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급힌디어강독(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초급힌디어강독(1)"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초급힌디어강독(1)

자음과 모음의 결합, 복자음 4주

1과 본문; 샤르마지의 가족

(2)

형태가 조금 다른 문자들

उ ऊ अ आ ओ औ ग न म भ

घ ध छ

ट ढ ढ़ द ठ

ड ङ ड़ इ ई झ ह प फ ष य थ

र ए ऐ ख स

व ब क च

(3)

데브나그리 문자를 읽어 봅시다.

अ आ इ ई उ ऊ ऋ ए ऐ ओ औ

क ख ग घ ङ च छ ज झ ञ ट ठ ड ढ ण त थ द प फ ब भ म य र ल व

स ह ड़ ढ़

(4)

자음과 모음의 결합

힌디어도 한글처럼 음절 단위로 표기되며, 자음과 모음이 음절을 이룰 때 모음은 기호로 표시되는데 자음에 연결되는 모음 기 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 िा ा ा ा ा ा ा ा ा 아 아- 이 이- 우 우- 리 에 애 오 오우

#첫 번째 모음 अ는 모든 자음에 내재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기호 가 없습니다.

아래와 같이 자음과 연결되어 힌디의 음절을 이룹니다.

क क क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क 까 까- 끼 끼- 꾸 꾸- 끄리 께 깨 꼬 꼬우

(5)

자음과 모음의 결합

र이 उ나 ऊ와 결합될 때 변형된 형태가 나타납니다.

र+उ=रु

र+ऊ=रू

비모음은 짠드라빈두로 표기 했지만, 이제는 비자음에 사용되는

빈두를 쓰기도 하고 특히 모음기호를 나타내는 것이 줄 위로 있을 때는 빈두만을 사용합니다.

कह ाँ 어디 कह ीं 어딘가

빈두(점)로 표시된 비자음기호를 아누스와르, 비모음의 짠드라 빈두는 아누나씩이라고 합니다. (ा )는 비싸르그인데 이 음은 /흐/로

발음하면 됩니다. [예: प्र त 아침]

(6)

복자음

힌디에는 복자음이 굉장히 많습니다. (『힌디어입문』 27-30쪽 참조)

가 없는 자음을 다른 자음에 이어 표기하는 방법 이 서너 가지 있습니다.

1. 자음에 수직선이 있는 경우에는 대체로 오른쪽의 수직 선을 지워줍니다. 힌디의 문자는 대부분 수직선을 갖고 있습니다.

[예:

पक्क 익은 कमबख्त 불행한 कच्च 설은]

2. 수직선을 갖고 있지 않은 자음에는 글자 밑에 할(हल ा ) 을 첨가하면 됩니다[예: ट-ट् , ह-ह्]

[예:

ट → ट् : टट्ट 조랑말 ह → ह् : ब ह्य(=ब ह्+य) ]

(7)

복자음

3. 복자음에서 그 형태가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क + ष= क्ष [예: प्रत क्ष 기다림]

श + र= श्र [예: श्रम 노동]

द् + य= द्य [예: ववद्य 학문]

ज + ञ =ज्ञ[예: ववज्ञ न 과학 → 발음을 /갸/로]

(8)

복자음

र의 경우도 그 형태가 달라지는데, र가 먼저 오는 복자음의 경우

오른쪽으로 터진 반원모양이 다음 수평선 위로 올라가 붙고 [예: अथथ 의미, 목적, 경제, क सी 의자 등]

र가 나중에 오는 복자음의 경우(『힌디어입문』 26쪽 하단 참조) 앞의 자음에 () [예: क्रम(끄람) 순서, प्रक श(쁘라까-쉬) 빛]

또는 ()[예: र ष्ट्र(라-슈뜨라) 국가, र न(뜨렌) 기차] 기호를 씁니다.

(9)

복자음

• 마지막으로 비자음이 음절의 종성에 올 때, 점(빈두:

ाीं )으로 힌디 문자 위에 표기해 줄 수도 있습니다 [예: कङ्घ →कींघ 빗

चञ्चल→चींचल 요동하는 ठण्ड →ठींड 차다

बन्द→बींद 닫힌,

कम्बल→कींबल 담요]

(10)

응용하여 볼까요?

1. मैं कौन ह ूँ?

2. आप कह ूँ हैं?

3. त आजकल कैस है?/* त आजकल कैसी है?

4. तुम आज ककधर हो?

5. वह आजकल यह ूँ क्यों है?

6. हम लोग वह ूँ कब ममलेंगे?

(11)

응용하여 볼까요?

