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13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13장"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경제학개론(by Sunkujang)

제13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제13장

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개념

- 한국 경제가 잡아야 하는 ‘세 마리 토끼’라는 표현 → 경제성장, 물가 안정, 국제수지의 균형

(1) 국민소득

- 한 나라 경제 전체에서 얼마만큼의 상품이 생산되었는지에 따라 그 나라 국민의 총체적 소득이 결정. 1년 동안 경제 전체에서 생산된 상품의 총가치를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이라고 부름. 이것은 그 나라 국민이 1년 동안 얻는 소득과 같다는 의미에서 국민소득 이라고 부르기도 함.

(2)

경제학개론(by Sunkujang)

제13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 경제성장

- 1970년대 이래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은 연평균 8% 정도의 빠른 속도로 성장.

- ‘70의 법칙’(rule of seventy) : 어떤 변수의 값이 매년 %의 비율로 커진다고 할 때, 원래의 두 배로 커지는 데 걸리는 햇수 는,

- 이 공식에 따르면, 국내총생산이 연간 8%의 비율로 성장할 경우 약 9년이 지나면 원래의 두 배 수준에 이름.

- 미국은 지난 20년 동안 연평균 3%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그렇다면 미국의 경제규모가 두 배로 커지기 위해서는 23년이란 세월이 필요.

■ 경기변동

- 실제의 국내총생산과 장기추세치 사이의 차이를 GDP갭(GDP gap)이라고 부름. GDP갭이 양의 값을 갖다가 음의 값을 갖고, 그러다가 다시 양의 값으로 돌아오는 일이 반복

→ 경기변동(business fluctuations) 또는 경기순환(business cycle)

- GDP갭이 양의 값을 가질 때 경제는 호황기(boom). 반면에 GDP갭이 음의 값을 가질 때 는 불황기(recession)

- 호황기에서 국내총생산이 가장 높아질 때를 경기의 정점(peak), T점처럼 불황기에서 국내 총생산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질 때를 저점(trough)이라고 부름.

불황기에는 실업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기는 반면, 호황기에는 물가가 불안해지는 문제 발생.

- 현실에서 보는 경기변동은 상당히 불규칙한 변화의 양상.

- 경기변동의 또 다른 특징은 변수들 사이의 공행성(comovement) (ex. 국내총생산과 실업률 사이의 관계)

(3)

경제학개론(by Sunkujang)

제13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 공행성 때문에 경기변동이 우리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지는 결과 나타남. 예컨대 불황기 에는 생산활동이 부진해짐에 따라 고용과 임금소득이 떨어지고, 소비와 투자가 둔화되며, 주식 가격이 떨어지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한꺼번에 몰려 나타남.

(2) 물가와 인플레이션

- 미시경제이론에서는 개별 상품의 가격에 대해 관심을 갖는 반면, 거시경제이론에서는 전 반적인 가격수준, 즉 물가(price level)에 대해 관심. 물가는 모든 상품 가격의 평균적인 수준 의 미.

- 우리나라의 경우 소비자물가가 지난 30년 동안 연평균 10%에 가까운 비율로 상승. 그 결과 물가는 1970년에 비해 약 10배나 더 높은 수준으로 뛰어 오름.

(3) 국제수지와 환율

- 경제규모가 비교적 작고 외국과의 무역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제경제 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 할 만큼 중요한 의미 가짐.

- 한 나라의 대외의존도는 수출입액의 합계를 국내총생산으로 나눈 비율.

대외의존도 = (총수출액 + 총수입액) / 국내총생산

- 우리나라의 경우 1970년에 39%수준이었던 대외의존도가 1997년에 와서는 70%수준으로 크게 상승.

- 한 나라에 들어오고 나가는 화폐의 흐름을 함께 모아 정리해 놓은 것이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 국제수지의 적자(deficit)와 흑자(surplus).

- 국제수지 흑자도 너무 크면 문제가 될 수 있음.

- 국제수지는 환율(exchange rate)의 동향과 밀접한 관련.

2. 총수요와 총공급

- 거시경제이론의 분석과정은 기본적으로 미시경제이론의 경우와 크게 다를 바 없음. 즉 수요와 공 급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품의 가격과 거래량이 결정된다는 기본골격 공유.

- 거시경제이론은 개별 시장이 아니라 국민경제 전체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는 점에서 미시경 제이론과 차이. 하나의 ‘대표상품’(representative commodity)을 설정하는 것이 보통.

(4)

경제학개론(by Sunkujang)

제13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 총수요곡선(aggregate demand curve, AD)과 총공급곡선(aggregate supply curve, AS).

- 국민경제의 균형은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이 교차되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음. 점이 의미하는 가격과 생산량이 각각 국민경제의 균형물가와 균형생산량.

-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은 거시경제이론에서 매우 유용한 분석수단이 될 수 있음.

참조

관련 문서

용액에서 AD와 SUB를 혼합한 후에 고 분자를 첨가하여 공결정을 제조했을 때는, 고분자의 영향은 결정모양과 결정성을 일부 변화시키는 것에 한정되었는 데, 이러한 영향은 고분자

증점제와 고성능 감수제가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 한 결과, 증점제와 고성능 감수제를 조합사용한 경우에는 고성 능 감수제의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응집현상이

[r]

말도 안 되는 정보, 의심스러운 뉴스, 실현 가능성 있을까 싶은 공약, 터무니 없는 정치인의 발언,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각종 보도 자료- 우리가

한 나라의 금융제도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고 중요 하다. 금융발전은 거래비용과 정보비용을 감소시키고 , 위험관리능력 을 증가시킴으로써 자본의

그 결과 첫째, 진로역량기반의 교과가 진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과수강생이 미수강생 에 비하여 진로역량의 모든 요소에서 높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설계자 와 엔지니어들은 BIM과 같은 디지털 협업 도구에 더욱 의존하게 될 것이다.. 일류 엔지니어사와 건설사들은 4D, 5D

독점경쟁하의 단기균형은 독점하의 단기균형과 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