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와 소통
제8장 적극적인 활동, 독서
0.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책을 읽을 수 있을까? 그런 사 람이 존재할까?
생 각 열 기
“세상의 모든 책을 다 읽을 수는 없죠. 설사 다 읽을 수 있다 해도 굳이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세상의 모든 책을 다 읽으려는 것은 세상의 모든 사람을 다 사귀려는 것과 마찬가지로 불가능한 일입니다. 의미도 없고요. 행복하 게 살려면 나하고 잘 맞는 사람, 통하는 사람, 사랑하는 사람과 교감해야 합 니다. 맞지 않는 사람과 다투면서 시간을 보내기에는 우리 인생이 너무 짧 으니까요. 같은 이치로 내게 재미있는 책,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책, 내가 감 동 받는 책을 읽으면서 사는 게 최선입니다.”
- 유시민·정훈이, 『표현의 기술』, 생각의길, , 쪽.
① 독서의 본질에 대해 이해하기를 원합니다.
② 독서의 목적에 따라 독서 방법이 달라진다는 점을 이해 하기를 원합니다.
③ 다양한 독서 방법에 대해 이해하기를 원합니다.
→ 도달점: 개인 활동지에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책을 적절히 소 개한 뒤, 동료 평가를 통해 보완하면 됩니다.
강 의 목 표
수 업 의 주 요 내 용
1. 독서, 정적이지만 적극적인 활동
단기기억
부호화 감각등록기
주의 집중 자극
반응
망각 망각
장기기억 인출
수 업 의 주 요 내 용
2. 무엇을 읽을까?
→ 많은 사람들이 좋다고 추천하는 책이 반드시 나에게 좋다는 보장은 없음
→ 필독서, 권장도서 목록은 참고할 만한 도서 목록의 일부라고 생각해야
→ 무엇을 할 때 즐거운가?
→ 무엇을 읽었을 때 즐거웠던 기억이 있는가?
→ 다른 사람들은 무엇을 읽고 흥미로운 반응을 보이나?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 왜 읽는지를 먼저 생각해야
여가 목적 독서
“오, 재미있겠네? 한 번 읽어볼까?”
학습 목적 독서
“이걸 읽고 과제를 해야 해(시험을 치러야 해)”
동일한 책을 읽더라도, 목적에 따라 읽는 방법은 달라진다.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Tip! 독서 방법을 공부하기 전에 염두에 두어야 할 것
Matthew Effect: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 는 그 있는 것까지도 빼앗기리라”(마태복음 13:12)
→ 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 쉽고 효과적으로 읽는다.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글의 종류에 따라
① 설명문(정보전달)
② 논설문(주장 혹은 설득)
③ 예술문(문학 및 정서표현)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글의 종류에 따라
① 설명문(정보전달 텍스트)
→ 학습 목적인 경우가 많음
→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분(요약이 기본)
→ 정보의 정확성, 객관성, 신빙성 등을 판단(정말로 그러한가?)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글의 종류에 따라
② 논설문(주장 혹은 설득)
→ 신문 사설이나 칼럼이 대표적
→ 일정한 가치관이 토대가 되기 때문에 주관성이 강함
→ 글쓴이의 의도, 관점, 논지 전개의 타당성 등을 판단 (글쓴이는 왜 이러한 표현이나 주장을 하는걸까?)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글의 종류에 따라
③ 예술문(문학 및 정서표현)
→ 독자의 상상력 자극, 심미적 체험 전달 등이 주목적
→ 예술은 아름다움을 추구함(무엇이 아름다움을 가져오는가?)
→ 미적 구조, 표현상의 특징, 상징과 비유 등을 파악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글을 읽는 과정에 따라
① 미리 들여다보기
② 사실적인 정보 이해하기
③ 비판하며 읽기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글을 읽는 과정에 따라
① 미리 들여다보기
→ 제목, 책 표지, 머리말, 저자 소개, 추천사 등을 훑어보기
→ 목차를 먼저 읽기
→ 책과 관련된 정보를 능동적으로 검색
(문학사, 철학사, 과학사 등등의 책, 백과사전, 신문기사, 칼럼 등)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글을 읽는 과정에 따라
② 사실적인 정보 이해하기
→ 중요한 문장과 덜 중요한 문장 구분하기(설명문, 논설문)
→ 중요한 내용을 파악하고 나중에 다시 읽을 때 도움을 받기 위해 적절한 곳에 밑줄을 긋거나 메모를 함
→ “책의 저자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내용” vs. “자신이 공부하 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한 내용” 두 가지를 구분
수 업 의 주 요 내 용
3. 어떻게 읽을까?
글을 읽는 과정에 따라
③ 비판하며 읽기
→ 관점에 따라 저자의 주장이나 설명이 잘못될 가능성은 언제 나 존재함
→ 글을 못썼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도 분명히 존재
주 요 활 동
① 개인 퀴즈 응답한 후 제출하기
② 팀 퀴즈 정답 맞춰보고 제출하기
③ 개인 활동지에 책 소개하기
→ 활동지의 안내에 따라 자신의 관심사에 부합하는 책을 찾아 소개하고, 소개한 책에 부합하는 독서 방법을 강의 내용을 기 반으로 정리하기
④ 팀원들과 동료 평가 후에 개인활동 수정하여 제출
→ 팀원들끼리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수행 결과를 보완하여 제출하기