 통계조사보고서에 의하면, 1997년 해외건설인력은 3만 여명에서 1999년 2만 천명으로 줄어들다, 2004년에는 1만 6천여 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2001년 이후 해외건설인력의 하락 폭이 증가하고 있어, 수주액의 감 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이며, 해외건설인력의 소수 정예화와 현지인, 제3국 인 등 기능인력의 활용 증가에도 그 이유가 있어 보인다.

(36)

16 해외건설인력의 원활한 수급방안

6 , 5 3 8

2 , 9 9 9

4 , 7 3 0

3 , 2 7 2 4 , 0 1 1

2 , 5 4 0 7 , 1 3 5 9 , 6 7 8

6 , 5 8 9

4 , 7 6 6 4 , 7 0 1

5 , 1 2 3 5 , 8 1 0 5 , 7 9 6

4 , 4 8 9 6 , 0 2 4

8 , 2 7 4

7 , 2 4 7

6 , 4 0 7 6 , 3 8 9

1 6 , 4 7 3 1 9 , 1 6 6 2 5 , 2 0 8 2 7 , 1 5 2

2 2 , 3 1 3 2 1 , 5 2 5 2 8 , 0 2 5 3 0 , 1 8 3

2 4 , 1 9 7 2 4 , 1 5 8

0 2 , 0 0 0 4 , 0 0 0 6 , 0 0 0 8 , 0 0 0 1 0 , 0 0 0 1 2 , 0 0 0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0 5 , 0 0 0 1 0 , 0 0 0 1 5 , 0 0 0 2 0 , 0 0 0 2 5 , 0 0 0 3 0 , 0 0 0 3 5 , 0 0 0

수 주 액 기 성 액 종 사 자 수

<그림 3-1>해외건설 수주와 종사자수 추이

8 , 5 0 8

4 , 0 5 5

5 , 4 3 3 4 , 3 5 5

6 , 1 2 6

3 , 6 6 8

1 0 , 8 5 9

7 , 4 9 8 1 4 , 0 3 2

9 , 1 8 9 1 0 , 7 7 9

5 , 0 5 3 4 , 2 8 1 3 , 7 8 4 4 , 6 4 2 4 , 9 2 4

5 , 9 0 2 4 , 0 2 4 4 , 1 1 3

4 , 2 2 8 4 , 2 9 3 6 , 4 4 1 8 , 5 6 8 8 , 0 7 1

6 , 3 9 6 7 , 6 1 5 7 , 2 3 7 7 , 8 0 7

0 2 , 0 0 0 4 , 0 0 0 6 , 0 0 0 8 , 0 0 0 1 0 , 0 0 0 1 2 , 0 0 0 1 4 , 0 0 0 1 6 , 0 0 0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0 1 , 0 0 0 2 , 0 0 0 3 , 0 0 0 4 , 0 0 0 5 , 0 0 0 6 , 0 0 0 7 , 0 0 0 8 , 0 0 0 9 , 0 0 0

수 주 액 시 공 액 인 력

<그림 3-2> 해외건설 수주액, 시공액, 인력 추이 2) 시공상황 보고 자료상의 해외진출인력 추이

해외건설협회에서 파악하는 시공상황보고 자료에 의하면 2000년 이후 해외건 설인력(관리기술직, 기능직 포함)은 4,000명 수준에서 거의 변동이 없이 일정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0년의 8,568명에서 2002년에는 4,200여명으로 대폭적으로 감소하였는데, 1999년 이후 해외건설수주 의 저조와 해외건설업체의 인력구조조정의 여파로 보이며, 기능인력의 경우 해 외인력의존도가 심화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37)

제 3 장∙해외 건설 인력 동향 및 실태 17

1 ,9 9 0

1 , 6 4 2 2 ,6 1 3

8 0 6 8 3 6

4 0 2 5 3 9 8 6 7 2 , 7 6 8

5 3 5 2 , 2 0 1

1 , 4 5 1 1 , 2 1 4

1 , 4 8 0

1 , 0 7 0

8 0 2 7 4 4

3 , 7 3 3

3 , 3 1 5 3 , 5 5 2

3 , 1 2 7

1 , 9 8 3

2 , 2 4 7 2 , 5 9 5

2 , 0 2 7 1 , 7 8 6

1 , 4 1 3

1 , 2 7 8

0 1 , 0 0 0 2 , 0 0 0 3 , 0 0 0 4 , 0 0 0 5 , 0 0 0

1 9 9 5 1 9 9 6 1 9 9 7 1 9 9 8 1 9 9 9 2 0 0 0 2 0 0 1 2 0 0 2 2 0 0 3 2 0 0 4 2 0 0 5

0 5 0 0 1 , 0 0 0 1 , 5 0 0 2 , 0 0 0 2 , 5 0 0 3 , 0 0 0 3 , 5 0 0 4 , 0 0 0

수 주 액 기 성 액 인 력

<그림 3-3> 해외건설 토목공종 수주액 및 기성액, 인력 추이 (1) 공종별 해외인력 추이

우선, 토목공종의 경우 2000년에 27억 불을 수주한 이래 수주 규모가 대폭적으 로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해외진출인력의 규모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5년도 에는 1,278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개략적으로 볼 때, 관리기술직과 기능직의 비중 이 거의 같은 수준이며, 기성액을 기준으로 1인당 100만 달러 정도를 국내 관리 기술인력이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기성액 전망을 통해 개략적으 로 추가인력 소요를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건설협회 분기별 시공상황보고 자료를 토대로 해외건설 토목공종 수주액 및 기성액별로 인력 변화를 재구성하여 본 바, 2001년을 기준으로 관리기술직과 기능직을 모두 포함하여 2005년 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토목공 종의 수주액과 기성액의 변화와 일치하고 있다. 다만 관리기술직과 기능직의 구 성에서는 전반적으로 관리기술직은 55%내외이며 기능직은 45%내외로 나타나고 있다.

참조

관련 문서

§ Due to the late start of construction and frequent design changes during construction,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has been one year delayed. of the project has been

Construction New construction sites, road repair sites, demolition of  buildings.

Verbs with -ing complement construction implicate the sense of ‘enjoyment’ whereas verbs with to-infinitive complement construction has the notion of

“Simplifying Simulation Modeling through Integration with 3D CAD.”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ume 126, Issue 6, pp.

government’s assessment of the project’s technical feasibility, time for completion, and cost.. 401.649 Cost Planning for Construction Projects 10.  Scope of work at

– A fixed lump-sum price based on the quantities provided by the owner for the major components of the project. – Most infrastructure projects and

flexibility required during construction would be the most critical issues.. 401.649 Cost Planning for Construction Projects

Resource Based Construction Rate Work Based.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