7. ये लोग कल कैसे(कह ूँ, क्यों) ममलेंगे?

8. वे लोग ककतने अच्छे हैं!/

* वह ककतनी अच्छी है!/

आज मौसम ककतन अच्छ है!

9. यह क्य है? यह पेन है।

10. क्य यह पेन है? जी नह ीं, यह पेन नह ीं है।

(12)

응용하여 볼까요?

11.क्य ये गोप ल जी हैं?

जी ह ूँ, ये गोप ल जी हैं।

12. क्य वे बहुत अच्छे हैं?

जी नह ीं, वे बहुत अच्छे नह ीं हैं।

* क्य वह बहुत अच्छी है?

* जी नह ीं, वह बहुत अच्छी नह ीं है।

(13)

1과 본문

शम ा जी क पररव र

यह ूँ एक पररव र है।

यह पतत है।

ये शम ा जी हैं।

वह पत्नी(=पत ्+नी) है।

वे पुष्प जी हैं।

(14)

1과 본문

ये दो लड़के हैं।

यह मदन है और वह मनोज है।

ये दोनों लड़के लम्बे(=लींबे) हैं।

वह ूँ दो लड़ककय ूँ हैं।

वे लततक और आश हैं।

वे दोनों लड़ककय ूँ सुन्दर(=सुींदर) हैं।

(15)

• 힌디어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

[주어+목적어+동사] (『힌디어입문』 33쪽 해설 1 )

• 지시 대명사-यह ये/ वह वे (『힌디어입문』 33쪽 해설 2)

•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यह ूँ/वह ूँ (『힌디어입문』 35쪽 해설 5)

• 형용사의 변화:

आ로 끝나는 형용사와 그렇지 않은 형용사

आ로 끝나는 형용사만 변한다. (『힌디어입문』 34-35쪽 해설 4)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들

(16)

꼭 기억해 둡시다

명사의 성과 수 1. 명사의 성

•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짐

• 성을 구별하는 방법

1)자연성을 따르는 것입니다.

भ ई(남자형제)는 남성명사이고, बहन*(여자형제)는 여성 명사

2) 많은 예외가 있지만 -आ로 끝나는 명사는 남성, -ई로 끝나는 명사는 여성.

कमर (방)은 남성명사, खखड़की*(창문)은 여성명사.

(17)

꼭 기억해 둡시다

2. 명사의 수

힌디어의 명사는 단수와 복수가 있음 후치사가 없는 직격에서

-आ로 끝나는 남성명사는 복수에서 -आ가 -ए로

-आ로 끝나지 않은 남성명사는 복수에서 형태가 변하지 않음.

-ई로 끝나는 여성명사는 -इय ूँ 으로

-ई로 끝나지 않는 여성명사는 -एूँ를 첨가

(18)

꼭 기억해 둡시다

단수 복수

남성 लड़क लड़के

भ ई भ ई

여성 लड़की लड़ककय ूँ

बहन बहनें

(19)

다시 한 번 읽어봅니다

शम ा जी क पररव र

यह ूँ एक पररव र है। यह पतत है। ये शम ा जी

हैं। वह पत्नी है। वे पुष्प जी हैं। ये दो लड़के

हैं। यह मदन है और वह मनोज है। ये दोनों

लड़के लम्बे हैं। वह ूँ दो लड़ककय ूँ हैं। वे लततक

और आश हैं। वे दोनों लड़ककय ूँ सुन्दर हैं।

(20)

बहुत-बहुत शुकिय

बहुत-बहुत धन्यव द

अच्छ , नमस्ते (जी),

अगले हफ़्ते कफर ममलेंगे

참조

관련 문서

강의실 오른쪽의 ‘편집’ 버튼을 누른 다음, 아래의 톱니바퀴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개글을 작성하고

절을 이끄는 보문표지로

StrikeThrough 글자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선을 그린다.. Underline 글자의

왼쪽 과 오른쪽의 렌즈들은 각각 두가지의 오목한 디스플레이 영상을 제공해준다.(넓은 시각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상현실 속에 있는 듯한 착각을 하게 됨)..

아니오, 나는 공장으로 갑니다... 아니오,

 explorer tip(1∼2㎜)의 측면을 부착시킨 상태로 tip의 back 부위가 접합상피에 도달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가볍게

• 따라서 주어와 동사 또는 동사와 목적어와의 관계를 나타내며 명사의 문장 내에서의 통사, 의미적 기능과 관계를 표현한다.. • 태국어에는 격표지가 없으므로 문장

데바나가리의 모음과 자음 쓰기와 자음과 모음의 결합.?. 아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